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5464B1 - 갠트리 크레인 - Google Patents

갠트리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5464B1
KR101685464B1 KR1020140113272A KR20140113272A KR101685464B1 KR 101685464 B1 KR101685464 B1 KR 101685464B1 KR 1020140113272 A KR1020140113272 A KR 1020140113272A KR 20140113272 A KR20140113272 A KR 20140113272A KR 101685464 B1 KR101685464 B1 KR 101685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eader
trolley
spreaders
gantry cran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3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5855A (ko
Inventor
정태순
Original Assignee
정태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순 filed Critical 정태순
Priority to KR1020140113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464B1/ko
Publication of KR20160025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5/00Base supporting structures with legs
    • B66C5/02Fixed or travelling bridges or gantries, i.e. elongated structures of inverted L or of inverted U shape or tripods
    • B66C5/06Fixed or travelling bridges or gantries, i.e. elongated structures of inverted L or of inverted U shape or tripods with runways or tracks supported for lateral swinging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2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collapsible

Abstract

본 발명은 갠트리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갠트리 크레인은 제1 레인과 제2 레인을 형성하는 제1 내지 제3 붐; 상기 제1 레인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1 트롤리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승강하고,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및 제2 스프레더를 구비한 제1 스프레더 어셈블리; 및 상기 제2 레인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2 트롤리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승강하고,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및 제2 스프레더를 구비한 제2 스프레더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
본 발명은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에 관한 것이다.
크레인(crane)은 하물(荷物)을 들어올려서 운반하는 기계장치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용도와 형상에 따라 천장 크레인(overhead crane), 지브 크레인(jib crane), 언로더(unloader), 타워 크레인(tower crane), 케이블 크레인(cable crane) 및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 등으로 분류되고, 컨테이너 선박에 컨테이너를 적재하거나 하역하는 데에는 갠트리 크레인이 주로 사용된다.
갠트리 크레인은 육상에 평행하게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대차에 결합된 하부 지지대, 하단이 하부 지지대에 결합된 레그, 레그의 상단에 결합된 상부 지지대, 상부 지지대에 결합된 붐, 붐에 설치된 기계실에 의해 붐에 고정되어 있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트롤리, 트롤리에 설치된 호이스트에 연결된 와이어로프에 연결되는 스프레더 및 트롤리와 갠트리 크레인을 운전하는 데에 필요한 조작 수단이 배치된 운전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갠트리 크레인은 20피트 컨테이너 베이와40피트 컨테이너 베이 중 어느 하나의 베이에 적재된 컨테이너만을 하역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갠트리 크레인은 컨테이너 적재 및 하역 속도가 느린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2110호에 2개 이상의 베이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동시에 적재 또는 하역할 수 있도록 2개의 붐(boom)을 구비한 갠트리 크레인이 개시되어 있다.
이하, 상기 공보에 개시된 갠트리 크레인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2110호에 개시된 크레인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2110호에 개시된 갠트리 크레인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 갠트리 크레인(1)은 레그(11), 레그(11)의 상부에 횡 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상부 지지대(12), 상부 지지대(12)에 종 방향으로 설치된 붐 지지대(13), 붐 지지대(13)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2개의 붐(14), 붐 지지대(13)에 설치된 윈치(16), 2개의 붐(14)의 단부 및 윈치(16)와 연결되어 2개의 붐(14)을 격납 상태 또는 하역 상태로 이동시키는 와이어(16-1) 및 하역 상태에서 2개의 붐(14)과 붐 지지대(13)의 내부를 관통하는 다른 와이어(15-1)에 의해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2개의 스프레더 어셈블리(1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부 지지대(12)에는 상부 지지대(12)에서 붐 지지대(13)를 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18)가 구비되고, 붐 지지대(13)에는 이동장치(18)의 작동 시 붐 지지대(13)가 상부 지지대(12)에서 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륜(13-3)이 구비된다.
한편, 이 갠트리 크레인(1)은 20피트 컨테이너와 40피트 컨테이너를 동시에 적재하거나 하역하는 경우,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동장치(18)로 붐 지지대(13)를 이동시켜 2개의 스프레더 어셈블리(15) 각각의 중심과 20피트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20피트 컨테이너 베이의 중심과 40피트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40피트 컨테이너 베이의 중심 각각에 일치시킨 후에, 20피트 컨테이너와 40피트 컨테이너를 동시에 적재하거나 하역한다.
이 갠트리 크레인(1)은 2개의 스프레더 어셈블리(15) 각각의 중심과 20피트 컨테이너 베이의 중심과 40피트 컨테이너 베이의 중심을 일치시키기 위해 붐 지지대(13)을 이동시킨다.
