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8864B1 - 욕실장 도어용 거울의 접착면적 증대장치 - Google Patents

욕실장 도어용 거울의 접착면적 증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8864B1
KR101688864B1 KR1020160042771A KR20160042771A KR101688864B1 KR 101688864 B1 KR101688864 B1 KR 101688864B1 KR 1020160042771 A KR1020160042771 A KR 1020160042771A KR 20160042771 A KR20160042771 A KR 20160042771A KR 101688864 B1 KR101688864 B1 KR 101688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adhesion
area
bathroom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철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2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8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05Mirror cabinets; Dressing-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실장의 도어부에 접착되는 거울의 접착면적을 증대하는 면적증대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욕실장의 벽면에 힌지결합되는 도어부(20)와, 상기 도어부(20)의 외벽면에 형성된 외곽프레임(32), 상기 외곽프레임(32)에 접착되는 외부거울(36), 및 상기 도어부(20)의 외벽면에 결합되어 상기 외부거울(36)의 접착면적을 증대하는 면적증대수단(60)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면적증대수단(60)에 의해 상기 외부거울(36)의 접착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어져, 상기 외부거울(36)에 외부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유동하거나 이탈하지 않아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욕실장 도어용 거울의 접착면적 증대장치{Device for enlarging the adhesive area of mirror mounting in bathroom door}
본 발명은 욕실장도어에 접착되는 거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욕실장도어의 외벽면에 거울의 접착면적을 증대하는 기구를 구성하여 욕실장에 외부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거울이 유동하거나 이탈하는 사고를 방지하도록 한 욕실장도어용 거울의 접착면적 증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장은 욕실의 벽면에 붙박이식으로 고정되거나 현가 상태로 세팅되어 타월이나 비누 같은 각종 욕실용품을 임시로 수용하는 보관장소로서, 이러한 욕실장의 전방면에는 욕실사용자가 손으로 잡아당기거나 밀어서 개폐하는 한 개 이상의 여닫이식 도어가 힌지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예컨대, 도 1a 및 도 1b에서와 같이, 본원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욕실장(1)은 몸체부(10)의 벽면에 힌지식으로 결합되는 도어부(20)와; 상기 도어부(20)의 외벽면에 접착되는 외부거울(36)을 갖는 외부거울부(30); 상기 도어부(20)의 내벽면에 결합되어 왕복이동하는 내부거울부(40); 및 상기 내부거울부(40)의 이동경로에 장착되어 유격을 조절하는 위치조절부(5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욕실장(1)이 밀폐된 상태에서는 외부거울부(30)를 이용하고 상기 욕실장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내부거울부(40)을 이용하며, 특히 상기 욕실사용자가 상기 위치조절부(50)를 이용하여 상기 내부거울부(40)의 유격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므로 상기 욕실장의 활용도가 극대화된다.
그런데, 상기 욕실장(1)은 상기 외부거울부(30)의 외곽프레임에 형성된 접착면에 상기 외부거울(36)이 접착된 구조로서, 상기 외부거울(36)의 접착면적이 협소하고, 이로 인해 상기 외부거울부(30)에 강한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외부거울이 유동하거나 심하게는 이탈할 우려가 있다.
특히, 상기 외부거울부(30)의 외곽프레임에 접착된 상기 외부거울(36)이 이탈하는 경우, 상기 외부거울(36)이 욕실 바닥으로 떨어져 깨지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외부거울(36)의 파편에 의한 인적사고는 물론 상기 욕실장(1)의 유지 및 보수에 따른 각종 비용이 추가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 외부거울부(30)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상기 외부거울(36)의 접착면적을 증대하여 상기 외부거울(36)의 유동이나 이탈을 원천봉쇄함은 물론 상기 외부거울(36)의 접착 및 분리에 따른 편리성을 증대하고 인적사고 및 물적사고를 방지하는 기구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참고문헌)
*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6-0032209(출원일 : 2016.03.17.)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욕실장도어의 외벽면에 거울의 접착면적을 증대하는 기구를 구성하여 욕실장에 외부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거울이 유동하거나 이탈하는 사고를 방지하도록 한 욕실장도어용 거울의 접착면적 증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욕실장의 벽면에 힌지식으로 결합되는 도어부와, 상기 도어부의 외벽면에 형성된 외곽프레임, 상기 외곽프레임에 접착되는 외부거울, 및 상기 도어부의 외벽면에 결합되어 상기 외부거울의 접착면적을 증대하는 면적증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면적증대수단은 상기 외곽프레임의 측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수용공간을 갖는 다수개의 고정지지부와, 상기 고정지지부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면서 상기 외부거울의 접착면과 직접 접촉하는 접착증대부, 상기 고정지지부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접착증대부의 위치를 세팅하는 볼록부, 및 상기 접착증대부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일 면에 형성되어 상기 볼록부에 결합되는 오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욕실장도어용 거울의 접착면적 증대장치는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를 포함한다.
