KR20180046790A - 플렉서블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6790A
KR20180046790A KR1020160142399A KR20160142399A KR20180046790A KR 20180046790 A KR20180046790 A KR 20180046790A KR 1020160142399 A KR1020160142399 A KR 1020160142399A KR 20160142399 A KR20160142399 A KR 20160142399A KR 20180046790 A KR20180046790 A KR 20180046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gid
flexible member
rigid portion
flexible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2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8328B1 (ko
Inventor
이군표
유수열
장시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2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328B1/ko
Publication of KR20180046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5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battery packs and other power supplies such as fuel cells or integrated AC adap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플렉서블 부재에 있어서, 제1 강성부, 제2 강성부, 및 상기 제1 강성부 및 상기 제2 강성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강성부 및 상기 제2 강성부에 연결되는 연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성부는 상기 제1 강성부 및 상기 제2 강성부보다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으며, 상기 플렉서블 부재에 지정된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부재가 개시된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Flexible memb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플렉서블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관련된다.
전자 장치는 가장 자리 영역이 유연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내부 구성 부품들이 안착되고 전자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의 가장 자리 영역이 곡면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와치 등과 같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경우,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기 위해 마련되는 착용부(예: 밴드)가 유연하게 형성될 수 있다.
유연한 형상의 구현을 위해, 전자 장치에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 등과 같이 지정된 크기 이하의 강도를 갖는 재료가 사용되거나, 지정된 크기 이상의 강도를 갖는 재료의 두께를 얇게 마련하여 전자 장치에 적용함으로써 유연성을 구현할 수도 있다. 또는, 힌지 또는 경첩 등과 같이, 소형 부품들을 조립하여 기계적으로 유연성을 구현하는 방법 등이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단순히 지정된 크기 이하의 강도를 갖는 재료를 전자 장치에 사용하게 되면, 외압의 의해 전자 장치의 외관이 영구적으로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지정된 크기 이상의 강도를 갖는 재료의 두께를 얇게 마련하여 전자 장치에 적용하게 되면, 찢어지거나 구겨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소형 부품들을 조립하여 기계적으로 유연성을 구현하는 경우, 정밀한 부품 제작 및 복잡한 조립 구조가 필요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서로 다른 강도를 갖는 재질의 연결 구조를 통해 유연성을 갖는 플렉서블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부재는 제1 강성부, 제2 강성부, 및 상기 제1 강성부 및 상기 제2 강성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강성부 및 상기 제2 강성부에 연결되는 연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성부는 상기 제1 강성부 및 상기 제2 강성부보다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으며, 상기 플렉서블 부재에 지정된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방향으로 향하는 제1 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을 향하는 제2 면,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공간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는 측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된 플렉서블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부재는 제1 강성부, 제2 강성부, 및 상기 제1 강성부 및 상기 제2 강성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강성부 및 상기 제2 강성부에 연결되는 연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성부는 상기 제1 강성부 및 상기 제2 강성부보다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으며, 상기 플렉서블 부재에 지정된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서로 다른 강도를 갖는 재질의 연결 구조만으로 유연성을 구현함으로써, 원하지 않는 형태로의 영구적인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정밀한 부품들의 복잡한 조립 구조 없이도 유연성을 구현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부재의 강성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부재의 연성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부재의 형태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플렉서블 부재를 적용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부재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부재의 강성부 및 연성부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트 형태의 플렉서블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부재가 적용되는 제1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부재가 적용되는 제2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부재가 적용되는 제3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부재의 연성부에 대한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실시 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또는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서버,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 보안 컨트롤 패널, 미디어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드론(drone), 금융 기관의 ATM,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 (예: 전구, 각종 센서,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 경보기, 온도조절기, 가로등, 토스터,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 건물/구조물 또는 자동차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하거나, 또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하우징(110) 및 디스플레이(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전면, 후면, 및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 사이의 공간을 일부 둘러싸는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은 전자 장치(100)의 얇은 면을 바라보았을 때 시각적으로 보이는 면을 의미하고, 상기 전면은 상기 측면을 제외한 영역으로서 디스플레이(130)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면을 의미하고, 상기 후면은 상기 전면에 대향하는 면을 의미한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상기 후면 및/또는 상기 측면을 통해 디스플레이(130)의 일부 화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으나, 상기 전면은 상기 후면 및/또는 상기 측면과는 다르게 대부분의 영역이 디스플레이(130)의 화면을 출력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110)은 전자 장치(100)의 내부 구성요소들을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은 디스플레이(130), 인쇄회로기판(미도시), 또는 배터리(미도시) 등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안착된 구성요소들을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및/또는 심볼 등)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3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각종 전자 부품들이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전자 소자 또는 회로선 등이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자 부품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미도시), 메모리(미도시), 통신 모듈(미도시), 스피커(또는 리시버)(150), 또는 버튼(1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예를 들면,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은 전자 장치(100)와 외부 전자 장치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스피커(150)는 오디오 출력 장치로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150)는 전기적 신호를 진동으로 바꾸어 음파를 공기 중으로 내보낼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피커(15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될 수도 있으며,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배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스피커(150)가 하우징(110)의 전면 상단부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스피커(150)는 하우징(110)의 측면 또는 후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버튼(170)은 사용자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의 일면에 마련된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버튼(170)의 접촉부를 사용자가 가압하면, 가압된 버튼(170)의 접촉부가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이동하고, 버튼(170)의 이동에 의해 버튼(170)의 접촉부와 접하는 스위치 모듈이 작동되어 전기적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발생된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여 버튼(170)의 입력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버튼(170)의 입력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30)의 화면 온/오프(on/off) 또는 오디오 출력 장치의 음량 크기 조절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전자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배터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된 전자 부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터리는 전자 장치(100)와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탈부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도 있다.
