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5603B1 - 간이 버섯 재배장치 - Google Patents

간이 버섯 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5603B1
KR102365603B1 KR1020200006199A KR20200006199A KR102365603B1 KR 102365603 B1 KR102365603 B1 KR 102365603B1 KR 1020200006199 A KR1020200006199 A KR 1020200006199A KR 20200006199 A KR20200006199 A KR 20200006199A KR 102365603 B1 KR102365603 B1 KR 102365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ivation
shielding case
cultivation box
drainag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2610A (ko
Inventor
서효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채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채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채움
Priority to KR1020200006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603B1/ko
Publication of KR20210092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2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20Culture media, e.g. compos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40Cultivation of spaw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50Inoculation of spaw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섯 재배시설이 마련되지 아니한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소규모 장소에서 식용이나 학습용으로 버섯을 재배하도록 하는 간이 버섯 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버섯종균이 접종된 봉상의 배지 성형물과; 상부와 전방이 진출입구가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배지 성형물을 수납하는 재배공간이 형성된 재배함과; 상기 좌우 양측에 진퇴로가 형성되어 진퇴로를 통해 진입되는 재배함을 관통되게 수납하여서, 재배함의 외벽에 덧씌워져 재배함의 외벽을 복층 지지하는 터널형의 차폐 케이스; 및 상기 재배함의 재배공간 내에 진입된 배지 성형물을 재배공간의 바닥면에 설정높이로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차폐 케이스에는 재배공간의 진출입구와 연통하는 개폐창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창에는 투광성 재질의 필름지로 이루어진 투광커버가 배치되는 한편, 상기 재배함과 차폐 케이스는 종이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재배함은 차폐 케이스 내에 관통하여 설치되어서 차폐 케이스에 의해 복층 지지구조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간이 버섯 재배장치{Simple Mushroom Cultivation device}
본 발명은 간이 버섯 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섯 재배시설이 마련되지 아니한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소규모 장소에서 식용이나 학습용으로 버섯을 재배하도록 하는 간이 버섯 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섯은 산과 들의 그늘이나, 썩은 나무 등의 습한 곳에 기생하는데, 눈으로 식별할 수 있는 자실체를 형성하는 무리를 총칭한다. 이러한 버섯류는 채소류에 비해 영양가가 높을 뿐 아니라 고혈압과 당뇨병 등의 성인병에도 효과가 있는 대표적인 건강식품이기 때문에 최근에 건강한 식생활이 강조되면서 많이 소비되고 있다.
즉, 버섯은 일반 채소류에 비해 영양이 높고, 고혈압·당뇨 등에 효과가 있으며, 특히 항암 효과도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목이(木耳) 버섯은 철분과 칼슘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빈혈과 골다공증 예방에 좋으며, 혈액을 정화하고 치질의 울혈을 제거해 주며,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변비와 다이어트에 좋다.
이와 같은 버섯을 재배하는 방법으로는, 통상 용기를 이용하는 방법과, 원목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버섯은 알려진 바와 같이 음지식물이지만, 적절한 채광과 원활한 통풍 및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생육되기 때문에 모두 전문적인 숙련공들을 통하여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버섯이 생산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가정에서 소규모로 재배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보통, 버섯이 재배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종균에 영양소를 공급하는 배지를 형성하고, 배지를 병에 넣은 다음, 버섯 종균을 투여하여 숙성/배양시킨 다음, 생육된 버섯을 수확하게 된다.
이와 같은 버섯 재배 과정은 전문적인 숙련공들에 의해 버섯 재배 농가에서만 가능했고, 일반인들은 종균구입 및 배지생성이 어렵기 때문에 가정에서 소규모, 관상용, 관찰용으로 재배할 수 없었다.
