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4617A - 뷰오버뷰 기술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동시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뷰오버뷰 기술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동시 전환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24617A KR20180124617A KR1020170059446A KR20170059446A KR20180124617A KR 20180124617 A KR20180124617 A KR 20180124617A KR 1020170059446 A KR1020170059446 A KR 1020170059446A KR 20170059446 A KR20170059446 A KR 20170059446A KR 20180124617 A KR20180124617 A KR 201801246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table terminal
- information
- server
- card section
- displa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 H05B37/0272—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시간 동기화 기술과 뷰컨트롤 기술을 결합한 뷰오버뷰 기술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동시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뷰오버뷰 기술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동시 전환 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매칭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매칭 정보에 대응되는 전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시작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서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간 시간 오프셋에 기반하여 결정된 시작 시점에, 디스플레이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뷰오버뷰 기술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동시 전환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영상 데이터를 미리 수신하고, 서버로부터 시작 신호가 수신되면, 서버와 휴대용 단말기간 시간 오프셋에 기반하여 결정된 시작 시점에, 별도의 이용자의 조작없이도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동시적으로 전환시켜 일치된 디스플레이 변환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시간 동기화 기술과 뷰컨트롤 기술을 결합한 뷰오버뷰 기술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동시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드 섹션(card section)은 일정한 간격으로 늘어앉은 사람들이 다양한 색깔의 종이나 천을 이용하여 글자나 그림을 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카드 섹션은 운동장이나 광장과 같이 넓은 공간과 다수의 사람들이 필요하다. 제대로 된 카드 섹션 연출을 위해서는 동시에 많은 사람들의 일치된 행동이 요구되므로 수많은 시행 착오와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배경 음악에 맞춰 카드 섹션을 수행하고는 있지만, 이는 카드 섹션을 수행할 때마다 음악이 동반되어야 하며 시행 착오시 동일한 음악을 반복해야 한다는 제약이 있다. 또한, 카드 섹션에 참여하는 참여자는 음악에 맞춰 카드 섹션의 패턴 및 시간 등을 암기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단말기의 영상 동시재생을 이용한 카드 섹션 등이 제안되고 있으나, 현재는 모든 단말기가 동일한 시간으로 동작하지 않고, 각각의 단말기간 자체적인 시간의 차이가 존재하여 영상이 동시적으로 재생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각 단말기가 서버와의 동기화를 수행하더라도 기본적으로 통신 음영지역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신호의 왕복에 따른 시간 오차는 실시간으로 변동되기 때문에, 실제 카드 섹션이 시작된 이후에는 정확히 맞추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카드 섹션은 동일한 시점에 각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재생되는 영상을 일괄적으로 변경하여 단합력을 보여주어야 함에도, 시간차에 의한 문제점으로 인해 사용자들은 단말기를 이용한 카드 섹션이 유용하게 활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버 및 각 단말기간 시간 오차를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함으로써 보다 자연스럽게 일치된 디스플레이 전환을 제공할 수 있는 재생할 수 있는 뷰오버뷰 기술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동시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뷰오버뷰 기술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동시 전환 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매칭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매칭 정보에 대응되는 전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시작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서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간 시간 오프셋에 기반하여 결정된 시작 시점에, 디스플레이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뷰오버뷰 기술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동시 전환 방법을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매칭 정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 네트워크 정보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서버에서 발급되는 유저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오버뷰 기술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동시 전환 방법을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시작 신호는 상기 서버 기준 시작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 기준 시작 시간 정보 및 상기 서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간 시간 오프셋에 기반하여 상기 시작 시점을 미리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뷰오버뷰 기술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동시 전환 방법을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서버간 RTT(Round Trip Time)을 최소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시간 동기화 로직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와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동시 전환 방법을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를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데이터를 미리 수신하고, 서버로부터 시작 신호가 수신되면, 서버와 휴대용 단말기간 시간 오프셋에 기반하여 결정된 시작 시점에, 별도의 이용자의 조작없이도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동시적으로 전환시켜 일치된 디스플레이 변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섹션 제공 서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버에서 관리되는 사용자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섹션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작 신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단위 동기화를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섹션 제공 서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버에서 관리되는 사용자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섹션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작 신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단위 동기화를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 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 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저장부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 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 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휴대용 단말기(100)에는 휴대폰, 스마트폰 (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100)가 시스템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와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100)는 이동 통신망 또는 인터넷망으로의 통신망 접속이 가능하도록 통신 모듈이 탑재되며, 통신망 접속을 통해 상호 연계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100)는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와의 시간 동기화에 따른 카드 섹션 데이터를 