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8007B1 - 매체 보관장치 - Google Patents

매체 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8007B1
KR101688007B1 KR1020150187246A KR20150187246A KR101688007B1 KR 101688007 B1 KR101688007 B1 KR 101688007B1 KR 1020150187246 A KR1020150187246 A KR 1020150187246A KR 20150187246 A KR20150187246 A KR 20150187246A KR 101688007 B1 KR101688007 B1 KR 101688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media
steps
support member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7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진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50187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0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D11/00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4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 B65H31/08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e above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4Apparatus for squaring-up piled articles
    • B65H31/38Apparatus for vibrating or knocking the pile during pi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G07D11/0018
    • G07D11/002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1Parts and details thereof
    • B65H2405/111Bottom
    • B65H2405/1112Bottom with stepped surface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매체가 집적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에 매체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입출부를 구비한 프레임, 매체가 집적되는 집적공간에 매체를 지지하고 높이가 서로 다른 적어도 둘이상의 스텝부가 형성되어 있는 매체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매체 보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매체 보관장치{MEDIUM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매체를 보관하는 매체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기기는, 고객이 원하는 금융 업무를 처리하는 기기이다. 상기 금융기기는 매체를 입출금 하거나 매체를 자동으로 이체할 수 있다.
상기 금융기기는, 출금될 수표 또는 지폐가 보관되는 수표 보관함 또는 지폐 보관함 그리고 금융업무 처리를 위해 수표 또는 출금의 매체를 임시로 집적하는 임시직접부등의 매체 보관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매체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하나의 보관함에서 다수종류의 매체가 집적이 가능하게 되었으나, 종래의 매체 처리장치는 매체의 크기가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매체가 혼합되어 집적되어 있는 경우에 매체가 제대로 정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매체의 크기가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매체가 혼합되어 집적되거나, 접힌 매체, 찢어진 매체가 섞여 있는 경우에 매체를 인출할 때 매체가 입출부에 끼이거나 2장 이상이 인출되어 매체를 안정적으로 인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매체 보관장치에 있어서 매체의 크기가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매체가 혼합되어 집적되어 있는 경우에도 매체를 입출부쪽으로 정렬할 수 있는 매체 보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체 보관장치에 있어서 매체의 크기가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매체가 혼합되어 집적되어 있는 경우에도 매체를 인출할 때 매체가 입출부에 끼이거나 2장 이상이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매체 보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매체가 집적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에 매체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입출부를 구비한 프레임, 매체가 집적되는 집적공간에 매체를 지지하며 적어도 둘이상의 스텝을 포함하는 스텝부가 형성되되, 바닥면으로부터 스텝 각각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매체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매체 보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매체 보관장치는 매체 지지부재의 하측면 또는 양측면에 결합되어 매체 지지부재를 진동시켜 매체를 매체 지지부재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진동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매체 보관장치는 매체 지지부재에 집적되는 매체의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센서와, 하중센서에서 감지된 하중값에 따라서 진동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매체 보관장치에 있어서 매체의 크기가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매체가 혼합되어 집적되어 있는 경우에도 매체를 입출부쪽으로 정렬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매체 보관장치에 있어서 매체의 크기가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매체가 혼합되어 집적되어 있는 경우에도 매체를 인출할 때 매체가 입출부에 끼이거나 2장 이상이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매체 보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매체 보관장치 중 매체 지지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매체 보관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매체 보관장치에서 매체가 정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매체 보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매체 보관장치 중 매체 지지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매체 보관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매체 보관장치에서 매체가 정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 보관장치(200)는, 매체(M)가 집적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에 매체(M)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입출부(201a, 201b)를 구비한 프레임(245, 247), 매체(M)가 집적되는 집적공간에 매체(M)를 지지하며 적어도 둘이상의 스텝(225a, 225b, 225c, 225d, 225e)을 포함하는 스텝부(225)가 형성되되, 바닥면으로부터 스텝(225a, 225b, 225c, 225d, 225e) 각각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매체 지지부재(220)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 보관장치(200)는 일례로 지폐, 증권, 지로, 상품권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입수하여 입금처리, 지로수납, 상품권 교환 등과 같은 처리, 출금처리, 지로방출, 상품권 방출 등과 같은 매체 처리를 수행하는 금융 업무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매체 보관장치(200)의 일례로는 현금방출기(CD:Cash Dispenser), 현금 입출금기(Cash Recycling Device) 등과 같은 금융자동화기기(ATM : Automated Teller Machine) 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FIS(Financial Information System)와 같이 금융업무를 자동화하는 장치가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매체 보관장치(200)는 크게 하우징(201), 하우징(201)에 결합되는 프레임(245, 247), 프레임(245, 247)에 구비되는 매체 지지부재(220), 가이드바(219), 픽업롤러(207c), 피드롤러(207a), 게이트롤러(207b) 등이 구비되어 있다.