하지만, 최근에 버섯 재배 농가에서는 병에 배지를 투입한 다음, 살균하여 저온 냉각한 후, 버섯 종균을 배지에 접종한 것을 구하여 가정에서 버섯을 재배할 수 있는데, 가정에서 버섯의 생장에 필수적인 온도 및 습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19940023674호의 느타리 버섯 가정용 재배 수확용기와,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20050002488호의 가정용 버섯 재배기가 개발되었다.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19940023674호의 느타리 버섯 가정용 재배 수확 용기는 상면에 구비된 환기구를 통하여 적절한 습도를 유지할 뿐 아니라 분무기의 분사잡업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의 느타리 버섯 가정용 재배 수확 용기는 분사작업이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하기 위하여 환기구를 비교적 크게 형성하기 때문에 용기 내의 수증기가 상승하여 상면의 환기구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습도 조절이 사실상 불가능하고, 수시로 분무기로물을 분사하여 버섯의 재배 조건인 다습한 상태를 만들어 주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하기 불편할 뿐 아니라 실용화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20050002488호의 가정용 버섯 재배기는 배양실을 덮개천으로 형성시키고, 배양실 내부를 버섯의 재배 조건에 맞는 온도 및 습도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수분을 머금은 스펀지 및 스펀지로 열을 공급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발열매트를 포함한다.
하지만, 상기의 가정용 버섯 재배 용기는 배양실이 덮개천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버섯의 생육 과정을 살펴보기 번거롭고, 외부 충격 등에 취약하며, 배양실의 온도 및 습도를 맞추기 위하여 적은 스펀지가 발열매트에 올려지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며, 스펀지가 머금은 수분의 부족으로 인한 과열 또는 수분에 의한 발열매트의 누전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에는 나무의 톱밥 등으로 이루어진 배지(medium)가 채워진 봉지에 종균을 넣고 배양한 후 봉지에 버섯이 자랄 수 있는 버섯 재배구를 뚫어 버섯을 재배하였다. 버섯은 봉지에 형성된 버섯 재배구를 통해 점점 자라게 된다. 이러한 봉지 재배법으로 목이 버섯을 재배하는 방법이 한국공개특허 제2009-0041092호 등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봉지 재배법으로 버섯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봉지의 측면에 버섯 재배구를 형성해야 하는데, 종래에는 펀칭 공구를 사용하여 봉지의 측면에 버섯 재배구를 수작업으로 형성하였다.
버섯 재배구를 수작업으로 형성하면 인력 및 시간이 많이 투입되므로 비용 증가의 원인이 되고, 버섯 재배구가 정확하게 형성되지 못하므로 수확량도 적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봉지는 한번 사용하면 버려야 하므로 비용의 증가는 물론 환경 오염 문제도 있다. 따라서 버섯 재배구를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반복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한 버섯 배지 용기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리고, 좋은 품질의 버섯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케이스에 적절한 산소의 공급이 이루어져야 하고 케이스 내부에 온도나 습도를 적절히 맞추어야 하는바, 현재의 가정용 제품들은 단순히 비닐에 감싸여서 버섯을 재배하는데 그치기 때문에 양질의 버섯을 재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055620(1998, 10 07 공개)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습기에 취약한 종이 재질로 제작된 재배함 내에 함침된 배지 성형물을 배치하여, 주기적으로 수분을 공급하여 배지 성형물에 접종된 버섯종균을 발아하여 재배함에 있어, 상기 재배함이 강도를 향상하여 향상된 경도에 의해 안정된 기능성의 확보가 가능하도록 한 잔류 습도량에 따라 통기구의 유기적인 개폐작용을 도모하여, 과다 습도에 의한 버섯의 고사 발생을 억제하고, 간이 버섯 재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간이 버섯 재배장치는,
버섯종균이 접종된 봉상의 배지 성형물과;
상부와 전방이 진출입구가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배지 성형물을 수납하는 재배공간이 형성된 재배함과;
좌우 양측에 진퇴로가 형성되어, 상기 진퇴로를 통해 진입되는 재배함을 관통되게 수납하여서, 상기 재배함의 외벽에 덧씌워져 재배함의 외벽을 복층 지지하는 터널형의 차폐 케이스; 및
