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5411B1 - 중앙서버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타겟장치 및 원격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중앙서버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타겟장치 및 원격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5411B1
KR101685411B1 KR1020160043706A KR20160043706A KR101685411B1 KR 101685411 B1 KR101685411 B1 KR 101685411B1 KR 1020160043706 A KR1020160043706 A KR 1020160043706A KR 20160043706 A KR20160043706 A KR 20160043706A KR 101685411 B1 KR101685411 B1 KR 101685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device
central server
delete delete
location information
bea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3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범
Original Assignee
김재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범 filed Critical 김재범
Priority to KR1020160043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4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411B1/ko
Priority to PCT/KR2017/003759 priority patent/WO201717605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08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position li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03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 G01S19/10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providing dedicated supplementary position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1Setup of application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서버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타겟장치 및 원격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명령신호에 의하여 동작하는 타겟장치로서, 상기 타겟장치의 동작을 위한 구동전원; 상기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 생성을 위한 외부 신호를 수신하고, 타겟장치의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1비엘이 모듈(BLE Module); 상기 제1비엘이 모듈을 통해 타겟장치의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비콘(beacon) 또는 지피에스 모듈(GPS Module);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외부 신호는 통신용 디바이스에 탑재된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비콘 또는 지피에스 모듈을 통해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는 중앙서버에 의해 상기 동작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서버에 의하여 원격 제어되는 타겟장치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어 공연장 등에서 청중들이 휴대하는 발광봉 등 타겟장치를 중앙서버에서 선별적으로 원격 제어함으로써, 청중들은 그 위치를 지키는 것만으로도 카드섹션과 같은 효과를 유발하도록 하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중앙서버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타겟장치 및 원격 제어방법{Target device cotrolled remotely by central server and remote controlling method}
본 발명은 중앙서버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타겟장치 및 원격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명령신호에 의하여 동작하는 타겟장치로서, 상기 타겟장치의 동작을 위한 구동전원; 상기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 생성을 위한 외부 신호를 수신하고, 타겟장치의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1비엘이 모듈(BLE Module); 상기 제1비엘이 모듈을 통해 타겟장치의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비콘(beacon) 또는 지피에스 모듈(GPS Module);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외부 신호는 통신용 디바이스에 탑재된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비콘 또는 지피에스 모듈을 통해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는 중앙서버에 의해 상기 동작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서버에 의하여 원격 제어되는 타겟장치를 제공한다.
IT기술의 발달은 문화적으로도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공연 문화나 스포츠 문화에 있어서, 전통적인 카드섹션이나 응원도구의 활용만으로는 그 표현력에 제한이 있으며, 특히 카드섹션의 경우 오랜 기간동안 숙련함으로써 소기의 공연이 가능한 바, 이에 투입되는 시간적 비용적 부담이 매우 큰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136023호에서는"공연용 엘이디 원격제어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는 바, 상기 특허는 공연용 엘이디 원격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엘이디 모듈과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있는 발광장치; 통신 모듈과 원격으로 신호를 주고 받는 송수신 모듈; 그리고, 엘이디 모듈을 제어하는 신호를 만드는 엘이디 모듈 제어 소프트웨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연용 엘이디 원격제어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으며, 본 개시에 따른 공연용 엘이디 원격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움직이는 디스플레이가 가능하여 관람객과 함께 콘서트장이나 올림픽 개막식 등에서 다양한 공연이나 응원 콘텐츠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작용효과로 하고 있다.
위 발명은 특히 원격으로 체계적이고 역동적인 디스플레이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는 점, 디스플레이 구현의 주체가 사람이 아닌 장소, 시설로 전환되었다는 점 등에 특징이 있다.
