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8248B1 - 식생공 형성 장치,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 - Google Patents

식생공 형성 장치,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8248B1
KR101628248B1 KR1020140155150A KR20140155150A KR101628248B1 KR 101628248 B1 KR101628248 B1 KR 101628248B1 KR 1020140155150 A KR1020140155150 A KR 1020140155150A KR 20140155150 A KR20140155150 A KR 20140155150A KR 101628248 B1 KR101628248 B1 KR 101628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formwork
forming
hole
form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5415A (ko
Inventor
박공영
Original Assignee
벽화수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벽화수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벽화수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5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248B1/ko
Publication of KR20160055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5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4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forcing cores into filled moulds for forming hollow articles
    • B28B1/445Hollow punches or co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97Press moulds; Press-mould and press-ram assembl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목용 블록, 옹벽 블록, 옹벽 등의 수직벽면, 콘크리트 화분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성형함과 동시에 내부에 채워진 토양이 하부로 쏟아지지 않는 형상의 식생공을 같이 형성할 때 식생공을 형성하는 부재가 수평방향으로 설치 및 탈형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빠른 시간내에 콘크리트 구조물에 불량이 없는 다수의 식생공을 형성토록 한 식생공 형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식생공 형성 장치,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Apparatus to make planting aperture, method thereof and that concrete construction}
본 발명은 식생공 형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목용 블록, 옹벽 블록, 옹벽 등의 수직벽면, 콘크리트 화분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성형함과 동시에 내부에 채워진 토양이 하부로 쏟아지지 않는 형상의 식생공을 같이 형성할 때 식생공을 형성하는 부재를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설치 및 탈형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빠른 시간내에 콘크리트 구조물에 불량이 없는 다수의 식생공을 형성토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급격한 산업화의 결과로서 차가운 느낌을 연출하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인공 구조물이 대폭적으로 증가되면서 자연친화적인 환경 조성을 위해 각종 인공 구조물을 녹화시키고자 시도하고 있다.
종래 건축물이나 수직 옹벽의 경우에는 녹화 패널, 벽화수, 녹화 모듈 등을 덧대어 구성하거나, 담쟁이와 같은 덩굴식물을 심어 녹화를 수행하고 있다.
건축물의 녹화 중 가장 대표적인 벽면 녹화시스템 또는 녹화담장의 경우 벽면이나 담장에 수직방향으로 식생매트, 식생블록, 또는 식생모듈을 덧대어 고정시키고, 여기에 식물을 식재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해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 10-2009-12378 호 "녹화 담장"과, 특허출원 제 10-2009-12404 호 " 벽면 녹화시스템"을 개시한 바 있다.
그런데, 상기한 벽면 녹화시스템 또는 녹화 담장은 식생기반이 각각의 모듈로 한정되어 있어 식물이 영구적으로 자랄 수 없는 조건이 되고, 설령 식생이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모듈로 가두어진 상태에서 식물 뿌리가 증가됨과 동시에 그 늘어나는 압력으로 인해 모듈이 깨지거나 식물 자체가 모듈로부터 튕겨져 나와 영속성을 유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등록된 10-0807285호의 방법으로 만들어진 제품명“벽화수”와 같은 완벽한 식생기반을 제공하는 기반체의 경우에도 식물의 생육에는 매우 효과적이지만 스폰지형으로 고형화되어 식물의 식재 규격이 한정되어 재배기간이 너무 길고 식물을 교체하거나 재활용에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옹벽의 경우 옹벽 블록을 지그재그로 적층하여 옹벽을 구성하고, 옹벽의 사이에 토양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이를 통해 식생이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이럴 경우 옹벽 블록에 담기는 토양의 양에 한계가 있어 녹화에 적용될 수 있는 종류가 한정적이고, 옹벽 전체를 녹화하지 못하고 부분 녹화만 가능하여 녹화에 한계가 있는 것이었으며, 적층의 방법도 위로 조금씩 경사를 두어 쌓게 되어 공간 활용에 제한요인이 있었다. 또한 태풍과 같은 강한 외력 발생시 식물을 포함한 토양이 원래의 식생 위치로부터 이탈되어 지속적인 식생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환경이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특허 제 10-1417672 호 "벽면녹화구조물", 특허 제 10-1429481 호 "토목용 블록" 등에서는 건축물 또는 옹벽 등의 수직벽면, 토목용 블록, 옹벽 블록에 하방향으로 경사진 다수의 식생공을 형성함으로써 식물이 사선방향으로 뻗어나가 생육이 원활해지고, 식물을 식생공을 통해 사선방향으로 식재할 수 있어 식재가 용이해지며, 식생공 안쪽에 위치된 토양 등으로 이루어진 식생기반이 식생공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게 되어 식생 환경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특허 제 10-1417672 호 "벽면녹화구조물" 또는 특허 제 10-1429481 호 "토목용 블록" 은 편평한 전면부에 사선 방향의 식생공을 형성해주어야 하므로 이를 위해 편평한 형상의 전/후면 거푸집 사이에 사선방향으로 식생공 형성용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고, 전/후면 거푸집과 식생공 형성용 거푸집을 탈형하여 건축물 또는 옹벽 등의 수직벽면, 토목용 블록, 옹벽 블록 등에 하방향으로 경사진 다수의 식생공을 형성해주게 된다.
