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5003B1 - 도어 핸들의 스위치 조립체 - Google Patents

도어 핸들의 스위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5003B1
KR101685003B1 KR1020150013291A KR20150013291A KR101685003B1 KR 101685003 B1 KR101685003 B1 KR 101685003B1 KR 1020150013291 A KR1020150013291 A KR 1020150013291A KR 20150013291 A KR20150013291 A KR 20150013291A KR 101685003 B1 KR101685003 B1 KR 101685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switch
extension
uni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3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2651A (ko
Inventor
김정군
장민경
송창남
이강영
Original Assignee
인팩일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팩일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팩일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3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003B1/ko
Publication of KR20160092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2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3Handles creating a completely closed w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6Mounting of handles, e.g. to the wing or to the 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도어 핸들의 스위치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핸들의 스위치 조립체는 도어 핸들의 외측을 향해 부분 돌출된 상태로 위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눌려지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의 후방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를 푸시하는 외력에 의해 형태가 자유 변형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덮개부; 상기 덮개부의 후방에서 결합되고 상기 공간부를 향해 연장되고 서로 간에 이격된 복수개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부; 및 상기 케이스 부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버튼부의 푸시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위칭되는 스위치를 갖는 스위치 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버튼부의 후면에서 표면을 따라 밀착된 후에 상기 스위치를 향해 연장되되, 상기 이격된 돌출부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돌출부와 횡 방향에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고 소정의 두께(t1)를 갖는 제1 연장부; 상기 버튼부의 후면에서 외측을 향해 직경이 확장된 후에 상기 스위치 부의 외주면을 덮은 상태로 연장되며 상기 버튼부의 좌측 또는 우측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눌려지는 경우 상기 스위치에 대한 스위칭이 용이해지도록 상기 제1 연장부의 두께(t1) 보다 얇은 두께(t3)를 갖는 제2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에서 상기 버튼부의 내측 중앙을 향해 연장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가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 중의 어느 한 곳으로 눌려져서 상기 버튼부에 측압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연장부가 함께 눌려진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되, 상기 이동된 제1 연장부가 상기 돌출부와 접촉되면서 상기 버튼부의 측면 이동이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1 연장부의 이격된 거리 이내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 핸들의 스위치 조립체{Switch assembly of the door handle}
본 발명은 도어 핸들(door handle)에 장착되어 운전자의 버튼 조작에 따라 도어의 개폐 작동을 위한 스위칭 신호를 안정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버튼의 접촉 위치와 상관 없이 스위칭을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는 도어 핸들의 스위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와 승객이 타고 내릴 수 있는 다수의 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에는 도어핸들이 설치된다. 상기 도어핸들은 도어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차량의 외측에서 운전자가 도어를 손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작동된다.
한편 최근의 도어핸들에는 스마트 키 시스템(Smart Key System)을 채용한 차량이 점차 늘어남에 따라, 상기 도어핸들도 스마트 키 시스템 전용으로 개발되고 있다.
스마트 키 시스템용 도어핸들은 도어핸들의 외측면 부분에 설치되는 트리거 스위치(Trigger Switch)와, 상기 도어핸들의 내측에 설치되는 무선 안테나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안테나는 택트 스위치로부터 도어 록킹 신호 또는 도어 록킹 해제신호가 출력되면, 출력된 신호를 차량에 설치된 메인 콘트롤러(미도시)에 무선 송출하고 상기 신호를 입력 받은 메인 콘트롤러는 도어의 록킹 또는 록킹 해제 신호를 트리거 스위치에 전송하여 도어의 개폐를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도어 핸들은 상기 트리거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외부에서 무선 안테나가 위치된 곳으로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처리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양한 재질과 제작 공법을 통해 계속해서 개선되고 있다.
