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4775B1 - 금속감지장치 - Google Patents

금속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4775B1
KR101684775B1 KR1020150045700A KR20150045700A KR101684775B1 KR 101684775 B1 KR101684775 B1 KR 101684775B1 KR 1020150045700 A KR1020150045700 A KR 1020150045700A KR 20150045700 A KR20150045700 A KR 20150045700A KR 101684775 B1 KR101684775 B1 KR 101684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eight
plate
metal sensing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5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7849A (ko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45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4775B1/ko
Publication of KR20160117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7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9/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V1/00 - G01V8/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0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21/08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3/00Manufacturing, calibrating, cleaning, or repairing instruments or devices covered by groups G01V1/00 – G01V11/00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육가공 제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대상물의 높낮이에 따라 금속감지부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금속감지부가 상하높이가 큰 대상물은 물론 상하높이가 낮은 대상물에 금속이 잔존하는지의 여부를 오차없이 보다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어 금속감지율이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금속감지장치{Metal detection device}
본 발명은 육가공 제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대상물의 높낮이에 따라 금속감지부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금속감지부가 상하높이가 큰 대상물은 물론 상하높이가 낮은 대상물에 금속이 잔존하는지의 여부를 오차없이 보다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어 금속감지율이 매우 우수한 금속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 등과 같은 식품의 수출 및 수입시에 검역소에서 일일이 식품의 내부에 금속의 잔존여부를 검사하여 안전한 상태의 식품을 수출입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것은 육류의 경우 사육시 각종 병원체 및 질병에 대한 치료 및 예방에 대하여 주사액을 주입하는데 종종 주사기의 주사바늘이 가축에 삽입되어 빠지지 않아 그대로 가축의 육질에 잔존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검출하여 금속이 잔존하는 육류의 반입 및 반출을 금지함으로써 소비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금속검출기는 일반적으로 컨베이어벨트 등과 같은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금속을 검출할 수 있게 된 금속검출수단에 투입하여 검사물(식품)의 내부에 금속의 잔존 여부를 판단하게 되어 있다.
상기에서 금속검출수단은 검사물의 고유특성(물성)에 따라 위상(phase)에 따라 세팅을 하여 금속을 검출하게 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검사물의 내부에 잔존하는 금속의 방향성 및 고유특성에 관계없이 신속하게 검사물 내부에 금속의 잔존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금속검출기가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실용신안 제20-0269923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실용신안 제20-0269923호의 경우, 검사물의 내부에 금속의 잔존여부를 검출하는 제 1, 2금속검출수단의 높낮이가 검사물의 높낮이에 따라 조절되지 않고 정해진 높이에서만 검사물 내부의 금속잔존여부를 검사하기 때문에 상기 검사물의 높낮이가 낮은 경우 상기 제 1, 2금속검출수단과 상기 검사물 사이의 상하거리가 커져 상기 제 1, 2금속검출수단의 금속검출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실용신안 제20-026992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육가공 제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대상물의 높낮이에 따라 금속감지부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금속감지부가 상하높이가 큰 대상물은 물론 상하높이가 낮은 대상물에 금속이 잔존하는지의 여부를 오차없이 보다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어 금속감지율이 매우 우수한 금속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금속의 잔존여부를 감지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대상물을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상부에 상기 대상물의 높낮이에 따라 상하높이조절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가 이송하는 대상물에 금속이 잔존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금속감지부와; 상기 금속감지부가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금속감지부를 상하이동시켜 상기 금속감지부의 상하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감지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금속감지부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송부의 전측에 구비되어 상기 대상물의 높낮이를 측정하는 높낮이 측정부와; 상기 높낮이 측정부가 측정한 상기 대상물의 높낮이에 따라 상기 금속감지부가 상하이동하여 위치조절되도록 상기 높이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의 전측에 상기 높낮이 측정부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높낮이 측정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측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수직구비되어 상기 이송부의 전측에서 상기 이송부의 후측으로 상기 대상물이 이송되는 과정 중에 상기 대상물과 접하여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하측이 상하회전이동하는 회전이동판과; 상기 회전이동판의 상하회전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축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엔코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엔코더가 측정한 상기 