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169B1 - 소양증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섬유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소양증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섬유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169B1
KR101681169B1 KR1020140122530A KR20140122530A KR101681169B1 KR 101681169 B1 KR101681169 B1 KR 101681169B1 KR 1020140122530 A KR1020140122530 A KR 1020140122530A KR 20140122530 A KR20140122530 A KR 20140122530A KR 101681169 B1 KR101681169 B1 KR 101681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te
present
fibers
fiber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2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2436A (ko
Inventor
윤민진
윤홍일
윤익진
김현식
이석재
Original Assignee
윤민진
이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민진, 이정희 filed Critical 윤민진
Priority to KR1020140122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169B1/ko
Publication of KR20160032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2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6Salicaceae (Willow family), e.g. pop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7Euphorbiaceae (Spurge family), e.g. Ricinus (castorbe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염 및 이로 인한 소양증을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갯버드나무피, 아주까리대 및 호박 넝쿨의 증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소양증 개선 조성물 및 이를 섬유에 적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섬유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양증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섬유의 제조 방법 {COMPOSITION COMPRISING NATURAL EXTRACT AS EFFECTIVE INGREDIENT FOR AMELIORATING OR TREATING ITCH AND PREPARATION METHOD OF TEXTI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소양증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섬유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토피 피부염 및 이로 인한 소양증을 개선 및 치료할 수 있는, 갯버드나무피, 아주까리대 및 호박 넝쿨의 증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소양증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섬유에 적용하는 공정을 포함한 섬유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흔히 아토피(atopy)라고 부르는 질환은 아토피 피부염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지만 정확한 뜻은 알레르기 항원에 대한 특이 면역항체 반응을 유전적으로 야기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아토피는 여러 가지 알레르기 질환을 동반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 아토피 피부염은 주로 유아기나 소아기에 시작되는 만성적이고 재발적인 염증성 피부 질환이다. 주로 가려움증과 피부건조증, 습진을 동반한다. 유아기에는 얼굴과 팔·다리의 펼쳐진 부분에 습진으로 시작되지만, 성장하면서 팔이 굽혀지는 부분과 무릎 뒤의 굽혀지는 부위에 습진의 형태로 나타난다. 이는 대부분 성장하면서 자연히 좋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이런 아토피 피부염은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아토피 피부염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대표적 약물은 스테로이드제, 항히스타민제, 항생제, 국소 면역조절제, 전신 면역억제제 등이 있다.
스테로이드의 경우 가장 기본적인 치료이지만 부작용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자칫 잘못하면 증상이 급격히 악화될 수 있다. 최근에는 스테로이드 연고 등 아토피 치료제의 부작용 사례가 알려지면서 환자 가족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바르는 연고를 오래 사용하면 피부가 위축되고 얇아질 수 있다. 스테로이드제 역시 많이 쓰면 피부 혈관이 늘어나는 등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국소 면역조절제의 경우에는 스테로이드 연고를 대신할 수 있는 약제로 개발되어 주목받고 있다. 장기간을 발라도 기존 스테로이드 연고에서 나타났던 부작용이 없어서 얼굴, 목 등 피부가 얇고 약한 부위에 사용하고 있다. 처음 바를 때 피부가 화끈거리는 느낌을 받는 것 외엔 큰 문제가 없다.
전신 면역억제제는 기존 치료법에 효과를 보이지 않는 중증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게 사용된다. 우수한 효과를 갖고 있지만 고혈압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항히스타민제는 가려움증 완화를 위해서 사용된다. 비교적 안전하다고 평가받는 약제이지만 졸리거나 입이 마르는 등의 부작용이 나타난다.
이렇게 대표적으로 아토피 피부염에 사용되는 약들은 대부분 부작용을 갖고 있거나 사용 부위의 제한이 있다.
