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2219B1 - 식생공 형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식생공 형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2219B1
KR101682219B1 KR1020140145211A KR20140145211A KR101682219B1 KR 101682219 B1 KR101682219 B1 KR 101682219B1 KR 1020140145211 A KR1020140145211 A KR 1020140145211A KR 20140145211 A KR20140145211 A KR 20140145211A KR 101682219 B1 KR101682219 B1 KR 101682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diameter
forming member
holes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5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8482A (ko
Inventor
박공영
Original Assignee
벽화수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벽화수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벽화수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5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219B1/ko
Publication of KR20160048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8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생공 형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편평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다수의 통공이 각각 형성되며, 서로 매칭이 되는 통공끼리 경사진 위치가 되도록 전후위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각각 배치되는 전면 거푸집부재와 후면 거푸집부재; 직경 변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의 통공과 이와 매칭되는 후면 거푸집부재의 통공 사이에 경사지게 끼워지는 식생공 형성부재; 및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가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의 통공과 이와 매칭되는 후면 거푸집부재의 통공 사이에 경사지게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의 직경을 확대하여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가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의 통공과 이와 매칭되는 후면 거푸집부재의 통공 사이에 밀착·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의 강성을 보강해주고,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의 직경을 축소하여 양생 후의 식생공으로부터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를 탈형시킬 수 있게 하는 직경 가변수단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보다 손쉬우면서 원활하고 불량없이 식생공을 형성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식생공 형성 장치 및 방법{Apparatus to make planting apertur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식생공 형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목용 블록, 옹벽 블록, 또는 옹벽 등의 수직벽면에 하방향으로 경사진 식생공을 형성할 때 보다 간편하면서도 손쉽게 거푸집을 설치할 수 있고, 탈형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급격한 산업화의 결과로서 차가운 느낌을 연출하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인공 구조물이 대폭적으로 증가되면서 자연친화적인 환경 조성을 위해 각종 인공 구조물을 녹화시키고자 시도하고 있다.
종래 건축물이나 수직 옹벽의 경우에는 녹화 패널, 벽화수, 녹화 모듈 등을 덧대어 구성하거나, 담쟁이와 같은 덩굴식물을 심어 녹화를 수행하고 있다.
건축물의 녹화 중 가장 대표적인 벽면 녹화시스템 또는 녹화담장의 경우 벽면이나 담장에 수직방향으로 식생매트, 식생블록, 또는 식생모듈을 덧대어 고정시키고, 여기에 식물을 식재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해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 10-2009-12378 호 "녹화 담장"과, 특허출원 제 10-2009-12404 호 " 벽면 녹화시스템"을 개시한 바 있다.
그런데, 상기한 벽면 녹화시스템 또는 녹화 담장은 식생기반이 각각의 모듈로 한정되어 있어 식물이 영구적으로 자랄 수 없는 조건이 되고, 설령 식생이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모듈로 가두어진 상태에서 식물 뿌리가 증가됨과 동시에 그 늘어나는 압력으로 인해 모듈이 깨지거나 식물 자체가 모듈로부터 튕겨져 나와 영속성을 유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등록된 10-0807285호의 방법으로 만들어진 제품명“벽화수”와 같은 완벽한 식생기반을 제공하는 기반체의 경우에도 식물의 생육에는 매우 효과적이지만 스폰지형으로 고형화되어 식물의 식재 규격이 한정되어 재배기간이 너무 길고 식물을 교체하거나 재활용에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옹벽의 경우 옹벽 블록을 지그재그로 적층하여 옹벽을 구성하고, 옹벽의 사이에 토양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이를 통해 식생이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이럴 경우 옹벽 블록에 담기는 토양의 양에 한계가 있어 녹화에 적용될 수 있는 종류가 한정적이고, 옹벽 전체를 녹화하지 못하고 부분 녹화만 가능하여 녹화에 한계가 있는 것이었으며, 적층의 방법도 위로 조금씩 경사를 두어 쌓게 되어 공간 활용에 제한요인이 있었다. 