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066B1 - 조명 및 음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조명 및 음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066B1
KR101609066B1 KR1020140141821A KR20140141821A KR101609066B1 KR 101609066 B1 KR101609066 B1 KR 101609066B1 KR 1020140141821 A KR1020140141821 A KR 1020140141821A KR 20140141821 A KR20140141821 A KR 20140141821A KR 101609066 B1 KR101609066 B1 KR 101609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illumination
performer
motion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1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수진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41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0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 A63J5/04Arrangements for making sound-effect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저장된 공연자의 모션 및 음성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생성된 조명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명 및 음향 제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OF LIGHT AND SOUND}
본 발명은 콘서트, 오페라, 뮤지컬 및 연극 등을 실내외에서 공연할 때 자동으로 조명 및 음악연출을 수행할 수 있는 조명 및 음향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무대조명은 무대장치의 일부로서 무대에 빛을 효과적으로 비춰주는 기능을 담당하는데 주로 배우들의 연기를 관객들에게 잘 보이게 하기 위한 것은 물론 무대표현을 입체적으로 하기 위해 사용된다.
무대조명은 무대장치 가운데 가장 중요한 극의 표현수단이기도 하다. 무대조명은 사실 근래 들어 발달된 무대 장치이고, 극장들이 옥내에 설치되면서부터 중요한 무대수단이 되었다. 옥내에 극장을 설치하게 되면 조명이 연극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데, 무대 조명은 단순히 무대 위를 밝혀주는 기능뿐만 아니라 무대 표현을 예술적으로 조화시키는 등 무대의 기술적인 수단이다.
무대조명은 그리스, 로마시대나 중세 시대는 대부분의 극장들이 옥외에 설치된 노천극장들이었기 때문에 단지 태양 빛을 활용하는 단계에 머물렀다. 1880년대에 이르러 유럽에서 극장들이 옥내에 설치되었고 그로 인해 조명이 필요하게 되었고, 오늘날에는 무대조명이 연극 무대를 전부 지배할 정도로 중요하다.
근래에는 무대조명을 자동으로 조종할 수 있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는 추세이다.
기존의 수동조명 장치 기술은 배우의 움직임을 알고 있는 기술자가 직접 공연자의 움직임을 따라 조명을 비추는 기술인데 반해, 자동조명 장치 기술은 사전에 프로그램 된 방향을 지향 또는 기술자가 직접 조작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자동조명 장치 기술은 최근에 들어서 실내 항법 기술을 이용하여 조명의 조도를 변경하거나 하는 등의 자동화 방식이 일부 도입되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195470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094679호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및 음향 제어 시스템은 기저장된 공연자의 모션 및 음성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생성된 조명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및 음향 제어 시스템은 특정 공연에 대한 공연자의 모션 및 음성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공연자의 현재 위치와 상기 모션 및 음성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연관지어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및 음향 제어 시스템은 상기 공연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항법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저장된 모션 및 음성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따른 조명을 특정 시점에 상기 판단된 현재 위치로 제공하는 조명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항법장치는, 비컨(beac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초음파, 및 RF(Radio Frequenc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공연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명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음향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생성된 음향제어신호에 따라 특정 음원이 출력되도록 출력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및 음향 제어 방법은 프로세서에서,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공연자의 모션 및 음성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컨트롤러에서, 상기 생성된 조명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및 음향 제어 방법은 항법장치에서, 상기 공연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저장된 모션 및 음성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따른 조명을 특정 시점에 상기 판단된 현재 위치로 제공하는 조명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공연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는, 비컨(beac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초음파, 및 RF(Radio Frequenc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공연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및 음향 제어 방법은 상기 프로세서에서, 상기 조명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음향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상기 컨트롤러에서, 상기 생성된 음향제어신호에 따라 특정 음원이 출력되도록 출력수단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및 음향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및 음향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및 음향 제어 시스템이 공연자의 모션 및 음성 정보를 수집하여 조명 및 음향을 제어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및 음향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과 종래 기술과의 차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상세한 설명과 특허청구범위를 통하여 명백하게 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잘 지적되고 명백하게 청구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다양한 도면을 통해서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및 