이러한 아토피 치료제의 부작용이 없는 아토피 치료제로서 천연추출물을 사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이 연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248503호에서는 녹차잎의 열수추출물 60 내지 70 중량% 및 녹차잎의 에탄올 추출물 3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홍반 개선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242941호에서는 대잎 추출물 및 호장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6-0093626호에서는 상황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려움증 억제 및 아토피 완화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종래기술에서 언급되지 않은 천연추출물을 사용하여 부작용 없이 아토피 피부염 등으로 인한 소양증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를 거듭하였고 그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작용이 없는 아토피 피부염 등으로 인한 소양증을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갯버드나무피, 아주까리대 및 호박 넝쿨의 증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양증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소양증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또는 스테로이드제 등을 특정 무늬의 형태로 섬유에 도포하고 방출하도록 제조된 아토피 피부염 등으로 인한 소양증을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섬유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갯버드나무피, 아주까리대 및 호박 넝쿨의 혼합물로부터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양증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갯버드나무피 40~50 중량%, 아주까리대 20~30 중량% 및 호박 넝쿨 20~30 중량%가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살리신과 운데실렌산 등을 지표 물질로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갯버드나무피, 아주까리대 및 호박 넝쿨의 혼합물로부터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소양증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 갯버드나무피 40~50 중량%, 아주까리대 20~30 중량% 및 호박 넝쿨 20~30 중량%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 물 또는 알콜성 수용액을 첨가하여 증류 가압기에서 증류 추출하는 단계; 및 얻어진 증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소양증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바인더, 증점제 및 제올라이트를 혼합하여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페이스트를 특정 무늬의 형태로 섬유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도포된 섬유를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양증 개선 또는 치료용 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트는 소양증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20~40 중량%, 바인더 30~50 중량%, 증점제 0.5~2 중량% 및 제올라이트 20~30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트의 점도는 10,000~20,000 cps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로는 우레탄계 바인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트를 특정 무늬의 형태로 섬유에 도포하는 단계에서 상기 페이스트의 가공 함량이 30~80 g/yds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트를 특정 무늬의 형태로 섬유에 도포하는 단계는 스크린 인쇄 방식에 의해 페이스트를 특정 무늬의 형태로 섬유에 도포하여 수행되며, 스크린 도포 압력은 2~3 kg/cm²이고, 스크린 날염 가공 속도는 10~30 m/min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섬유를 열처리하는 단계는 최적 열처리 온도를 60~70 ℃로 하여, 30~40초 동안 텐터 기계를 사용하여 열처리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섬유 및 상기 소양증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바인더, 증점제 및 제올라이트가 혼합된 페이스트가 상기 섬유에 도포되고 열처리되어 형성된 특정 무늬 형태의 약물 방출체를 포함하는 소양증 개선 또는 치료용 섬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갯버드나무피, 아주까리대 및 호박 넝쿨의 증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양증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부작용 없이 아토피 피부염 및 이로 인한 소양증을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소양증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또는 스테로이드제 등을 섬유에 적용하여 약물 방출이 서서히 이루어져 아토피 피부염 및 이로 인한 소양증을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섬유에 약물 성분 함유 페이스트를 섬유에 도포하기 이전과 이후의 SEM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예 1에서 MTT 평균에서 생세포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예 4에서 혈청 내 IgE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예 4에서 5개 군의 생쥐에 대한 체중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갯버드나무피, 아주까리대 및 호박 넝쿨의 혼합물로부터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양증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갯버드나무피, 아주까리대 및 호박 넝쿨을 준비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갯버드나무피, 아주까리대 및 호박 넝쿨은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직접 채취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갯버드나무피는 버드나무의 껍질을 말한다. 주요 성분은 타닌, 살리실 배당체(Salicylglykoside)로 아스피린의 주요 작용 성분과 비슷한 성분인 살리실(Salicyl)을 가지고 있어서 열을 내리게 하고 염증과 통증을 완화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갯버드나무피는 한국에서 3~5월 채취한 갯버드나무의 1~1.5 m 길이의 상등 부분 줄기를 채취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주까리대는 7~9월에 채취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호박 넝쿨은 가지나 잎이 변형하여 실 같이 다른 물건에 감기어서 줄기를 지탱하게 하는 덩굴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호박 넝쿨은 6~9월 사이에 나오는 호박넝쿨을 따서 직사광선이 닿지 않는 서늘한 곳(0~25 ℃)에서 건조시킨 여름 호박 넝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준비된 갯버드나무피, 아주까리대 및 호박 넝쿨을 건조하고 이후 갯버드나무피 40~50 중량%, 아주까리대 20~30 중량% 및 호박 넝쿨 20~30 중량%를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상기 혼합물에 물 또는 알콜성 수용액을 첨가하여 예를 들어, 약 13~16 시간 동안 증류 가압기에서 증류 추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갯버드나무피, 아주까리대 및 호박 넝쿨의 증류 추출시 사용된 정제수의 대략 20% 미만으로 고형분 3~7%인 액상 추출물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갯버드나무피, 아주까리대 및 호박 넝쿨을 증류 추출하여 얻은 증류 추출물은 알코올, 헥산 등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고, 초임계유체 추출법에 의해 추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액상 추출물을 여과지를 통해 여과시켜 증류 추출물을 얻는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증류 추출물의 지표 성분은 갯버드나무피 추출물 성분으로서 타닌(Tannin),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살리신(Salicine), 운데실렌산(Undecenoic acid)을 포함하고, 아주까리대 추출물 성분으로서 리신(Ricin), 리시닌(Ricinine), 액시디크린(Acidicrin), 바시크리신(Basicricin)을 포함하고, 호박넝쿨 추출물 성분으로서 비타민-A,B,C, 아미노산, 렉시틴, β-카로틴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수득된 소양증 치료용 추출물은 약 1.3~2.5 ㎎/l의 지표 성분 함량을 가지고, 증류 과정에서 살리신이 가수분해로 염화되어 약리 기능이 작용된다.
