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6798B1 - 자동변속장치 및 자동변속장치의 댐퍼클러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변속장치 및 자동변속장치의 댐퍼클러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6798B1
KR101686798B1 KR1020140126704A KR20140126704A KR101686798B1 KR 101686798 B1 KR101686798 B1 KR 101686798B1 KR 1020140126704 A KR1020140126704 A KR 1020140126704A KR 20140126704 A KR20140126704 A KR 20140126704A KR 101686798 B1 KR101686798 B1 KR 101686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leration
damper clutch
driver
vehicle
automatic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6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5297A (ko
Inventor
신성철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6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6798B1/ko
Publication of KR20160035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4Control of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2059/003Detecting or using driving style of a driver, e.g. for adapting shift sche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변속장치 및 자동변속장치의 댐퍼클러치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즉, 자동변속기의 댐퍼클러치를 제어함에 있어서 운전자의 가속의지에 따라 가변적인 최적의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기존의 획일적인 댐퍼클러치 제어로 인한 이질감 구간을 없애면서 운전자가 원하는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는 자동변속장치 및 자동변속장치의 댐퍼클러치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자동변속장치 및 자동변속장치의 댐퍼클러치 제어 방법{AUTOMATIC TRANSMISSION APPARATUS AND DAMPER CLUTCH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동변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댐퍼클러치를 제어함에 있어서 운전자의 가속의지에 따라 가변적인 최적의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기존의 획일적인 댐퍼클러치 제어로 인한 이질감 구간을 없애면서 운전자가 원하는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트랜스미션 차량(또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경우, 엔진 및 트랜스미션(또는, 자동변속기) 각각을 제어하는 엔진제어유닛(ECU) 및 트랜스미션제어유닛(TCU)이 각각 엔진 및 트랜스미션의 특성에 맞도록 최상의 상태로 제어한다.
이러한 자동변속기 차량에서는, 트랜스미션제어유닛(TCU)이, 차량의 주행속도, 엑셀패달 포지션 센서(APS), 스로틀 밸브의 개도율 등 필요한 파라미터를 기초로 하는 제반 변속조건에 따라 자동변속기를 제어함으로써, 기어 변속(예 : 상향 변속, 하향 변속)을 자동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기어 변속의 운전자 편의성 때문에, 현재 수많은 차량에서는 자동변속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헌데, 자동변속기의 경우, 오일을 매개체로 하여 터빈을 회전시켜 동력을 전달하는 토크 컨버터를 채용하기 때문에 보통의 마찰클러치처럼 100% 힘이 전달되지 않는 단점이 있는 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토크 컨버터 내에는 토크 컨버터의 펌프축과 터빈축을 함께 직결시켜 줄 수 있는 댐퍼클러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댐퍼클러치는, 트랜스미션제어유닛(TCU)의 제어에 의해, 차량의 주행속도 및 스로틀 밸브의 개도율이 댐퍼클러치 제어맵에 기초한 작동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작동 온(On) 됨으로써 펌프축과 터빈축을 직결시켜, 펌프축과 터빈축의 회전도 차에 의해 발생되는 동력 손실에 의한 연비 저하를 개선하고 동력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헌데, 기존의 댐퍼클러치 제어 방식은, 설계자(엔지니어)에 의해 설정되는 하나의 댐퍼클러치 제어맵 만을 사용하여, 획일적인 댐퍼클러치 제어를 수행하기 때문에, 운전자 마다 다를 수 있는 운전성향 즉 가속의지가 반영될 수 없어, 운전자 입장에서 댐퍼클러치 제어로 인한 이질감을 느끼는 구간이 생기게 되고 원하는 성능을 얻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댐퍼클러치를 제어함에 있어서 기존의 획일적인 댐퍼클러치 제어로 인한 이질감 구간을 없애면서 운전자가 원하는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댐퍼클러치를 제어함에 있어서 운전자의 가속의지에 따라 가변적인 최적의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기존의 획일적인 댐퍼클러치 제어로 인한 이질감 구간을 없애면서 운전자가 원하는 성능을 