상기 재배함의 재배공간 내에 진입된 배지 성형물을 재배공간의 바닥면에 설정높이로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차폐 케이스에는 재배공간의 진출입구와 연통하는 개폐창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창에는 투광성 재질의 필름지로 이루어진 투광커버가 배치되는 한편, 상기 재배함과 차폐 케이스는 종이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재배함은 차폐 케이스 내에 관통하여 설치되어서 차폐 케이스에 의해 복층 지지구조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층 지지구조를 형성한 재배함의 외벽과, 차폐 케이스의 외벽에는 지지밴드들이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차폐 케이스의 외벽에는 통기공이 형성된 통기형의 지지밴드와 통기공이 형성되지 아니한 차폐형 지지밴드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이와 내접하는 재배함의 외벽에도 통기공이 형성된 통기형 지지밴드와, 통기공이 형성되지 아니한 차폐형 지지밴드가 각각 형성되어서,
상기 차폐 케이스 내에 진입되는 재배함의 진입 거리에 따라, 차폐 케이스에 형성된 통기형 지지밴드와, 재배함에 형성된 통기형 지지밴드 사이의 연통상태가 설정되어 재배공간의 통기상태가 설정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배함, 및 이와 적층되는 차폐 케이스의 후방측벽과 전방측벽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가이드 슬롯과, 상기 가이드 슬롯을 통해 재배공간의 바닥면을 따라 삽입하여 배치되는 배수 트레이, 및 상기 배수 트레이를 통해 배수되는 물을 저수하는 집수조를 포함하되,
상기 후방측벽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 보다 전방측벽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의 형성높이를 낮게 하여, 재배공간에 관통하여 배치된 배수 트레이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수 트레이에는, 좌우 구획된 복수의 분할 배수로가 형성되고, 상기 각 분할 배수로의 배출구간에는 설정높이의 배수 설정단이 형성되어서,
상기 배수 트레이에 형성된 각 분할 배수로에는 배수 설정단 높이 만큼의 물이 저수되고, 나머지 물은 배수 설정단을 오버 플로우하여 전방에 배치된 집수조로 배수하여 집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종이를 통해 재배함과 차폐 케이스가 제작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안정된 배수와 보습이 가능하므로, 가정 등지에서 소규모로 양질의 버섯의 재배가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재배함과 차폐 케이스 사이에 지지밴드를 통한 강성 보강구조와, 상기 지지밴드에 형성된 통기량 조절구조를 통해 주위 환경에 따라 통기성의 조절이 가능하고, 또 독특한 배수구조에 의해 배지 성형물에서 배출된 물에 의한 종이 재질로 제작된 재배함이나 차폐 케이스의 손상이 예방되고, 또 안정적인 배수와 충분한 보습 조건이 제공되어 버섯 재배에 따른 최적의 조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간이 버섯 재배장치의 외형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간이 버섯 재배장치의 정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간이 버섯 재배장치의 측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간이 버섯 재배장치에 있어, 배수 트레이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간이 버섯 재배장치에 있어, 재배함과 차폐 케이스 사이에 형성된 통기 조절구조의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간이 버섯 재배장치에 있어, 온습도 조절부재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간이 버섯 재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간이 버섯 재배장치의 외형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간이 버섯 재배장치의 정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간이 버섯 재배장치의 측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간이 버섯 재배장치에 있어, 배수 트레이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간이 버섯 재배장치에 있어, 재배함과 차폐 케이스 사이에 형성된 통기 조절구조의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간이 버섯 재배장치에 있어, 온습도 조절부재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간이 버섯 재배장치(1)는, 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버섯의 재배환경이 마련되지 아니한 장소에 설치되어, 소규모의 버섯을 재배하는 용도나, 버섯의 생육을 관찰 및 학습하는 학습용으로 활용된다.
