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5816B1 - 코크스 분진 집진 장치 - Google Patents

코크스 분진 집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5816B1
KR101685816B1 KR1020150072913A KR20150072913A KR101685816B1 KR 101685816 B1 KR101685816 B1 KR 101685816B1 KR 1020150072913 A KR1020150072913 A KR 1020150072913A KR 20150072913 A KR20150072913 A KR 20150072913A KR 101685816 B1 KR101685816 B1 KR 101685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humidifying
sealing
fume duct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2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8715A (ko
Inventor
강도연
손영락
신길환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2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816B1/ko
Publication of KR20160138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8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3/00Preventing or removing incrustations
    • C10B43/14Preventing incrust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5/00Other deta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코크스 분진 집진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코크스 분진 집진 장치는: 트랜스퍼 카의 흄 후드부에 연결되고, 흄 후드부에서 배출되는 분진이 유동되는 흄 덕트; 흄 덕트에 연결되고, 흄 덕트를 따라 유동되는 분진이 포집되는 포집 장치; 흄 덕트에서 함습분진이 배출되도록 흄 덕트에 연결되는 함습분진 배출관; 및 함습분진 배출관의 단부에 설치되고, 함습분진 배출관의 단부를 실링하는 실링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크스 분진 집진 장치{COKES DUST COLL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코크스 분진 집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함습분진이 포집 장치에 유입되어 포집 장치의 집진 효율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코크스 분진 집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크스 오븐에서 제조된 적열 코크스는 압출차(Push Car)에 의해 코크스 오븐 밖으로 압출된다. 코크스 오븐에서 적열 코크스가 압출될 때에 코크스 분진과 함진 가스가 발생된다. 트랜스퍼 카에서 발생된 코크스 분진과 함진 가스는 흄 후드를 통해 흄 덕트에 배출된 후 흄 덕트를 따라 유동된다. 흄 덕트를 따라 유동되는 코크스 분진과 함진 가스는 포집 장치에 유입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33638호(2014. 03. 19 공개, 발명의 명칭: 흄 덕트 공유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크스 오븐 집진장치 자동 제어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함습분진이 포집 장치에 유입되어 포집 장치의 집진 효율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코크스 분진 집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크스 분진 집진 장치는: 트랜스퍼 카의 흄 후드부에 연결되고, 상기 흄 후드부에서 배출되는 분진이 유동되는 흄 덕트; 상기 흄 덕트에 연결되고, 상기 흄 덕트를 따라 유동되는 분진이 포집되는 포집 장치; 상기 흄 덕트에서 함습분진이 배출되도록 상기 흄 덕트에 연결되는 함습분진 배출관; 및 상기 함습분진 배출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함습분진 배출관의 단부를 실링하는 실링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함습분진 배출관은 상기 흄 덕트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실링 장치는 상기 함습분진 배출관의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 커넥터; 상기 함습분진 배출관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연결 커넥터의 하부를 커버하는 실링 커버; 및 상기 연결 커넥터와 상기 실링 커버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 커버는 상기 연결 커넥터의 단부를 커버하도록 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가 설치되는 디스크부; 및 상기 디스크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 커넥터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는 상기 디스크부에 적층되어 상기 연결 커넥터의 단부에 접촉되는 제1 실링부재; 및 상기 삽입부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연결 커넥터와 상기 제1 실링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커넥터는 상기 함습분진 배출관의 단부에 결합되는 커넥터 몸체; 및 상기 커넥터 몸체의 외측면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면이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배수 스커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흄 덕트에서 상기 함습분진 배출관이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확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관부는 상기 흄 덕트보다 큰 공간이 형성되는 확관 하우징; 상기 확관 하우징의 분진 유입측에 배치되고, 상기 확관 하우징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함습분진을 하향으로 유도하는 제1 유도부; 및 상기 확관 하우징의 분진 배출측에 배치되고, 상기 확관 하우징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함습분진을 가로막아 상기 확관 하우징의 하부로 낙하시키는 제2 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함습분진 배출관이 함습분진을 흄 덕트의 외부로 배출시키므로, 흄 덕트의 함습분진이 포집 장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포집 장치에서 석회석을 포함하는 필터부가 습기에 의해 손상되어 분진의 포집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흄 덕트에서 함습분진 배출관이 연결되는 부분에 확관부가 형성되므로, 확관부에서 함습분진이 가라앉게 된다. 따라서, 흄 덕트에서 함습분진의 회수율 내지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확관 하우징의 분진 유입측과 분진 배출측에 제1 유도부와 제2 유도부가 형성되므로, 흄 덕트에서 함습분진의 회수율 내지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링 장치가 함습분진 배출관의 단부를 실링하도록 설치되므로, 흄 덕트에서 공기가 유동될 때에 함습분진 배출관의 단부를 통해 외부 공기, 분진 및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분진 집진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분진 집진 장치에서 트랜스퍼 카와 흄 덕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분진 집진 장치에서 확관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분진 집진 장치에서 실링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분진 집진 장치에서 실링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분진 집진 장치에서 실링 장치의 실링 커버가 하측으로 빠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크스 분진 집진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코크스 분진 집진 장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분진 집진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분진 집진 장치에서 트랜스퍼 카와 흄 덕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분진 집진 장치는 흄 덕트(110), 포집 장치(130), 함습분진 배출관(140) 및 실링 장치(150)를 포함한다.