만족시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자동변속장치의 댐퍼클러치 제어 방법은, 차량의 주행부하를 예측하는 부하예측단계;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엔진토크를 이용하여 토크 컨버터의 터빈에 대한 상기 댐퍼 클러치의 속도비 및 상기 차량의 기어비에 따른, 상기 차량의 가속도를 예측하는 가속도예측단계; 상기 예측한 주행부하 및 상기 예측한 차량의 가속도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가속의지를 구분하는 가속의지구분단계; 및 운전자의 가속의지 별로 상이한 다수의 댐퍼클러치 제어맵 중, 상기 구분한 운전자의 가속의지에 대응하는 댐퍼클러치 제어맵에 따라 상기 댐퍼클러치를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운전자의 가속의지 별로 맵핑되는 다수의 구분값이 기 설정되며; 상기 가속의지구분단계는, 상기 예측한 차량의 가속도에 상기 다수의 구분값 중 특정 구분값을 적용한 결과값이 상기 예측한 주행부하에 따른 부하값을 초과하면, 상기 특정 구분값에 맵핑된 운전자의 가속의지인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의 구분값은, 제1구분값, 상기 제1구분값 보다 작은 제2구분값, 상기 제2구분값 보다 작은 제3구분값을 포함하며, 상기 운전자의 가속의지는, 작은 구분값에 맵핑되어 있는 것일수록 가속의지가 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의 댐퍼클러치 제어맵은, 상기 댐퍼클러치의 작동 시점 및 타겟 속도비(Target Speed ratio)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자동변속장치는, 차량의 주행부하를 예측하는 부하예측부;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엔진토크와 상기 차량의 속도비 및 기어비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가속도를 예측하는 가속도예측부; 상기 예측한 주행부하 및 상기 예측한 차량의 가속도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가속의지를 구분하는 가속의지구분부; 및 운전자의 가속의지 별로 상이한 다수의 댐퍼클러치 제어맵 중, 상기 구분한 운전자의 가속의지에 대응하는 댐퍼클러치 제어맵에 따라 댐퍼클러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본 발명의 자동변속장치 및 자동변속장치의 댐퍼클러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댐퍼클러치를 제어함에 있어서 운전자의 가속의지에 따라 가변적인 최적의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기존의 획일적인 댐퍼클러치 제어로 인한 이질감 구간을 없애면서 운전자가 원하는 성능을 만족시키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장치가 포함된 차량의 부분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장치의 댐퍼클러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제어 흐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장치가 적용되는 차량(이하, 자동변속기 차량)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될 자동변속기 차량은, 엔진제어감지부(10)에 포함되는 각종 센서로부터 현재 차량의 주행상태와 관련된 정보들이 엔진제어유닛(ECU, 20)으로 입력된다.
ECU(20)에서는, 엔진제어감지부(10)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기 설정된 데이터와 비교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서 엔진제어구동부(30)를 제어함으로써, 엔진(미도시)을 최적의 상태로 제어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ECU(20)에서는, 기어 변속 제어에 필요한 정보가 있으면, 트랜스미션제어유닛(TCU, 40,)으로 해당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엔진제어감지부(10)는, 차속센서, 크랭크 각 센서, 엔진 회전수 센서, 냉각수온 센서, 터빈 회전수 센서, 스로틀 포지션 센서, 엑셀패달 포지션 센서 등등을 포함하여, 엔진 제어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센싱하는 기능부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엔진제어구동부(30)는, 엔진 제어를 위한 모든 구동부를 의미한다.
TCU(50)에서는, ECU(2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와 변속제어 감지부(50)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기 설정된 데이터와 비교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서 변속제어구동부(60) 및 댐퍼클러치제어부(70)를 제어함으로써, 트랜스미션 즉 자동변속기(미도시)에서 기어 변속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변속제어감지부(50)는, 입,출력측 속도 센서, 유온센서, 인히비터 스위치, 브레이크 스위치 등을 포함하여, 자동변속기의 기어 변속 제어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센싱하는 기능부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변속제어구동부(60)는,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수단에 적용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미도시) 등, 자동변속기의 기어 변속 제어를 위한 모든 구동부를 의미한다.
