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2745A - 지폐 집적 장치 및 지폐 집적 방법 - Google Patents

지폐 집적 장치 및 지폐 집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2745A
KR20160082745A KR1020140191821A KR20140191821A KR20160082745A KR 20160082745 A KR20160082745 A KR 20160082745A KR 1020140191821 A KR1020140191821 A KR 1020140191821A KR 20140191821 A KR20140191821 A KR 20140191821A KR 20160082745 A KR20160082745 A KR 20160082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stopper
length
paper mone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1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5004B1 (ko
Inventor
박종성
박창호
이용철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1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004B1/ko
Publication of KR20160082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2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16Testing the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 B65H2404/1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shape
    • B65H2404/1114Paddl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 집적 공간에 집적되는 매체의 정렬 위치를 다권종에 대응하는 원하는 위치에 정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지폐 집적 장치 및 지폐 집적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폐 집적 장치(100)는, 지폐 집적 공간으로 반송되는 지폐의 길이를 검출하는 감별부(170); 상기 지폐 집적 공간 내로 지폐를 반입하기 위한 집적부(120); 상기 집적부(120)를 통과한 지폐를 상기 지폐 집적 공간 내에 적재되도록 안내하는 스택가이드(150); 상기 스택가이드(150)에서 하향 돌출되어 상기 스택가이드(150)에 의해 안내되는 지폐의 진입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160); 상기 스택가이드(150)의 전후 방향으로 상기 스토퍼(160)의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한 구동부(190); 및 상기 감별부(170)에서 검출된 지폐의 길이에 대응하여 상기 스토퍼(160)의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부(19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폐 집적 장치 및 지폐 집적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tacking paper money}
본 발명은 지폐 집적 장치 및 지폐 집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폐 집적 공간으로 반입되는 지폐의 권종에 따른 길이의 차이에 관계없이 지폐의 안정적인 집적이 가능한 지폐 집적 장치 및 지폐 집적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융자동화기기에는 현금이나 수표 등의 매체(이하,‘지폐’라 통칭함)를 저장하기 위한 리사이클 박스나 리젝트 박스 등의 지폐 집적 장치가 구비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지폐 집적 장치(1)에는 지폐가 저장되는 지폐 집적 공간(30)이 내부에 마련되고, 지폐 집적 공간(30)의 상부 일측에는 지폐의 투입구(21)가 마련된다. 상기 투입구(21)에는 반송로(10)를 따라 반송되어 온 지폐(P)를 지폐 집적 공간(30) 측으로 반입하기 위한 집적부(20)가 구비된다.
상기 집적부(20)는, 피드롤러(22)와, 이에 접촉되어 그 사이로 지폐(P)를 이송하기 위한 가이드롤러(23)와, 상기 가이드롤러(23)와 동일한 축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복수의 탄성시트(24a)가 부착된 스택롤러(24)를 포함한다.
지폐 집적 공간(30)의 하부에는 지폐 집적 공간(30)으로 투입된 지폐(P)를 지지하며 승강되는 푸쉬플레이트(40)가 구비되고, 지폐 집적 공간(30)의 상부에는 집적부(20)를 통과하여 반입되는 지폐를 푸쉬플레이트(40)를 향하는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스택가이드(50)가 구비된다. 그리고, 지폐 집적 공간(30)의 후방측벽(31)에는 스토퍼(32)가 구비되어, 지폐의 집적 시 집적부(20)를 통과한 지폐는 그 후단부가 스토퍼(32)에 충돌된 후에 푸쉬플레이트(40) 상에 순차로 집적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지폐 집적 장치(1)는, 스토퍼(32)가 후방측벽(31)에 장착되어 지폐 집적 공간(30)의 전후방 폭이 일정하게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집적 가능한 지폐의 권종에 차이가 있을 경우에는 권종에 따른 지폐의 길이에 차이가 나게 되는 경우에는 지폐가 정렬된 상태로 집적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기 설정된 기준 지폐의 길이보다 짧은 지폐가 반입되는 경우에는 탄성시트(24a)의 회전반경 범위를 벗어난 위치에서 지폐의 선단이 스토퍼(32)와 충돌하게 되어 그 지폐의 후단이 탄성시트(24a)에 의해 타격되지 못하게 되고, 기준 지폐의 길이보다 긴 지폐의 경우에는 탄성시트(24a)가 타격하게 되는 지폐의 타격지점이 후단부에서 선단부 측으로 이격된 지점이 되므로, 지폐의 권종에 따라 지폐가 집적되는 위치가 상이하게 된다. 