상기 간이 버섯 재배장치(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버섯종균이 접종된 봉상의 배지 성형물(40)과; 상부와 전방이 진출입구(11)가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배지 성형물(40)을 수납하는 재배공간(10a)이 형성된 재배함(10)과; 상기 좌우 양측에 진퇴로(21)가 형성되어 진퇴로(21)를 통해 진입되는 재배함(10)을 관통되게 수납하여서, 재배함(10)의 외벽에 덧씌워져 재배함(10)의 외벽을 복층 지지하는 터널형의 차폐 케이스(20); 및 상기 재배함(10)의 재배공간(10a) 내에 진입된 배지 성형물(40)을 재배공간(10a)의 바닥면에 설정높이로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 받침대(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재배함(10)과 차폐 케이스(20)는 종이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재배함(10)은 차폐 케이스(20) 내에 관통되게 배치되어 재배공간(10a)에 형성된 진출입구(11)의 개폐상태가 설정되며, 또 차폐 케이스(20)에 의해 복층 지지구조를 형성하여 향상된 지지 안정성이 확보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복층 지지구조로 조립되는 재배함(10)의 외벽과, 차폐 케이스(20)의 외벽에,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환형의 견착 지지밴드(12a, 12b, 22a, 22b)들을 대응되게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차폐 케이스(20)의 중공부 내에 길이방향으로 진입되는 재배함(10)은, 차폐 케이스(20)의 외벽에 형성된 지지밴드(22a, 22b)에 외벽에 형성된 지지밴드(12a, 12b)를 견착하고, 결과적으로 상기 재배함(10)과 차폐 케이스(20)는 상호 중첩하는 지지밴드(12a, 12b, 22a, 22b)에 의해 향상된 지지강도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차폐 케이스(20)에 형성된 지지밴드(22)들과 재배함(10)에 형성된 지지밴드(12a, 12b, 22a, 22b)들 사이에 독특한 통기 조절구조를 마련하여서, 차폐 케이스(20)의 중공부 내에 길이방향으로 진입되는 재배함(10)의 진입거리에 따라 재배공간(10a)의 통기량이 조절되도록 한다.
이를 상술하자면, 상기 차폐 케이스(20)의 외벽에 통기공이 형성되지 아니한 차폐형 지지밴드(22a)와 통기공(22b-a)이 형성된 통기형 지지밴드(22b)들을 형성하고, 이와 내접하는 재배함(10)의 외벽에도 통기공(12b-a)이 형성된 통기형 지지밴드(12b)와, 통기공이 형성되지 아니한 차폐형 지지밴드(12a)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재배함(10)의 외벽 양편에 각각, 통기형 지지밴드(12b)와, 통기공이 형성되지 아니한 차폐형 지지밴드(12a)를 좌우 이격되게 형성하고, 상기 차폐 케이스(20)의 외벽 양편에는 통기형 지지밴드(22b)와 차폐형 지지밴드(22a)를 대응되게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차폐 케이스(20)에 진입되는 재배함(10)의 진입거리를 조절하여 도 6a과 같이 차폐 케이스(20)에 형성된 통기형 지지밴드(12b)와 외벽에 형성된 통기형 지지밴드(22b)를 일치하여서, 재배공간(10a)이 통기형 지지밴드(12b, 22b)에 형성된 통기공(12b-a, 22b-a)들을 통해 외부와 통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도 6b와 같이 차폐 케이스(20)에 형성된 차폐형 지지밴드(22a)와 외벽에 형성된 차폐형 지지밴드(12a), 또는 통기형 지지밴드(12b)를 일치하여서, 재배공간(10a)이 외부와 차폐되도록 구성한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지지밴드(12a, 12b, 22)를 통해 재배함(10)과 차폐 케이스(20)의 지지강도가 향상되고, 특히 재배함(10)의 진입거리의 조절을 통해서 재배함(10)에 형성된 재배공간(10a)의 통기 여부 및 통기상태의 설정이 가능한 특이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차폐 케이스(20)에는 재배함(10)에 형성된 재배공간(10a)의 진출입구(11)와 연통하는 개폐창(23)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창(23)에는 투광성 재질의 필름지로 이루어진 투광커버(24)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투광커버(24)를 통해 개폐창(23)과 이와 연통하는 진출입구(11)의 개폐와 함께, 투광커버(24)를 통해 버섯의 생육에 적합한 빛이 재배공간(10a) 내에 투광되도록 구성하고, 또 재배공간(10a) 내에 생육되는 버섯의 생육 상태을 육안으로 관찰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간이 버섯 재배장치(1)를 통한 버섯의 재배과정은, 사용자가 배지 성형물(40)을 물에 설정시간 동안 함침하여 배지 성형물(40) 내에 물이 침투되도록 한 다음, 상기 물이 침투된 배지 성형물(40)을 진출입구(11)를 통해 재배함(10)의 재배공간(10a) 내에 수납한다.
