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5259B1 - 구강 청결 기능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구강 청결 기능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5259B1
KR101685259B1 KR1020140170446A KR20140170446A KR101685259B1 KR 101685259 B1 KR101685259 B1 KR 101685259B1 KR 1020140170446 A KR1020140170446 A KR 1020140170446A KR 20140170446 A KR20140170446 A KR 20140170446A KR 101685259 B1 KR101685259 B1 KR 101685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licorice
or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0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6279A (ko
Inventor
임인자
Original Assignee
임인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인자 filed Critical 임인자
Priority to KR1020140170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259B1/ko
Publication of KR20160066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2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식물을 이용하여 구강 청결뿐만 아니라 및 치주염, 치은염 등의 치주질환을 예방하여 치아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청결구강 청결 기능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산초, 옥수수 속대, 가지꼭지 , 감초, 에탄올의 혼합물을 숙성 및 정제시킨 것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청결 기능성 조성물로 이루어지되 산초 30~50중량부, 옥수수 속대 3~7 중량부, 가지꼭지 3~7중량부, 감초 0,2~0.7중량부에 에탄올 40~60중량부로 구성된 혼합물을 상온에서 30~50일 동안 숙성시켜 정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강 청결 기능성 조성물 {Oral Cavity Clean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구강 청결 기능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천연식물을 이용하여 구강 청결뿐만 아니라 및 치주염, 치은염 등의 치주질환을 예방하여 치아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청결구강 청결 기능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구강위생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구강보호와 관련된 제품들이 더욱 더 다양화되고 있다. 보통의 구강보호 제품은 구취제품들은 구취의 제거, 치태(dental plaque) 형성의 억제 또는 충치의 방지를 목적으로 한다.
구강은 수많은 세균의 증식으로 인해 세균과 박테리아, 심지어는 바이러지 침투하여 건강을 해치고 있는데, 국소적으로는 입에서 발생하는 악취로 인해 대인관계에도 많은 문제점을 유발하고 있다.
이는 미생물들에 의해 치아와 치주낭(periodontal sac) 사이에 침전된 음식물 찌꺼기가 분해됨으로써 생성된 휘발성 황화합물(VSCs)의 결과이다. 치태는 구강 내에서 세균 대사 작용에 의해 생성된다. 당체와 이러한 다당체에 내장된 세균(bacteria)에 의해 형성된 치석(plaque) 이다. 치태는 매우 점착성이 높고 용이하게 제거되지 않으므로, 이것은 보통 치주 질환 및 충치의 주요 원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항균성 약제를 구강 청결 제품들에 첨가하는 것은 구취 제거, 치태 형성 억제 또는 충치의 방지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인간의 신체 건강을 위협하는 외부 유해물질 즉, 병원성 세균, 환경 호르몬, 유해독소 등이 구강을 통하여 흡입되기 때문에 신체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구강 건강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구강환경은 음식물 찌꺼기와 침 속에 들어있는 소화효소 그리고 적절한 수분 등으로 세균이 생장, 번식할 수 있는 최적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충치 균인 뮤탄스 균을 포함하여 다양한 미생물이 서식하고 있다.
이러한 구강환경으로 인하여 치아를 썩게 만드는 충치 발생과 치주염과 치은염과 같은 염증성 구강 질환이 발생하며 음식물 찌꺼기에 대한 세균성 부패산물로 구강 악취 등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이다.
하지만, 현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구강 청결제품의 대부분은 불소화합물, 염화세틸피리디늄, 멘톨 등을 주성분으로 하고 있어 섭취할 경우 체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제품이 치아 및 구강건강관리 보다는 구취제거 효과를 더욱 더 강조되고 있다.