또한 태풍과 같은 강한 외력 발생시 식물을 포함한 토양이 원래의 식생 위치로부터 이탈되어 지속적인 식생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환경이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특허 제 10-1417672 호 "벽면녹화구조물", 특허 제 10-1429481 호 "토목용 블록" 등에서는 건축물 또는 옹벽 등의 수직벽면, 토목용 블록, 옹벽 블록에 하방향으로 경사진 다수의 식생공을 형성함으로써 식물이 사선방향으로 뻗어나가 생육이 원활해지고, 식물을 식생공을 통해 사선방향으로 식재할 수 있어 식재가 용이해지며, 식생공 안쪽에 위치된 토양 등으로 이루어진 식생기반이 식생공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게 되어 식생 환경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특허 제 10-1417672 호 "벽면녹화구조물" 또는 특허 제 10-1429481 호 "토목용 블록" 은 편평한 전면부에 사선 방향의 식생공을 형성해주어야 하므로 이를 위해 편평한 형상의 전/후면 거푸집 사이에 사선방향으로 식생공 형성용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고, 전/후면 거푸집과 식생공 형성용 거푸집을 탈형하여 건축물 또는 옹벽 등의 수직벽면, 토목용 블록, 옹벽 블록 등에 하방향으로 경사진 다수의 식생공을 형성해주게 된다.
따라서, 식생공 형성을 위한 거푸집의 설치가 매우 어렵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식생공 형성용 거푸집의 경우, 단면상 원형을 이루는 식생공 형성을 위해 외주면이 원형인 원기둥 형상 또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하게 되므로 콘크리트 타설·양생 후 이러한 식생공 형성용 거푸집을 탈형할 때 식생공 형성용 거푸집을 식생공 형성방향으로 뽑아주어야 하며, 이러한 식생공 형성용 거푸집의 탈형과정에서 약간의 각도 오차가 발생되더라도 식생공에 크랙이 발생되므로 탈형을 최대한 천천히 진행할 수밖에 없어 생산성이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으며, 만일 식생공 형성과정에서 식생공의 내주면이 직선을 이루지 못하고 약간의 오차가 발생되는 경우 식생공 형성용 거푸집이 빠져나오지 못하며, 강한 힘으로 억지 탈형하게 되면 식생공에 필연적으로 크랙이 발생될 수밖에 없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토목용 블록, 옹벽 블록, 또는 옹벽 등의 수직벽면에 하방향으로 경사진 식생공을 형성할 때 보다 간편하면서도 손쉽게 거푸집을 설치할 수 있고, 탈형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식생공 형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편평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다수의 통공이 각각 형성되며, 서로 매칭이 되는 통공끼리 경사진 위치가 되도록 전후위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각각 배치되는 전면 거푸집부재와 후면 거푸집부재; 직경 변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의 통공과 이와 매칭되는 후면 거푸집부재의 통공 사이에 경사지게 끼워지는 식생공 형성부재; 및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가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의 통공과 이와 매칭되는 후면 거푸집부재의 통공 사이에 경사지게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의 직경을 확대하여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가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의 통공과 이와 매칭되는 후면 거푸집부재의 통공 사이에 밀착·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의 강성을 보강해주고,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의 직경을 축소하여 양생 후의 식생공으로부터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를 탈형시킬 수 있게 하는 직경 가변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의 표면에 감싸진 상태로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의 통공과 이와 매칭되는 후면 거푸집부재의 통공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의 탈형시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가 용이하게 탈형되도록 하는 탈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는, 기밀하게 구성된 플렉시블한 비닐 또는 가죽재 튜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직경 가변수단은 공기압축기 또는 유체압축기로 구성되며, 상기 공기압축기 또는 상기 유체압축기는 주입관을 통해 상기 플렉시블한 비닐 또는 가죽재 튜브에 주입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플렉시블한 비닐 또는 가죽재 튜브에 압축된 공기 또는 압축된 유체를 주입시킬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된 다수의 호형 슬라이딩편이 일부씩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겹쳐져 평면상 원형을 이루고, 상기 각각의 겹쳐진 부위에는 서로 통하도록 장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장공의 사이에는 슬라이딩은 가능하면서 각각의 호형 슬라이딩편의 이탈은 방지하도록 고정핀이 각각 끼워진 직경 가변형 틀로 구성되며; 상기 직경 가변수단은,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의 내부에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직경 가변수단은, 기밀하게 구성되어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에 끼워지는 플렉시블한 비닐 또는 가죽재 튜브로 구성되고, 상기 플렉시블한 비닐 또는 가죽재 튜브에 주입관을 통해 공기압축기 또는 유체압축기가 연결되어 상기 플렉시블한 비닐 또는 가죽재 튜브에 압축된 공기 또는 압축된 유체를 주입시킬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직경 가변수단은,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하부 일측으로부터 하단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말뚝으로 구성되어 타격수단에 