이때, 상기 재배공간(10a) 내에 수납되는 배지 성형물(40)은 재배공간(10a)의 바닥에 배치된 지지 받침대(30)들에 의해 재배공간(10a)의 바닥면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서, 종이재질로 제작된 재배함(10)이나 재배함(10)에 덧씌워진 종이 재질의 차폐 케이스(20)가 물에 의해 훼손되는 현상을 예방하고, 또 배지 성형물(40) 자체의 안정된 배수성과 통기성이 확보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배지 성형물(40)을 수납한 재배함(10)에는 터널형으로 이루어진 차폐 케이스(20)가 덧씌워져, 차폐 케이스(20)를 통해 재배함(10)은 외부와 차폐되어 생육에 적합한 보온성과 보습성을 확보하며, 특히 외부 차폐에 의해 유해균들이 재배함(10)의 재배공간(10a) 내로 침투하여서 유해균에 의한 버섯의 오염을 방지한다.
이때, 사용자는 차폐 케이스(20) 내에 관통하여 진입되는 재배함(10)의 진입거리를 조절하여, 통기형 지지밴드(12b)와 차폐형 지지밴드(12b)를 통한 재배공간(10a)의 통기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사용자는 주기적으로 상기 차폐 케이스(20)에 형성된 투광커버(24)를 통해 개폐창(23)을 개방한 다음, 상기 개방된 개폐창(23)을 통해 재배공간(10a) 내에 수납된 배지 성형물(40) 내에 수분을 분무하여서, 상기 배지 성형물(40)에 발아 성장하는 버섯이 항시 적정한 습도를 유지하여 안정적인 성장을 도모한다.
그런데, 상기 배지 성형물(40)은 물에 설정시간 동안 함침을 통해 많은 량의 물이 잔류하는 관계로, 종이재질로 제작된 재배함(10)에는 배지 성형물(40)에서 배출된 물이 배출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물에 의해 종이 재질로 제작된 재배함(10)이나 재배함(10)에 덧씌워진 차폐 케이스(20)가 훼손될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간이 버섯 재배장치(1)에 독특한 배수구조를 마련하여, 상기 배지 성형물(40)에서 배출되는 다량의 물이 재배공간(10a)의 바닥으로 누수하여 종이재질로 제작된 재배함(10)이나 차폐 케이스(20)가 물리적으로 손상되거나 부폐하는 현상을 방지하고, 또 배지 성형물(40)에서 배출된 적량의 물은 재배공간(10a) 내에 잔류하여 재배공간(10a) 내에 적량의 습도가 유지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안하고 있는 배수구조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상기 재배함(10), 및 이와 적층되는 차폐 케이스(20)의 후방측벽과 전방측벽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가이드 슬롯(13, 25)과, 상기 가이드 슬롯(13, 25)을 통해 재배공간(10a)의 바닥면을 따라 삽입하여 배치되는 배수 트레이(50), 및 상기 배수 트레이(50)를 통해 배수되는 물을 저수하는 집수조(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배수 트레이(50)는 우수한 방수성을 갖는 필름시트나 플라스틱 사출물로 제작되어, 가이드 슬롯(13, 25)을 통해 복층 지지된 재배함(10)과 차폐 케이스(20)에 전후 방향으로 진입하여서, 재배공간(10a) 내에 배치된 배지 성형물(40)의 저면을 전체적으로 커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와 같이 후방측벽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13, 25) 보다 전방측벽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13, 25)의 형성높이를 낮게 하여, 재배공간(10a)에 관통하여 배치된 배수 트레이(50)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배지 성형물(40)에서 누수하여 배수 트레이(50)에 떨어진 물은 경사면을 따라 전방에 배치된 집수조(60)에 저수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배지 성형물(40)에서 누수되어 배수 트레이(50)에 낙하된 물은, 집수조(60)가 형성된 전방으로 배수하여 집수되므로, 상기 배지 성형물(40)에서 배수된 물이 재배공간(10a)의 바닥으로 떨어져 재배함(10)과 차폐 케이스(20)를 손상하는 현상을 예방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수 트레이(50)의 구조를 개량하여, 배지 성형물(40)에서 배수된 물 중 일부의 물은 재배공간(10a) 내에 잔류하도록 