KR 10-0415169호 KR 10-0681713호 KR 10-1021088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천연식물인 산초, 옥수수 속대, 가지 꼭지, 감초를 이용하여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포함하지 않으면서 구강 청결뿐만 아니라 및 치주염, 치은염 등의 치주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치아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강 청결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산초, 옥수수 속대, 가지꼭지 , 감초, 에탄올의 혼합물을 숙성 및 정제시킨 것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청결 기능성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산초 30~50 중량부, 옥수수 속대 3~7 중량부, 가지꼭지 3~7 중량부, 감초 0,2~0.7 중량부에 에탄올 40~60 중량부로 구성된 혼합물을 상온에서 30~50일 동안 숙성시켜 정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천연식물인 산초, 옥수수 속대, 가지 꼭지, 감초를 이용하여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포함하지 않으면서 구강 청결뿐만 아니라 및 치주염, 치은염 등의 치주질환을 예방하여 치아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강 청결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하고 종래 화학합성 물질로 인한 체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없으므로 자연 친화적인 제품으로 안심하고 치아건강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청결 기능성 조성물은 산초, 옥수수 속대, 가지꼭지, 감초, 에탄올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산초(山椒)는 산초나무의 열매로서 둥글며 길이가 4 mm 정도이고 녹색을 띤 갈색이며 약용과 식용으로 매우 유용하게 쓰이고 있으며, 산초의 성질은 매우 뜨거운 편이어서 몸을 따뜻하게 데워 주는 작용을 하므로 손발이 차며 아랫배가 시리거나 관절이 아플 때에 산초를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
특히, 산초는 약용으로 위장을 자극하여 소화 및 신진대사의 기능을 촉진하여 급만성 위염, 위궤양, 위산과다, 복부냉증, 구토, 설사, 위하수, 위확장증, 건위, 식체, 소화불량 등의 소화기 질환에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곤충 및 기생충의 살충작용, 항균작용이 강하고, 보온작용과 진통작용이 있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식용으로는 그 독특한 향으로 인해 향신 조미료로 애용되고 있다.
옥수수 속대는, 많은 양의 베타시스테롤 성분이 함유되어 면역력 증강, 항염작용을 하여 우리몸에서 염증의 예방 및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치주질환을 발생시키는 치태의 원인들 중 하나인 뮤탄스균의 증식을 억제하여 치주질환을 예방하는 효능을 갖고 있다.
가지꼭지는, 강력한 항산화력을 가지고 있는 안토시아닌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서 발암물질의 작용을 억제하고, 불필요한 열을 내려주고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진통 및 지혈효과가 있어 통증을 억제하고 부종을 완화하는 효능을 갖고 있다.
감초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약용식물로서 뿌리는 적갈색으로 땅속 깊이 들어가고 줄기는 모가 지며 1m 정도 곧게 자란다. 또한 흰털이 밀생하여 회백색으로 보이며 선점이 흩어져 있고, 뿌리는 단맛이 나서 감미료, 한약재로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모든 약의 독성을 조화시켜서 약효가 잘 나타나게 하며 장부의 한열과 사기를 다스리고 모든 혈맥의 소통을 잘 시키며 근육과 뼈를 튼튼히 하며, 약리작용은 해독작용, 간염, 두드러기, 피부염, 습진 등에 효과가 있다.
감초의 주성분은 글리시리진이며, 이외에도 글라브라산, 플라보노이드, 트리펜계 사포닌, 사포나레틴 플라보노이드인 리쿠라시드 등이 있다. 글리시리진은 글리시리진산의 2-글루쿠론산 배당체로 감초의 감미성분으로, 사탕의 사오십배 단맛이 있으며, 감초 사포닌은 용혈작용이 없거나 약하며, 독성이 없어 다른 약물의 중독- 코데인, 아트로핀, 루미날 등의 중독을 풀어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효능을 가진 산초, 옥수수 속대, 가지꼭지, 감초로 이루어진 조성물에 의해 구강에 자극이 없고 구강 청결 및 치주, 치은염 등의 치주질환을 예방하고 치아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강 청결 기능성을 갖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청결 기능성 조성물에 따른 제조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산초의 준비단계)
일반적으로 산초는 산초나무의 열매 껍질이 딱하고 벌어져서 까만 속 부분이 드러나게 되는데,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열매 껍질이 벌어지기 바로 직전의 상태에서 산초열매를 따서 재료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1) 산초 채취 및 정선단계: 주로 산야에서 자생하는 산초를 채취하는데, 산초가 익은 정도를 잘 관찰하고 있다가 적절히 익은 시기에 산초열매를 채취한 후에 깨끗한 것들을 골라낸다.