따라서, 식생공 형성을 위한 거푸집의 설치가 매우 어렵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식생공 형성용 거푸집의 경우, 단면상 원형을 이루는 식생공 형성을 위해 외주면이 원형인 원기둥 형상 또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하게 되므로 콘크리트 타설·양생 후 이러한 식생공 형성용 거푸집을 탈형할 때 식생공 형성용 거푸집을 식생공 형성방향으로 뽑아주어야 하며, 이러한 식생공 형성용 거푸집의 탈형과정에서 약간의 각도 오차가 발생되더라도 식생공에 크랙이 발생되므로 탈형을 최대한 천천히 진행할 수밖에 없어 생산성이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으며, 만일 식생공 형성과정에서 식생공의 내주면이 직선을 이루지 못하고 약간의 오차가 발생되는 경우 식생공 형성용 거푸집이 빠져나오지 못하며, 강한 힘으로 억지 탈형하게 되면 식생공에 필연적으로 크랙이 발생될 수밖에 없는 것이었다.
이를 감안하여 특허출원 제 2014-145211 호에서는 편평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다수의 통공이 각각 형성되며, 서로 매칭이 되는 통공끼리 경사진 위치가 되도록 전후위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각각 배치되는 전면 거푸집부재와 후면 거푸집부재와; 직경 변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의 통공과 이와 매칭되는 후면 거푸집부재의 통공 사이에 경사지게 끼워지는 식생공 형성부재와;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가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의 통공과 이와 매칭되는 후면 거푸집부재의 통공 사이에 경사지게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의 직경을 확대하여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가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의 통공과 이와 매칭되는 후면 거푸집부재의 통공 사이에 밀착·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의 강성을 보강해주고,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의 직경을 축소하여 양생 후의 식생공으로부터 상기 식생공 형성부재를 탈형시킬 수 있게 하는 직경 가변수단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보다 손쉬우면서 원활하고 불량없이 식생공을 형성토록 한 식생공 형성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출원 제 제 2014-145211 호에 따른 식생공 형성장치 및 방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하향 경사진 식생공을 원활하게 형성할 수는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습식 방법으로서 여기에 적용되는 콘크리트 혼합물이 액상으로 조성되어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따라서 여러개의 전면 거푸집부재, 후면 거푸집부재, 식생공 형성부재, 직경 가변수단 등이 구비되지 않으면 하루에 하나씩의 콘크리트 구조물도 생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게 되며, 여러개의 전면 거푸집부재, 후면 거푸집부재, 식생공 형성부재, 직경 가변수단 등을 구비하여 각각 콘크리트 구조물을 성형한다고 하더라도 작업하기 위한 넓은 면적의 작업장이 필요하고, 각각의 부재를 구비하기 위한 설비비가 증가될 수밖에 없으며, 콘크리트의 타설 후 양생까지의 시간은 줄일 수 없어 여전히 생산성은 떨어질 수밖에 없는 것이었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하향 경사진 식생공을 형성할 때 식생공은 토양이 하방향으로 쏟아지지 않아야 하므로 필수적으로 전면측 하단부의 높이가 후면측 상단부의 높이보다는 같거나 높은 위치가 되어야 하는데, 콘크리트 구조물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이러한 식생공의 경사각이 완만하면서 어느 정도 크기의 식생공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나, 콘크리트 구조물의 두께가 얇은 경우 식생공의 경사각이 커질 수밖에 없고, 또 식생공의 크기가 작아질 수밖에 없으므로 식생공의 구조적 강도가 약해짐은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거푸집부재의 탈형시 식생공 주변부위에서 크랙이 쉽게 발생되는 것이고, 또 너무 큰 경사각으로 인해 식재가 불편해지는 등 하향 경사진 식생공으로서의 기능성을 상실할 수밖에 없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토목용 블록, 옹벽 블록, 옹벽 등의 수직벽면, 콘크리트 화분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성형함과 동시에 내부에 채워진 토양이 하부로 쏟아지지 않는 형상의 식생공을 같이 형성할 때 식생공을 형성하는 부재가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설치 및 탈형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빠른 시간내에 콘크리트 구조물에 불량이 없고 내부에 채워진 토양이 쏟아지지 않는 식생공을 형성토록 한 식생공 형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제1 통공이 등간격으로 각각 형성되는 전면 거푸집부재;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통공과는 상하 대칭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그 상단부의 높이가 상기 제1 통공의 하단부 위치보다 같거나 낮은 위치가 되도록 제2 통공이 등간격으로 각각 형성된 후면 거푸집부재; 단면상 상기 제1 통공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가지면서 상기 제1 통공 외측에서 상기 제1 통공 안쪽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식생공형성부재; 및 단면상 상기 제2 통공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가지면서 상기 제2 통공 외측에서 상기 제2 통공 안쪽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식생공형성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외관을 이루는 프레임 내부에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가 위치되며,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의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제1 전후진실린더와 제2 전후진실린더의 각 피스톤로드가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에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의 양측면을 막아주도록 고정된 측면 거푸집부재; 및 콘크리트 혼합물이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측면 거푸집부재 사이의 공간 위쪽으로 넘치면 이를 외측으로 밀어내면서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의 위쪽 공간을 막아주도록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의 위쪽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제3 전후진실린더의 피스톤로드가 연결되어 전후진하는 상면 거푸집부재가 더 구비되어 콘크리트 혼합물을 압착하여 다수의 식생공을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제1 식생공형성부재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제4 전후진실린더가 고정되어 상기 제4 전후진실린더의 피스톤로드가 상기 제1 식생공형성부재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는 상기 제2 식생공형성부재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제5 전후진실린더가 고정되어 상기 제5 전후진실린더의 피스톤로드가 상기 제2 식생공형성부재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에 위치되어 내부에 담긴 콘크리트 