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8744B1 - 리프팅 장치 - Google Patents

리프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8744B1
KR100648744B1 KR1020027011105A KR20027011105A KR100648744B1 KR 100648744 B1 KR100648744 B1 KR 100648744B1 KR 1020027011105 A KR1020027011105 A KR 1020027011105A KR 20027011105 A KR20027011105 A KR 20027011105A KR 100648744 B1 KR100648744 B1 KR 100648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ble
extensible member
lifting device
members
bod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1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8453A (ko
Inventor
밀스로버트아서
Original Assignee
엔에스엘 엔지니어링 피티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스엘 엔지니어링 피티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엔에스엘 엔지니어링 피티이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027011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8744B1/ko
Publication of KR20030028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8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8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8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01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for containers
    • B66C1/10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for containers for two or more containers end to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화물 컨테이너(35)용 리프팅 장치(1)는 본체 부재(2)를 포함한다. 4개의 내측 픽업 요소(7, 8, 9, 10)가 본체 부재(2)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두 개의 제 1 신장성 부재(3, 4)가 본체 부재(2)상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제 1 신장성 부재(3, 4)가 본체 부재(2)로부터 신장되지 않은 제 1 위치와 제 1 신장성 부재(3, 4)가 본체 부재의 대향 단부로부터 신장된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두 개의 제 2 신장성 부재(5, 6)는 제 1 신장성 부재(3, 4)의 각각에 하나씩 장착된다. 각각의 제 2 신장성 부재(5, 6)는 각각이 제 1 신장성 부재(3, 4)상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제 2 신장성 부재(5, 6)가 제 1 신장성 부재(3, 4)로부터 신장되지 않은 제 1 위치와 제 2 신장성 부재(5, 6)가 제 1 신장성 부재(3, 4)로부터 신장된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각각의 제 2 신장성 부재(5, 6)는, 제 2 신장성 부재(5, 6)가 제 2 위치에 있을 때 본체 부재(2)로부터 가장 먼 단부에 인접하게 장착된 두 개의 외측 픽업 요소(17, 18, 19, 20)를 갖는다. 또한, 내측 픽업 요소(7, 9) 중 두 개는 제 1 신장성 부재 중 하나(3)에 고정 결합되어 그것과 함께 이동하고 다른 두 개의 내측 픽업 요소(8, 10)는 다른 하나의 제 1 신장성 부재(4)에 고정 결합된다.

Description

리프팅 장치{A LIFTING DEVICE}
본 발명은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화물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기 위한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물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기 위한 리프팅 장치는 일반적으로 호이스트(hoist)에 부착된 금속 프레임[일반적으로 "스프레더(spreader)"로 지칭됨]을 포함한다. 스프레더는 호이스트에 의해 컨테이너의 상측 표면상으로 하강되어 컨테이너와 그 4개의 코너 각각에서 결합한다. 종래의 스프레더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컨테이너만을 들어올린다. 스프레더는 트위스트록(twistlock)으로 알려진 픽업 요소를 사용하여 컨테이너와 4개의 코너 각각에서 결합한다. 각각의 트위스트록은 컨테이너의 각 코너상의 구멍내에 위치된다. 트위스트록은 구멍내에 위치된 후, 회전되어 스프레더로 들어올려질 컨테이너를 로킹한다. 스프레더는 그 뒤 화물 컨테이너가 부착된 상태로 호이스트에 의해 들어올려질 수 있다. 이것은, 컨테이너가, 독(dock)과 배 사이 또는 보관 위치에서 지상 운송 차량으로 등의 두 개의 지상 위치 사이와 같이, 어느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운반될 수 있도록 한다.
최근, 두 개의 20피트 컨테이너를 단부와 단부가 접해있는 관계(end-to-end relationship)로 동시에 들어올릴 수 있는 트윈리프트(twinlift) 스프레더가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트윈리프트 스프레더는 하나의 트위스트록이 각 컨테이너의 각 코너내의 대응하는 개구와 결합하도록 각 코너의 트위스트록과 4개의 중앙 장착 트위스트록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의 트윈리프트 스프레더가 갖는 문제점 중 하나는, 컨테이너가 서로 중앙 트위스트록의 간격에 대응하는 소정의 간격에 있는 경우에만 이들이 컨테이너를 픽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간격이 소정의 간격보다 크거나 작은 경우, 트위리프트 스프레더가 양 컨테이너를 픽업할 수 없는데, 이는 8개의 트위스트록 모두가 양 컨테이너내의 트위스트록 개구와 동시에 결합할 수 없기 때문이다.