흄 덕트(110)(hume duct)는 트랜스퍼 카(101)의 흄 후드부(103)에 연결되고, 흄 후드부(103)에서 배출되는 분진이 유동된다. 트랜스퍼 카(101)는 코크스 오븐(미도시)으로부터 압출된 적열 코크스를 이동대차(미도시)에 적재한다. 흄 덕트(110)는 트랜스퍼 카(101)가 이송되는 경로를 따라 배치된다. 흄 덕트(110)는 상측이 개방되는 덕트부(111)와, 덕트부(111)의 개방부를 덮는 벨트부(112)를 포함한다. 덕트부(111)의 상측을 벨트부(112)가 커버하므로, 흄 덕트(110)에서 분진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포집 장치(130)는 흄 덕트(110)에 연결되고, 흄 덕트(110)를 따라 유동되는 분진이 포집된다. 포집 장치(130)는 흄 덕트(110)의 단부에 연결되어 분진을 포집하는 포집부(131)와, 포집부(131)의 공기를 흡입하여 포집부(131)에 저압을 형성하는 팬장치(135)를 포함한다. 포집부(131)의 내부에는 분진을 포집할 수 있도록 석회석을 포함하는 필터부(132)가 설치된다. 석회석은 습기에 의해 용해되거나 손상될 수 있는 물질이다. 팬장치(135)가 구동되면 포집부(131)의 내부에 저압이 형성되어 흄 덕트(110)에서 분진이 유동된다.
함습분진 배출관(140)은 흄 덕트(110)에서 수분을 흡수한 분진(이하, "함습분진"이라고 함)이 배출되도록 흄 덕트(110)에 연결된다. 함습분진 배출관(140)이 함습분진을 흄 덕트(110)의 외부로 배출시키므로, 흄 덕트(110) 내에서 함습분진이 유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포집 장치(130)에서 석회석을 포함하는 필터부(132)가 습기에 의해 손상되어 분진의 포집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함습분진 배출관(140)은 흄 덕트(110)의 하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다. 함습분진은 습기를 함유하므로, 함습분진이 자중에 의해 흄 덕트(110)의 하부로 가라앉게 된다. 함습분진 배출관(140)이 흄 덕트(110)의 하측으로 연장되므로, 흄 덕트(110)의 하부에 가라앉은 함습분진이 흄 덕트(110)의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함습분진 배출관(140)은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함습분진 배출관(140)은 흄 덕트(110)에 복수 개 연결된다. 따라서, 흄 덕트(110)의 하부의 복수의 개소에서 함습분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흄 덕트(110)에는 함습분진이 공기의 유동 압력에 의해 이동되므로, 함습분진 배출관(140)이 없는 곳에 가라앉은 함습분진은 공기의 유동 압력에 의해 함습분진 배출관(140)으로 이동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분진 집진 장치에서 확관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코크스 분진 집진 장치는 흄 덕트(110)에서 함습분진 배출관(140)이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확관부(120)를 더 포함한다. 확관부(120)는 흄 덕트(110)부에 의해 유로 면적이 넓게 형성되므로, 확관부(120)에서는 흄 덕트(1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압이 형성된다. 따라서, 흄 덕트(110)를 따라 유동되는 함습분진은 확관부(120)에서 가라앉게 되므로, 흄 덕트(110)에서 함습분진의 회수율 내지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확관부(120)는 확관 하우징(121), 제1 유도부(123) 및 제2 유도부(125)를 포함한다.