회전축의 회전수를 근거로 상기 대상물의 높낮이를 연산하고, 연산된 상기 대상물의 높낮이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부의 후측에 상기 높이조절부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축결합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 상부가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하측에 상부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부에 상기 금속감지부가 구비되는 상하이동부재와; 상기 상하이동부재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조절되도록 상기 회전체와 축결합되어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측에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상하이동부재는 일측수직판 및 타측수직판과; 상기 일측수직판과 상기 타측수직판 사이에 수직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연결부재가 연결되는 중간수직판과; 상기 일측수직판의 하부와 상기 타측수직판의 하부에 각각 수평형성되는 일측수평판 및 타측수평판과; 상기 일측수평판의 하부와 상기 타측수평판의 하부에 수평구비되고 하부에 상기 금속감지부가 구비되는 고정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일측수평판의 후측과 타측수평판의 후측이 각각 상기 일측수직판의 하부와 상기 타측수직판의 하부에 축결합되고, 상기 금속감지부의 전측이 상하회전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일측수평판의 후측과 상기 타측수평판의 후측을 기준으로 상기 일측수평판의 전측과 상기 타측수평판의 전측을 상하회전이동시키는 상하회전이동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상기 높이조절부를 좌우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좌우이동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되는 좌우이동판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좌우이동판을 좌우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좌우이동판에 구비되어 상기 좌우이동판을 따라 좌우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금속감지부의 상하높이를 측정하는 상하높이측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높낮이 측정부가 측정한 상기 대상물의 높낮이와 상기 상하높이측정부가 측정한 상기 금속감지부의 상하높이를 비교하여 상기 높이조절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금속감지부를 통과한 상기 대상물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송부의 후측에 상기 대상물에 금속이 잔존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또 다른 금속감지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의 후측에 또 다른 상기 금속감지부를 좌우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금속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출력부와; 상기 금속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대상물의 금속잔존여부에 관한 정보를 화면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금속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경보음출력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육가공 제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대상물에 금속이 잔존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금속감지부의 상하높이가 상기 대상물의 높낮이에 따라 위치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금속감지부가 상기 대상물의 상부에 근접한 상태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하높이가 큰 대상물은 물론 상하높이가 낮은 대상물에 금속이 잔존하는지의 여부를 오차없이 보다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어 금속감지율이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금속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금속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높낮이 측정부의 회전이동판이 상하회전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일부단면도이고,
도 6은 높이조절부에 의해 금속감지부의 상하높이가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7은 높이조절부를 확대한 일부확대분리사시도이고,
도 8은 상하회전이동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금속감지부의 전측이 상하회전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1은 높이조절부를 좌우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사시도이고,
도 12는 높이조절부의 좌우이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평면도이고,
도 13은 이송부의 후측에 구비되는 또 다른 금속감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5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금속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금속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금속감지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이송부(10), 금속감지부(20) 및 높이조절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이송부(10)는 롤러컨베이어, 벨트컨베이어 등의 컨베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송부(10)의 전측 상부에는 금속의 잔존여부를 감지하고자 하는 육가공 제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대상물이 안착된다.
상기 이송부(10)는 상기 대상물을 상기 이송부(10)의 전측에서 상기 이송부(10)의 후측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10)의 하부 각 모서리에는 상기 이송부(10)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다리(100)가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금속감지부(20)는 상기 이송부(10)의 후측 상부에 상기 대상물의 높낮이에 따라 상하높이조절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10)가 상기 대상물에 금속이 잔존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높이조절부(30)의 하부에 상기 금속감지부(20)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금속감지부(20)를 상하이동시켜 상기 금속감지부(20)의 상하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높낮이 측정부(40)와 제어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높낮이 측정부(40)는 상기 금속감지부(20)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송부(10)의 전측에 구비되어 상기 대상물의 높낮이를 측정할 수 있다.
