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6331B1 - 실리콘-탄소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음극, 상기 실리콘-탄소 복합체를 이용하는 이차 전지 및 상기 실리콘-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실리콘-탄소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음극, 상기 실리콘-탄소 복합체를 이용하는 이차 전지 및 상기 실리콘-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6331B1
KR101686331B1 KR1020150082070A KR20150082070A KR101686331B1 KR 101686331 B1 KR101686331 B1 KR 101686331B1 KR 1020150082070 A KR1020150082070 A KR 1020150082070A KR 20150082070 A KR20150082070 A KR 20150082070A KR 101686331 B1 KR101686331 B1 KR 101686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silicon
assembly
carbon composite
carbon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3337A (ko
Inventor
장민철
김정규
김유석
김수환
유진형
성다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50143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3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4Composites as mix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2/101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4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386Silicon or alloys based on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01M4/587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58Carbon nanotubes
    • C01B32/168After-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7Negativ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Abstract

본 명세서는 실리콘-탄소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음극, 상기 실리콘-탄소 복합체를 이용하는 이차 전지 및 상기 실리콘-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리콘-탄소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음극, 상기 실리콘-탄소 복합체를 이용하는 이차 전지 및 상기 실리콘-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SILICONE-CARBON COMPOSITE, ANODE COMPRISING THE SAME,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ILICONE-CARBON COMPOSIT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ILICONE-CARBON COMPOSITE}
본 명세서는 2014년 06월 13일에 한국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 출원 제 10-2014-0072459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는 실리콘-탄소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음극, 상기 실리콘-탄소 복합체를 이용하는 이차 전지 및 상기 실리콘-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 추세에 따라 전원으로 작용하는 전지도 소형화 및 경향화가 요구되고 있다. 소형 경량화 및 고용량으로 충방전 가능한 전지로서 이차 전지가 실용화되고 있으며, 소형 비디오 카메라, 휴대전화, 노트북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 및 통신기기 등에 이용되고 있다.
이차 전지는 높은 에너지와 파워를 갖는 에너지 저장 장치로서 다른 전지에 비해 용량이나 작동 전압이 높다는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높은 에너지로 인해 전지의 안전성이 문제가 되어 폭발이나 화재 등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근래에 각광받고 있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에서는 높은 에너지와 출력특성이 요구되므로 이러한 안전성이 더욱 중요하다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는 양극, 음극, 전해질로 구성되며, 첫번째 충전에 의해 양극 활물질로부터 나온 금속 이온이 음극 활물질, 즉 카본 입자 내에 삽입되고 방전시 다시 탈리되는 등의 양 전극을 왕복하면서 에너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충방전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휴대용 전자기기의 발달로 인하여 고용량의 전지가 계속 요구됨에 따라 기존 음극재로 사용되는 탄소보다 단위 무게당 용량이 월등히 높은 고용량 음극재가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12-0130709 호 (2012.12.03 공개)
본 명세서는 실리콘-탄소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음극, 상기 실리콘-탄소 복합체를 이용하는 이차 전지 및 상기 실리콘-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는 복수의 탄소나노선 또는 탄소나노튜브들이 조립되어, 복수의 탄소나노선 또는 탄소나노튜브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메조포어를 갖는 탄소 조립체; 및 상기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에 구비된 실리콘계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실리콘-탄소 복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상기 실리콘-탄소 복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음극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상기 실리콘-탄소 복합체를 이용하는 것인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상기 이차 전지를 단위 전지로 포함하는 전지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복수의 탄소나노선 또는 탄소나노튜브들이 조립되어, 복수의 탄소나노선 또는 탄소나노튜브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메조포어를 갖는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에 실리콘계 화합물을 침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실리콘-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서,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 안에 실리콘계 물질을 침투시킴으로써, 나노 크기의 Si-C 복합체를 쉽게 합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서,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 안에 구비된 실리콘계 물질은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에 의해서 공간적인 제한을 받기 때문에 실리콘의 부피팽창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서,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 안에 구비된 실리콘계 물질은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에 의해서 공간적인 제한을 받기 때문에 고체 전해질 계면(SEI, solid electrolyte interphase) 형성에 소모되는 리튬의 양을 최소화하여 초기 충전 / 방전 효율을 증가 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서,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 안에 구비된 실리콘계 물질은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에 의해서 공간적인 제한을 받기 때문에 충전 / 방전 중에 입자형 실리콘계 물질이 잘 깨지지 않아 추가적인 고체 전해질 계면(SEI)의 형성을 위한 리튬이 소모되는 부반응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실리콘-탄소 복합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실리콘-탄소 복합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Si 함침 전후의 CMK-3(carbon mesostructured by KAIST-3)의 비표면적측정결과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Si 함침 전후의 CMK-3의 Low angle XRD(x-ray diffractometer)측정결과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Si 함침 전후의 CMK-3의 주사전자현미경측정결과 이미지이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복수의 탄소나노선 또는 탄소나노튜브들이 조립되어, 복수의 탄소나노선 또는 탄소나노튜브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메조포어를 갖는 탄소 조립체; 및 상기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에 구비된 실리콘계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실리콘-탄소 복합체를 제공한다.