확관 하우징(121)의 내부에는 흄 덕트(110)의 유로보다 더 큰 공간이 형성된다. 확관 하우징(121)의 하부는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깔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확관 하우징(121)의 내부 공간이 흄 덕트(110)의 유로보다 더 크게 형성되므로, 확관 하우징(121)의 내부에는 흄 덕트(110)의 압력보다 저압이 형성된다. 따라서, 흄 덕트(110)를 따라 유동되는 함습분진이 확관 하우징(121)의 하부에 가라앉게 된다.
제1 유도부(123)는 확관 하우징(121)의 분진 유입측에 배치되고, 확관 하우징(121)의 상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함습분진을 하향으로 유도한다. 따라서, 함습분진이 확관 하우징(121)의 하부에 가라앉도록 유도할 수 있으므로, 흄 덕트(110)에서 함습분진의 회수율 내지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유도부(123)는 확관 하우징(121) 측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 유도부(123)가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분진과 공기가 확관 하우징(121)의 하측으로 보다 원활하게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확관 하우징(121)에서 공기의 유동 저항이 증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유도부(125)는 확관 하우징(121)의 분진 배출측에 배치되고, 확관 하우징(121)의 하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수분을 함유한 분진을 가로막아 확관 하우징(121)의 하부로 낙하시킨다. 따라서, 함습분진이 확관 하우징(121)의 하부에 가라앉도록 유도할 수 있으므로, 흄 덕트(110)에서 함습분진의 회수율 내지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유도부(125)는 확관 하우징(121)의 반대측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2 유도부(125)는 확관 하우징(121) 측이 높고 확관 하우징(121)의 반대측이 낮게 형성되므로, 분진과 공기가 확관 하우징(121)의 상측으로 유동될 때에 함습분진은 상승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확관 하우징(121)에서 함습분진의 회수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분진 집진 장치에서 실링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분진 집진 장치에서 실링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분진 집진 장치에서 실링 장치의 실링 커버가 하측으로 빠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실링 장치(150)는 함습분진 배출관(140)의 단부에 설치되고, 함습분진 배출관(140)의 단부를 실링한다. 실링 장치(150)가 함습분진 배출관(140)의 단부를 실링하므로, 흄 덕트(110)에서 공기가 유동될 때에 함습분진 배출관(140)의 단부를 통해 외부 공기, 분진 및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함습분진 배출관(140)을 통해 공기 유입이 차단되므로, 흄 덕트(110)의 공기 유동 압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링 장치(150)는 연결 커넥터(151), 실링 커버(155) 및 실링부(158)를 포함한다.
연결 커넥터(151)는 함습분진 배출관(140)의 단부에 연결된다. 이때, 연결 커넥터(151)는 함습분진 배출관(140)의 외측면에 압입될 수 있다. 연결 커넥터(151)는 실링 장치(150)가 함습분진 배출관(14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연결 커넥터(151)는 함습분진 배출관(140)의 단부에 결합되는 커넥터 몸체(152)와, 커넥터 몸체(152)의 외측면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면(153a)이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배수 스커트부(153)를 포함한다. 배수 스커트부(153)의 상면(153a)이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분진이나 빗물 등이 커넥터 몸체(152)에서 보다 멀리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먼지나 빗물이 실링 장치(150)의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실링 커버(155)는 함습분진 배출관(140)으로 빗물이나 분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연결 커넥터(151)의 하부를 커버한다. 실링 커버(155)는 연결 커넥터(151)의 단부를 커버하도록 판형으로 형성되고, 실링부(158)가 설치되는 디스크부(156)와, 디스크부(156)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연결 커넥터(151)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157)를 포함한다. 삽입부(157)가 연결 커넥터(151)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디스크부(156)가 실링부(158)를 가압하여 연결 커넥터(151)의 단부에 접촉되게 하므로, 함습분진 배출관(140)의 단부에서 분진과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링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실링부(158)는 연결 커넥터(151)와 실링 커버(155) 사이에 개재된다. 실링부(158)는 연결 커넥터(151)와 실링 커버(155) 사이의 틈새를 밀봉한다. 실링부(158)는 디스크부(156)에 적층되어 연결 커넥터(151)의 단부에 접촉되는 제1 실링부재(158a)와, 실링 커버(155)의 삽입부(157)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연결 커넥터(151)와 제1 실링부재(158a)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실링부재(158b)를 포함한다.