상기 트리거 스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항시 특정 방향에서만 가압되지 않고 다양한 방향에서 가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외측 중앙이 아닌 일측 방향에서 가압될 경우 상기 트리거 스위치의 접점 접촉에 작동이 불안정한 상태가 유지되거나 상기 트리거 스위치를 구성하는 고무 재질이 찢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6-0052813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어 핸의 개폐 작동을 위한 버튼부의 상면 중 어느 방향에서 푸시가 되는 경우에도 스위치의 안정적인 작동을 통해 도어의 개폐를 일정하게 실시할 수 있는 도어 핸들의 스위치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도어 핸들의 외측을 향해 부분 돌출된 상태로 위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눌려지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의 후방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를 푸시하는 외력에 의해 형태가 자유 변형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덮개부; 상기 덮개부의 후방에서 결합되고 상기 공간부를 향해 연장되고 서로 간에 이격된 복수개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부; 및 상기 케이스 부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버튼부의 푸시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위칭되는 스위치를 갖는 스위치 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버튼부의 후면에서 표면을 따라 밀착된 후에 상기 스위치를 향해 연장되되, 상기 이격된 돌출부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돌출부와 횡 방향에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고 소정의 두께(t1)를 갖는 제1 연장부; 상기 버튼부의 후면에서 외측을 향해 직경이 확장된 후에 상기 스위치 부의 외주면을 덮은 상태로 연장되며 상기 버튼부의 좌측 또는 우측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눌려지는 경우 상기 스위치에 대한 스위칭이 용이해지도록 상기 제1 연장부의 두께(t1) 보다 얇은 두께(t3)를 갖는 제2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에서 상기 버튼부의 내측 중앙을 향해 연장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가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 중의 어느 한 곳으로 눌려져서 상기 버튼부에 측압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연장부가 함께 눌려진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되, 상기 이동된 제1 연장부가 상기 돌출부와 접촉되면서 상기 버튼부의 측면 이동이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1 연장부의 이격된 거리 이내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버튼부의 내측 중앙을 향해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연장부는 상기 스위치와 근접한 상태로 위치하거나 밀착된 상태 중의 어느 한 상태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치와 마주보는 제1 연장부의 하면 가로길이는 상기 스위치 상면의 가로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돌출부 사이의 이격된 이격 거리 보다는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스위치와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1연장부 및 돌출부의 두께와 상기 제2 연장부의 두께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버튼부와 케이스 부가 각각 성형된 이후에 상기 버튼부 및 케이스부와 상이한 재질로 이종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부는 탄성 복원력이 있는 고무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간부는 상기 스위치를 기준으로 대칭 형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스위치 부를 경유하여 상기 공간부를 향해 연장되고 연장된 단부 외주면에 라운드 부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공간부로 연장된 단부 형상이 반구 형태 또는 구 형태 중의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공간부로 연장된 단부가 가로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되 상기 공간부의 내측면과는 미 접촉된 상태로 이격된 교차편을 더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공간부로 연장된 외측 길이 방향에서 돌출된 돌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부는 상기 덮개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 단차부와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제2 단차부가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아웃터 케이스; 상기 이웃터 케이스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스위치 부가 삽입되도록 내측 상면에 형성된 홈부와, 상기 홈부의 모서리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홈부에 삽입된 스위치 부에 대한 고정을 위해 고정 돌기가 형성된 인너 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 부는 상기 스위치가 장착된 PCB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PCB 패널은 상기 공간부와 동일 영역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버튼부의 내측 중 측면을 향해 연장된 보조 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조 지지부와 지지부는 동일 길이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 지지부는 상면이 버튼부의 외주면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튼부가 사용자에 의해 푸시될 경우 상기 지지부와 함께 상기 보조 지지부가 함께 푸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사용자가 스위치 조립체에 구비된 버튼부의 푸시 위치와 상관 없이 스위치의 안정적인 작동이 이루어져 도어의 개폐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버튼부의 푸시에 따라 덮개부가 자유롭게 변형되는 경우에도 파손되지 않고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여 내구성 향상과 제품에 대한 만족도가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핸들의 스위치 조립체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핸들의 스위치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된 상태의 종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돌출부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핸들의 스위치 조립체를 도시한 종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도 7의 작동 상태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핸들의 스위치 조립체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핸들의 스위치 조립체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핸들의 스위치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이며, 도 3은 도 2의 결합된 상태의 종 단면도 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도어 핸들의 스위치 조립체(1)는 차량의 도어의 개폐를 위해 설치된 도어 핸들의 내측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후술할 버튼부의 어느 위치를 푸시하는 경우에도 스위치의 안정적인 작동을 가능하도록 버튼부(100)와, 덮개부(200)와, 케이스 부(300)와 스위치 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버튼부(100)는 도어 핸들(2)의 외측을 향해 부분 돌출된 상태로 위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눌려지는데, 상기 버튼부(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핸들(2)의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로 변경 가능하며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하지 않는다.
버튼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외주면이 눌려지는데, 상기 사용자가 버튼부(100)를 푸시하는 방향은 외측을 향해 최대로 라운드진 정점에 해당되는 A위치인 중앙을 푸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A위치를 푸시할 경우 후술할 덮개부(200)와 케이스 부(300)에 의해 스위치(410)의 안정적인 접점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도어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버튼부(100)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고온 또는 저온의 온도 변화 및 직사광선으로 인한 색 변화가 발생되지 않는 것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재질 한정은 하지 않는다.
덮개부(200)는 상기 버튼부(100)의 후방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100)를 푸시하는 외력에 의해 형태가 자유 변형되기 위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덮개부(200)는 일 예로 고무로 이루어져 전술한 버튼부(100)의 푸시 상태에 따라 보다 용이하게 자유 형태로 변형되면서 버튼부(100)의 안정적인 이동을 도모한다.