혼합물을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측면 거푸집부재 사이의 공간으로 투입시키는 호퍼와, 상기 상면 거푸집부재를 통해 하방향으로 낙하하는 콘크리트 혼합물을 받아내는 수거통과, 압착 완료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외부로 이송하는 컨베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른 식생공 형성장치는, 다수의 제1 식생공형성부재가 등간격으로 각각 고정된 전면 거푸집부재; 상기 제1 식생공형성부재와는 상하 대칭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그 상단부의 높이가 상기 제1 식생공형성부재의 하단부 위치보다 같거나 낮은 위치가 되도록 다수의 제2 식생공형성부재가 등간격으로 각각 고정된 후면 거푸집부재;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의 전면에 연결되어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를 전후진시키는 제1 전후진실린더; 및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의 후면에 연결되어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를 전후진시키는 제2 전후진실린더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식생공형성부재와 상기 제2 식생공형성부재는, 반원 형상, 각진 형상 또는 경사진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 밑판은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 또는 후면 거푸집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밑판은 함체형상으로 구성되면서 그 내부 상면에 상방향으로 상기 제1 식생공형성부재 또는 상기 제2 식생공형성부재가 돌출 형성되며, 윗판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 또는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로 이루어지면서 그 테두리가 상기 밑판의 내주면과 동일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윗판의 하면에는 상기 제2 식생공형성부재 또는 상기 제1 식생공형성부재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대상이 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이 입체 구조물인 경우에는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 다수개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 다수개가 안쪽면과 바깥쪽면에 입체 형태로 각각 구성되고,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의 전면에는 제1 전후진실린더가 각각 연결되면서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의 후면에는 제2 전후진실린더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전후진실린더와 상기 제2 전후진실린더에 의해 다수의 전면 거푸집부재와 다수의 후면 거푸집부재가 개별적으로 전후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른 식생공 형성방법은, 전면 거푸집부재에 제1 통공을 형성하면서 후면 거푸집부재에는 상기 제1 통공과 서로 상하방향으로 대칭 관계로 이루어지면서 상단부의 높이가 상기 제1 통공의 하단부 위치보다 같거나 낮은 위치가 되도록 제2 통공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를 대상이 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두께보다 더 넓은 간격으로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의 통공에 제1 식생공형성부재를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와 접촉되지 않는 위치까지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의 통공에 제2 식생공형성부재를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접촉되지 않는 위치까지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의 사이에 콘크리트 혼합물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를 서로 모이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콘크리트 혼합물을 압착하는 단계; 상기 제1 식생공형성부재와 상기 제2 식생공형성부재를 수평방향으로 각각 후진시켜 탈형하는 단계;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를 탈형하는 단계; 및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가 탈형된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상기 제1 식생공형성부재와 상기 제2 식생공형성부재가 탈형된 자리 사이에 형성된 막을 제거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상하방향으로 경사진 식생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른 식생공 형성방법은, 전면 거푸집부재에 제1 식생공형성부재를 고정하면서 후면 거푸집부재에는 상기 제1 식생공형성부재와 서로 상하방향으로 대칭 관계로 이루어지면서 상단부의 높이가 상기 제1 식생공형성부재의 하단부 위치보다 같거나 낮은 위치가 되도록 제2 식생공형성부재를 각각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의 전면에 제1 전후진실린더를 연결하면서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의 후면에 제2 전후진실린더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를 대상이 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두께보다 더 넓은 간격으로 후진시키는 단계;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의 사이에 콘크리트 혼합물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를 후진시켜 탈형하는 단계; 및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가 탈형된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상기 제1 식생공형성부재와 상기 제2 식생공형성부재가 탈형된 자리 사이에 형성된 막을 제거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전면측 하단부보다는 후면측 상단부의 높이가 같거나 낮은 다수의 식생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생공은, 그 내부에 채워지는 토양이 전면측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전면측 하단부의 높이가 후면측 상단부의 높이보다 같거나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후면 거푸집부재에 형성되는 제2 통공 또는 제2 식생공형성부재가 전면 거푸집부재에 형성되는 제1 통공 또는 제1 식생공형성부재와는 상하 대칭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그 상단부의 높이가 제1 통공 또는 제1 식생공형성부재의 하단부 위치보다 같거나 낮은 위치가 되고, 전면 거푸집부재와 후면 거푸집부재에 통공이 각각 형성되는 경우 제1 식생공형성부재와 제2 식생공형성부재가 제1 통공과 제2 통공으로 유출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므로 전면 거푸집부재와 후면 거푸집부재를 통해 형성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전면측 하단부의 높이가 후면측 상단부의 높이보다 같거나 높게 다수의 식생공이 형성될 수 있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두께와 상관없이 식생공 또는 식생공 후면에 채워지는 토양이 식생공의 전면측으로 누출되지 않게 되며, 콘크리트 구조물의 두께와 상관없이 식생공의 전면측과 후면측 사이의 경사각이 완만해지게 되어 식재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등 기능적으로 우수한 식생공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도 있는 것이다.