음향 제어 시스템(100)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및 음향 제어 시스템(100)은 실내외항법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조명을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연자의 모션 및 음성을 사전에 계량화된 데이터베이스로 등록하여 자동 조명의 안정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및 음향 제어 시스템(100)은 프로세서(110) 및 컨트롤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0)는 기저장된 공연자의 모션 및 음성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0)는 공연자들의 리허설이나 연습할 때 저장된 공연자들의 모션 및 음성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를 위한 조명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0)는 공연자가 양팔을 뻗어 도약하는 형상을 표현하는 모션에 대한 조명제어신호로서, 어두운 채도의 조명에서 밝은 채도의 조명으로 조명이 전환될 수 있도록 하는 조명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공연자가 표현하는 느린템포, 낮은음정의 음성에 대해서는 밝은 채도의 조명에서 낮은 채도의 조명으로 조명 전환될 수 있도록 조명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20)는 생성된 조명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및 음향 제어 시스템(100)은 데이터베이스(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130)는 리허설 때의 공연자의 모션 및 음성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조명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이에, 프로세서(110)는 공연자가 특정 모션이나 특정 음성을 표현하는 경우를 인식하고, 특정 모션이나 특정 음성을 표현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조명정보가 표현될 수 있도록 조명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30)는 '양팔을 뻗어 도약하는 형상을 표현하는 모션'과 함께 '어두운 채도의 조명에서 밝은 채도의 조명 전환'의 조명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프로세서(110)는 공연자가 '양팔을 뻗어 도약하는 형상을 표현하는 모션'을 표현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130)를 참고해서 '어두운 채도의 조명에서 밝은 채도의 조명 전환'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조명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데이터베이스(130)는 '느린템포, 낮은음정의 음성'과 함께 '밝은 채도의 조명에서 낮은 채도의 조명으로 조명 전환'의 조명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프로세서(110)는 공연자가 '느린템포, 낮은음정의 음성'을 표현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130)를 참고해서 '밝은 채도의 조명에서 낮은 채도의 조명으로 조명 전환'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조명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130)는 상기 공연자의 현재 위치와 상기 모션 및 음성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연관지어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리허설 때 발생한 공연자의 모션 또는 음성정보를 저장하되, 이 때 공연자의 현재 위치를 연관지어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및 음향 제어 시스템(100)은 공연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 항법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조명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음향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120)는 생성된 음향제어신호에 따라 특정 음원이 출력되도록 스피커 등의 출력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및 음향 제어 시스템(200)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및 음향 제어 시스템(200)은 항법장치(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및 음향 제어 시스템(200)이 리허설 때 항법장치(210)를 이용해서 공연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조명 및 음향 제어 시스템(200)은 공연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음성인식장치(220)와 공연자의 모션을 인식할 수 있는 모션인식장치(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명 및 음향 제어 시스템(200)의 프로세서(240)는 모션인식장치(230)를 통해 공연자가 특정 모션을 표현하는 경우를 감지하고, 항법장치(210)를 이용해서 이 때 공연자의 현재위치를 판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40)는 판단된 현재 위치와 함께 해당 모션을 데이터베이스(250)에 기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프로세서(240)는 음성인식장치(220)를 통해서 공연자가 특정 음성을 표현하는 경우를 감지하고, 항법장치(210)를 이용해서 이 때 공연자의 현재위치를 판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40)는 판단된 현재 위치와 함께 해당 음성을 데이터베이스(250)에 기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항법장치(210)는 공연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기 위해, 비컨(beac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초음파, 및 RF(Radio Frequenc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공연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기존의 조명 장치는 실시간으로 계산된 공연자의 위치만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조명 및 음악을 연출하여 자동 조명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에 제한이 있었다. 그러나, 조명 및 음향 제어 시스템(200)를 이용하면 공연자들이 사전에 리허설 등의 연습을 할 때의 모션 및 노래/음성 등을 사전에 주 컴퓨터가 인식 및 처리하고(즉, 계량화된 DB로 등록하여), 공연자의 특정 모션 또는 음성(노래 및 대사)을 인식함으로써 자동으로 조명 및 배경음악 재생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지능형 자동조명 및 음악연출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을 이용하면 실내외 항법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조명을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연자의 모션 및 음성을 사전에 계량화된 데이터베이스로 등록하여 자동 조명의 안정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및 음향 제어 시스템이 공연자의 모션 및 음성 정보를 수집하여 조명 및 음향을 제어하는 구체적인 실시예(3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및 음향 제어 시스템이 적용되면, 뮤지컬 또는 연극과 같이 조명기기(310)가 다수이고 이 조명기기(310)들이 조명해야 할 공연자(320)들도 다수일 경우 이를 효율적으로 조명할 수 있다.