함으로써, 잔류된 물의 증발에 의해 재배공간(10a) 내에 생육하는 버섯의 적정 습도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와 도 5와 같이 상기 배수 트레이(50)에, 좌우 구획된 복수의 분할 배수로(51)를 좌우 구획되게 형성하고, 상기 분할 배수로(51)의 배출구간에는 설정높이의 배수 설정단(52)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배수 트레이(50)에 형성된 각 분할 배수로(51)에는 배수 설정단(52) 높이 만큼의 물이 저수되고, 나머지 물은 배수 설정단(52)을 오버 플로우하여 전방에 배치된 집수조(60)로 배수하여 집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저수구조를 갖는 배수 트레이(50)에 의해 배지 성형물(40)에서 배수된 물 중 일부의 물은 재배공간(10a) 내에 잔류하도록 함으로써, 잔류된 물의 증발에 의해 재배공간(10a) 내에 생육하는 버섯의 적정 습도가 유지되고, 나머지 물은 배수되어 물에 의해 종이 재질로 제작된 재배함(10)과 차폐 케이스(20)의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2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재배함(10)의 재배공간(10a) 내에 배치된 배지 성형물(40)을 권취하며, 일단부(71)는 재배함(10)의 전방으로 노출되고 타단부(72)는 재배함(10)의 후방으로 노출된 하나 이상의 회동 견인로프(70)를 부가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재배공간(10a) 내에 지지 받침대(30)에 안착하여 배치된 배지 성형물은, 회동 견인로프(70)의 일단부(71)와 타단부(72)의 당김에 의해 재배공간(10a) 내에서 정역으로 회전하고, 이러한 배지 성형물(40)의 정역 회전을 통해 배지 성형물(40)에 재배되는 버섯이 개폐창(23)을 통해 제공되는 햇빛을 골고루 제공받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간이 버섯 재배장치(1)는 주위의 온도나 습도에 따라 버섯의 재배 영향을 받게 되며, 버섯 재배에 숙련된 지식이 없는 일반인들이 적악조건에서 버섯을 재배할 경우 실패확률이 높다.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재배함(10) 내에 재배되는 배지 성형물(40)에, 버섯의 재배에 적합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는 온습도 조절구조를 마련하여, 버섯 재배의 성공확률을 증대하고 또 고품질의 버섯의 재배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습온도 조절구조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지 성형물(40)에 좌우 관통하여 형성된 장입공과; 상기 장입공 내에 장입되어 배지 성형물(40)에 습도를 공급하고, 또 버섯의 생육에 접합한 전열을 공급하는 온습도 조절부재(80)를 포함한다.
상기 온습도 조절부재(80)는, 전류를 인가받아 열기를 발산하는 봉상의 전열히터(82)와; 상기 전열히터(82)의 외벽에 배치되며 수분을 보습하고, 전열히터(82)를 통해 제공되는 전열에 의해 보습된 수분을 배지 성형물(40)의 장입공(41)을 통해 배출하는 가습 필터층(81)을 포함한다.
여기서, 가습 필터층(81)은 재배함(10)의 외측에 단부가 노출되고, 상기 단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급수포트(81a)가 배치되어, 상기 가습 필터층(81)은 급수포트(81a)를 통해 외부에서 수분을 공급받고 전열히터(82)에서 발산되는 전열에 의해 흡수된 수분을 증발하여 배지 성형물(40)에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가습 필터층(81)은 전열히터(82)에서 발산되는 전열을 배지 성형물에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열매개체 기능과, 전열을 통해 수분을 증발하여 배지 성형물(40)에 침투되도록 하는 가습기능을 수행하는 긴요한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상기 온습도 조절부재(80)는 재배함(10) 내에 온도값을 계측하는 온도 계측센서(미도시)와, 습도값을 계측하는 습도 계측센서(미도시)와, 상기 온도 계측센서를 통해 계측되는 온도값과, 습도 계측센서를 통해 계측되는 습도값과, 배지 성형물의 투입 시간값에 따라 전열히터(82)의 가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부(83)에 의해 가동이 설정된다.