또한, 제1 식생공형성부재와 제2 식생공형성부재가 수평방향으로 전후진하도록 구성되거나, 전면 거푸집부재와 후면 거푸집부재에 각각 고정되는 것이므로 제1 식생공형성부재와 제2 식생공형성부재의 탈형이 매우 용이함은 물론 탈형시 제1 식생공형성부재와 제2 식생공형성부재가 식생공 주변 부위를 압박하지 않게 되어 식생공 주변에 크랙이 발생되지 않게 되며, 토양이 누출되지 않는 다수의 식생공을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압착과 같은 건식 방법을 적용하여 손쉽게 제조할 수 있어 대량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다 빠른 시간내에 제조할 수 있는 이점도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압착 방식의 식생공 형성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공 형성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공 형성장치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공 형성장치를 통해 형성된 식생공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공 형성시의 작업 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공 형성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공 형성장치의 식생공 형성부재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생공 형성장치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생공 형성장치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생공 형성장치를 통해 제조된 방틀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생공 형성장치의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을 제시되는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공 형성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목용 블록, 옹벽 블록, 또는 옹벽과 같은 수직벽면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10)에 토양이 누출되지 않는 다수의 식생공(11)을 성형하기 위해 전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의 서로 매칭이 되는 각각의 통공에 끼워지는 제1 식생공형성부재(300)와 제2 식생공 형성부재(400)를 포함한다.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에 각각 형성되는 통공은 서로 매칭이 되는 것들끼리 원형, 타원형, 각진 형상 등 상하 대칭이 되는 형상을 이루며, 편의상 전면 거푸집부재(100)의 통공은 제1 통공(110)으로, 후면 거푸집부재(200)의 통공은 제2 통공(210)으로 칭하기로 한다.
제1 통공(110)은 전면 거푸집부재(100)에 등간격으로 각각 형성되며, 제2 통공(210)은 그 상단부의 높이가 전면 거푸집부재(100)의 제1 통공(110) 하단부 위치보다 같거나 낮은 위치가 되도록 후면 거푸집부재(200)에 등간격으로 각각 형성된다.
제1 식생공형성부재(300)는 단면상 제1 통공(110)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가지면서 제1 통공(110) 외측에서 제1 통공(110) 안쪽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식생공형성부재(400) 역시 단면상 제2 통공(210)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가지면서 제2 통공(210) 외측에서 제2 통공(210) 안쪽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 식생공형성부재(300)와 제2 식생공형성부재(400)는, 원형, 타원형, 각진 형상, 경사진 형상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전면 거푸집부재(100), 후면 거푸집부재(200), 제1 식생공형성부재(300), 그리고 제2 식생공형성부재(400)는 수분함량이 많은 콘크리트 혼합물을 타설, 양생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는 습식 방법에 적용될 수도 있으나, 대량 생산을 위해 압착과 같은 건식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건식 방법이 적용되는 경우 콘크리트 혼합물(10')은 수분 함량이 습식 방법에 적용되는 콘크리트 혼합물에 비해 현저히 적어야 하며,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 사이에 콘크리트 혼합물(10')을 투입한 후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를 서로 모이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압착해줌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10)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전면 거푸집부재(100), 후면 거푸집부재(200), 제1 식생공형성부재(300), 제2 식생공형성부재(400)가 건식 방법에 적용된 것을 예로 하면 다음과 같다.
외관을 이루는 프레임(500) 내부에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가 위치되며,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의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프레임(500)에 고정된 제1 전후진실린더(120)와 제2 전후진실린더(220)의 각 피스톤로드가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에 각각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의 전후진시 일정한 압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에 가이드 장치를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프레임(500)의 내부에는,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의 양측면을 막아주도록 고정된 측면 거푸집부재(600)와, 콘크리트 혼합물(10')이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와 측면 거푸집부재(600) 사이의 공간 위쪽으로 넘치면 이를 외측으로 밀어내면서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의 위쪽 공간을 막아주도록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의 위쪽 위치에서 프레임(500)에 고정된 제3 전후진실린더(720)의 피스톤로드가 연결되어 전후진하는 상면 거푸집부재(700)가 더 구비된다.
