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4934B1 - 슬로프형 숏트 슈트 취출 가이드가 구비된 프레스 금형 - Google Patents

슬로프형 숏트 슈트 취출 가이드가 구비된 프레스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4934B1
KR101684934B1 KR1020160124679A KR20160124679A KR101684934B1 KR 101684934 B1 KR101684934 B1 KR 101684934B1 KR 1020160124679 A KR1020160124679 A KR 1020160124679A KR 20160124679 A KR20160124679 A KR 20160124679A KR 101684934 B1 KR101684934 B1 KR 101684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ore
short
press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필선
Original Assignee
장필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필선 filed Critical 장필선
Priority to KR1020160124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49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21D28/14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5/00Ejecting or stripping-off devices arranged in machines or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 B21D45/003Ejecting or stripping-off devices arranged in machines or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in punching machines or punch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로프형 숏트 슈트 취출 가이드가 구비된 프레스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프레스 금형 중 하측 금형에 해당하는 금형 본체의 일측에 성형홈과 연통되면서 성형된 코어 제품의 신속한 취출과 정밀한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숏트 슈트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숏트 슈트는 짧은 취출 구간을 갖도록 함은 물론 금형 본체에 대하여 용이하게 탈장착되도록 함으로써, 불량 발생시 체크(확인 검사) 타임이 최소화되도록 형성되어 소재의 낭비를 방지하고 그로 인한 원자재 재료비 손실과 시간적 소모를 현저하게 절감하도록 형성되며, 특히 코어 제품의 규격에 따라 가변되는 금형 본체와의 편리한 탈장착성이 보장되어 용이한 교환 교체 작업에 의해 작업자로 하여금 작업 능률이 개선되도록 형성되고, 제품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로프형 숏트 슈트 취출 가이드가 구비된 프레스 금형{Pressing metallic mold with short shoot}
본 발명은 프레스 금형 중 하측 금형에 해당하는 금형 본체의 일측에 성형홈과 연통되면서 성형된 코어 제품의 신속한 취출과 정밀한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숏트 슈트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숏트 슈트는 짧은 취출 구간을 갖도록 함은 물론 금형 본체에 대하여 용이하게 탈장착되도록 함으로써, 불량 발생시 체크(확인 검사) 타임이 최소화되도록 형성되어 소재의 낭비를 방지하고 그로 인한 원자재 재료비 손실과 시간적 소모를 현저하게 절감하도록 형성되며, 특히 코어 제품의 규격에 따라 가변되는 금형 본체와의 편리한 탈장착성이 보장되어 용이한 교환 교체 작업에 의해 작업자로 하여금 작업 능률이 개선되도록 형성되고, 제품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로프형 숏트 슈트 취출 가이드가 구비된 프레스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심, 특히 소형 철심으로는, 예컨대 전자기기용 전원변압기나 전원노이즈제거용 초크코일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전자기기용 소형 철심에서는 전자강판을 적당한 형상으로 펀칭하여 얻어지는 코어재를 적층 접합 (판측면끼리의 맞댐)하여 자심이 형성된다.
소형 철심 중에서도 EI 코어라고 불리우는 E 형 코어재 (E 코어) 와 I 형 코어재 (I 코어) 를 적층하여 접합한 철심구조인 것이 대표적이다.