의해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의 상부로부터 안쪽으로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 및/또는 상기 후면 거푸집 부재의 서로 마주보는 안쪽 부위에는 문양 형성을 위한 성형틀이 수직방향으로 안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른 식생공 형성방법은, 전면 거푸집부재와 후면 거푸집부재에 통공을 각각 천공하는 단계; 서로 매칭이 되는 통공끼리 경사진 위치가 되도록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를 전후위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각각 배치시켜 설치하는 단계; 직경 변화가 가능한 형상의 식생공 형성부재를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의 서로 매칭이 되는 통공 사이에 걸쳐지도록 설치하는 단계; 직경 가변수단을 통해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를 최대한 팽창시켜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를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의 서로 매칭이 되는 통공 사이에 밀착·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는 단계; 상기 직경 가변수단을 통해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의 직경을 줄여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를 탈형함과 동시에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가 탈형된 자리에 하방향으로 경사진 식생공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를 탈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직경이 가변되는 식생공 형성부재를 적용하는 것이므로 거푸집의 설치시에는 전면 거푸집부재와 후면 거푸집부재의 서로 대응이 되는 통공 사이에 식생공 형성부재를 끼워 설치한 상태에서 식생공 형성부재를 최대한 팽창시켜주면 식생공 형성부재를 각각의 통공 사이에 밀착·고정시킬 수 있어 거푸집으로서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고,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한 후 식생공 형성부재를 탈형할 때에는 식생공 형성부재의 직경을 줄여주면 식생공 형성부재를 손쉽게 탈형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토목용 블록, 옹벽 블록, 또는 옹벽 등의 수직벽면에 경사진 식생공을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면서도 불량을 방지할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공 형성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공 형성장치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공 형성장치를 통해 형성된 식생공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공 형성장치의 식생공 형성부재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공 형성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을 제시되는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공 형성장치는 도면상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목용 블록, 옹벽 블록, 또는 옹벽과 같은 수직벽면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10)에 식생공(11)을 성형하기 위해 전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의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식생공 형성부재(300), 식생공 형성부재(300)의 직경을 가변시키는 직경 가변수단(400)을 포함한다.
이러한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에는 다수의 통공(101)(201)이 각각 형성되며, 서로 매칭이 되는 통공(101)(201)끼리 경사진 위치가 되도록 전후위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를 각각 설치해주게 된다.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는 편평한 판을 이용하여 일정한 틀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럴 경우 많은 비용 및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로서 규격화되어 시중에 사용되고 있는 유로폼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으며,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로 유로폼을 적용하게 되면 별도의 틀 형성없이도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를 손쉽게 마련할 수 있고, 유로폼의 합판 부위를 통해 통공(101)(201)을 천공하기 유리하며, 통공(101)(201) 부위가 파손되더라도 합판만 교체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식생공 형성부재(300)는 직경 변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전면 거푸집부재(100)의 통공(101)과 이와 매칭되는 후면 거푸집부재(200)의 통공(201) 사이에 경사지게 끼워지는 부재로서, 식생공(11)의 형상을 감안하여 원통 형상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식생공 형성부재(300)로는, 기밀하게 구성된 플렉시블한 비닐 또는 가죽재 튜브(310)로 구성하거나,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된 다수의 호형 슬라이딩편(321)이 일부씩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겹쳐져 평면상 원형을 이루고, 각각의 겹쳐진 부위에는 서로 통하도록 장공(322)이 각각 형성되며, 장공(322)의 사이에는 슬라이딩은 가능하면서 각각의 호형 슬라이딩편(321)의 이탈은 방지하도록 고정핀(323)이 각각 끼워진 직경 가변형 틀(320)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직경 변화가 가능한 원통형 부재이면 어떠한 것이든 적용가능하다.