또한, 댐퍼클러치제어부(70)는, TCU(50)에 의한 제어에 따라, 댐퍼클러치(미도시)로 공급되는 작동 유압을 제어하는 댐퍼클러치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미도시) 등, 댐퍼클러치의 작동 온(On)/오프(Off)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부를 의미한다.
이때, 댐퍼클러치는, 자동변속기의 경우, 오일을 매개체로 하여 터빈을 회전시켜 동력을 전달하는 토크 컨버터를 채용하기 때문에 보통의 마찰클러치처럼 100% 힘이 전달되지 않는 단점이 있는 바, 이를 보완하기 위해 토크 컨버터 내에는 설치되어 토크 컨버터의 펌프축과 터빈축을 함께 직결시켜 줄 수 있는 구성이다.
이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는 자동변속기 차량에서는, TCU(50)가 자동변속기의 기어 변속(예 : 상향 변속, 하향 변속)을 자동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자동변속기 차량에서는, TCU(50)가 댐퍼클러치의 작동 온(On)/오프(Off)를 제어하여 펌프축과 터빈축을 작동 조건 만족 시 직결시킴으로써, 펌프축과 터빈축의 회전도 차에 의해 발생되는 동력 손실 즉 토크 컨버터를 채용함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동력 손실을 줄여 동력 효율을 높이고 연비 저하를 개선할 수 있다.
이때, 댐퍼클러치 제어 방식은, TCU(50)가 차량의 주행속도 및 스로틀 밸브의 개도율이 댐퍼클러치 제어맵에 기초한 작동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고, 작동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댐퍼클러치를 작동 온(On)시켜, 펌프축과 터빈축을 직결시키는 방식이다.
헌데, 기존의 댐퍼클러치 제어 방식은, 설계자(엔지니어)에 의해 설정되는 하나의 댐퍼클러치 제어맵 만을 사용하여, 획일적인 댐퍼클러치 제어를 수행하기 때문에 운전자 마다 다를 수 있는 운전성향 즉 가속의지가 반영될 수 없어, 운전자 입장에서 댐퍼클러치 제어로 인한 이질감을 느끼는 구간이 생기게 되고 원하는 성능을 얻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댐퍼클러치를 제어함에 있어서 기존의 획일적인 댐퍼클러치 제어로 인한 이질감 구간을 없애면서 운전자가 원하는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할 본 발명의 자동변속장치는, 기존의 획일적인 댐퍼클러치 제어로 인한 이질감 구간을 없애면서 운전자가 원하는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는, 최적의 댐퍼클러치 제어를 실현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차량의 자동변속장치는, 전술의 TCU(50)와 동일한 구성이거나, TCU(50)에 포함되거나 TCU(50)를 포함하거나 TCU(50)와 연동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TCU(50)와 같은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장치(50)는, 차량의 주행부하를 예측하는 부하예측부(52)와,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엔진토크와 상기 차량의 속도비 및 기어비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가속도를 예측하는 가속도예측부(54)와, 상기 예측한 주행부하 및 상기 예측한 차량의 가속도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가속의지를 구분하는 가속의지구분부(56)와, 운전자의 가속의지 별로 상이한 다수의 댐퍼클러치 제어맵 중, 상기 구분한 운전자의 가속의지에 대응하는 댐퍼클러치 제어맵에 따라 댐퍼클러치를 제어하는 제어부(58)를 포함한다.
여기서, 차량은, 전술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자동변속장치(50)가 적용되는 자동변속기 차량을 의미한다.
부하예측부(52)는, 차량의 주행부하를 예측한다.
예를 들면, 부하예측부(52)는, 차량에 설치된 다양한 센서들을 통해 측정되는 타이어(미도시)의 마찰력, 동력 전달 효율, 공기저항 등과 같은 차량의 외부적인 요인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행부하를 예측할 수 있다.
