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3335B1 - 액상 치약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상 치약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3335B1
KR101293335B1 KR1020110119447A KR20110119447A KR101293335B1 KR 101293335 B1 KR101293335 B1 KR 101293335B1 KR 1020110119447 A KR1020110119447 A KR 1020110119447A KR 20110119447 A KR20110119447 A KR 20110119447A KR 101293335 B1 KR101293335 B1 KR 101293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liquid
water
liquid toothp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9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3799A (ko
Inventor
한승국
박영우
Original Assignee
한승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국 filed Critical 한승국
Priority to KR1020110119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3335B1/ko
Publication of KR20130053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 치약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접골목(接骨木)과, 유근피(楡根皮)와, 자귀나무를 세절(細切)하여 추출재료를 준비하되, 상기 추출재료 전체중량%에 대해 상기 접골목 25 내지 50 중량%, 상기 유근피 25 내지 50 중량%, 상기 자귀나무 8 내지 26 중량%로 구성되는 재료 준비단계(S1);와, 상기 재료 준비단계(S1)에서 준비된 추출재료를 물과 혼합하고 90 내지 100℃로 가열한 후, 물에서 상기 추출재료를 제거하여 추출물을 수집하되, 상기 추출재료와 물은 1 : 2 내지 4 중량비율로 혼합되도록 하는 추출단계(S2);와, 상기 추출단계(S3)에서 추출된 추출물을 30 내지 100% 에칠알코올(Ethyl-Alchol)과 혼합하고 90 내지 100℃로 가열 증류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액상 조성물을 수집하되, 상기 추출물과 에칠알코올은 1 : 0.2 내지 0.4 부피비율로 혼합되도록 하는 정제단계(S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접골목, 유근피 및 자귀나무의 추출물을 포함하여 액상 치약을 제조함으로, 접골목의 소염작용과 유근피의 소염 및 항균작용과 자귀나무의 항균 및 통증완화작용으로 인해 치주질환 및 잇몸 염증의 치료를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주질환 및 잇몸의 염증을 유발하는 세균을 미리 박멸하여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액상 치약 및 그 제조방법{The liquefied dentifrice making method besides}
본 발명은 액상 치약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골목(接骨木), 유근피(楡根皮) 및 자귀나무의 추출물을 포함하여 액상 치약을 제조함으로, 접골목의 소염작용과 유근피의 소염 및 항균작용과 자귀나무의 항균 및 통증완화작용으로 인해 치주질환 및 잇몸 염증의 치료를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주질환 및 잇몸의 염증을 유발하는 세균을 미리 박멸하여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액상 치약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강 및 치아의 세정을 위해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치약의 조성물은 페이스트상, 분말상, 젤상 및 점액상, 액상으로 된 제품이 유통되고 있고, 그 사용 및 취급상에는 일정한 장·단점을 갖고 있다.
예컨대 상기 페이스트상의 치약은 점도가 높고 연마제 성분에 의한 치아 에나멜층의 손상을 유발시킬 가능성이 높고 사용시에 짜내기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용기 내의 제품을 완벽하게 사용할 수 없어서 폐기되는 용기에도 잔량의 치약이 남게 되고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분말상 치약은 그 사용중에 입자가 분사되거나 비산되므로 사용상에 불편함이 있으며, 상기 젤상 치약은 연마제가 함유된 것과 함유되지 않은 것이 있으나 높은 점성에 의한 퍼짐성이 낮고 구강내에서 쉽게 분산되지 않는 사용상에 불편함이 있다.