직경 가변수단(400)은, 식생공 형성부재(300)가 전면 거푸집부재(100)의 통공(101)과 이와 매칭되는 후면 거푸집부재(200)의 통공(201) 사이에 경사지게 끼워진 상태에서 식생공 형성부재(300)의 직경을 확대하거나, 탈형을 위해 식생공 형성부재(300)의 직경을 축소시켜주는 수단으로서, 아래와 같이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생공 형성부재(300)가 기밀하게 구성된 플렉시블한 비닐 또는 가죽재 튜브(310)로 이루어지는 경우 직경 가변수단(400)은 공기압축기 또는 유체압축기 등의 압축장치(410)로 구성하며, 주입관(411)을 통해 플렉시블한 비닐 또는 가죽재 튜브(310)에 공기압축기 또는 유체압축기 등의 압축장치(410)를 연결하여 플렉시블한 비닐 또는 가죽재 튜브(310)에 압축된 공기 또는 압축된 유체를 주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식생공 형성부재(300)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된 직경 가변형 틀(320)로 이루어지는 경우 직경 가변수단(400)은 기밀하게 구성되어 식생공 형성부재(300)에 끼워지는 플렉시블한 비닐 또는 가죽재 튜브(420)로 구성하고, 여기에 주입관(421)을 통해 공기압축기 또는 유체압축기와 같은 압축장치(422)를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직경 가변수단(400)의 다른 실시예로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하부 일측으로부터 하단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말뚝(430)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식생공 형성부재(300)의 표면에 감싸진 상태로 전면 거푸집부재(100)의 통공(101)과 이와 매칭되는 후면 거푸집부재(200)의 통공(201)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식생공 형성부재(300)의 탈형시 식생공 형성부재(300)가 식생공(11)으로부터 용이하게 탈형되도록 하는 비닐과 같은 탈형부재(500)가 더 구비된다.
아울러,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면 거푸집부재(100) 및/또는 후면 거푸집부재(200)의 서로 마주보는 안쪽 부위에는 문양 형성을 위한 성형틀이 수직방향으로 안치되어 토목용 블록, 옹벽 블록, 또는 옹벽과 같은 수직벽면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10)에 경사진 식생공(11)을 형성함과 동시에 전면 또는 후면에 문양을 같이 성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에 다수의 통공(101)(201)을 각각 천공해주고, 서로 매칭이 되는 통공(101)(201)끼리 경사진 위치가 되도록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를 전후위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각각 배치시켜 설치해주게 된다.
각각의 거푸집부재(100)(200)를 설치한 후 기밀하게 구성된 플렉시블한 비닐 또는 가죽재 튜브(310),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된 직경 가변형 틀(320) 등으로 된 직경 변화가 가능한 형상의 식생공 형성부재(300)를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의 서로 매칭이 되는 통공(101)(201) 사이에 경사지게 걸쳐지도록 설치해주게 되며, 직경 가변수단(400)을 통해 식생공 형성부재(300)를 최대한 팽창시켜 식생공 형성부재(300)를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의 서로 매칭이 되는 통공(101)(201) 사이에 밀착·고정시켜주게 된다.