매체 보관장치(200)의 하우징(201)에는 매체(M)를 집적하고 이동시키는 기구들이 내장되며 매체(M)를 인입 또는 인출하는 입출부(201a, 201b)가 구비되는 프레임(245, 247)이 결합된다.
먼저 매체(M)의 인입과 인출은 작동과정이 반대이므로 인입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매체(M)는 제1입출부(201a)를 통하여 하우징(201) 내부로 인입되고, 제2입출부(201b)로 인출될 수 있다.
하우징(201) 내부로 인입된 매체(M)는 인입피드롤러(203b)와, 제1게이트 롤러(203a)에 의해서 매체 지지부재(220)의 상측으로 낙하된다.
이 때, 인입피드롤러(203b)는 도 1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1게이트 롤러(203a)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인입되는 매체(M)의 개수가 증가되면 매체 지지부재(220)는 하강하게 된다.
인출시에는 도 1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인출피드롤러(207a)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게이트롤러(207b)에 의해서 제2입출부(201b)로 인출된다.
그리고, 매체(M)를 인출피드롤러(207a)로 픽업하는 픽업롤러(207c)는 상하로 이동될 수 있는데, 픽업롤러(207c)를 이동시키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 전달부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풀리와 벨트, 기어 들로 구성되어 피드롤러(207a)와 픽업롤러(207c) 등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게 구성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1에서는 제1입출부(201a)로 인입되고 제2입출부(201b)로 인출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제2입출부(201b)로 인입되고 제1입출부(201a)로 인출될 수도 있으며, 픽업롤러(207c)에서 픽업되는 매체(M)의 갯수를 감지하는 감지부(205)가 구비될 수 있다.
매체(M)가 인출될 때에는 매체 지지부재(220)가 상승하여 인출피드롤러(207a)와, 제2게이트 롤러(207b)의 위치까지 상승하여 픽업롤러(207c)를 통해 인출할 준비를 하게 되는데, 매체(M)가 집적될 때 매체 지지부재(220)의 전방과 후방 어느 곳이나 자유롭게 낙하되어 집적되기 때문에 인출시 2장 이상이 동시에 인출되거나 끼이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매체(M)가 집적되어 이들 매체들을 입출부(201a, 201b)로 이동시키는 매체 지지부재(220)는 매체가 집적되는 상측면에 수개의 스텝(225a, 225b, 225c, 225d, 225e)으로 이루어지는 스텝부(225)가 형성되어 있는데, 스텝부(225)는 입출부(201a, 201b)쪽인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면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스텝부(225)의 양측면에는 가이드 지지부(221)가 형성되어 있어서 가이드바(219)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하우징(201)의 내부에 결합된 프레임의 상면(245)에는 매체의 상측을 가압하는 가압판(249)이 고정부(241)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프레임의 측면(247)에는 가이드바(219)와 구동풀리(231a), 종동풀리(231b) 등이 결합된다.
가이드바(219)는 하우징(201)에 형성된 프레임(245, 247)에 상하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매체 지지부재(220)의 가이드 지지부(221)와 결합되어 매체 지지부재(220)의 상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가이드 지지부(221)는 매체 지지부재(220)의 양측에서 돌출 형성되는데, 가이드 지지부(221)의 중심부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결합홀(221a)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결합홀(221a)에 가이드바(219)가 삽입되어 지지된다.