EI 코어에서의 코어재의 적층 접합방법으로는, E 코어와 I 코어를 교대로 적층 접합한 랩식이라고 불리우는 적층 접합방법과, E 코어와 I 코어를 각각 적층하여 일체화시킨 후, 용접이나 접착제에 의해 양자의 적층체를 접합하는 배트식이라고 불리우는 적층 접합방법, 2 종류의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자기기용 전원변압기나 전원노이즈제거용 초크코일 등에 사용되는 코아용 철심에는 전자강판을 적당한 형상으로 펀칭하여 얻어지는 코아재를 상하로 적층하여 접합한 EI형 코아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접합한 철심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에는 용접이나 접착제로 적층하는 방법 등 여가가지 방식이 있을 수 있으나 최근에는 상부에 위치한 코아의 엠보싱과 하부에 위치한 코아의 엠보싱이 상하로 결합하는 방식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코아용 철심을 제조하는 금형장치는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칭금형(10)과 다이 금형(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펀칭 금형(10)의 저면 일측에 박판의 규소강판(50)에 엠보싱(52)을 성형하는 수개의 적층용 가압봉(12)이 설치되며, 펀칭 금형(10)의 저면 중앙에 규소강판(50)에서 I형 코아(54a,54b)를 성형하기 위해 규소강판(50)에 I형 블랭킹홀(56)을 천공하는 I형 가압편(14)이 길이방향으로 좌우 대칭되게 한 쌍 형성되며, 펀칭 금형(10)의 저면 타측에 블랭킹홀(56)이 천공된 규소강판(50)의 소정위치를 절단함에 따라 복수개의 E형 코아(58a,58b)를 성형하는 E형 커팅펀치(16,18)가 각각 가로 방향으로 전후 대칭되게 형성되며, 이들 E형 커팅펀치(16,18) 사이에 복수개의 E형 코아(58a,58b) 중 하나를 순서적으로 누적시켜 소정매수로서 적층하는 E형 코아 적층 가이드(20)가 상기 E형 커팅펀치(16,18)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된다.
E형 코아 적층 가이드(20) 일측에 E형 코아 적층 가이드(20)에 E형 코아(106)의 적층완료를 감지하는 미도시된 센서와 연결되어 신장시 적층완료된 E형 코아(58a,58b)의 셋트를 E형 코아 적층 가이드(20)에서 이탈시키는 공압실린더(22)가 설치된다.
상기 다이 금형(30) 상면 일측에 펀치 금형(10)의 적층용 가압봉(12)과 대응되는 다수의 요홈(32)이 형성되며, 다이 금형(30) 상면 중앙에는 펀치 금형(10)의 가압편(14)과 대응되는 절단홈(34)이 형성되며, 다이 금형(30) 상면 타측에는 블랭킹홀(56)이 천공되어 E형 코아 형상이 대칭으로 새겨진 규소강판(50)의 소정위치가 안착될 때 펀칭 금형(10)의 E형 커팅펀치(16,18) 하강에 의해 규소강판(50)에서 복수개의 E형 코아(58a,58b)를 성형하는 단차 형상의 제1및 제2안착부(36,38)가 형성된다.
미설명부호 40은 다이 금형(30) 상에 피이딩되는 규소강판(50)의 이동한계를 설정하는 스토퍼이며, 42는 규소강판(50)에 형성된 엠보싱(52)이 E형 코아(58a,58b) 절단시 펴지는 것을 방지하는 요홈이며, 24는 펀치 금형(10)의 E형 커팅펀치(16,18)에 의해 E형 코아(58a) 절단시 E형 코아 적층 가이드(20)가 삽입되는 요홈이며, 44는 규소강판(50)에서 절단성형되는 E형 코아(58b)가 적층되는 공간부이다.
이때, 성형되는 I형 코아(54a,54b)는 요홈(34)을 통해 다이 금형(30)의 하방으로 이동되어 소정위치에 적층되고, E형 코아(58a,58b) 중 다이 금형(10)의 제1 안착부(26)상에 안착되는 일방 E형 코아(58a)는 펀치 금형(10)의 하강시 E형 코아 적층 가이드(20)에 적층되며, 타방 E형 코아(58b)는 제2 안착부(38)에 적층된다.