하우징(110)은 실질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110)의 가장 자리 영역은 곡면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의 가장 자리 영역에는 플렉서블 부재가 적용되고, 플렉서블 부재가 휘어짐으로써 하우징(110)의 가장 자리 영역이 곡면 처리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부재가 적용되는 영역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플렉서블 부재는 유연성이 필요한 영역이면 전자 장치(100)의 어느 영역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당업자의 입장에서는 자명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플렉서블 부재의 재질 및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 예를 통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부재의 강성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부재의 연성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부재의 형태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부재(200)는 강성부(210) 및 연성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부재(200)의 강성부(210) 및 연성부(23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부재(200)의 강성부(210)는 적어도 2개 이상이 마련되고, 강성부(210)들 사이에 플렉서블 부재(200)의 연성부(230)가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플렉서블 부재(200)의 강성부(210) 및 연성부(230)가 복수 개로 마련되고 서로 교대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플렉서블 부재(200)의 강성부(210) 및 연셩부(230)는 물리적인 방법 또는 화학적인 방법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물리적인 방법은 예를 들어, 플렉서블 부재(200)의 강성부(210) 및 연성부(230)를 체결 부재를 통해 서로 연결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적인 방법은 예를 들어, 고정 틀(예: 지그(zig))에 플렉서블 부재의 강성부(210)들을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고정한 상태에서, 액체 상태의 연성부(230)를 강성부(210)들 사이의 공간으로 주입하고 주입된 연성부(230)를 고체화시키는 방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부재(200)의 강성부(210)는 지정된 크기 이상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부재(200)의 강성부(210)는 금속, 플라스틱, 또는 유리 등과 같은 단단한 성질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부재(200)의 연성부(230)는 지정된 크기 이하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부재(200)의 연성부(230)는 우레탄 또는 실리콘 계열의 고분자 화합물, 직물 또는 종이 등과 같은 직물 조직(또는 섬유 재질), 또는 저탄성계수를 갖는 금속 소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부재(200)의 연성부(230)는 일정한 외력 하에서 영구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부재(200)의 연성부(230)는 재료 자체의 유연성으로 인해 형태가 변형될 수도 있지만,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해 형태가 변형될 수도 있다. 예컨대, 플렉서블 부재(200)의 연성부(230)는 지정된 패턴의 구조로 마련되고, 상기 지정된 패턴의 구조에 의해 유연성을 가질 수도 있다. 한 예로, 플렉서블 부재(200)의 연성부(230)는 중앙부(231)에 일정한 형태로 개구부(231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부재(200)에 외력이 인가되면, 도 5에서와 같이, 연성부(230)에 형성된 개구부(231a)가 벌어지면서 연성부(230)는 폭이 늘어나게 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부재(200)에 인가된 외력이 제거되면, 도 2에서와 같이, 연성부(230)는 복원력에 의해 형태가 복원될 수 있다.