이 경우, 지폐 집적 공간 내에 집적된 지폐와 후속하여 집적되는 지폐 간에 충돌이 발생되어, 지폐가 접힌 상태로 집적되거나 걸림 등의 장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13-0141222호에는 지폐의 크기 차이에 무관하게 지폐 집적 공간 내에 지폐를 양호하게 정렬하기 위한 지폐류 저장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특허 제10-2013-0141222호에 개시된 지폐류 저장장치는, 일실시예로 집적되는 지폐의 길이에 대응하여 스택가이드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스택롤러와 스토퍼 간의 길이를 지폐의 길이에 대응하여 조절하거나, 다른 실시예로 매체 저장 공간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스토퍼를 지폐의 길이에 대응하여 전후진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다권종에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하면, 스택가이드의 회전 각도 조절 또는 스토퍼의 전후진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에 큰 부하가 작용하게 되고, 소요되는 부하를 제공하기 위한 용량을 갖춘 구동부를 구비해야 하므로, 장치의 제작 비용이 상승하고, 장치의 소형화를 구현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폐 집적 공간에 집적되는 매체의 정렬 위치를 다권종에 대응하는 원하는 위치에 정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지폐 집적 장치 및 지폐 집적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폐 집적 장치(100)는, 지폐 집적 공간으로 반송되는 지폐의 길이를 검출하는 감별부(170); 상기 지폐 집적 공간 내로 지폐를 반입하기 위한 집적부(120); 상기 집적부(120)를 통과한 지폐를 상기 지폐 집적 공간 내에 적재되도록 안내하는 스택가이드(150); 상기 스택가이드(150)에서 하향 돌출되어 상기 스택가이드(150)에 의해 안내되는 지폐의 진입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160); 상기 스택가이드(150)의 전후 방향으로 상기 스토퍼(160)의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한 구동부(190); 및 상기 감별부(170)에서 검출된 지폐의 길이에 대응하여 상기 스토퍼(160)의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부(19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상기 감별부(170)에서 검출된 지폐의 길이가 기준 지폐의 길이보다 짧으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스토퍼(160)가 기준 위치에서 상기 집적부(120)를 향하는 전방으로 상기 검출된 지폐의 길이에 대응하여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감별부(170)에서 검출된 지폐의 길이가 기준 지폐의 길이보다 길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스토퍼(160)가 기준 위치에서 상기 집적부(120)와 이격되는 후방으로 상기 검출된 지폐의 길이에 대응하여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감별부(170)는 지폐의 권종을 감별하여 지폐의 길이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집적부(170)는, 지폐의 투입구(121)에 위치하는 피드롤러(122)와, 상기 피드롤러(122)와 접촉되어 그 사이로 지폐를 이송하기 위한 가이드롤러(123)와, 상기 가이드롤러(123)와 동일한 축에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지폐 집적 공간으로 반입되는 지폐의 후단부를 타격하는 복수의 탄성시트(124a)가 부착된 스택롤러(124)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지폐 집적 공간 내로 반입되는 지폐의 후단이 상기 탄성시트(124a)의 회전반경 범위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지폐의 선단이 상기 스토퍼(160)에 충돌되도록 상기 스토퍼(160)가 이동되는 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90)는 상기 스토퍼(160)가 상기 스택가이드(150)의 전후방으로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솔레노이드 또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폐 집적 방법은, 지폐 집적 공간으로 반송되는 지폐의 길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지폐 집적 공간에 구비되어 집적부(120)에 의해 반입되는 지폐의 집적을 안내하는 스택가이드(150)에서 하향 돌출된 스토퍼(160)의 전후진 이동될 위치를 상기 검출된 지폐의 길이에 대응하여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위치로 상기 스토퍼(160)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160)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지폐의 길이가 기준 지폐의 길이보다 짧으면, 상기 스토퍼(160)를 기준 위치에서 상기 집적부(120)를 향하는 전방으로 상기 검출된 지폐의 길이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검출된 지폐의 길이가 기준 지폐의 길이보다 길면, 상기 스토퍼(160)를 기준 위치에서 상기 집적부(120)와 이격되는 후방으로 상기 검출된 지폐의 길이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스토퍼(160)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지폐 집적 공간 내로 반입되는 지폐의 후단이 상기 집적부(120)를 