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2222Y1 - 파이프 단부 밀폐용 부시 - Google Patents

파이프 단부 밀폐용 부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2222Y1
KR200252222Y1 KR2020010022724U KR20010022724U KR200252222Y1 KR 200252222 Y1 KR200252222 Y1 KR 200252222Y1 KR 2020010022724 U KR2020010022724 U KR 2020010022724U KR 20010022724 U KR20010022724 U KR 20010022724U KR 200252222 Y1 KR200252222 Y1 KR 2002522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ubber body
cylindrical rubber
flange
b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7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강환
문병영
최시하
Original Assignee
삼성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227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22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22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2222Y1/ko

Links

Landscapes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랜지(flange) 이음하기 전에 개방된 상태로 있는 파이프의 단부를 밀폐하여 파이프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파이프 단부 밀폐용 부시에 관한 것으로, 선단부는 엔드플레이트(21)에 의해 폐쇄되고, 후단부는 개방되어 파이프(20)의 내부로 끼워지는 원통형 고무몸체(30)와, 원통형 고무몸체(30)의 후단부 가장자리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형성되어 플랜지(22)의 단면(22a)에 밀착되는 납작한 원판형 고무날개(32) 및 원판형 고무날개(32)의 밀착면(32a)상에 형성되는 환형 삼각돌기(32b)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파이프 단부 밀폐용 부시{Pipe end sealing bush}
본 고안은 파이프 단부 밀폐용 부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랜지(flange) 이음하기 전에 개방된 상태로 있는 파이프의 단부를 밀폐하여 파이프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파이프 단부 밀폐용 부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는 파이프의 직경이 비교적 작고 작은 압력이 작용되는 경우 양단을 용접하거나 커플러를 이용하여 접속하고 있으며, 관의 직경이 크고 큰 압력이 작용되는 곳에는 파이프의 끝을 절단한 후 도넛 형태의 플랜지를 파이프의 끝에 용접한 다음 실링재를 사이에 두고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결합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플랜지가 용접된 파이프는 조립하기 전 그 끝 부분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이를 밀폐하지 않고 방치하게 되면, 운반도중 또는 보관 중에 물, 분진, 쇳가루 등의 이물질이 파이프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이물질이 파이프에 유입된 상태에서 조립하게 되면, 내부에 잔류하던 이물질이 유체와 함께 각종 장치(예; 펌프, 노즐, 버너, 연소실)로 이송되어 기계에 치명적인 손상을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대형 선박의 건조에서는 선박을 블록단위로 나누어서 제작한 후 조립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블록과 블록 사이의 파이프 연결은 대부분 플랜지 이음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때 파이프의 끝을 밀봉하지 않게 되면, 물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쉽게 유입되어 유지보수에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플랜지 이음하기 전에 방치된 파이프의 끝을 밀폐함으로써 파이프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고, 조립할 때 제거가 쉬운 파이프 단부 밀폐용 부시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단부는 엔드플레이트에 의해 폐쇄되고, 후단부는 개방되어 파이프의 내부로 끼워지는 원통형 고무몸체와, 원통형 고무몸체의 후단부 가장자리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형성되어 플랜지의 단면에 밀착되는 납작한 원판형 고무날개 및 원판형 고무날개의 밀착면상에 형성되는 환형 삼각돌기로 구성하여 파이프 단부 밀폐용 부시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단부 밀폐용 부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단부 밀폐용 부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단부 밀폐용 부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단부 밀폐용 부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단부 밀폐용 부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단부 밀폐용 부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20 : 파이프 21 : 엔드플레이트
22 : 플랜지 22a : 단면
30 : 원통형 고무몸체 32 : 원판형 고무날개
32a : 밀착면 32b : 환형 삼각돌기
32c : 환형돌기 40 : 경질링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3에 나타낸 일 실시예는 소경 파이프에 적용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20)의 내부로 끼워지는 원통형 고무몸체(30)와, 이 원통형 고무몸체(30)와 일체로 성형되며, 플랜지(22)에 밀착되는 원판형 고무날개(32)로 구성하였다.
여기서 원통형 고무몸체(30)는 삽입방향의 앞에 위치된 선단부는 엔드플레이트(21)에 의해 폐쇄되고, 삽입방향의 뒤에 위치된 후단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선단부의 모서리부분에는 모따기부(30c)가 형성되어 파이프(20) 내부로의 진입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원판형 고무날개(32)는 원통형 고무몸체(30)의 후단부 가장자리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며, 플랜지(22)의 단면(22a)에 밀착되는 밀착면(32a) 가장자리에 환형 삼각돌기(32b)를 형성하여 원판형 고무날개(32)를 플랜지(22)에 밀착시킬 때 탄성 변형되면서 면접촉되도록 구성하였다.
또, 원판형 고무날개(32)의 모서리부분을 라운드 형태로 처리하여 주변 물체의 걸림을 방지하는 동시에 탄성변형이 보다 유연하게 일어나도록 구성하였다.