컨트롤박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높낮이 측정부(40)가 측정한 상기 대상물의 높낮이에 따라 상기 금속감지부(20)가 상하이동하여 상기 대상물의 상부방향에 상기 대상물과 근접한 상태로 위치조절되도록 상기 높이조절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이송부(10)의 일측 하부 또는 상기 이송부(10)의 타측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높낮이 측정부의 회전이동판이 상하회전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일부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10)의 전측에는 상기 높낮이 측정부(40)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6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60)은 일측지지판(610), 타측지지판(620) 및 상부지지판(6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지지판(610)의 하부와 상기 타측지지판(620)의 하부가 상기 이송부(10)의 일측면 전측과 상기 이송부(10)의 타측면 전측에 각각 볼트고정된 상태로 상기 이송부(10)의 일측면 전측과 상기 이송부(10)의 타측면 전측에 상기 일측지지판(610)과 상기 타측지지판(620)이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지지판(630)은 상기 일측지지판(610)의 상부와 상기 타측지지판(620)의 상부사이에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지지판(630)의 전측은 상기 상부지지판(630)의 하부방향으로 수직으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
상기 높낮이 측정부(40)는 회전축(410), 회전이동판(420) 및 엔코더(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410)이 상기 지지프레임(60)의 내측 상부에 정역회전가능하게 구비되도록 상기 회전축(410)의 일측과 상기 회전축(410)의 타측은 상기 지지프레임(60)의 일측지지판(610)의 상부와 타측지지판(620)의 상부에 각각 베어링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이동판(420)의 상부가 상기 회전이동판(420)의 중심부를 수직관통한상태로 일체연결된 상태로 상기 회전이동판(420)은 상기 회전축(410)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10)가 이송하는 대상물(3)이 상기 회전이동판(420)의 하측과 접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일측지지판(610)과 상기 회전이동판(420)의 일측 사이의 공간과 상기 타측지지판(620)과 상기 회전축(420)의 타측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회전이동판(420)의 일측에서 상기 회전이동판(420)의 타측사이의 좌우폭은 상기 일측지지판(610)과 상기 타측지지판(620)사이의 좌우폭과 동일하거나 미소(微小)만큼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10)의 전측에서 상기 이송부(10)의 후측으로 상기 대상물(3)이 이송되는 과정 중에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410)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이동판(420)의 하측은 상기 대상물(3)과 접하면서 상기 지지프레임(60)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다.
상기 엔코더(430)는 상기 회전축(410)의 일측 또는 상기 회전축(410)의 타측과 결합된 상태로 상기 지지프레임(60)의 일측지지판(610)의 상부 또는 상기 타측지지판(620)의 상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평고정되어 상기 회전이동판(420)의 하측이 상하회전이동에 따라 정역회전하는 상기 회전축(410)의 정역회전수를 측정할 수 있다.
도 6은 높이조절부에 의해 금속감지부의 상하높이가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엔코더(430)가 측정한 상기 회전축(410)의 정역회전수를 근거로 상기 대상물(3)의 높낮이를 연산하고, 연산된 상기 대상물(3)의 높낮이에 따라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50)는 연산된 상기 대상물(3)의 높낮이값보다 미소(微小)만큼 높은 위치에 상기 금속감지부(20)가 상기 대상물(3)의 상부에 근접한 상태로 위치하도록 상기 높이조절부(30)를 자동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어부(50)에는 연산된 상기 대상물(3)의 높낮이값과 대응되는 상기 금속감지부(20)의 기준상하높이값이 미리 복수설정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50)는 복수의 기준상하높이값 중 연산된 상기 대상물(3)의 높낮이값과 대응되는 어느 한 기준상하높이값을 자동추출하여 추출된 어느 한 기준상하높이값만큼 상기 높이조절부(30)를 자동제어하여 상기 금속감지부(20)의 상하높이를 자동조절할 수 있다.
연산된 상기 대상물(3)의 어느 한 높낮이값에 대응되는 해당 기준상하높이값은 연산된 상기 대상물(3)의 어느 한 높낮이값보다 미소(微小)만큼 클 수 있다.
상기 대상물(3)의 상부표면이 울퉁불퉁하여 상기 대상물(3)의 높낮이가 상기 대상물(3)의 전측에서 상기 대상물(3)의 후측방향으로 갈수록 변화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대상물(3)의 상하높이 중 가장 큰 상하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상기 금속감지부(20)가 근접한 상태로 위치하도록 상기 높이조절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높이조절부를 확대한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이송부(10)의 후측에는 상기 높이조절부(30)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7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70)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지지판(710), 타측지지판(720), 전측지지판(730), 상부지지판(740) 및 하부지지판(7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지지판(710)의 하부와 상기 타측지지판(720)의 하부가 상기 이송부(10)의 일측면 후측과 상기 이송부(10)의 타측면 후측에 각각 볼트고정된 상태로 상기 이송부(10)의 일측면 후측과 상기 이송부(10)의 타측면 후측에 상기 일측지지판(710)과 상기 타측지지판(720)이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측지지판(730)은 상기 일측지지판(710)의 전측과 상기 타측지지판(720)의 전측 사이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지지판(740)의 전측과 상기 하부지지판(750)의 전측이 각각 상기 전측지지판(730)의 상부와 상기 전측지지판(730)의 하부에 각각 연결된 상태로 상기 상부지지판(740)과 상기 하부지지판(750)은 상기 일측지지판(710)과 상기 타측지지판(720) 사이에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지지판(740)의 상부면 중심부에는 일측고정판(741)과 타측고정판(742)이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3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회전체(310), 연결부재(320), 상하이동부재(330) 및 구동부재(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체(310)의 