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5552B1 -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물 인터넷 서비스 중계기 및 중계 방법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물 인터넷 서비스 중계기 및 중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5552B1
KR102025552B1 KR1020180053094A KR20180053094A KR102025552B1 KR 102025552 B1 KR102025552 B1 KR 102025552B1 KR 1020180053094 A KR1020180053094 A KR 1020180053094A KR 20180053094 A KR20180053094 A KR 20180053094A KR 102025552 B1 KR102025552 B1 KR 102025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repeater
wearable device
registered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진
이성희
김덕엽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53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55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2Brokering proxy services
    • H04L67/280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04L67/1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IoT) 디바이스와 사용자 단말 간의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중계하는 사물 인터넷 중계기는 상기 사물 인터넷 중계기의 위치 정보를 통신 커버리지 내의 주변 장치로 브로드캐스트하는 통신부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사물 인터넷 중계기에 등록된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등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상기 사물 인터넷 중계기에 연결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물 인터넷 서비스 중계기 및 중계 방법 {LOCATION BASED INTERNET OF THINGS SERVICE RE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RELAY DEVICE USING WEARABLE DEVICE}
본 발명은 위치정보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IoT) 서비스 중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해서 사물 인터넷 서비스 중계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해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를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기술이 활발히 연구되어 스마트 생활 보조 서비스에 적용되면서 스마트 홈 서비스 환경이 점차 실제로 적용되고 있다. 스마트 홈 서비스는 사용자의 스마트 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실내에 있는 사물 인터넷(IoT) 디바이스들과 통신하여 각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들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들을 파악할 수 있다. 일반적인 사물 인터넷 서비스에서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들이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과 직접적으로 통신하거나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서버처럼 독립적인 서버를 거쳐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들을 관리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방법들은 집이라는 하나의 한정된 장소에 있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들을 관리하는데 적합하다.
최근 스마트 생활 보조 서비스는 집이라는 한정된 공간을 넘어 확장하려는 시도가 있으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들의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어, 스마트 생활 보조 서비스가 다양한 장소에서 제공되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에 여러 장소에 있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들을 모두 등록하고 관리하기에는 번거로우며 각 장소마다 서버를 두는 것도 비효율적이다. 또 서버나 와이파이 라우터 등을 이용할 경우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정보들까지 주고받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장소들에서만 해당 장소에 있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들의 관리를 간단히 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한국 출원 번호 제10-2015-0180181호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장소가 아닌 여러 장소에 있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들을 위치 정보를 이용해서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중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한정적 장소에 대한 서비스를 위한 기존 방법과 달리 여러 장소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때에도 사용자가 일일이 연결하지 않고, 사물 인터넷 서비스 중계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해서 쉽게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IoT) 디바이스와 사용자 단말 간의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중계하는 사물 인터넷 중계기는 상기 사물 인터넷 중계기의 위치 정보를 통신 커버리지 내의 주변 장치로 브로드캐스트하는 통신부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사물 인터넷 중계기에 등록된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등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상기 사물 인터넷 중계기에 연결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물 인터넷 중계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 비컨 패킷을 주변 장치로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제어 명령을 해당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에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제어 명령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물 인터넷 중계기에 등록되지 않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에 등록 여부를 진행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IoT) 디바이스와 사용자 단말 간의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중계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가 연결된 사물 인터넷 중계기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는 위치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물 인터넷 중계기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등록된 사물 인터넷 중계기인지 확인하고, 등록된 사물 인터넷 중계기로부터 상기 사물 인터넷 중계기에 연결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과 프로토콜 메시지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토콜 메시지는, 프리앰블, 디바이스 식별자, 디바이스 이름, 디바이스 상태 데이터 및 송수신을 확인하는 검사합(Checksum)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프로토콜 메시지를 상기 사물 인터넷 중계기에 전달하여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중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중계기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중계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중계 방법은 사물 인터넷(IoT) 디바이스가 연결된 상기 사물 인터넷 중계기에서, 위치 정보를 통신 커버리지 내의 주변 장치로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이 연결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상기 사물 인터넷 중계기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는 