처리하여,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전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휴대용 단말기(100)는 상기 카드 섹션이 수행되는 좌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좌석 정보를 포함하는 매칭 정보를 생성하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매칭 정보에 대응되는 카드 섹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시작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서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간 시간 오프셋에 기반하여 결정된 시작 시점에, 상기 카드 섹션 데이터로부터 결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가 전환됨으로써 서버를 기준으로 서버뿐만 아니라 다른 휴대용 단말기(100)들과도 일치된 형태의 디스플레이 전환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는 카드 섹션 데이터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는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매칭 정보에 따라 단말기 등록 및 사용자 정보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는 등록된 휴대용 단말기(100)로 특정한 카드 섹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는 휴대용 단말기(100)에서의 카드 섹션 제공 동작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은 앱 스토어 또는 웹 페이지 등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 및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는 카드 섹션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는 자체적으로 관리 페이지를 출력하거나, 웹 페이지 또는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기(100)를 통해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의 관리자는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카드 섹션 데이터의 생성, 시간 간격 설정 및 카드 섹션 시작/종료 등의 제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드 섹션을 주관하는 관리자는 상기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카드 섹션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 예컨대, 상기 카드 섹션에 참여하는 인원 수, 상기 카드 섹션의 배열 구조, 상기 카드 섹션의 진행 시간 및 상기 카드 섹션에 사용되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 및 상기 텍스트 또는 이미지의 색상 등의 파라미터 값을 입력할 수 있다.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카드 섹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는 제어 정보에 기초한 시작 신호를 생성하여,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시작 신호는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의 기준 시작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각 휴대용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시작 신호로부터 시간 오프셋을 반영한 시작 시점을 각각 설정하여 카드 섹션 데이터로부터 식별되는 디스플레이 전환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전환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서부(140), 출력부(150), 저장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며,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버는 결제 서버 또는 매장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공연장 좌석 또는 그 주변에 위치한 무선 태그를 검출하여, 휴대용 단말기(100)가 위치한 좌석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좌석 정보는 매칭 정보에 포함되어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기본적으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정보 모듈(115)이 획득한 위치 정보 또한 매칭 정보에 포함되어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가 휴대용 단말기(100)가 위치한 공연장 정보 등을 확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에 카메라(121)가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정보는 매칭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좌석 정보를 직접 입력받을 수도 있다.
한편, 센서부(14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용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휴대용 단말기의 방위, 휴대용 단말기의 가속/ 감속 등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센서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40)는 예를 들어, 고도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등을 포함하여, 휴대용 단말기(100)의 움직임에 따른 현재 위치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가 카드 섹션 제공 모드인 경우 카드 섹션 제공과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휴대용 단말기(100)가 카드 섹션 관리 모드인 경우, 카드 섹션 관리를 위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이벤트 알림음, 카드 섹션용 알림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용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카드 섹션 시작, 호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 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플래시 저장부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저장부(예를 들어 SD 또는 XD 저장부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저장부,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 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저장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용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 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용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용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저장부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매칭 정보 입력, 좌석 정보 식별, 카드 섹션 데이터수신, 시간 동기화, 시간 오프셋 확인 및 디스플레이 전환과 관련된 출력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시작 시점 결정 및 디스플레이 시간 간격 보정을 위한 타이머 모듈(181) 및 동기화 모듈(18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0)는 상기 카드 섹션이 수행되는 좌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좌석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비콘 또는 NFC등으로 검출되거나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좌석 정보를 포함하는 매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매칭 정보는 상기 좌석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 입력에 따른 사용자 정보, 위치정보 모듈(115)로부터 검출되는 위치 정보, 이동 통신 모듈(112) 또는 무선 인터넷 모듈(113)로부터 검출되는 네트워크 상태 정보 및 장치 식별 정보(예를 들어, UDID: Unique Device Indentifier)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생성된 매칭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매칭 정보에 따라, 상기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를 등록하고, 유저 식별 정보에 매칭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매칭 정보에 대응되는 카드 섹션용 데이터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카드 섹션용 데이터는 좌석별 디스플레이 전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좌석별 디스플레이 전환 정보로부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전환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시작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서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간 시간 오프셋에 기반하여 시작 시점을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시작 시점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를 전환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은 카드 섹션별로 상이할 수 있다. 그리고, 시작 시점 이후 시간 간격은 상기 시간 오프셋의 변화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상기 타이머 모듈(182) 및 동기화 모듈(183)을 통해 상기 시간 오프셋을 확인할 수 있다.