이때, 차량의 외부적인 요인은 측정 과정에서 오차를 많이 포함하기 때문에, 차륜 운동방정식을 이용하여 관측기 모델을 구성하고, 부하예측부(52)는 이와 같이 구성한 모델을 통해서 차량의 주행부하를 예측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차륜 운동방정식을 이용하여 관측기 모델을 구성하는 방식은, 기존의 다양한 모델 구성 방식 중 하나를 채택하여 실현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가속도예측부(54)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엔진토크와 차량의 속도비 및 기어비에 기초하여, 차량의 가속도를 예측한다.
여기서, 운전자의 조작은 운전자에 의해 입력되는 액셀패달의 조작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액셀패달의 조작은 엔진토크 발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운전자의 의지가 직관적으로 반영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가속도예측부(54)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엔진토크 즉 운전자의 의지가 직관적으로 반영되어 있다고 볼 수 있는 엔진토크와, 차량의 사양(성능)에 따른 속도비 및 기어비에 기초하여, 차량의 가속도를 예측할 수 있다.
가속의지구분부(56)는, 부하예측부(52)에서 예측한 주행부하 및 가속도예측부(54)에서 예측한 차량의 가속도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가속의지를 구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속의지구분부(56)는, 운전자의 가속의지 별로 맵핑되는 다수의 구분값이 기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다수의 구분값으로서 3개의 구분값, 예컨대 제1구분값, 제1구분값 보다 작은 제2구분값, 제2구분값 보다 작은 제3구분값을 언급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와 같이, 다수의 구분값이 제1구분값, 제2구분값, 제3구분값인 경우라면, 다수의 구분값이 각각 맵핑되는 운전자의 가속의지 역시 3개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각 운전자의 가속의지는, 작은 구분값에 맵핑되어 있는 것일수록 가속의지가 크다.
즉, 가장 작은 제3구분값에 맵핑되어 있는 운전자의 가속의지(이하, High 가속의지)가 가장 큰 가속의지를 의미하고, 제3구분값 보다 큰 제2구분값에 맵핑되어 있는 운전자의 가속의지(이하, Low 가속의지)가 그 다음으로 큰 가속의지를 의미하고, 가장 큰 제1구분값에 맵핑되어 있는 운전자의 가속의지(이하, 연비 가속의지)가 가장 작은 가속의지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연비 가속의지는, 가속성능 보다는 연비 측면에 중점을 두는 운전자의 운전성향이라 할 수 있고, High 가속의지는 연비 보다는 가속성능 측면에 중점을 두는 운전자의 운전성향이라 할 수 있고, Low 가속의지는 연비와 가속성능 양 측면에 비슷하게 중점을 두는 운전자의 운전성향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가속의지구분부(56)는, 부하예측부(52)에서 예측한 주행부하 및 가속도예측부(54)에서 예측한 차량의 가속도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가속의지가 전술의 연비 가속의지, Low 가속의지, High 가속의지 중 무엇인지를 구분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속의지구분부(56)는, 가속도예측부(54)에서 예측한 차량의 가속도에 차량의 질량을 곱한 차량의 가속력에 다수의 구분값(제1구분값, 제2구분값, 제3구분값) 중 특정 구분값을 곱한 결과값이 부하예측부(52)에서 예측한 주행부하에 따른 부하값을 초과하면, 상기 특정 구분값에 맵핑된 운전자의 가속의지인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의지구분부(56)는, 가속도예측부(54)에서 예측한 차량의 가속도에 차량의 질량을 곱한 차량의 가속력에 다수의 구분값(제1구분값, 제2구분값, 제3구분값) 중 특정 구분값 예컨대 제2구분값을 곱한 결과값이 부하예측부(52)에서 예측한 주행부하에 따른 부하값을 초과한다면, 상기 제2구분값에 맵핑된 운전자의 가속의지 즉 Low 가속의지인 것으로 구분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연비 가속의지, Low 가속의지, High 가속의지 별 구분 조건을 수식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을 것이다.