국제 특허 공개 공보 제 WO 97/39973 호는, 중앙 트위스트록이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여 컨테이너의 간격이 사전결정될 필요가 없이 단부와 단부가 접한 두 개의 컨테이너가 스프레더에 의해 들어올려질 수 있는 조절가능한 트윈리프트 스프레더를 개시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간격은 5피트까지일 수 있다. 그러나, 국제 특허 공개 공보 제 WO 97/39973 호에 개시된 스프레더의 단점 중 하나는, 중앙 트위스트록을 대응하는 외측 트위스트록에 결합 및 분리하기 위해, 사용중 작동 및 정지될 기계적 로킹 메카니즘이 필요하게 된다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 부재와, 상기 본체 부재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4개의 내측 픽업 요소와, 상기 본체 부재상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두 개의 제 1 신장성 부재로서, 상기 제 1 신장성 부재가 상기 본체 부재로부터 신장되어 있지 않은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신장성 부재가 상기 본체 부재의 대향 단부로부터 신장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두 개의 제 1 신장성 부재와, 두 개의 제 2 신장성 부재로서, 상기 제 2 신장성 부재는 상기 각각의 제 1 신장성 부재에 하나씩 장착되며, 각각의 제 2 신장성 부재는 제 2 신장성 부재가 상기 제 1 신장성 부재로부터 신장되어 있지 않은 제 1 위치와 제 2 신장성 부재가 상기 제 1 신장성 부재로부터 신장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각각의 상기 제 1 신장성 부재상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각각의 제 2 신장성 부재는 제 2 신장성 부재가 상기 제 2 위치에 있는 경우 본체 부재로부터 가장 먼 단부에 인접하게 장착된 두 개의 외측 픽업 요소를 갖는, 두 개의 제 2 신장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픽업 요소 중 두 개는 상기 제 1 신장성 부재 중 하나에 고정 결합되어 그와 함께 이동하며 다른 두 내측 픽업 요소는 제 1 신장성 부재중 다른 하나에 고정 결합되는 리프팅 장치가 제공된다.
통상적으로, 내측 픽업 요소는 링크 부재에 의해 각각의 제 1 신장성 부재에 고정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링크 부재는 로드, 바 또는 내측 픽업 요소를 각각의 제 1 신장성 부재에 대해 실질적으로 일정한 위치에 유지하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수단과 같은 기다란 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픽업 요소는 상기 본체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통상적으로, 동일한 제 1 신장성 부재에 고정 결합된 두 개의 내측 픽업 요소는 상기 본체 부재의 대향 측면상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통상적으로, 내측 픽업 요소가 고정 결합되는 제 1 신장성 부재가 제 1 위치에 있는 경우, 본체 부재 의 각 측상에 있는 내측 픽업 요소는 서로 인접하며, 제 1 신장성 부재가 상기 제 2 위치에 있는 경우 본체 부재의 각 측상의 내측 픽업 요소는 서로 분리된다.
통상적으로, 리프팅 장치는 또한 제 1 신장성 부재 및 제 2 신장성 부재의 이동이 본체 부재의 중심축에 대해 대칭이 되도록 제 1 신장성 부재와 제 2 신장성 부재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제 1 신장성 부재 및 제 2 신장성 부재의 이동이 상기 본체 부재의 중심축에 대해 비대칭일 수도 있다. 이것은 작업자가 외측 픽업 요소 사이에 유지되는 컨테이너 또는 외측 픽업 요소와 내측 픽업 요소 사이에 유지되는 두 개의 컨테이너를 본체 부재의 중심축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픽업 요소는 이들이 들어올려질 컨테이너와 결합될 수 있는 하강 위치와 이들이 컨테이너와 결합하지 않는 상승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이것은 리프칭 장치가 내측 픽업 요소가 들어올려지는 컨테이너와 간섭함 없이 외측 픽업 요소의 양 세트 사이에서 단일 컨테이너를 들어올리는데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통상적으로, 각각의 제 1 신장성 부재는 상기 제 1 신장성 부재를 상기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피스톤 장치에 의해 상기 본체 부재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대안적으로, 각각의 제 1 신장성 부재는 체인 구동 메카니즘 또는 다른 적합한 작동 수단에 의해 본체 부재에 결합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각각의 제 2 신장성 부재는 상기 제 2 신장성 부재를 상기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구동하도록 작동될 수 있는 체인 구동 메카니즘에 의해 제 1 신장성 부재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대안적으로, 각각의 제 2 신장성 부재는 피스톤 장치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작동 수단에 의해 각각의 제 1 신장성 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및 외측 픽업 요소는 들어올려질 컨테이너의 개구와 결합하기에 적합한 돌기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돌기는 개구내에 삽입되고 그 뒤 개구에 대해 회전되어 컨테이너를 픽업 요소에 로킹시킨다. 