또한, 액상의 치약의 경우에는 구강균의 억제 및 구취 제거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강 가글제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세정성분이 부족한 문제점으로 인해 구강내 플라그의 제거 및 구강균 제거 등의 충분한 양치질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더욱이, 액상의 치약은 치주질환, 잇몸 염증 등의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기능성을 기대할 수 없어 사용의 범용성이 낮으므로, 질환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기능성 액상 치약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접골목(接骨木), 유근피(楡根皮) 및 자귀나무의 추출물을 포함하여 액상 치약을 제조함으로, 접골목의 소염작용과 유근피의 소염 및 항균작용과 자귀나무의 항균 및 통증완화작용으로 인해 치주질환 및 잇몸 염증의 치료를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주질환 및 잇몸의 염증을 유발하는 세균을 미리 박멸하여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액상 치약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상 치약 제조방법은 접골목(接骨木)과, 유근피(楡根皮)와, 자귀나무를 세절(細切)하여 추출재료를 준비하되, 상기 추출재료 전체중량%에 대해 상기 접골목 25 내지 50 중량%, 상기 유근피 25 내지 50 중량%, 상기 자귀나무 8 내지 26 중량%로 구성되는 재료 준비단계(S1);와, 상기 재료 준비단계(S1)에서 준비된 추출재료를 물과 혼합하고 90 내지 100℃로 가열한 후, 물에서 상기 추출재료를 제거하여 추출물을 수집하되, 상기 추출재료와 물은 1 : 2 내지 4 중량비율로 혼합되도록 하는 추출단계(S2);와, 상기 추출단계(S3)에서 추출된 추출물을 30 내지 100% 에칠알코올(Ethyl-Alchol)과 혼합하고 90 내지 100℃로 가열 증류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액상 조성물을 수집하되, 상기 추출물과 에칠알코올은 1 : 0.2 내지 0.4 부피비율로 혼합되도록 하는 정제단계(S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재료 준비단계(S1)에서 사용되는 상기 유근피를 대신하여 망개나무 뿌리 및 제비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제단계(S3)에서 수집된 액상 조성물에 보존제(保存劑), 감미제(甘味劑) 및 향미제(香味劑)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더 첨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첨가제 혼합단계(S4);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액상 조성물에 첨가되는 상기 첨가제는 액상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30 중량%에 해당하는 중량이 첨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첨가제로는 식물성 글리세린, 라벤더(Lavender) 에센셜 오일, 맨톨, 송염, 자일리톨을 포함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상 치약은 상기에 상술한 제조방법을 통해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치약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접골목(接骨木), 유근피(楡根皮) 및 자귀나무의 추출물을 포함하여 액상 치약을 제조함으로, 접골목의 소염작용과 유근피의 소염 및 항균작용과 자귀나무의 항균 및 통증완화작용으로 인해 치주질환 및 잇몸 염증의 치료를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주질환 및 잇몸의 염증을 유발하는 세균을 미리 박멸하여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상 치약 제조방법의 블럭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 치약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상 치약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상 치약 제조방법(100)은 재료 준비단계(S1)와, 추출단계(S2)와, 정제단계(S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재료 준비단계(S1)는 접골목(接骨木)과, 유근피(楡根皮)와, 자귀나무를 세절(細切)하여 추출재료를 준비하되, 상기 추출재료 전체중량%에 대해 상기 접골목 25 내지 50 중량%, 상기 유근피 25 내지 50 중량%, 상기 자귀나무 8 내지 26 중량%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 접골목 ]
일반적으로 접골목은 인동과 딱총나무속에 속하며 산지의 습지 및 골짜기에 자라는 갈잎떨기나무이다.
높이는 3~5m까지 자라며 잎은 깃꼴겹잎으로 작은잎은 5~7개이고 긴 타원형(긴 달걀형)으로 끝이 길 게 뾰족하고 가장자리의 톱니는 뾰족하며 안으로 굽지 않는다. 가지 끝의 원추꽃차례에 작은 돌기가 있고 털이 없으며 자잘한 황록색의 꽃이 핀다. 꽃부리는 깊게 5개로 갈라지고 털이 없으며 꽃밥은 노란색이다. 열매는 둥글고 짙은 붉은색이며 익는 모습이 아름답다.