그런데, 이 갠트리 크레인(1)의 붐 지지대(13)들 사이에는 레그(11)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갠트리 크레인(1)은 서로 인접한 컨테이너 베이에 적재되어 있는 컨테이너들을 동시에 하역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레그(11)에 의해 붐 지지대(13)들이 서로 인접한 위치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2110호(발명의 명칭: 횡방향 이동이 가능한 붐을 가진 컨테이너 하역 장치)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인접한 베이에 적재된 2개 이상의 컨테이너를 동시에 하역할 수 있는 갠트리 크레인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붐 지지대의 이동 없이 2개 이상의 스프레더 각각의 중심을 일치시킬수 있고, 2개 이상의 컨테이너 베이 각각의 중심을 일치시킬 수 있어 갠트리 크레인의 무게 중심이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강풍 또는 태풍에 의해 흔들리거나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갠트리 크레인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 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갠트리 크레인은 제1 레인과 제2 레인을 형성하는 제1 내지 제3 붐; 상기 제1 레인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1 트롤리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승강하고,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및 제2 스프레더를 구비한 제1 스프레더 어셈블리; 및 상기 제2 레인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2 트롤리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승강하고,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및 제2 스프레더를 구비한 제2 스프레더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트롤리는 상기 제1 스프레더 어셈블리를 승강하기 위한 2개의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트롤리는 상기 제2 스프레더 어셈블리를 승강하기 위한 2개의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프레더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및 제2 스프레더를 지지하는 제1 헤드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프레더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및 제2 스프레더를 지지하는 제2 헤드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롤리의 폭, 상기 제2 트롤리의 폭, 상기 제1 헤드블록의 폭은 대략 11m이고, 상기 제1트롤리에 포함된 2개의 와이어의 사이 간격과 상기 제2트롤리에 포함된 2개의 와이어의 사이 간격은 10.5~11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스프레더 어셈블리는, 상기 제1 트롤리에 의해 승강하는 제1 헤드 블록 및 상기 제1 헤드 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스프레더 각각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및 제2 스프레더 이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 스프레더 각각의 중심과 컨테이너 베이의 중심을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제1 스프레더 이동부는, 상기 제1 헤드 블록에 결합되는 빔, 상기 제1 스프레더가 결합되고 상기 빔이 끼워지며 상기 빔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제1 슬라이딩 구조물 및 상기 빔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 구조물을 이동시키는 제1 유압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스프레더 어셈블리와 상기 제2 스프레더 어셈블리의 사이 간격은 1m~3.2m에서 가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갠트리 크레인에 의해, 1개의 헤드블럭에 탑재된 2개의 스프레더가 수평으로 각각 이동가능하게 됨으로써 인접한 2개의 컨테이너 베이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동시에 하역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붐 지지대의 이동 없이 스프레더가 수평으로 이동됨으로써2개의 스프레더의 각각의 중심과 2개의 컨테이너 베이 각각의 중심이 일치된다. 따라서 갠트리 크레인의 무게 중심이 편중되는 것이 방지되어 갠트리 크레인이 강풍 또는 태풍에 의해 흔들리거나 전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2110호에 개시된 크레인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2110호에 개시된 갠트리 크레인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갠트리 크레인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갠트리 크레인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갠트리 크레인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더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더 어셈블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갠트리 크레인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갠트리 크레인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갠트리 크레인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갠트리 크레인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갠트리 크레인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갠트리 크레인(100)은 제1 및 제2 레일(R1, R2)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1 및 제2 대차(111, 112), 제1 및 제2 대차(111, 112) 각각의 상부에 결합된 제1 및 제2하부 지지대(121, 122), 제1 및 제2 하부 지지대(121, 122) 각각의 상부에 결합된 제1 및 제2 레그(131, 132), 제 1 및 제2 