그러나, 위 발명은 고정된 좌석의 위치를 확인하고, 그 위치에 고정된 발광장치를 유동적으로 운용함으로써 움직이는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것인 바, 이와 같이 고정된 좌석이 아니라면 움직이는 디스플레이를 운용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운용 공간 선택상 제약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공연장 등에서 청중들이 휴대하는 발광봉 등 타겟장치를 중앙서버에서 선별적으로 원격 제어함으로써, 청중들은 그 위치를 지키는 것만으로도 카드섹션과 같은 효과를 유발하도록 하는 중앙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타겟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정 좌석식 뿐 아니라 좌석이 지정되지 않은 공연장, 연설장, 집회장 등에서도 실시간으로 타겟장치의 위치 정보를 식별하고 이를 기반으로 갱신함으로써, 중앙서버에 의한 타겟장치의 원격제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중앙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타겟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명령신호에 의하여 동작하는 타겟장치로서, 상기 타겟장치의 동작을 위한 구동전원; 상기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 생성을 위한 외부 신호를 수신하고, 타겟장치의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1비엘이 모듈(BLE Module); 상기 제1비엘이 모듈을 통해 타겟장치의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비콘(beacon) 또는 지피에스 모듈(GPS Module);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외부 신호는 통신용 디바이스에 탑재된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비콘 또는 지피에스 모듈을 통해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는 중앙서버에 의해 상기 동작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서버에 의하여 원격 제어되는 타겟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타겟장치는, 발광수단, 음향수단, 기계적 동작수단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는 휴대용 기기 또는 웨어러블 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겟장치는, 발광수단, 음향수단, 기계적 동작수단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는 고정식 장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신용 디바이스는 휴대폰이며, 상기 휴대폰에 탑재된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제어된 신호를 상기 비엘이 모듈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통신용 디바이스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특정 영역의 복수의 디바이스에 타겟장치의 발광 또는 음향을 생성하거나 타겟장치가 기계적으로 작동 가능하도록 하는 신호를 선별적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겟장치는 연설장, 경기장, 공연장 또는 방송국의 관중 또는 청중에 의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전원은 배터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용 디바이스 또는 지피에스 모듈은 타겟장치의 위치 식별을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실행함으로써 타겟장치의 위치 정보를 갱신하며, 갱신된 상기 위치 정보를 갱신시마다 중앙서버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비콘 또는 지피에스 모듈에 기초하여 타겟장치의 위치가 식별되는 단계; 상기 위치가 식별된 타겟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타겟장치 동작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는 통신용 디바이스에 중앙서버로부터 명령이 전송되는 단계; 상기 명령을 전송받은 통신용 디바이스에 의해, 타겟장치의 발광수단, 음향수단 및 기계적 동작수단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도록 하는 신호가 전송되는 단계; 및 전송신호에 따라서 타겟장치의 발광수단, 음향수단 및 기계적 동작수단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서버에 의한 타겟장치의 원격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타겟장치는, 발광수단, 음향수단 및 기계적 동작수단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는 고정식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신용 디바이스는 휴대폰이며, 상기 휴대폰에 탑재된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제어된 신호를 상기 비엘이 모듈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통신용 디바이스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특정 영역에 존재하는 복수의 통신용 디바이스에 타겟장치의 발광, 음향 생성 또는 기계적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신호를 선별적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비콘 또는 지피에스 모듈을 통해서 획득된 타겟장치의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갱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어 공연장 등에서 청중들이 휴대하는 발광봉 등 타겟장치를 중앙서버에서 선별적으로 원격 제어함으로써, 청중들은 그 위치를 지키는 것만으로도 카드섹션과 같은 효과를 유발하도록 하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좌석식 뿐 아니라 좌석이 지정되지 않은 공연장, 연설장, 집회장 등에서도 실시간으로 타겟장치의 위치 정보를 식별하고 이를 기반으로 갱신함으로써, 중앙서버에 의한 타겟장치의 원격제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타겟장치의 원격제어를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타겟장치와 이를 제어하는 통신용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실행함으로써 표현되는 공연장에서의 청중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타겟장치(130)는 고정형인 경우도 가능하나, 발광봉, 스마트워치, 응원판 등 주로 휴대가 가능하여 이동형의 속성을 갖는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중앙서버는 대용량의 고정형 서버일 수 있으나, 스마트폰, 태블릿과 같은 경량형 이동식 서버일 수도 있으므로, 서버는 특별히 어느 한가지의 형태로 제한되지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타겟장치(130)의 원격제어를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타겟장치(130)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중앙서버(110)와 통신용 디바이스(120)가 더 필요하며, 상기 통신용 디바이스(120)와 타겟장치(130)의 통신관계가 필요하다.
즉, 중앙서버(110)는 GPS 모듈(136), CDMA 모듈 등을 통하여 통신용 디바이스(120)의 위치를 파악하며, 통신용 디바이스(120)는 타겟장치(130)에 탑재된 비콘(135) 또는 GPS 모듈(136)을 통하여 타겟장치(130)의 위치를 파악한다. GPS 모듈(136)을 이용하는 경우 중앙서버(110)가 직접 타겟장치(130)의 위치를 식별할 수도 있다.
아울러, 통신용 디바이스(120)는 중앙서버(110)로부터의 명령을 기초로 타겟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는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타겟장치(130)를 제어한다.
특히 타겟장치(130)는 그 위치파악을 위하여 비콘(beacon, 135)을 이용하는데, 비콘(135)에 의하여 제공되는 위치 정보를 축적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타겟장치(130)를 휴대하는 사용자의 동선을 파악할 수 있고, 이러한 동선에 따른 위치정보가 유저별로 모두 축적되면 그 데이터들은 활용가능성이 큰 빅데이터가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 비콘(135)을 적용하는 의의는 실내에서의 위치 파악 그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위 시스템 구성을 이루는 각부 구성요소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타겟장치(130)와 이를 제어하는 통신용 디바이스(120)의 블록도이다. 여기서는 예시적으로 발광부를 구비하는 타겟장치를 개시하였으나, 반드시 발광기능을 갖는 타겟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타겟장치(130)로서, 타겟장치(130)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명령신호에 의하여 수동적으로 동작한다. 동작의 개념은 다양할 수 있으며, 특별히 어느 하나에 한정되는 개념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발광동작, 음향발생동작, 기계적 동작 등 다양한 형태의 동작이 가능하다.