플렉서블 부재(200)의 강성부(210)는 중심부(211), 중심부(211)의 상측으로 연결된 상단부(213), 중심부(211)의 하측으로 연결된 하단부(215), 상단부(213)의 좌우측 하단 일부로부터 각각 연장된 좌상단 걸림부(217a) 및 우상단 걸림부(217b), 및 하단부(215)의 좌우측 상단 일부로부터 각각 연장된 좌하단 걸림부(219a) 및 우하단 걸림부(219b)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강성부(210)의 중심부(211)는 긴 막대 형상으로 마련되고, 강성부(210)의 상단부(213) 및 하단부(215)가 가각 중심부(211)의 상하측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강성부(210)의 상단부(213) 및 하단부(215)의 폭(또는 좌우 길이)은 중심부(211)의 폭(또는 좌우 길이)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강성부(210)의 상단부(213) 좌우측 하단 일부로부터 지정된 길이로 연장된 좌상단 걸림부(217a) 및 우상단 걸림부(217b)는 강성부(210)의 중심부(211)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연성부(230)의 일부분(예: 연성부(230)의 좌측 돌출부(237) 또는 우측 돌출부(239))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강성부(210)의 하단부(215) 좌우측 상단 일부로부터 지정된 길이로 연장된 좌하단 걸림부(219a) 및 우하단 걸림부(219b)도 강성부(210)의 중심부(211)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연성부(230)의 일부분(예: 연성부(230)의 좌측 돌출부(237) 또는 우측 돌출부(239))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도 있다.
플렉서블 부재(200)의 연성부(230)는 중앙부(231), 중앙부(231)의 좌측면 일부로부터 연장된 좌측 연장부(233), 중앙부(231)의 우측면 일부로부터 연장된 우측 연장부(235), 좌측 연장부(233)의 좌측으로 연결된 좌측 돌출부(237), 및 우측 연장부(235)의 우측으로 연결된 우측 돌출부(239)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연성부(230)의 중앙부(231)는 긴 막대 형상으로 마련되고, 일부 영역에 개구부(231a)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231a)는 실질적으로 슬롯(slot)(또는 슬릿(slit))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플렉서블 부재(200)에 지정된 방향으로 외압이 가해지면, 중앙부(231)에 형성된 개구부(231a)는 벌어질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연성부(230)의 좌측 돌출부(237) 및 우측 돌출부(239)의 높이(또는 상하 길이)는 각각 좌측 연장부(233) 및 우측 연장부(235)의 높이(또는 상하 길이)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성부(230)의 좌측 돌출부(237)와 중앙부(231) 사이에는 강성부(210)의 일부분(예: 강성부(210)의 우상단 걸림부(217b) 또는 우하단 걸림부(219b))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연성부(230)의 우측 돌출부(239)와 중앙부(231) 사이에도 강성부(210)의 일부분(예: 강성부(210)의 좌상단 걸림부(217a) 또는 좌하단 걸림부(219a))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강성부(210)의 중심부(211), 상단부(213), 하단부(215), 좌상단 걸림부(217a), 및 좌하단 걸림부(219a) 사이의 공간으로 연성부(230)의 우측 돌출부(239)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강성부(210)의 중심부(211), 상단부(213), 하단부(215), 우상단 걸림부(217b), 및 우하단 걸림부(219b) 사이의 공간으로 또 다른 연성부(230)의 좌측 돌출부(237)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연성부(230)는 서로 다른 강도를 갖는 재질이 복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한 예로, 연성부(230)의 중앙부(231)는 지정된 크기 이하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마련되고, 연성부(230)의 좌측 연장부(233), 우측 연장부(235), 좌측 돌출부(237), 및 우측 돌출부(239)는 지정된 크기 이상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연성부(230)의 중앙부(231)는 연성부(230)의 다른 부분보다 보다 유연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한 예로, 연성부(230)의 중앙부(231)는 우레탄 재질로 마련되고, 연성부(230)의 중앙부(231)를 제외한 다른 부분(예: 연성부(230)의 좌측 연장부(233), 우측 연장부(235), 좌측 돌출부(237), 및 우측 돌출부(239))은 금속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플렉서블 부재를 적용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600)는 하우징(610)(예: 도 1의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하우징(610)의 일부 예컨대, 하우징(610)의 가장 자리 영역만이 도시된 상태를 나타내며, 하우징(610)의 가장 자리 영역이 곡면 처리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다.