통상적으로 돌기는 비원통형 부분이고 개구는 비원형이므로 돌기는 개구내로 삽입되지만 개구에 대한 돌기의 회전에 의해 돌기가 개구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예를 들면, 돌기는 일반적으로 "트위스트록"으로 알려진 유형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픽업 요소는 각각 들어올려질 제품상의 적절한 형상과 결합하기 위한 후크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 장치의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신장성 부재가 신장되지 않은 스프레드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프레더의 측면도,
도 3은 우측 신장성 부재가 신장되어 있으며 좌측 신장성 부재가 신장되어 있지 않은 것을 도시하는 스프레더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제 1 부재가 신장되어 있지 않으며 제 2 부재가 신장된 것을 도시하는 스프레더의 우측 절반부의 단면도,
도 6은 20피트 컨테이너와 결합된 스프레더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40피트 컨테이너와 결합된 스프레더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45피트 컨테이너와 결합된 스프레더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두 개의 인접한 20피트 컨테이너와 결합된 스프레더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두 개의 이격된 20피트 컨테이너와 결합된 스프레더를 도시하는 도면.
도 1 및 도 2는 본체 부재(2)와, 본체 부재(2)의 대향 단부로부터 신장하는 두 개의 제 1 신장성 부재(3, 4)와, 각각의 제 1 부재(3, 4)로부터 신장하는 두 개의 제 2 신장성 부재(5, 6)를 포함하는 스프레더(1)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위치에 있어서, 제 1 부재(3, 4)는 본체 부재(2)로부터 신장되어 있지 않으며 제 2 부재(5, 6)는 제 1 부재(3, 4)로부터 신장되어 있지 않다.
본체 부재(2)는 4개의 내측 픽업 요소(7, 8, 9, 10)를 갖는다. 내측 픽업 요소(7, 8)는 본체 부재(2)의 일측의 레일(11)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내측 픽업 요소(9, 10)는 본체 부재(2)의 타측의 레일(12)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픽업 요소(7, 9)는 각각 링크 로드(13, 15)에 의해 제 1 부재(3) 에 연결되며, 내측 픽업 요소(8, 10)는 각각 링크 로드(14, 16)에 의해 제 1 부재(4)에 연결된다. 따라서, 픽업 요소(7, 9)는 제 1 부재(3)에 고정되어 제 1 부재(3)와 함께 이동하며, 픽업 요소(8, 10)는 제 1 부재(4)에 고정되어 제 1 부재(4)와 함께 이동한다.
두 개의 외측 픽업 요소(17, 19)는 제 2 부재(5)의 외측 단부에 위치되며, 제 2 부재(6)의 외측 단부는 두 개의 외측 픽업 요소(18, 20)를 갖는다. 외측 픽업 요소(17, 18, 19, 20)의 각각은 또한 위치설정 장치(21)를 구비한다. 위치설정 장치(21)는 명료성을 위해 도 2의 픽업 요소(20)상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각각의 픽업 요소(7, 8, 9, 10, 17, 18, 19, 20)는 들어올려질 컨테이너의 코너의 개구에 결합될 수 있으며 컨테이너를 각각의 픽업 요소에 로킹 또는 언로킹하도록 회전될 수 있는 트위스트록 요소(22)를 구비한다.
또한, 내측 픽업 요소(7, 8, 9, 10)는 하강 위치[도 2에서 픽업 요소(9)의 위치로 도시됨]와 상승 위치[도 2에서 픽업 요소(10)의 위치로 도시됨]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스프레더(1)는 또한 3개의 표시등 즉, 녹색등(31), 백색등(32) 및 적색등(33)을 구비한다. 이들 표시등은 작업자에게 스프레더(1)의 상태를 알리는데 사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신장성 부재(4)는 도 4에 도시된 위치까지 신장되어 제 1 신장성 부재(4)를 본체 부재(2)의 외측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피스톤(23)에 의해 본체 부재(2)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신장된 위치에 있는 제 1 부재(4)를 도시하는 스프레더(1)의 측면도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픽업 요소(10)는 링크 로드(16)에 의해 내측 픽업 요소(10)에 고정된 제 1 신장성 부재(4)의 신장에 의해 레일(12)을 따라 본체 부재(2)의 우측 단부를 향해 슬라이딩된다. 도 3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내측 픽업 요소(8)는 또한 제 1 신장성 부재(4)의 신장에 의해 레일(11)상에서 본체 부재의 우측 단부를 향해 슬라이딩된다. 도 5는 수축된 피스톤(23)을 도시하는데, 이에 따라 제 1 신장성 부재(4)는 본체 부재(2)로부터 신장되어 있지 않다.