따라서, 규소강판(50)에서 절단성형된 I형 코아(54a,54b)와, E형 코아(58a,58b)가 각각 소정 매수로 적층되고, 이를 아르곤 용접작업이나 엠보싱 결합 등의 추후공정에 의하여 코아용 철심이 완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프레스 금형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I형 코아의 경우 임의로 제작된 긴 레일을 따라 해당 코어가 취출되도록 함으로써, 불량 발생 확인시까지 대략 1m 내외의 제품 버림 현상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종전 방식은 수입 원가가 높은 강판 원 소재의 폐기를 야기하고 이는 결국 상당한 비용 낭비를 초래하게 되며 작업된 시간만큼의 시간적 소모와 생산성 저하를 야기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취출 레일은 하측 금형의 성형홈과 대응되도록 레일을 설치해야 하는 바 이는 프레스의 프레임 하부를 통해 결합해야 하는 바, 작업시 탈부착 또는 체결과정에서 작업자의 상당한 숙련도를 요하며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움은 물론 설치 불량 발생시 프레임 안쪽 설치 상황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75275호(2002.10.04.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프레스 금형 중 하측 금형에 해당하는 금형 본체의 일측에 성형홈과 연통되면서 성형된 코어 제품의 신속한 취출과 정밀한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숏트 슈트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숏트 슈트는 짧은 취출 구간을 갖도록 함은 물론 금형 본체에 대하여 용이하게 탈장착되도록 함으로써, 불량 발생시 체크(확인 검사) 타임이 최소화되도록 형성되어 소재의 낭비를 방지하고 그로 인한 원자재 재료비 손실과 시간적 소모를 현저하게 절감하도록 형성되며, 특히 코어 제품의 규격에 따라 가변되는 금형 본체와의 편리한 탈장착성이 보장되어 용이한 교환 교체 작업에 의해 작업자로 하여금 작업 능률이 개선되도록 형성되고, 제품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로프형 숏트 슈트 취출 가이드가 구비된 프레스 금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프레스(10)의 작업 테이블 상단에 결합되어 상측 금형(11)이 업다운 되면서 압착되면 진입 이송되는 롤 소재의 면에 대하여 설정된 형상을 절단하도록 성형홈(11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성형홈(110)과 대응되는 하부 일측에는 관통공(120)과 연통된 장착홈(130)이 형성되도록 하는 금형 본체(100)와; 상기 금형 본체의 장착홈(130)에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하되, 길이방향 일측에는 성형홈(110)으로부터 절단된 코어 제품이 관통공(120)을 경유하면서 진입하도록 하는 투입구(210)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210)와 대향되는 길이방향 타측에는 취출구(220)가 형성되도록 하되, 투입구(210)와 취출구(220) 사이에는 코어 제품의 슬라이딩 이송을 조장하도록 미끄럼용 기울기를 갖는 슬로프 구간(230)과 상기 슬로프 구간(230)으로부터 연장된 직선취출 구간(240)이 형성되는 숏트 슈트(2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숏트 슈트(200)는 길이방향 축선을 기준으로 분할된 2개의 블럭이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서, 상기 2개의 블럭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간격확보용 지지핀(250)이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숏트 슈트(200)는 금형 본체의 장착홈(130)에 대하여 체결볼트로 하여금 탈부착되도록 형성되고, 취출구(220) 단부에는 성형 제품의 배출을 위한 연장 레일(260)이 더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프레스 금형 중 하측 금형에 해당하는 금형 본체의 일측에 성형홈과 연통되면서 성형된 코어 제품의 신속한 취출과 정밀한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숏트 슈트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숏트 슈트는 짧은 취출 구간을 갖도록 함은 물론 금형 본체에 대하여 용이하게 탈장착되도록 함으로써, 불량 발생시 체크(확인 검사) 타임이 최소화되도록 형성되어 소재의 낭비를 방지하고 그로 인한 원자재 재료비 손실과 시간적 소모를 현저하게 절감하도록 형성되며, 특히 코어 제품의 규격에 따라 가변되는 금형 본체와의 편리한 탈장착성이 보장되어 용이한 교환 교체 작업에 의해 작업자로 하여금 작업 능률이 개선되도록 형성되고, 제품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숏트 슈트가 구비된 금형 본체가 적용된 프레스의 일 예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숏트 슈트의 일 예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숏트 슈트가 금형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숏트 슈트의 분할된 측면과 평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도 4의 타측면도로서, 제2장착홈과 제2숏트 슈트를 나타낸 예시도,
도 7 내지 도 8은 일반적인 코어 제품의 성형 프레스 금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금형 본체(100)와 숏트 슈트(200)로 크게 구성된다.