구성하는 스택롤러(124)의 탄성시트(124a)의 회전반경 범위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지폐의 선단이 상기 스토퍼(160)에 충돌되도록 상기 스토퍼(160)의 위치 이동이 제어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폐 집적 공간으로 반입되는 지폐의 권종을 감별하여 지폐의 길이에 대응하는 위치로 스토퍼의 전후진되는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지폐 집적 공간에 집적되는 지폐의 정렬 위치를 다권종에 대응하는 원하는 위치에 정렬시킬 수 있어 지폐의 집적 품질을 향상시키고 기기의 장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를 스택가이드에서 하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하고, 지폐의 권종에 따른 지폐의 길이에 대응하여 스토퍼를 스택가이드의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스토퍼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고, 스토퍼의 전후진을 위한 구동부의 구동부하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지폐 집적 장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집적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지폐 집적 공간으로 반입되는 지폐의 길이가 기준 지폐의 길이보다 짧은 경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지폐 집적 공간으로 반입되는 지폐의 길이가 기준 지폐의 길이보다 긴 경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집적 방법의 순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폐 집적 장치(100)는, 반송로(110) 상에 구비되어 지폐의 권종을 감별하는 감별부(170), 상기 반송로(110)를 따라 반송되어 온 지폐를 지폐 집적 공간(130)에 반입하기 위한 집적부(120), 상기 지폐 집적 공간(130)에 적재되는 지폐를 지지하며 승강되도록 구비되는 푸쉬플레이트(140), 상기 지폐 집적 공간(130)의 상부에 구비되어 집적부(120)를 통과한 지폐를 지폐 집적 공간(130) 내에 적재되도록 안내하는 스택가이드(150), 상기 스택가이드(150)에서 하향 돌출되어 스택가이드(150)에 의해 안내되는 지폐의 진입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160), 상기 스토퍼(160)의 전후진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90), 및 상기 감별부(170)에서 감별된 지폐의 권종 정보를 기준으로 권종에 따른 지폐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스토퍼(160)의 이동될 위치를 산출하여 상기 구동부(19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상기 집적부(120)는 반송로(110)를 따라 반송되어 지폐 집적 공간(130)의 상부 일측에 마련되는 투입구(121)로 진입하는 지폐를 지폐 집적 공간(130)으로 반입하기 위한 구성으로, 피드롤러(122)와, 상기 피드롤러(122)와 접촉되어 그 사이로 지폐를 이송하기 위한 가이드롤러(123)와, 상기 가이드롤러(123)와 동일한 축에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지폐 집적 공간(130)으로 반입되는 지폐의 후단부를 타격하는 복수의 탄성시트(124a)가 부착된 스택롤러(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피드롤러(122)와 가이드롤러(123) 사이에 협지된 지폐는, 피드롤러(122)와 가이드롤러(123)의 회전에 의해 지폐 집적 공간(130) 측으로 반입되고, 지폐 집적 공간(130)의 내부로 진입한 지폐는 그 지폐의 후단부가 회전하는 스택롤러(124)의 탄성시트(124a)에 의해 하방향으로 타격되어 푸쉬플레이트(140) 상에 집적되도록 유도된다.
상기 푸쉬플레이트(140)는 지폐 집적 공간(130)에 집적되는 지폐의 매수 증감에 대응하여 승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지폐 집적 공간(130)에 집적되는 지폐의 매수가 적은 경우에 푸쉬플레이트(140)는 지폐 집적 공간(130)의 상부에 위치하고, 지폐 집적 공간(130)에 집적되는 지폐(P)의 매수가 증가함에 따라 푸쉬플레이트(140)는 지폐 집적 공간(130)의 하부로 이동되어 지폐가 적재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택가이드(150)는 피드롤러(122)와 가이드롤러(123)에 의해 투입구(121)로부터 지폐 집적 공간(130)의 후방측벽(131)을 향하여 고속으로 반입되는 지폐의 상방향 날림을 방지하고, 지폐가 지폐 집적 공간(130)의 하방향으로 유도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스택가이드(150)의 배치된 형상은 집적부(120) 측에 위치하는 전방측단에서 후방측벽(131) 측에 위치하는 후방측단을 향하여 하향의 기울기를 갖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피드롤러(122)와 가이드롤러(123)를 통과한 지폐의 선단은 스택가이드(150)의 저면을 타고 후방측으로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스택가이드(150)는 일정한 경사 각도로 고정 배치되거나, 전방측단을 중심으로 하여 후방측단이 소정 각도 범위에서 선회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60)는 스택가이드(150)에 의해 안내되는 지폐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되고, 스택가이드(150)를 관통하여 하향으로 돌출되며, 스택가이드(150)의 전후방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스토퍼(160)는 스택가이드(150)의 저면을 따라 진입하는 지폐의 선단과 충돌되면서 지폐의 진입 범위를 제한하게 되며, 이때 스토퍼(160)에 