제1 실링부재(158a)는 디스크부(156)의 상면(153a)에 접촉되고, 삽입부(157)를 둘러싸도록 링형태로 형성된다. 제1 실링부재(158a)는 내마모성과 내열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등의 탄성재질로 형성된다.
제1 실링부재(158a)는 연결 커넥터(151)의 단부에 접촉되므로, 실링 커버(155)가 함습분진 배출관(140)의 흡입 압력에 의해 연결 커넥터(151) 측으로 상승될 때에 제1 실링부재(158a)가 연결 커넥터(151)와 실링 커버(155) 사이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실링 장치(150)가 함습분진 배출관(140)의 흡입 압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링부재(158b)는 커넥터 몸체(152)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링 형태로 형성된다. 제2 실링부재(158b)는 삽입부(157)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제2 실링부재(158b)는 배수 스커트부(153)의 하면에 부착되고, 커넥터 몸체(152)의 하측 단부보다 하측으로 연장된다.
제2 실링부재(158b)는 삽입부(157)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므로, 제1 실링부재(158a)에 의해 실링된 부분의 외측을 실링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실링부재(158a)가 연결 커넥터(151)의 단부와 실링 커버(155) 사이를 1차적으로 실링하고, 제2 실링부재(158b)가 연결 커넥터(151)의 단부와 실링 커버(155)의 둘레를 2차적으로 실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분진 집진 장치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팬장치(135)가 구동됨에 따라 포집부(131)와 흄 덕트(110)의 내부에는 유동 압력이 형성된다. 흄 덕트(110)에는 트랜스퍼 카(101)의 흄 후드부(103)에서 배출되는 분진이 유동된다. 흄 덕트(110)의 내부에는 코크스 오븐(미도시)에서 발생된 분진, 수분 등이 유동된다. 또한, 분진, 수분 등이 흄 덕트(110)를 따라 이동되는 동안에 냉각되므로, 흄 덕트(110) 내부에 함습분진이 생성된다.
함습분진이 공기와 함께 흄 덕트(110)의 확관부(120)에 도달된다. 확관 하우징(121)의 내부 공간이 흄 덕트(110)의 유로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확관 하우징(121)의 내부에는 압력이 저하된다. 확관 하우징(121)에서 압력 저하 현상이 발생되므로, 흄 덕트(110)를 따라 유동하던 함습분진이 확관 하우징(121)의 하부로 가라앉게 된다.
이때, 제1 유도부(123)가 확관 하우징(121)의 상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므로, 흄 덕트(110)의 함습분진이 확관 하우징(121)의 하측으로 유도된다. 또한, 제2 유도부(125)가 확관 하우징(121)의 하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므로, 확관 하우징(121)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기가 상승될 때에 함습분진이 제2 유도부(125)에 가로막혀 확관 하우징(121)의 하부로 가라앉게 된다.