덮개부(200)는 상기 버튼부(100)의 후면에서 표면을 따라 밀착된 후에 상기 스위치(410)를 향해 연장된 제1 연장부(210)와, 상기 버튼부(100)의 후면에서 외측을 향해 직경이 확장된 후에 스위치 부(400)의 외주면을 덮은 상태로 연장된 제2 연장부(220)와, 상기 제1 연장부(210)에서 상기 버튼부(100)의 내측으로 연장된 지지부(230)를 포함한다.
제1 연장부(210)는 이격된 돌출부(310)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돌출부(310)와 횡 방향에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고 소정의 두께(t1)를 갖는다.
덮개부(200)는 버튼부(100)와 함께 이종 사출 방식을 통해 사출 성형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덮개부(200)는 상기 버튼부(100)와 케이스 부(300)가 각각 성형된 이후에 상기 버튼부(100) 및 케이스 부(300)와 상이한 재질로 이종 사출되므로 상기 버튼부(100)의 하면이 덮개부(200)에 밀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사용 중 서로 간에 분리되거나 직사광선으로 인한 변형 발생이 최소화된다.
예를 들어 버튼부(100)와 케이스 부(300)는 플라스틱 재질로 우선 성형되고 기 성형된 버튼부(100)에 덮개부(200)가 이종 사출 방식으로 성형되므로 상기 버튼부(100)의 후면에 밀착된 상태로 용이하게 성형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버튼부(100)와 덮개부(200)를 제작하기 위한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지고 작업 속도가 향상되며 이를 통해 제작 단가 감소와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제1 연장부(210)는 버튼부(100)의 후면에 밀착된 상태로 지지부(230)가 상기 버튼부(100)의 후면 중앙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데 상기 지지부(230)는 버튼부(100)의 내측 중앙 위치 또는 중앙 위치와 이웃한 측면 위치로도 연장 가능하며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위치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일 예로 지지부(230)를 버튼부(100)의 후면 중앙 위치에 위치시켰으며 상기 중앙 위치는 사용자가 버튼부(100)를 푸시할 경우 외력이 집중되는 위치에 해당된다. 버튼부(100)는 사용자가 푸시하는 위치가 특별히 정해져 있지는 않으나 상기 버튼부(100)는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라운드 진 형태로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100)를 푸시할 경우 확률적으로 버튼부(100)의 좌측 또는 우측 보다는 중앙 부분이 푸시될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며 상기 위치에 지지부(230)가 연장됨으로써 버튼부(100)의 가압에 따른 스위치(410)의 안정적인 접점 작동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버튼부(100)의 중앙이 푸시될 경우 덮개부(200)는 중앙을 기준으로 스위치(410)를 향해 가운데 부분이 최초 U자 형태로 변형되고, 제2 연장부(220)에 해당되는 부분이 제1 연장부(210)와 함께 변형되면서 스위치(410)의 안정적인 접점 접촉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연장부(220)는 버튼부(100)의 좌측 또는 우측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눌려지는 경우 상기 스위치(410)에 대한 스위칭이 용이해지도록 상기 제1 연장부의 두께(t1) 보다 얇은 두께(t3)로 구성된다.
특히 덮개부(200)는 버튼부(10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불특정 방향으로 변형이 발생되는데, 전술한 버튼부(100)의 상면 중앙이 아닌 B 또는 C위치에서 사용자에 의해 푸시될 경우 스위치(410)가 위치된 곳까지 이동되는 동안 제2 연장부(220)는 버튼부(100)의 중앙이 푸시될 때에 비해 좌측 또는 우측중의 어느 한 위치에 외력이 집중된 상태로 변형이 발생되나 본 발명의 경우 돌출부(310)에 의해 제2 연장부(220)의 이동 변위가 특정 방향으로 편심되지 않고 스위치(410)가 위치된 중앙으로 유도된다.
또한 상기 버튼부(100)가 상기 지지부(230)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 중의 어느 한 곳으로 눌려져서 상기 버튼부(100)에 측압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연장부(210)가 함께 눌려진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되, 상기 이동된 제1 연장부(210)가 상기 돌출부(310)와 접촉되면서 상기 버튼부(100)의 측면 이동이 상기 돌출부(310)와 상기 제1 연장부(210)의 이격된 거리 이내에서만 이루어진다.
제1 연장부(210)는 버튼부(100)의 후면에 밀착되고 상기 스위치(410)와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되며 스위치(410)를 향해 도면에 도시된 상태로 돌출되는데, 상기 제1 연장부(210)의 돌출된 하면 가로길이는 가로 방향으로 L의 연장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스위치(410) 상면의 가로길이(L1)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돌출부(310) 사이의 이격된 이격길이(L2) 보다는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된다.