여기서, 기계적 동작은 예를 들어 원격 조종 로봇과 같은 형태가 될 수 있다. 물론, 저전력 구동체로서 휴대형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므로, 그 구조는 매우 간단하다고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발광기능, 음향발생기능 등을 갖는 응원봉, 웨어러블 기기 등 저전력 구동이 가능한 모든 장치는 본 발명의 타겟장치(130)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전력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구동전원이 구비된다. 이러한 구동전원은 휴대형인 경우, 배터리가 될 것이다.
한편, 통신용 디바이스(120)로부터 전달되는 외부 신호에 따라서 타겟장치(130)의 각종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제어부(132)가 필요하다. 물론, 통신용 디바이스(120) 또한 서버와 타겟장치와의 연결관계에 따른 제어부(122)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핵심사상은 타겟장치(130)에 마련된 비콘(135) 및 제1비엘이 모듈(BLE Module, 134)로서, 상기 비콘(135)은 실내에서 타켓장치의 위치 파악이 가능하도록 기능한다. 이러한 위치 파악을 위해서 실외에서는 지피에스 모듈(GPS Module, 136)을 탑재함으로써도 가능하다.
결국, 통신용 디바이스(120)에 탑재된 통신 모듈(예를 들어 CDMA 모듈 등)로 전달되는 외부 신호는 중앙서버(110)로부터 전송되는 것이며, 상기 외부 신호는 타겟장치(130)를 제어함으로써 타겟장치(130)를 원격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신용 디바이스(120)는 타겟장치(130)를 제어하기 위한 앱의 탑재 및 구동이 가능한 범용의 장치로서 휴대폰이 가장 편의적이며 바람직할 것이다.
휴대폰은 통신망을 통하여 중앙서버(110)와 연동되며, 탑재된 프로그램을 통하여 중앙서버(110)로부터 전송되는 명령을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를 경유하여 제2비엘이 모듈(123)을 통해 타겟장치(130)에 전송하며, 타겟장치(130)는 전송된 명령에 따라서 작동됨으로써 중앙서버(110)에 의한 타겟장치(130)의 원격 조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타겟장치(130)를 원격 조정함으로써 타겟장치(130)가 특정의 패턴을 이루도록 제어하기 위해서는 타겟장치(130)의 정확한 위치가 파악되어야 한다. 타겟장치(130)는 휴대형 장치이므로 매우 유동적이며, 따라서 그 위치가 이동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그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야 한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그 위치정보를 갱신하여 갱신된 정보를 획득 및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갱신은 통신용 디바이스(120)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중앙서버(110)의 명령에 의할 수도 있고, 또는 통신용 디바이스(120)에 탑재된 앱의 기능에 의해서 실행될 수도 있다.
즉, 통신용 디바이스(120)는 타겟장치(130)의 위치 식별을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실행함으로써 타겟장치(130)의 위치 정보를 갱신하며, 갱신된 상기 위치 정보를 갱신시마다 중앙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통신용 디바이스(120)의 이러한 갱신 프로세스는 중앙서버(110)의 실시간 제어에 의한 것일 수도 있고, 탑재된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는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타겟장치(130)는 고정식 좌석이 존재하지 않거나 지정석이 아닌 연설장, 경기장, 공연장 또는 방송국에서 사용되었을 때에도 체계적이고 다양한 형태의 관중석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다(도 3 참조).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중앙서버 120 : 통신용 디바이스
121, 131 : 전원부 122, 132 : 제어부
123 : 제2비엘이 모듈 130 : 타겟장치
133 : 발광부 134 : 제1비엘이 모듈
135 : 비콘 136 : GPS 모듈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휴대용 기기 또는 웨어러블 기기 또는 응원봉으로서 이를 휴대하는 유저의 유동에 따라 그 위치가 실시간 변화되며,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명령신호에 의하여 동작하는 타겟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타겟장치의 위치정보가 유저에 의하여 별도로 입력되지 않고, 비콘에 의하여 인식되고 실시간으로 중앙서버에 전송되도록 하는 단계;
    위치정보가 식별된 타겟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타겟장치 동작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는 통신용 디바이스에 중앙서버로부터 명령이 전송되는 단계;
    중앙서버로부터 명령을 전송받은 통신용 디바이스에 의해, 타겟장치의 발광수단, 음향수단 및 기계적 동작수단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도록 하는 신호가 타겟장치에 탑재된 제1비엘이 모듈로 전송되는 단계; 및
    전송된 신호에 따라서, 타겟장치에 탑재된 제어부에 의하여 발광수단, 음향수단 및 기계적 동작수단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비콘을 통해서 획득된 타겟장치의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갱신함으로써, 중앙서버는 타겟장치를 갱신된 위치정보에 따라서 새로이 제어하며,
    타겟장치의 위치를 식별함에 있어서 비콘을 운용함으로써, 비콘에 의하여 인식된 상기 타겟장치의 위치정보 이력이 중앙서버에 축적되며, 이러한 위치정보가 타겟장치 유저별로 모두 축적됨으로써 빅데이터로 활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서버에 의한 타겟장치의 원격 제어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통신용 디바이스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특정 영역에 존재하는 복수의 통신용 디바이스에 타겟장치의 발광, 음향 생성 또는 기계적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신호를 선별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서버에 의한 타겟장치의 원격 제어방법.