공연자(320)들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indoo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을 사용하는 실내 또는 실외 항법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다수의 2축 짐벌 또는 3축의 조명기기(310)들, 음향 연출 장치(330)이 필요하다.
리허설 때 공연자들의 위치, 모션, 음성정보를 저장하거나, 공연자들의 모션 또는 음성에 따라 해당 위치에서의 조명을 추출하기 위해서, 공연자들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결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및 음향 제어 시스템은 배우들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결정하기 위해, 비컨(beac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초음파, RF 등을 이용하는 실내외 항법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및 음향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먼저, 도 4는 공연자의 모션 및 음성에 따른 조명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및 음향 제어 방법은 공연자의 현재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410).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및 음향 제어 방법은 공연자들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indoo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을 사용하는 실내 또는 실외 항법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및 음향 제어 방법은 배우들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결정하기 위해, 비컨(beac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초음파, RF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및 음향 제어 방법은 공연자의 현재위치에 상응하는 공연자의 모션 또는 음성 정보를 수집 할 수 있다(단계 420).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및 음향 제어 방법은 공연자의 현재위치와 연관지어 공연자의 모션 또는 음성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단계 430).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및 음향 제어 방법은 공연자의 모션 및 음성을 사전에 계량화된 데이터베이스로 등록하여 자동 조명의 안정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및 음향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및 음향 제어 방법은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공연자의 모션 또는 음성 정보 기초하여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510).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및 음향 제어 방법은 현재의 공연자가 표현하는 모션 또는 음성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모션 또는 음성 정보에 해당하는 조명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조명정보에 기초하여 조명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및 음향 제어 방법은 조명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음향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520).
예를 들어, 공연자가 '양팔을 뻗어 도약하는 형상을 표현하는 모션'을 표현하고, '어두운 채도의 조명에서 밝은 채도의 조명 전환'의 동작의 조명제어신호를 생성한 경우, 이에 대응될 수 있도록 밝고 경쾌한 음향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음향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및 음향 제어 방법은 생성된 조명제어신호에 따라 조명을 제어하고(단계 530), 조명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음향제어신호에 따라 특정 음원이 출력되도록 출력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단계 540).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및 음향 제어 방법을 이용하면, 공연장 내에 특정 위치에 부착된 2축 짐벌 또는 3축 형태의 조명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고, 특정 시점에 조명에 상응하는 음향 효과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및 음향 제어 방법을 이용하면 공연자들의 위치를 기반으로 모션을 인식하고, 음성 인식 장비를 이용하여 공연자의 음성을 인식한 뒤 향후 실시간으로 공연하는 상태와 비교하여 스스로 조명을 제어하고 음악을 연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1)

  1. 리허설에서 공연자의 모션 및 음성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저장된 모션 및 음성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상기 생성된 조명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비컨(beac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초음파, 및 RF(Radio Frequenc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공연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항법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고하여, 동일한 모션 및 음성들에 대해 상기 공연자의 현재 위치에 따라 다른 조명제어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기저장된 모션 및 음성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따른 조명을 특정 시점에 상기 판단된 현재 위치로 제공하는 조명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조명 및 음향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공연자의 현재 위치와 상기 모션 및 음성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연관지어 저장하는 조명 및 음향 제어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명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음향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생성된 음향제어신호에 따라 특정 음원이 출력되도록 출력수단을 제어하는 조명 및 음향 제어 시스템.