접골목의 뿌리 및 뿌리껍질을 접골목근(接骨木根), 잎을 접골목엽(接骨木葉), 꽃송이를 접골목화(接骨木花)라고 하여 모두 약용한다.
접골목의 여러 가지 이름은 접골목[接骨木, 목삭조, 당본초(唐本草)], 접골초[接骨草: 이참암본초], 속골목[續骨木: 본초강목(本草綱目)], 천천활[본경봉원(本經逢原)], 칠엽황형[七葉黃荊, 방곤행:放棍行, 산호배:珊瑚配, 천천활: 왕연사(汪連仕), 채약서(採藥書)], 철골산[鐵骨散: 식물명실도고(植物名實圖考)], 접골단[접골단: 본초편방(본초편방)], 칠엽금[七葉金: 투골초:透骨草: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접골풍[接骨風: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착수[공도노수:公道老樹, 대엽접골목:大葉接骨木, 대엽삭조, 서근수:舒筋樹, 장목수:樟木樹: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고려접골목(高麗接骨木), 지렁쿠나무, 개똥나무, 딱총나무 등으로 부른다.
[약리작용]
이러한, 접골목은 통상 풍사(風邪)를 몰아내고 습을 배출시키며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고 통증을 완화시키는 효능이 있으며, 풍습에 의한 근골의 동통, 요통, 수종, 풍양, 은진(담마진), 산후 빈혈, 타박상에 의한 부종 및 동통, 골절, 창상(創傷) 출혈, 인후와 입 안의 염증을 치료하는데 사용한다.
접골목에 대해서 안덕균의《CD-ROM 한국의 약초》에서는 아래와 같이 기록하고 있다.
[기원] 인동과의 낙엽성 떨기나무인 딱총나무(Sambucus williamsii var. coreana Nakai.)의 가지이다.
[성미] 맛은 달고 쓰며, 약성은 평범하다.
[효능주치] 거풍이습(祛風利濕), 활혈지통(活血止痛)한다.
[임상응용]
1. 풍습성(風濕性)관절염, 요통, 골절상, 외상출혈에 유효하다.
2. 활혈(活血)작용이 있어 산후(産後)의 어혈(瘀血)제거하고, 타박상에 쓴다.
3. 두드러기, 피부 가려움증에 달여서 욕탕제로 사용한다.
4. 골절유합촉진에 현저한 반응을 나타낸다.
[임상연구] 골절상에 골질유합을 촉진시킨다. 임신부는 복용을 금한다.
[약리] 달인 물은 진통작용을 하고, 인후와 입 안의 염증을 치료하는데 사용한다. 이뇨효과도 보였다.
[화학성분] Sanbicyanin, cyanidol glucoside, amino acid, canogenic glucoside, iridoid glucoside, morronniside 등을 함유하고 있다.
[ 유근피 ]
일반적으로 느릅나무의 약명은 유피, 유근피라고 하며, 줄기껍질을 유피, 뿌리껍질을 유근피라고 한다.
이러한, 느릅나무는 약 10m에 이르는 큰키나무로 생김새는 느티나무와 비슷하다. 우리 나라 중부와 북부지방 산속 물가나 계곡 근처에서 자란다.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열매 익는 시기와 껍질의 종류만 다를 뿐 약리효과는 같다. 참느릅 둥근느릅 등은 열매가 9~10월에 익고, 당느릅 떡느릅나무 등은 4~5월에 익는다.
영양학적으로 느릅나무의 성분을 살펴보면 껍질에는 플라보노이드 사포닌 탄닌 점액질 등이 함유돼 있고, 잎에는 플라보노이드, 열매에는 탄닌 점액질 등이 들어 있다.
<동의학사전>에 “유근피는 비경 위경 폐경 대장경에 작용한다. 오줌을 잘 누게 하고 위장의 열을 없애며 부은 것을 가라앉힌다. 기침 부종 위염 등에 약으로 쓴다. 하루 12~30g을 달이거나 가루로 만들어 복용한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달인 물로 씻거나 가루 내어 바른다”고 기록돼 있다.