여기서 원통형 고무몸체(30)의 외경은 끼워지는 파이프(20)의 내경보다 약간 큰 크기를 갖도록 형성하여 원통형 고무몸체(30)가 파이프(20)에 끼워질 때 압입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원통형 고무몸체(30)의 후단부에는 예컨대, 반원형의 단면모양을 갖는 환형돌기(32c)를 형성하여 원판형 고무날개(32)를 플랜지(22)에 좀 더 강하게 밀어붙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첨부도면 도4 내지 도6에 나타낸 다른 실시예는 대경 파이프에 적용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그 구성은 일 실시예와 동일하며, 다만 원통형 고무몸체(30)의 직경을 끼우고자하는 파이프(20)의 직경에 맞도록 크게 하고 있으며, 그 원통형 고무몸체(30)의 내주면에 사각형의 단면모양을 갖는 환형 홈(30g)을 형성하고, 이 환형홈(30g)에 경질링(40)을 설치하여 구성함으로써 보다 큰 직경의 파이프(20)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원통형 고무몸체(30)는 고무와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로 성형되며, 경질링(40)은 이 원통형 고무몸체(30)보다 강한 재질의 경질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성형함으로써 형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파이프(20)에 끼웠을 때 원통형 고무몸체(30)가 파이프(20)의 내주면에 보다 강하게 밀착되도록 구성하였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2h는 플랜지(22)에 형성된 구멍을 나타낸 것이며, 50은 밀폐용 부시 전체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첨부도면 도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경 파이프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밀페용 부시(50)를 구성하고 있는 원통형 고무몸체(30)의 앞부분을 선두로 해서 파이프(20)의 끝에 삽입하게 되면, 원통형 고무몸체(30)가 파이프(2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동시에 그 내주면에 밀착되며, 밀폐용 부시(50)를 구성하고 있는 원판형 고무날개(32)를 앞으로 더 밀게 되면, 이 원판형 고무날개(32)가 플랜지(22)에 더욱 강하게 밀착된다.
이때 원통형 고무몸체(30)에 형성된 모따기부(30c)는 원통형 고무몸체(30)의 진입을 보다 원활하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되며, 원통형 고무몸체(30)의 선단부에 형성된 엔드플레이트(21)는 밀폐작용과 동시에 원통형 고무몸체(30)를 파이프(20)의 내부로 삽입할 때 손끝을 사용해서 밀어 넣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밀폐용 부시(50)를 삽입하기 위한 힘의 작용점이 원통형 고무몸체(30)의 앞부분에 작용되도록 하여 부드러운 원통형 고무몸체(30)의 꺾어짐이나 휨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 원판형 고무날개(32)의 밀착면(32a)에 환형 삼각돌기(32b)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원판형 고무날개(32)가 플랜지(22)에 밀착될 때 먼저 이 환형 삼각돌기(32b)의 가장자리부분이 플랜지(22)에 선접촉 형태로 밀착된 다음 압력을 점점 더 세게 가함에 따라 면접촉으로 진행되어 플랜지(22)와 원판형 고무날개(32)의 접촉부분에서 발생될 수 있는 들뜸을 방지하는 동시에 원판형 고무날개(32)와 플랜지(22) 사이의 접촉압이 약간 떨어지더라도 환형 삼각돌기(32b)의 탄성에 의해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환형돌기(32c)에 압력을 가하여 원판형 고무날개(32)를 플랜지(22)에 좀 더 강하게 밀어붙일 수 있다.
한편, 첨부도면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경 파이프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원통형 고무몸체(30)의 선단부에 형성된 엔드플레이트(21)를 손으로 밀면서 원통형 고무몸체(30)를 파이프(20) 내부로 밀어 넣게 되면, 원통형 고무몸체(30)가 파이프(2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동시에 원통형 고무몸체(3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원판형 고무날개(32)가 플랜지(22)의 단면(22a)에 밀착된다.
이때 원통형 고무몸체(30)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있는 경질링(40)은 이 원통형 고무몸체(30) 보다 강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원통형 고무몸체(30)에서 발생될 수 있는 주름형태의 변형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되는 동시에 원통형 고무몸체(30)가 파이프(20)의 내주면에 좀 더 강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 원판형 고무날개(32)에 형성된 환형 삼각돌기(32b)는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된다.
그리고, 원통형 고무몸체(30)와 원판형 고무날개(32)가 파이프(20)의 내주면과 플랜지(22)의 단면(22a)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파이프(20)는 외부와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물,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파이프(20)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환형돌기(32c)에 압력을 가하여 원판형 고무날개(32)를 플랜지(22)에 좀 더 강하게 밀어붙일 수 있다.
한편, 파이프(20)에 삽입되어 있는 밀폐용 부시(5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플랜지(22)와 원판형 고무날개(32) 사이로 날카로운 공구나 손가락을 집어넣은 다음 원판형 고무날개(32)를 휘어서 잡아당기게 되면, 밀폐용 부시(50)가 파이프(20)로 분리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플랜지가 달린 파이프의 끝 부분을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관 중에 파이프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파이프의 내주면은 물론이고, 플랜지의 단면에 탄성력을 갖고 면접촉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밀폐력을 높일 수 있으며, 더욱이 원판형 고무날개에 형성된 환형 삼각돌기에 의해 플랜지와 원판형 고무날개의 접촉압이 다소 감소하여도 면접촉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원통형 고무몸체에 부가된 경질링에 의해 다소 큰 직경의 파이프에 적용할 때 원통형 고무몸체에 발생될 수 있는 주름이나 사이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플랜지(22)를 갖는 파이프(20)의 끝을 밀폐하기 위한 파이프 단부 밀폐용 부시에 있어서,
    선단부는 엔드플레이트(21)에 의해 폐쇄되고, 후단부는 개방되어 파이프(20)의 내부로 끼워지는 원통형 고무몸체(30)와;
    상기 원통형 고무몸체(30)의 후단부 가장자리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22)의 단면(22a)에 밀착되는 납작한 원판형 고무날개(32); 및
    그 원판형 고무날개(32)의 밀착면(32a)상에 형성되는 환형 삼각돌기(32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단부 밀폐용 부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고무몸체(30)의 후단부에 환형돌기(32c)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단부 밀폐용 부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고무몸체(30)의 내주면에 경질링(4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단부 밀폐용 부시.
KR2020010022724U 2001-07-26 2001-07-26 파이프 단부 밀폐용 부시 KR2002522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724U KR200252222Y1 (ko) 2001-07-26 2001-07-26 파이프 단부 밀폐용 부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724U KR200252222Y1 (ko) 2001-07-26 2001-07-26 파이프 단부 밀폐용 부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2222Y1 true KR200252222Y1 (ko) 2001-11-23

