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7534B1 - 가정용 버섯재배장치 - Google Patents

가정용 버섯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7534B1
KR101687534B1 KR1020150007988A KR20150007988A KR101687534B1 KR 101687534 B1 KR101687534 B1 KR 101687534B1 KR 1020150007988 A KR1020150007988 A KR 1020150007988A KR 20150007988 A KR20150007988 A KR 20150007988A KR 101687534 B1 KR101687534 B1 KR 101687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mushroom
box
humidity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7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8641A (ko
Inventor
노종현
이원호
김선철
고한규
박승택
박흥수
Original Assignee
산림조합중앙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림조합중앙회 filed Critical 산림조합중앙회
Priority to KR1020150007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7534B1/ko
Publication of KR20160088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8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7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7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01G1/042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9Arrangements for managing the environment, e.g. sprinkl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50Inoculation of spaw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4Cultivation containers; Lids therefor
    • A01G18/65Cultivation containers; Li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lids, e.g. lids with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5/00Fungi; Liche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4/00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Tissue culture techniques therefor
    • A01H4/001Culture apparatus for tissue cul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ell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용 버섯재배장치에 있어서, 특히 버섯 재배장치에 환풍시설과, 온도 및 습도조절 기능을 구비하여 최상품의 버섯을 재배할 수 있도록하고, 아울러 다수회 버섯을 재배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버섯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폴리프로필렌 또는 HDPE와 같은 불투과성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재배용 상자(10)와; 상기 재배용 상자(10) 내부에 탑재되어 버섯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배지(20)와; 상기 배지에 접종되는 종균(30)과; 상기 재배용 상자의 상부에 커버링되는 비닐커버(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며;
본 발명은 버섯재배용 불투과성 플라스틱 상자를 구비하고, 상기 상자의 내부에 배지를 삽입하며, 상기 배지에 종균을 재식한후 덮개로 덮어서 가정용으로 버섯을 재배할 수 있도록하되, 불투과성 용기를 이용하여 재배함으로서 재배용기와 배지사이에 버섯발생이 불필요한 부분에 버섯발생을 억제하며, 온도 및 습도를 적절히 조절하고, 아울러, 환기를 적절히 진행하여 양질의 가정용 버섯 생산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정용 버섯재배장치{Mushroom cultivating apparatus for house use}
본 발명은 가정용 버섯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섯 재배장치에 환풍시설과, 온도 및 습도조절 기능을 구비하여 최상품의 버섯을 재배할 수 있도록하고, 아울러 다수회 버섯을 재배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버섯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섯은 산과 들의 그늘이나, 썩은 나무 등의 습한 곳에 기생하는데, 눈으로 식별할 수 있는 자실체를 형성하는 무리를 총칭한다. 이러한 버섯류는 채소류에 비해 영양가가 높을 뿐 아니라 고혈압과 당뇨병 등의 성인병에도 효과가 있는 대표적인 건강식품이기 때문에 최근에 건강한 식생활이 강조되면서 많이 소비되고 있다.
즉, 버섯은 일반 채소류에 비해 영양이 높고, 고혈압·당뇨 등에 효과가 있으며, 특히 항암 효과도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목이(木耳) 버섯은 철분과 칼슘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빈혈과 골다공증 예방에 좋으며, 혈액을 정화하고 치질의 울혈을 제거해 주며,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변비와 다이어트에 좋다.