특히, 유근피 진액은 신체 장기나 피부 등 장소를 가리지않고 나타날 수 있는 염증치료에 효능이 좋다.
[자귀나무]
자귀나무는 부부의 금실을 상징하는 나무로 합환수(合歡樹)·합혼수·야합수·유정수라고도 한다. 이런 연유로 산과 들에서 자라는 나무를 마당에 정원수로 많이 심었다. 자귀대의 손잡이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나무였기 때문에 자귀나무라고 하며 소가 잘 먹는다고 소쌀나무라고 부르는 곳도 있다.
나무의 줄기는 굽거나 약간 드러눕는다. 높이 3∼5m이고 큰 가지가 드문드문 퍼지며 작은 가지에는 능선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2회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낫같이 굽으며 좌우가 같지 않은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작은잎의 길이는 6∼15mm, 나비는 2.5∼4.0mm 정도로서 양면에 털이 없거나 뒷면의 맥 위에 털이 있다.
꽃은 연분홍색으로 6∼7월에 피고 작은 가지 끝에 15∼20개씩 산형(傘形)으로 달린다. 꽃받침과 화관은 얕게 5개로 갈라지고 녹색이 돈다. 수술은 25개 정도로서 길게 밖으로 나오고 윗부분이 홍색이다. 꽃이 홍색으로 보이는 것은 수술의 빛깔 때문이다. 열매는 9∼10월에 익으며 편평한 꼬투리이고 길이 15cm 내외로서 5∼6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특이한 점은 신경초나 미모사는 외부의 자극에 잎이 붙어버리지만 자귀나무는 해가 지고 나면 펼쳐진 잎이 서로 마주보며 접혀진다.
[약리효과]
1. 통증을 완화하는데 탁월하다.
2. 몸속의 해로운 균을 제거하는 항균효능이 우수하다.
3. 심신을 안정시켜 정신을 맑게 하는 효능이 있다.
4. 접골효능이 좋아 뼈에 좋다.
또한, 상기 재료 준비단계(S1)에서 사용되는 상기 유근피를 대신하여 유근피와 유사한 효능을 갖는 망개나무 뿌리 및 제비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망개나무 뿌리]
망개나무의 정식 명칭은 청미래덩굴로 중부 이남의 산야 표고 1,600m 이하의 양지에서 자생하는 낙엽활엽 덩굴성식물이다.
생육환경은 반그늘 혹은 양지바른 곳에 서식한다. 키는 2~3m이고, 잎은 길이가 3~12㎝, 폭은 2~10㎝이고 광채가 있으며 질기고, 잎자루는 길이가 0.7~2㎝이고 턱잎은 덩굴손이 된다. 꽃은 황록색으로 잎겨드랑이에 달리고 꽃줄기 길이는 1.5~3㎝, 작은 줄기는 길이가 1㎝ 정도된다. 열매는 9~10월경에 적색으로 성숙되며 둥글고 지름 1㎝ 정도로 “명감” 혹은 “망개”라고도 한다.
어린잎과 열매는 식용, 뿌리는 약용으로 쓰이는데, 그 뿌리는 매독, 연주창, 염증, 부스럼, 악창, 수은 등 중금속의 해독에 효능이 우수하여 널리 해독제로 쓰인다.
[제비꽃]
일반적으로 장수꽃·병아리꽃·오랑캐꽃·씨름꽃·앉은뱅이꽃이라고도 한다. 들에서 흔히 자라며, 높이 10cm 내외이다. 원줄기가 없고 뿌리에서 긴 자루가 있는 잎이 자라서 옆으로 비스듬히 퍼지며, 잎은 긴 타원형 바소꼴이며 끝이 둔하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꽃이 진 다음 잎은 넓은 삼각형 바소꼴로 되고 잎자루의 윗부분에 날개가 자란다.