본 발명은 또한 증류 추출물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양증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소양증’은 아토피 피부염 등의 피부 질환으로 인한 가려움증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소양증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희석제 등과 혼합하여 분말, 연고 등의 형태로 제조하여 적용시킬 수 있으며, 패취제나 밴드와 같은 형태로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소양증 개선 또는 치료용 섬유는 하기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우선, 소양증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바인더, 증점제 및 제올라이트를 혼합하여 페이스트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섬유에 도포되는 페이스트는 상기 소양증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20~40 중량%, 바인더 30~50 중량%, 증점제 0.5~2 중량% 및 제올라이트 20~30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섬유에 도포되는 페이스트는 증점제를 사용하여 점도를 10,000~20,000 cps로 조정하는 것이 스크린 인쇄 방식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소양증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소양증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이외 스테로이드제 등의 소양증 치료 약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바인더로는 친수성 중합체 바인더, 예를 들어, 아크릴계 바인더, 우레탄계 바인더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소양증 치료용 추출물을 보호하고, 민감성 피부에 사용되는 유아용 바인더로서, 자극성 및 독성이 없는 우레탄계 바인더(예를 들어 HCL PU-90, 일본 하야시)를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바인더를 사용하는 경우 소양증 치료용 추출물의 버드나무의 추출 성분을 파손하지 않으면서도 섬유의 유연성이 높고 섬유와의 결합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올라이트는 화장품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제올라이트, 예를 들어 애경A-100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제올라이트는 다공성의 물질이므로 통기성, 흡수성, 보습성 등이 우수하여 최근 화장품 기제로서 주목받고 있다.
제올라이트는 발열되는 특성과 삼투압의 흡착성을 가지고 있어 상기 소양증 치료용 추출물을 흡수하여 내부로 저장하려는 특성이 있다.
제올라이트는 규산염 광물의 기본 단위의 하나인 (Si, Al)O 사면체가 정점 산소에 의해 또 다른 삼면체들과 연결됨으로써 3차원적 망상 규산염 광물 형태를 이룬다. 그러나 같은 구조형을 갖는 석영, 장석 등과는 달리 격자 구조가 치밀하지 못하며, 구조 내에 큰 공동을 형성한다.
제올라이트의 공동에 물 분자와 교환성 양이온이 포함되어 있으며 물 분자는 가열에 의해 쉽게 방출된다. 그러나 구조의 골격은 그대로 유지되므로 공기 중의 물을 재흡수하거나 다른 미립의 물질을 흡착할 수가 있다. 화학 조성은 Wy(Si, Al)zO·H2O(W: Na, Ca, K, Mg, Ba 등)이고, 사면체를 만드는 방식이나 Si/Al비에 따라 다양한 종류를 이루며, 공동의 크기 또한 각기 다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올라이트의 공동의 크기는 50~70 Å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페이스트를 특정 무늬의 형태, 예를 들어 도트, 선, 점, 사선 등의 형태로 섬유에 도포한다.