연비 가속의지 : (차량의 가속력 * 제1구분값) > 주행부하
Low 가속의지 : (차량의 가속력 * 제2구분값) > 주행부하
High 가속의지 : (차량의 가속력 * 제3구분값) > 주행부하
여기서, 제1구분값, 제2구분값, 제3구분값은, 여러 번의 테스트를 거쳐 운전자의 가속의지를 구분하기 위해 최적으로 설정되는 값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제1구분값은 1.5, 제2구분값은 1.2, 제3구분값은 0.8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58)는, 가속의지구분부(56)에서 운전자의 가속의지 즉 운전성향이 구분되면, 운전자의 가속의지 별로 상이한 다수의 댐퍼클러치 제어맵 중에서 전술의 구분한 운전자의 가속의지에 대응하는 댐퍼클러치 제어맵에 따라 댐퍼클러치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58)는, 운전자의 가속의지 별로 상이한 다수의 댐퍼클러치 제어맵을 기 보유한다.
전술의 실시예와 같이 운전자의 가속의지가 3개 즉 연비 가속의지, Low 가속의지, High 가속의지로 구분되는 경우라면, 다수의 댐퍼클러치 제어맵은 3개 즉 연비 가속의지의 댐퍼클러치 제어맵(이하, 제1댐퍼클러치 제어맵), Low 가속의지의 댐퍼클러치 제어맵(이하, 제2댐퍼클러치 제어맵), High 가속의지의 댐퍼클러치 제어맵(이하, 제3댐퍼클러치 제어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댐퍼클러치 제어맵, 예컨대 제1,제2,제3댐퍼클러치 제어맵 각각은, 댐퍼클러치의 작동 시점 및 타겟 속도비(Target Speed ratio) 중 적어도 하나 상이하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제어부(58)는, 가속의지구분부(56)에서 운전자의 가속의지 즉 운전성향이 구분되면, 다수의 댐퍼클러치 제어맵(제1,제2,제3댐퍼클러치 제어맵) 중에서 전술의 구분한 운전자의 가속의지에 대응하는 댐퍼클러치 제어맵을 확인한다.
즉, 제어부(58)는, 연비 가속의지로 구분된 경우라면 제1댐퍼클러치 제어맵을 확인하고, Low 가속의지로 구분된 경우라면 제2댐퍼클러치 제어맵을 확인하고, High 가속의지로 구분된 경우라면 제3댐퍼클러치 제어맵을 확인할 것이다.
그리고, 제어부(58)는, 운전자의 가속의지(연비 가속의지, Low 가속의지, High 가속의지 중 구분된 하나)에 대응하는 댐퍼클러치 제어맵(제1,제2,제3댐퍼클러치 제어맵 중 확인된 하나)에 따라서, 댐퍼클러치제어부(70) 제어를 통해 댐퍼클러치의 작동 온(On)/오프(Off)를 제어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제어부(58)는, 운전자의 가속의지에 따라 상이한 댐퍼클러치의 작동 시점 및 타겟 속도비가 설정된 댐퍼클러치 제어맵을 사용하여 댐퍼클러치를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의 가속의지 별로 최적화된 시점 및 타겟 속도비를 기초로 댐퍼클러치의 작동을 온(On)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변속장치는, 운전자의 조작 및 차량의 주행부하를 기초로 운전자 마다 다를 수 있는 운전자의 가속의지(운전성향)를 구분하고, 구분한 운전자의 가속의지에 따른 최적의 댐퍼클러치 제어맵을 사용하여 댐퍼클러치를 제어함으로써, 기존의 하나의 댐퍼클러치 제어맵 만을 사용한 획일적인 댐퍼클러치 제어로 인한 이질감 구간을 없애면서 운전자가 원하는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는, 최적의 댐퍼클러치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장치의 댐퍼클러치 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장치(50)의 댐퍼클러치 제어 방법은, 차량 즉 본 발명의 자동변속장치(50)가 적용되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주행부하를 예측한다(S100).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장치(50)의 댐퍼클러치 제어 방법은, 차량에 설치된 다양한 센서들을 통해 측정되는 타이어(미도시)의 마찰력, 동력 전달 효율, 공기저항 등과 같은 차량의 외부적인 요인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행부하를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장치(50)의 댐퍼클러치 제어 방법은,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엔진토크와 차량의 속도비 및 기어비에 기초하여, 차량의 가속도를 예측한다(S110).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장치(50)의 댐퍼클러치 제어 방법은,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엔진토크 즉 운전자의 의지가 직관적으로 반영되어 있다고 볼 수 있는 엔진토크와, 차량의 사양(성능)에 따른 속도비 및 기어비에 기초하여, 차량의 가속도를 예측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장치(50)의 댐퍼클러치 제어 방법은, S100단계에서 예측한 주행부하 및 S110단계에서 예측한 차량의 가속도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가속의지를 구분한다(S120).