또한, 프레임(500)의 일측에는 제1 식생공형성부재(30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제4 전후진실린더(320)가 고정되어 제4 전후진실린더(320)의 피스톤로드가 제1 식생공형성부재(300)에 각각 연결되고, 프레임(500)의 타측에는 제2 식생공형성부재(40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제5 전후진실린더(420)가 고정되어 제5 전후진실린더(420)의 피스톤로드가 제2 식생공형성부재(400)에 각각 연결된다.
또한, 프레임(500)의 상단부에 위치되어 내부에 담긴 콘크리트 혼합물(10')을 전면 거푸집부재(100), 후면 거푸집부재(200), 측면 거푸집부재(600) 사이의 공간으로 투입시키는 호퍼(810)와, 상면 거푸집부재(700)를 통해 하방향으로 낙하하는 콘크리트 혼합물(10')을 받아내는 수거통(820)과, 압착 완료된 콘크리트 구조물(10)을 외부로 이송하는 컨베이어(830)가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식생공 형성장치가 압착과 같은 건식 방법에 적용된 것을 예로 하여 그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에 다수의 제1 통공(110)과 제2 통공(210)을 서로 단차지게 각각 천공하되, 제2 통공(210)은 그 상단부의 높이가 전면 거푸집부재(100)의 제1 통공(110) 하단부 위치와 같거나 낮은 위치가 되도록 후면 거푸집부재(200)에 등간격으로 각각 형성해주게 된다.
이러한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를 프레임(500) 내측에 고정된 측면 거푸집부재(600)와 접촉되도록 각각 설치하고,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가 전후 이동가능하도록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에 제1 전후진실린더(120)와 제2 전후진실린더(220)의 피스톤로드를 각각 연결해주며, 전면 거푸집부재(100)의 제1 통공(110)에는 제1 식생공형성부재(300)를 끼워줌과 동시에 후면 거푸집부재(200)의 제2 통공(210)에는 제2 식생공형성부재(400)를 끼워주고, 제1 식생공형성부재(300)와 제2 식생공형성부재(400)에는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제4 전후진실린더(320)와 제5 전후진실린더(420)의 피스톤로드를 각각 연결해주게 된다.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의 위쪽 위치에는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의 위쪽 공간을 막아주도록 상면 거푸집부재(700)를 위치시키고, 프레임(500)에 고정된 제3 전후진실린더(720)의 피스톤로드를 상면 거푸집부재(700)에 연결하여 전후진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호퍼(810)에 채워진 콘크리트 혼합물(10')을 전면 거푸집부재(100), 후면 거푸집부재(200), 측면 거푸집부재(600) 사이의 공간으로 투입한 후 제3 전후진실린더(720)를 신장시켜 상면 거푸집부재(700)를 전진시켜줌으로써 전면 거푸집부재(100), 후면 거푸집부재(200), 측면 거푸집부재(600) 위쪽으로 넘치는 콘크리트 혼합물(10')을 제거함과 동시에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의 위쪽 공간을 막아주며, 제4 전후진실린더(320)와 제5 전후진실린더(420)를 구동하여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를 전진시키면 전면 거푸집부재(100), 후면 거푸집부재(200), 측면 거푸집부재(600), 상면 거푸집부재(700) 내부에 채워진 콘크리트 혼합물(10')이 압착됨과 동시에 제1 식생공형성부재(300)와 제2 식생공형성부재(400)가 위치한 자리에 단차가 있는 식생공(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제4 전후진실린더(320)와 제5 전후진실린더(420)를 수축시켜 제1 식생공형성부재(300)와 제2 식생공형성부재(400)를 탈형하고, 제1 전후진실린더(120)와 제2 전후진실린더(220)를 수축시켜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를 탈형하면 콘크리트 구조물(10)을 인출할 수 있으며, 이를 컨베이어(830)를 통해 다른 장소로 이동시켜 건조하면 된다.
이때, 제4 전후진실린더(320)에 연결된 제1 식생공형성부재(300)와 제5 전후진실린더(420)에 연결된 제2 식생공형성부재(400)는 제4 전후진실린더(320)와 제5 전후진실린더(42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탈형시 식생공(11) 주변 부위에 전혀 압박을 가하지 않게 되어 탈형이 매우 손쉽게 이루어짐은 물론 식생공(11) 주변 부위에 크랙을 발생시키지 않게 되며, 별도의 양생 시간이 필요없고 각 거푸집부재(100)(200)와 각 식생공형성부재(300)(400)의 탈형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짐에 따라 보다 빠른 시간내에 콘크리트 구조물(10)을 제조하여 대량 생산할 수 있게 된다.