통상 꽃은 4∼5월에 잎 사이에서 꽃줄기가 자라서 끝에 1개씩 옆을 향하여 달린다. 꽃 빛깔은 짙은 붉은빛을 띤 자주색이고 꽃받침 잎은 바소꼴이나 끝이 뾰족하며 부속체는 반원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잎은 옆갈래조각에 털이 있으며 커다란 꿀주머니가 있다. 열매는 삭과로서 6월에 익는다.
이러한, 제비꽃은 해독작용, 항균작용 및 갖가지 염증에 대한 소염작용이 우수하여 약재로 널리 사용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접골목의 소염 및 진통작용과, 상기 유근피의 소염 및 항균작용 및 상기 자귀나무의 항균 및 진통작용의 효능을 갖는 재료를 후설될 상기 추출단계(S2)에서 추출물로 추출하여 액상 치약에 포함하여 사용함으로, 항균작용을 통해 해로운 충치균의 제거 및 충치균으로 인한 치주질환 및 잇몸 염증 등의 치료를 기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유근피를 대신하여 망개나무 뿌리나 제비꽃을 사용하여도 상기에 상술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추출단계(S2)는 상기 재료 준비단계(S1)에서 준비된 추출재료를 물과 혼합하고 90 내지 100℃로 가열한 후, 물에서 상기 추출재료를 제거하여 추출물을 수집하되, 상기 추출재료와 물은 1 : 2 내지 4 중량비율로 혼합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재료와 물이 1 : 3 중량비율로 혼합됨이 좋다.
상기 정제단계(S3)는 상기 추출단계(S3)에서 추출된 추출물을 30 내지 100% 에칠알코올(Ethyl-Alchol)과 혼합하고 90 내지 100℃로 가열 증류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액상 조성물을 수집하되, 상기 추출물과 에칠알코올은 1 : 0.2 내지 0.4 부피비율로 혼합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정제단계(S3)의 증류과정을 거치면서 불순물이 제거되어 수집되는 액상 조성물은 완제품으로 액상 치약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단계(S3)에서 수집된 액상 조성물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치약의 사용감을 좋게 하기 위해 보존제(保存劑), 감미제(甘味劑) 및 향미제(香味劑)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더 첨가하는 첨가제 혼합단계(S4);를 더 포함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액상 조성물에 첨가되는 상기 첨가제는 액상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30 중량%에 해당하는 중량이 첨가되도록 하며,
상기 첨가제로는 식물성 글리세린, 라벤더(Lavender) 에센셜 오일, 맨톨, 송염, 자일리톨을 포함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보존제로는 식물성 글리세린, 라벤더 에센셜 오일, 송염이 선택적으로 사용되고, 감미제로는 자일리톨이 사용되고, 향미제로는 라벤더 에센셜 오일, 맨톨이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상 치약 제조방법(100)을 아래의 실시예를 통해서 상세히 설명하나, 이러한 실시예로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은 본 발명의 액상 치약 제조방법(100)으로 제조되는 액상 치약이고, [비교예 1]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제조되는 액상 치약이다.