전술과 같이 다수의 구분값으로서 제1구분값, 제2구분값, 제3구분값을 언급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장치(50)의 댐퍼클러치 제어 방법은, S100단계에서 예측한 주행부하 및 S110단계에서 예측한 차량의 가속도에 기초하여, 다수의 구분값 즉 제1구분값, 제2구분값, 제3구분값을 대입하여 운전자의 가속의지가 전술의 연비 가속의지, Low 가속의지, High 가속의지 중 무엇인지를 구분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장치(50)의 댐퍼클러치 제어 방법은, S110단계에서 예측한 차량의 가속도에 다수의 구분값(제1구분값, 제2구분값, 제3구분값) 중 특정 구분값을 적용한 결과값이 S100단계에서 예측한 주행부하에 따른 부하값을 초과하면, 특정 구분값에 맵핑된 운전자의 가속의지인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장치(50)의 댐퍼클러치 제어 방법은, S110단계에서 예측한 차량의 가속력에 다수의 구분값(제1구분값, 제2구분값, 제3구분값) 중 특정 구분값 예컨대 제2구분값을 곱한 결과값이 S100단계에서 예측한 주행부하에 따른 부하값을 초과한다면, 상기 제2구분값에 맵핑된 운전자의 가속의지 즉 Low 가속의지인 것으로 구분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장치(50)의 댐퍼클러치 제어 방법은, S120단계의 구분 결과 연비 가속의지로 구분된다면(S130 Yes), 다수의 댐퍼클러치 제어맵(제1,제2,제3댐퍼클러치 제어맵) 중에서 전술의 구분한 운전자의 가속의지 즉 연비 가속의지에 대응하는 제1댐퍼클러치 제어맵을 확인하고, 제1댐퍼클러치 제어맵을 사용하여 댐퍼클러치를 제어한다(S135).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장치(50)의 댐퍼클러치 제어 방법은, S120단계의 구분 결과 Low 가속의지로 구분된다면(S140 Yes), 다수의 댐퍼클러치 제어맵(제1,제2,제3댐퍼클러치 제어맵) 중에서 전술의 구분한 운전자의 가속의지 즉 Low 가속의지에 대응하는 제2댐퍼클러치 제어맵을 확인하고, 제2댐퍼클러치 제어맵을 사용하여 댐퍼클러치를 제어한다(S145).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장치(50)의 댐퍼클러치 제어 방법은, S120단계의 구분 결과 High 가속의지로 구분된다면(S150 Yes), 다수의 댐퍼클러치 제어맵(제1,제2,제3댐퍼클러치 제어맵) 중에서 전술의 구분한 운전자의 가속의지 즉 High 가속의지에 대응하는 제3댐퍼클러치 제어맵을 확인하고, 제3댐퍼클러치 제어맵을 사용하여 댐퍼클러치를 제어한다(S155).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장치(50)의 댐퍼클러치 제어 방법은, S120단계의 구분 결과 연비 가속의지, Low 가속의지, High 가속의지 중 어떠한 가속의지로고 구분되지 않는 경우(S150 No), 다수의 댐퍼클러치 제어맵(제1,제2,제3댐퍼클러치 제어맵) 중 이전에 사용 중인 댐퍼클러치 제어맵 또는 디폴트로 설정된 댐퍼클러치 제어맵을 확인하고, 해당 댐퍼클러치 제어맵을 사용하여 댐퍼클러치를 제어할 수 있다(S160).