건조가 완료된 콘크리트 구조물(10)은 식생공(11)의 후면측 상단부가 식생공(11)의 전면측 하단부보다 낮게 위치되는 것이므로 제1 식생공형성부재(300)와 제2 식생공형성부재(400)가 탈형된 자리 사이에 아주 얇은 막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막이 형성되는 경우 건조가 완료된 콘크리트 구조물(10)에서 손이나 도구를 이용해 이러한 막을 쉽게 제거할 수 있어 콘크리트 구조물(10)에 토양이 누출되지 않는 형상으로 된 다수의 식생공(11)이 보다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식생공(11)은 후면측 상단부가 전면측 하단부와 높이가 같거나 더 낮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식생공(11) 또는 식생공(11) 후면에 위치하는 토양이 식생공(11)의 전면을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식생공(11)을 통한 식물의 용이해지고, 식물의 뿌리와 줄기가 자연스럽게 뻗어나갈 수 있어 식물 생장에도 매우 유리해진다.
또한, 최초 장치의 세팅시 제1 식생공형성부재(300)가 후면 거푸집부재(200)와 접촉되지 않는 위치까지 전진하고, 또 제2 식생공형성부재(400)가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접촉되지 않는 위치까지 전진하게 되므로 후에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10)에서 식생공(11)의 전면측 하단부와 후면측 상단부는 제1 식생공형성부재(3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 사이의 간격 또는 제2 식생공형성부재(400)와 전면 거푸집부재(100) 사이의 간격에 해당하는 만큼의 두께를 갖게 되어 이 부위가 깨지지 않을 정도로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이점도 있게 된다.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의 압착을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10)을 제조한 후 콘크리트 구조물(10)이 인출되면 다시 전면 거푸집부재(100), 후면 거푸집부재(200), 제1 식생공형성부재(300), 제2 식생공형성부재(400)를 원래의 대기 위치에 위치시켜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면 빠른 시간내에 토양이 누출되지 않는 형상으로 된 다수의 식생공(11)을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10)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제1 식생공형성부재(300')가 등간격으로 각각 고정된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제1 식생공형성부재(300')와는 상하 대칭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그 상단부의 높이가 제1 식생공형성부재(300')의 하단부 위치보다 같거나 낮은 위치가 되도록 다수의 제2 식생공형성부재(400')가 등간격으로 각각 고정된 후면 거푸집부재(200')가 구비되며, 전면 거푸집부재(100')에는 제1 전후진실린더(120)가 연결되면서 후면 거푸집부재(200')에는 제2 전후진실린더(220)가 연결되어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가 전후진하면서 그 사이에 채워진 콘크리트 혼합물을 압착함으로써 건식 방법에 의해 전면측보다는 후면측 높이가 같거나 낮은 다수의 식생공(11)을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10)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를 약간 후진시킨 상태에서 그 사이에 콘크리트 혼합물(10')을 채우고,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를 각각 전진시키면 콘크리트 혼합물(10')이 압착되면서 제1 식생공형성부재(300')와 제2 식생공형성부재(400')를 통해 전면측 하단부의 높이가 후면측 상단부의 높이보다는 같거나 높은 다수의 식생공(11)을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10)이 한 번의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의 전진 거리는 제1 식생공형성부재(300)')가 후면 거푸집부재(200')와 접촉되지 않는 거리 또는 제2 식생공형성부재(400')가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접촉되지 않는 거리가 되어야 한다.
이러한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는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 밑판[전면 거푸집부재(100') 또는 후면 거푸집부재(200')]은 함체 형상으로 구성하면서 그 내부 상면에 상방향으로 제1 식생공형성부재(300') 또는 제2 식생공형성부재(400')를 돌출 형성하고, 윗판[후면 거푸집부재(200') 또는 전면 거푸집부재(100')]은 그 테두리가 밑판의 내주면과 동일하도록 구성되며, 윗판의 하면에는 제2 식생공형성부재(400') 또는 제1 식생공형성부재(300')를 돌출 형성한 상태에서 밑판에 콘크리트 혼합물을 담고, 위판을 눌러 찍은 다음 뒤집어 탈형하는 건식 방법으로 전면측 하단부 높이가 후면측 상단부 높이보다는 같거나 높은 다수의 식생공(11)을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10)을 손쉽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호안블록 또는 보강토블록과 같이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구조물(10)은 한 판으로만 이루어진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만 구비하여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에 제1 식생공형성부재(300')와 제2 식생공형성부재(400')가 각각 고정되도록 하면서 테두리부위가 암수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를 설계하고, 이를 적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10)을 압착 성형하게 되면 테두리부위가 암수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중간부에는 전면측 하단부 높이가 후면측 상단부 높이보다는 같거나 높은 다수의 식생공(11)을 갖는 개개의 방틀부재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개의 방틀부재 4개를 서로 결합하면 전면측 하단부 높이가 후면측 상단부 높이보다는 같거나 높은 다수의 식생공(11)을 갖는 방틀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토목용 블록과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10)이 입체 구조물인 경우에는 다수의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다수의 후면 거푸집부재(200')를 제1 전후진실린더(120)와 제2 전후진실린더(220)를 통해 전후진 가능하도록 안쪽면과 바깥쪽면에 입체 형태로 각각 구성하고, 다수의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다수의 후면 거푸집부재(200') 사이에 콘크리트 혼합물(10')을 채운 후 각각의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각각의 후면 거푸집부재(200')를 동시에 전진시켜 콘크리트 혼합물(10')을 압착함으로써 전면측 하단부 높이가 후면측 상단부 높이보다는 같거나 높은 다수의 식생공(11)을 갖는 입체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물(10)을 완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후면 거푸집부재(200')의 전후진시 각각의 전면 거푸집부재(100') 또는 각각의 후면 거푸집부재(200')의 사이가 벌어져 틈새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입체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조에 따라 일부위에서는 후면 거푸집부재(200')는 고정되도록 하면서 전면 거푸집부재(100')만 전진시키거나, 전면 거푸집부재(100')는 고정되도록 하면서 후면 거푸집부재(200')만 전진시켜 각각의 전면 거푸집부재(100') 또는 각각의 후면 거푸집부재(200')가 전후진하더라도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고, 다수의 전면 거푸집부재(100')와 다수의 후면 거푸집부재(200')의 전후진시 발생되는 틈새를 커버할 수 있도록 덧판을 덧대는 등의 조치를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0 : 콘크리트 구조물 11 : 식생공