이와 같은 버섯을 재배하는 방법으로는, 통상 용기를 이용하는 방법과, 원목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버섯은 알려진 바와 같이 음지식물이지만, 적절한 채광과 원활한 통풍 및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생육되기 때문에 모두 전문적인 숙련공들을 통하여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버섯이 생산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가정에서 소규모로 재배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보통, 버섯이 재배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종균에 영양소를 공급하는 배지를 형성하고, 배지를 병에 넣은 다음, 버섯 종균을 투여하여 숙성/배양시킨 다음, 생육된 버섯을 수확하게 된다. 이와 같은 버섯 재배 과정은 전문적인 숙련공들에 의해 버섯 재배 농가에서만 가능했고, 일반인들은 종균구입 및 배지생성이 어렵기 때문에 가정에서 소규모, 관상용, 관찰용으로 재배할 수 없었다. 하지만, 최근에 버섯 재배 농가에서는 병에 배지를 투입한 다음, 살균하여 저온 냉각한 후, 버섯 종균을 배지에 접종한 것을 구하여 가정에서 버섯을 재배할 수 있는데, 가정에서 버섯의 생장에 필수적인 온도 및 습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19940023674호의 느타리 버섯 가정용 재배 수확용기와,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20050002488호의 가정용 버섯 재배기가 개발되었다.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19940023674호의 느타리 버섯 가정용 재배 수확 용기는 상면에 구비된 환기구를 통하여 적절한 습도를 유지할 뿐 아니라 분무기의 분사잡업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의 느타리 버섯 가정용 재배 수확 용기는 분사작업이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하기 위하여 환기구를 비교적 크게 형성하기 때문에 용기내의 수증기가 상승하여 상면의 환기구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습도 조절이 사실상 불가능하고, 수시로 분무기로 물을 분사하여 버섯의 재배 조건인 다습한 상태를 만들어 주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하기 불편할 뿐 아니라 실용화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20050002488호의 가정용 버섯 재배기는 배양실을 덮개천으로 형성시키고, 배양실 내부를 버섯의 재배 조건에 맞는 온도 및 습도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수분을 머금은 스펀지 및 스펀지로 열을 공급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발열매트를 포함한다. 하지만, 상기의 가정용 버섯 재배 용기는 배양실이 덮개천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버섯의 생육 과정을 살펴보기 번거롭고, 외부 충격 등에 취약하며, 배양실의 온도 및 습도를 맞추기 위하여 적은 스펀지가 발열매트에 올려지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며, 스펀지가 머금은 수분의 부족으로 인한 과열 또는 수분에 의한 발열매트의 누전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에는 나무의 톱밥 등으로 이루어진 배지(medium)가 채워진 봉지에 종균을 넣고 배양한 후 봉지에 버섯이 자랄 수 있는 버섯 재배구를 뚫어 버섯을 재배하였다. 버섯은 봉지에 형성된 버섯 재배구를 통해 점점 자라게 된다. 이러한 봉지 재배법으로 목이 버섯을 재배하는 방법이 한국공개특허 제2009-0041092호 등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봉지 재배법으로 버섯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봉지의 측면에 버섯 재배구를 형성해야 하는데, 종래에는 펀칭 공구를 사용하여 봉지의 측면에 버섯 재배구를 수작업으로 형성하였다. 버섯 재배구를 수작업으로 형성하면 인력 및 시간이 많이 투입되므로 비용 증가의 원인이 되고, 버섯 재배구가 정확하게 형성되지 못하므로 수확량도 적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봉지는 한번 사용하면 버려야 하므로 비용의 증가는 물론 환경 오염 문제도 있다. 따라서 버섯 재배구를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반복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한 버섯 배지 용기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리고, 좋은 품질의 버섯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케이스에 적절한 산소의 공급이 이루어져야 하고 케이스 내부에 온도나 습도를 적절히 맞추어야 하는바, 현재의 가정용 제품들은 단순히 비닐에 감싸여서 버섯을 재배하는데 그치기 때문에 양질의 버섯을 재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버섯재배용 불투과성 플라스틱 상자를 구비하고, 상기 상자의 내부에 배지를 삽입하며, 상기 배지에 종균을 재식한후 덮개로 덮어서 가정용으로 버섯을 재배할 수 있도록하되, 불투과성 용기를 이용하여 재배함으로서 재배용기와 배지사이에 버섯발생이 불필요한 부분에 버섯발생을 억제하며, 온도 및 습도를 적절히 조절하고, 아울러, 환기를 적절히 진행하여 양질의 가정용 버섯을 생산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HDPE와 같은 불투과성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재배용 상자(10)와; 상기 재배용 상자(10) 내부에 탑재되어 버섯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배지(20)와; 상기 배지에 접종되는 종균(30)과; 상기 재배용 상자의 상부에 커버링되는 비닐커버(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재배용 