하우징(610)은 일부 영역(예: 가장 자리 영역)이 곡면 처리될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갖는 플렉서블 부재(예: 도 2 내지 도 5의 플렉서블 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610)의 일부 영역에는 플렉서블 부재의 강성부(630) 및 연성부(650)가 포함될 수 있다. 한 예로, 하우징(610)의 일부 영역 외측에 적어도 2개의 강성부(630)가 배치되고, 강성부(630)들 사이에 연성부(650)가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하우징(610)의 일부 영역 외측에 지정된 길이를 갖는 2개의 강성부(630)들이 배치되고, 상기 2개의 강성부(630)들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2개의 강성부(630)들을 서로 연결하는 하나의 연성부(650), 및 상기 2개의 강성부(630)들 사이에 복수 개의 강성부(630)들 및 상기 복수 개의 강성부(630)들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연성부(650)들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2개의 강성부(630)들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강성부(630)들 및 상기 복수 개의 연성부(650)들은 서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2개의 강성부(630)들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2개의 강성부(630)들을 서로 연결하는 하나의 연성부(650)는 상기 2개의 강성부(630)들에 화학적으로 접합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와 같이, 플렉서블 부재에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상기 2개의 강성부(630)들 사이의 간격은 플렉서블 부재가 가질 수 있는 최소의 면적(또는 부피)을 갖도록 지정된 크기 이하를 유지하고, 플렉서블 부재에 외력이 인가되면 플렉서블 부재의 연성부(650)가 유연하게 변형되면서 상기 2개의 강성부(630)들 사이의 간격은 커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부재에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외형상 하우징(610)의 일부 영역이 상기 2개의 강성부(630)들의 조합체처럼 보일 수 있지만, 플렉서블 부재에 외력이 인가되면 하우징(610)의 일부 영역이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유연성을 필요로 하는 전자 제품에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부재는 전자 제품의 케이스에 적용될 수도 있으며, 전자 제품의 화면을 보호하는 보호 커버에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플렉서블 부재를 전자 제품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하는 경우, 평소에는 평면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사용하다가 필요한 경우에는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로 사용되는 전자 제품을 만들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부재의 강성부(630)들 중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포함시킬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플렉서블 부재의 강성부(630)들 중 적어도 일부는 배터리 팩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부재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부재(예: 플렉서블 부재(200))는 강성부(710) 및 연성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부재의 강성부(710)는 지정된 크기 이상의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성부(710)는 Al6061, Al6063, Al7003, 또는 Al7075 종류의 열처리가 된 강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강성부(710)는 소재적으로 강한 금속으로 제작되거나 형상적으로 변형이 어렵도록 제작된 부분일 수 있다. 강성부(710)는 탄성 계수가 높고 항복 강도가 높은 금속을 사용하여 변형이 어렵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실시 예에서, 강성부(710)는 변형 브릿지의 삭제 또는 소재 두께의 증가 등 변형되는 형상의 제어를 통해 탄성 계수가 낮거나 또는 항복 강도가 낮은 금속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플렉서블 부재의 연성부(730)는 고무 또는 우레탄 등의 유연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또는, 연성부(730)는 flexible Ti 소재로 제작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연성부(730)는 유연한 소재로 제작되거나 변형되는 형상을 제어하여 변형 후 탄성 회복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부분일 수도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강성부(710)의 높이(d2)가 6.000mm로 마련되는 경우, 강성부(710)들의 중심선 간의 간격(d1)은 4.879mm로 마련될 수 있으며, 연성부(730)의 폭(d3)은 2.879mm로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수치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부재의 강성부 및 연성부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부재의 강성부(801) 및 연성부(803)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한 예로, 강성부(801) 및 연성부(803)는 조립되는 부위의 공차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강성부(801)는 중심부(811), 중심부(811)의 상측으로 연결된 상단부(813), 중심부(811)의 하측으로 연결된 하단부(815), 상단부(813)의 좌우측 하단 일부로부터 각각 연장된 좌상단 걸림부(817a) 및 우상단 걸림부(817b), 및 하단부(815)의 좌우측 상단 일부로부터 각각 연장된 좌하단 걸림부(819a) 및 우하단 걸림부(819b)를 포함할 수 있다.
연성부(803)는 중앙부(831), 중앙부(831)의 좌측면 일부로부터 연장된 좌측 연장부(833), 중앙부(831)의 우측면 일부로부터 연장된 우측 연장부(835), 좌측 연장부(833)의 좌측으로 연결된 좌측 돌출부(837), 및 우측 연장부(835)의 우측으로 연결된 우측 돌출부(839)를 포함할 수 있다.