이와 같이 연장되는 이유는 스위치(410)에 대한 접점을 안정적으로 접점 유지하기 위해서인데, 상기 스위치(410)의 상면 가로 길이(L1)에 비해 상기 제1 연장부(210)의 가로길이(L)가 길게 연장되는 것이 전술한 A위치에서 푸시될 경우 스위치(410)의 상면을 모두 커버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스위치의 작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버튼부(100)가 B 또는 C위치에서 푸시될 경우 스위치(410)와 마주보는 제1 연장부(210)의 정면이 아닌 측면에서 면접촉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상기 스위치(410)의 가로 길이(L1)에 해당되는 영역과 충분히 접촉 될 수 있어 버튼부(100)의 상면중앙 또는 좌측 또는 우측 위치 중의 어느 위치가 푸시되는 경우에도 제1 연장부(210)가 스위치(410)의 상면에서 벗어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스위치(410)가 온 또는 오프 상태로 작동될 수 있다.
제1 연장부(210)는 상기 스위치(410)와 근접한 상태로 위치하거나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버튼부(100)에 사용자의 푸시 작동에 따른 약간의 외력이 가해지기만 한다면 제1 연장부(210)의 하면이 스위치(410)의 상면과 접촉될 수 있어 상기 스위치(410)에 대한 접점 접촉에 대한 안정성이 향상되어 도어가 열리지 않거나 오작동되는 현상이 예방된다.
또한 제1 연장부(210)는 돌출부(310)와 가로 방향으로 이격된 이격 길이(L2)가 유지되는데, 상기 이격길이(L2)는 제1 연장부(210) 하면의 가로 길이(L) 보다는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연장되는 관계가 성립된다.
상기 이격 길이(L2)는 버튼부(100)가 도면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중의 어느 한 방향으로 편심되게 푸시될 경우 상기 제1 연장부(210)가 도면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 방향 중의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 될 수 있으므로 버튼부(100)의 B 또는 C위치가 푸시되는 경우에도 스위치(410)의 안정적인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연장부(210)는 돌출부(310) 사이의 이격길이(L2)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므로 스위치(410)의 상면에서 일부 편심된 위치로 벗어나는 경우에도 상기 스위치(410)의 상면과 모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된다.
제2 연장부(220)는 버튼부(100)의 후면에서 외측을 향해 직경이 확장되며 일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지게 연장된 후에 스위치 부(400)의 외주면을 덮은 상태로 상기 스위치 부(400)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수분 또는 이물질이 스위치(410)가 설치된 케이스 부(300)의 내부 영역으로 침투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스위치 부(400)에 대한 오염 및 수분 유입으로 인한 오작동이 예방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덮개부(200)에 형성된 공간부(202)는 전술한 제1 연장부(210)를 기준으로 대칭 형태로 형성되고, 돌출부(310)가 상기 공간부(202)를 향해 연장되는데, 상기 공간부(202)는 단순히 빈 공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버튼부(100)가 푸시되어 덮개부(200)가 자유 변형이 발생될 경우 상기 덮개부(200)의 안정적인 자유 변형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B 또는 C위치에서 사용자에 의해 버튼부(100)가 푸시될 경우 버튼부(100)의 안정적인 이동을 동시에 도모한다.
덮개부(200)는 상기 제1연장부(210)의 두께(t1)와 돌출부(310)의 두께(t2)와 상기 제2 연장부(220)의 두께(t3)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형성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상기 제1 연장부(210)의 두께(t1)는 스위치(410)와 접점 접촉을 위해 버튼부(100)가 푸시되면서 가해진 외력으로 파손 또는 찢어지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도면에 도시된 두께로 형성된다. 이 경우 제1 연장부(210)는 제2 연장부(220)의 두께(t3) 대비3배 이상 두꺼운 두께로 이루어지므로 버튼부(100)의 상면 중앙에 집중되는 외력으로 인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어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스위치(410)와 안정적인 접점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참고로 지지부(230)는 두께가 상기 제1 연장부(210)의 두께(t1)와 동일 내지 유사한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버튼부(100)가 스위치(410)를 향해 다수회 눌려지는 경우에도 덮개부(200)의 탄성 복원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구조적인 안전성 또한 장기간 유지될 수 있어 스위치(410)의 접촉 불안정으로 인한 도어의 개폐 불능 상태가 유발되지 않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차량에 탑승할 수 있다.
케이스 부(300)는 상기 덮개부(200)의 후방에서 결합되고 상기 공간부(202)를 향해 연장된 돌출부(310)를 포함하며 인너 케이스(320)와 아웃터 케이스(330)를 포함한다.