상기 탄소 조립체는 복수의 탄소나노선 또는 탄소나노튜브들이 조립되어 형성된 입자이며, 하나의 입자 내의 복수의 탄소나노선 또는 탄소나노튜브는 이웃한 탄소나노선 또는 탄소나노튜브끼리 결합되어 있어 복수의 탄소나노선 또는 탄소나노튜브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메조포어의 크기를 유지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
상기 탄소 조립체는 복수의 탄소나노선 또는 탄소나노튜브들이 육방형으로 균일하게 분포되어 조립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소 조립체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복수의 탄소나노선 또는 탄소나노튜브가 조립되어 탄소 조립체의 길이방향의 수직단면이 육각형이며, 탄소 조립체의 길이방향의 수직단면의 형태는 최외각에 위치한 탄소나노선 또는 탄소나노튜브들에 의해 형성된 모양을 의미한다.
하나의 탄소 조립체 내에 조립된 탄소나노선 또는 탄소나노튜브들이 많아지면 탄소 조립체의 직경, 메조포어의 수 등이 증가한다.
상기 탄소나노선은 길이방향의 수직단면의 직경이 나노단위이며 내부가 모두 탄소로 이루어진 기둥이며,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길이방향의 수직단면의 직경이 나노단위이며 내부가 비어있는 튜브일 수 있다.
상기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의 직경은 나노 사이즈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00 nm 이하일 수 있다. 이 경우 실리콘의 부피 팽창에 따른 응력 저항력이 클뿐 아니라 전지의 고출력 특성 향상에도 한 장점이 있다.
상기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의 직경은 1 nm 이상 100 nm 이하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의 직경은 1 nm 이상 20 n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탄소 조립체의 비표면적은 90 m2/g 이상일 수 있다. 이 경우 탄소 공극 안에 실리콘계 물질의 로딩(loading)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탄소 조립체의 비표면적은 탄소 조립체가 다른 물질과 접촉할 수 있는 면적(m2)을 의미한다.
상기 탄소 조립체는 CMK-3(carbon mesostructured by KAIST-3) 및 CMK-5(carbon mesostructured by KAIST-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소 조립체는 탄소 조립체 입자일 수 있다.
상기 탄소 조립체 입자의 직경은 0.1㎛ 이상 10 ㎛ 이하일 수 있다. 여기서, 탄소 조립체 입자의 직경은 탄소 조립체의 길이방향의 수직단면의 무게중심을 지나는 가장 긴 선의 길이를 의미한다.
상기 실리콘계 물질은 규소원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한정하지 않으나,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에 침투되어 구비된 실리콘계 입자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리콘계 입자는 규소원소를 포함하는 입자를 의미한다.