상기 페이스트를 특정 무늬의 형태로 섬유에 도포하는 단계는 혼합물에 날염 색호를 배합한 후 스크린 인쇄 방식을 사용하여 섬유에 상기 페이스트를 특정 무늬의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페이스트를 특정 무늬의 형태로 섬유에 도포하기 위해 스크린 인쇄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판의 모양에 따른 스크린 인쇄 방식에는 핸드 스크린, 주행식 스크린, 벨트식 자동 스크린, 로터리 스크린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크린 인쇄 방식으로 상기 페이스트를 섬유에 특정 무늬의 형태로 형성하고, 보다 상세하게는 섬유 주변에 2 mm의 두께의 원형으로, 섬유에 20~40 ㎛의 침투 두께로 스크린 인쇄를 하여 섬유의 유연성과 촉감을 보호할 수 있고, 섬유에 도트 형태를 가공하여 약품 원가를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페이스트를 섬유에 특정 무늬의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소양증 치료용 약물의 함량이 균일하도록 도포할 수 있고, 섬유에 특정 무늬의 형태로 도포되어 피부와의 밀착도가 높고 유연성을 부여하여, 통기되는 공간도 있어서 제품의 효과, 성능, 촉감, 기능 발현이 쉬운 장점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섬유 표면에 상기 페이스트의 가공함량이 30~80 g/yds가 되도록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섬유의 유연성과 약제 도포 함량을 고려하여 지름이 1.5~2 mm 크기의 도트를 섬유에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에 형성되는 도트의 지름이 2 mm를 초과하는 경우 섬유에 가공된 도트의 도포면이 넓게 되어 섬유의 촉감이 단단하게 될 수 있다. 섬유 가공시 형성되는 도트 크기를 2 mm 이하로 하는 것이 스크린 날염 가공 제품에서의 촉감의 영향도 낮고 밀착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도트 크기가 1.5 mm 미만인 경우 섬유 가공시 섬유 스크린 무늬가 막혀져 생산시 불량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크린 인쇄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스크린 도포 압력을 2~3 kg/cm²으로 수행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스크린 도포 압력을 2.4 kg/cm²의 가공 압력으로 하여 생산하는 경우 페이스트가 섬유에 침투되는 도포 두께는 20~4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크린 인쇄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스크린 날염 가공 속도는 10~30 m/min의 생산 가공 속도로 작업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스크린 인쇄 방식을 사용하여 섬유에 페이스트를 직접적으로 접착하여 가공함으로써 섬유에 페이스트에 포함된 소양증 치료용 약물 성분이 일정하게 도포될 수 있고, 소양증 치료용 약물 성분의 손실이 없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유연한 면섬유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연한 섬유를 사용함으로써 피부 자극도를 낮출 수가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섬유를 열처리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페이스트를 섬유에 특정 무늬의 형태로 형성한 후 열처리함으로써 섬유에 소양증 치료용 약물 성분이 경화하여 접착되도록 열에너지로 섬유에 부착시킬 수 있고, 특정 무늬의 형태에 포함된 제올라이트를 저온 열처리를 통해 제거하여 미세공을 형성하고, 형성된 미세공으로부터 약물이 방출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트가 섬유에 부착된 후 세탁 및 보관시에도 소양증 치료용 약물 성분이 섬유에 보관 및 저장되기 위한 최적 저온 열처리 온도는 60~70 ℃이고, 열처리 시간은 30~40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저온 열처리시 텐터 기계를 사용할 수 있으며, 소양증 치료용 약물 성분이 손상되는 것을 낮추기 위해 가공 온도를 60~70 ℃로 하고, 텐터 가공 속도는 20~30 m/min인 것인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섬유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섬유에 도포된 특정 무늬 형태의 약물 방출체를 포함하여 아토피 피부염 등의 환자에게 착복된 후 약물이 서서히 방출됨으로써 아토피 피부염 및 이로 인한 소양증을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섬유는 세탁 후에도 내구성이 우수하여 세탁 후에도 섬유에의 약물의 잔류량이 보존되어 세탁 후 재사용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다
실시예 1
내피건조된 갯버드나무피 1.5 Kg, 건조된 아주까리대 1.2 Kg 및 건조된 호박 넝쿨 1.2 Kg을 정제수 50 리터에 넣고 증류 가압기에서 약 15 시간 동안 증류 추출하여 고형분 비율 약 3%의 액상 추출물 10 리터를 유도하고 이를 여과지에 통과시켜 여과시켜 본 발명에 따른 소양증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소양증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200 g과 제올라이트(애경 A-100) 300 g을 배합하여 담지 가공하고, 바인더로서 우레탄 바인더(HCL PU-90, 일본 하야시) 400 g, 증점제 10g를 배합하여 점도 10,000 cps인 페이스트를 제조하였고, 날염 원호를 구아검 10%와 물 90%를 준비하여 저속 회전하여 8 시간 동안 점도가 안정될 때까지 용해하여 날염 원호를 제조하였고, 날염 색호를 이에 배합하였다. 이후 상기 페이스트를 유기농 면섬유에 오토스크린 날염하고 1.5~2 mm 크기의 도트 형태로 형성하고 70 ℃에서 저온 열풍 처리하고 수세하고 건조하고 텐터 가공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소양증 치료용 추출물이 방출될 수 있는 면섬유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에서 섬유를 제조하기 이전에 촬영한 SEM 사진(도 1의 A) 및 실시예 2에서 섬유의 도트 부분에 대해 촬영한 SEM 사진(도 1의 B)을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 2에서 섬유에 페이스트로 도트 형태가 형성된 부분에는 섬유에 소양증 치료용 추출물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1 - 세포독성 실험
* 실험 재료
마이크로 피펫, Raw 264.7 대식세포, FBS-DMEM, CO2 인큐베이터, FBS(-), PBS, MTT 용액, 96웰, 에탄올:DMSO(1:1)용액, ELISA 리더
Raw 264.7 세포에 본 발명에 따른 소양증 치료용 추출물이 미치는 결과를 알기 위하여 대식세포(Raw 264.7)를 무균 배양하고 세포주를 보관하고 계대 배양하고, 세포수를 확인 후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소양증 치료용 추출물의 세포독성 실험(MTT)을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다.
