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9066B1 - 지게차용 평탄화 작업기 - Google Patents

지게차용 평탄화 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9066B1
KR101689066B1 KR1020140189177A KR20140189177A KR101689066B1 KR 101689066 B1 KR101689066 B1 KR 101689066B1 KR 1020140189177 A KR1020140189177 A KR 1020140189177A KR 20140189177 A KR20140189177 A KR 20140189177A KR 101689066 B1 KR101689066 B1 KR 101689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ss structure
stopper
box
forklift
b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9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8858A (ko
Inventor
변일호
Original Assignee
광주환경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환경공단 filed Critical 광주환경공단
Priority to KR1020140189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066B1/ko
Publication of KR20160078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8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06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에 의해 암롤박스에 수직적체되는 협작물을 평탄화하여 적재용량을 늘리고 특히 암롤박스와 천장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 수작업 외에는 다른 장비의 투입이 어려운 경우에 활용할 수 있는 지게차용 평탄화 작업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양측 하단에 포크가 삽입 내재되는 슈즈부가 마련되고 상단에 캐리지 수평바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고정 브라켓이 마련된 트러스 구조체와, 트러스 구조체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 붐대과, 붐대 선단에 일정 폭으로 확장된 암과, 암 사이에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정지부와, 붐대과 정지부 사이에 설치되어 정지부를 전후로 회전시키기 위한 작동 실린더가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컨베이어에 의해 암롤박스에 수직적체되는 협작물을 평탄화하여 적재용량을 늘리고 특히 암롤박스와 천장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 수작업 외에는 다른 장비의 투입이 어려운 경우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환경 및 작업자의 노동강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게차용 평탄화 작업기{Flattening working machine for forklift}
본 발명은 지게차용 평탄화 작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베이어에 의해 암롤박스에 수직적체되는 협작물을 평탄화하여 적재용량을 늘리고 특히 암롤박스와 천장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 수작업 외에는 다른 장비의 투입이 어려운 경우에 활용할 수 있는 지게차용 평탄화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쓰레기가 반입된 경우 협잡물을 선별하여 매립장에 매립하거나 소각하여 처리하게 된다.
선별된 협잡물은 컨베이어에 의해 암롤박스에 적재되어 매립장으로 운반되는데, 처리시설의 미관개선 및 악취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협잡물 반출장이 실내에 마련된다.
암롤박스는 차량으로부터 하역되어 반출장에 위치되고, 컨베이어에 의해 협잡물이 적재된다. 이때, 암롤박스와 컨베이어가 모두 고정된 상태이므로 암롤박스에 적재되는 협잡물은 수직으로 적체된다.
이 경우, 협잡물의 적재량이 암롤박스의 적재용량에 크게 미달하게 되므로 적체된 협잡물을 암롤박스 구석으로 밀어보내 적재용량을 늘리는 평탄화작업을 실시한다.
평탄화작업은 작업자가 암롤박스에 직접 올라가 실시하거나 굴착기를 이용하여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암롤박스가 놓인 협잡물 반출장이 전술한 바와 같이 실내에 마련된 경우에는 암롤박스와 천장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 수작업 외에는 다른 장비의 투입이 어렵게 된다.
일례로, 굴착기의 경우 버킷보다 붐의 높이가 높아 버킷을 암롤박스 위로 들어올릴 때 붐이 천장과 부딪치게 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결국, 작업자가 암롤박스에 직접 올라가 평탄화작업을 실시하게 되는데, 분진과 고온·고농도의 악취에 노출되는 등 작업환경이 열악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하여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1564호(2014. 10. 16. 공개)에 '지게차용 다목적 버켓 장치'가 개시된다.
