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1213A - 공연자 위치 기반의 무대 효과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공연자 위치 기반의 무대 효과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1213A
KR20100121213A KR1020090040269A KR20090040269A KR20100121213A KR 20100121213 A KR20100121213 A KR 20100121213A KR 1020090040269 A KR1020090040269 A KR 1020090040269A KR 20090040269 A KR20090040269 A KR 20090040269A KR 20100121213 A KR20100121213 A KR 20100121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performer
performance
lighting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0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석
이승현
Original Assignee
엘피엠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피엠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피엠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0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1213A/ko
Publication of KR20100121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12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대 위에서 공연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무대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각종 무대 효과를 나타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미리 정의된 공연자의 연기와 맞추어 조명, 음향, 프로젝션 기술 등을 이용한 무대효과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무대 감독의 큐 신호에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로 인해 공연자는 미리 정의된 동선을 벗어나 행동하는 것이 제약이 되기 때문에, 각본에 정의되지 않은 연기를 하는 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공연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그 공연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조명, 음향 등의 무대효과를 자동으로 제어하거나, 무대 위에 미리 정의한 영역에 공연자가 진입하면 특정 효과를 연출하는 큐 신호로 작동하게 하여 다양한 무대효과를 창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공연자의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무대 효과의 연출을 상당 부분 자동화함으로써 무대 효과를 담당하는 인력의 집중도를 높여 공연 중 발생할 수 있는 실수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보다 다양한 무대 효과를 시도할 수 있는 여유를 제공하고 특히 공연자가 능동적으로 공연의 진행을 이끌면서 즉흥적인 연출을 가능하게 하는 자유도를 제공한다.
위치 정보, 위치 인식, 무대 효과, 큐, 조명 제어, 조명 효과, 무빙 라이트, 자동 조명

Description

공연자 위치 기반의 무대 효과 제어 장치 및 방법 {Method and apparatus for stage effect based on the location of actors}
본 발명은 무대 위에서 공연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무대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각종 무대 효과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연의 진행은 무대감독(stage manager)이 주는 큐(cue) 신호에 의해 이루어진다. 무대감독은 조명과 음향, 공연자의 동작 등과 관련된 모든 큐의 내용을 포함한 전체 큐시트(cue sheet)를 작성하고 관리한다. 특히 조명의 경우, 그 종류와 수가 많고 공연 중 이루어지는 변화와 타이밍 등이 복잡하여 무대감독 외에 지정된 복수의 인원이 역할을 분담하여 수행하기도 한다. 각 큐 신호에 의해 이루어지는 변경은 조명의 대상이 되는 공연자의 위치 및 동선 등을 고려하여 사전에 계획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콘서트와 같은 경우 공연 중에 즉흥적으로 조명 효과가 연출되기도 한다.
조명 디자이너는 메모리 과정을 통해 조명 제어용 콘솔에 각 장면별로 조명의 상태를 입력하고 저장한다. 이후 리허설 과정을 통해 공연자의 위치와 이동 상 태 등을 종합적으로 보고 판단하여 수정한다. 이로부터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큐시트는 무대감독과 콘솔 오퍼레이터에게 전달되며 조명 디자이너 또는 오퍼레이터도 이를 이용하여 매 공연마다 조명 장치의 제어를 진행한다.
조명의 휘도를 조절하는 방법은 디머(dimmer)를 통하는 방법과 기계적인 셔터(shutter)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디머는 조명 장치의 램프에 공급되는 전원을 조절함으로써 조명 장치의 휘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조명 장치의 램프가 항상 일정한 빛을 출력하는 경우 상기 디머를 이용하여 휘도 조절을 할 수 없으므로 모터를 사용하여 기계적인 방식으로 휘도를 조절하는데 이를 셔터 또는 디밍 셔터(dimming shutter)라 한다. 어떤 방식이든 조명 제어용 콘솔의 슬라이드를 조절하는 데에 따라 0~100%까지의 범위에서 조명 장치의 휘도를 조절하게 되어 있다.
일반적인 조명 장치와는 달리 콘솔을 이용해 조명 장치의 수평 회전인 팬(pan)과 수직 회전인 틸트(tilt)를 조절함으로써 빛의 방향을 자유자재로 바꿀 수 있는 장치를 무빙 라이트라고 한다. 콘서트와 같이 무빙 라이트를 비교적 많이 활용하는 경우, 큐시트에 의존하기 보다는 즉흥적인 진행의 중요성이 커진다. 이를 위해서는 곡의 리듬과 박자, 내용과 분위기 등을 사전에 파악하는 등 많은 준비가 있어야 하고, 시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다양한 시도가 요구된다. 따라서 조명 담당자들의 역할이 특히 중요해진다.