확관 하우징(121)에 가라앉은 함습분진은 함습분진 배출관(140)을 통해 배출된다. 또한, 흄 덕트(110)의 하부에 가라앉은 함습분진은 공기의 유동 압력에 의해 확관 하우징(121)으로 유동된 후 함습분진 배출관(140)을 통해 배출된다. 함습분진이 흄 덕트(110)에서 제거되므로, 함습분진이 포집부(13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포집부(131)에서 석회석을 포함하는 필터부(132)가 습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포집 장치(130)의 포집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흄 덕트(110)의 내부에 공기 유동 압력이 발생될 경우, 함습분진 배출관(140)의 내부에는 대기압보다 낮은 흡입 압력이 발생된다. 함습분진 배출관(140)에 흡입 압력이 발생되면, 실링 커버(155)가 흡입 압력에 의해 연결 커넥터(151)에 밀착된다. 이때, 실링부(158)의 제1 실링부재(158a)가 실링 커버(155)와 연결 커넥터(151) 사이의 충격을 흡수하므로, 실링 커버(155)와 연결 커넥터(151)가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링 커버(155)의 삽입부(157)가 함습분진 배출관(140)의 단부에 삽입되고, 제1 실링부재(158a)가 실링 커버(155)의 디스크부(156)와 연결 커넥터(151)의 단부 사이를 밀봉한다. 따라서, 실링 커버(155)와 연결 커넥터(151) 사이의 틈새가 제1 실링부재(158a)에 의해 1차적으로 밀봉된다. 또한, 제2 실링부재(158b)가 연결 커넥터(151)의 커넥터 몸체(152)를 둘러싸는 상태에서 제1 실링부재(158a)와 밀착되므로, 실링 커버(155)와 연결 커넥터(151) 사이의 틈새가 제2 실링부재(158b)에 의해 2차적으로 밀봉된다. 따라서, 외부의 이물질, 습기 및 빗물 등이 함습분진 배출관(140)으로 유입된 후 포집 장치(13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외부의 습기와 빗물 등이 석회석을 포함하는 필터부(132)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함습분진 배출관(140)이 함습분진을 흄 덕트(110)의 외부로 배출시키므로, 흄 덕트(110)의 함습분진이 포집 장치(13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포집 장치(130)에서 석회석을 포함하는 필터부(132)가 습기에 의해 손상되어 분진의 포집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흄 덕트(110)에서 함습분진 배출관(140)이 연결되는 부분에 확관부(120)가 형성되므로, 확관부(120)에서 함습분진이 가라앉게 된다. 따라서, 흄 덕트(110)에서 함습분진의 회수율 내지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확관 하우징(121)의 분진 유입측과 분진 배출측에 제1 유도부(123)와 제2 유도부(125)가 형성되므로, 흄 덕트(110)에서 함습분진의 회수율 내지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링 장치(150)가 함습분진 배출관(140)의 단부를 실링하도록 설치되므로, 흄 덕트(110)에서 공기가 유동될 때에 함습분진 배출관(140)의 단부를 통해 외부 공기, 분진 및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커넥터(151)와 실링 커버(155) 사이에 실링부(158)가 설치되므로, 외부의 분진과 빗물이 함습분진 배출관(140)의 단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링부(158)가 연결 커넥터(151)와 실링 커버(155) 사이를 완충시키므로, 실링 커버(155)가 함습분진 배출관(140)의 흡입 압력에 의해 연결 커넥터(151) 측으로 상승될 때에 실링 커버(155)가 연결 커넥터(151)에 충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1: 트랜스퍼 카 103: 흄 후드부
110: 흄 덕트 111: 덕트부
112: 벨트부 120: 확관부
121: 확관 하우징 123: 제1 유도부
125: 제2 유도부 130: 포집 장치
131: 포집부 132: 필터부
135: 팬장치 140: 함습분진 배출관
150: 실링 장치 151: 연결 커넥터
152: 커넥터 몸체 153: 배수 스커트부
153a: 상면 155: 실링 커버
156: 디스크부 157: 삽입부
158: 실링부 158a: 제1 실링부재
158b: 제2 실링부재

Claims (8)

  1. 트랜스퍼 카의 흄 후드부에 연결되고, 상기 흄 후드부에서 배출되는 분진이 유동되는 흄 덕트;
    상기 흄 덕트에 연결되고, 상기 흄 덕트를 따라 유동되는 분진이 포집되는 포집 장치;
    상기 흄 덕트에서 함습분진이 배출되도록 상기 흄 덕트에 연결되는 함습분진 배출관; 및
    상기 함습분진 배출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함습분진 배출관의 단부를 실링하는 실링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 장치는,
    상기 함습분진 배출관의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 커넥터;
    상기 함습분진 배출관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연결 커넥터의 하부를 커버하는 실링 커버; 및
    상기 연결 커넥터와 상기 실링 커버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분진 집진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습분진 배출관은 상기 흄 덕트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분진 집진 장치.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커버는,
    상기 연결 커넥터의 단부를 커버하도록 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가 설치되는 디스크부; 및
    상기 디스크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 커넥터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분진 집진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디스크부에 적층되어 상기 연결 커넥터의 단부에 접촉되는 제1 실링부재; 및
    상기 삽입부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연결 커넥터와 상기 제1 실링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분진 집진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커넥터는,
    상기 함습분진 배출관의 단부에 결합되는 커넥터 몸체; 및
    상기 커넥터 몸체의 외측면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면이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배수 스커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분진 집진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흄 덕트에서 상기 함습분진 배출관이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확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분진 집진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부는,
    상기 흄 덕트보다 큰 공간이 형성되는 확관 하우징;
    상기 확관 하우징의 분진 유입측에 배치되고, 상기 확관 하우징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함습분진을 하향으로 유도하는 제1 유도부; 및
    상기 확관 하우징의 분진 배출측에 배치되고, 상기 확관 하우징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함습분진을 가로막아 상기 확관 하우징의 하부로 낙하시키는 제2 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분진 집진 장치.