타이머 모듈(182)은 휴대용 단말기(100)의 자체적인 내부 타이머 시간을 확인하고, 동기화 모듈(183)로 내부 타이머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타이머 모듈(182)은 동기화 모듈로부터 시간 오프셋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시간 오프셋 정보에 따른 디스플레이 타이밍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동기화 모듈(183)은 내부 타이머 시간 정보 및 서버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 오프셋을 검출하고, 타이머 모듈(182)로 전달한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동기화 모듈(183)을 통해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와의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고, 시간 동기화에 따라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와 타이머 모듈(182)간 시간오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80)는 상기 서버간 RTT(Round Trip Time)을 최소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시간 동기화 로직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와 시간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시간 동기화 로직은 예를 들어 NTP(Network Time protocol)을 이용한 패킷 교환 알고리즘에 따른 오차 보정 로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오차 보정 로직에 RTT를 최소화하기 위한 필터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예를 들어, RTT가 일정 값 이하인 신호들을 이용하여 시간 정보를 보정하는 HUFF-N-PUFF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차 보정 로직에 수행되는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단일 스레드 이벤트 루프를 이용한 웹 서버 엔진(예를 들어, Node.js)를 이용할 수 있으며, 메모리(160) 관리 방식으로 MEMORY CACHE ENGINE(Redis)가 적용될 수 있고, SOCKET 통신을 이용한 헤더 감축을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타이머 동기화가 수행되더라도 필연적으로 타이머 모듈(182) 자체가 10~100ms 정도의 오차를 가지며, 네트워크상의 음영 지역의 존재, 모바일 기지국의 변경가능성 존재 등에 의해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의 시간과는 오차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카드 섹션을 시작하기 위한 시작 신호가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 기준으로 동시에 전송되더라도, 종래의 단말기에서는 각각 서로 다른 시점에 디스플레이 전환이 이루어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0)는 상기 서버 기준 시작 시간 정보 및 상기 서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간 시간 오프셋에 기반하여 상기 시작 시점을 각 휴대용 단말기(100)에 맞게 미리 결정함으로써, 이와 같은 오차를 반영한 프레임 재생 시기 조절을 통해 일치된 카드 섹션이 진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카드 섹션 데이터에 따라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프레임 단위로 디스플레이를 전환하고, 상기 프레임 단위간 상기 시간 간격을 상기 서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간 시간 오프셋에 기초하여 실시간 가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프레임별 재생 시간 및 시간 간격이 조정되어 카드 섹션의 시간 동기화가 실시간으로 조정될 수 있게 되며 보다 자연스럽게 일치된 카드 섹션이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섹션 제공 서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버에서 관리되는 사용자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섹션 데이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작 신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는 통신부(220), 카드 섹션 데이터베이스(230), 사용자 정보 관리부(240), 어플리케이션 관리부(250), 카드 섹션 관리부(260) 및 출력부(270)를 포함한다.