이에, 상기 금형 본체(100)는 프레스(10)의 작업 테이블 상단에 결합되어 상측 금형(11)이 업다운 되면서 압착되면 진입 이송되는 롤 소재의 면에 대하여 설정된 형상을 절단하도록 성형홈(11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성형홈(110)과 대응되는 하부 일측에는 관통공(120)과 연통된 장착홈(13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성형홈은 예컨데, I형 코어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홈으로 롤 소재의 원단 강판 중 I형을 제외한 E형 코어 제품은 측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절단 공정으로 하여금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E형 코어 제품 역시 금형 본체에 형성된 제2장착홈 내로 제2숏트 슈트가 삽입되어 I형 코어 제품 취출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I형 코어의 취출을 위한 성형홈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하 2군데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숏트 슈트(200)는 상기 금형 본체의 장착홈(130)에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하되, 길이방향 일측에는 성형홈(110)으로부터 절단된 코어 제품이 관통공(120)을 경유하면서 진입하도록 하는 투입구(210)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210)와 대향되는 길이방향 타측에는 취출구(220)가 형성되도록 하되, 투입구(210)와 취출구(220) 사이에는 코어 제품의 슬라이딩 이송을 조장하도록 미끄럼용 기울기를 갖는 슬로프 구간(230)과 상기 슬로프 구간(230)으로부터 연장된 직선취출 구간(240)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숏트 슈트(200)는 길이방향 축선을 기준으로 분할된 2개의 블럭이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서, 상기 2개의 블럭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간격확보용 지지핀(250)이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핀은 메인축을 기준으로 나사산 회전에 의해 서로 조임 풀림이 가능한 외측 중공핀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서로 대칭된 블럭의 폭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숏트 슈트(200)는 금형 본체의 장착홈(130)에 대하여 체결볼트로 하여금 탈부착되도록 형성되고, 취출구(220) 단부에는 성형 제품의 배출을 위한 연장 레일(260)이 더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연장 레일은 상부가 개구된 디귿자 형 판재로서 취출구 측과 대응되면 일측단에는 일자형 패널이 취출구 하면으로 삽입되어 걸림턱 없이 코어 제품이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연장 레일은 프레스 성형 양산 과정에서 많은 양의 코어 제품이 배출되는데 충분한 배출 라인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불량 확인시 신속하고 프레스 가동을 즉시 중지시킬 수 있고, 종전 대비 탈장착이 편리하여 사용성과 작업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금형 본체 110 ... 성형홈
120 ... 관통홈 130 ... 장착홈
200 ... 숏트 슈트 210 ... 투입구
220 ... 취출구 230 ... 슬로프 구간
240 ... 직선취출 구간 250 ... 지지핀
260 ... 연장 레일

Claims (3)

  1. 프레스(10)의 작업 테이블 상단에 결합되어 상측 금형(11)이 업다운 되면서 압착되면 진입 이송되는 롤 소재의 면에 대하여 설정된 형상을 절단하도록 성형홈(11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성형홈(110)과 대응되는 하부 일측에는 관통공(120)과 연통된 장착홈(130)이 형성되도록 하는 금형 본체(100)와; 상기 금형 본체의 장착홈(130)에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하되, 길이방향 일측에는 성형홈(110)으로부터 절단된 코어 제품이 관통공(120)을 경유하면서 진입하도록 하는 투입구(210)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210)와 대향되는 길이방향 타측에는 취출구(220)가 형성되도록 하되, 투입구(210)와 취출구(220) 사이에는 코어 제품의 슬라이딩 이송을 조장하도록 미끄럼용 기울기를 갖는 슬로프 구간(230)과 상기 슬로프 구간(230)으로부터 연장된 직선취출 구간(240)이 형성되는 숏트 슈트(2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프레스 금형에 있어서,
    상기 숏트 슈트(200)는 길이방향 축선을 기준으로 분할된 2개의 블럭이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서, 상기 2개의 블럭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간격확보용 지지핀(25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로프형 취출 가이드가 구비된 프레스 금형.