상자의 일측에 설치되며 재배용 상자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센싱하여 재배용 상자 내부의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상기 온도 센서부(110) 및 습도 센서부(120)와; 상기 온도 센서부(110)의 재배용 상자 온도 채크결과 온도가 기준이하로 판단되면, 전원공급부(19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열을 발생시킴으로서 재배용 상자 내부가 원하는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필름히터(150)와; 상기 습도 센서부의 재배용 상자 수분 측정결과 습도가 기준이하로 판단되면, 재배용 상자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160)와; 상기 온도 센서부(110) 및 습도 센서부(120)로부터 온도와 습도 데이터를 입력받아 재배용 상자 내부의 온도가 기준 이하이면 필름히터(150)를 가동하여 온도를 높이고, 아울러 온도가 기준 이상이면 통풍부(170)를 가동하여 기준범위로 내려오도록 유도하며, 습도가 기준이하이면 물공급부(160)를 동작시켜 물을 공급하여 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유도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물공급부(160)는, 상기 재배용 상자(10)의 내부에 다발로 설치되는 물공급관과, 물공급관 내부에 설치되는 물공급 심지와, 상기 물공급심지로 물을 공급하기위한 물공급펌프 및, 물공급탱크로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재배용 상자 내부의 이산화 탄소량을 체크하는 이산화탄소 센서(130)와; 상기 재배용 상자(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소형모터 및 송풍팬으로 이루어져 재배용 상자의 내부에 이산화탄소가 많아지면 자동으로 배출시키는 통풍부(1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비닐커버(40)의 일측에는 열감응 패턴(140)을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버섯재배용 불투과성 플라스틱 상자를 구비하고, 상기 상자의 내부에 배지를 삽입하며, 상기 배지에 종균을 재식한후 덮개로 덮어서 가정용으로 버섯을 재배할 수 있도록하되, 불투과성 용기를 이용하여 재배함으로서 재배용기와 배지사이에 버섯발생이 불필요한 부분에 버섯발생을 억제하며, 온도 및 습도를 적절히 조절하고, 아울러, 환기를 적절히 진행하여 양질의 가정용 버섯 생산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정용 버섯재배장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가정용 버섯재배장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가정용 버섯재배장치 회로구성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정용 버섯재배장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가정용 버섯재배장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가정용 버섯재배장치 회로구성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가정용 버섯재배장치는 불투과성 플라스틱 용기로 이루어지는 재배용 상자(10)와, 배지(20)와, 종균(30) 및, 비닐커버(40)를 기본 구성요소로 하며, 여기에 덧붙여서 온도센서부(110)와, 습도 센서부(120)와, 이산화탄소 센서(130)와, 열감응 패턴(140)과, 필름히터(150)와, 물공급부(160)와, 통풍부(170)와, 제어부(180)와, 전원공급부(190)로 이루어진다.
상기 재배용 상자(1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바, 특히 고온 살균에도 변형이 없는 불투과성 폴리프로필렌, HDPE 등으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부(110) 및 습도 센서부(120)는 재배용 상자의 일측에 설치되며 재배용 상자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센싱하여 재배용 상자 내부의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130)는 재배용 상자 내부의 이산화 탄소량을 체크한다.
상기 열감응 패턴(140)은 비닐커버(40)의 일측에 설치되며, 재배용 상자(10)의 내부온도에 따라 어떤 온도를 기점으로 나타나는 가역적인 광학적 성질 예컨대, 색의 변화가 나타나는 특성이다. 색의 변화는 아주 작은 범위의 온도 구간에서 변화를 일으키거나 어느 온도를 중심으로 점진적인 색변화를 일으키기도한다. 1871년에 처음으로 보고된 열변색은 어떤 한가지 메카니즘에 의해서 설명되는 것이 아니라, 물질의 개략적인 분류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원인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이러한 열변색 물질은 상술한 공지의 형광물질 이외에도 다양한 물질이 개발되어 있는데 그 예로서는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 Polymer 등이 있으며, 이러한 종류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실제 응용되고 있으며, 각각에 대한 세부적인 메카니즘과 목적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는 내용이 상당수 밝혀져 있는 상태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혹은 폴리플로필렌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 칩을 용융시켜 이를 하우스 필름으로 제조하는 과정에 열감응 물질(Polymer)을 함께 혼합하여 일부분을 열감응 패턴을 형성하였다. 이때 열감응층이 온도 변화에 따라 감응하는 색상의 범위는 0∼40℃까지의 범위에서 감응하게 되며, 감응 색상은 저온 즉, 0℃쪽에 가까울 수록 색상(色相)과 채도(彩度)가 없는 무채색(無彩色)을 띠어 투명하게 되고, 40℃에 가까울수록 자색(보라색)을 띤다. 만일 실내의 온도가 20℃인 경우 엷은 보라색을 띠게 된다.