일측과 상기 회전체(310)의 타측은 상기 지지프레임(70)의 상부지지판(740)의 상부면 중심부에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된 상기 일측고정판(741)과 상기 타측고정판(742)에 정역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310)는 풀리, 타이밍풀리, 스프로켓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20)의 상부는 상기 회전체(3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20)는 상기 풀리에 상부가 연결된 상태로 상기 풀리에 권취 및 권출되는 와이어, 상기 타이밍풀리에 상부가 걸쳐진상태로 연결되는 타이밍벨트, 상기 스프로켓에 상부가 걸쳐진 상태로 연결되는 체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연결부재(320)가 타이밍벨트 또는 체인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연결부재(320)를 이루는 상기 타이밍벨트의 후측 하부 및 상기 체인의 후측 하부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지지판(740)의 중심부를 수직관통한 상태로 상기 상부지지판(74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20)가 타이밍벨트 또는 체인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회전체(310)에 상부가 걸쳐진 상기 타이밍벨트 또는 상기 체인이 상기 회전체(3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용 회전체(3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용 회전체(350)는 롤러, 아이들풀리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용 회전체(350)가 상기 회전체(31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회전체(350)의 후측과 접하도록 상기 이탈방지용 회전체(350)의 일측과 상기 이탈방지용 회전체(350)의 타측은 각각 상기 일측고정판(741)과 상기 타측고정판(742)에 정역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부재(330)의 상부에는 상기 연결부재(320)의 하측이 접착고정된 상태로 일체연결되거나 볼트고정, 피스고정 등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부재(330)는 상기 지지프레임(70)의 전측지지판(730)의 전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부재(330)의 하부에는 상기 금속감지부(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340)는 상기 상하이동부재(330)가 상기 지지프레임(7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조절되도록 상기 회전체(310)의 일측 또는 상기 회전체(310) 타측과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일측고정판(741) 또는 상기 타측고정판(742)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어 상기 회전체(310)를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70)의 전측지지판(730)의 전면에 상기 상하이동부재(330)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80)는 일측가이드판(810), 타측가이드판(820), 중간가이드판(830), 일측보조가이드판(840) 및 타측보조가이드판(8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가이드판(810)과 상기 타측가이드판(820)은 상기 지지프레임(70)의 전측지지판(730)의 전면 중간부에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가이드판(830)은 상기 일측가이드판(810) 및 상기 타측가이드판(820)사이에 수직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70)의 전측지지판(730)의 중간부 전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중간가이드판(830)의 전면 일측과 상기 중간가이드판(830)의 전면 타측에는 상기 중간가이드판(83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홈(831)이 상기 중간가이드판(830)의 전측에서 상기 중간가이드판(83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보조가이드판(840)과 상기 타측보조가이드판(850)은 각각 상기 일측가이드판(810)과 상기 타측가이드판(820)을 따라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될 수 있다.
상기 일측보조가이드판(840)과 상기 타측보조가이드판(850)은 각각 상기 일측가이드판(810)의 전측에서 상기 상하이동부재(330)의 일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 및 상기 타측가이드판(820)의 전측에서 상기 상하이동부재(330)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부재(330)는 일측수직판(331), 타측수직판(332), 중간수직판(333), 일측수평판(334), 타측수평판(335) 및 고정판(33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수직판(331)과 상기 타측수직판(332)의 후측에는 상기 가이드부재(80)의 중간가이드판(830)의 가이드홈(831)내에서 정역회전운동하는 가이드바퀴(337)가 일정간격으로 각각 복수개로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중간수직판(333)은 상기 일측수직판(331)과 상기 타측수직판(332) 사이에 수직형성되고, 상기 중간수직판(333)의 상부에 상기 연결부재(320)의 하부 전측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일측수평판(334)과 상기 타측수평판(335)은 상기 일측수직판(331)의 하부와 상기 타측수직판(332)의 하부에서 각각 상기 일측수직판(331)의 하부 전측방향 및 상기 타측수직판(332)의 하부 전측방향으로 전후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336)은 상기 일측수평판(334)의 하부와 상기 타측수평판(335)의 하부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336)의 하부에는 상기 금속감지부(20)가 수평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상하회전이동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금속감지부의 전측이 상하회전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금속감지부(20)의 하부에 위치한 금속이 감지된 상기 대상물(3)을 작업자가 들어올리면서 상기 금속감지부(20)의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운반하기 위해, 도 8 내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하이동부재(330)의 일측수평판(334)의 후측과 타측수평판(335)의 후측이 상기 일측수직판(331)의 하부와 상기 타측수직판(332)의 하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수평판(334)의 후측과 상기 타측수평판(335)의 후측은 각각 상기 일측수직판(331)의 하부와 상기 타측수직판(332)의 하부에 축결합될 수 있고,