식생공 형성부재(300)로 플렉시블한 비닐 또는 가죽재 튜브(310)가 적용되는 경우, 직경 가변수단(400)은 공기압축기 또는 유체압축기 등의 압축장치(410)로 구성되어 주입관(411)을 통해 공기압축기 또는 유체압축기 등의 압축장치(410)가 플렉시블한 비닐 또는 가죽재 튜브(310)와 연결되는 것이므로 공기압축기를 통해 압축된 공기 또는 유체압축기를 통해 압축된 물이나 기름 등의 유체가 플렉시블한 비닐 또는 가죽재 튜브(310)로 주입되면서 비닐 또는 가죽재 튜브(310)로 된 식생공 형성부재(300)가 팽창하여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의 서로 매칭이 되는 통공(101)(201) 사이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또한, 식생공 형성부재(300)로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된 직경 가변형 틀(320)이 적용되는 경우 직경 가변수단(400)은 공기압축기 또는 유체압축기 등의 압축장치(422)와 연결된 플렉시블한 비닐 또는 가죽재 튜브(420)로 구성되거나 원기둥형의 말뚝(430)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직경 가변수단(400)으로 공기압축기 또는 유체압축기 등의 압축장치(410)와 연결된 플렉시블한 비닐 또는 가죽재 튜브(420)로 구성되는 경우 공기압축기를 통해 압축된 공기 또는 유체압축기를 통해 압축된 물이나 기름 등의 유체가 플렉시블한 비닐 또는 가죽재 튜브(420)로 주입되면서 비닐 또는 가죽재 튜브(420)로 된 직경 가변수단(400)이 팽창하여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된 직경 가변형 틀(320)을 팽창시킴으로써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의 서로 매칭이 되는 통공(101)(201) 사이에 밀착·고정될 수 있고, 직경 가변수단(400)으로 원기둥형의 말뚝(430)이 적용되는 경우 말뚝(430)의 하단부 테이퍼진 부위를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된 직경 가변형 틀(320)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망치 등으로 말뚝(430) 상단부를 타격해주면 말뚝(430) 하단부의 테이퍼진 부위가 직경 가변형 틀(320) 안쪽으로 파고들어가 직경 가변형 틀(320)을 팽창시켜줌으로써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의 서로 매칭이 되는 통공(101)(201) 사이에 밀착·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식생공 형성부재(300)는 현장에서 1회용으로 활용하고 폐기하는 경우 직경 가변 및 탈형성을 고려하여 플렉시블한 비닐 튜브 등으로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으나, 식생공 형성부재(300)를 지속적으로 재활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식생공 형성부재(300)의 탈형이 용이토록 함과 동시에 콘크리트 등의 이물질이 묻어나지 않도록 해주어야 하며, 이를 위해 비닐과 같은 탈형부재(500)를 구비하여 식생공 형성부재(300)의 설치시 식생공 형성부재(300)의 표면에 감싸진 상태로 전면 거푸집부재(100)의 통공(101)과 이와 매칭되는 후면 거푸집부재(200)의 통공(201) 사이에 경사지게 같이 설치해주게 된다.
식생공 형성부재(300), 또는 식생공 형성부재(300)와 탈형부재(500)가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의 서로 매칭이 되는 통공(101)(201)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에서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켜주게 된다.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직경 가변수단(400)을 통해 식생공 형성부재(300)의 직경을 줄여주어 손쉽게 식생공 형성부재(300)를 탈형시켜줄 수 있으며, 식생공 형성부재(300)가 탈형됨과 동시에 식생공 형성부재(300)가 탈형된 자리에 하방향으로 경사진 식생공(11)이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다.
식생공 형성부재(300)가 탈형된 후에는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와 연결된 다른 부재가 전혀 없게 되므로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의 탈형이 전혀 방해받지 않게 되어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 역시 손쉽게 탈형할 수 있게 된다.