레그(131, 132)의 상부에 결합된 제1 및 제2 상부 지지대(141, 142), 제1 및 제2 상부 지지대(141, 142)에 결합되어 제1 및 제2 레인(L1, L2)을 형성하는 제1 내지 제3 붐(151, 152, 153), 제1 및 제2 레인(L1, L2) 각각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및 제2 트롤리(161, 162) 및 제1 및 제2 트롤리(161, 162) 각각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제1 및 제2 스프레더 어셈블리(210, 2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스프레더 어셈블리(210, 220) 각각은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제1 및 제2 스프레더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트롤리(161, 162)에는 갠트리 크레인(100)을 운전하기 위한 설비가 배치되는 제1 및 제2 운전실(171, 172) 각각이 더 결합되고, 제1 및 제2 상부 지지대(141, 142)에는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트롤리(161, 162)를 이동시키는 설비가 배치된 기계실(180)이 결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대차(111, 112), 제1 및 제2하부 지지대(121, 122), 제1 및 제2 레그(131, 132), 제1 및 제2 상부 지지대(141, 142), 제1 및 제2 트롤리(161, 162), 제1 및 제2 운전실(171, 172) 및 기계실(180)은 갠트리 크레인에 관한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갠트리 크레인(100)은 제1 내지 제3 붐(151, 152, 153)을 포함하고, 제1 붐(151)과 제2 붐(152)에 의해 제1 레인(L1)이 형성되고 제2 붐(152)과 제3 붐(153)에 의해 제2 레인(L2)이 형성되는 것이 종래의 갠트리 크레인과 다르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갠트리 크레인은 붐을 이동시켜 스프레더 어셈블리의 중심과 컨테이너 베이의 중심을 일치 시켜야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갠트리 크레인(100)은 스프레더 어셈블리의 중심과 컨테이너 베이의 중심을 일치시키기 위해, 제1 내지 제3 붐(151, 152, 153)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제1 내지 제3 붐(151, 152, 153)들 사이 모두에 제1 및 제2 레인(L1, L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프레더 어셈블리(210)와 제2 스프레더 어셈블리(220)의 간격은 1m~3.2m의 범위에서 가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대부분의 컨테이너 선박의 컨테이너 베이들 사이 간격이 1m~3.2m인 것이 고려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더 어셈블리를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제 1스프레더 어셈블리(210)와 제2 스프레더 어셈블리(220)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제1 스프레더 어셈블리(21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스프레더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스프레더 어셈블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스프레더 어셈블리(210)는 제1 트롤리(161)(도 4 참조)에 의해 승강하는 제1 헤드 블록(211), 컨테이너(C)(도 4참조)를 잡거나 놓는 제1 및 제2 스프레더(212-1, 212-2) 및 제1 헤드 블록(210)에 결합되어 제1 및 제2 스프레더(212-1, 212-2) 각각을 이동시키는 제1 및 제2 스프레더 이동부(310, 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스프레더(212-1, 212-2) 각각의 네 꼭지점 부분에는 컨테이너와 결합하는 록핀(216)들이 결합된다. 록핀(216)들 각각은 컨테이너에 형성되는 고정 홀에 삽입된 후에 회전됨으로써 컨테이너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스프레더(212-1, 212-2)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컨테이너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제1 및 제2 스프레더(212-1, 212-2) 각각은 20피트 컨테어너를 잡거나 놓을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스프레더(212-1, 212-2)는 서로 협력하여1개의 40피트 컨테이너를 잡거나 놓을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스프레더(212-1, 212-2)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8332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스프레더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스프레더 이동부(310)는 제1헤드 블록(211)에 결합된 아이 빔(I beam)(311), 제1 스프레더(212-1)에 결합되고 아이 빔(311)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 슬라이딩 구조물(313-1) 및 제1 슬라이딩 구조물(313-1)을 이동시키는 제1 유압장치(31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프레더 이동부(320)는 제1헤드 블록(211)에 결합된 아이 빔(I beam)(311), 제2 스프레더(212-2)에 결합되고 아이 빔(311)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 슬라이딩 구조물(313-2) 및 제2 슬라이딩 구조물(313-2)을 이동시키는 제2 유압장치(3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스프레더 어셈블리(210)는 2개의 컨테이너를 적재 또는 하역하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 스프레더 이동부(310, 320) 각각으로 제1 및 제2 스프레더(212-1, 212-2) 각각을 이동시켜 제1 및 제2 스프레더(212-1, 212-2) 각각의 중심과 2개의 컨테이너 베이 각각의 중심을 일치시키고, 1개의 컨테이너를 적재 또는 하역하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 스프레더(212-1, 212-2)의 중심과 1개의 컨테이너 베이의 중심을 일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붐(151, 152, 153)이 이동되지 않게 되어 갠트리 크레인(100)의 무게 중심이 편중되지 않게 된다.