상기 필름히터(150)는 온도가 기준이하로 판단되면, 전원공급부(19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열을 발생시킴으로서 재배용 상자 내부가 원하는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물공급부(160)는 재배용 상자(10)의 내부에 다발로 설치되는 물공급관과, 물공급관 내부에 설치되는 물공급 심지와, 상기 물공급심지로 물을 공급하기위한 물공급펌프 및, 물공급탱크로 이루어진다.
상기 통풍부(170)는 재배용 상자(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소형모터 및 송풍팬으로 이루어져 재배용 상자의 내부에 이산화탄소가 많아지면 자동으로 배출시키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온도 센서부(110) 및 습도 센서부(120)로부터 온도와 습도 데이터를 입력받아 재배용 상자 내부의 온도가 기준 이하이면 필름히터(150)를 가동하여 온도를 높이고, 아울러 온도가 기준 이상이면 통풍부(170)를 가동하여 기준범위로 내려오도록 유도한다. 아울러, 습도가 기준이하이면 물공급부(160)를 동작시켜 물을 공급하여 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유도한다. 또한, 공기중의 이산화탄소가 기준이상이면 통풍부(170)를 가동하여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하여 재배상자 내부에 신선한 산소가 공급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전원공급부(190)는 본 발명의 각종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각종 장치에 적절히 전기를 공급하여 각종 장치가 용이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조립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가정용 버섯재배장치(100)는 재배용 상자(10)와, 배지(20)와, 종균(30) 및, 비닐커버(40)를 기본 구성요소로 채택하는바, 재배용 상자(10)에 배지(20)가 탑재되고, 상기 배지(20)에는 종균(30)이 접종되어 있으며, 재배용 상자의 상부는 비닐커버(40)에 의해서 커버링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비닐커버(40)에는 열감응 패턴(130)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열감응 패턴은 재배용 상자의 온도에 따라 일정 색상으로 변환되어 외부로 출력된다.
상기 비닐 커버(40)는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지며, 여기에 온도 센서부(110) 및, 습도 센서부(120), 필름히터(150)와, 이산화탄소센서(140)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즉, 재배용 상자(10)에는 필름 형태로 이루어지는 온도 센서부(110)와 습도 센서부(120) 및, 필름 히터(130)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정용 버섯 재배장치(100)는 물공급부(160)와, 통풍부(170)와, 제어부(180)와, 전원공급부(190)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바, 물공급부(160)는 배지 (20) 사이에 삽입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통풍부(170)는 가정용 버섯 재배장치(100)의 하우징 몸체에 설치되어 재배용 상자(10) 내부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각종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온도와 습도 및 이산화탄소의 양에 따라서 히터와 물공급부(160) 및 통풍부(170)를 적절히 제어하여 버섯의 생육에 만전을 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작용효과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가정용 버섯 재배장치(100)는 버섯 재배상자(10)에 배지(20)가 탑재되고, 상기 배지(20)에는 종균(30)이 접종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종균(30)이 가장 잘 자라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하는바, 내부 온도가 18 ~ 22℃로 유지되고 습도 75 ~ 90%를 유지되게 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불투과성 재배상자를 사용함으로서 재배용기와 배지사이에 버섯발생이 불필요한 부분에 버섯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즉, 투과성으로 재배상자를 사용하게 되면 재배상자의 측면쪽으로 빛이 투과되어 배지(20)와 버섯 재배상지(10)의 틈새에서 발아가 진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로 배지에서 발아되게 되면 온전히 자랄수가 없으므로 취식할 수 없는 상태의 버섯이 재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불투과성 재배용기를 제공하여 측면에서 발아하지 않고 오직 상부면으로만 버섯의 발아가 이루어지도록하여 버섯이 자랄 수 있는 공간에서 충분히 버섯이 자라도록하여 취식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재배상자(10)에는 온도 및 습도를 센싱하는 센서부(110, 120)가 필름형태로 구비되어 있는바, 온도 센싱 패턴에 의해서 재배상자 내부의 온도가 센싱되고, 습도센싱 패턴에 의해서 습도가 센싱된다.