즉, 식생공 형성부재(300)가 플렉시블한 비닐 또는 가죽재 튜브(310)로 이루어지는 경우 공기 또는 유체를 식생공 형성부재(300)로부터 배출해주면 플렉시블한 비닐 또는 가죽재 튜브(310)의 직경을 줄일 수 있고, 식생공 형성부재(300)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된 직경 가변형 틀(320)로 이루어지는 경우 그 내부에 위치된 플렉시블한 비닐 또는 가죽재 튜브(420)로부터 공기 또는 유체를 배출해주거나, 말뚝(430)을 빼내면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된 직경 가변형 틀(320)의 직경을 줄여줄 수 있으며, 따라서 식생공 형성부재(300)를 양생 완료된 식생공(11)으로부터 손쉽게 탈형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탈형부재(500)없이 플렉시블한 비닐 또는 가죽재 튜브 등으로 된 1회용 식생공 형성부재(300)가 적용되는 경우 식생공 형성부재(300)를 식생공(11)으로부터 탈형한 후 그대로 폐기하면 되고, 비닐과 같은 탈형부재(500)가 적용되는 경우 식생공 형성부재(300)는 콘크리트와 같은 이물질이 전혀 묻어나지 않는 상태로 시공 및 탈형할 수 있어 이러한 식생공 형성부재(300)는 다른 공정에서 재활용할 수 있으며, 식생공 형성부재(300)를 탈형한 후 남아있는 탈형부재(500)를 파지하여 뜯어내기만 하면 손쉽게 식생공(11)으로부터 탈형부재(500)가 이탈될 수 있어 식생공(11) 형성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토목용 블록, 옹벽 블록, 또는 옹벽과 같은 수직벽면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10)에 경사진 식생공(11) 형성을 위해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의 통공(101)(201)을 식생공(11)의 경사각과 동일한 각도로 모따기 하지 않고 수평방향으로 통공(101)(201)을 형성하더라도 식생공(101)(201) 형성에 전혀 지장이 없으므로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의 통공(101)(201) 천공작업이 매우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아울러, 식생공 형성부재(300)가 플렉시블한 비닐 또는 가죽재 튜브(310)로 이루어지는 경우 식생공 형성부재(300)가 직경 가변수단(400)에 의해 팽창되면서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의 서로 매칭이 되는 통공(101)(201) 에 밀착되어 볼록하게 라운드진 형태로 위치될 수 있으며,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식생공 형성부재(300)의 라운드진 형상 그대로 식생공(11)이 형성되는 것이므로 식생공(11)의 전체적인 형상이 볼록하면서 식생공(11)의 테두리 전단부와 후단부가 뾰족하지 않고 뭉뚝한 형상이 되어 오히려 식생공(11)의 전단부와 후단부가 깨지지 않도록 강성을 보강해줄 수 있는 이점도 있는 것이다.
10 : 콘크리트 구조물 11 : 식생공
100 : 전면 거푸집부재 101,201 : 통공
200 : 후면 거푸집부재 300 : 식생공 형성부재
310,420 : 비닐 또는 가죽재 튜브 320 : 직경 가변형 틀
321 : 슬라이딩편 322 : 장공
323 : 고정핀 400 : 직경 가변수단
410,422 : 압축장치 411,421 : 주입관
430 : 말뚝 500 : 탈형부재

Claims (8)

  1. 편평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다수의 통공이 각각 형성되며, 서로 매칭이 되는 통공끼리 경사진 위치가 되도록 전후위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각각 배치되는 전면 거푸집부재와 후면 거푸집부재;
    직경 변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의 통공과 이와 매칭되는 후면 거푸집부재의 통공 사이에 경사지게 끼워지는 식생공 형성부재; 및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가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의 통공과 이와 매칭되는 후면 거푸집부재의 통공 사이에 경사지게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의 직경을 확대하여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가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의 통공과 이와 매칭되는 후면 거푸집부재의 통공 사이에 밀착·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의 강성을 보강해주고,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의 직경을 축소하여 양생 후의 식생공으로부터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를 탈형시킬 수 있게 하는 직경 가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된 다수의 호형 슬라이딩편이 일부씩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겹쳐져 평면상 원형을 이루고, 상기 각각의 겹쳐진 부위에는 서로 통하도록 장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장공의 사이에는 슬라이딩은 가능하면서 각각의 호형 슬라이딩편의 이탈은 방지하도록 고정핀이 각각 끼워진 직경 가변형 틀로 구성되며;
    상기 직경 가변수단은,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의 내부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공 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의 표면에 감싸진 상태로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의 통공과 이와 매칭되는 후면 거푸집부재의 통공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의 탈형시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가 용이하게 탈형되도록 하는 탈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공 형성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는, 기밀하게 구성된 플렉시블한 비닐 또는 가죽재 튜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직경 가변수단은 공기압축기 또는 유체압축기로 구성되며, 상기 공기압축기 또는 상기 유체압축기는 주입관을 통해 상기 플렉시블한 비닐 또는 가죽재 튜브에 주입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플렉시블한 비닐 또는 가죽재 튜브에 압축된 공기 또는 압축된 유체를 주입시킬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공 형성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경 가변수단은, 기밀하게 구성되어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에 끼워지는 플렉시블한 비닐 또는 가죽재 튜브로 구성되고, 상기 플렉시블한 비닐 또는 가죽재 튜브에 주입관을 통해 공기압축기 또는 유체압축기가 연결되어 상기 플렉시블한 비닐 또는 가죽재 튜브에 압축된 공기 또는 압축된 유체를 주입시킬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공 형성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경 가변수단은,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하부 일측으로부터 하단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말뚝으로 구성되어 타격수단에 의해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의 상부로부터 안쪽으로 끼워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공 형성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 및/또는 상기 후면 거푸집 부재의 서로 마주보는 안쪽 부위에는 문양 형성을 위한 성형틀이 수직방향으로 안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공 형성장치.