(1) 1× 105 cell/well로 세포 분리 후, FBS함유 DMEM에서 세포 부착을 유도함
(2) 세포 배양액을 제거한 후, FBS(-) 190 ml와 최종 농도로 희석한 10 ㎕의 실시예 1의 소양증 치료용 추출물을 첨가함
(3) 상등액 배지를 제거하고 잔여물을 세척함
(4) DMEM을 첨가하고 MTT 용액 20 ml를 넣고 37℃에서 5% CO2 배양기에서 방치함
(5)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1:1 부피로 제조된 에탄올:DMSO용액을 각 웰에 150 ㎕씩 넣고 20 여분 후에 충분히 포마존(formazone)이 용해됨, ELISA 리더를 사용하여 MTT 평균에서 생세포수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면, MTT 평균에서 생세포수를 측정한 결과(Ellisa 배색계) 실시예 1의 소양증 치료용 추출물의 세포독성 결과가 비교적 안정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 동물 모델에서의 아토피 억제 효과 측정
(1) 아토피 피부염 유도
11주령이 된 NC/Nga 생쥐의 등 부위를 깨끗하게 제모한 후, 피부의 미세 상처가 치유되도록 24시간 방치하였다. 그리고 1% DNCB 용액(아세톤: 올리브오일 = 3:1) 200μL를 등 부위에 도포하고, 4일 후, 1주일에 2-3번씩 DNCB 용액 150μL를 등 부위에 도포하였다(12주부터 16주). 4주 처리한 다음 아토피 피부염이 충분히 유발되어 등 부위의 가피가 모두 벗겨졌고, 이 부위에 새로운 피부염이 형성되면서 긁는 행동이 심화되면 DNCB 처리를 중단하고,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정상군으로는 11주령이 된 BALB/c 생쥐를 이용하였다.
(2) 생쥐의 체중 변화의 관찰
아토피 피부염이 유발된 생쥐를 2개의 대조군(실시예 1의 추출물 용액 불포함)과 실험군(20% 실시예 1의 추출물 용액)으로 나누고, 상기 20% 실시예 1의 추출물 용액을 5주간(12주에서 17주까지) 도포하였다. 20% 실시예 1의 추출물 용액 처리 전후 체중 변화의 관찰을 실시하였고, 처리 전후 혈액을 취하고 등과 안쪽 귀 부위의 피부와 림프를 절제하여 10% 포르말린 용액에 담아 보관하였다.