[ 실시예 1]
먼저, 접골목 : 600g, 유근피 : 600g, 자귀나무 : 300g을 각각 세절하여 추출재료를 준비한다. (S1)
그런 후, 상기 접골목과 유근피 및 자귀나무를 합한 추출재료 1500g에 물 4.5ℓ(물의 비중이 1kg/㎥ 이므로, 물 4.5ℓ는 중량으로 4500g에 해당함)를 넣어 혼합한 후, 3ℓ의 추출물을 얻을 수 있을 때까지 95℃로 가열한다. (S2)
그런 후, 추출물 3ℓ에 농도 80% 에칠알코올 800㎖를 혼합한 후, 95℃로 가열하면서 증류과정을 통해서 추출물에 잔존하는 불순물이 제거되도록 정제하여 액상 조성물을 수집한다. (S3)
여기서, 상기 증류과정을 통해서 정제한 액상 조성물은 완제품인 액상 치약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런 후, 상기 액상 조성물 3ℓ에 첨가물 식물성 글리세린 400g, 라벤드 에센셜 오일 10g, 맨톨 40g, 송염 80g, 자일리톨 130g을 더 첨가하여 완제품인 액상 치약으로 제조를 완료한다. (S4)
[ 실시예 2]
먼저, 접골목 : 600g, 망개나무 뿌리 : 600g, 자귀나무 : 300g을 각각 세절하여 추출재료를 준비한다. (S1)
그런 후, 상기 접골목과 망개나무 뿌리 및 자귀나무를 합한 추출재료 1500g에 물 4.5ℓ(물의 비중이 1kg/㎥ 이므로, 물 4.5ℓ는 중량으로 4500g에 해당함)를 넣어 혼합한 후, 3ℓ의 추출물을 얻을 수 있을 때까지 95℃로 가열한다. (S2)
그런 후, 추출물 3ℓ에 농도 80% 에칠알코올 800㎖를 혼합한 후, 95℃로 가열하면서 증류과정을 통해서 추출물에 잔존하는 불순물이 제거되도록 정제하여 액상 조성물을 수집한다. (S3)
여기서, 상기 증류과정을 통해서 정제한 액상 조성물은 완제품인 액상 치약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런 후, 상기 액상 조성물 3ℓ에 첨가물 식물성 글리세린 400g, 라벤드 에센셜 오일 10g, 맨톨 40g, 송염 80g, 자일리톨 130g을 더 첨가하여 완제품인 액상 치약으로 제조를 완료한다. (S4)
[ 실시예 3]
먼저, 접골목 : 600g, 제비꽃 : 600g, 자귀나무 : 300g을 각각 세절하여 추출재료를 준비한다. (S1)
그런 후, 상기 접골목과 제비꽃 및 자귀나무를 합한 추출재료 1500g에 물 4.5ℓ(물의 비중이 1kg/㎥ 이므로, 물 4.5ℓ는 중량으로 4500g에 해당함)를 넣어 혼합한 후, 3ℓ의 추출물을 얻을 수 있을 때까지 95℃로 가열한다. (S2)
그런 후, 추출물 3ℓ에 농도 80% 에칠알코올 800㎖를 혼합한 후, 95℃로 가열하면서 증류과정을 통해서 추출물에 잔존하는 불순물이 제거되도록 정제하여 액상 조성물을 수집한다. (S3)
여기서, 상기 증류과정을 통해서 정제한 액상 조성물은 완제품인 액상 치약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런 후, 상기 액상 조성물 3ℓ에 첨가물 식물성 글리세린 400g, 라벤드 에센셜 오일 10g, 맨톨 40g, 송염 80g, 자일리톨 130g을 더 첨가하여 완제품인 액상 치약으로 제조를 완료한다. (S4)
[ 비교예 1]
식물성 글리세린 400g, 라벤드 에센셜 오일 10g, 맨톨 40g, 송염 80g, 자일리톨 130g, 물 3ℓ를 첨가하여 일반적인 액상 치약을 제조한다.
따라서, [실시예 1]은 접골목, 유근피 및 자귀나무의 추출물을 정제한 후, 정제한 액상 조성물에 첨가제를 첨가하여 액상 치약을 제조하였고, [실시예 2]는 접골목, 망개나무 뿌리 및 자귀나무의 추출물을 정제한 후, 정제한 액상 조성물에 첨가제를 첨가하여 액상 치약을 제조하였고, [실시예 3]은 접골목, 제비꽃 및 자귀나무의 추출물을 정제한 후, 정제한 액상 조성물에 첨가제를 첨가하여 액상 치약을 제조하였으며, 이에 반해 [비교예 1]는 물에 첨가제를 첨가하여 일반적인 액상 치약을 제조하였다.
즉,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 및 첨가물은 아래의 [표-1]과 같다.