또한, 가이드 지지부(221)에는 구동벨트(233)와 결합되는 결합돌기(223)가 구비되어 있고, 매체 지지부재(22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245, 247)의 상단과 하단에는 구동풀리(231a)와 종동풀리(231b)가 결합되어 구동벨트(233)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의 구동으로 구동풀리(231a)가 작동되면 종동풀리(231b)에 함께 연결된 구동벨트(233)가 이동하면서 매체 지지부재(220)를 하우징(201)의 내부에서 상하로 움직이면서 입출구로 이동된다.
여기서, 바닥면으로부터 스텝부(225)의 높이와, 바닥면으로부터 스텝(225a, 225b, 225c, 225d, 225e) 각각의 높이는 입출부(201a, 201b)쪽인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며 또한, 각각의 스텝(225a, 225b, 225c, 225d, 225e)은 인접된 스텝과의 연결부위가 단차지게 형성된다.
이렇게 매체 지지부재(220)의 스텝부(225)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면서 경사지게 형성되고 스텝(225a, 225b, 225c, 225d, 225e) 각각도 전방에서 후방까지의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며 경사지게 형성되어, 매체 지지부재(220) 전체가 전방에서 후방까지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스텝부(225)에 집적되는 매체가 자체 하중에 의해 입출부(201a, 201b)쪽인 전방으로 정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스텝(225a, 225b, 225c, 225d, 225e) 각각의 전방에서 후방까지의 폭(A, B, C, D, E)이 입출부(201a, 201b)쪽인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매체 지지부재(220)의 전방으로부터 정렬되는 매체들의 끝단이 인접된 스텝부(225)의 연결부위에 정렬되어 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스텝부(225)는 서로 다른 각 매체(M)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즉, 매체 지지부재(220)의 전방에서 각 스텝(225a, 225b, 225c, 225d, 225e)의 연결부위까지의 크기가 각 매체(M)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서로 다른 크기의 두 매체가 집적되는 경우, 가장 작은 매체는 폭 A와 동일한 크기로, 이보다 큰 매체는 폭 A+B 의 크기와 동일하게 스텝부(225)를 형성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정렬되는 매체들의 끝단이 스텝(225a, 225b, 225c, 225d, 225e)의 연결부위에 정렬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매체의 크기가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매체(M)가 같이 집적되어 정렬되는 경우(일례로 각 나라별 화폐, 상품권 등의 종류가 혼합되어 집적되는 경우)에는 크고 작은 매체가 뒤섞여서 집적되기 때문에 매체 지지부재(220)의 후방으로 갈수록 스텝(225a, 225b, 225c, 225d, 225e) 각각의 전방에서 후방까지의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됨으로써, 입출부(201a, 201b)에 가장 가까운 매체(M)의 끝단이 해당 매체와 크기가 동일한 스텝(225a, 225b, 225c, 225d, 225e)에 정렬될 수 있게 된다.
즉, 출금 대기중인 첫번째 매체(M)의 끝단이 해당 매체와 크기가 동일한 스텝(225a, 225b, 225c, 225d, 225e)에 정렬되면서 픽업부에서 해당 매체의 픽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이 후 연속되는 매체들도 최선단의 매체는 해당 매체의 크기와 동일한 스텝(225a, 225b, 225c, 225d, 225e)에 연속되어 정렬되면서 픽업이 원활해지게 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스텝(225a, 225b, 225c, 225d, 225e) 각각의 인접부위에는 인접된 스텝(225a, 225b, 225c, 225d, 225e)과의 상측면들을 연결하며 경사지게 형성되는 연결면(227)이 형성되어 있어서, 매체(M)의 끝단이 스텝(225a, 225b, 225c, 225d, 225e)의 연결부위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고, 인출시 연결면(227)을 따라서 매끄럽게 슬라이딩되게 되어 있다.