위치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상기 사물 인터넷 중계기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등록된 사물 인터넷 중계기인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등록된 사물 인터넷 중계기로부터 상기 사물 인터넷 중계기에 연결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장소가 아닌 여러 장소에 있는 사물 인터넷(IoT) 디바이스들의 관리를 위치 정보를 이용해서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위치를 이동하더라도 해당 장소의 사물 인터넷 중계기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서 각각의 장소에 등록된 사물 인터넷 기기들의 정보 확인 및 제어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서비스 중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서비스 중계 시스템의 사물 인터넷 중계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서비스 중계 시스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사용자 단말 간의 프로토콜 메시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서비스 중계 시스템을 실생활에 적용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서비스 중계 시스템에서 등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등록되지 않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서비스 중계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중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서비스 중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물 인터넷 서비스 중계 시스템은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100), 사물 인터넷 중계기(200), 웨어러블 디바이스(300) 및 사용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서비스 중계 시스템은 사물 인터넷 중계기(200)에 연결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100)를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400)이 제어하는 방식으로 운영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100)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지원하는 모든 전자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100)는 도어락, IoT 스위치, IoT 센서, CCTV, 온도 조절 장치, 에어컨, 선풍기, 가스밸브, 조명제어기, IoT 플러그, TV, 냉장고, 오디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100)는 BLE Beacon을 이용해 정보를 전달하고 제어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100)는 사물 인터넷 중계기(200)에 프로토콜 메시지를 통해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물 인터넷 중계기(200)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100)를 연결하는 허브, 서버, 라우터 및 앵커(Anchor)일 수 있다. 이때,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100)와 사물 인터넷 중계기(200)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인터넷, 근거리 무선통신, 지그비 통신, 적외선 통신, UWB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물 인터넷 중계기(200)는 상기 사물 인터넷 중계기의 위치 정보를 통신 커버리지 내의 주변 장치로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물 인터넷 중계기(200)는 위치 정보를 수신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물 인터넷 중계기에 등록된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등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사물 인터넷 중계기에 연결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사물 인터넷 중계기(20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2에서 하도록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가 연결된 사물 인터넷 중계기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는 위치 정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사물 인터넷 중계기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등록된 사물 인터넷 중계기인지 확인하고, 등록된 사물 인터넷 중계기로부터 사물 인터넷 중계기에 연결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에서 하도록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40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를 통해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100)를 제어하거나, 그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와 사용자 단말(400)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인터넷, 근거리 무선통신, 지그비 통신, 적외선 통신, UWB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400)은 컴퓨터, 스마트폰, HMD(Head Mound Display), HUD(Head Up Display), 웨어러블 디바이스, 태블릿 PC, PC, 스마트 TV, 랩톱,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무인 안내/결제 시스템, 디지털 카메라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100)는 렌즈 및 촬상 소자를 포함하여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광학계를 탑재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100)는,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VR(Virtual Reality) 영상을 제공하는 VR기기, AR(Augmented Reality) 영상을 제공하는 AR기기, 시계, 안경, 헤어 밴드 및 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서비스 중계 시스템의 사물 인터넷 중계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중계기(200)는 통신부(210) 및 제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210)는 사물 인터넷 중계기의 위치 정보를 통신 커버리지 내의 주변 장치로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210)는 사물 인터넷 중계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 비컨 패킷을 주변 장치로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21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20)는 위치 정보를 수신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물 인터넷 중계기에 등록된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등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사물 인터넷 중계기에 연결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제어 명령을 해당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에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제어 명령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20)는 사물 인터넷 중계기에 등록되지 않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에 등록 여부를 진행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서비스 중계 시스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프로토콜 메시지부(310), 제어부(320), 메모리부(330) 및 통신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스마트 밴드,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반지, 스마트 벨트, 스마트 안경, 스마트 모자 등 착용 가능한 모든 종류의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토콜 메시지부(310)는 프로토콜 메시지 중계부, 프로토콜 메시지 생성부 및 프로토콜 메시지 파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토콜 메시지 중계부(Protocol Message Broker)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사용자 