상기 콘솔에서 슬라이드로 조절하는 값을 실제 조명 장치에 전달하기 위해서는 DMX라는 인터페이스 규격을 따른다. DMX는 일종의 직렬 통신 방식으로서 512개의 채널을 제어할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 각 채널은 하나의 디머에 할당되고 각 채 널에 전송되는 값은 0~255의 값을 갖는 1바이트의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DMX 케이블의 연결은 콘솔에서 첫번째 디머로, 첫번째 디머에서 다음 디머로 반복 연결되는 데이지체인(daisy-chain) 형태로 이루어지며 각 디머는 이를 위해 입력과 출력 단자를 제공한다. 상기 무빙 라이트의 경우 디밍 채널 이외에 팬, 틸트 등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장치가 여러 채널을 점유하게 된다. DMX를 통해서는 채널을 식별하기 위한 주소 등이 전송되지 않고 데이터만 순서대로 전송되기 때문에, 수신측에서 데이터를 카운트하면서 해당 기능에 할당된 채널을 식별하여 취해야 한다.
조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콘솔의 기능을 컴퓨터로 구현하면 그 역할을 단순히 조명 장치를 제어하는 것 이상으로 확장할 수 있다. 다양한 주변 장치를 연결하고 이를 소프트웨어로 제어하는 컴퓨터의 뛰어난 확장성을 응용하면 무대 효과 측면에서도 다양한 시도가 가능해진다.
종래에는 조명, 음향 등 각종 무대 장치의 조정이 무대감독 혹은 지정된 1인 이상의 오퍼레이터가 주는 큐 신호에 의해 이루어졌다. 조명은 기본적으로는 공연자의 위치와 이동 상태 등에 의해 변경되지만, 실제로는 제3자인 무대감독의 판단에 따라 주어지는 큐 신호에 의해 제어되기 때문에 공연자의 연기와 조화를 이루기 위해 여러 차례의 리허설을 통해 수정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결정된 큐 신호에 의해 진행되는 경우에도 반복되는 공연 중에 조명과 공연자 사이의 사소한 불일치로 인해 어색한 장면을 연출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조명 콘솔 오퍼레이터의 실수는 관객에게 쉽게 전달되기 때문에 숙련된 인원이 다루지 않으면 계획된 바에 따라 충실히 진행할 수 없게 된다.
한편 규모가 작은 공연의 경우 무대감독이 조명이나 음향스태프의 역할을 겸하는 경우가 있는데, 복잡한 큐의 설정은 현실적으로 공연의 진행을 어렵게 하기 때문에 각종 효과를 충분히 활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종래와 같이 미리 약속된 순서에 따라 무대 효과가 연출되는 방식에서는 공연자가 공연 중에 관객의 반응에 따라 즉흥적인 연기를 보이고 이를 통해 관객과 교감하고 공감대를 형성함으로써 공연의 몰입도와 재미를 극대화하는 데 적지않은 제약이 따른다.
본 발명에서는 공연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그 공연자의 위치에 기 반하여, 조명, 음향 등의 무대효과를 자동으로 제어하거나, 무대 위에 미리 정의한 영역에 공연자가 진입하면 특정 효과를 연출하는 큐 신호로 작동하게 하여 다양한 무대효과를 창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기 위해 초광대역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등을 사용하여, 무대 내부 또는 주변에 미리 설치된 복수의 센서와, 위치 추적의 대상이 되는 사람에 부착한 이동체 간에 신호를 주고받음으로써 이동체의 위치를 추정하는 장치를 사용한다.