100,100' : 전면 거푸집부재 110 : 제1 통공
120 : 제1 전후진실린더 200,200' : 후면 거푸집부재
210 : 제2 통공 220 : 제2 전후진실린더
300,300' : 제1 식생공형성부재 320 : 제4 전후진실린더
400,400' : 제2 식생공형성부재 420 : 제5 전후진실린더
500 : 프레임 600 : 측면 거푸집부재
700 : 상면 거푸집부재 720 : 제3 전후진실린더
810 : 호퍼 820 : 수거통
830 : 컨베이어

Claims (12)

  1.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제1 통공이 등간격으로 각각 형성되는 전면 거푸집부재;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통공과는 상하 대칭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그 상단부의 높이가 상기 제1 통공의 하단부 위치보다 같거나 낮은 위치가 되도록 제2 통공이 등간격으로 각각 형성된 후면 거푸집부재; 단면상 상기 제1 통공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가지면서 상기 제1 통공 외측에서 상기 제1 통공 안쪽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식생공형성부재; 및 단면상 상기 제2 통공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가지면서 상기 제2 통공 외측에서 상기 제2 통공 안쪽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식생공형성부재를 포함하여서 된 식생공 형성장치에 있어서,
    외관을 이루는 프레임 내부에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가 위치되며,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의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제1 전후진실린더와 제2 전후진실린더의 각 피스톤로드가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에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의 양측면을 막아주도록 고정된 측면 거푸집부재; 및 콘크리트 혼합물이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측면 거푸집부재 사이의 공간 위쪽으로 넘치면 이를 외측으로 밀어내면서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의 위쪽 공간을 막아주도록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의 위쪽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제3 전후진실린더의 피스톤로드가 연결되어 전후진하는 상면 거푸집부재가 더 구비되어 콘크리트 혼합물의 압착을 통해 전면측 하단부보다는 후면측 상단부의 높이가 같거나 낮은 다수의 식생공을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공 형성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제1 식생공형성부재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제4 전후진실린더가 고정되어 상기 제4 전후진실린더의 피스톤로드가 상기 제1 식생공형성부재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는 상기 제2 식생공형성부재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제5 전후진실린더가 고정되어 상기 제5 전후진실린더의 피스톤로드가 상기 제2 식생공형성부재에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공 형성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에 위치되어 내부에 담긴 콘크리트 혼합물을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측면 거푸집부재 사이의 공간으로 투입시키는 호퍼와, 상기 상면 거푸집부재를 통해 하방향으로 낙하하는 콘크리트 혼합물을 받아내는 수거통과, 압착 완료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외부로 이송하는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공 형성장치.
  5. 다수의 제1 식생공형성부재가 등간격으로 각각 고정된 전면 거푸집부재;
    상기 제1 식생공형성부재와는 상하 대칭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그 상단부의 높이가 상기 제1 식생공형성부재의 하단부 위치보다 같거나 낮은 위치가 되도록 다수의 제2 식생공형성부재가 등간격으로 각각 고정된 후면 거푸집부재;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의 전면에 연결되어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를 전후진시키는 제1 전후진실린더; 및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의 후면에 연결되어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를 전후진시키는 제2 전후진실린더를 포함하여서 된 식생공 형성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생공형성부재와 상기 제2 식생공형성부재는, 반원 형상, 각진 형상 또는 경사진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공 형성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 밑판은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 또는 후면 거푸집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밑판은 함체형상으로 구성되면서 그 내부 상면에 상방향으로 상기 제1 식생공형성부재 또는 상기 제2 식생공형성부재가 돌출 형성되며, 윗판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 또는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로 이루어지면서 그 테두리가 상기 밑판의 내주면과 동일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윗판의 하면에는 상기 제2 식생공형성부재 또는 상기 제1 식생공형성부재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공 형성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대상이 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이 입체 구조물인 경우에는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 다수개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 다수개가 안쪽면과 바깥쪽면에 입체 형태로 각각 구성되고,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의 전면에는 제1 전후진실린더가 각각 연결되면서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의 후면에는 제2 전후진실린더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전후진실린더와 상기 제2 전후진실린더에 의해 다수의 전면 거푸집부재와 다수의 후면 거푸집부재가 개별적으로 전후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공 형성장치.