단말 간의 프로토콜 메시지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토콜 메시지 생성부(Protocol Message Generator)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단말로 송신할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토콜 메시지 파싱부(Protocol Message Parser)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의 명령이나 제어 프로토콜 메시지를 해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20)는 사물 인터넷 중계기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등록된 사물 인터넷 중계기인지 확인하고, 등록된 사물 인터넷 중계기로부터 사물 인터넷 중계기에 연결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20)는 사물 인터넷 중계기의 등록과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부(330)는 등록된 사물 인터넷 중계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340)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가 연결된 사물 인터넷 중계기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는 위치 정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340)는 사물 인터넷 중계기로부터 전달받는 블루투스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34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과 프로토콜 메시지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토콜 메시지는, 프리앰블, 디바이스 식별자, 디바이스 이름, 디바이스 상태 데이터 및 송수신을 확인하는 검사합(Checksum)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34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프로토콜 메시지를 사물 인터넷 중계기에 전달하여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중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34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사용자 단말 간의 프로토콜 메시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사용자 단말 간의 프로토콜 메시지는 프리앰블(410), 디바이스 식별자(420), 디바이스 이름(430), 디바이스 상태 데이터(440) 및 송수신을 확인하는 검사합(45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들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사용자 단말 간에는 프로토콜 메시지 송수신을 수행하게 된다.
프리앰블(410)은 스마트 단말이 웨어러블 디바이르로부터 전달된 프로토콜 메시지라는 것을 판단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디바이스 식별자(420)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간에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디바이스 이름(430)은 사용자에게 어떤 디바이스인지 알려줄 수 있다. 디바이스 상태 데이터(440)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검사합(450)은 프로토콜 메시지가 정상적으로 송수신 되었는지 확인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탁기의 경우, BSS 프리앰블(410)에 1번의 디바이스 식별자(420)를 갖고, 디바이스 이름(430)은 Washing Machine이고, 디바이스 상태 데이터(440)는 동작 상태, 잔여 시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송수신을 확인하는 검사합(4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서비스 중계 시스템을 실생활에 적용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400)의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를 착용하고 있으며, 사용자 단말(400)과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상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400)을 이용해서 가정(110)이나 회사(120) 또는 공장(130)에 있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가정(110)에 가까이 가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가정(110)에 있는 사물 인터넷 중계기(201)에서 브로드캐스트 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물 인터넷 중계기(201)에 연결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101, 102, 10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사물 인터넷 중계기(201)는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이용해서 위치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이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수신한 위치 정보를 이용해서 사물 인터넷 중계기(201)에 연결하고, 등록 여부를 확인한 뒤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회사(120)에 가까이 가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회사(120)에 있는 사물 인터넷 중계기(202)에서 브로드캐스트 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물 인터넷 중계기(202)에 연결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104, 105, 106)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사물 인터넷 중계기(202)는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이용해서 위치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이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수신한 위치 정보를 이용해서 사물 인터넷 중계기(202)에 연결하고, 등록 여부를 확인한 뒤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공장(130)에 가까이 가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공장(130)에 있는 사물 인터넷 중계기(203)에서 브로드캐스트 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물 인터넷 중계기(203)에 연결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107, 108, 109)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사물 인터넷 중계기(203)는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이용해서 위치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이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수신한 위치 정보를 이용해서 사물 인터넷 중계기(203)에 연결하고, 등록 여부를 확인한 뒤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집에는 세탁기, 에어컨, 형광등, 도어락 등의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가 있으며 회사에는 가습기, 에어컨, 형광등 등의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가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집에 있을 때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물 인터넷 중계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현재 집에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집에 있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정보를 사물 인터넷 중계기로부터 전달받아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 보내줄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집에 있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들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제어할 수 있다. 