강성부(801)의 폭(d4)은 +0mm 내지 -0.02mm의 공차를 가지며, 연성부(803)의 폭(d10)은 +0.005mm 내지 -0mm의 공차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강성부(801)의 높이(d5)는 +0mm 내지 -0.02mm의 공차를 가지며, 이에 대응되는 연성부(803)의 높이(d11)도 +0mm 내지 -0.02mm의 공차를 가질 수 있다.
강성부(801)의 중심부(811)의 폭(d6) 및 좌상단 걸림부(817a)(또는 좌하단 걸림부(819a))와 우상단 걸림부(817b)(또는 우하단 걸림부(819b)) 사이의 간격(d8)은 +0 내지 -0.005mm의 공차를 가지며, 연성부(803)의 중앙부(831)의 폭(d12) 및 좌측 돌출부(837)와 우측 돌출부(839) 사이의 간격(d13)은 각각 +0mm 내지 -0.02mm 및 +0.005mm 내지 -0mm의 공차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중앙부(831)에 형성된 개구부(831a)의 폭(d14)은 +0.02mm 내지 -0.02mm의 공차를 가질 수 있다.
강성부(801) 및 연성부(803)가 공차에 의해 결합되기 위해서는, 강성부(801)의 중심부(811), 상단부(813), 하단부(815), 좌상단 걸림부(817a)(또는 우상단 걸림부(817b)), 및 좌하단 걸림부(819a)(또는 우하단 걸림부(819b)) 사이의 공간에 연성부(803)의 우측 돌출부(839)(또는 좌측 돌출부(837))가 삽입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강성부(801)의 상단부(813)와 하단부(815) 사이의 간격(d7)이 +0mm 내지 -0.005mm의 공차를 가지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연성부(803)의 우측 돌출부(839)(또는 좌측 돌출부(837))의 높이(d16)는 +0.005mm 내지 -0mm의 공차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강성부(801)의 좌상단 걸림부(817a)(또는 우상단 걸림부(817b))와 좌하단 걸림부(819a)(또는 우하단 걸림부(819b)) 사이의 간격(d9)이 +0mm 내지 -0.005mm의 공차를 가지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연성부(803)의 좌측 연장부(833)(또는 우측 연장부(835))의 높이(d15)는 +0.005mm 내지 -0mm의 공차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수치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트 형태의 플렉서블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부재는 시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플렉서블 부재를 시트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공정을 통해 플렉서블 부재가 제작될 수 있다.
일단 플렉서블 부재의 강성부(910)를 시트 형태로 마련하고, 에칭, 레이져, 워터젯, 또는 밀링 등의 방법으로 원하는 모양 및 크기로 절단할 수 있다. 이 때, 시트 형태의 강성부(910)에는 일정한 패턴의 개구부(911)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예로, 개구부(911)는 일정한 간격을 갖는 복수 개의 슬롯 또는 슬릿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후, 플렉서블 부재의 강성부(910)에 고정 부재(930)를 부착할 수 있다. 고정 부재(930)는 시트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내열성 및 접착력을 갖는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한 예로, 고정 부재(930)는 폴리이미드에 접착 성분이 있는 실리콘을 포함시켜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폴리이미드의 두께는 0.1mm 이하, 실리콘의 접착력은 600gf/inch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강성부(910)에 형성된 개구부(911) 사이로 유연한 소재를 삽입하여 연성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한 예로, 100도 내지 200도의 증착 과정을 통해 GMA 소재 등을 개구부(911) 사이로 삽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플렉서블 소재를 실제 제품에 대응되는 형태(950)로 절단할 수 있다.