상기 아웃터 케이스(330)는 상기 덮개부(20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 단차부(201)와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제2 단차부(301)가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너 케이스(320)는 상기 아웃터 케이스(33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서로 간에 결합되고 상기 스위치 부(400)가 삽입되도록 내측 상면에 형성된 홈부(332)와, 상기 홈부(332)의 모서리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홈부(332)에 삽입된 스위치 부(400)에 대한 고정을 위해 형성된 고정 돌기(334)를 포함한다.
아웃터 케이스(330)는 전술한 덮개부(200)와 밀착되기 위해 상기 제1 단차부(201)와 대응되는 제2 단차부(301)가 형성되어 있어 상호 간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는데, 제1 단차부(201)와 제2 단차부(301)는 도면에 도시된 계단 형태 이외에도 다른 형태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며 이 경우 서로 간에 이격된 간격 또는 틈새가 형성되지 않는 것이 외부에서 케이스 부(30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는 수분 또는 이물질의 유입을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인너 케이스(320)는 아웃터 케이스(330)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공간부(202)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310)가 각각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며, 후술할 PCB패널(402)이 안착되는 홈부(332)가 형성되어 스위치(410)가 장착된 상기 PCB패널(402)이 홈부(332)의 상면에 안착된다.
PCB패널(402)은 한정된 인너 케이스(320)의 크기와 배치 위치 및 상기 케이스 부(300)가 설치되는 대상물을 고려하여 상기 인너 케이스(320)의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PCB패널(402)은 스위치(410)가 장착된 구성품으로써 충격 및 진동이 직간접적으로 상기 PCB패널(402)에 전달될 경우 상기 인너 케이스(320)의 홈부(332)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장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상기 PCB패널(402)을 홈부(332)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식을 통해 상기 PCB패널(402)에 대한 고정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나 본 실시 예는 인너 케이스(320)의 상면으로 돌출부(310)를 형성하여 제1 연장부(210)와 부분적으로 접촉되도록 하여 버튼부(100)의 상면 중 어느 부분이 푸시되는 경우에도 스위치(410)의 안정적인 접촉을 도모하고자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버튼부(100)의 상면 중 중앙이 아닌 모서리 위치를 푸시하는 경우에도 제1 연장부(210)가 도면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 중의 어느 한 방향을 향해 편심되는 정도가 최소화되어 제1 연장부(210)의 하면이 스위치(410)의 상면을 안정적으로 푸시할 수 있어 스위치(410)의 접점 작동이 항시 일정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PCB패널(402)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고정 돌기(334)가 돌출되고 상기 고정 돌기(334)를 통해 PCB패널(402)의 고정이 이루어지는데, 이를 위해 상기 PCB패널(402)은 상기 고정 돌기(334)와 마주보는 위치에 삽입 홀 또는 삽입 홈 중의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형성되어 서로 간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PCB패널(402)이 고정 돌기(334)에 의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경우 상기 PCB패널(402)은 고정 돌기(334)에서 이탈되지 않고 유지된다.
또한 PCB 패널(402)은 상기 공간부(202)와 동일 영역에 위치되는데, 상기 공간부(202)로는 수분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으므로 부식 또는 이물질로 인한 오염이 최소화되고 저온의 대기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결합으로 인한 오작동 발생이 차단되어 스위치(410)의 안정적인 작동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PCB패널(402)은 후술할 돌출부(310)가 공간부(202)에 위치되도록 상기 PCB패널(402)의 좌측과 우측이 개구된 개구부(401)가 형성되어 있어 돌출부(310)가 공간부(202)까지 연장된 상태가 유지되고 PCB패널(402)의 안정적인 고정 상태도 동시에 유지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돌출부(310)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스위치 부(400)를 경유하여 상기 공간부(202)를 향해 연장되고 연장된 단부 외주면에 라운드 부(312)가 형성되어 있어 전술한 덮개부(200)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경우에도 상기 덮개부(200)의 파손 및 변형 발생이 최소화 된다.