체중 변화의 관찰 결과 대조군의 생쥐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추출물 용액을 처리한 실험군의 생쥐는 체중 감량 후 체중이 회복된 것이 관찰되었고, 이로부터 아토피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3) 조직학적 평가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섬유가 피부 조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상기 아토피 피부염을 유도한 쥐에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섬유를 부착하여 7일 간격으로 피부 조직을 검사하였다. 피부 조직은 피부의 전반적인 상태, 비만세포의 침윤과 탈과립화, 호산구의 침윤을 중심으로 관찰하였다. 아토피 피부염의 특징 중 하나는 T세포, 비만세포 및 호산구와 같은 면역세포들이 피부에 침윤되어 있으며 표피와 진피가 두꺼워지고 출혈 등이 나타나는 것이다. 따라서, 아토피 용액이 피부 조직에 면역 세포들의 침윤을 막음으로써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을 완화시켰는지를 확인해보기 위해 조직 염색을 실시하였다. 10% 포르말린에 고정시킨 피부 조직을 파라핀에 포매하고 4㎛ 두께로 박절하여 헤마톡실린-에오신(hematoxylin-eosin)으로 염색하였다. 그리고 염증세포의 침윤을 알아보기 위해 톨루이딘블루(toluidine blue) 염색을 통해 비만세포(mast cell)를 염색하고 호산구 확인을 위하여 콩고 레드(congo red) 염색을 이용하여 조직을 염색하여 광학 현미경 상에서 약 100배의 배율로 관찰하였다.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에서는 상기 대조군의 상피 세포와 같은 조직 세포의 규칙적인 배열이 파괴되나 실험군의 상피 세포와 같은 조직 세포의 규칙적인 배열이 관찰되었다. 비만세포를 염색하는 톨루이딘 블루염색, 그리고 콩고 레드염색에서는 아토피 유발에 의해 피부조직이 침윤되는 비만세포와 이들 세포의 탈과립을 억제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시험예 3 - 동물 모델에서의 소양증 억제 효과 측정
(1) LTB 4 유도 가려움증 모델
5-6 주령이 된 수컷 ICR 생쥐를 25± 2℃, 08:00-20:00시 동안 조명을 비춰주는 조건에서 사육하였다. 물과 사료는 자유롭게 먹을 수 있게 하였다. 생쥐의 등 부위를 깨끗하게 제모한 후 제모가 끝나면 피부의 미세 상처가 치유되도록 24시간 방치하였다. 그리고 류코트리엔 B4(LTB4) 0.03 nmole/site 100μL를 등 부위에 주사하고, 음성대조군으로 길항제인 ONO-4057(5-[2-(2-카르복시에틸)-3-(6(p-메톡시페닐)-5E-헥세닐) 옥시페옥실]발레르산) 0.03 nmole/site 100μL을 함께 주사하였다. 외용수의 양성대조군으로 증류수 100μL를 처리하였으며, 실험군으로는 20% 실시예 1의 추출물 용액 100μL를 처리하였다.
LTB4 유도 가려움증 모델에서 시간에 따른 소양 빈도를 조사한 결과, 가려움증 유발 40분 경과 후,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함이 관찰되었다. LTB4 유도 가려움증 모델에서 총 소양 횟수를 조사하고, 양성대조군에 비해 음성대조군의 소양 횟수를 관찰하고 실험군은 음성대조군(NC)보다 유의적 감소하여 총 소양 횟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LTB4 유도 가려움증 모델에서 피부 배양액의 IL-6 농도는 양성대조군(PC)에서 가장 높고 실험군은 음성대조군(NC) 수준으로 감소 관찰되었다. 또한, 혈장 INF-γ가 실험군에서 증가함이 관찰되었다. 일반적으로 IFN-γ은 Th1 관련 사이토킨으로 간주되므로 실험군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20% 실시예 1의 추출물 용액이 가려움에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2) 히스타민 유도 가려움증 모델
비만세포의 탈과립제로 Compound 48/80을 사용하여 히스타민 유리를 유도시킨 후 히스타민에 의해 반응하는 C-파이버(itch-specific fiber)를 자극하여 가려움증을 유발하는 가려움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소양 횟수(가려움 횟수), 소양 빈도(가려움의 심한 정도), 면역학적 인자(세포성 면역에 관여하는 INF-γ: 체액성 면역에 관여하는 Th2 관련 사이토킨; IL-4)를 각각 측정하여 소양증 개선 효과를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11주령이 된 BALB/c(20-26g) 생쥐의 등 부위를 깨끗하게 제모한 후, 피부의 미세 상처가 치유되도록 24 시간 방치하였다. 그리고 compound 48/80 용액(μg/site) 100 μL를 등 부위에 주사한 후, 음성대조군으로 길항제인 디펜하이드라민하이드로클로이드(Diahenhydramine hydrochloeide St. Louis, MO, USA) 100μL을 구강 투여하였다. 외용수의 양성처리군으로는 증류수 100 μL를 처리하였으며, 실험군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20% 실시예 1의 추출물 용액 100 μL를 처리하였다.