도 10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부재가 적용되는 제1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부재가 적용되는 제2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부재는 특정 방향으로만 형태가 변형되는 구조에 사용될 수 있다. 한 예로, 플렉서블 부재는 오리가미(origami) 구조에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플렉서블 부재의 연성부는 3D 프린팅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부재는 상면(1011, 1031), 하면(1013, 1033), 및 상면(1011, 1031)과 하면(1013, 1033)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1015, 1035)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면(1011, 1031) 및 하면(1013, 1033)은 플렉서블 부재의 강성부를 형성하고, 측면(1015, 1035)는 플렉서블 부재의 연성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면(1011, 1031) 및 하면(1013, 1033)이 형태를 유지하면서, 측면(1015, 1035)이 상하 방향으로 수축 또는 팽창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측면(1015, 1035)은 강성부(1015a, 1015b, 1035a, 1035b) 및 연성부(1015c, 1035c)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측면(1015, 1035)이 상하 방향으로 수축 또는 팽창할 시에 강성부(1015a, 1015b, 1035a, 1035b)의 형태는 고정되고, 연성부(1015c, 1035c)가 변형될 수 있다. 플렉서블 부재는 도 10a에서와 같이, 측면(1015)이 제1 강성부(1015a), 제2 강성부(1015b), 및 제1 강성부(1015a)와 제2 강성부(1015b)사이에 배치된 제1 연성부(1015c)의 한쌍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도 10b에서와 같이, 측면(1035)이 제3 강성부(1035a), 제4 강성부(1035b), 및 제3 강성부(1035a)와 제4 강성부(1035b)사이에 배치된 제2 연성부(1035c)의 두쌍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그러나, 측면(1015, 1035)에 포함되는 강성부들 및 연성부들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부재가 적용되는 제3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부재는 복수의 방향으로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한 예로, 플렉서블 부재는 상하 방향(또는 y축 방향), 좌우 방향(x축 방향), 앞뒤 방향(z축 방향)으로 수축 또는 팽창할 수 있다. 한 예로, 플렉서블 부재는 제1 강성부(1110), 제2 강성부(1130), 및 제1 강성부(1110)와 제2 강성부(1130) 사이에 배치되는 연성부(1150)를 포함할 수 있다. 강성부들 및 연성부들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강성부들은 좌우 방향 및 앞뒤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될 수 있으며, 교대로 배치되는 사이 사이에 연성부들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와 같이, 플렉서블 부재는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앞뒤 방향으로 모두 수축하는 경우, 접철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부재의 연성부에 대한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부재는 연성부(1200)의 변형을 통해 변형될 수 있다. 한 예로, 복수 개의 개구부(1210)를 포함하고 실질적으로 원통형으로 마련된 연성부(1200)는 상하 방향으로 수축 또는 팽창할 수 있다. 이 경우, 연성부(1200)의 높이와 반경은 서로 반비례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연성부(1200)가 제1 높이(h1) 및 제1 반경(r1)을 갖는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팽창하는 경우, 연성부(1200)는 제1 높이(h1)보다 큰 제2 높이(h2)를 갖고 제1 반경(r1)보다 작은 제2 반경(r2)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연성부(1200)가 상하 방향으로 수축하는 경우, 연성부(1200)는 제1 높이(h1)보다 작은 제3 높이(h3)를 갖고 제1 반경(r1)보다 큰 제3 반경(r3)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부재(예: 플렉서블 부재(200))는 제1 강성부(예: 강성부(210)), 제2 강성부(예: 강성부(210)), 및 상기 제1 강성부 및 상기 제2 강성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강성부 및 상기 제2 강성부에 연결되는 연성부(예: 연성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연성부는 상기 제1 강성부 및 상기 제2 강성부보다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으며, 상기 플렉서블 부재에 지정된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강성부 및 상기 제2 강성부 중 적어도 하나는 지정된 크기 이상의 강도를 갖는 금속, 플라스틱, 또는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연성부는 지정된 크기 이하의 강도를 갖는 고분자 화합물, 직물 조직, 또는 저탄성계수를 갖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강성부 및 상기 제2 강성부 중 적어도 하나는 중심부(예: 중심부(211)), 상기 중심부의 상측으로 연결된 상단부(예: 상단부(213)), 상기 중심부의 하측으로 연결된 하단부(예: 하단부(215)), 상기 상단부의 좌측 일부로부터 연장된 좌상단 걸림부(예: 좌상단 걸림부(217a)), 상기 상단부의 우측 일부로부터 연장된 우상단 걸림부(예: 우상단 걸림부(217b)), 상기 하단부의 좌측 일부로부터 연장된 좌하단 걸림부(예: 좌하단 걸림부(219a)), 및 상기 하단부의 우측 일부로부터 연장된 우하단 걸림부(예: 우하단 걸림부(291b))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단부 및 상기 하단부의 폭은 상기 중심부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좌상단 걸림부, 상기 우상단 걸림부, 상기 좌하단 걸림부, 및 상기 우하단 걸림부는 상기 중심부와 지정된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중심부, 상기 상단부, 상기 하단부, 상기 좌상단 걸림부, 및 상기 좌하단 걸림부 사이에 형성된 제1 공간, 및 상기 중심부, 상기 상단부, 상기 하단부, 상기 우상단 걸림부, 및 상기 우하단 걸림부 사이에 형성된 제2 공간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연성부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연성부는 중앙부(예: 중앙부(231)), 상기 중앙부의 좌측면 일부로부터 연장된 좌측 연장부(예: 좌측 연장부(233)), 상기 중앙부의 우측면 일부로부터 연장된 우측 연장부(예: 우측 연장부(235)), 상기 좌측 연장부의 좌측으로 연결된 좌측 돌출부(예: 좌측 돌출부(237)), 및 상기 우측 연장부의 우측으로 연결된 우측 돌출부(예: 우측 돌출부(239))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중앙부의 일부 영역에 개구부(예: 개구부(231a))가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개구부는 슬롯 또는 슬릿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개구부는 상기 외력이 상기 플렉서블 부재에 가해지면 벌어지고,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복원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좌측 