KR1020150072913A 2015-05-26 2015-05-26 코크스 분진 집진 장치 KR101685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2913A KR101685816B1 (ko) 2015-05-26 2015-05-26 코크스 분진 집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2913A KR101685816B1 (ko) 2015-05-26 2015-05-26 코크스 분진 집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8715A KR20160138715A (ko) 2016-12-06
KR101685816B1 true KR101685816B1 (ko) 2016-12-12

Family

ID=57574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2913A KR101685816B1 (ko) 2015-05-26 2015-05-26 코크스 분진 집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581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222Y1 (ko) 2001-07-26 2001-11-23 삼성화학 주식회사 파이프 단부 밀폐용 부시
JP2014066242A (ja) * 2012-08-30 2014-04-17 Mgi Coutier 内燃機関の吸気管路中における空気濾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02679B2 (ja) * 2009-12-08 2015-10-28 カルナット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水洗トイレフランジの封止
KR101410179B1 (ko) * 2012-09-10 2014-06-19 주식회사 포스코 흄덕트 공유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크스 오븐 집진장치 자동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222Y1 (ko) 2001-07-26 2001-11-23 삼성화학 주식회사 파이프 단부 밀폐용 부시
JP2014066242A (ja) * 2012-08-30 2014-04-17 Mgi Coutier 内燃機関の吸気管路中における空気濾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8715A (ko) 201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5110262A (ru) Многоциклонный пылеуловитель и пылесос, содержащий многоциклонный пылеуловитель
TWI588431B (zh) Sinter cooling machine
CN107270353A (zh) 吸油烟机
CN106813281A (zh) 一种高油脂分离度吸油烟机及其内置式螺旋分离装置
CN212632780U (zh) 一种颚式破碎机
KR101685816B1 (ko) 코크스 분진 집진 장치
US6354285B1 (en) Attachment for a dicing saw
CN102688643A (zh) 一种烟囱除尘器
CN209838724U (zh) 一种生产车间排风用管道风机
KR101546839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및 진공청소기
CN105662278A (zh) 旋风集尘装置及吸尘器
CN203379722U (zh) 一种改进型空气滤清器
CN101733852A (zh) 工具机台防尘结构
WO2015158126A1 (zh) 机车复合冷却器空气过滤装置
CN105736422B (zh) 一种通风用负压风机
CN211860771U (zh) 一种密闭式水冷防潮电控柜
WO2015057072A1 (en) Kitchen air extraction canopy having a cavity with air guiding and directing delimiting wall
CN205235671U (zh) 一种油气分离器
CN209680769U (zh) 除尘设备
KR101410189B1 (ko) 코크스 오븐의 폐열을 이용한 수봉식 집진덕트 장치
CN105032041B (zh) 一种高效气水分离器
CN217844051U (zh) 一种吸油烟机
CN213856224U (zh) 一种应用于焦炉平煤作业的集尘装置
CN204109579U (zh) 一种组合式激光刻码机捕尘装置
CN220379800U (zh) 一种烟管过滤模块及油烟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