상기 실리콘계 물질은 실란계 화합물, 실리콘 및 리튬화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란계 화합물은 수소화 규소 화합물을 의미하며, 상기 수소화 규소의 수소 중 어느 하나이상이 할로겐으로 대체된 화합물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실란계 화합물은 실란 화합물 또는 할로겐화 실란 화합물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란 화합물 또는 트리클로로실란 화합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튬화 실리콘은 리튬-규소의 복합화합물을 의미하며, 예를 들면, 상기 리튬화 실리콘 화합물은 Li22Si5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에 구비된 실리콘계 입자의 직경은 상기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의 직경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에 구비된 실리콘계 입자의 직경은 상기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의 직경과 양의 상관관계에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의 직경이 커질수록 상기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에 구비된 실리콘계 입자의 직경이 커지는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에 구비된 실리콘계 입자의 직경은 상기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의 직경과 상기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상기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탄소 조립체의 질량의 합을 100으로 할 때, 상기 탄소 조립체의 질량대비 실리콘계 물질의 질량비는 1:1 내지 1:5일 수 있다. 이 경우 실리콘계 물질의 부피 팽창에 의한 응력 저항력이 커지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탄소 조립체의 전체 기공률을 기준으로 탄소 조립체의 전체 기공률 중 실리콘계 물질이 차지하여 기공률 감소 비율은 20% 이상 95% 이하일 수 있다. 이 경우 실리콘계 물질의 부피팽창의 의한 응력 저항력이 커지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서,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 안에 실리콘계 물질을 침투시킴으로써, 나노 크기의 Si-C 복합체를 쉽게 합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서,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 안에 구비된 실리콘계 물질은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에 의해서 공간적인 제한을 받기 때문에 실리콘의 부피팽창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서,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 안에 구비된 실리콘계 물질은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에 의해서 공간적인 제한을 받기 때문에 고체 전해질 계면(SEI, solid electrolyte interphase) 형성에 소모되는 리튬의 양을 최소화하여 초기 충전 / 방전 효율을 증가 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실리콘은 공간적인 제한을 받지 않는다면, 부피 팽창으로 인해 입자가 깨져 새로운 표면을 만들고, 상기 새로 생긴 표면에 추가적인 고체 전해질 계면이 형성되면서 리튬이 소모되어 충전과 방전의 사이클이 원할하지 못하게 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서,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 안에 구비된 실리콘계 물질은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에 의해서 공간적인 제한을 받기 때문에 충전 / 방전 중에 입자형 실리콘계 물질이 잘 깨지지 않아 추가적인 고체 전해질 계면(SEI)의 형성을 위한 리튬이 소모되는 부반응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는 상기 실리콘-탄소 복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전극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는 상기 실리콘-탄소 복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음극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는 상기 실리콘-탄소 복합체를 이용하는 것인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이차 전지는 본 명세서의 실리콘-탄소 복합체를 포함하는 음극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차 전지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사이에 구비된 분리막을 포함하며, 상기 음극은 상기 실리콘-탄소 복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차 전지는 분리막에 의해 구분된 양극 측의 양극전해액 및 음극 측의 음극전해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극전해액 및 음극 전해액은 용매 및 전해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극전해액 및 음극 전해액은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한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해액은 수계 전해액 또는 비수계 전해액일 수 있으며, 상기 수계 전해액은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수계 전해액은 카보네이트계, 에스테르계, 에테르계, 케톤계, 유기황(organosulfur)계, 유기인(organophosphorous)계, 비양성자성 용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비수계 유기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수계 유기용매는 에틸렌 카보네이트(E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부틸렌 카보네이트(BC), 디메틸 카보네이트(DMC), 디에틸 카보네이트(DEC), 디프로필 카보네이트(DPC), 디부틸 카보네이트(DBC), 에틸 메틸 카보네이트(EMC), 메틸 프로필 카보네이트(MPC), 에틸 프로필 카보네이트(EPC), 플루오로에틸렌카보네이트(FEC), 디부틸에테르, 테트라글라임, 디그라임, 디메톡시에탄, 테트라하이드퓨란, 2-메틸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3-디옥솔란(1,3-dioxolane), 1,4-디옥산, 1,2-디메톡시에탄, 1,2-디에톡시에탄, 1,2-디부톡시에탄, 아세토니트릴, 디메틸포름아미드, 메틸 포르메이트, 에틸 포르메이트, 프로필 포르메이트, 부틸 