유사한 방식으로, 제 1 신장성 부재(3)는 다른 피스톤(도시안됨)에 의해 본체 부재(2)에 결합되어 본체 부재(2)로부터의 제 1 신장성 부재(3)의 신장이 각각 내측 픽업 모듈(7, 9)을 레일(11, 12)을 따라 본체 부재(2)의 좌측 단부를 향해 이동시킨다.
제 2 신장성 부재(6)는, 제 2 신장성 부재(6)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며 기어 휠(25)과 두 개의 플라이 휠(26) 주위로 끌려가는 체인(24)을 포함하는 체인 구동 메카니즘에 의해 제 1 신장성 부재(4)에 결합된다. 기어 휠(24) 및 플라이 휠(26)은 제 1 신장성 부재(4)상에 장착되며, 기어 휠(25)은 역시 제 1 신장성 부재(4)상에 장착된 유압 모터(도시안됨)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기어 휠(25)의 회전에 의해, 제 2 신장성 부재(6)가 기어 휠(25)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 1 신장성 부재(4) 내측으로 또는 그 외측으로 슬라이딩된다. 유사한 방식으로, 제 2 신장성 부재(5)는 다른 체인 구동 메카니즘에 의해 제 1 신장성 부재(3)에 결합된다.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제 1 신장성 부재(3) 및 제 2 신장성 부재(5)가 수축된 상태로 도시되고 제 1 신장성 부재(4) 및 제 2 신장성 부재(6)가 신장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스프레더(1)상의 제어 시스템(도시안됨)은 신장성 부재(3, 4, 5, 6)의 신장 및 수축을 제어하여, 통상적으로 제 1 신장성 부재(3, 4)가 동시에 신장 또는 수축되고 제 2 신장성 부재(5, 6)가 동시에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작동할 것이다.
그러나, 제어 시스템은 이동가능한 부재(3, 4, 5, 6)의 비대칭 신장 및 수축을 허용하여 본체 부재(2)의 중심축(30)에 대해 스프레더(1)에 의해 들어올려지는 컨테이너(들)의 비대칭 위치설정을 허용하도록 변형될 수도 있다.
사용시, 스프레더(1)는 리프팅 구멍(34)을 사용하여 호이스트에 결합될 것이다. 호이스트는 컨테이너와 결합되도록 스프레더(1)를 하강시키고 스프레더(1) 및 이 스프레더(1)에 로킹된 컨테이너 양자를 들어올리는데 사용된다. 제 1 신장성 부재(3, 4)와 제 2 신장성 부재(5, 6) 모두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위치로 수축된 상태에서, 스프레더(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20피트 컨테이너(35)와 결합될 수 있다. 스프레더(1)를 컨테이너(35)상으로 하강시키기에 앞서, 내측 픽업 요소(7, 8, 9, 10)는 상승된 위치로 이동된다. 스프레더(1)가 호이스트에 의해 하강될 때, 위치설정기(21)가 컨테이너(35)의 코너 위에 위치되어 트위스트록(22)이 컨테이너(35)의 4 코너 각각의 트위스트록 개구내에 결합하도록 컨테이너(35) 위에서의 스프레더(1)의 위치설정을 돕는다.
녹색등(31)이 점등되어 있는 경우, 이것은 작업자에게 트위스트록이 언로킹 위치에 있음을 지시한다. 스프레더가 컨테이너상에 착지했을 때, 백색등(32)이 점등하여 스프레더가 컨테이너상에 착지하였음을 표시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백색등(32)이 점등한 것을 보았을 때, 작업자는 트위스트록(22)을 작동시켜 로킹 위치로 회전시킨다. 트위스트록(22)이 로킹 위치에 있는 경우, 적색등(33)이 점등한다. 이것은 작업자에게 컨테이너(35)가 스프레더(1)에 고정되어 있음을 지시한다.