즉, 상기 온습도 조절부재(80)는 콘트롤러부(83)를 통한 제어에 의해 가습 필터층(81)을 통해 가습 필터층(81)에 잔류된 수분을 도 4와 같이 중탕 가열을 통해 증발하여서, 배지 성형물에 버섯의 발아 및 생육에 적합한 적정 습도와 적정 온도를 제공하고, 결과적으로 버섯 재배에 전문적인 지식이 없거나 사용자가 장기 외출시에도 콘트롤러부(83)의 제어에 의해 버섯의 안정적인 재배가 가능한 특이성을 갖는다.
1. 간이 버섯 재배장치
10. 재배함 10a. 재배공간
11. 진출입구
12a. 차폐형 지지밴드 12b. 통기형 지지밴드
12b-a. 통기공 13. 가이드 슬롯
20. 차폐 케이스 21. 진퇴로
22a. 차폐형 지지밴드 22b. 통기형 지지밴드
22b-a. 통기공 23. 개폐창
24. 투광커버 25. 가이드 슬롯
30. 지지 받침대
40. 배지 성형물 41. 장입공
50. 배수 트레이 51. 분할 배수로
52. 배수 설정단
60. 집수조
70. 견인로프 71. 일단부
72. 타단부
80. 온습도 조절부재 81. 가습 필터층
81a. 급수포트 82. 전열히터

Claims (4)

  1. 버섯종균이 접종된 봉상의 배지 성형물과;
    상부와 전방이 진출입구가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배지 성형물을 수납하는 재배공간이 형성된 재배함과;
    좌우 양측에 진퇴로가 형성되어, 상기 진퇴로를 통해 진입되는 재배함을 관통되게 수납하여서, 상기 재배함의 외벽에 덧씌워져 재배함의 외벽을 복층 지지하는 터널형의 차폐 케이스; 및
    상기 재배함의 재배공간 내에 진입된 배지 성형물을 재배공간의 바닥면에 설정높이로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차폐 케이스에는 재배공간의 진출입구와 연통하는 개폐창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창에는 투광성 재질의 필름지로 이루어진 투광커버가 배치되는 한편,
    상기 재배함과 차폐 케이스는 종이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재배함은 차폐 케이스 내에 관통하여 설치되어서 차폐 케이스에 의해 복층 지지구조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버섯 재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층 지지구조를 형성한 재배함의 외벽과, 차폐 케이스의 외벽에는 지지밴드들이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차폐 케이스의 외벽에는 통기공이 형성된 통기형의 지지밴드와 통기공이 형성되지 아니한 차폐형 지지밴드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이와 내접하는 재배함의 외벽에도 통기공이 형성된 통기형 지지밴드와, 통기공이 형성되지 아니한 차폐형 지지밴드가 각각 형성되어서,
    상기 차폐 케이스 내에 진입되는 재배함의 진입 거리에 따라, 차폐 케이스에 형성된 통기형 지지밴드와, 재배함에 형성된 통기형 지지밴드 사이의 연통상태가 설정되어 재배공간의 통기상태가 설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버섯 재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함, 및 이와 적층되는 차폐 케이스의 후방측벽과 전방측벽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가이드 슬롯과, 상기 가이드 슬롯을 통해 재배공간의 바닥면을 따라 삽입하여 배치되는 배수 트레이, 및 상기 배수 트레이를 통해 배수되는 물을 저수하는 집수조를 포함하되,
    상기 후방측벽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 보다 전방측벽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의 형성높이를 낮게 하여, 재배공간에 관통하여 배치된 배수 트레이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버섯 재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트레이에는, 좌우 구획된 복수의 분할 배수로가 형성되고, 상기 각 분할 배수로의 배출구간에는 설정높이의 배수 설정단이 형성되어서,
    상기 배수 트레이에 형성된 각 분할 배수로에는 배수 설정단 높이 만큼의 물이 저수되고, 나머지 물은 배수 설정단을 오버 플로우하여 전방에 배치된 집수조로 배수하여 집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버섯 재배장치.