compound 48/80 유도 가려움 모델에서 시간에 따른 소양 빈도를 조사하였고, 그 결과 20% 실시예 1의 추출물 용액으로 처리한 실험군의 소양 빈도가 음성대조군(NC) 수준의 빈도로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compound 48/80 유도 가려움 모델에서 Th2 관련 사이토킨이 혈장의 IL-4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양성대조군(PC)에 비해 음성대조군(NC)의 농도를 관찰하였고 본 발명에 따른 20% 실시예 1의 추출물 용액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변화 경향을 관찰하였다. 또한, compound 48/80 유도 가려움 모델에서 혈장의 INF-γ를 조사하였고, 그 결과 혈장 INF-γ가 실험군에서 증가함이 관찰되었고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20% 실시예 1의 추출물 용액이 가려움에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 혈청 내 IgE 측정 및 체중 변화 측정
spf 수컷 BALB/c 마우스(4~7주령)를 오리엔털바이오에서 구입하여 무균적으로 관리 적응시킨 다음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군(Nc/Nga Mice)은 2,4-디니트로클로로벤젠(DNCB, Sigma USA)을 도포하여 아토피를 유도시켜 물을 도포한 S0군; 스테로이드 (2% Alchol dilute-prednisolone, Sigma USA)를 오인트 베이스에 혼합하여 도포시킨 S1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소양증 치료용 추출물을 각각 도포시킨 S2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소양증 치료용 추출물을 정제수와 1:1 비율로 혼합하여 도포시킨 S3군 및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소양증 치료용 추출물을 포함한 페이스트를 도포한 섬유를 부착한 S4군으로 나누어 각 군에 3마리씩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1) IgE 측정
주사기로 심장 천자를 시행하여 얻은 혈액을 EDTA 튜브에 담은 후 충분히 흔들어 혈액의 응고를 방지하였다. 각 시험군별 혈장 중의 IgE 변화 측정은 채취한 혈액으로부터 분리한 혈장을 이용하여 마우스 IgE ELISA 키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혈청에서 IgE 수준의 상승은 아토피성 피부염의 면역학적 지표로 알려져 있으며, 아토피 저감화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해 혈청 중의 IgE 수치를 측정한 도 3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DNCB군(S0군)에서 227.21± 60.04 ng/mL를 나타내었으며, S1군은 31.99± 80.17 ng/mL을 나타냈고, S2군에서는 153.08± 54.05 ng/mL로, S3군에서 171.08± 78.65 ng/mL로 IgE 생성량이 감소되었다. 특히, IgE는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서 임상적 중증도와 비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토피 질환 동물 모델에서 소양증 치료용 추출물의 피부 도포를 통해 IgE 발현이 억제되는 것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소양증 치료용 추출물이 아토피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2) 체중 측정
상기 S0군, S1군, S2군, S3군 및 S4군의 생쥐의 일일 섭취량을 25 g으로 일정하게 유지하고 DNCB 유도한 후 3 개월 동안 체중 변화를 측정하여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를 참조하면 DNCB 유도 후 모든 군의 생쥐는 약 7~9 % 체중이 감량되었고, 3개월 후 S1군은 1.5%, S2 및 S3군은 2.8%까지 회복되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소양증 치료용 추출물을 처리하는 경우 아토피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갯버드나무피 40~50 중량%, 아주까리대 20~30 중량% 및 호박 넝쿨 20~30 중량%의 혼합물로부터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양증 개선 조성물, 바인더, 증점제 및 제올라이트를 혼합하여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페이스트를 특정 무늬의 형태로 섬유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도포된 섬유를 열처리를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소양증 개선 섬유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살리신과 운데실렌산이 함유되어 있으며,
    상기 추출물은 초임계유체 추출법에 의한 것이며,
    상기 페이스트는 소양증 개선 조성물 20~40 중량%, 바인더 30~50 중량%, 증점제 0.5~2 중량% 및 제올라이트 20~30 중량%를 혼합하며,
    상기 페이스트의 점도는 10,000~20,000 cps이며,
    상기 바인더는 우레탄계 바인더이며,
    상기 제올라이트의 공동의 크기는 50~70 Å이며,
    상기 페이스트를 특정 무늬의 형태로 섬유에 도포하는 단계에서 상기 페이스트의 가공 함량이 30~80 g/yds이며,
    지름이 1.5~2 mm 크기의 도트를 섬유에 도포하며,
    상기 페이스트를 특정 무늬의 형태로 섬유에 도포하는 단계는 스크린 인쇄 방식에 의해 페이스트를 특정 무늬의 형태로 섬유에 도포하여 수행되며, 스크린 도포 압력은 2~3 kg/cm²이고, 스크린 날염 가공 속도는 10~30 m/min이며,
    상기 페이스트가 섬유에 침투되는 도포 두께는 20~40㎛이며,
    상기 섬유를 열처리를 하는 단계는 열처리 온도를 60℃~70℃로 하여, 30~40초 동안 텐터 기계를 사용하여 열처리하여 수행되며,
    또한, 텐터 가공 속도는 20~30 m/min이며,
    상기 섬유는 면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양증 개선 섬유의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40122530A 2014-09-16 2014-09-16 소양증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섬유의 제조 방법 KR101681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530A KR101681169B1 (ko) 2014-09-16 2014-09-16 소양증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섬유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530A KR101681169B1 (ko) 2014-09-16 2014-09-16 소양증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섬유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436A KR20160032436A (ko) 2016-03-24