제어부(210)는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의 카드 섹션 데이터 제공을 위해 각 구성요소의 동작 및 기능의 실행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카드 섹션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 관리, 시작 신호 제어, 출력 및 저장 기능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 또는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220)는 휴대용 단말기(100) 또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위치 한 네트워크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22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른 카드 섹션 데이터, 시작 신호,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휴대용 단말기(100)와 송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 섹션 데이터베이스(230)는 카드 섹션 식별 정보, 좌석 정보에 따른 디스플레이 전환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섹션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한다.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에서 관리되는 카드 섹션 데이터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섹션 ID, 전환 정보 및 좌석 정보를 포함하여 관리될 수 있으며, 상기 각 카드 섹션 ID에 대응되는 시작 시간 정보가 별도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카드 섹션 데이터는 카드 섹션 데이터베이스(230)에 CSV 형태의 STRING으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드 섹션 데이터가 CARD:1:COLORS:J:26으로 구성된 경우, 1은 카드 섹션 ID, COLORS는 전환할 디스플레이의 색상, J:26은 좌석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시작 시간 정보는 상기 카드 섹션 ID에 대응하여, 1:START TIME과 같은 STRING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정보 관리부(240)는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수신 되는 매칭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정보 및 휴대용 단말기(100) 식별 정보(UDID)를 등록하고, 각 매칭 정보에 기반한 유저 ID를 발급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 관리부(240)는 사용자의 단말 식별 정보를 uid에 등록하고, 각 휴대용 단말기(100) 사용자별 유저 ID를 발급하며, 상기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유저 ID를 등록 및 갱신할 수 있다. 매칭 정보는 예를 들어 좌석 정보(seatNo), 위치 정보(location), 네트워크 정보(network_info) 및 가입 시간 정보(insertD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 관리부(240)는 등록된 유저 ID의 상태 정보 (Current_Status)를 관리하여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100)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정보는 카드 섹션 시작, 종료 등과 같은 상태(Status) 정보, 상태별 레벨(level) 정보, 시작 시간 정보(startTime) 및 종료 시간 정보(endTim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매칭 정보에 따라, 제어부(210)는 카드 섹션 데이터베이스(230)로부터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100)에 전송할 디스플레이 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카드 섹션 ID 및 좌석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할 카드 섹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카드 섹션 데이터는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예를 들어, 30ms)에 따라 전환될 디스플레이 전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20)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되는 카드 섹션 데이터는(#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4d40,#00e7c5,…)과 같은 연속된 영상 정보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영상 정보는 RGB값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디스플레이 구조 및 포맷에 따라 가변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카드 섹션 데이터는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달되어, 휴대용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가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전환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제어부(210)는 카드 섹션 데이터베이스(230)로부터 상기 카드 섹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시작 시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시작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시작 신호를 통신부(220)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시작 신호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간 시간 오프셋에 기반하여 결정된 시작 시점에, 상기 카드 섹션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디스플레이 전환 정보에 따라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에 맞추어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를 전환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시작 신호는 특정 시점에 스타트 푸시 메시지 형태로 전송될 수 있으며, 서버 기준 시작 시간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어플리케이션 관리부(250)는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카드 섹션을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관리부(250)는 생성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앱 스토어 또는 웹 페이지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달하여,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100)의 카드 섹션 데이터 처리를 위한 프로세스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 섹션 관리부(260)는 자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및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270), 웹 페이지 또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카드 섹션 데이터베이스(230)의 관리를 위한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자는 카드 섹션 데이터의 생성, 시간 간격 설정 및 카드 섹션 시작/종료 등의 제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카드 섹션을 주관하는 관리자는 상기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카드 섹션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 예컨대, 상기 카드 섹션에 참여하는 인원 수, 상기 카드 섹션의 배열 구조, 상기 카드 섹션의 진행 시간 및 상기 카드 섹션에 사용되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 및 상기 텍스트 또는 이미지의 색상 등의 파라미터 값을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 섹션 관리부(260)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카드 섹션 데이터를 생성하여, 카드 섹션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휴대용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로부터 카드 섹션 처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 받고(S101), 제어부(18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실행한다(S103).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부(130) 또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입력된 좌석 정보를 획득하고, 제어부(180)를 통해 장치 식별 정보로서 UDID를 획득하며 매칭 정보를 생성한다(S105).
그리고, 생성된 매칭 정보는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의 통신부 (220)로 전달되며(S107),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240)를 통해 상기 매칭 정보에 기초한 사용자 정보 매칭 및 단말기 등록에 따른 유저 ID를 발급한다(S109).
그리고,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는 매칭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카드 섹션 데이터를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113).
그리고,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는 휴대용 단말기(100)와의 시간 동기화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휴대용 단말기(100)는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와의 시간 동기화에 따른 타이머 조정을 수행한다(S115).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0)는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와의 시간 오프셋을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S117).