진입방향으로의 이동이 정지된 지폐의 후단부를 스택롤러(124)의 탄성시트(124a)가 타격함으로써, 타격된 지폐는 지폐 집적 공간(130)의 푸쉬플레이트(140) 상에 안정적으로 낙하되어 적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스토퍼(160)는 스택가이드(150)을 따라 전후진되는 돌출편으로 구성되므로, 종래기술에서 소개된 스토퍼와 비교하여 그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토퍼(150)의 전후진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90)의 구동부하를 감소시켜 구동부(190)의 용량을 줄일 수 있어 구동부(190)가 차지하는 공간 또한 최소화할 수 있게 되므로, 장치의 전체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상기 감별부(170)는 반송로(110)를 따라 반송되는 지폐의 권종을 감별하여, 감별된 권종의 지폐 길이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80)로 송출한다. 감별부(170)의 내부에는 이미지 센서, 길이 감지 센서, 및 2매 감지 센서 등의 감지수단을 포함하고 있어, 반송로(110)를 통과하는 지폐의 이미지를 스캐닝하여 반송되는 지폐의 권종을 감별하는 동시에 지폐의 길이를 감지하게 된다. 이 경우, 지폐의 길이는 감지수단에서 검출되는 신호의 시간 간격과 지폐의 이송속도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상기 감별부(170)에서 검출된 지폐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제어부(180)는 감별된 지폐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스토퍼(160)가 이동될 위치를 산출한 후, 구동부(190)에 제어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160)가 이동될 위치는, 지폐 집적 공간(130) 내로 반입되는 지폐의 후단이 스택롤러(124)의 탄성시트(124a)의 회전반경 범위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지폐의 선단이 스토퍼(160)에 충돌될 수 있는 위치로 설정된다. 이는 지폐의 선단이 스토퍼(160)에 충돌되어 지폐의 진입방향으로의 이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지폐의 후단이 회전하는 탄성시트(124a)에 의해 타격될 수 있도록 위치되는 경우에 타격된 지폐가 푸쉬플레이트(140)를 향하는 하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별부(170)에서 검출된 지폐(P2)의 길이가 기 설정된 기준 지폐(P1)의 길이보다 짧은 것으로 검출된 경우, 제어부(180)는 기준 지폐(P1)에 대응하는 스토퍼(160)의 기준 위치(L1)에서 집적부(120)를 향하는 전방으로 검출된 지폐(P2)의 길이에 대응하는 위치(L2)로 이동되도록 구동부(190)에 제어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별부(170)에서 검출된 지폐(P3)의 길이가 기 설정된 기준 지폐(P1)의 길이보다 긴 것으로 검출된 경우, 제어부(180)는 기준 지폐(P1)에 대응하는 스토퍼(160)의 기준 위치(L1)에서 집적부(120)와 이격되는 후방으로 검출된 지폐(P3)의 길이에 대응하는 위치(L3)로 이동하도록 구동부(190)에 제어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상기 구동부(190)는 제어부(18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다권종 지폐의 길이 차이에 대응하여 스토퍼(160)의 위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스토퍼(160)에 직접 연결되며 인가되는 온(ON) 또는 오프(OFF) 신호에 따라 신장 또는 수축되는 솔레노이드(미도시됨)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또는 모터(미도시됨)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기어와 벨트 등의 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스토퍼(160)가 전후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폐 집적 장치에서의 지폐 집적 방법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폐 집적 방법은, 지폐 집적 공간(130)으로 이송되는 지폐의 길이를 검출하는 단계(S1)와, 상기 검출된 지폐의 길이에 대응하여 스토퍼(160)의 이동될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S2), 및 상기 산출된 위치로 스토퍼(160)를 이동시키는 단계(S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토퍼(160)를 이동시키는 단계(S3)는, 상기 검출된 지폐의 길이가 기준 지폐(P1)의 길이보다 짧으면, 상기 스토퍼(160)를 기준 위치(L1)에서 상기 집적부(120)를 향하는 전방으로 상기 검출된 지폐의 길이에 대응하는 위치(L2)로 이동시키고, 상기 검출된 지폐의 길이가 기준 지폐(P1)의 길이보다 길면, 상기 스토퍼(160)를 기준 위치(L1)에서 상기 집적부(120)와 이격되는 후방으로 상기 검출된 지폐의 길이에 대응하는 위치(L3)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160)를 이동시키는 단계(S3)는, 상기 지폐 집적 공간(130) 내로 반입되는 지폐의 후단이 상기 집적부(120)를 구성하는 스택롤러(124)의 탄성시트(124a)의 회전반경 범위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지폐의 선단이 상기 스토퍼(160)에 충돌되도록 상기 스토퍼(160)가 이동되는 위치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집적 장치와 지폐 집적 방법에 의하면, 지폐 집적 공간(130)으로 반입되는 지폐의 권종을 감별하여 지폐의 길이에 대응하는 위치로 스토퍼(160)가 전후진되는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지폐 집적 공간(130)에 집적되는 매체의 정렬 위치를 다권종에 대응하는 원하는 위치에 정렬시킬 수 있어 지폐의 집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 지폐 집적 장치 110 : 반송로