돌출부 및 상기 우측 돌출부의 높이는 각각 상기 좌측 연장부 및 상기 우측 연장부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좌측 돌출부 및 상기 중앙부 사이에 형성된 제1 공간에 상기 제1 강성부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우측 돌출부 및 상기 중앙부 사이에 형성된 제2 공간에 상기 제2 강성부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중앙부는 상기 좌측 연장부, 상기 우측 연장부, 상기 좌측 돌출부, 및 상기 우측 돌출부보다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 600))는 제1 방향으로 향하는 제1 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을 향하는 제2 면,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공간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는 측면을 포함하는 하우징(예: 하우징(110, 610)), 및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된 플렉서블 부재(예: 플렉서블 부재(200))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부재는 제1 강성부, 제2 강성부, 및 상기 제1 강성부 및 상기 제2 강성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강성부 및 상기 제2 강성부에 연결되는 연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성부는 상기 제1 강성부 및 상기 제2 강성부보다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으며, 상기 플렉서블 부재에 지정된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강성부 및 상기 제2 강성부 중 적어도 하나는 지정된 크기 이상의 강도를 갖는 금속, 플라스틱, 또는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연성부는 지정된 크기 이하의 강도를 갖는 고분자 화합물, 직물 조직, 또는 저탄성계수를 갖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플렉서블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가장 자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안착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면을 통해 화면이 노출되는 디스플레이(예: 디스플레이(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예: 디스플레이 패널)를 구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안착되고 상기 전자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부재는 상기 배터리의 적어도 일부(예: 배터리 팩)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예: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예: CD-ROM, DVD, 자기-광 매체 (예: 플롭티컬 디스크), 내장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플렉서블 부재에 있어서,
    제1 강성부;
    제2 강성부; 및
    상기 제1 강성부 및 상기 제2 강성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강성부 및 상기 제2 강성부에 연결되는 연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성부는,
    상기 제1 강성부 및 상기 제2 강성부보다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으며,
    상기 플렉서블 부재에 지정된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부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강성부 및 상기 제2 강성부 중 적어도 하나는,
    지정된 크기 이상의 강도를 갖는 금속, 플라스틱, 또는 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부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성부는,
    지정된 크기 이하의 강도를 갖는 고분자 화합물, 직물 조직, 또는 저탄성계수를 갖는 금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부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강성부 및 상기 제2 강성부 중 적어도 하나는,
    중심부;
    상기 중심부의 상측으로 연결된 상단부;
    상기 중심부의 하측으로 연결된 하단부;
    상기 상단부의 좌측 일부로부터 연장된 좌상단 걸림부;
    상기 상단부의 우측 일부로부터 연장된 우상단 걸림부;
    상기 하단부의 좌측 일부로부터 연장된 좌하단 걸림부; 및
    상기 하단부의 우측 일부로부터 연장된 우하단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부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 및 상기 하단부의 폭은 상기 중심부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부재.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좌상단 걸림부, 상기 우상단 걸림부, 상기 좌하단 걸림부, 및 상기 우하단 걸림부는 상기 중심부와 지정된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부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 상기 상단부, 상기 하단부, 상기 좌상단 걸림부, 및 상기 좌하단 걸림부 사이에 형성된 제1 공간, 및
    상기 중심부, 상기 상단부, 상기 하단부, 상기 우상단 걸림부, 및 상기 우하단 걸림부 사이에 형성된 제2 공간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연성부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부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성부는,
    중앙부;
    상기 중앙부의 좌측면 일부로부터 연장된 좌측 연장부;
    상기 중앙부의 우측면 일부로부터 연장된 우측 연장부;
    상기 좌측 연장부의 좌측으로 연결된 좌측 돌출부; 및
    상기 우측 연장부의 우측으로 연결된 우측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부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의 일부 영역에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부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슬롯 또는 슬릿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부재.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외력이 상기 플렉서블 부재에 가해지면 벌어지고,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부재.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좌측 돌출부 및 상기 우측 돌출부의 높이는 각각 상기 좌측 연장부 및 상기 우측 연장부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부재.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좌측 돌출부 및 상기 중앙부 사이에 형성된 제1 공간에 상기 제1 강성부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우측 돌출부 및 상기 중앙부 사이에 형성된 제2 공간에 상기 제2 강성부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부재.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는,
    상기 좌측 연장부, 상기 우측 연장부, 상기 좌측 돌출부, 및 상기 우측 돌출부보다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부재.