여기에는 분체상의 물질을 하역할 수 있는 버켓과; 상기 버켓을 지게차의 로드 백 레스트에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버켓의 하단에 힌지고정된 버켓고정대와; 상기 고정 브라켓에 연결되고 상기 버켓고정대의 상단을 구성하는 버켓브라켓에 힌지 고정되는 고정로드와; 상기 버켓고정대의 하단을 지게차의 포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고정하는 클램프와; 상기 지게차의 유압회로와 연결되어 상기 버켓고정대를 회전시키는 작동실린더를 포함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지게차용 다목적 버켓 장치'는 본 발명과 쓰임새 및 기술구성이 있어 전혀 상이하다 하겠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컨베이어에 의해 암롤박스에 수직적체되는 협작물을 평탄화하여 적재용량을 늘리고 특히 암롤박스와 천장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 수작업 외에는 다른 장비의 투입이 어려운 경우에 활용할 수 있는 지게차용 평탄화 작업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양측 하단에 포크가 삽입 내재되는 슈즈부가 마련되고 상단에 캐리지 수평바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고정 브라켓이 마련된 트러스 구조체와, 트러스 구조체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 붐대과, 붐대 선단에 일정 폭으로 확장된 암과, 암 사이에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정지부와, 붐대과 정지부 사이에 설치되어 정지부를 전후로 회전시키기 위한 작동 실린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슈즈부는 나사결합되어 삽입 내재된 포크를 가압하기 위한 조임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붐대는 상단바와 하단바가 나란하게 배치되고 그 사이에 경사재가 용접되어 트러스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붐대 선단에는 정지부 하측의 협잡물 적재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반사경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의 정지부는 암 사이에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사각 프레임과, 사각 프레임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회전 축과, 회전 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정지판 및, 회전 축과 기어결합되어 정지판을 좌우로 회전시키기 위한 감속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베이어에 의해 암롤박스에 수직적체되는 협작물을 평탄화하여 적재용량을 늘리고 특히 암롤박스와 천장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 수작업 외에는 다른 장비의 투입이 어려운 경우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환경 및 작업자의 노동강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지게차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용 평탄화 작업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용 평탄화 작업기의 뷰 방향을 달리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지게차의 캐리지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용 평탄화 작업기의 다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용 평탄화 작업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지게차는 중량물을 싣거나 내리는 하역 전용의 중장비로 전면에 포크(1)가 형성된 캐리지(10)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도 1 참조).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양측 하단에 포크(1)가 삽입 내재되는 슈즈부(21)가 마련되고 상단에 캐리지 수평바(2)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고정 브라켓(22)이 마련된 트러스 구조체(20)와, 트러스 구조체(2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 붐대(30)과, 붐대(30) 선단에 일정 폭으로 확장된 암(40)과, 암(40) 사이에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정지(整地)부(50)와, 붐대(30)과 정지부(50) 사이에 설치되어 정지부(50)를 전후로 회전시키기 위한 작동 실린더(60)가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트러스 구조체(20)는 양측 하단에 포크(1)가 삽입 내재되는 슈즈부(21)가 마련되고 상단 중심에 캐리지 수평바(2)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고정 브라켓(22)이 마련된다. 따라서 트러스 구조체(20)는 3점 연결을 통해 캐리지(10)에 견고하게 장착된다.
상세하게는, 트러스 구조체(20)는 지게차를 전진시켜 포크(1)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직사각형의 강관으로 이루어진 슈즈부(21)와, 양 슈즈부(21) 사이에 용접되어 삼각형상의 틀을 이루는 강관(24) 및, 강관(24) 상단 중심에 고정 브라켓(22)이 마련된다.
고정 브라켓(22)은 캐리지 수평바(2)를 수용할 수 있도록 'ㄷ'형태로 개구부가 마련되고, 캐리지 수평바(2)가 수용된 상태에서 개구부에 핀(23)을 꽂아 캐리지(10)와 일체로 체결한다.
붐대(30)은 트러스 구조체(2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정지부(50)를 통해 암롤박스(미도시) 내의 평탄화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제작된다.
암(40)은 붐대(30) 선단에 일정 폭으로 확장 설치되어 정지부(50)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정지부(50)는 암(40) 사이에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전체적으로 판 형상으로 제작되어 암롤박스에 쌓인 협잡물을 밀거나 끌어당겨 평탄화시킨다.