포르메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프로필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메틸 프로피오네이트, 에틸 프로피오네이트, 프로필 프로피오네이트, 부틸 프로피오네이트, 메틸 부티레이트, 에틸 부티레이트, 프로필 부티레이트, 부틸 부티레이트, γ-부티로락톤, 2-메틸-γ-부티로락톤, 3-메틸-γ-부티로락톤, 4-메틸-γ-부티로락톤, β-프로피오락톤, δ-발레로락톤, 트리메틸 포스페이트, 트리에틸 포스페이트, 트리스(2-클로로에틸) 포스페이트, 트리스(2,2,2-트리플루오로에틸) 포스페이트, 트리프로필 포스페이트, 트리이소프로필 포스페이트, 트리부틸 포스페이트, 트리헥실 포스페이트,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트리톨릴 포스페이트(tritolyl phosphate),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PEGDM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전해염은 물 또는 비수계 유기용매에서 양이온 및 음이온으로 해리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전해액에서 전해염의 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1 M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이차 전지의 충방전 특성이 효과적으로 발현될 수 있다.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위치하는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을 서로 분리 또는 절연시키고, 양극과 음극 사이에 이온 수송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다공성 비전도성 또는 절연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폴리프로필렌 소재의 부직포나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소재의 부직포와 같은 고분자 부직포;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올레핀계 수지의 다공성 필름을 예시할 수 있으며, 이들을 2종 이상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분리막은 필름과 같은 독립적인 부재일 수도 있고, 양극 및/또는 음극에 부가된 코팅층일 수도 있다. 상기 분리막은 전해질을 침투시키는 것으로서 전해질의 지지재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이차 전지의 형태는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코인형, 평판형, 원통형, 뿔형, 버튼형, 시트형 또는 적층형일 수 있다.
상기 이차 전지는 본원 발명의 실리콘-탄소 복합체를 포함하는 음극이 구비된다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이차 전지는 리튬 이차 전지일 수 있다. 상기 리튬 이차 전지의 예시로는 리튬 황 전지 또는 리튬 공기 전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차 전지의 양극은 공기극일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상기 이차 전지를 단위 전지로 포함하는 전지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전지 모듈은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 상태에 따른 이차 전지 사이에 바이폴라(bipolar) 플레이트를 삽입하여 스택킹(stacking)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차 전지가 리튬 공기 전지인 경우,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리튬 공기 전지 각각에 포함된 양극에 공급할 수 있도록 다공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다공성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다공성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지 모듈은 구체적으로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전력저장장치의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에 실리콘계 화합물을 침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실리콘-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에 실리콘계 화합물을 침투시킴으로써, 실리콘계 화합물이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에 침투되어 실리콘계 입자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실리콘계 화합물 및 실리콘계 입자는 각각 규소원자를 포함하는 화합물 및 입자를 의미한다.
여기서, 탄소 조립체 및 실리콘계 입자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를 인용할 수 있다.
상기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에 침투된 실리콘계 화합물은 실란계 화합물, 실리콘 및 리튬화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에 침투된 실리콘계 화합물은 실란계 화합물, 실리콘 및 리튬화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인 화합물 그 자체로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에 침투되거나, 상기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에 침투된 실리콘계 화합물이 화학적으로 변화하여 실란계 화합물, 실리콘 및 리튬화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인 화합물이 될 수도 있다.
상기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에 실리콘계 화합물을 침투시키는 단계는 상기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에 실란계 화합물을 침투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에 실란 또는 트리클로로실란을 침투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화합물이 침투된 탄소 조립체를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단계로 인해, 탄소 조립체에 침투된 실란계 화합물이 실리콘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때, 열처리 온도는 탄소 조립체에 침투된 실란계 화합물이 실리콘으로 변화될 수 있는 온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 150 ℃이상 30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열처리된 탄소 조립체에 침투된 실리콘계 화합물을 리튬금속 또는 요오드화 리튬과 반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처리된 탄소 조립체에 침투된 실리콘을 리튬금속 또는 요오드화 리튬과 반응시킬 수 있다.