  2. 삭제
  3. 삭제
KR1020160124679A 2016-09-28 2016-09-28 슬로프형 숏트 슈트 취출 가이드가 구비된 프레스 금형 KR101684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679A KR101684934B1 (ko) 2016-09-28 2016-09-28 슬로프형 숏트 슈트 취출 가이드가 구비된 프레스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679A KR101684934B1 (ko) 2016-09-28 2016-09-28 슬로프형 숏트 슈트 취출 가이드가 구비된 프레스 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4934B1 true KR101684934B1 (ko) 2016-12-09

Family

ID=57574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679A KR101684934B1 (ko) 2016-09-28 2016-09-28 슬로프형 숏트 슈트 취출 가이드가 구비된 프레스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49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649B1 (ko) * 2019-03-05 2020-05-20 주식회사 산양화학 더스트 커버 성형용 금형
CN113909365A (zh) * 2021-10-12 2022-01-11 安徽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收口成形模转盘式送料自动模冲压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2776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프레스 금형의 스크랩 배출장치
KR20020075275A (ko) 2001-03-23 2002-10-04 가와사끼 세이데쓰 가부시키가이샤 철심용 코어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160061111A (ko) * 2014-11-21 2016-05-3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블랭크 및 스크랩 취출 오류를 극소화한 프레스 금형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2776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프레스 금형의 스크랩 배출장치
KR20020075275A (ko) 2001-03-23 2002-10-04 가와사끼 세이데쓰 가부시키가이샤 철심용 코어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160061111A (ko) * 2014-11-21 2016-05-3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블랭크 및 스크랩 취출 오류를 극소화한 프레스 금형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649B1 (ko) * 2019-03-05 2020-05-20 주식회사 산양화학 더스트 커버 성형용 금형
CN113909365A (zh) * 2021-10-12 2022-01-11 安徽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收口成形模转盘式送料自动模冲压装置
CN113909365B (zh) * 2021-10-12 2024-03-22 安徽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收口成形模转盘式送料自动模冲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034B1 (ko) 복수의 형상의 타발 합지방법
KR101951823B1 (ko) 적층 철심용의 펀칭 가공 방법 및 적층 철심의 제조 방법
KR101684934B1 (ko) 슬로프형 숏트 슈트 취출 가이드가 구비된 프레스 금형
EP2709810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transportieren einer aus einem flächigen fasergewebe ausgeschnittenen faserkontur im zuge der herstellung von faserverstärkten kunststoff-formteilen
JP2013252590A (ja) 積層コア製造用の積層材製造装置並びに積層コア製造用の積層材製造方法
JP6605352B2 (ja) 積層コア形成用の積層材製造装置
US66826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rofiles and laminates
CN201957347U (zh) 一种刚挠结合的多层印刷电路板的层压用模具
KR100591251B1 (ko) 코어철심, 이를 성형,적층시키는 금형, 그 적층방법
CN207357930U (zh) 成型模具及冲床
US20110167972A1 (en) Foam cutting apparatus and method
JP2020146732A (ja) プレス成形方法及びプレス成形装置
JP2009072794A (ja) 積層コアの製造装置
JP2016107269A (ja) プレス用金型
CN104438587A (zh) 底架挡片叠压冲孔模
KR200387589Y1 (ko) 코어철심 성형,적층용 금형
KR102078599B1 (ko) 와셔 제조장치
KR100634275B1 (ko) 철심용 코어재를 위한 조립금형
KR101936298B1 (ko) 코어 소재 절단장치와 이를 갖는 적층 코어 제조시스템 및 적층 코어 제조방법
KR101263117B1 (ko) 열간 프레스 성형용 블랭킹 금형조립체
KR100669989B1 (ko) 코어철심 성형용 금형 및 코어철심 성형방법
KR102067943B1 (ko) 종이디스크 제조장치
JP2010179524A (ja) 免震構造体用単位積層ゴムの製造方法
KR101142250B1 (ko) 코어철심 및 그 성형방법
KR200388289Y1 (ko) 코어철심, 이를 성형,적층시키는 금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