돌출부(310)는 상단이 제1 연장부(210)의 내측면과는 이격되어 있는데 사용자가 버튼부(100)의 상면 중 A위치를 푸시하는 경우 상기 버튼부(100)의 이동 궤적은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인 수직 하향되고 F1의 힘이 가해지면서 상기 돌출부(310)의 단부와는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이격 거리가 최소화된 상태가 유지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버튼부(100)의 B위치를 푸시할 경우 상기 버튼부(100)의 이동 궤적은 전술한 A위치에서와 같이 수직 하향되지 않고 대각선 방향인 F2의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나 상기 돌출부(310)에 의해 제2 연장부(220)의 내측면과 간섭되면서 제1 연장부(210)가 일측 방향으로 과도하게 이동되지 않고 스위치(410)의 상면과 안정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스위치(410)에 대한 작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돌출부(310)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돌출부(310)의 전체가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성형되거나, 상단에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일정 구간에만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이 사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덮개부(200)의 내측면과 돌출부(310)의 상단이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경우 상기 덮개부(200)와 돌출부(310)가 각각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버튼부(100)의 푸시에 따른 쿠션감이 증대되어 사용자가 버튼부(100)를 사용하는 사용감이 향상된다. 이 경우 상기 돌출부(310)의 재질은 덮개부(200) 보다는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버튼부(100)의 상면 중 어느 방향에서 푸시하는 경우에도 제1 연장부(210)는 스위치(410)와 안정적으로 접촉 유지되고 덮개부(20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어 사용자가 버튼부(100)의 상면을 불안정하게 푸시하는 경우에도 항시 정확하게 스위치(410)의 작동이 유지되어 도어에 대한 개폐 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돌출부(310)는 상기 공간부(202)로 연장된 단부 형상이 반구 형태 또는 구 형태 중의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데, 이 경우 제2 연장부(220)의 내측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1 연장부(210)의 파손 및 변형이 최소화된 상태로 버튼부(100)에 대한 작동이 이루어진다.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돌출부(310)는 상기 공간부(202)로 연장된 단부가 가로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되 상기 공간부(202)의 내측면과는 미 접촉된 상태로 이격된 교차편(314)을 더 포함한다.
상기 교차편(314)은 T자 형태로 배치되나 상기 형태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며 상기 공간부(202)의 내주면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돌출부(310)는 공간부(202)로 연장된 외측 길이 방향에서 돌출된 돌기(316)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316)는 버튼부(100)가 B 또는 C위치에서 푸시될 경우 제1 연장부(210)의 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제1 연장부(210)가 일측 방향으로 과도하게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스위치(410)의 안정적인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돌기(316)는 반구 형태 떠는 다른 형태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며 특별히 특정 형태 또는 크기로 한정하지 않는다.
스위치 부(400)는 버튼부(100)의 푸시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위칭되는 스위치(410)를 갖는데, 상기 스위치(410)는 스위치 부(400)의 중앙에 위치되고 제1 연장부(210)에 의해 푸시될 경우 접점 접촉에 의한 신호를 제어기(미도시)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도어 핸들의 스위치 조립체에 대해 설명한다.
첨부된 도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도어 핸들의 스위치 조립체(1a)는 도어 핸들의 외측을 향해 부분 돌출된 상태로 위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눌려지는 버튼부(1000)와, 상기 버튼부(1000)의 후방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1000)를 푸시하는 외력에 의해 형태가 자유 변형되며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2002)와, 상기 버튼부(1000)의 내측 중앙을 향해 연장된 지지부(2300)와, 상기 지지부(2300)의 주위에 배치되고 상기 버튼부(1000)의 내측 중 측면을 향해 연장된 보조 지지부(2400)가 형성된 덮개부(2000)와, 상기 덮개부(2000)의 후방에서 결합되고 상기 공간부(2002)를 향해 연장된 돌출부(3100)를 포함하는 케이스 부(3000); 및 상기 케이스 부(3000)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버튼부(1000)의 푸시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위칭되는 스위치(4100)를 갖는 스위치 부(400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의 특징은 덮개부(2000)에서 버튼부(1000)를 향해 지지부(2300)와 보조 지지부(2400)가 동시에 형성되어 버튼부(1000)의 상면 중앙 또는 좌측 또는 우측 중의 어느 위치에서 푸시하는 경우에도 덮개부(2000)의 구조적인 안전성이 향상되고 순간적인 외력에 의한 덮개부(2000)의 편심 작동을 예방하여 스위치(4100)의 안정적인 작동을 도모할 수 있다.
덮개부(2000)는 상기 버튼부(1000)의 후방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1000)를 푸시하는 외력에 의해 형태가 자유 변형되기 위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덮개부(2000)는 일 예로 고무로 이루어져 전술한 버튼부(1000)의 푸시 상태에 따라 보다 용이하게 자유 형태로 변형되면서 버튼부(100)의 안정적인 이동을 도모한다.
덮개부(2000)는 상기 버튼부(1000)의 후면에서 표면을 따라 밀착된 후에 상기 스위치(4100)를 향해 연장된 제1 연장부(2100)와, 상기 버튼부(1000)의 후면에서 외측을 향해 직경이 확장된 후에 스위치 부(4000)의 외주면을 덮은 상태로 연장된 제2 연장부(2200)를 포함한다.