  8. 삭제
KR1020140145211A 2014-10-24 2014-10-24 식생공 형성 장치 및 방법 KR101682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211A KR101682219B1 (ko) 2014-10-24 2014-10-24 식생공 형성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211A KR101682219B1 (ko) 2014-10-24 2014-10-24 식생공 형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482A KR20160048482A (ko) 2016-05-04
KR101682219B1 true KR101682219B1 (ko) 2016-12-02

Family

ID=56022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5211A KR101682219B1 (ko) 2014-10-24 2014-10-24 식생공 형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2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681B1 (ko) * 2018-09-14 2019-07-10 주식회사 필에스엔에스 식생용 유공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15220B2 (ja) * 2018-07-02 2022-02-15 日本化薬株式会社 電子部品用接着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220B2 (ja) * 1989-08-10 1995-02-22 栗本建設工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貫通孔形成方法
KR20090113984A (ko) * 2008-04-29 2009-11-0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다양한 야생화 식생식재를 통한 옹벽의 녹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15220B2 (ja) * 2018-07-02 2022-02-15 日本化薬株式会社 電子部品用接着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681B1 (ko) * 2018-09-14 2019-07-10 주식회사 필에스엔에스 식생용 유공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482A (ko) 201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312415B2 (en) Retaining wall block
US20160040384A1 (en) Pile casing
US5615971A (en) Groundcovering element, method for its manufacture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a mould to be applied with the manufacturing method
US20140182238A1 (en) Device for forming post sleeves and related methods
US20160326704A1 (en) Prefabricated mold for constructing kerb stone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kerb stones by using same
KR101682219B1 (ko) 식생공 형성 장치 및 방법
US7685789B2 (en) Construction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t
US20090255211A1 (en) Method and means for producing a concrete block
KR101628248B1 (ko) 식생공 형성 장치,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
KR20050118110A (ko) 절개지 또는 제방의 경사면에 상협하광 형태의 경사면 통공구가 구성되도록 식생블록을 제작 설치하는 토목공법
JP2003285310A (ja) 積み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100829263B1 (ko) 수로용 식생측벽블록 성형장치
US10648151B2 (en) Retaining wall block mold and method
JP2513546B2 (ja) マトリックス状擬岩ブロックの製造法
KR200262414Y1 (ko)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 패널
KR20110038659A (ko) 인공어초 겸용 자연친화적인 식생 블록을 제조하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인공어초 겸용 자연친화적인 식생 블록
JP5175001B2 (ja) 合体型積みブロック、合体型積みブロックの連結構造および合体型積みブロックの製造方法
JP3816067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における残存型枠工法
WO2007122480A3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building elements for making walls using filling material, particularly earth or the like
JP6355028B2 (ja) 自然石ブロックの製造方法
JPH0948017A (ja) コンクリート製造形物用成形型の製造方法
JPH07119457B2 (ja) マトリックス状擬岩ブロックの製造法
JPS5930523B2 (ja) 化粧ブロツク用金型及びその製作方法
KR20090131952A (ko) 성형물 제조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성형물 제조방법
JP2004162277A (ja) 残存型枠と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