한편, 제1 트롤리(161)는 제1 스프레더 어셈블리(210)를 승강하기 위한 2개의 와이어(W)를 포함하고, 제2 트롤리(162)는 제2 스프레더 어셈블리(220)를 승강하기 위한 2개의 와이어(W)를 포함하고, 제1 스프레더 어셈블리(210)는 제1 및 제2 스프레더(212-1, 212-2)를 지지하는 제1 헤드블록(211)을 포함하고, 제2 스프레더 어셈블리(220)는 제1 및 제2 스프레더(도면에 미도시)를 지지하는 제2 헤드블록(2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및 제2 트롤리(161, 162)의 폭(d1)과 제1 스프레더 어셈블리(210)의 제1 헤드블록(211)과 제2 스프레더 어셈블리(220)의 제2 헤드블록(221)의 폭(d2)은 대략 11m이고, 제1 및 제2 트롤리(161, 162)각각에서 승강하는 2개의 와이어(W)의 사이 간격은 10.5~11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와이어(W)에 언밸런스 하중이 걸리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갠트리 크레인의 작용 및 효과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갠트리 크레인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8을 참조하면, 갠트리 크레인(100)은 제1 스프레더 어셈블리(210)의 제1 및 제2 스프레더(212-1, 212-2) 모두와 제2 스프레더 어셈블리(220)의 제1 및 제2 스프레더(222-1, 222-2) 모두를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2 스프레더 어셈블리(220)의 제1 및 제2 스프레더(222-1, 222-2)의 내측에 위치한 록핀(216)이 숨겨지게 한다. 이렇게 하면, 갠트리 크레인(100)은 2개의 인접한 20피트 컨테이너 베이에 적재된 2개의 20피트 컨테이너와 40피트 컨테이너 베이에 적재된 1개의 40피트 컨테이너를 동시에 적재하거나 하역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9를 참조하면, 갠트리 크레인(100)은 제1 스프레더 어셈블리(210)의 제1 및 제2 스프레더(212-1, 212-2) 모두와 제2 스프레더 어셈블리(220)의 제1 및 제2 스프레더(222-1, 222-2) 모두를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1 스프레더 어셈블리(210)의 제1 및 제2 스프레더(212-1, 212-2)의 내측에 위치한 록핀(216)과 제2 스프레더 어셈블리(220)의 제1 및 제2 스프레더(222-1, 222-2)의 내측에 위치한 록핀(216)이 숨겨지게 한다. 이렇게 하면, 갠트리 크레인(100)은 2개의 40피트 컨테이너 베이에 적재된 각각 2개의 40피트 컨테이너를 동시에 적재하거나 하역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0을 참조하면, 갠트리 크레인(100)은 제1 스프레더 어셈블리(210)의 제1 스프레더(212-1)와 제2 스프레더(212-2) 사이를 이격시킨다. 이렇게 하면, 갠트리 크레인(100)은 이격되어 배치된 2개의 20피트 컨테이너 베이에 적재된 2개의 20피트 컨테이너와 인접하여 배치된 2개의 20피트 컨테이너 베이에 적재된 2개의 20피트 컨테이너를 동시에 적재하거나 하역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1을 참조하면, 갠트리 크레인(100)은 제1 스프레더 어셈블리(210)의 제1 스프레더(212-1)와 제2 스프레더(212-2) 모두를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하면, 갠트리 크레인(100)는 제1 스프레더 어셈블리(210)의 편중 없이 제1 스프레더 어셈블리(210)의 제2 스프레더(212-2)만으로 20피트 컨테이너를 적재하거나 하역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갠트리 크레인(100)은 다양한 조합 및 다양한 간격으로 배열되는20 피트 컨테이너 베이와 40 피트 컨테이너 베이의 적재된 컨테이너를 제1 내지 제3 붐(151, 152, 153)를 이동시키지 않고 동시에 적재 또는 하역할 수 있어 무게 중심이 편중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갠트리 크레인
151; 제1 붐
152; 제2 붐
153; 제3 붐
161; 제1 트롤리
162; 제2 트롤리
210; 제1 스프레더 어셈블리
220; 제2 스프레더 어셈블리
310; 제1 스프레더 어셈블리의 제1 스프레더 이동부
320; 제1 스프레더 어셈블리의 제2 스프레더 이동부
L1; 제1 레인
L2; 제2 레인

Claims (5)

  1. 제1 레인과 제2 레인을 형성하는 제1 내지 제3 붐;
    상기 제1 레인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1 트롤리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승강하고,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및 제2 스프레더를 구비한 제1 스프레더 어셈블리; 및
    상기 제2 레인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2 트롤리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승강하고,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및 제2 스프레더를 구비한 제2 스프레더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트롤리는 네 꼭지점 부분에 록핀이 결합되는 상기 제1 스프레더 어셈블리를 승강하기 위한 2개의 와이어를 포함하고, 네 꼭지점 부분에 록핀이 결합되는 상기 제2 트롤리는 상기 제2 스프레더 어셈블리를 승강하기 위한 2개의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프레더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및 제2 스프레더를 지지하는 제1 헤드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스프레더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및 제2 스프레더를 지지하는 제2 헤드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롤리에 의해 승강하는 제1 헤드 블록 및 상기 제1 헤드 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스프레더 각각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및 제2 스프레더 이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 스프레더 각각의 중심과 컨테이너 베이의 중심을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갠트리 크레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롤리의 폭, 상기 제2 트롤리의 폭, 상기 제1 헤드블록의 폭은 11m이고, 상기 제1트롤리에 포함된 2개의 와이어의 사이 간격과 상기 제2트롤리에 포함된 2개의 와이어의 사이 간격은 10.5~11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갠트리 크레인.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레더 이동부는,
    상기 제1 헤드 블록에 결합되는 빔, 상기 제1 스프레더가 결합되고 상기 빔이 끼워지며 상기 빔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제1 슬라이딩 구조물 및 상기 빔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 구조물을 이동시키는 제1 유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갠트리 크레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레더 어셈블리와 상기 제2 스프레더 어셈블리의 사이 간격은 1m~3.2m에서 가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갠트리 크레인.