상기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에 실리콘계 화합물을 침투시키는 단계는 상기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에 실란계 화합물을 침투시키는 단계이며,
상기 실란계 화합물이 침투된 탄소 조립체를 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열처리 단계 이후 탄소 조립체를 리튬금속 또는 요오드화 리튬과 반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에 실리콘계 화합물을 침투시키는 단계는 상기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에 실란계 화합물을 침투시키는 단계이며,
상기 실란계 화합물이 침투된 탄소 조립체를 열처리함으로써 상기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에 침투된 상기 실란계 화합물을 실리콘으로 변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열처리 단계 이후 탄소 조립체를 리튬금속 또는 요오드화 리튬과 반응시킴으로써 상기 열처리된 탄소 조립체에 침투된 실리콘을 리튬화 실리콘으로 변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튬화 실리콘은 Li22Si5로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본 출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출원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교반기, 환류냉각기, 도입부 및 온도계가 장착된 스테인레스스틸 재질의 100ml 고압반응기에 CMK-3 (ACS (Advanced Chemical Supplier (미)) 15g, 트리클로로실란 30g을 충진했다. 교반기를 통해 5분간 혼합한 후 교반기를 정지시켰다.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고압반응기 내의 기압을 5 torr까지 감압하고, 진공라인을 잠근 후 질소라인을 열어 고압반응기 내부에 질소를 치환했다. 이후 60분 간에 걸쳐 300℃로 승온하고, 반응기 내부압력은 130 atm으로 2시간 동안 유지했다. 이후에 상온으로 냉각하고 10% 수산화나트륨 50g을 첨가함으로써 생성물을 중화시키고 수득된 여과된 생성물을 200℃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했다.
비표면적측정기(BET)를 사용하여 표면적을 측정한 결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클로로실란이 함침되기 전의 CMK-3(1)의 표면적에 비하여 수득된 생성물(2)의 표면적이 크게 감소되어 공극으로 실리콘입자가 함침된 것을 확인하였고, Low angle XRD(x-ray diffractometer)를 측정한 결과, 도 4와 같이, (i) CMK-3에서 보이는 hexagonal pore 구조에 해당되는 (100), (110), (200) peak intensity가 (ii) Si이 함침된 CMK-3 생성물에서 크게 감소된 것을 통해, 실리콘 입자가 CMK-3 pore에 함침되어 있음을 재확인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으로 Si 함침 전후를 관찰한 결과, 도 5와 같이, Si 함침 전인 a와 Si 함침 후인 b가 큰 차이점을 보이고 있지 않는 것으로 보여 Si이 CMK-3의 표면에 존재하지 않고 pore 내부에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1]
Ball milling 공정으로 Si-graphite (70:30 wt.%) 복합체를 합성했다.
[실험예]
하기와 같이 전지셀을 구성하여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초기 효율 및 싸이클 특성을 비교하였다.
- Working electrode: Si 복합체 전극 (실시예 1 또는 비교예 1)
- Counter electrode: Li 금속
- 전해액: Li salt가 복함된 Carbonate 계 전해질
전지셀들을 0.2C/0.5C로 충전/방전하여 각각 100 싸이클의 충방전을 반복한 후, 초기 충방전 효율 및 초기 충방전 효율 대비 100 싸이클 때의 용량 유지율(%)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기존 Si 복합체의 전지셀에 비해 초기 효율 및 사이클 특성의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탁월한 효과를 발휘함을 알 수 있다.
[표 1]
Figure 112015056085273-pat00001

Claims (21)

  1. 복수의 탄소나노선 또는 탄소나노튜브들이 육방형으로 균일하게 분포되어 조립되어, 복수의 탄소나노선 또는 탄소나노튜브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메조포어를 갖는 탄소 조립체; 및
    상기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에 구비된 실리콘계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에 구비된 실리콘계 입자의 직경은 상기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의 직경에 대응되는 것인 실리콘-탄소 복합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입자는 실란계 화합물, 실리콘 및 리튬화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실리콘-탄소 복합체.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의 직경은 100nm 이하인 것인 실리콘-탄소 복합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소 조립체는 탄소 조립체 입자인 것인 실리콘-탄소 복합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소 조립체 입자의 직경은 0.1㎛ 이상 10㎛ 이하인 것인 실리콘-탄소 복합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소 조립체와 실리콘계 입자의 질량비는 1:1 내지 1:5인 것인 실리콘-탄소 복합체.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소 조립체의 전체 메조포어를 기준으로 메조포어 내에 실리콘계 입자가 구비된 메조포어의 백분율은 20% 이상 95% 이하인 실리콘-탄소 복합체.