상기 금속감지부(20)의 전측이 상기 금속감지부(20)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일측수평판(334)의 후측과 상기 타측수평판(335)의 후측을 기준으로 상기 일측수평판(334)의 전측과 상기 타측수평판(335)의 전측을 상기 금속감지부(20)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상하회전이동부재(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하회전이동부재(90)는 상기 일측수평판(334)의 후측 또는 상기 타측수평판(335)의 후측과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일측수직판(331)의 하부외면 또는 상기 타측수직판(332)의 하부외면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는 구동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은 높이조절부를 좌우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사시도이고, 도 12는 높이조절부의 좌우이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평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대상물(3)에 대한 상기 금속감지부(20)의 금속감지범위를 확대하여 상기 금속감지부(20)가 상기 대상물(3)의 일측에서 상기 대상물(3)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하면서 상기 대상물(3) 전체에 대해 금속이 잔존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70)에 상기 높이조절부(30)를 상기 지지프레임(70)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70)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왕복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부(200)는 좌우이동판(210)과 좌우이동부재(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판(210)은 상기 지지프레임(70)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70)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7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판(210)은 전측좌우이동판(211)과 상측좌우이동판(2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좌우이동판(211)은 상기 지지프레임(70)의 전측지지판(730)의 전측방향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측좌우이동판(211)의 전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부재(80)와 상기 높이조절부(30)의 상하이동부재(3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측좌우이동판(211)의 후면 중간부에는 상기 지지프레임(70)의 전측지지판(730)의 전면 중간부에 접한 상태에서 좌우이동하는 이동몸체(2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좌우이동판(212)의 전측이 상기 전측좌우이동판(211)의 상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상측좌우이동판(212)은 상기 지지프레임(70)의 상부지지판(740)의 상부면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수평으로 안착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70)의 상부지지판(740)의 중간부에는 가이드슬릿(743)이 상기 지지프레임(70)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70)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슬릿(743)내에는 상기 상측좌우이동판(212)을 수직관통하는 타이밍벨트 또는 체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연결부재(320)의 후측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상측좌우이동판(212)의 상부 일측과 상기 상측좌우이동판(212)의 상부 타측에 각각 상기 일측고정판(741)과 상기 타측고정판(742)이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일측고정판(741)과 상기 타측고정판(742) 사이에 상기 높이조절부(30)의 회전체(310)가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부재(220)는 리드스크류(221)와 구동모터(2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221)는 상기 좌우이동판(210)의 전측좌우이동판(211)의 이동몸체(213)와 나사결합된 상태로 상기 지지프레임(70)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70)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수평연장형성될 수있다.
상기 구동모터(222)는 상기 리드스크류(221)의 일측과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지지프레임(70)의 전측지지판(730)의 전면 일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되어 상기 리드스크류(221)를 정역회전시켜 상기 가이드부재(80), 상기 높이조절부(30)와 함께 좌우이동판(210)을 좌우왕복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부재(220)가 반드시 상기 리드스크류(221)와 상기 구동모터(222)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이동몸체(213)와 연결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이동몸체와 함께 상기 좌우이동판(210)을 좌우왕복이동시키는 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금속감지부(20)의 상하높이를 측정하는 상하높이측정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하높이측정부(300)는 상기 높이조절부(30)의 회전체(310)의 일측 또는 상기 회전체(310)의 타측과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일측고정판(741) 또는 상기 타측고정판(742)에 볼트고정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어 상기 회전체(310)의 정역회전수를 측정하는 엔코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상하높이측정부(300)가 측정한 상기 회전체(310)의 정역회전수를 근거로 상기 금속감지부(20)의 상하높이를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높낮이 측정부(40)를 통해 연산한 상기 대상물(3)의 높낮이값과 상기 상하높이측정부(300)를 통해 측정한 상기 금속감지부(20)의 상하높이값을 비교하여 상기 높이조절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상하높이측정부(300)를 통해 측정한 상기 금속감지부(20)의 상하높이값이 상기 높낮이 측정부(40)를 통해 연산한 상기 대상물(3)의 높이값 미만 또는 초과인 경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대상물(3)의 높이값에 해당되는 기준상하높이값큼 상기 금속감지부(20)가 승강되어 위치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높이조절부(30)를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은 이송부의 후측에 구비되는 또 다른 금속감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금속감지부(20)를 통해서는 1차적으로 상기 대상물(3)의 상부부위의 금속잔존여부를 확인할 수 밖에 없음으로,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금속감지부(20)를 통과한 상기 대상물(3)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이송부(10)의 후측에 구비되어 2차적으로 상기 대상물(3)의 하부부위의 금속잔존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10)를 이룰 수 있는 컨베이어의 벨트(10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송부(10)의 후측 내부에는 상기 대상물(3)에 금속이 잔존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또 다른 금속감지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상기 금속감지부(400)의 일측과 또 다른 상기 금속감지부(400)의 타측 중 어느 한 부위는 상기 이송부(10)를 이룰 수 있는 컨베이어의 일측판(102) 또는 타측판(103)에 일체형으로 연결되거나 볼트고정될수 있다.