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장치(50)의 댐퍼클러치 제어 방법은, S120단계의 구분 결과인 운전자의 가속의지(연비 가속의지, Low 가속의지, High 가속의지 중 구분된 하나)에 따라, 상이한 댐퍼클러치의 작동 시점 및 타겟 속도비가 설정된 댐퍼클러치 제어맵(제1,제2,제3댐퍼클러치 제어맵 중 확인된 하나)을 사용하여 댐퍼클러치를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의 가속의지 별로 최적화된 시점 및 타겟 속도비를 기초로 댐퍼클러치의 작동을 온(On)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장치의 댐퍼클러치 제어 방법은, 자동변속기의 댐퍼클러치를 제어함에 있어서 운전자 마다 다를 수 있는 운전자의 가속의지(운전성향)에 따라 가변적인 최적의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기존의 획일적인 댐퍼클러치 제어로 인한 이질감 구간을 없애면서 운전자가 원하는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를 이끌어 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장치 및 자동변속장치의 댐퍼클러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자동변속기의 댐퍼클러치를 제어함에 있어서 운전자의 가속의지에 따라 가변적인 최적의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기존의 획일적인 댐퍼클러치 제어로 인한 이질감 구간을 없애면서 운전자가 원하는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 : 엔진제어감지부 20 : ECU
30 : 엔진제어구동부 40 : 변속제어감지부
50 : TCU 60 : 변속제어구동부
70 : 댐퍼클러치제어부

Claims (5)

  1. 자동 변속장치의 댐퍼클러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부하를 예측하는 부하예측단계;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엔진토크를 이용하여 토크 컨버터의 터빈에 대한 상기 댐퍼 클러치의 속도비 및 상기 차량의 기어비에 따른, 상기 차량의 가속도를 예측하는 가속도예측단계;
    상기 예측한 주행부하 및 상기 예측한 차량의 가속도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가속의지를 구분하는 가속의지구분단계; 및
    운전자의 가속의지 별로 상이한 다수의 댐퍼클러치 제어맵 중, 상기 구분한 운전자의 가속의지에 대응하는 댐퍼클러치 제어맵에 따라 상기 댐퍼클러치를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며,
    운전자의 가속의지 별로 맵핑되는 다수의 구분값이 기 설정되고, 상기 구분값은 운전자의 가속의지를 구별하기 위한 특정 상수값들로서, 작은 구분값에 맵핑되어 있는 것일수록 가속의지가 크며;
    상기 가속의지구분단계는,
    상기 예측한 차량의 가속도에 차량의 질량을 곱한 차량의 가속력에 상기 다수의 구분값 중 특정 구분값을 곱한 결과값이 상기 예측한 주행부하에 따른 부하값을 초과하면, 상기 특정 구분값에 맵핑된 운전자의 가속의지인 것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장치의 댐퍼클러치 제어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구분값은, 제1구분값, 상기 제1구분값 보다 작은 제2구분값, 상기 제2구분값 보다 작은 제3구분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장치의 댐퍼클러치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댐퍼클러치 제어맵은,
    상기 댐퍼클러치의 작동 시점 및 타겟 속도비(Target Speed ratio)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장치의 댐퍼클러치 제어 방법.