120 : 집적부 121 : 투입구
122 : 피드롤러 123 : 가이드롤러
124 : 스택롤러 124a : 탄성시트
130 : 지폐 집적 공간 140 : 푸쉬플레이트
150 : 스택가이드 160 : 스토퍼
170 : 감별부 180 : 제어부
190 : 구동부 P : 지폐

Claims (8)

  1. 지폐 집적 공간으로 반입되는 지폐를 정렬된 상태로 집적하기 위한 지폐 집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폐 집적 공간으로 반송되는 지폐의 길이를 검출하는 감별부(170);
    상기 지폐 집적 공간 내로 지폐를 반입하기 위한 집적부(120);
    상기 집적부(120)를 통과한 지폐를 상기 지폐 집적 공간 내에 적재되도록 안내하는 스택가이드(150);
    상기 스택가이드(150)에서 하향 돌출되어 상기 스택가이드(150)에 의해 안내되는 지폐의 진입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160);
    상기 스택가이드(150)의 전후 방향으로 상기 스토퍼(160)의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한 구동부(190); 및
    상기 감별부(170)에서 검출된 지폐의 길이에 대응하여 상기 스토퍼(160)의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부(19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하는 지폐 집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별부(170)에서 검출된 지폐의 길이가 기준 지폐의 길이보다 짧으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스토퍼(160)가 기준 위치에서 상기 집적부(120)를 향하는 전방으로 상기 검출된 지폐의 길이에 대응하여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감별부(170)에서 검출된 지폐의 길이가 기준 지폐의 길이보다 길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스토퍼(160)가 기준 위치에서 상기 집적부(120)와 이격되는 후방으로 상기 검출된 지폐의 길이에 대응하여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집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별부(170)는 지폐의 권종을 감별하여 지폐의 길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집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부(170)는, 지폐의 투입구(121)에 위치하는 피드롤러(122)와, 상기 피드롤러(122)와 접촉되어 그 사이로 지폐를 이송하기 위한 가이드롤러(123)와, 상기 가이드롤러(123)와 동일한 축에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지폐 집적 공간으로 반입되는 지폐의 후단부를 타격하는 복수의 탄성시트(124a)가 부착된 스택롤러(124)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지폐 집적 공간 내로 반입되는 지폐의 후단이 상기 탄성시트(124a)의 회전반경 범위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지폐의 선단이 상기 스토퍼(160)에 충돌되도록 상기 스토퍼(160)가 이동되는 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집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90)는 상기 스토퍼(160)가 상기 스택가이드(150)의 전후방으로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솔레노이드 또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집적 장치.
  6. 지폐 집적 공간으로 반입되는 지폐를 정렬된 상태로 집적하기 위한 지폐 집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폐 집적 공간으로 반송되는 지폐의 길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지폐 집적 공간에 구비되어 집적부(120)에 의해 반입되는 지폐의 집적을 안내하는 스택가이드(150)에서 하향 돌출된 스토퍼(160)의 전후진 이동될 위치를 상기 검출된 지폐의 길이에 대응하여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위치로 상기 스토퍼(160)를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폐 집적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60)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지폐의 길이가 기준 지폐의 길이보다 짧으면, 상기 스토퍼(160)를 기준 위치에서 상기 집적부(120)를 향하는 전방으로 상기 검출된 지폐의 길이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검출된 지폐의 길이가 기준 지폐의 길이보다 길면, 상기 스토퍼(160)를 기준 위치에서 상기 집적부(120)와 이격되는 후방으로 상기 검출된 지폐의 길이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집적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60)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지폐 집적 공간 내로 반입되는 지폐의 후단이 상기 집적부(120)를 구성하는 스택롤러(124)의 탄성시트(124a)의 회전반경 범위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지폐의 선단이 상기 스토퍼(160)에 충돌되도록 상기 스토퍼(160)의 위치 이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집적 방법.