상기 장치에 의해 얻어진 위치 정보를 이용해서 고정된 조명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배우의 위치에 포커스가 맞추어진 해당 조명기를 켜거나 꺼서 조명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무빙 라이트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팬, 틸트의 값을 조정하여 배우를 추적하는 조명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무대 위에 특정 영역을 정의하고 대상이 되는 공연자가 해당 영역으로 진입하는 순간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큐 신호로 활용하는 "자동 큐"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무대감독이나 조명 기사가 별도의 큐 신호를 줄 필요가 없이 컴퓨터 등을 이용한 자동화된 무대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에서 상기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각종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여러 가지 부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즉, 무대 위의 특정 영역에 공연자가 위치하게 될 때 특정 영상 또는 음향 효과를 동반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명의 대상이 되는 공연자의 위치를 인식하여 이를 기반으로 조 명 장치의 제어를 자동화함으로써 복잡한 큐의 설정에 의한 무대 효과 연출의 제한을 크게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연자가 조명 기사 등 별도 인원이 큐 신호를 줄 필요성을 줄임으로써 해당 인원이 더 복잡하고 다양한 효과에 기여 또는 집중할 수 있도록 하고 조명 등 무대 장치의 제어가 공연자의 연기와 일치하지 않는 실수의 가능성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위치 정보에 기반한 "자동 큐" 기능을 사용하여 컴퓨터를 이용한 다양한 부가 효과를 구현함으로써 공연자의 움직임이 공연의 흐름을 능동적으로 이끌어 가고 공연 진행 중에 여러 가지 즉흥적인 효과를 연출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공연자(101)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성하는 무선 송신 및 수신 장치와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조명과 영상, 음성 등의 효과를 구현한 것이다. 무선 송신 및 수신 장치에는 주로 초광대역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이 사용되며 공연자가 휴대하는 부분(102)과 무대 여러 곳에 설치된 부분(103)으로 나뉜다. 방식에 따라 전자 또는 후자가 송신부가 되고 나머지 하나가 수신부가 된다. 도 2는 위치 추정부(201)와 영상, 음향, 조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주변 장치(203, 204, 205)를 포함한 컴퓨터(200)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송신부에서 수신부로 신호가 전달되는 시차 등이 기본 데이터로 컴퓨터(200)에 전송되고 컴퓨터의 위치 추정부(201)는 이 데이터와 송신부 및 수신부의 위치에 근거해 공연자의 위치를 추정한다. 영상 효과 제어부(203)는 위치 기반 효과 제어부(202)가 발생하는 "자동 큐" 신호에 따라 특정 내용의 영상이 화면에 보이도록 한다. 화면에 보일 영상은 컴퓨터에 저장된 것을 소프트웨어에 의해 선택 및 재생하여 영상 신호로 출력되고 이는 외부에 연결된 프로젝터 등의 입력 영상 신호로 사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수 영상 입력을 받아 그 중 하나를 선택 출력하여 프로젝터 등의 입력 영상 신호로 사용된다. 음향 효과 제어부(204)는 역시 위치 기반 효과 제어부(202)가 발생하는 "자동 큐" 신호에 따라 공연자의 근처에 위치한 스피커를 선택하여 여기에 특정한 내용 또는 언어의 음성을 출력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영상 효과 제어부(203)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오디오 입력을 받아 그 중 하나를 선택 출력하는 스위치의 역할을 한다. 상기 영상 효과 제어부(203) 및 음향 효과 제어부(204)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특정 영역에 특정 기능을 대응시키는 데이터 구조를 정의하여 사용한다. 표 1은 그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자동큐 영역 (좌표) 동작
1 (x11,y11), (x12,y12) 언어 선택 - 한국어
배경 영상 선택 - 서울
2 (x21,y21), (x22,y22) 언어 선택 - 중국어
배경 영상 선택 - 베이징
3 (x31,y31), (x32,y32) 언어 선택 - 일본어
배경 영상 선택 - 토쿄
조명 효과 제어부(205)는 위치 기반 효과 제어부(202)의 제어에 의해 특정 조명 장치로 공연자를 비춘다. 고정된 조명 장치의 경우에는 미리 해당 영역을 비추도록 설치된 조명 장치의 디머를 제어하여 휘도를 조절하고, 무빙 라이트의 경우에는 장치의 팬과 틸트를 조절하여 해당 영역을 비추면서 장치에 내장된 디머 또는 셔터를 제어하여 휘도를 조절한다. 이를 위해 공연자의 위치 좌표를 무빙 라이트의 팬과 틸트 값으로 변환하는 소프트웨어 기능과 조명 장치의 디머 또는 셔터 등에 할당된 DMX 채널과 무빙 라이트의 팬과 틸트에 할당된 DMX 채널을 구동하기 위한 DMX 인터페이스 제어기가 조명 효과 제어부(205)에 포함된다. 무빙 라이트의 색이나 고보(gobo)의 변화와 같이 조명의 방향 외에 다른 효과가 지원되는 경우에는 이를 활용하기 위해 상기 영상 효과 제어부(203) 및 음향 효과 제어부(204)와 마찬가지로 표1의 데이터 구조를 응용한다. 한가지 실시예로서, 공연자가 특정 영역에 위치했을 때 고보의 변화에 의해 특정한 무늬의 빛을 만든다.
상기 영상 효과 제어부, 음향 효과 제어부, 조명 효과 제어부는 데이터 출력을 위한 최소한의 하드웨어와 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며 실시예에 따라 위치 추정부의 소프트웨어 부하를 줄이기 위해 하드웨어로 구현하는 비중을 높일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나, 이 분야의 당업자라면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변경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도 1은 공연자의 위치에 기반한 무대 효과 장치 제어 방법의 실시 예.
도 2는 공연자의 위치를 추정하고 무대 효과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

Claims (4)

  1. 공연자의 위치를 추적하고 그 정보에 기반하여 무대 효과를 제어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무대 위에 1개 이상의 영역을 정의하고 특정 영역에 공연자가 진입하는 것을 큐 신호로 활용하여 "자동 큐" 기능으로 무대 효과를 연출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무대 위의 특정 영역과 공연자가 해당 영역에 위치할 때 동작해야 하는 무대 효과를 대응시키는 테이블 형태의 데이터 구조를 사용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공연자의 위치 정보를 변환하여 무빙 라이트의 팬과 틸트값을 구함으로써 무빙 라이트의 방향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법.