첫째, 상기 욕실장도어의 외벽면에 면적증대수단을 더 구성함으로써, 상기 외부거울의 접착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어져, 상기 외부거울에 외부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유동하거나 이탈사고가 원천적으로 봉쇄된다.
둘째, 상기 욕실장도어의 면적증대수단을 고정지지부와 접착증대부로 분할하고 상기 접착증대부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상기 외부거울의 접착 및 분리에 따른 각종 작업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셋째, 상기 접착증대부의 오목부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시작부와 마감부를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하여 결합력을 더욱 증대함으로써, 상기 욕실장도어의 고급화는 물론 소비자의 만족도가 향상된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욕실장도어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b은 종래기술에 따른 욕실장도어의 도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욕실장도어용 도어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면적증대수단을 도시한 실시예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면적증대수단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욕실장(1)의 벽면에 가구힌지(25)를 통해 결합되는 도어부(20)와, 상기 도어부(20)의 외벽면에 형성된 외곽프레임(32), 상기 외곽프레임(32)에 접착되는 외부거울(36), 및 상기 도어부(20)의 외벽면에 결합되어 상기 외부거울(36)의 접착면적을 증대하는 면적증대수단(60)을 포함하며,
상기 면적증대수단(60)은 상기 외곽프레임(32)의 측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수용공간(62-5)을 갖는 다수개의 고정지지부(62)와, 상기 고정지지부(62)의 수용공간(62-5)에 삽입되면서 상기 외부거울(36)의 접착면과 직접 접촉하는 접착증대부(64), 상기 고정지지부(62)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접착증대부(64)의 위치를 세팅하는 볼록부(66), 및 상기 접착증대부(64)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일 면에 형성되어 상기 볼록부(66)에 결합되는 오목부(68)를 더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은 상기 욕실장(1)이 밀폐된 상태에서는 외부거울부(30)를 이용하여 미용을 하고 상기 욕실장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내부거울부(40)을 이용하여 미용을 하는 구성이며, 특히 상기 위치조절부(50)를 이용하여 상기 내부거울부(40)의 유격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몸체부(10)를 포함한 구성요소(20,30,40,50)는 도 1a 및 도 1b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만 상기 외부거울부(30)에 상기 면적증대수단(60)을 더 구성하여 상기 외부거울(36)의 접착면적을 증대한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원발명의 도 2 내지 5에 외부거울(36)이 도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참고도면 도 1a 및 도 1b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욕실장(1)의 외관을 구성함은 물론 상기 욕실장(1)의 전체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욕실의 벽면에 붙박이식으로 또는 현수식으로 설치되어 고정되며, 상기 욕실장의 설치장소의 습기 및 내구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소재로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20)는 상기 몸체부(10)의 벽면에 가구힌지(25)를 통해 결합되어 수납공간(S)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으로서, 상기 욕실장(1)의 디자인이나 규격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몸체부(10)와 동일소재 및 동일문양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부거울부(30)는 상기 도어부(20)의 외벽면에 형성되어 접착제나 양면테이프를 통해 상기 외부거울(36)을 접착하여 구성하며, 상기 도어부(20)가 밀폐상태인 경우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도어부(20)의 외벽면에 상기 외부거울(36)을 부착하였다면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외부거울부(30)는 상기 도어부(20)의 외벽면에 일정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외곽프레임(32)과, 상기 외곽프레임(32)의 측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면적증대수단(60), 및 상기 외곽프레임(32)에 상기 면적증대수단(60)을 통해 접착되는 외부거울(36)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외곽프레임(32)은 상기 외부거울부(30)의 테두리부분에 일정높이를 갖도록 돌출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거울부(40)는 상기 도어부(20)의 내벽면에 형성되어 접착제나 양면테이프를 통해 내부거울을 접착하여 구성하며, 상기 도어부(20)가 개방상태인 경우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도어부(20)의 내벽면에 결합된 내부도어를 왕복이동할 수 