Family

ID=73105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724U KR200252222Y1 (ko) 2001-07-26 2001-07-26 파이프 단부 밀폐용 부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222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082B1 (ko) 2006-11-22 2007-05-02 전찬웅 금형 냉각수관 마개
KR20160138715A (ko) * 2015-05-26 2016-12-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크스 분진 집진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082B1 (ko) 2006-11-22 2007-05-02 전찬웅 금형 냉각수관 마개
KR20160138715A (ko) * 2015-05-26 2016-12-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크스 분진 집진 장치
KR101685816B1 (ko) 2015-05-26 2016-12-12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크스 분진 집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016021A3 (en) Seal ring and method
US6202983B1 (en) Valve seal structured to prevent circumferential slippage
JP2597071Y2 (ja) ガスケット
KR960006181B1 (ko) 가는 관 접속용 커넥터
JP2003130268A (ja) 解除用スリーブと、カップリングアセンブリ
KR200252222Y1 (ko) 파이프 단부 밀폐용 부시
JP4375522B2 (ja) 蟻溝用シールリング
JP2018132078A (ja) ガスケット及び密封構造
JP2001248738A (ja) 偏芯バタフライ弁のシート構造
JP4941640B2 (ja) バルブのシール構造
JP2005083546A (ja) ガスケット
CN112696544A (zh) 一种测压接头软密封机构
JP2007327612A (ja) バルブのシール構造
JPH0214711Y2 (ko)
JP2001056080A (ja) 管継手構造
JP2000320692A (ja) バタフライ弁及びその弁座取付方法
EP0395303A3 (en) Flexible hoses
CN215173076U (zh) 一种测压接头软密封机构
KR0114165Y1 (ko) 관 연결구용 패킹
JP2732344B2 (ja) バタフライ弁
JPS5927594Y2 (ja) ガス栓に用いるメクラ蓋
JPS6111594Y2 (ko)
KR0132170Y1 (ko) 호오스 내장형 첵크 밸브
JPH0590045U (ja) 密封装置
KR200295414Y1 (ko) 합성수지관 밀폐용 밀폐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