KR1020140113272A 2014-08-28 2014-08-28 갠트리 크레인 KR101685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272A KR101685464B1 (ko) 2014-08-28 2014-08-28 갠트리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272A KR101685464B1 (ko) 2014-08-28 2014-08-28 갠트리 크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855A KR20160025855A (ko) 2016-03-09
KR101685464B1 true KR101685464B1 (ko) 2016-12-13

Family

ID=55536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3272A KR101685464B1 (ko) 2014-08-28 2014-08-28 갠트리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54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0563B1 (ko) 2018-12-12 2019-08-13 정사교 갠트리 크레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5278A (ja) * 2002-05-10 2005-08-25 ナットスティール・エンジニアリング・ピーティーイー・リミテッド コンテナ取扱いシステム
JP2010265102A (ja) 2009-05-18 2010-11-25 Ihi Corp 門型クレーン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744B1 (ko) * 2002-08-24 2006-11-23 엔에스엘 엔지니어링 피티이 리미티드 리프팅 장치
EP1923338A1 (en) * 2006-11-17 2008-05-21 APM Terminals B.V. Plant for transporting cargo to and/or from a ship
KR101208685B1 (ko) 2010-09-01 2012-12-05 방규열 횡방향 이동이 가능한 붐을 가진 컨테이너 하역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5278A (ja) * 2002-05-10 2005-08-25 ナットスティール・エンジニアリング・ピーティーイー・リミテッド コンテナ取扱いシステム
JP2010265102A (ja) 2009-05-18 2010-11-25 Ihi Corp 門型クレー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0563B1 (ko) 2018-12-12 2019-08-13 정사교 갠트리 크레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855A (ko)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4706B2 (en) Offshore system comprising a rig and a cantilever
KR101883219B1 (ko) 향상된 제진성능을 가지는 항만 컨테이너 크레인
JP5480902B2 (ja) 特にisoコンテナを荷役するためのブリッジまたはガントリクレーン
US20170144868A1 (en) Method and system for lifting and manipulating a load
JP6829143B2 (ja) クライミングクレーン
US9670038B2 (en) Drilling rig transfer system and method
KR101685464B1 (ko) 갠트리 크레인
KR101160273B1 (ko) 교량공사용 스트래들 캐리어
JPH072586B2 (ja) ガントリクレーン用の1部調節可能なサービスプラットフォーム装置
US3249235A (en) Variable base alpha-frame hoist
JP2016142097A (ja) 可搬式昇降装置および水平部材の解体方法
JP2014141230A (ja) 索道用機器の昇降搬送装置
CN210286531U (zh) 一种钢卷摆渡轨道车
CN209872197U (zh) 一种建筑用起吊装置
JP2013218102A (ja) 移動型安全体感設備用架構
JP6393954B2 (ja) クレーンの上架構造体の上架システム及びクレーンの製造方法
JP2009242082A (ja) コンテナクレーン
JP6216743B2 (ja) フォーク式吊り装置
EP2796401A1 (en) Crane arrangement
KR101774321B1 (ko) 크레인 리프터
US3600030A (en) Materials handling device with guides
JP2015193431A (ja) クレーン
JP2002347609A (ja) インクライン装置
US517008A (en) matton
JP3298488B2 (ja) コンテナクレ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