  11. 청구항 1, 3 및 6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의 실리콘-탄소 복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음극.
  12. 청구항 1, 3 및 6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의 실리콘-탄소 복합체를 이용하는 것인 이차 전지.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이차 전지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사이에 구비된 분리막을 포함하며,
    상기 음극은 상기 실리콘-탄소 복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이차 전지.
  14. 청구항 12의 이차 전지를 단위 전지로 포함하는 전지 모듈.
  15. 복수의 탄소나노선 또는 탄소나노튜브들이 육방형으로 균일하게 분포되어 조립되어, 복수의 탄소나노선 또는 탄소나노튜브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메조포어를 갖는 탄소 조립체의 메조포어에 실란계 화합물을 침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실란계 화합물이 침투된 탄소 조립체를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실리콘-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실란계 화합물은 실란 또는 할로겐화실란인 것인 실리콘-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
  19. 삭제
  20.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단계 이후, 상기 열처리된 탄소 조립체를 리튬금속 또는 요오드화 리튬과 반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실리콘-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
  21. 삭제
KR1020150082070A 2014-06-13 2015-06-10 실리콘-탄소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음극, 상기 실리콘-탄소 복합체를 이용하는 이차 전지 및 상기 실리콘-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16863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2459 2014-06-13
KR1020140072459 2014-06-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3337A KR20150143337A (ko) 2015-12-23
KR101686331B1 true KR101686331B1 (ko) 2016-12-13

Family

ID=54833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070A KR101686331B1 (ko) 2014-06-13 2015-06-10 실리콘-탄소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음극, 상기 실리콘-탄소 복합체를 이용하는 이차 전지 및 상기 실리콘-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249872B2 (ko)
EP (1) EP3157081B1 (ko)
JP (1) JP6604631B2 (ko)
KR (1) KR101686331B1 (ko)
CN (1) CN106463712B (ko)
PL (1) PL3157081T3 (ko)
WO (1) WO20151908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05987A4 (en) 2016-01-20 2019-06-12 Cornell University SULFUR ELECTRODES WITH MULTIPLE DOMAINS, AND THEIR MANUFACTURE
US10693139B2 (en) * 2016-08-12 2020-06-23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Carbonaceous structur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electrode material and catalyst including the carbonaceous structure, and energy storage device including the electrode material
WO2021009845A1 (ja) * 2019-07-16 2021-01-21 株式会社オプトラン 電極及び電極チップ
JP7279260B2 (ja) * 2020-03-27 2023-05-22 子誠 朱 電極及び電極チップ
CN111785922B (zh) * 2020-07-31 2022-04-01 蜂巢能源科技有限公司 锂离子电池电极及其制备方法和应用以及锂离子电池
CN111785923B (zh) * 2020-07-31 2023-05-05 蜂巢能源科技有限公司 锂离子电池阳极及其制备方法和应用与锂离子电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3416A (ja) * 2000-09-11 2002-03-29 Canon Inc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材料、負極及びこれを用いた二次電池
FR2895572B1 (fr) * 2005-12-23 2008-02-15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Materiau a base de nanotubes de carbone et de silicium utilisable dans des electrodes negatives pour accumulateur au lithium
US7776473B2 (en) 2006-03-27 2010-08-17 Shin-Etsu Chemical Co., Ltd. Silicon-silicon oxide-lithium composite, making method,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cell negative electrode material
JP5364978B2 (ja) * 2007-03-28 2013-12-11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表面改質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系材料、その製造方法、電子部材および電子装置
US8679679B2 (en) * 2008-01-11 2014-03-25 A123 Systems, Inc. Silicon based composite material
CN102089240B (zh) * 2008-07-15 2016-06-08 杜伊斯堡-艾森大学 插入硅和/或锡的多孔碳基底