이후,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는 제어부(210)를 통해 카드 섹션의 시작여부를 판단하고(S119), 카드 섹션 시작 시점에 기초한 특정 시점에, 미리 결정된 서버 기준 시작 시간을 포함하는 시작 신호를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S120).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어부(180)를 통해 시작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하고(S121), 상기 시간 오프셋에 기반하여 시작 시점을 결정하며 (S123), 상기 결정된 시작 시점에, 상기 카드 섹션 데이터로부터 식별되는 디스플레이 전환 정보에 따라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에 맞추어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를 전환한다(S125).
디스플레이의 전환은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에서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웹사이트를 구축하기 위해서 HTTP 클라이언트로 푸쉬 메시지를 보내줄 수 있는 모듈인 Socket.IO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이용한 뷰오버뷰(View over View, VOV) 기술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를 중앙에서 컨트롤하여 별도의 이용자의 조작없이 디스플레이를 전환시키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시간 오프셋을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디스플레이 시간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각 휴대용 단말기(100)가 일치된 시점에 디스플레이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휴대용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기본 시간 간격에 따라 프레임 단위로 디스플레이를 전환한다(S201).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시간 오프셋을 주기적으로 확인한다(S203).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시간 오프셋이 일정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205), 일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확인된 시간 오프셋과 상기 기본 시간 간격을 이용하여, 다음 디스플레이 전환의 시간 간격을 실시간으로 보정한다(S207).
이후,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보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다음 프레임을 디스플레이를 전환함으로써(S209), 디스플레이 전환의 프레임 단위 동기화를 구현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영상 시퀀스에 기초하여 제1 시간 간격에 따라 현재 제1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고, 제어부(180)는 상기 서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간 현재 시간 오프셋을 검출하여 상기 현재 시간 오프셋과 상기 제1 시간 간격을 이용하여 다음 제2 프레임에 대응되는 제2 시간 간격을 결정하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제2 프레임을 상기 제2 시간 간격에 따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단위 동기화를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단위 동기화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타이머 모듈(182)은 동기화 모듈 (183)로 타임 오프셋을 요청하고(S310), 타임 오프셋을 제공받아(S303), 디스플레이부(151)로 제1 디스플레이 전환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S307). 이때, 디스플레이부(151)는 타임 오프셋 30ms을 기준으로 기본 시간 간격인 33ms동안 제1 디스플레이로 전환할 수 있다(S309).
한편, 동기화 모듈(183)은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과의 시간 동기화를 위한 clent_sync_start 신호의 전송 및 server_sync 신호의 수신을 반복 동작하여 타임 오프셋을 주기적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S305), 획득된 타임 오프셋을 타이머 모듈(182)의 요청에 따라 전달한다.
이후, 타이머 모듈(182)은 다음 디스플레이 전환을 위한 타임 오프셋을 동기화 모듈(183)로 요청하고(S311), 다음 타임 오프셋을 제공받아(S313), 디스플레이부(151)로 제2 디스플레이 전환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S307). 이때, 디스플레이부(151)는 타임 오프셋이 10ms으로 20ms 감소하였기 때문에, 30ms를 기준으로 한 기본 시간 간격33ms에서 20ms를 차감한 13ms동안만 제2 디스플레이를 전환할 수 있다(S315).
이와 같은 과정이 매 프레임마다 반복하여 수행됨으로써, 각 휴대용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전환 시간 간격이 실시간 조정되며, 각각 거의 동일한 시점에 할당된 디스플레이를 전환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의 카드 섹션 데이터 생성 예를 도시한 것으로, 먼저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는 카드 섹션 관리부(260)의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영상을 입력받는다(S410).
그리고,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의 카드 섹션 관리부(260)는 상기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공연장 정보 및 인원 수 정보를 입력받는다(S403).
이에 따라, 카드 섹션 관리부(260)는 입력된 사용자 영상으로부터 각 영상의 RGB 값을 파싱하고, 카드 섹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 섹션 관리부(260)는 상기 공연장 정보 및 인원 수 정보에 기초하여 카드 섹션용 영상 데이터의 카드 섹션 프리뷰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자에게 제공한다(S405).