  9. 전면 거푸집부재에 제1 통공을 형성하면서 후면 거푸집부재에는 상기 제1 통공과 서로 상하방향으로 대칭 관계로 이루어지면서 상단부의 높이가 상기 제1 통공의 하단부 위치보다 같거나 낮은 위치가 되도록 제2 통공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를 대상이 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두께보다 더 넓은 간격으로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의 통공에 제1 식생공형성부재를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와 접촉되지 않는 위치까지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의 통공에 제2 식생공형성부재를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접촉되지 않는 위치까지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의 사이에 콘크리트 혼합물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를 서로 모이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콘크리트 혼합물을 압착하는 단계;
    상기 제1 식생공형성부재와 상기 제2 식생공형성부재를 수평방향으로 각각 후진시켜 탈형하는 단계;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를 탈형하는 단계; 및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가 탈형된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상기 제1 식생공형성부재와 상기 제2 식생공형성부재가 탈형된 자리 사이에 형성된 막을 제거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전면측 하단부보다는 후면측 상단부의 높이가 같거나 낮은 다수의 식생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생공 형성방법.
  10. 전면 거푸집부재에 제1 식생공형성부재를 고정하면서 후면 거푸집부재에는 상기 제1 식생공형성부재와 서로 상하방향으로 대칭 관계로 이루어지면서 상단부의 높이가 상기 제1 식생공형성부재의 하단부 위치보다 같거나 낮은 위치가 되도록 제2 식생공형성부재를 각각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의 전면에 제1 전후진실린더를 연결하면서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의 후면에 제2 전후진실린더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를 대상이 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두께보다 더 넓은 간격으로 후진시키는 단계;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의 사이에 콘크리트 혼합물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를 후진시켜 탈형하는 단계; 및
    상기 전면 거푸집부재와 상기 후면 거푸집부재가 탈형된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상기 제1 식생공형성부재와 상기 제2 식생공형성부재가 탈형된 자리 사이에 형성된 막을 제거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전면측 하단부보다는 후면측 상단부의 높이가 같거나 낮은 다수의 식생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생공 형성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공은, 그 내부에 채워지는 토양이 전면측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전면측 하단부의 높이가 후면측 상단부의 높이보다 같거나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공 형성방법.
  1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의 식생공 형성장치와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의 식생공 형성방법에 의해 전면측 하단부의 높이가 후면측 상단부의 높이보다 같거나 높게 다수의 식생공이 형성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KR1020140155150A 2014-11-10 2014-11-10 식생공 형성 장치,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 KR101628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150A KR101628248B1 (ko) 2014-11-10 2014-11-10 식생공 형성 장치,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150A KR101628248B1 (ko) 2014-11-10 2014-11-10 식생공 형성 장치,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415A KR20160055415A (ko) 2016-05-18
KR101628248B1 true KR101628248B1 (ko) 2016-06-08

Family

ID=56113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150A KR101628248B1 (ko) 2014-11-10 2014-11-10 식생공 형성 장치,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8248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8059A (ko) * 2005-05-16 2006-11-23 강남 식생공과 결속공을 가진 호안블록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415A (ko) 201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312415B2 (en) Retaining wall block
US10273683B2 (en) Blocks and molds for building landscape walls and methods of making the blocks
US9340946B2 (en) Pile casing
US9849609B2 (en) Mold for building coating products and plant for manufacturing such coating products
KR101628248B1 (ko) 식생공 형성 장치,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
EP0619773B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fabrication de blocs de construction a partir d'un liant hydraulique tel que du platre, d'une charge inerte telle que du sable et d'eau
CN1218625C (zh) 绿化盘及其制造方法和施工方法
CN204546735U (zh) 一种免烧免压砖模具
KR101682219B1 (ko) 식생공 형성 장치 및 방법
US20090255211A1 (en) Method and means for producing a concrete block
JPH0347702A (ja) 花木・山草を植えるコンクリートの天然状の岩石の製造方法
CN209819950U (zh) 一种分次注水多模具制冰器
CN209999406U (zh) 一种易脱模的混凝土试块制作装置
KR20080065261A (ko) 식생블록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04552573A (zh) 一种植草砖制砖模具
JP2003285310A (ja) 積み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N210580789U (zh) 黑茶成型装置
KR20110038659A (ko) 인공어초 겸용 자연친화적인 식생 블록을 제조하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인공어초 겸용 자연친화적인 식생 블록
CN208850282U (zh) 可重复使用的蔬菜育苗立体营养钵设施
JPH0211144Y2 (ko)
CN220864284U (zh) 一种大型互锁拉孔护坡砖模具
CN216194461U (zh) 一种接合牢固的护坡砖
CN217573347U (zh) 一种仿石材砖模具
CN211064323U (zh) 一种林业幼苗培育装置
CN212656186U (zh) 一种淤泥植生砌块及其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