상기 온도센싱 결과에 따라서 기준범위 아래로 온도가 떨어지면 히터 필름(150)에 전원을 공급하여 원하는 온도범위로 버섯 재배장치의 내부 온도를 올린다.
아울러, 재배 상자 내부의 습도가 기준이하로 내려가면 물공급부(160)를 가동하여 재배상자 내부에 일정한 습도가 유지되도록 유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재배상자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가 더 구비되어 있는바, 버섯 재배상자(10) 내부의 이산화탄소가 기준치를 넘어가면 통풍부(170)를 가동하여 재배상자(10) 내부의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토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온도감응 패턴이 비닐커버(40)에 설치되어 있어 재배상자(10) 내부의 온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필름히터(150)가 고장이 나거나 하여 재배상자(10) 내부의 온도가 기준을 벗어나 있어서 재대로 보정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시각적으로 재배상자(10) 내부의 상태를 파악하여 사용자가 적절히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10: 재배용 상자
20: 배지
30: 종균
40: 비닐커버
110: 온도센서부
120: 습도 센서부
130: 이산화탄소 센서
140: 열감응 패턴
150: 필름히터
160: 물공급부
170: 통풍부
180: 제어부
190: 전원공급부

Claims (5)

  1. 폴리프로필렌 또는 HDPE로 된 빛 불투과성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재배용 상자(10)와;
    상기 재배용 상자(10) 내부에 탑재되어 버섯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배지(20)와;
    상기 배지에 접종되는 종균(30)과;
    상기 재배용 상자의 상부에 커버링되는 비닐커버(40)를 포함하되,
    상기 비닐커버(40)의 일측에는 재배용 상자(10)의 온도에 따라 일정 색상으로 변환되어 외부로 출력되는 열감응 패턴(140)을 더 설치하고,
    상기 재배용 상자(10)의 수분 측정 결과 습도가 기준 이하로 판단되면 재배용 상자(10)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160)가 배지(20) 사이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물공급부(160)는 재배용 상자(10)의 내부에 다발로 설치되는 물공급관(162)과, 물공급관 내부에 설치되는 물공급 심지(161)와, 상기 물공급심지로 물을 공급하기위한 물공급펌프(163) 및, 상기 물공급 펌프를 통해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탱크(164)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버섯재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재배용 상자의 일측에 설치되며 재배용 상자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센싱하여 재배용 상자 내부의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상기 온도 센서부(110) 및 습도 센서부(120)와;
    상기 온도 센서부(110)의 재배용 상자 온도 채크결과 온도가 기준이하로 판단되면, 전원공급부(19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열을 발생시킴으로서 재배용 상자 내부가 원하는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필름히터(150)와;
    상기 온도 센서부(110) 및 습도 센서부(120)로부터 온도와 습도 데이터를 입력받아 재배용 상자 내부의 온도가 기준 이하이면 필름히터(150)를 가동하여 온도를 높이고, 아울러 온도가 기준 이상이면 통풍부(170)를 가동하여 기준범위로 내려오도록 유도하며, 습도가 기준이하이면 물공급부(160)를 동작시켜 물을 공급하여 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유도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버섯재배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용 상자 내부의 이산화 탄소량을 체크하는 이산화탄소 센서(130)와;
    상기 재배용 상자(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소형모터 및 송풍팬으로 이루어져 재배용 상자의 내부에 이산화탄소가 많아지면 자동으로 배출시키는 통풍부(1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버섯재배장치.