제 2 신장성 부재(5, 6)를 신장시켜, 제 1 신장성 부재(3, 4)를 비신장된 위치에 유지하고 내측 픽업 요소(7, 8, 9, 10)를 상승된 위치에 유지함으로써, 스프레더(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40피트 컨테이너(36)를 픽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 1 신장성 부재(3, 4)도 신장시킴으로써, 스프레더(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45피트 컨테이너(37)를 픽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또한 제 1 신장성 부재(3, 4)가 피스톤(23)에 의해 신장된 위치로 이동될 때 내측 픽업 요소(9, 10)가 분리된 위치로 이동되는 방식을 도시한다. 본체 부재(2)의 타측에 있는 내측 픽업 요소(7, 8)도 또한 내측 픽업 요소(9, 10)와 동시에 분리된 위치로 이동할 것이다.
작업자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인접한 20피트 컨테이너(35)를 픽업하기를 원하는 경우, 제 2 신장성 부재(5, 6)는 신장되고 제 1 신장성 부재(3, 4)는 비신장 위치로 이동되어, 내측 픽업 요소(7, 8, 9, 10)는 서로 인접하게 된다. 또한, 내측 픽업 요소(7, 8, 9, 10)는 하강 위치로 이동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스프레더(1)를 컨테이너(35)상으로 하강시킬 때, 외측 픽업 요소(17, 19)와 내측 픽업 요소(7, 9)는 좌측 컨테이너(35)와 결합하고 외측 픽업 요소(18, 20)와 내측 픽업 요소(8, 10)는 우측 컨테이너(35)와 결합한다. 트위스트록(22)이 모두 컨테이너(35)의 상측상의 각각의 트위스트록 개구내로 삽입된 경우, 이들은 회전되어 양 컨테이너(35)를 각각의 픽업 요소에 로킹시킨다. 따라서, 작업자가 스프레더(1)를 상승시킬 때, 스프레더(1)는 2개의 20피트 컨테이너(35)를 들어올릴 것이다.
그 뒤 작업자가 상승 작업 도중 두 개의 20피트 컨테이너(35)를 분리시켜 이들이 그 인접한 단부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승 작업의 마지막에 위치되기를 원하는 경우, 작업자는 제어 시스템을 작동시켜 제 1 신장성 부재(3, 4)를 신장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 1 신장성 부재(3, 4)의 신장은 동시에 내측 픽업 요소(9, 10)를 본체 부재(2)의 중심축(3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키며 또한 외측 픽업 요소(17, 18, 19, 20)를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시킨다. 이것은, 내측 픽업 요소를 외측 픽업 요소에 고정시키기 위해 어떠한 로킹 메카니즘도 작동될 필요 없이 자동적으로 실행된다. 이에 의해, 두 개의 20피트 컨테이너(35)는 그 인접한 단부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도 10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된다.
유사하게, 작업자는 스프레더(1)를 사용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분리된 컨테이너(35)를 픽업하고 컨테이너(35)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하는 단부가 서로 인접할 때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신장성 부재(3, 4, 5, 6)는 상이한 크기의 컨테이너를 픽업하기 위해 중간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스프레더(1)는 45피트보다 긴 컨테이너를 픽업하기 위해 보다 긴 본체 부재(2), 보다 긴 제 1 신장성 부재(3, 4) 및/또는 보다 긴 제 2 신장성 부재(5, 6)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체 부재(2)의 각 측에 두 개의 신장성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각각의 내측 픽업 요소가 신장성 부재 중 하나에 고정되어, 내측 픽업 요소를 외측 픽업 요소에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한 기계적 로킹 및 언로킹 장치를 가질 필요가 없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13)

  1. 본체 부재와, 상기 본체 부재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4개의 내측 픽업 요소와, 상기 본체 부재상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두 개의 제 1 신장성 부재로서, 상기 제 1 신장성 부재가 상기 본체 부재로부터 신장되어 있지 않은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신장성 부재가 상기 본체 부재의 대향 단부로부터 신장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두 개의 제 1 신장성 부재와, 두 개의 제 2 신장성 부재로서, 상기 제 2 신장성 부재는 상기 각각의 제 1 신장성 부재에 하나씩 장착되며, 각각의 제 2 신장성 부재는 제 2 신장성 부재가 상기 제 1 신장성 부재로부터 신장되어 있지 않은 제 1 위치와 제 2 신장성 부재가 상기 제 1 신장성 부재로부터 신장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각각의 상기 제 1 신장성 부재상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각각의 제 2 신장성 부재는 제 2 신장성 부재가 상기 제 2 위치에 있는 경우 본체 부재로부터 가장 먼 단부에 인접하게 장착된 두 개의 외측 픽업 요소를 갖는, 두 개의 제 2 신장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픽업 요소 중 두 개는 상기 제 1 신장성 부재 중 하나에 고정 결합되어 그와 함께 이동하며 다른 두 내측 픽업 요소는 제 1 신장성 부재중 다른 하나에 고정 결합되는
    리프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내측 픽업 요소는 링크 부재에 의해 각각의 제 1 신장성 부재에 고정 결합되는
    리프팅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부재는 각각 기다란 부재를 포함하며, 각각의 기다란 부재의 일단부는 각각의 상기 제 1 부재에 연결되며 타단부는 각각의 내측 픽업 요소에 연결되는