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대상물(3)의 하부부위에 대한 또 다른 상기 금속감지부(400)의 금속감지범위를 확대하여 또 다른 상기 금속감지부(400)가 상기 대상물(3)의 일측에서 상기 대상물(3)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하면서 상기 대상물(3)의 하부부위전체에 대해 금속이 잔존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이송부(10)의 후측에는 또 다른 상기 금속감지부(400)를 상기 대상물(3)의 일측에서 상기 대상물(3)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왕복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500)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좌우이동부(500)는 리드스크류(501), 구동모터(502) 및 가이드봉(50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501)는 또 다른 상기 금속감지부(400)의 하부 중심부에 일체형성 또는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되는 이동몸체(401)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정역회전하여 또 다른 상기 금속감지부(400)와 함께 상기 이동몸체(401)를 상기 대상물(3)의 일측에서 상기 대상물(3)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왕복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502)는 상기 리드스크류(501)의 일측 또는 타측과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이송부(10)의 일측 내면 또는 타측 내면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되어 상기 리드스크류(501)를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봉(503)은 상기 리드스크류(501)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몸체(401)의 하부를 좌우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이송부(10)의 일측 내면과 타측 내면 사이에 일체형성되어 상기 이동몸체(401)가 요동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이동몸체(401)의 좌우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부(500)가 반드시 상기 리드스크류(501), 구동모터(502) 및 상기 가이드봉(503)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이동몸체(401)와 연결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이동몸체(401)와 함께 또 다른 상기 금속감지부(400)를 좌우왕복이동시키는 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5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다음으로,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보음출력부(600)와 디스플레이부(8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보음출력부(600)는 상기 제어부(50)에 구비되는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800)는 상기 경보음출력부(60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어부(50)에 구비되는 LCD패널, LED패널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금속감지부(20)와 또 다른 상기 금속감지부(40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경보음출력부(60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8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금속감지부(20)와 또 다른 상기 금속감지부(400)가 상기 대상물(3)에 잔존하는 금속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경보음출력부(600)는 전원공급부(9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사이렌 소리 등의 경보음을 출력하고, 이와 더불어 상기 디스플레이부(800)는 '금속이 감지되었습니다' 등의 문자, 'O'와 같은 도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금속잔존여부에 관한 정보를 화면출력할 수 있고, 이때 작업자는 상기 이송부(10)로부터 금속이 감지된 상기 대상물(3)을 특정보관장소로 운반할 수 있다.
상기 대상물(3)에 금속이 잔존하지 않아 상기 금속감지부(20)와 또 다른 상기 금속감지부(400)가 상기 대상물(3)로부터 금속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경보음출력부(600)는 경보음을 출력하지 않음과 더불어 상기 디스플레이부(800)는 '금속이 감지되지 않았습니다' 등의 문자, 'X'와 같은 도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금속잔존여부에 관한 정보를 화면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50)에는 수동/자동전환스위치부(510)와 상하높이조절버튼(520)이 누름식 버튼 또는 다이얼 버튼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수동/자동전환스위치부(510)를 수동상태로 설정한 경우 작업자는 상기 상하높이조절버튼(520)을 조작하여 상기 금속감지부(20)의 상하높이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수동/자동전환스위치부(510)를 자동상태로 설정한 경우 상기 높이조절부(30)는 상기 높낮이 측정부(40)를 통해 측정한 상기 대상물(3)의 높낮이에 따라 상기 금속감지부(20)의 상하높이를 자동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육가공 제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대상물(3)에 금속이 잔존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상기 금속감지부(20)의 상하높이가 상기 대상물(3)의 높낮이에 따라 위치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금속감지부(20)가 상기 대상물(3)의 상부에 근접한 상태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하높이가 큰 대상물(3)은 물론 상하높이가 낮은 대상물(3)에 금속이 잔존하는지의 여부를 오차없이 보다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어 금속감지율이 매우 우수한 이점이 있다.