  5. 삭제
KR1020150007988A 2015-01-16 2015-01-16 가정용 버섯재배장치 KR101687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988A KR101687534B1 (ko) 2015-01-16 2015-01-16 가정용 버섯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988A KR101687534B1 (ko) 2015-01-16 2015-01-16 가정용 버섯재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641A KR20160088641A (ko) 2016-07-26
KR101687534B1 true KR101687534B1 (ko) 2016-12-19

Family

ID=56680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7988A KR101687534B1 (ko) 2015-01-16 2015-01-16 가정용 버섯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753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46818A (zh) * 2018-06-14 2018-10-12 厦门青家园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家用菌菇种植箱
KR20200063376A (ko) 2018-11-27 2020-06-05 씨엔지유기농 영농조합법인 동충하초를 포함하는 버섯류 재배 키트
KR20210092610A (ko) * 2020-01-16 2021-07-26 주식회사 더채움 간이 버섯 재배장치
US11856897B2 (en) 2022-01-10 2024-01-02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Climate control system for a mushroom growing applian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37846A (zh) * 2017-05-22 2017-08-11 柳州市跃坤农业开发有限公司 茶树菇栽培棚温湿度及光照度控制方法
CN107092291A (zh) * 2017-05-22 2017-08-25 柳州市跃坤农业开发有限公司 黑木耳栽培房温湿度控制系统
CN109042092B (zh) * 2018-08-24 2021-05-28 贵州同辉食用菌发展有限公司 一种蘑菇培育用智能培养槽
CN110447473A (zh) * 2019-09-23 2019-11-15 黑龙江八一农垦大学 一种家庭式食用菌种植箱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2550U (ko) * 1990-03-02 1991-11-18
KR100331573B1 (ko) * 1999-06-10 2002-04-06 오남순 자동버섯재배기
KR101220035B1 (ko) * 2010-08-13 2013-01-08 산림조합중앙회 관상용 표고버섯 재배 원목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46818A (zh) * 2018-06-14 2018-10-12 厦门青家园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家用菌菇种植箱
KR20200063376A (ko) 2018-11-27 2020-06-05 씨엔지유기농 영농조합법인 동충하초를 포함하는 버섯류 재배 키트
KR20210092610A (ko) * 2020-01-16 2021-07-26 주식회사 더채움 간이 버섯 재배장치
KR102365603B1 (ko) 2020-01-16 2022-02-21 주식회사 더채움 간이 버섯 재배장치
US11856897B2 (en) 2022-01-10 2024-01-02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Climate control system for a mushroom growing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641A (ko) 2016-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7534B1 (ko) 가정용 버섯재배장치
KR101477087B1 (ko) 분무 수경재배 장치
KR200469809Y1 (ko) 원예 재배기
CN107439348A (zh) 植物培育用基质块
CN106069702A (zh) 一种芽苗菜智能生产系统
CN205727187U (zh) 一种食用菌培养箱
CN108496650A (zh) 植物种植设备
CN103125266A (zh) 银耳短段木熟料层架栽培新方法
KR100331573B1 (ko) 자동버섯재배기
CN107853073A (zh) 一种适用食用菌盆栽培育集成体系及应用
KR101524686B1 (ko) 온도 및 습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버섯재배장치
KR101708432B1 (ko) 버섯 재배기
KR101028954B1 (ko) 화분을 이용한 가정용 버섯의 재배방법 및 버섯재배상자
KR102545542B1 (ko) 식물 재배기
KR20220091057A (ko) 스마트팜형 생육용 테라리움
JP5156243B2 (ja) 観賞用白色ないし黄色鹿角霊芝の栽培方法。
CN207612800U (zh) 一种食用菌培养装置
KR101634857B1 (ko) 목침종균을 이용한 표고버섯 재배방법
KR20100041668A (ko) 표고버섯 상자 재배방법
KR101951218B1 (ko) 표고버섯재배를 위한 원목을 이용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고버섯재배방법
KR101385252B1 (ko) 버섯 재배용 발효액 제조방법
CN206118706U (zh) 一种生态种植箱
CN204392981U (zh) 一种冬季苗床繁育脱毒种苗的温度调控装置
CN104823817A (zh) 一种保湿花盆
KR200390535Y1 (ko) 가정용 새싹 채소 재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