작동 실린더(60)는 붐대(30)과 정지부(50) 사이에 실린더 몸체와 로드가 핀 결합되어 로드의 신장에 따라 정지부(50)를 전후로 회전시킨다. 작동 실린더(60)의 유압은 지게차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지게차를 전진시켜 포크(1)를 슈즈부(21)에 삽입 내재시키고 이때 캐리지 수평바(2)가 고정 브라켓(22) 내에 위치하므로 고정 브라켓(22)의 개구부에 핀(23)을 꽂아 트러스 구조체(20)를 캐리지(10)에 견고하게 장착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평탄화 작업기는 캐리지(10)와 일체로 승강하게 된다.
붐대(30)은 트러스 구조체(2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설치됨에 따라 캐리지(10)를 상승시켜 암롤박스와 천장 사이의 공간을 통해 정지부(50)를 암롤박스 내에 위치시키고, 작동 실린더(60)를 통해 암(4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정지부(50)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정지부(50)를 수직방향으로 세운 상태에서, 지게차를 전·후진시키면 정지부(50)에 의해 암롤박스에 수직으로 적체된 협잡물을 밀거나 끌어당겨 평탄화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붐대(30)은 지면과 나란하게 설치됨에 따라 암롤박스와 천장 사이의 공간이 좁더라도 천장에 부딪힐 염려가 없고 정지부(50)를 암롤박스 내에 위치시켜 평탄화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의 슈즈부(21)는 나사결합되어 삽입 내재된 포크를 가압하기 위한 조임구(25)가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슈즈부(21)의 상면에는 나사결합에 의해 슈즈부(21) 내측으로 진입되는 조임구(25)가 마련된다.
따라서 슈즈부(21)에 포크(1)가 삽입 내재된 상태에서 조임구(25)를 조여 포크(1)를 가압하면 작업 중 슈즈부(21)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의 붐대(30)는 상단바(31)와 하단바(32)가 나란하게 배치되고 그 사이에 경사재(33)가 용접되어 트러스 구조를 이룬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붐대(30)는 트러스 구조체(20)로부터 정지부(50)를 이격시켜 암롤박스에 위치시키기 위한 기술구성으로, 경량화 구조물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붐대(30)는 트러스 구조체(20)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단바(31)와 하단바(32)가 나란하게 배치되고, 그 사이에 경사재(33)가 일정 간격으로 반복되게 배치되어 트러스 구조를 이루게 된다.
다음, 상기의 붐대(30) 선단에는 정지부(50) 하측의 협잡물 적재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반사경(70)이 설치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지게차의 운전석보다 암롤박스의 적재함 높이가 더 높아 지게차에서 암롤박스 내부가 보이지 않게 되는데, 이 경우 지게차 운전자 혼자서 작업하기는 곤란하다.
따라서 정지부(50) 하측의 협잡물 적재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붐대(30) 선단에 반사경(70)을 설치하여 지게차 운전자가 반사경(70)을 통해 협잡물의 적재상태를 확인하면서 평탄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도 4를 참조하면 상기의 정지부(50)는 암(40) 사이에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사각 프레임(51)과, 사각 프레임(51)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회전 축(52)과, 회전 축(52)과 일체로 회전하는 정지판(53) 및, 회전 축(52)과 기어결합되어 정지판(53)을 좌우로 회전시키기 위한 감속모터(54)로 이루어진다.
정지부(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암(4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작동 실린더(60)의 로드 신축에 따라 전후로 회전한다.