(2) 세척 단계: 채취한 산초를 흐르는 깨끗한 물에 씻어 먼지 등 불순물을 세척 제거한다.
(3) 건조 단계: 세척한 산초에는 물기가 묻어 있으므로, 음지의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 수 시간 내지 하루 정도 자연 건조시켜 세척시 묻은 물기를 제거한다. 이 건조공정은 세척시 묻은 물기를 제거하는 것으로 충분하며, 산초 내부에 포함하고 있는 수분까지 제거하는 것은 아니다.
(옥수수 속대의 준비단계)
(1) 옥수수 이삭껍질이 황색으로 변하여 옥수수수염이 약간 말라 있는 상태로 옥수수 알맹이를 눌렀을 때 약간의 자국이 생길 정도로 되어 있는 옥수수를 수확한다.
(2) 상기 수확한 옥수수에서 알맹이를 분리한 다음 옥수수 알맹이가 제거된 옥수수 속대를 헹구듯이 씻어내는 세척을 한다.
(3) 상기 세척된 옥수수 속대를 길이방향으로 2~4cm 정도 되는 길이로 여러 등분 잘게 절단한 다음 수 시간 내지 하루 정도 열풍 건조한다.
( 가지꼭지의 준비단계)
(1) 가지씨를 파종하여 가지꽃이 개화 후 20∼25일이 지난 후에 가지를 수확한다.
(2) 상기 수확한 가지에서 가지 꼭지를 분리한 다음 분리된 가지 꼭지를 헹구듯이 물로 세척한 다음 상온에서 자연 건조한다.
(감초의 준비단계)
(1) 파종후 3~4년이 된 뿌리의 단맛이 강하고 약효성분이 높은 시기인 가을에 잎이 시들어 떨어지고 난 다음에 뿌리를 채취한다.
(2) 상기 채취한 뿌리를 정선하여 물로 세척한 다음 6~12시간 동안 열풍건조하여 절단한 다음 10~18시간 동안 열풍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15% 이하가 되도록 한다.
(본 발명 조성물의 제조)
상기와 같이 준비된 산초 30~50 중량부, 옥수수 속대 3~7 중량부, 가지 꼭지 3~7 중량부, 감초 0,2~0.7 중량부에 에탄올 40~60 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30~40일동안 상온에서 숙성하고 이를 정제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조성물 내 옥수수 속대 3~7 중량부, 가지 꼭지 3~7 중량부, 감초 0,2~0.7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청결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 및 효능에 최적의 범위의 양이라는 것이 반복되는 실험에 의해 결정한 최적의 함량 범위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해 선택된 최적 배합비율은 산초 40 중량부, 옥수수 속대 5 중량부, 가지 꼭지 5 중량부, 감초 0.5 중량부에 에탄올 49.5 중량부인 것으로 나타났다.
(1) 산초 40 중량부, 옥수수 속대 5 중량부, 가지 꼭지 5 중량부, 감초 0.5 중량부에 에탄올 49.5 중량부를 혼합한 다음 상기 혼합물을 40일동안 상온에서 숙성하고 이를 정제하여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청결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2)본 발명자는 피실험자 100여명에게 하루에 2회 이상 상기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 청결 기능성 조성물을 10~15ml 정도를 입에 머금고 2~3분정도 가글하도록 하였다.
(3) 상기 (2)번의 과정을 6개월 동안 수행한 결과를 관찰하였더니 거의 대부분이 1,2일 만에 구취가 제거되었고, 5일 정도 지난 후에는 치주염, 치은염이 완화되고 치유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3)

  1. 산초, 옥수수 속대, 가지꼭지 , 감초, 에탄올의 혼합물을 숙성 및 정제시킨 것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구강 청결 기능성 조성물을 제조하되,
    상기 유효성분은,
    산초 30~50중량부, 옥수수 속대 3~7 중량부, 가지꼭지 3~7 중량부, 수분함량 15% 이하로 건조된 감초 0,2~0.7 중량부에 에탄올 40~60 중량부로 구성된 혼합물을 상온에서 30~50일 동안 숙성시켜 정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청결 기능성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제조되는 구강 기능성 청결제.