[표-1]
Figure 112011090494169-pat00001
여기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 1]의 액상 치약에 대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양치하면서 잇몸 염증 지수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의 [표-2]에 나타내었다.
잇몸 염증 지수(GingivitisIndex, GI)는 로(Loe)와 실니스(Silness)가 제안한 척도로써 다음과 같다:
0: 정상 치은;
1: 경한 염증(경미한 색조 변화, 가벼운 부종, 치주 탐침에 의한 출혈 성향 없음);
2: 중증 염증(발적, 부종 치은의 색조 변화, 치주 탐침에 의한 출혈 있음);
3: 심한 염증(상당한 발적과 부종, 궤양이 있으며 계속적인 출혈이 있을 경우)
[표-2]
Figure 112011090494169-pat00002
즉, [표-2]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액상 치약 제조방법(100)에 따라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액상 치약의 경우는 [비교예 1]의 액상 치약에 비해 잇몸 염증의 개선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액상 치약 제조방법(100)을 통해서 제조되는 액상 치약은 잇몸 염증을 유발하는 충치균을 제거하여 충치균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치주 및 잇몸 질환을 미리 예방할 수 있으며, 동시에 잇몸 염증이 발생한 경우 잇몸 염증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S1. 재료 준비단계 S2. 추출단계
S3. 정제단계 S4. 첨가물 혼합단계
100. 액상 치약 제조방법

Claims (5)

  1. 액상 치약 제조방법에 있어서,
    접골목(接骨木)과, 유근피(楡根皮)와, 자귀나무를 세절(細切)하여 추출재료를 준비하되, 상기 추출재료 전체중량%에 대해 상기 접골목 25 내지 50 중량%, 상기 유근피 25 내지 50 중량%, 상기 자귀나무 8 내지 26 중량%로 구성되는 재료 준비단계(S1);
    상기 재료 준비단계(S1)에서 준비된 추출재료를 물과 혼합하고 90 내지 100℃로 가열한 후, 물에서 상기 추출재료를 제거하여 추출물을 수집하되, 상기 추출재료와 물은 1 : 2 내지 4 중량비율로 혼합되도록 하는 추출단계(S2); 및
    상기 추출단계(S3)에서 추출된 추출물을 30 내지 100% 에칠알코올(Ethyl-Alchol)과 혼합하고 90 내지 100℃로 가열 증류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액상 조성물을 수집하되, 상기 추출물과 에칠알코올은 1 : 0.2 내지 0.4 부피비율로 혼합되도록 하는 정제단계(S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치약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준비단계(S1)에서 사용되는 상기 유근피를 대신하여 망개나무 뿌리 및 제비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치약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단계(S3)에서 수집된 액상 조성물에 보존제(保存劑), 감미제(甘味劑) 및 향미제(香味劑)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더 첨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첨가제 혼합단계(S4);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액상 조성물에 첨가되는 상기 첨가제는 액상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30 중량%에 해당하는 중량이 첨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치약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로는 식물성 글리세린, 라벤더(Lavender) 에센셜 오일, 맨톨, 송염, 자일리톨을 포함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치약 제조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액상 치약 제조방법을 통해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치약.