  7. 데이터베이스에, 리허설에서 공연자의 모션 및 음성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단계
    프로세서에서, 상기 저장된 모션 및 음성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컨트롤러에서, 상기 생성된 조명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을 제어하는 단계; 및
    항법장치에서, 비컨(beac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초음파, 및 RF(Radio Frequenc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공연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고하여, 동일한 모션 및 음성들에 대해 상기 공연자의 현재 위치에 따라 다른 조명제어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기저장된 모션 및 음성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따른 조명을 특정 시점에 상기 판단된 현재 위치로 제공하는 조명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조명 및 음향 제어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서, 상기 조명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음향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컨트롤러에서, 상기 생성된 음향제어신호에 따라 특정 음원이 출력되도록 출력수단을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조명 및 음향 제어 방법.
  11. 제7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40141821A 2014-10-20 2014-10-20 조명 및 음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609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821A KR101609066B1 (ko) 2014-10-20 2014-10-20 조명 및 음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821A KR101609066B1 (ko) 2014-10-20 2014-10-20 조명 및 음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9066B1 true KR101609066B1 (ko) 2016-04-04

Family

ID=55799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1821A KR101609066B1 (ko) 2014-10-20 2014-10-20 조명 및 음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0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081B1 (ko) * 2017-02-02 2017-06-05 (주)컬처릿 모션 인식을 이용한 무대 효과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WO2017176059A1 (ko) * 2016-04-08 2017-10-12 김재범 중앙서버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타겟장치 및 원격 제어방법
KR101800192B1 (ko) * 2016-05-31 2017-11-22 (주)잼투고 동작기반 스튜디오 장비 제어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1554A (ja) 2004-02-03 2005-08-18 Seiko Epson Corp 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17240B1 (ko) 2011-11-30 2013-10-15 하이네트(주) 무대용 스마트 조명 자동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1554A (ja) 2004-02-03 2005-08-18 Seiko Epson Corp 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17240B1 (ko) 2011-11-30 2013-10-15 하이네트(주) 무대용 스마트 조명 자동 조절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6059A1 (ko) * 2016-04-08 2017-10-12 김재범 중앙서버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타겟장치 및 원격 제어방법
KR101800192B1 (ko) * 2016-05-31 2017-11-22 (주)잼투고 동작기반 스튜디오 장비 제어방법 및 시스템
WO2017209439A1 (en) * 2016-05-31 2017-12-07 Jam2Go, Inc. Method and system for motion-based control of studio equipment
KR101743081B1 (ko) * 2017-02-02 2017-06-05 (주)컬처릿 모션 인식을 이용한 무대 효과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5482B2 (en) Personalized, real-time audio processing
WO2021083071A1 (zh) 语音转换、文件生成、播音、语音处理方法、设备及介质
US20140129235A1 (en) Audio tracker apparatus
US10885894B2 (en) Singing expression transfer system
US11341966B2 (en) Output for improving information delivery corresponding to voice request
JP5767004B2 (ja) 視聴覚システム、リモコン端末、会場機器制御装置、視聴覚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視聴覚システムの制御プログラム
KR20200065248A (ko) 음원의 가수 목소리를 사용자의 음색으로 변환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609066B1 (ko) 조명 및 음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5787027A (zh) 一种音频文件播放方法及终端
WO2017109139A1 (en) Techniques for dynamic music performan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JP4068945B2 (ja) 音楽同調噴水装置
US11487815B2 (en) Audio track determination based on identification of performer-of-interest at live event
JP3077192B2 (ja) 演奏環境に対応する電子楽器
JP6557886B1 (ja) 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再生方法及び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
US2016018969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presentation system page commands
JP2019146174A (ja) 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再生方法及び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
JP6809177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4595948B2 (ja) データ再生装置、データ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325161A (ja) 映像システム
JP4470947B2 (ja) データ再生装置、データ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033720B1 (ko) 분위기 컨트롤이 가능한 음원 믹싱 방법 및 시스템
JP2008197268A (ja) データ再生装置、データ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657866B2 (ja) 音響効果付与装置及び音響効果付与プログラム
KR101400258B1 (ko) 음성 인식을 이용한 이미지 표시 방법
Hein et al. Sound Anthology: Program No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