KR1020140170446A 2014-12-02 2014-12-02 구강 청결 기능성 조성물 KR101685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446A KR101685259B1 (ko) 2014-12-02 2014-12-02 구강 청결 기능성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446A KR101685259B1 (ko) 2014-12-02 2014-12-02 구강 청결 기능성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279A KR20160066279A (ko) 2016-06-10
KR101685259B1 true KR101685259B1 (ko) 2016-12-09

Family

ID=56190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0446A KR101685259B1 (ko) 2014-12-02 2014-12-02 구강 청결 기능성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52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969B1 (ko) * 2017-03-31 2018-09-06 주식회사 마이웰에프앤에프 옥수수 속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016B1 (ko) * 2012-03-22 2012-10-24 신동목 구강 통증 개선과 구강항균 및 신경안정 효과를 가지는 천연항균 치약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3471A (en) 1997-11-06 1998-12-01 Chaykin; Sterling Oral cleansing: methods and compositions
KR20060083915A (ko) * 2005-01-17 2006-07-21 성유경 산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위생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81713B1 (ko) 2005-10-08 2007-02-15 박영웅 환경방사성 물질을 첨가제로 사용하는 구강 청결제
KR101021088B1 (ko) 2007-06-05 2011-03-14 주식회사 젠트로 조목초액의 정제방법, 이로부터 정제된 목초액, 및 상기정제된 목초액을 함유하는 화장품 및 구강 청결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016B1 (ko) * 2012-03-22 2012-10-24 신동목 구강 통증 개선과 구강항균 및 신경안정 효과를 가지는 천연항균 치약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279A (ko) 2016-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meeruddy et al. A review of the traditional and modern uses of Salvadora persica L.(Miswak): Toothbrush tree of Prophet Muhammad
Altschul Drugs and foods from little-known plants: notes in Harvard University herbaria
US8435499B2 (en) Toothpowder composition containing wheat flour and bamboo salt
KR101481371B1 (ko) 울금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4286906B1 (ja) 伝統韓薬材を主成分とする粉末歯磨き剤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05596260A (zh) 椰子牙膏
KR100989944B1 (ko) 항산화 미백 활성을 갖는 생약 혼합 추출물
KR102364900B1 (ko) 도꼬마리 및 작두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내 염증 개선용 치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85259B1 (ko) 구강 청결 기능성 조성물
CN105832614B (zh) 一种天然可食性儿童牙膏及制备方法
Sandhu et al. Caries protective foods: A futurist perspective
KR20180008120A (ko) 허브 추출물 및 그 정유를 포함하는 구강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93335B1 (ko) 액상 치약 및 그 제조방법
KR102230888B1 (ko) 치약 조성물
Eliseeva et al. Thyme (lat. Thýmus)
KR102093741B1 (ko) 즉석식품용 샐러드의 제조 방법
KR102305141B1 (ko) 즉석식품용 샐러드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즉석식품용 샐러드
KR102127337B1 (ko) 천연 식물추출물 및 구운소금을 함유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7661258A (zh) 一种口腔清洁消炎用草本漱口水
KR101394028B1 (ko) 벌레에 물린 피부질환 치료용 제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870263B1 (ko) 피부 미용팩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용용 팩
KR100707342B1 (ko) 오디, 부추 및 백토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및 이의제조방법
KR102139694B1 (ko) 분말형 치약 조성물
Nongmaithem et al. On the use of Dalbergia stipulacea Roxb.(Fabaceae) in oral healthcare with supplementary notes on species used in oral hygiene in Manipur, India
CN109758404A (zh) 一种防治口臭的牙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