이때, 정지부(50)는 협잡물을 전후로 밀거나 끌어당기는 외에도 측면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감속모터(54)에 의해 정지판(53)이 좌우로 회전하여 사선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정지부(50)에 의한 평탄화작업시 지게차의 전·후진에 의해 협잡물을 밀거나 끌어당겨 평탄화하고, 정지판(53)을 좌우로 비스듬하게 회전시켜 협잡물을 측면으로 이동시켜 평탄화함으로써 지게차의 방향전환 및 이동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포크
2 : 캐리지 수평바
10: 캐리지
20: 트러스 구조체
21: 슈즈부
22: 고정 브라켓
23: 핀
24: 강관
25: 조임구
30: 붐대
31: 상단바
32: 하단바
33: 경사재
40: 암
50: 정지부
51: 사각 프레임
52: 회전 축
53: 정지판
54: 감속모터
60: 작동 실린더
70: 반사경

Claims (5)

  1. 양측 하단에 포크가 삽입 내재되는 슈즈부가 마련되고 상단에 캐리지 수평바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고정 브라켓이 마련된 트러스 구조체와,
    상기 트러스 구조체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 붐대와,
    상기 붐대 선단에 일정 폭으로 확장된 암과,
    상기 암 사이에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정지부와,
    상기 붐대와 상기 정지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정지부를 전후로 회전시키기 위한 작동 실린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평탄화 작업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슈즈부는 나사결합되어 삽입 내재된 상기 포크를 가압하기 위한 조임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평탄화 작업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붐대는 상단바와 하단바가 나란하게 배치되고 그 사이에 경사재가 용접되어 트러스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평탄화 작업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붐대 선단에는 상기 정지부 하측의 협잡물 적재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반사경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평탄화 작업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는 상기 암 사이에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사각 프레임과,
    상기 사각 프레임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회전 축과,
    상기 회전 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정지판 및,
    상기 회전 축과 기어결합되어 상기 정지판을 좌우로 회전시키기 위한 감속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평탄화 작업기.
KR1020140189177A 2014-12-25 2014-12-25 지게차용 평탄화 작업기 KR101689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9177A KR101689066B1 (ko) 2014-12-25 2014-12-25 지게차용 평탄화 작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9177A KR101689066B1 (ko) 2014-12-25 2014-12-25 지게차용 평탄화 작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8858A KR20160078858A (ko) 2016-07-05
KR101689066B1 true KR101689066B1 (ko) 2016-12-22

Family

ID=56502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9177A KR101689066B1 (ko) 2014-12-25 2014-12-25 지게차용 평탄화 작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06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5534A (ja) 2002-11-05 2004-06-03 Toyota Industries Corp フォークリフトの筒状物ピックアップ確認装置
KR100992318B1 (ko) 2009-12-30 2010-11-05 김진용 지게차 부착용 버켓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8129B2 (ja) * 1987-03-26 1995-07-26 帝人株式会社 臓器保護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5534A (ja) 2002-11-05 2004-06-03 Toyota Industries Corp フォークリフトの筒状物ピックアップ確認装置
KR100992318B1 (ko) 2009-12-30 2010-11-05 김진용 지게차 부착용 버켓 어셈블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93330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8858A (ko) 201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93487B (zh) 可攜式桌鋸
US10464463B2 (en) Mobile storage device
US20230146902A1 (en) Self-Propelled Tandem Axle Trailer
WO2016094188A1 (en) Self-propelled trailer
JP2009504478A (ja) 廃棄物コンテナ用の可動式支持体
US10920393B2 (en) Rope shovel with non-linear digging assembly
US20170016203A1 (en) Bucket and Working Vehicle Provided With the Same
KR20190003136A (ko) 트럭 적재함 덤핑장치
RU2715976C2 (ru) Грейфер
KR101367976B1 (ko) 유리판재 적재물용 클램핑 리프트
US9751472B2 (en) Tool rack attachment
KR101689066B1 (ko) 지게차용 평탄화 작업기
US6301809B1 (en) Material handling system for powered digging apparatus
JP4543032B2 (ja) 流体継手手段を備えた工具保持具
US10426081B2 (en) Attachable storage device for a landscape machine
KR101669867B1 (ko) 천공기용 본체에 적재한 로드 장착장치
JP6150199B2 (ja) 樹木の伐倒装置
JP2009269692A (ja) 荷役車両
JP2010059734A5 (ko)
JP6366312B2 (ja) 建設機械
JP5787421B2 (ja) 重量物用移動装置
KR101568195B1 (ko)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작업도구가 틸팅 및 로터리 되는 특장차
US20060174433A1 (en) Trash bucket
CN205855920U (zh) 一种货叉架总成
US20150252553A1 (en) Work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