이후, 카드 섹션 관리부(260)는 관리 인터페이스에 대한 관리자 입력에 따라 카드 섹션 데이터를 생성하고(S407), 카드 섹션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관리자가 영상 정보를 입력하면 카드 섹션 제공 서버(200)는 바로 카드 섹션 데이터로 활용 가능한 영상으로 생성 및 공연장 정보에 따른 카드 섹션 프리뷰를 제공함으로써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휴대용 단말기
200: 카드 섹션 제공 서버
Claims (5)
- 뷰오버뷰 기술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동시 전환 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매칭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매칭 정보에 대응되는 전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시작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서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간 시간 오프셋에 기반하여 결정된 시작 시점에, 디스플레이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뷰오버뷰 기술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동시 전환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정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 네트워크 정보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서버에서 발급되는 유저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오버뷰 기술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동시 전환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신호는 상기 서버 기준 시작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 기준 시작 시간 정보 및 상기 서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간 시간 오프셋에 기반하여 상기 시작 시점을 미리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뷰오버뷰 기술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동시 전환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간 RTT(Round Trip Time)을 최소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시간 동기화 로직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와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동시 전환 방법.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9446A KR20180124617A (ko) | 2017-05-12 | 2017-05-12 | 뷰오버뷰 기술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동시 전환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9446A KR20180124617A (ko) | 2017-05-12 | 2017-05-12 | 뷰오버뷰 기술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동시 전환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4617A true KR20180124617A (ko) | 2018-11-21 |
Family
ID=64602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59446A KR20180124617A (ko) | 2017-05-12 | 2017-05-12 | 뷰오버뷰 기술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동시 전환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124617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572917A (zh) * | 2019-09-17 | 2019-12-13 | 哈尔滨理工大学 | 一种微环境光线亮度调节方法及系统 |
-
2017
- 2017-05-12 KR KR1020170059446A patent/KR20180124617A/ko unkno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572917A (zh) * | 2019-09-17 | 2019-12-13 | 哈尔滨理工大学 | 一种微环境光线亮度调节方法及系统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2988102B (zh) | 投屏方法和装置 | |
US10306437B2 (en) | Smart device groupin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 |
US9772192B2 (en) | Methods and systems for collaborative navigation and operation with a mobile device and a wearable device | |
EP3136793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wakening electronic device | |
CN110430324B (zh) | 一种应用开屏信息的显示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 |
AU2016204455A1 (en) |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external apparatus connected with device | |
US20170094587A1 (en) | Message transmission method, message 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 |
KR20170032213A (ko) | 지능형 전기 장치의 작동 방법 및 작동 디바이스 | |
CN108886542B (zh) | 系统、终端设备、方法和记录介质 | |
JP2017500823A (ja) | スマートランプの制御方法およびスマートランプの制御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 |
CN105532634A (zh) | 超声波驱蚊方法、装置及系统 | |
CN113992935B (zh) | 直播预告方法、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及产品 | |
JP2020500488A (ja) |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方法(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s) | |
CN109196371A (zh) | 控制定位模块和/或音频捕获模块的方法、装置、系统和计算机程序 | |
CN110637470A (zh) | 用于验证用户意图以及安全配置计算设备的技术 | |
CN110837300B (zh) | 虚拟交互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
WO2019218737A1 (zh) | 大屏系统中的视频画面显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 |
JP6310159B2 (ja) | アプリケーションインストール方法、装置、スマートデバイス、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 |
US20210352600A1 (en) | Vehicle-to-everything synchronization method and device | |
KR20180124617A (ko) | 뷰오버뷰 기술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동시 전환 방법 | |
US20240008156A1 (en) |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 controlling to a plurality of lighting devices and the lighting devices | |
KR20190107492A (ko) |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 |
KR20170049088A (ko) | 카드 섹션을 제공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 |
KR20180124603A (ko) | 휴대용 단말기 시간 동기화 기술을 활용한 동영상 동시 재생 시스템 | |
KR102588620B1 (ko) | 응원봉 제어 메시지 송신장치, 응원봉 제어 메시지 송신장치를 포함하는 응원봉 제어 시스템 및 응원봉 제어 메시지 송신장치를 통한 응원봉 제어 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