KR1020110119447A 2011-11-16 2011-11-16 액상 치약 및 그 제조방법 KR101293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447A KR101293335B1 (ko) 2011-11-16 2011-11-16 액상 치약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447A KR101293335B1 (ko) 2011-11-16 2011-11-16 액상 치약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799A KR20130053799A (ko) 2013-05-24
KR101293335B1 true KR101293335B1 (ko) 2013-08-06

Family

ID=48662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9447A KR101293335B1 (ko) 2011-11-16 2011-11-16 액상 치약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33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60792A (zh) * 2016-04-05 2017-10-20 株式会社Lg生活健康 包含天然复合物的用于预防或治疗口腔疾病的组合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090B1 (ko) * 2016-03-10 2021-09-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자화지정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70316B1 (ko) * 2016-06-20 2020-01-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천연 복합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854A (ko) * 1998-08-01 2000-03-06 성재갑 트리크로산, 우르소데스옥시콜린산계 유도체 및 유백피추출물을함유한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제 조성물
JP2002520344A (ja) 1998-07-14 2002-07-09 ヘンケル・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アウフ・アクチエン 液体歯磨製剤
KR20070073921A (ko) * 2004-10-19 2007-07-10 유니젠 파아마슈티컬스,인크. 구강질환 및 이상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이중아이코사노이드 시스템의 제형 및 사이토카인 시스템저해제
JP2010540647A (ja) 2007-10-01 2010-12-24 コルゲート・パーモリブ・カンパニー 植物性抽出物を含有する口腔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0344A (ja) 1998-07-14 2002-07-09 ヘンケル・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アウフ・アクチエン 液体歯磨製剤
KR20000012854A (ko) * 1998-08-01 2000-03-06 성재갑 트리크로산, 우르소데스옥시콜린산계 유도체 및 유백피추출물을함유한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제 조성물
KR20070073921A (ko) * 2004-10-19 2007-07-10 유니젠 파아마슈티컬스,인크. 구강질환 및 이상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이중아이코사노이드 시스템의 제형 및 사이토카인 시스템저해제
JP2010540647A (ja) 2007-10-01 2010-12-24 コルゲート・パーモリブ・カンパニー 植物性抽出物を含有する口腔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60792A (zh) * 2016-04-05 2017-10-20 株式会社Lg生活健康 包含天然复合物的用于预防或治疗口腔疾病的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799A (ko) 2013-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2411B2 (ja) 発毛促進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4393777B2 (ja) 抗ヘリコバクター・ピロリ用組成物
Misle et al. Maqui [Aristotelia chilensis (Mol.) Stuntz]-the amazing chilean tree: A review
KR102058464B1 (ko)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
Muhammad Therapeutic flora in Holy Quran
Lewis An Experimental History of the Materia Medica, Or of the Natural & Artificial Substances Made Use of in Medicine: Containing a Compendious View of Their Natural History, an Account of Their Pharmaceutic Properties & an Estimate of Their Medicinal Powers.. ̇
KR101293335B1 (ko) 액상 치약 및 그 제조방법
KR101941753B1 (ko) 기능성 물티슈용 방부제 조성물
Angier Field guide to medicinal wild plants
KR100989944B1 (ko) 항산화 미백 활성을 갖는 생약 혼합 추출물
Krauss Plants in Hawaiian medicine
Miller Botanicum Officinale: Or a Compendious Herbal: Giving an Account of All Such Plants as are Now Used in the Practice of Physick. With Their Descriptions and Virtues. By Joseph Miller
KR101028073B1 (ko) 혈액순환을 개선하여 신체 각 부위를 활성화 시키며 면역력을 증진시키는 작용 및 기전을 가진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Morton Medicinal and other plants used by people on North Caicos (Turks and Caicos Islands, West Indies)
KR20140069471A (ko) 비염 및 축농증 치료를 위한 한방제재
KR101944435B1 (ko) 민들레 추출물을 포함하는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
KR20210048971A (ko) 즉석식품용 샐러드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즉석식품용 샐러드
KR20200142768A (ko)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Williams Drug and condiment plants
Nongmaithem et al. On the use of Dalbergia stipulacea Roxb.(Fabaceae) in oral healthcare with supplementary notes on species used in oral hygiene in Manipur, India
KR20130100438A (ko) 피부질환 치료용 제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061610B1 (ko) 페퍼민트 오일을 포함하는 구강 청정용 조성물
NA MEDICINALLY IMPORTANT PLANTS OF GARAGUSH MOUNTAIN.
RU2130713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еда с повышенной биологической активностью
KR101985530B1 (ko) 천연 생약 성분을 포함하는 숙면 유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