KR101098518B1 (ko) 2009-06-18 2011-12-26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리튬 이차 전지
CN102040212B (zh) * 2009-10-23 2013-01-09 清华大学 碳纳米管复合结构
US8612463B2 (en) 2010-06-03 2013-12-17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Identifying activities using a hybrid user-activity model
US9112224B2 (en) * 2010-06-30 2015-08-1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nergy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2456876A (zh) * 2010-10-27 2012-05-16 李溪 一种锂离子电池石墨化中孔碳/硅复合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
DE102010044008A1 (de) * 2010-11-16 2012-05-16 Varta Micro Innovation Gmbh Lithium-Ionen-Zelle mit verbessertem Alterungsverhalten
WO2012161479A2 (ko) 2011-05-23 2012-1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출력 밀도 특성이 향상된 고출력의 리튬 이차전지
KR101911432B1 (ko) * 2012-06-18 2019-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 담체,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한 전극 촉매 및 상기 전극 촉매를 포함한 막-전극 접합체 및 연료 전지
CN107004830B (zh) * 2014-11-25 2020-04-28 康宁公司 用于锂离子电池阳极的方法和材料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DV. MATER., VOL. 18, ISS. 5, PP. 645-649
NANOTECHNOLOGY, VOL. 24, NO. 2, PP. 1-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49872B2 (en) 2019-04-02
JP2017524630A (ja) 2017-08-31
CN106463712B (zh) 2019-10-11
CN106463712A (zh) 2017-02-22
PL3157081T3 (pl) 2020-11-16
EP3157081A1 (en) 2017-04-19
WO2015190832A1 (ko) 2015-12-17
JP6604631B2 (ja) 2019-11-13
KR20150143337A (ko) 2015-12-23
EP3157081B1 (en) 2020-08-05
EP3157081A4 (en) 2017-12-27
US20170092936A1 (en) 2017-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6331B1 (ko) 실리콘-탄소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음극, 상기 실리콘-탄소 복합체를 이용하는 이차 전지 및 상기 실리콘-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
Bao et al. 3D metal carbide@ mesoporous carbon hybrid architecture as a new polysulfide reservoir for lithium‐sulfur batteries
Choi et al. Challenges facing lithium batteries and electrical double‐layer capacitors
CN108352568B (zh) 多层电解质单元、包括该多层电解质单元的二次电池及其制造方法
KR101918644B1 (ko) 비수계 이차 전지
Guo et al. Lithiophilic Co/Co 4 N nanoparticles embedded in hollow N-doped carbon nanocubes stabilizing lithium metal anodes for Li–air batteries
US10008725B2 (en) Metal-oxygen cell
KR101751602B1 (ko) 애노드,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상기 리튬 이차 전지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및 애노드의 제조방법
US9627727B2 (en) Lithium-air battery with cathode separated from free lithium ion
EP3467912B1 (en)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mixe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US8993165B2 (en) Clathrate allotropes for rechargeable batteries
WO2012046938A1 (ko) 리튬 이온 커패시터용 양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JP7062189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及びこの製造方法
KR20150034261A (ko) 리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99876A (ko) 리튬 이온 2차 전지용 재료 및 그 사용
KR101985462B1 (ko) 마그네슘 이차전지용 양극소재 및 이를 포함하는 마그네슘 이차전지
KR20220095189A (ko)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무기 재료
WO2014069117A1 (ja) 非水二次電池用負極活物質および非水二次電池
US10566605B2 (en) Electrode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US10510495B2 (en) Electrochemical capacitor
KR102024888B1 (ko) 리튬 공기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공기전지
JP2014099291A (ja) 負極活物質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非水電解質二次電池
CN114503311B (zh) 负极活性物质、负极以及二次电池
WO2017079868A1 (en) Novel cathode and lithium ion rechargeable cells
Sumeng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Inorganic Framework Materials and Gel Polymer Electrolytes for Lithium-Sulfur Batte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