한편, 매체 지지부재(220)의 하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진동 액츄에이터(250)가 결합되는데, 도 5의 (a)와 같이 끝단이 정렬되지 않고 집적되어 있는 매체(M1, M2)를 진동 액츄에이터(250)가 매체 지지부재(220)를 진동시킴으로써, 도 5의 (b)와 같이 매체 지지부재(220)의 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매체의 가장 아래쪽 매체부터 순차적으로 인출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매체(M)가 자체 하중에 의해 입출부(201a, 201b)쪽인 전방으로 정렬되는 것이 진동 액츄에이터(250)가 발생시키는 진동에 의해 보다 신속하게 정렬될 수 있게 된다.
즉, 매체 지지부재(220)의 전방과 후방 어느 한쪽에 치우쳐서 집적된 매체들은 전술한 바와 같은 진동 액츄에이터(250)의 진동에 의해 매체 지지부재(220)의 전방으로 매체들의 끝단이 일렬로 정렬되게 된다.
또한, 진동 액츄에이터(25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매체 지지부재(220)에 집적되는 매체(M)의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센서(미도시)와, 하중센서에서 감지된 하중값에 따라서 상기 진동 액츄에이터(2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하중센서에서 감지된 매체(M)의 하중값을 미리 설정되어진 기준 하중값인 설정값과 비교하여 진동 액츄에이터(250)의 진동 세기와 시간을 제어하게 된다.
즉, 매체(M)의 집적량이 많아지게 되면 진동에 의해 정렬되는 량이 줄어들어 미처 정렬되지 않은 매체들이 혼재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중간에 집적된 매체부터 먼저 인출될 수도 있으므로, 집적된 매체(M)의 하중값 증감에 따라서 진동 세기와 시간도 가감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매체 집적량의 하중값을 2개 이상의 구간으로 나누고 진동 세기 및 시간도 이에 대응되게 2개 이상의 구간으로 나누어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집적된 매체(M)의 하중값을 2개의 구간으로 나눌 경우, 매체(M)를 인입 인출하면서 현재 보관되어 있는 매체(M)의 하중값을 하중센서에서 인지하여 제어부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설정값과 비교하고, 하중센서에서 감지된 하중값이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진동 세기와 시간을 작게한 일반값으로 제어하고, 하중센서에서 감지된 하중값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진동 세기와 시간을 일반값보다 크게한 특별값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집적되는 매체(M)의 최대 하중값이 10kg 이라면 설정값을 5kg으로 설정하고, 하중센서에서 감지된 하중값이 설정값(5kg)보다 작으면 일반값으로 제어하며, 설정값(5kg) 이상이면 특별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일반값과 특별값도 진동 세기를 결정하는 진폭과 진동수를 미리 설정하여 매체(M)의 하중값이 설정값(5kg)보다 작으면 작은 진폭과 진동수로 설정된 일반값으로, 설정값(5kg) 이상이면 큰 진폭과 진동수로 설정된 특별값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진동 시간도 이와 같이 짧게 혹은 길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매체 지지부재(220)에 집적되는 매체(M)의 하중 설정값에 따라서 보다 효율적으로 매체들의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전술한 설정값은 하중의 범위로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매체 보관장치에 있어서 매체의 크기가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매체가 혼합되어 집적되어 있는 경우에도 매체를 입출부쪽으로 정렬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매체 보관장치에 있어서 매체의 크기가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매체가 혼합되어 집적되어 있는 경우에도 매체를 인출할 때 매체가 입출부에 끼이거나 2장 이상이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매체 보관장치 201: 하우징
201a,201b: 입출부 203a: 제1게이트 롤러
203b: 인입피드롤러 207a: 인출피드롤러
207b: 제2게이트 롤러 207c: 픽업롤러
220: 매체 지지부재 221: 가이드 지지부
225: 스텝부 225a,225b,225c,225d,225e: 스텝
227: 연결면 250: 진동 액츄에이터

Claims (10)

  1. 매체가 집적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에 매체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입출부를 구비한 프레임;
    상기 매체가 집적되는 집적공간에 상기 매체를 지지하며 적어도 둘이상의 스텝을 포함하는 스텝부가 형성되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스텝 각각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매체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매체 보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지지부재는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스텝부의 높이가 상기 입출부쪽인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매체 보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각각은 상기 입출부쪽인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매체 보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은 인접된 스텝과의 연결부위가 단차지게 형성되는 매체 보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지지부재는 상기 입출부쪽인 전방에서 각 스텝의 연결부위까지의 크기가 각 매체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매체 보관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각각의 전방에서 후방까지의 폭이 상기 입출부쪽인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되는 매체 보관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의 연결부위에는 인접된 스텝의 상측면들을 연결하며 경사지게 형성되는 연결면이 형성되는 매체 보관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지지부재의 하측면 또는 양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매체 지지부재를 진동시켜 상기 매체를 상기 매체 지지부재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진동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매체 보관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지지부재에 집적되는 매체의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센서와, 상기 하중센서에서 감지된 하중값에 따라서 상기 진동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매체 보관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중센서에서 감지된 하중값을 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진동 액츄에이터의 진동 세기와 시간을 제어하는 매체 보관장치.