KR1020140191821A 2014-12-29 2014-12-29 지폐 집적 장치 및 지폐 집적 방법 KR102265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1821A KR102265004B1 (ko) 2014-12-29 2014-12-29 지폐 집적 장치 및 지폐 집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1821A KR102265004B1 (ko) 2014-12-29 2014-12-29 지폐 집적 장치 및 지폐 집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745A true KR20160082745A (ko) 2016-07-11
KR102265004B1 KR102265004B1 (ko) 2021-06-15

Family

ID=56499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1821A KR102265004B1 (ko) 2014-12-29 2014-12-29 지폐 집적 장치 및 지폐 집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50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5240A (ko) * 2016-11-16 2018-05-25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매체보관함,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KR20190008039A (ko) 2017-07-14 2019-01-23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멀티 링크식 스택 가이드
KR20190008003A (ko) 2017-07-14 2019-01-23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지폐류 집적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1275B1 (ko) * 2021-12-27 2024-01-04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매체 저장부의 매체 스택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1113A (ja) * 2006-07-12 2008-01-31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紙葉類集積装置
JP2008276485A (ja) * 2007-04-27 2008-11-13 Oki Electric Ind Co Ltd 紙幣入出金機
KR20120078054A (ko) * 2010-12-31 2012-07-10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집적 공간 조절 가이드를 구비한 지폐취급장치와 지폐취급방법
KR20130141221A (ko) * 2012-06-15 2013-12-26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 저장장치 및 스택가이드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1113A (ja) * 2006-07-12 2008-01-31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紙葉類集積装置
JP2008276485A (ja) * 2007-04-27 2008-11-13 Oki Electric Ind Co Ltd 紙幣入出金機
KR20120078054A (ko) * 2010-12-31 2012-07-10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집적 공간 조절 가이드를 구비한 지폐취급장치와 지폐취급방법
KR20130141221A (ko) * 2012-06-15 2013-12-26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 저장장치 및 스택가이드의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5240A (ko) * 2016-11-16 2018-05-25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매체보관함,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KR20190008039A (ko) 2017-07-14 2019-01-23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멀티 링크식 스택 가이드
KR20190008003A (ko) 2017-07-14 2019-01-23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지폐류 집적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5004B1 (ko) 202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4533B1 (ko) 지엽류 집적 장치
JP5234795B2 (ja) 紙葉類収納装置
EP3299319B1 (en) Banknote stacking apparatus
US7537214B2 (en) Method for detecting height of paper bundle and paper handling device
EP2043059A2 (en) Paper sheet storing apparatus, paper sheet handling system, and automatic teller machine
KR20160082745A (ko) 지폐 집적 장치 및 지폐 집적 방법
WO2013035437A1 (ja) 媒体集積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KR101387794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집적장치
KR101836305B1 (ko) 지폐 쓰러짐 방지 기능을 갖는 지폐류 입출금 장치
KR102303729B1 (ko) 지폐집적장치 및 지폐집적방법
JP6398592B2 (ja) 媒体収納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US11989994B2 (en) Bundle module of medium deposit device
KR102008574B1 (ko) 지폐집적장치
KR101745089B1 (ko) 지폐집적장치
KR101732825B1 (ko) 금융기기 및 매체집적장치
KR20130141222A (ko) 지폐류 저장장치 및 스택가이드의 제어방법
KR101098620B1 (ko) 지폐 집적 장치
KR101607339B1 (ko) 집적 공간 조절 가이드를 구비한 지폐취급장치와 지폐취급방법
KR102420217B1 (ko) 지폐집적장치
KR101628481B1 (ko) 매체 저장부
KR101871438B1 (ko) 카세트, 카세트 제어방법 및 금융기기
KR101153639B1 (ko) 매체처리장치 및 방법과 금융기기
KR101904328B1 (ko) 지폐 걸림 예측 및 걸림 방지 지폐 계수기
KR20180033908A (ko) 지폐 쓰러짐 방지 기능을 갖는 지폐류 입출금 장치
JP6866806B2 (ja) 媒体処理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