있다면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조절부(50)는 상기 내부거울부(40)의 이동경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경로의 바닥면과 천정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장착되며, 특히 상기 내부거울부(40)의 이동경로에 승강식으로 설치되어 상기 내부거울부(40)의 유격을 조절할 수 있다면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면적증대수단(60)은 상기 외부거울부(30)의 테두리부분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외곽프레임(32)의 측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수용공간(62-5)을 갖는 고정지지부(62) 및, 상기 고정지지부(62)에 수용되어 상기 외부거울(36)의 접착면과 직접 접촉하는 접착증대부(6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면적증대수단(60)에 의해 상기 외부거울부(30)의 접촉면적이 증대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그 밖에도 상기 내부거울부(40)에 상기 면적증대수단(60)을 적용하더라도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된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지지부(62)에 상기 접착증대부(64)가 수용되는 경우, 상기 접착증대부(64)의 상부면과 상기 외곽프레임(32)의 접촉면이 상호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세팅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지지부(62)의 바닥면에는 상기 접착증대부(64)의 위치를 세팅하여 유동을 방지하는 볼록부(6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접착증대부(64)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일 면에 상기 볼록부(66)와 결합하는 오목부(68)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면적증대수단(60)의 형성과정에서, 상기 고정지지부(62)에 형성된 볼록부(66)와 상기 접착증대부(64)에 형성된 오목부(68)의 설치위치를 변경하더라도, 본원발명의 기술범주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접착증대부(64)는 상기 고정지지부(6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거울(36)의 하부면(접착면)과 직접 접촉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용공간(62-5)과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착증대부(64)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어느 일 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거울(36)와 맞대어지는 접촉면에 다수개의 돌출부를 형성하여 상기 외부거울(36)과의 접착효율을 증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접착증대부(64)의 내부공간에 일체로 격벽(C)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오목부(68)는 도 4의 "a"와 같이, 상기 접착증대부(64)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고정되는 고정단인 시작부(A) 및 상기 시작부(A)에 고정되는 고정단인 마감부(B)를 갖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목부(68)는 도 4의 "b"와 같이, 상기 격벽(C)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고정되는 고정단인 마감부(B) 및 상기 접착증대부(64)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고정되지 않는 자유단인 시작부(A)를 갖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오목부(68)는 도 4의 "c"와 같이, 상기 접착증대부(64)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고정되는 고정단인 시작부(A) 및 상기 격벽(C)에 고정되지 않는 자유단인 마감부(B)를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오목부(68)의 시작부는 상기 볼록부(66)의 선단부와 처음으로 접촉하는 부분을 의미하고, 상기 오목부(68)의 마감부는 상기 볼록부(66)의 선단부와 마지막으로 접촉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도 5를 참고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욕실장(1)을 구성하려는 경우, 일단 상기 외곽프레임(32)에 일정간격을 두고 벽체를 형성하여, 상기 수용공간(62-5)을 갖는 다수 개의 상기 고정지지부(62)를 형성하여야 한다.
물론, 상기 고정지지부(62)의 바닥면에 소정높이를 갖는 상기 볼록부(66)를 형성하여야 함은 물론 상기 접착증대부(64)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상기 볼록부(66)를 형성하여야 한다.
이어서, 상기 고정지지부(62)의 수용공간(62-5)에 상기 접착증대부(64)를 삽입하고 가볍게 눌러주면, 상기 볼록부(66)와 상기 오목부(68)가 결합되므로, 상기 접착증대부(64)가 고정상태로 세팅된다.
이렇게 하면, 상기 볼록부(66)와 상기 오목부(68)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지지부(62)와 상기 외곽프레임(32)의 높이가 동일해지며, 이로 인해 상기 외부거울부(30)의 접착면이 평면상태가 된다.
이어서, 상기 도어부(20)의 외벽면에 상기 외부거울(36)을 접착하면, 상기 외부거울(36)이 상기 외곽프레임(32)은 물론 상기 접착증대부(64)에 접착되므로, 상기 외부거울(36)의 접착면적이 넓어진다.