  14. 삭제
KR1020160043706A 2016-04-08 2016-04-08 중앙서버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타겟장치 및 원격 제어방법 KR101685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706A KR101685411B1 (ko) 2016-04-08 2016-04-08 중앙서버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타겟장치 및 원격 제어방법
PCT/KR2017/003759 WO2017176059A1 (ko) 2016-04-08 2017-04-06 중앙서버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타겟장치 및 원격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706A KR101685411B1 (ko) 2016-04-08 2016-04-08 중앙서버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타겟장치 및 원격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5411B1 true KR101685411B1 (ko) 2016-12-13

Family

ID=57574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3706A KR101685411B1 (ko) 2016-04-08 2016-04-08 중앙서버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타겟장치 및 원격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85411B1 (ko)
WO (1) WO201717605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968B1 (ko) * 2017-01-25 2018-01-29 주식회사 트래딧 응원봉을 구비한 공연 연출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996B1 (ko) * 2012-03-21 2012-08-23 주식회사 케이지테크 가로등 원격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36023A (ko) * 2014-05-26 2015-12-04 안상정 공연용 엘이디 원격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1213A (ko) * 2009-05-08 2010-11-17 엘피엠테크놀로지 주식회사 공연자 위치 기반의 무대 효과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523995B1 (ko) * 2013-12-18 2015-06-1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지능형 알림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알림 제어 방법
KR101609066B1 (ko) * 2014-10-20 2016-04-0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조명 및 음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996B1 (ko) * 2012-03-21 2012-08-23 주식회사 케이지테크 가로등 원격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36023A (ko) * 2014-05-26 2015-12-04 안상정 공연용 엘이디 원격제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968B1 (ko) * 2017-01-25 2018-01-29 주식회사 트래딧 응원봉을 구비한 공연 연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76059A1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968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door navigation control by LED lighting devices
US10250858B2 (en) Stage lamp based on TCP/IP protocol and control system thereof
EP3048747B1 (en) Positioning method based on visible light source, mobile terminal and controller
CN102257844B (zh) 用于执行本地协同操作的多个移动通信设备
WO2006056886A3 (en) Remote control of antenna line devices
CN203012477U (zh) 多媒体展厅无线智能系统结构
JP6716892B2 (ja) 位置情報発信システム、及び位置情報発信装置
WO2018155025A1 (ja) 制御装置、無線通信端末および位置推定システム
KR20210043510A (ko) 공연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연연출시스템
KR20150136023A (ko) 공연용 엘이디 원격제어 시스템
KR101685411B1 (ko) 중앙서버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타겟장치 및 원격 제어방법
CN103260129A (zh) 一种基于手机基站定位的自助电子导游系统
CN105547284A (zh) 基于485通信的室内定位导航系统及监测方法
KR20240058812A (ko) 복수의 라이팅 장치 및 그 통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653178B1 (ko) 공연연출장치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2025552B1 (ko)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물 인터넷 서비스 중계기 및 중계 방법
US11470708B2 (en) Event staging system and event staging program
CN109286862B (zh) 信息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895696B1 (ko) Li-Fi/RF(WiFi/ZigBee/Bluetooth) Hybrid 기술
CN105471448B (zh) 网络版团队智慧讲解发射机及系统结构和定位、切换方法
KR20200071711A (ko) 응원용 발광장치를 이용한 공연장에서의 공연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연연출 시스템
KR20090090540A (ko) 음영 지역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그를위한 시스템, 조명기구 및 이동통신 단말기
CN206181387U (zh) 展区智慧导览系统
KR20180124617A (ko) 뷰오버뷰 기술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동시 전환 방법
KR20160094584A (ko) 대규모의 스마트 가로등에 대한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