  15.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방향으로 향하는 제1 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을 향하는 제2 면,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공간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는 측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된 플렉서블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부재는,
    제1 강성부;
    제2 강성부; 및
    상기 제1 강성부 및 상기 제2 강성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강성부 및 상기 제2 강성부에 연결되는 연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성부는,
    상기 제1 강성부 및 상기 제2 강성부보다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으며,
    상기 플렉서블 부재에 지정된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 강성부 및 상기 제2 강성부 중 적어도 하나는,
    지정된 크기 이상의 강도를 갖는 금속, 플라스틱, 또는 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연성부는,
    지정된 크기 이하의 강도를 갖는 고분자 화합물, 직물 조직, 또는 저탄성계수를 갖는 금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가장 자리 영역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안착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면을 통해 화면이 노출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0.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안착되고 상기 전자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부재는,
    상기 배터리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160142399A 2016-10-28 2016-10-28 플렉서블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68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399A KR102568328B1 (ko) 2016-10-28 2016-10-28 플렉서블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399A KR102568328B1 (ko) 2016-10-28 2016-10-28 플렉서블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790A true KR20180046790A (ko) 2018-05-09
KR102568328B1 KR102568328B1 (ko) 2023-08-21

Family

ID=62200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399A KR102568328B1 (ko) 2016-10-28 2016-10-28 플렉서블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3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272A (ko) * 2018-11-23 2020-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1533A (ja) * 2004-12-01 2008-06-26 イーティーエー エスエー マニュファクチュア ホルロゲア スイス バンド特に携帯用機器用ブレスレットの締め付け引っ張りの程度を表す要素
JP2013533767A (ja) * 2010-06-16 2013-08-29 セント・ジュード・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複数の柔軟なセグメントを備える柔軟な先端を有するカテーテル
KR101492779B1 (ko) * 2014-10-27 2015-02-12 김석환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
KR20160017843A (ko) * 2014-08-06 2016-02-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1533A (ja) * 2004-12-01 2008-06-26 イーティーエー エスエー マニュファクチュア ホルロゲア スイス バンド特に携帯用機器用ブレスレットの締め付け引っ張りの程度を表す要素
JP2013533767A (ja) * 2010-06-16 2013-08-29 セント・ジュード・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複数の柔軟なセグメントを備える柔軟な先端を有するカテーテル
KR20160017843A (ko) * 2014-08-06 2016-02-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92779B1 (ko) * 2014-10-27 2015-02-12 김석환 웨어러블 스마트 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272A (ko) * 2018-11-23 2020-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8328B1 (ko) 202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5361B1 (ko) 플렉서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3428770B1 (en) Flexible electronic device
KR102308940B1 (ko)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81276B1 (ko) 박형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EP2947857B1 (en) Sound output by piezo-electric element on the backside of the display
KR20240023570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전자 장치
US10911848B2 (en) Sound component with sealing member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KR20180097237A (ko) 안테나방사체가 형성된 지지부재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102611125B1 (ko) 곡면 윈도우를 갖는 전자 장치
KR20160097105A (ko) 하우징, 하우징 제조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44053B1 (ko) 차폐 구조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US10599186B2 (en) Flexible housing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JP5716761B2 (ja) タッチパネル支持体
US20170245376A1 (en) Side ke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90101600A (ko) 금속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033845B2 (en) Contact structure and contac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60026327A (ko) 카메라 모듈 보호구조를 가지는 전자장치
KR20180046790A (ko) 플렉서블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3625645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indow
US20230305594A1 (en) Strap structure connected to housing, a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KR20160081450A (ko) 하우징 결합 구조 및 그것을 갖는 전자 장치
KR20210080690A (ko) 접착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2018028601A (ja) スタンド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30074411A (ko) 가변부를 구비한 햅틱 장치
CN215940506U (zh) 面方向型振动构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