KR1020200006199A 2020-01-16 2020-01-16 간이 버섯 재배장치 KR102365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199A KR102365603B1 (ko) 2020-01-16 2020-01-16 간이 버섯 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199A KR102365603B1 (ko) 2020-01-16 2020-01-16 간이 버섯 재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610A KR20210092610A (ko) 2021-07-26
KR102365603B1 true KR102365603B1 (ko) 2022-02-21

Family

ID=77125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199A KR102365603B1 (ko) 2020-01-16 2020-01-16 간이 버섯 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56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59579A (zh) * 2024-03-04 2024-04-12 威海鑫宝食品有限公司 一种食用菌栽培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514Y1 (ko) 2006-05-04 2006-08-09 영농조합법인 착한농부들 가정용 느타리버섯 재배키트
WO2010090463A2 (ko) 2009-02-04 2010-08-12 Lee Jin Woo 버섯 재배 장치
KR101524687B1 (ko) 2014-09-26 2015-06-03 황병민 초음파 가습을 이용한 버섯재배장치
KR101687534B1 (ko) 2015-01-16 2016-12-19 산림조합중앙회 가정용 버섯재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5620A (ko) 1996-12-28 1998-09-25 박병재 카페트재
KR100413727B1 (ko) * 2000-12-16 2003-12-31 장동길 버섯 재배기
KR20150085941A (ko) * 2014-01-17 2015-07-27 정선영 자동 관수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야채 재배 상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514Y1 (ko) 2006-05-04 2006-08-09 영농조합법인 착한농부들 가정용 느타리버섯 재배키트
WO2010090463A2 (ko) 2009-02-04 2010-08-12 Lee Jin Woo 버섯 재배 장치
KR101524687B1 (ko) 2014-09-26 2015-06-03 황병민 초음파 가습을 이용한 버섯재배장치
KR101687534B1 (ko) 2015-01-16 2016-12-19 산림조합중앙회 가정용 버섯재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610A (ko) 2021-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7534B1 (ko) 가정용 버섯재배장치
JP2000217449A (ja) 底面灌水法を用いた植物栽培装置及びその植物栽培方法
KR20200099340A (ko) 가정용 수경재배기
KR101941091B1 (ko) 모듈형 식물재배장치
US20130340334A1 (en) Plant growing device
KR102365603B1 (ko) 간이 버섯 재배장치
CN208402679U (zh) 植物种植设备
KR101197232B1 (ko) 목재를 이용한 지렁이 사육 상자
CN107006301B (zh) 天麻防涝种植箱
CN206024775U (zh) 一种室内箱柜式四季蔬菜种植机
CN108496650A (zh) 植物种植设备
CN207284359U (zh) 一种组合式立体植物栽培器
CN206760342U (zh) 一种混合式植物培养箱
KR20190064058A (ko) 모듈형 식물재배장치
CN208666049U (zh) 一种用于野外收集果树嫁接穗的装置
CN211267828U (zh) 一种用于农产品栽培箱装置
CN106804340A (zh) 一种覆垄小苗温室
KR101951218B1 (ko) 표고버섯재배를 위한 원목을 이용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고버섯재배방법
CN207354839U (zh) 一种实验用避光种子发芽盒
CN205454914U (zh) 一种秧苗培育系统
KR200394820Y1 (ko) 새싹 재배 용기
CN213486167U (zh) 一种大型苗木栽植的透气透水装置
US20230088948A1 (en) Shaman's Germinator
CN206442877U (zh) 一种环保台式果蔬栽培箱
CN107333583A (zh) 一种组合式立体植物栽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