KR1020150187246A 2015-12-28 2015-12-28 매체 보관장치 KR101688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246A KR101688007B1 (ko) 2015-12-28 2015-12-28 매체 보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246A KR101688007B1 (ko) 2015-12-28 2015-12-28 매체 보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8007B1 true KR101688007B1 (ko) 2017-01-02

Family

ID=57810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7246A KR101688007B1 (ko) 2015-12-28 2015-12-28 매체 보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80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360A (ko) * 2018-12-13 2020-06-24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 자동화 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0271A (ja) * 2001-09-11 2003-06-03 Hitachi Ltd 紙幣入出金装置
JP2008021113A (ja) * 2006-07-12 2008-01-31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紙葉類集積装置
JP2010126355A (ja) * 2008-12-01 2010-06-10 Fuji Xerox Co Ltd 排紙積載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読み取り装置
JP2011076246A (ja) * 2009-09-29 2011-04-14 Glory Ltd 紙幣処理装置及び結束紙幣投出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0271A (ja) * 2001-09-11 2003-06-03 Hitachi Ltd 紙幣入出金装置
JP2008021113A (ja) * 2006-07-12 2008-01-31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紙葉類集積装置
JP2010126355A (ja) * 2008-12-01 2010-06-10 Fuji Xerox Co Ltd 排紙積載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読み取り装置
JP2011076246A (ja) * 2009-09-29 2011-04-14 Glory Ltd 紙幣処理装置及び結束紙幣投出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360A (ko) * 2018-12-13 2020-06-24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 자동화 기기
KR102157693B1 (ko) 2018-12-13 2020-09-21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 자동화 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0326B1 (ko) 지폐 입출금 장치
US6968997B2 (en) Banknote receipt and payout apparatus
JP5234795B2 (ja) 紙葉類収納装置
JP2011053802A (ja) 紙葉取扱装置
JP2008052477A (ja) 紙葉類取扱装置
KR101250693B1 (ko)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KR101688007B1 (ko) 매체 보관장치
KR101909021B1 (ko) 금융 기기
KR101671572B1 (ko) 매체집적장치, 매체집적방법 및 금융기기
KR20160082745A (ko) 지폐 집적 장치 및 지폐 집적 방법
JP2010267189A (ja) 自動取引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の制御方法
KR102009363B1 (ko) 매체보관함 및 금융기기
KR101471754B1 (ko) 금융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459825B1 (ko) 매체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융기기
JP6398592B2 (ja) 媒体収納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KR101226348B1 (ko) 매체 보관함, 금융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JP2011154654A (ja) 紙葉類処理装置
KR101834498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KR101738819B1 (ko) 매체 보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KR101281316B1 (ko) 매체 집적 장치 및 금융기기
KR101662901B1 (ko)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기기
JP5790417B2 (ja) 紙葉類収納装置及び紙葉類取扱装置
KR101281416B1 (ko) 매체 집적 장치 및 금융기기
KR101289543B1 (ko) 매체보관함 및 그의 제어방법, 금융기기
KR101781304B1 (ko) 매체 보관 장치와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