덮개부(2000)는 버튼부(1000)와 함께 이종 사출 방식을 통해 사출 성형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덮개부(2000)는 상기 버튼부(1000)와 케이스 부(3000)가 각각 성형된 이후에 상기 버튼부(1000) 및 케이스 부(3000)와 상이한 재질로 이종 사출되므로 상기 버튼부(1000)의 하면이 덮개부(2000)에 밀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사용 중 서로 간에 분리되거나 직사광선으로 인한 변형 발생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버튼부(1000)와 덮개부(2000)를 제작하기 위한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지고 작업 속도가 향상되며 이를 통해 제작 단가 감소와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케이스 부(3000)는 상기 덮개부(2000)의 후방에서 결합되고 상기 공간부(2002)를 향해 연장된 돌출부(3100)를 포함하며 인너 케이스(3200)와 아웃터 케이스(3300)를 포함ㅎ며 상세한 구성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와 유사하므로 생략한다.
지지부(2300)는 덮개부(2000)의 내측 중앙을 향해 연장되고 A위치에서 가해지는 외력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보조 지지부(2400)는 B 또는 C위치에서 가해지는 외력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데, 특히 본 실시 예는 상기 지지부(2300)와 보조 지지부(2400)가 동일 길이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버튼부(1000)의 상면 중 어느 방향을 푸시하는 경우에도 덮개부(2000)의 파손이 방지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덮개부(2000)의 C위치를 푸시하는 경우 상기 덮개부(2000)에 가해진 힘(F1)은 버튼부(1000)의 대각선 방향에서 최초 가해지나, 보조 지지부(2300)로 전달된 힘(F1)은 보조 지지부(230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최초 가압된 대각선 방향보다는 각도가 감소된 힘(F2)으로 전환되어 제1 연장부(2100)가 스위치(4100)와 접촉 유지되고 이로 인해 상기 스위치(4100)의 안정적인 작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버튼부(1000)의 상면 중앙인 A위치를 제외한 위치를 푸시하는 경우에도 스위치(4100)와 미접촉되거나 불안정한 상태로 접촉되는 문제점이 방지되어 항시 일정하게 스위치(4100)에 대한 작동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보조 지지부(240)는 상면이 상기 버튼부(1000)의 외주면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로 이루어져있으므로 이 경우 버튼부(1000)에 가해지는 외력으로 인한 지지 성능이 향상되고 B 또는 C위치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대한 덮개부(2000)의 편심 상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2 : 도어 핸들
100, 1000 : 버튼부
200, 2000 : 덮개부
300, 3000 : 케이스 부
400, 4000 : 스위치 부
202 : 공간부
210 : 제1 연장부
220 : 제2 연장부
230 : 지지부
312 : 라운드 부
314 : 교차편
316 : 돌기
320 : 인너 케이스
330 : 아웃터 케이스
332 : 홈부
402 : PCB패널

Claims (21)

  1. 도어 핸들의 외측을 향해 부분 돌출된 상태로 위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눌려지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의 후방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를 푸시하는 외력에 의해 형태가 자유 변형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덮개부;
    상기 덮개부의 후방에서 결합되고 상기 공간부를 향해 연장되고 서로 간에 이격된 복수개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부; 및
    상기 케이스 부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버튼부의 푸시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위칭되는 스위치를 갖는 스위치 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버튼부의 후면에서 표면을 따라 밀착된 후에 상기 스위치를 향해 연장되되, 상기 이격된 돌출부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돌출부와 횡 방향에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고 소정의 두께(t1)를 갖는 제1 연장부;
    상기 버튼부의 후면에서 외측을 향해 직경이 확장된 후에 상기 스위치 부의 외주면을 덮은 상태로 연장되며 상기 버튼부의 좌측 또는 우측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눌려지는 경우 상기 스위치에 대한 스위칭이 용이해지도록 상기 제1 연장부의 두께(t1) 보다 얇은 두께(t3)를 갖는 제2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에서 상기 버튼부의 내측 중앙을 향해 연장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가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 중의 어느 한 곳으로 눌려져서 상기 버튼부에 측압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연장부가 함께 눌려진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되, 상기 이동된 제1 연장부가 상기 돌출부와 접촉되면서 상기 버튼부의 측면 이동이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1 연장부의 이격된 거리 이내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의 스위치 조립체.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버튼부의 내측 중앙을 향해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의 스위치 조립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연장부는,
    상기 스위치와 근접한 상태로 위치하거나 밀착된 상태 중의 어느 한 상태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의 스위치 조립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와 마주보는 제1 연장부의 하면 가로길이는 상기 스위치 상면의 가로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돌출부 사이의 이격된 이격 거리 보다는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의 스위치 조립체.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스위치와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의 스위치 조립체.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1연장부 및 돌출부의 두께와 상기 제2 연장부의 두께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의 스위치 조립체.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버튼부와 케이스 부가 각각 성형된 이후에 상기 버튼부 및 케이스부와 상이한 재질로 이종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의 스위치 조립체.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탄성 복원력이 있는 고무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의 스위치 조립체.