회사에서도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위치가 회사라는 것이 인지되면 가습기, 에어컨, 형광등 등의 회사에 있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들의 정보를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서비스 중계 시스템에서 등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등록되지 않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물 인터넷 중계기(200)에 연결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100)들을 제어하기 위해 사물 인터넷 중계기(200)에 등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301)와 사물 인터넷 중계기(200)에 등록되지 않은 웨어러블 디바이스(302)가 접근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물 인터넷 중계기(200)에 등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301)는 사물 인터넷 중계기(200)에서 브로드캐스트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301)는 사물 인터넷 중계기(200)가 등록된 중계기인지 확인할 수 있으며, 사물 인터넷 중계기(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1)가 사물 인터넷 중계기(200)에 등록된 디바이스인지 확인할 수 있다. 확인 절차가 마무리되면, 사물 인터넷 중계기(200)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100)의 정보를 등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301)에 전달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301)로부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100)의 정보를 전달 받은 사용자 단말(401)은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물 인터넷 중계기(200)에 등록되지 않은 웨어러블 디바이스(302)는 사물 인터넷 중계기(200)에서 브로드캐스트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302)는 사물 인터넷 중계기(200)가 등록된 중계기인지 확인할 수 있으며, 사물 인터넷 중계기(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02)가 사물 인터넷 중계기(200)에 등록된 디바이스인지 확인할 수 있다. 확인 절차가 마무리되면, 사물 인터넷 중계기(200)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100)의 정보를 등록되지 않은 웨어러블 디바이스(302)에 전달하지 않고, 사용자 단말(402)은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없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서비스 중계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중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S71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서비스 중계 시스템의 사물 인터넷 중계기(200)는 위치 정보를 브로드캐스트 송신 할 수 있다.
단계(S72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서비스 중계 시스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상기 위치 정보를 송신한 사물 인터넷 중계기(200)가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에 등록된 중계기인지 확인 할 수 있다.
단계(S73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서비스 중계 시스템의 사물 인터넷 중계기(200)는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가 사물 인터넷 중계기(200)에 등록된 디바이스인지 확인 할 수 있다.
단계(S74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서비스 중계 시스템의 사물 인터넷 중계기(200)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100)로부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에 전달 할 수 있다.
단계(S75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서비스 중계 시스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400)과 프로토콜 메시지를 이용해서 정보 및 명령을 송수신 할 수 있다.
단계(S76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서비스 중계 시스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사물 인터넷 중계기(200)를 통해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서비스 중계 시스템에 의하면,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들이 있는 장소에서 사물 인터넷 중계기가 위치 정보를 방송할 수 있다.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들과 웨어러블 디바이스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사물 인터넷 중계기를 이용해서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사물 인터넷 중계기를 등록하여 원하는 장소에서만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들을 관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200: 사물 인터넷 중계기
300: 웨어러블 디바이스
400: 사용자 단말

Claims (10)

  1. 사물 인터넷(IoT) 디바이스와 사용자 단말 간의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중계하는 사물 인터넷 중계기에 있어서,
    상기 사물 인터넷 중계기의 위치 정보를 통신 커버리지 내의 주변 장치로 브로드캐스트하는 통신부;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사물 인터넷 중계기에 등록된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등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상기 사물 인터넷 중계기에 연결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중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물 인터넷 중계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 비컨 패킷을 주변 장치로 브로드캐스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중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제어 명령을 해당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에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중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제어 명령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중계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물 인터넷 중계기에 등록되지 않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에 등록 여부를 진행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중계기.
  6. 사물 인터넷(IoT) 디바이스와 사용자 단말 간의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중계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가 연결된 사물 인터넷 중계기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는 위치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물 인터넷 중계기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등록된 사물 인터넷 중계기인지 확인하고, 등록된 사물 인터넷 중계기로부터 상기 사물 인터넷 중계기에 연결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과 프로토콜 메시지 송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메시지는,
    프리앰블, 디바이스 식별자, 디바이스 이름, 디바이스 상태 데이터 및 송수신을 확인하는 검사합(Checksu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프로토콜 메시지를 상기 사물 인터넷 중계기에 전달하여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0. 사물 인터넷 중계기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중계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중계 방법에 있어서,
    사물 인터넷(IoT) 디바이스가 연결된 상기 사물 인터넷 중계기에서, 위치 정보를 통신 커버리지 내의 주변 장치로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이 연결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상기 사물 인터넷 중계기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는 위치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상기 사물 인터넷 중계기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등록된 사물 인터넷 중계기인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등록된 사물 인터넷 중계기로부터 상기 사물 인터넷 중계기에 연결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 중계 방법.