따라서, 상기 외부거울부(30)의 외부거울(36)이 상기 외곽프레임(32)은 물론 상기 접착증대부(64)에 접착된 상태이므로, 상기 욕실장(1)에 강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유동하거나 이탈하지 않는 것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몸체부 20 : 도어부
30 : 외부거울부 32 : 외곽프레임
36 : 외부거울 40 : 내부거울부
50 : 위치조절부 60 : 면적증대수단
62 : 고정지지부 64 : 접착증대부
66 : 볼록부 68 : 오목부

Claims (5)

  1. 욕실장(1)의 벽면에 힌지식으로 결합되는 도어부(20)와, 상기 도어부(20)의 외벽면에 형성된 외곽프레임(32), 상기 외곽프레임(32)에 접착되는 외부거울(36), 및 상기 도어부(20)의 외벽면에 결합되어 상기 외부거울(36)의 접착면적을 증대하는 면적증대수단(60)을 포함하며,
    상기 면적증대수단(60)은,
    상기 외곽프레임(32)의 측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수용공간(62-5)을 형성하는 고정지지부(62)와, 상기 수용공간(62-5)에 삽입되면서 상기 외부거울(36)의 접착면과 접촉하는 접착증대부(64), 상기 고정지지부(62)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접착증대부(64)의 위치를 세팅하는 볼록부(66), 및 상기 접착증대부(64)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일 면에 형성되어 상기 볼록부(66)에 결합되는 오목부(6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장도어용 거울의 접착면적 증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부(62)에 상기 접착증대부(64)가 수용되는 경우, 상기 접착증대부(64)의 상부면과 상기 외곽프레임(32)의 접촉면이 동일높이로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장도어용 거울의 접착면적 증대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증대부(64)의 내부공간에 일체로 형성된 격벽(C)을 더 포함하며,
    상기 오목부(68)는,
    상기 격벽(C)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고정되는 고정단인 마감부(B) 및 상기 접착증대부(64)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고정되지 않는 자유단인 시작부(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장도어용 거울의 접착면적 증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증대부(64)의 내부공간에 일체로 형성된 격벽(C)을 더 포함하며,
    상기 오목부(68)는,
    상기 접착증대부(64)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고정되는 고정단인 시작부(A) 및 상기 격벽(C)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고정되지 않는 자유단인 마감부(B)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장도어용 거울의 접착면적 증대장치.
KR1020160042771A 2016-04-07 2016-04-07 욕실장 도어용 거울의 접착면적 증대장치 KR101688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771A KR101688864B1 (ko) 2016-04-07 2016-04-07 욕실장 도어용 거울의 접착면적 증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771A KR101688864B1 (ko) 2016-04-07 2016-04-07 욕실장 도어용 거울의 접착면적 증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8864B1 true KR101688864B1 (ko) 2016-12-22

Family

ID=57723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771A KR101688864B1 (ko) 2016-04-07 2016-04-07 욕실장 도어용 거울의 접착면적 증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88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8682A (ja) * 1998-10-07 2000-04-18 Toyoda Gosei Co Ltd 自動車用ドアガラスラン
KR20130037288A (ko) * 2011-10-06 2013-04-16 주식회사 더하우징 거울 부착형 욕실장 도어에 있어서의 거울 장착구조 및 장착방법
KR20140084548A (ko) * 2012-12-27 2014-07-07 오창수 2중 구조의 도어용 프레임
KR200475659Y1 (ko) * 2014-02-27 2014-12-22 박세업 욕실 거울 장착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8682A (ja) * 1998-10-07 2000-04-18 Toyoda Gosei Co Ltd 自動車用ドアガラスラン
KR20130037288A (ko) * 2011-10-06 2013-04-16 주식회사 더하우징 거울 부착형 욕실장 도어에 있어서의 거울 장착구조 및 장착방법
KR20140084548A (ko) * 2012-12-27 2014-07-07 오창수 2중 구조의 도어용 프레임
KR200475659Y1 (ko) * 2014-02-27 2014-12-22 박세업 욕실 거울 장착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35157A1 (en) Cabinet system
KR101688864B1 (ko) 욕실장 도어용 거울의 접착면적 증대장치
RU2315845C2 (ru) Подвесная каретка
KR101892609B1 (ko) 코너몰딩조립체
ITBO20000505A0 (it) Cerniera controbilanciata con spostamento verticale e frontale di un portello particolarmente per lavastoviglie .
JP2008308898A (ja) 引戸装置
CN206468276U (zh) 一种无边框推拉纱门
KR200432632Y1 (ko) 벽패널의 조립구조
CN208400211U (zh) 一种嵌入式显示装置和售卖机
KR200346730Y1 (ko) 장식장 미닫이문장치
CN207376885U (zh) 多功能玻璃隔断墙
WO2019029075A1 (zh) 一种具有铰链固定架的边框结构及柜门
CN107101445B (zh) 冰箱挂屏玻璃门及其制作方法
CN214090554U (zh) 一种无框大板的安装结构
CN215255565U (zh) 一种新型空门套
CN207063833U (zh) 一种玻璃面板的安装结构
CN217439831U (zh) 一种高稳定性的展柜玻璃门结构
JP4977098B2 (ja) 浴室ユニットと窓との接続部における止水構造
KR200365990Y1 (ko) 욕실용 천정패널의 처짐방지 장치
CN214342005U (zh) 能挂墙埋墙的浴室柜
JP2019131986A (ja) ユニットルームの接続構造
CN210636633U (zh) 一种玻璃隔断结构
KR102290656B1 (ko) 거치대 위치 조정이 가능한 욕실 구조체
JP4566548B2 (ja) 鏡付きコンパクト容器の鏡取付枠
JP2006241711A (ja) ド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