KR1020090040269A 2009-05-08 2009-05-08 공연자 위치 기반의 무대 효과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001212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269A KR20100121213A (ko) 2009-05-08 2009-05-08 공연자 위치 기반의 무대 효과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269A KR20100121213A (ko) 2009-05-08 2009-05-08 공연자 위치 기반의 무대 효과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213A true KR20100121213A (ko) 2010-11-17

Family

ID=43406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0269A KR20100121213A (ko) 2009-05-08 2009-05-08 공연자 위치 기반의 무대 효과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1213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3669A1 (ko) * 2014-03-03 2015-09-11 (주)바이널 무대 연출 시스템
KR20150111627A (ko) 2014-03-26 2015-10-06 모젼스랩(주) 객체 인덱싱을 통한 공연 시설물 컨트롤 장치 및 방법
CN105159154A (zh) * 2015-07-28 2015-12-16 浙江大丰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舞台控制系统
KR20170024374A (ko) 2015-08-25 2017-03-07 (주)케이엠정보기술 공연상황 상호작용 및 관객참여형 무대영상 연출장치 및 그 연출방법
WO2017176059A1 (ko) * 2016-04-08 2017-10-12 김재범 중앙서버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타겟장치 및 원격 제어방법
EP4163757A4 (en) * 2020-06-03 2023-11-29 Guangzhou Haoyang Electronic Co., Ltd. AUTOMATIC CHASE LAMP CONTROL SYSTEM AND AUTOMATIC CHASE LAMP CONTROL METHOD
CN118959940A (zh) * 2024-10-12 2024-11-15 安徽爱普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人体造形及动作的智能追光照明控制方法及其系统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3669A1 (ko) * 2014-03-03 2015-09-11 (주)바이널 무대 연출 시스템
KR20150111627A (ko) 2014-03-26 2015-10-06 모젼스랩(주) 객체 인덱싱을 통한 공연 시설물 컨트롤 장치 및 방법
CN105159154A (zh) * 2015-07-28 2015-12-16 浙江大丰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舞台控制系统
KR20170024374A (ko) 2015-08-25 2017-03-07 (주)케이엠정보기술 공연상황 상호작용 및 관객참여형 무대영상 연출장치 및 그 연출방법
WO2017176059A1 (ko) * 2016-04-08 2017-10-12 김재범 중앙서버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타겟장치 및 원격 제어방법
EP4163757A4 (en) * 2020-06-03 2023-11-29 Guangzhou Haoyang Electronic Co., Ltd. AUTOMATIC CHASE LAMP CONTROL SYSTEM AND AUTOMATIC CHASE LAMP CONTROL METHOD
CN118959940A (zh) * 2024-10-12 2024-11-15 安徽爱普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人体造形及动作的智能追光照明控制方法及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6156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atrical followspot control interface
US12075544B2 (en) Remotely controlled and monitored followspot
KR20100121213A (ko) 공연자 위치 기반의 무대 효과 제어 장치 및 방법
US8134307B2 (en) Method, system and remote control for controlling the settings of each of a multitude of spotlights
JP5059026B2 (ja) 視聴環境制御装置、視聴環境制御システム、及び視聴環境制御方法
US9756706B2 (en) Controlling a system that includes light-based communication (LCom)-enabled luminaires
US10165239B2 (en) Digital theatrical lighting fixture
KR101317240B1 (ko) 무대용 스마트 조명 자동 조절 장치
JP2002289373A (ja) 照明システムおよび照明システムのid設定方法
US20160071486A1 (en) Immersive projection lighting environment
CN102067732A (zh) 舞台照明设备和控制由所述设备发射的光束的方向的方法
JP2022539364A (ja) 公演演出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WO2020164807A1 (en) Led lighting simulation system
US89472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type of ambient lighting
CN207474056U (zh) 点唱装置
JP2022134638A (ja) 画像表示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発光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WO2018066097A1 (ja) 照明制御装置
CN112040596A (zh) 虚拟空间灯光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和系统
KR102612715B1 (ko) 무대영상을 기초로 그룹화된 조명램프의 스팟포인트를 이동시킬 수 있는 조명장치 및 이의 조명방법
CN118555710B (zh)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舞台灯光调控系统
KR20230103140A (ko) 공연 조명 연출 저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연 조명 연출 저작 방법
CN110149811B (zh) 用于借助调光台控制照明设施的方法
JPH08235907A (ja) スポットライト装置
KR101207596B1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다기능 무대 영상 투영 시스템
JP2016071075A (ja) カラオ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6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4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