KR101681169B1 true KR101681169B1 (ko) 2016-12-01

Family

ID=55651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2530A KR101681169B1 (ko) 2014-09-16 2014-09-16 소양증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섬유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1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600124491A1 (it) * 2016-12-07 2018-06-07 Sanamedica Group Srl Associazione di composizioni comprendenti olio di semi di plukenetia volubilis per uso nel trattamento della dermatite atopic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98697A1 (en) * 2002-04-22 2003-10-23 Satoshi Yoshida Preventive or therapeutic agent for pollen allergy, allergic rhinitis, atopic dermatitis, asthma or urticaria, or health food for prevention or improvement or reduction of symptom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2066A (ko) * 2001-12-20 2003-06-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버드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듬 방지용 모발 화장료조성물
KR100530940B1 (ko) * 2002-07-26 2005-12-07 구창모 흡습, 항균 및 소취 기능을 갖는 바인더 페이스트 및 상기바인더 페이스트가 도포된 무좀 억제기능을 갖는 양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98697A1 (en) * 2002-04-22 2003-10-23 Satoshi Yoshida Preventive or therapeutic agent for pollen allergy, allergic rhinitis, atopic dermatitis, asthma or urticaria, or health food for prevention or improvement or reduction of symptoms thereof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ell Mol Biol(Noisy-le-grand). 2010. 56 Suppl: OL1239-5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436A (ko) 2016-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01772B (zh) 具抗關節炎活性的到手香精萃物
KR101262813B1 (ko) 소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또는 알러지성 피부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713419B1 (ko) 안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712249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KR101681169B1 (ko) 소양증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섬유의 제조 방법
KR20100079586A (ko)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아토피 피부염 조성물
CN107929134B (zh) 一种苦参修复祛痘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A2506762C (en) An organic extract of geum japonicum thumb variant and use thereof
CN104703617B (zh) 新的香料提取物级分及其用途
KR20230164611A (ko) 대마 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세포 재생, 항염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ITMI20112215A1 (it) Estratti di chelidonium majus e loro impieghi per il trattamento di disfunzioni cutanee e per la rigenerazione della pelle
JP6741866B2 (ja) Uldavioside Aの化合物を含有する傷治療用の組成物
KR101679391B1 (ko) 피뿌리풀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상처를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개체의 상처를 치료하는 방법
WO2009031826A1 (en) Process for preparing vitis vinifera pip extract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rheumatoid arthritis comprising the same
CN114949034A (zh) 东紫苏或其提取物在制备防治急性肺炎药物中的应用
TWI498118B (zh) 促進傷口癒合及血管新生的醫藥組合物與接骨木屬(蒴藋屬)(Sambucus)植物及菘藍屬(Isatis)植物之萃取物用於製備促進傷口癒合及血管新生之藥物的用途
KR101613303B1 (ko) 상처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6420853A (zh) 沙棘油用于粘膜修复与营养的医药保健用途
Farahpour et al. Wound healing effect of hydroethanolic extract of Ribwort plantain leaves in rabbits.
CN106029113A (zh) 具有黏膜黏附性能的蜡菊属的提取物的组分
Johnson et al. Evaluation of Ethanolic Extract of Tridax procumbens Linn on Wound Healing in Rats
JP2009235035A (ja) アレルギー性気管支喘息抑制剤
KR101490345B1 (ko) 유기금속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상 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
Soni et al. Wound Repair and Regenerating Effect of Eugenol Isolated from Ethyl Acetate Soluble Fraction of Ethanolic Extract of Cinnamomum tamala Leaves in STZ Diabetic Rats
KR101086258B1 (ko) 호흡기질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생약 추출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