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스위치를 기준으로 대칭 형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의 스위치 조립체.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스위치 부를 경유하여 상기 공간부를 향해 연장되고 연장된 단부 외주면에 라운드 부가 형성된 도어 핸들의 스위치 조립체.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의 스위치 조립체.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공간부로 연장된 단부 형상이 반구 형태 또는 구 형태 중의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 도어 핸들의 스위치 조립체.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공간부로 연장된 단부가 가로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되 상기 공간부의 내측면과는 미 접촉된 상태로 이격된 교차편을 더 포함하는 도어 핸들의 스위치 조립체.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공간부로 연장된 외측 길이 방향에서 돌출된 돌기를 더 포함하는 도어 핸들의 스위치 조립체.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부는,
    상기 덮개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 단차부와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제2 단차부가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아웃터 케이스;
    상기 이웃터 케이스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스위치 부가 삽입되도록 내측 상면에 형성된 홈부와, 상기 홈부의 모서리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홈부에 삽입된 스위치 부에 대한 고정을 위해 고정 돌기가 형성된 인너 케이스를 포함하는 도어 핸들의 스위치 조립체.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부는,
    상기 스위치가 장착된 PCB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PCB 패널은 상기 공간부와 동일 영역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의 스위치 조립체.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버튼부의 내측 중 측면을 향해 연장된 보조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도어 핸들의 스위치 조립체.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지부와 지지부는 동일 길이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의 스위치 조립체.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지부는,
    상면이 버튼부의 외주면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의 스위치 조립체.
  21.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가 사용자에 의해 푸시될 경우 상기 지지부와 함께 상기 보조 지지부가 함께 푸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의 스위치 조립체.
KR1020150013291A 2015-01-28 2015-01-28 도어 핸들의 스위치 조립체 KR101685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291A KR101685003B1 (ko) 2015-01-28 2015-01-28 도어 핸들의 스위치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291A KR101685003B1 (ko) 2015-01-28 2015-01-28 도어 핸들의 스위치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651A KR20160092651A (ko) 2016-08-05
KR101685003B1 true KR101685003B1 (ko) 2016-12-13

Family

ID=56711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3291A KR101685003B1 (ko) 2015-01-28 2015-01-28 도어 핸들의 스위치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50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97074A (ja) * 2012-03-23 2013-09-30 Tokyo Parts Ind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14066109A (ja) * 2012-09-27 2014-04-17 Aisin Seiki Co Ltd ドアハンド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31947A1 (de) 2003-07-15 2005-02-24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Griff für Türen oder Klappen an Fahrzeugen
JP5225179B2 (ja) * 2009-04-06 2013-07-03 東京パーツ工業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
KR20120065502A (ko) * 2010-12-13 2012-06-21 영화테크(주)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핸들의 트리거 스위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97074A (ja) * 2012-03-23 2013-09-30 Tokyo Parts Ind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14066109A (ja) * 2012-09-27 2014-04-17 Aisin Seiki Co Ltd ドアハンド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651A (ko) 2016-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9458B2 (en) Mobile device
CN101448709B (zh) 用于瓶子的带有铰接盖的且具有包括改进按钮的自动开盖系统的闭合装置
KR101552787B1 (ko) 자동차의 에어벤트 노브
US8464472B2 (en) Weather strip
JP4947179B2 (ja) 携帯型送信機
JP2002531735A (ja) 弓形ハンドルとその中に統合された圧力操作器を有するとくに車両用の外側ドアハンドル
KR101716433B1 (ko) 전자 키
KR101853763B1 (ko) 카드형 스마트키
US10486177B2 (en) Spray structure for portable atomizer
JP5615774B2 (ja) スイッチ用パッキン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キー
US20130062173A1 (en) Water-proof apparatus and method for water-proofing
EP1172830B1 (en) Switch butt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witch button
KR101685003B1 (ko) 도어 핸들의 스위치 조립체
JP2003090186A (ja) 扉用シャッター
US9129764B2 (en) Switch device
WO2017002574A1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分与容器
JP4607697B2 (ja) 防水型押釦スイッチ装置
US9245701B2 (en) Pressure switch for a motor vehicle
KR101887930B1 (ko) 스마트키 차량용 도어핸들 안테나 및 스위치 모듈
CN105702487A (zh) 电气按钮速动开关
JP2005339880A (ja) スイッチケースのコネクタ端子構造
JP2005347114A (ja) スイッチの押し込み構造
KR101858626B1 (ko) 차량용 카드 키
KR101438418B1 (ko) 연료도어 오버슬램 범퍼의 장착구조
US9870882B2 (en) Push button for motor vehicle key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