KR1020180053094A 2018-05-09 2018-05-09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물 인터넷 서비스 중계기 및 중계 방법 KR102025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094A KR102025552B1 (ko) 2018-05-09 2018-05-09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물 인터넷 서비스 중계기 및 중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094A KR102025552B1 (ko) 2018-05-09 2018-05-09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물 인터넷 서비스 중계기 및 중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5552B1 true KR102025552B1 (ko) 2019-09-26

Family

ID=68067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094A KR102025552B1 (ko) 2018-05-09 2018-05-09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물 인터넷 서비스 중계기 및 중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55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30454A (zh) * 2021-08-02 2021-11-09 胜斗士(上海)科技技术发展有限公司 物联网管理方法和系统
WO2022149918A1 (ko) * 2021-01-07 2022-07-14 (주)지티에이컴 사물의 위치 추적을 위한 사설 사물인터넷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사물의 위치 추적방법
WO2023043073A1 (ko) * 2021-09-15 2023-03-23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사물 인터넷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저장 매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437A (ko) * 2014-09-01 2016-03-09 이승진 와이파이 비콘 신호 발생기와, 와이파이 비콘 기반의 위치 추적 서비스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101632401B1 (ko) * 2015-02-13 2016-06-2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웰니스를 향상시킬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사물인터넷 플랫폼 시스템
KR101642739B1 (ko) * 2015-05-20 2016-08-02 유엔젤주식회사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36068A (ko) * 2016-09-30 2018-04-09 주식회사 케이티 사물 인터넷 기기의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437A (ko) * 2014-09-01 2016-03-09 이승진 와이파이 비콘 신호 발생기와, 와이파이 비콘 기반의 위치 추적 서비스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101632401B1 (ko) * 2015-02-13 2016-06-2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웰니스를 향상시킬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사물인터넷 플랫폼 시스템
KR101642739B1 (ko) * 2015-05-20 2016-08-02 유엔젤주식회사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36068A (ko) * 2016-09-30 2018-04-09 주식회사 케이티 사물 인터넷 기기의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9918A1 (ko) * 2021-01-07 2022-07-14 (주)지티에이컴 사물의 위치 추적을 위한 사설 사물인터넷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사물의 위치 추적방법
CN113630454A (zh) * 2021-08-02 2021-11-09 胜斗士(上海)科技技术发展有限公司 物联网管理方法和系统
WO2023043073A1 (ko) * 2021-09-15 2023-03-23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사물 인터넷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저장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163379B (zh) 一种发现及配网的方法和电子设备
US10454564B2 (en) Facilitating communication with a vehicle via a UAV
KR102025552B1 (ko)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위치 기반 사물 인터넷 서비스 중계기 및 중계 방법
US10615625B2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US10904737B2 (en) Electronic device and proximity discovery method thereof
US9913197B2 (en) Beacon device for seamless ser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29535B1 (ko) 사물인터넷 장치의 네트워크 등록 방법 및 그 장치
WO2017114503A1 (en) Facilitating communication with a vehicle via a uav
KR20160049759A (ko) 주변 기기 탐색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45042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WO2019095738A1 (zh) 一种无人机的通信方法、通信装置及无人机
US952150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connections with plurality of user terminals in system
KR20150009698A (ko) 수신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00144759A (ko) 블루투스 통신 연결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80123296A (ko) 스마트오더장치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단말
US10149110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KR102479642B1 (ko) Ieee 802.11 표준에 정의된 tdls 세션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전자 장치
KR20190071238A (ko) 전자 장치 간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20240008156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 controlling to a plurality of lighting devices and the lighting devices
US20130089028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directional communication
KR20200133587A (ko) 빔 북 정보에 기반하여 영역별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80083796A1 (en) Connection Method for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Device, and Control Terminal Device
CN114338356B (zh) 一种网络修复方法、电子设备及移动设备
KR102659070B1 (ko)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20200000389A (ko) 연결 유형별 자동연결을 통한 정보안내 시스템과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