    리프팅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픽업 요소는 상기 본체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리프팅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일한 제 1 신장성 부재에 고정 결합된 두 개의 내측 픽업 요소는 상기 본체 부재의 대향 측면상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리프팅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부재의 동일 측면상의 내측 픽업 요소는 상기 제 1 신장성 부재가 상기 제 1 위치에 있는 경우 서로 인접하며 상기 제 1 신장성 부재가 상기 제 2 위치에 있는 경우 서로 분리되는
    리프팅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장성 부재 및 제 2 신장성 부재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을 추가로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제 1 신장성 부재와 제 2 신장성 부재의 이동이 상기 본체 부재의 중심축에 대해 대칭이도록 상기 제 1 신장성 부재와 제 2 신장성 부재의 이동을 제어하는
    리프팅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제 1 신장성 부재와 제 2 신장성 부재의 이동이 상기 본체 부재의 중심축에 대해 비대칭이도록 상기 제 1 신장성 부재와 제 2 신장성 부재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리프팅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픽업 요소는 이들이 들어올려질 컨테이너와 결합될 수 있는 하강 위치와 상승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리프팅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 1 신장성 부재는 상기 제 1 신장성 부재를 상기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피스톤 장치에 의해 상기 본체 부재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리프팅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 2 신장성 부재는 상기 제 2 신장성 부재를 상기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구동하도록 작동될 수 있는 체인 구동 메카니즘에 의해 상기 각각의 제 1 신장성 부재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리프팅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및 외측 픽업 요소는 들어올려질 컨테이너의 개구와 결합하기에 적합한 돌기를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
KR1020027011105A 2002-08-24 2000-02-25 리프팅 장치 KR100648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7011105A KR100648744B1 (ko) 2002-08-24 2000-02-25 리프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7011105A KR100648744B1 (ko) 2002-08-24 2000-02-25 리프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8453A KR20030028453A (ko) 2003-04-08
KR100648744B1 true KR100648744B1 (ko) 2006-11-23

Family

ID=41755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1105A KR100648744B1 (ko) 2002-08-24 2000-02-25 리프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87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464B1 (ko) * 2014-08-28 2016-12-13 정태순 갠트리 크레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8453A (ko) 2003-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3325B1 (en) Lifting device
EP0904248B1 (en) Hoisting frame and method for its use
JP4246699B2 (ja) コンテナ取扱いシステム
US20030222468A1 (en) Cargo cage and spreader attachment and method of use
US6138846A (en) Adjustable expansible load lifting device
KR100648744B1 (ko) 리프팅 장치
US5649636A (en) Adjustable load lifting device
US6129396A (en) Container-piling spreader
AU575065B2 (en) Automatic container spreader
EP0906241B1 (en) A straddle carrier
EP0891889A1 (en) Support leg arrangement
EP1339631B1 (en) A latch mechanism
US5350210A (en) Apparatus for securing shore crane spreaders to auxiliary frames
US5236238A (en) Apparatus for securing shore crane spreaders to auxiliary frames
JP2813510B2 (ja) コンテナー多段積用スプレッダー
JP2923168B2 (ja) コンテナーのスタッキングコーンの自動解錠装置
ITMO20090048A1 (it) Macchina per il montaggio e lo smontaggio di dispositivi di aggancio per container
JPH01209223A (ja) コンテナ受台
CN207015234U (zh) 能够安装在车辆上的用于处理装载单元的设备
KR200150659Y1 (ko) 승용차 운반용 소형 카캐리어
US6352292B1 (en) Arrangement in a lifting device
JPS627677Y2 (ko)
SU1678757A1 (ru) Захва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огрузчика
AU2022396070A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bulk materials
JPH032747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