10; 이송부, 20; 금속감지부,
30; 높이조절부.

Claims (12)

  1. 금속의 잔존여부를 감지하고자 하는 대상물(3)이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대상물(3)을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10)와;
    상기 이송부(10)의 상부에 상기 대상물(3)의 높낮이에 따라 상하높이조절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10)가 이송하는 대상물(3)에 금속이 잔존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금속감지부(20)와;
    상기 금속감지부(20)가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금속감지부(20)를 상하이동시켜 상기 금속감지부(20)의 상하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30)와;
    상기 금속감지부(20)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송부(10)의 전측에 구비되어 상기 대상물(3)의 높낮이를 측정하는 높낮이 측정부(40)와;
    상기 금속감지부(20)를 통과한 상기 대상물(3)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송부(10)의 후측에 구비되어 상기 대상물(3)에 금속이 잔존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또 다른 금속감지부(400)와;
    수동/자동전환스위치부(510)와, 상기 수동/자동전환스위치부(510)가 수동상태로 설정된 경우 상기 금속감지부(20)의 상하높이를 수동조절하기 위한 상하높이조절버튼(520)이 구비되고, 상기 수동/자동전환스위치부(510)가 자동상태로 설정된 경우 상기 높낮이 측정부(40)가 측정한 상기 대상물(3)의 높낮이에 따라 상기 금속감지부(20)가 상하이동하여 위치조절되도록 상기 높이조절부(30)를 제어하는 제어부(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감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0)의 전측에 상기 높낮이 측정부(40)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60)이 구비되고,
    상기 높낮이 측정부(40)는 상기 지지프레임(60)의 내측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410)과;
    상기 회전축(410)에 수직구비되어 상기 이송부(10)의 전측에서 상기 이송부(10)의 후측으로 상기 대상물(3)이 이송되는 과정 중에 상기 대상물(3)과 접하여 상기 회전축(410)을 기준으로 하측이 상하회전이동하는 회전이동판(420)과;
    상기 회전이동판(420)의 상하회전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축(410)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엔코더(4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엔코더(430)가 측정한 상기 회전축(410)의 회전수를 근거로 상기 대상물(3)의 높낮이를 연산하고, 연산된 상기 대상물(3)의 높낮이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부(3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감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0)의 후측에 상기 높이조절부(30)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70)이 구비되고,
    상기 높이조절부(30)는 상기 지지프레임(70)의 상부에 축결합되는 회전체(310)와;
    상기 회전체(310)에 상부가 연결되는 연결부재(320)와;
    상기 연결부재(320)의 하측에 상부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지지프레임(70)의 전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부에 상기 금속감지부(20)가 구비되는 상하이동부재(330)와;
    상기 상하이동부재(330)가 상기 지지프레임(7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조절되도록 상기 회전체(310)와 축결합되어 상기 회전체(31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감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70)의 전측에 상기 상하이동부재(330)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80)가 구비되고,
    상기 상하이동부재(330)는 일측수직판(331) 및 타측수직판(332)과;
    상기 일측수직판(331)과 상기 타측수직판(332) 사이에 수직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연결부재(320)가 연결되는 중간수직판(333)과;
    상기 일측수직판(331)의 하부와 상기 타측수직판(332)의 하부에 각각 수평형성되는 일측수평판(334) 및 타측수평판(335)과;
    상기 일측수평판(334)의 하부와 상기 타측수평판(335)의 하부에 수평구비되고 하부에 상기 금속감지부(20)가 구비되는 고정판(33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감지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부재(330)의 일측수평판(334)의 후측과 타측수평판(335)의 후측이 각각 상기 일측수직판(331)의 하부와 상기 타측수직판(332)의 하부에 축결합되고,
    상기 금속감지부(20)의 전측이 상하회전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일측수평판(334)의 후측과 상기 타측수평판(335)의 후측을 기준으로 상기 일측수평판(334)의 전측과 상기 타측수평판(335)의 전측을 상하회전이동시키는 상하회전이동부재(9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감지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70)에 상기 높이조절부(30)를 좌우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200)가 구비되고,
    상기 좌우이동부(200)는 상기 지지프레임(70)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프레임(70)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70)에 구비되는 좌우이동판(210)과;