  5. 자동변속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부하를 예측하는 부하예측부;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엔진토크를 이용하여 토크 컨버터의 터빈에 대한 댐퍼 클러치의 속도비 및 상기 차량의 기어비에 따른, 상기 차량의 가속도를 예측하는 가속도예측부;
    상기 예측한 주행부하 및 상기 예측한 차량의 가속도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가속의지를 구분하는 가속의지구분부; 및
    운전자의 가속의지 별로 상이한 다수의 댐퍼클러치 제어맵 중, 상기 구분한 운전자의 가속의지에 대응하는 댐퍼클러치 제어맵에 따라 댐퍼클러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운전자의 가속의지 별로 맵핑되는 다수의 구분값이 기 설정되고, 상기 구분값은 운전자의 가속의지를 구별하기 위한 특정 상수값들로서, 작은 구분값에 맵핑되어 있는 것일수록 가속의지가 크며;
    상기 가속의지구분부에서는,
    상기 예측한 차량의 가속도에 차량의 질량을 곱한 차량의 가속력에 상기 다수의 구분값 중 특정 구분값을 곱한 결과값이 상기 예측한 주행부하에 따른 부하값을 초과하면, 상기 특정 구분값에 맵핑된 운전자의 가속의지인 것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장치.
KR1020140126704A 2014-09-23 2014-09-23 자동변속장치 및 자동변속장치의 댐퍼클러치 제어 방법 KR101686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704A KR101686798B1 (ko) 2014-09-23 2014-09-23 자동변속장치 및 자동변속장치의 댐퍼클러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704A KR101686798B1 (ko) 2014-09-23 2014-09-23 자동변속장치 및 자동변속장치의 댐퍼클러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297A KR20160035297A (ko) 2016-03-31
KR101686798B1 true KR101686798B1 (ko) 2016-12-28

Family

ID=55652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6704A KR101686798B1 (ko) 2014-09-23 2014-09-23 자동변속장치 및 자동변속장치의 댐퍼클러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67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1795A (ko) 2018-12-28 2020-07-08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댐퍼 직결 충격 방지를 위한 댐퍼 클러치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30102820A (ko) 2021-12-30 2023-07-07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댐퍼클러치 제어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1572A1 (ja) * 2011-07-20 2013-0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7072B1 (ko) * 1996-11-13 1999-09-01 정몽규 댐퍼 클러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1572A1 (ja) * 2011-07-20 2013-0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1795A (ko) 2018-12-28 2020-07-08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댐퍼 직결 충격 방지를 위한 댐퍼 클러치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30102820A (ko) 2021-12-30 2023-07-07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댐퍼클러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297A (ko) 2016-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1072B2 (en) Hybrid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ransmission
KR101670535B1 (ko) 서로 다른 두 변속기 변속 스케줄 중 한 변속 스케줄을 선택하기 위한 차량의 질량-기반 브레이크포인트 결정 시스템
JP5718489B2 (ja) クラッチのための接触点の決定に関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9458930B2 (en) Shift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CN108980335B (zh) 离合器半结合点自学习的触发方法及装置、双离合式自动变速器
SE1050956A1 (sv) Metod för styrning av en växellåda
KR101199154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변속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14508263A (ja) 接触点適応の必要性を決定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686798B1 (ko) 자동변속장치 및 자동변속장치의 댐퍼클러치 제어 방법
KR20140143879A (ko) 차량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US100542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hift for vehicle
KR102244551B1 (ko) 직결 영역 댐퍼 슬립 시 댐퍼 클러치 압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6641228B (zh) 车辆的控制方法
CN105774811B (zh) 使用转向度控制车辆的系统和方法
KR20160067454A (ko) 차량용 변속 제어 방법 및 장치
JP4345375B2 (ja) エンジンの高回転時燃料カット制御装置
KR101401551B1 (ko) 차량용 마찰 클러치 토크 예측 방법 및 장치
JP4696692B2 (ja) 自動変速制御装置
KR101876879B1 (ko) 다단 자동변속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KR100354023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연비 제어방법
GB2534368A (en) Driveline component protection
KR20180078939A (ko) 차량 변속 댐퍼 듀티 제어 장치 및 방법
JP5257244B2 (ja) 車両の制御装置
JP2010196773A (ja) 車両の制御装置
SE534650C2 (sv) Förfarande och system för styrning av en växellåd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