    상기 지지프레임(70)에 구비되어 상기 좌우이동판(210)을 좌우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재(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높이조절부(30)는 상기 좌우이동판(210)에 구비되어 상기 좌우이동판(210)을 따라 좌우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감지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감지부(20)의 상하높이를 측정하는 상하높이측정부(30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높낮이 측정부(40)가 측정한 상기 대상물(3)의 높낮이와 상기 상하높이측정부(300)가 측정한 상기 금속감지부(20)의 상하높이를 비교하여 상기 높이조절부(3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감지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0)의 후측에 또 다른 상기 금속감지부(400)를 좌우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5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감지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감지부(20)의 감지신호 및 또 다른 상기 금속감지부(400)의 감지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출력부(600)와;
    상기 금속감지부(20)의 감지신호 및 또 다른 상기 금속감지부(40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대상물(3)의 금속잔존여부에 관한 정보를 화면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80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금속감지부(20)의 감지신호 및 또 다른 상기 금속감지부(40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경보음출력부(600)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80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감지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50045700A 2015-03-31 2015-03-31 금속감지장치 KR101684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700A KR101684775B1 (ko) 2015-03-31 2015-03-31 금속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700A KR101684775B1 (ko) 2015-03-31 2015-03-31 금속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849A KR20160117849A (ko) 2016-10-11
KR101684775B1 true KR101684775B1 (ko) 2016-12-09

Family

ID=57162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700A KR101684775B1 (ko) 2015-03-31 2015-03-31 금속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47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14061A1 (de) * 2019-05-27 2020-12-03 Dieffenbacher GmbH Maschinen- und Anlagenbau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Dickenmessung an bewegten bahn- oder plattenförmigen Messobjekt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6278A (ja) * 2000-04-13 2001-10-26 Nkk Corp 金属体検査装置
KR100362633B1 (ko) * 2000-06-08 2002-11-29 성 훈 김 높이와 각도 측정이 가능한 측정기
JP2004347416A (ja) * 2003-05-21 2004-12-09 Cosmo Oil Co Ltd 非破壊検査方法および非破壊検査装置
JP2008107103A (ja) * 2006-10-23 2008-05-08 Anritsu Sanki System Co Ltd 金属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923Y1 (ko) 2001-12-11 2002-03-27 라채식 금속검출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6278A (ja) * 2000-04-13 2001-10-26 Nkk Corp 金属体検査装置
KR100362633B1 (ko) * 2000-06-08 2002-11-29 성 훈 김 높이와 각도 측정이 가능한 측정기
JP2004347416A (ja) * 2003-05-21 2004-12-09 Cosmo Oil Co Ltd 非破壊検査方法および非破壊検査装置
JP2008107103A (ja) * 2006-10-23 2008-05-08 Anritsu Sanki System Co Ltd 金属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849A (ko) 201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8961B1 (en) Wire saw control method and wire saw
KR101319405B1 (ko) 용접 대구경 강관 측정장치
KR100638283B1 (ko) 타이어 트레드 자동 조인트 감지장치
CN110040431A (zh) 带有转向机构的双排滚轮输送线
WO2013015961A1 (en) Bulk-product conveyor with sensor
KR101684775B1 (ko) 금속감지장치
CN105979764A (zh) 一种元件脚测量机及其测量工艺
CN204202599U (zh) 瓷砖平整度检测装置
CN106338303B (zh) 机油瓶自动检测设备
CN207317983U (zh) 一种新式自动推力检测机
CN114061867A (zh) 一种包装袋检测装置及检测方法
KR101330581B1 (ko) 평탄도 검사장치
CN105191832B (zh) 禽蛋喷码装置
CN112339309A (zh) 一种轮胎物料输送装置及轮胎物料检测方法
CN201859124U (zh) 一种引线框架自动检测装置
CN113466966B (zh) 一种自动校正金属检测装置
CN109720661B (zh) 一种电器智能装配检测包装系统
CN213891856U (zh) 一种橡胶管用喷码计米装置
CN210585975U (zh) 自动筛选结构
KR200359395Y1 (ko) 계란 자동 인쇄기
CN207703734U (zh) 圆周外观检测模组
CN208830011U (zh) 一种服装加工用检针机
CN109530167B (zh) 一种用于凹型空间点胶后的胶量检测装置
CN112066918A (zh) 一种检测产品平面共面度的设备
CN102435615B (zh) 人工灯检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