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0194B1 -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가진 의자형 마사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가진 의자형 마사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0194B1
KR101680194B1 KR1020140138848A KR20140138848A KR101680194B1 KR 101680194 B1 KR101680194 B1 KR 101680194B1 KR 1020140138848 A KR1020140138848 A KR 1020140138848A KR 20140138848 A KR20140138848 A KR 20140138848A KR 101680194 B1 KR101680194 B1 KR 101680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stening
origin
speakers
seat por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8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4631A (ko
Inventor
김택
최성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Priority to KR1020140138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0194B1/ko
Publication of KR20160044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4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syc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마사지 장치는 시트부, 발걸이부, 등받이부, 팔걸이부를 포함하고, 시트부 전단에 배치된 센터 스피커와, 시트부 좌우측 팔걸이부 전단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프론트 스피커들과, 등받이 상단 좌우측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레어 스피커들과, 다수의 스피커들에 각각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인가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의자형 마사지 장치에서 마사지를 즐기면서 동시에 뮤직 비디오나 영화 등을 5.1 채널 입체 음향으로 즐길 수 있다.

Description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가진 의자형 마사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hair-type Massage Apparatus with Muti-channel Soun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본 발명은 의자형 마사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5.1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가진 의자형 마사지 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자형 마사지 장치는 스테레오 사운드 시스템을 구비한다.
일부 의자형 마사지 장치는 음악에 연동하는 안마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최근에 디스플레이가 부가됨에 따라 뮤직 비디오 또는 영화 등의 영상 시청 기능이 부가됨에 따라 보다 고품질의 다채널 사운드가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공개특허 KR 2009-0018103, KR 2005-0111112
일본 공개특허 JP 2010-230871, JP 2001-109062, JP 2001-120630, JP 2000-361602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5.1 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적용한 의자형 마사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체 음향 제공으로 보다 고품질의 풍부한 음감을 즐길 수 있는 의자형 마사지 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시료자의 착좌검출에 응답하여 한 쌍의 프론트 스피커들을 초기위치와 청취위치 사이에서 이송할 수 있는 의자형 마사지 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시료자의 체형측정에 응답하여 피시료자의 청취 원점과 다수의 스피커들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에 응답하여 각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의 볼륨크기 또는 출력시간지연을 조정함으로써 최적의 입체음향을 제공할 수 있는 의자형 마사지 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시트부, 발걸이부, 등받이부, 팔걸이부를 포함한 의자형 마사지 장치는 시트부 전단에 배치된 센터 스피커와, 시트부 좌우측 팔걸이부 전단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프론트 스피커들과, 등받이 상단 좌우측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레어 스피커들과, 다수의 스피커들에 각각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인가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좌우 프론트 스피커들은 피시료자의 착좌 또는 이탈 동작에 응답하여 삽입되는 초기위치와 돌출되는 청취위치 사이에서 무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센터 스피커도 피시료자의 착좌 또는 이탈 동작에 응답하여 삽입되는 초기위치와 돌출되는 청취위치 사이에서 무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른 실시예에서 센터 스피커는 시트부 전단 상방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유닛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오디오 출력부는 피시료자의 착좌상태에서 체형 검출에 의해 산출된 청취원점으로부터 각 스피커들까지의 거리에 따른 입체 음향 파라미터들, 예컨대 볼륨 크기 또는 시간지연이 조정된 오디오신호를 각 스피커들의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시트부에 피시료자의 착좌상태를 검출하고, 착좌상태가 검출되면 한 쌍의 프론트 스피커들을 초기위치에서 청취 위치로 이송시키고, 시트부로부터 피시료자의 이탈상태가 검출되면 한 쌍의 프론트 스피커들을 상기 청취위치에서 상기 초기 위치로 이송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다른 실시예의 제어방법은 시트부에 피시료자의 착좌상태에서 피시료자의 체형을 검출하고, 검출된 체형정보에 의해 피시료자의 청취원점을 산출하고, 산출된 청취원점과 각 스피커들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에 근거하여 각 스피커들에 인가되는 오디오신호의 볼륨 크기 또는 시간 지연량을 조정하여 최적의 입체음향을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 장치는 안마를 받으면서 뮤직 비디오나 영화 등의 영상 시청시에 5.1 채널 사운드로 즐길 수 있다. 또한 피시료자의 착좌 또는 이탈 동작에 연동하여 한 쌍의 프폰트 스피커들이 초기위치와 청취위치 사이에서 이송되는 것에 의해 제품의 고급화 및 고품질화를 이룰 수 있다. 또한 피시료자의 체형검출에 연동하여 각 스피커들에 인가되는 오디오신호의 입체음향 파라미터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피시료자의 체형에 관계없이 항상 최적의 입체음향을 즐길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적용된 의자형 마사지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에서 청취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에서 청취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도 1의 측면도에서 청취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적용된 의자형 마사지 장치의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청취 원점(P0) 산출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구동부(77)의 제어 프로그램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처리부(77)의 제어 프로그램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적용된 의자형 마사지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10은 도 9의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적용된 의자형 마사지 장치의 블록도.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說示)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적용된 의자형 마사지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에서 청취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정면도에서 청취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1의 우측면도에서 청취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마사지 장치(1)는 받침대(10), 시트부(20), 발받침부(30), 등받이부(40) 팔걸이부(50), 상완 마사지부(60), 5.1채널 사운드 시스템(70)을 포함한다.
받침대(10)는 시트부(20)를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한다. 받침대(10)에는 전원장치, 제어회로기판, 급배기 장치, 슬라이딩 모터 등이 탑재된다.
시트부(20)는 받침대(10)의 상부에 전후로 슬라이딩되게 시트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면이 시트면으로서 이용되도록 대략 평탄하게 형성된 쿠션부(22)가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쿠션부(22)는 우레탄 폼(urethane foam), 스펀지(sponge) 또는 발포 스티롤제의 내장재(도시하지 않음)가 기대의 상면에 얹혀져 있고, 또한 이것을 폴리에스테르제의 기모 트리콧, 합성 피혁 또는 천연 피혁으로 이루어진 외장재(커버)로서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시트부(20)의 상전단에는 피시료자의 발목 및 종아리를 마사지하기 위한 발받침부(30)의 상단이 축결합되어 있다. 발받침부(30)는 상단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발받침부(30)는 다리 지지부(32)와 발바닥 받침대(34)를 포함한다. 다리 지지부(32)는 시트부(20)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평면상의 다리 지지면(32a)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측벽(32b,32c,32d)을 포함한다. 측벽(32b,32c)으로 둘러싸인 요부에는 우측 다리 마사지 유닛이 설치되고, 측벽(32c,32d)으로 둘러싸인 요부에는 좌측 다리 마사지 유닛이 설치되어 있다. 다리 마사지 유닛들은 받침대(10)에 내장된 펌프 및 밸브 등으로 이루어지는 급배기 장치에 에어 호스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어, 급배기 장치로부터의 급기 또는 배기에 의해서 팽창 또는 수축하면서 접촉된 하퇴 부위를 압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리 마사지 유닛들 내부에 설치된 공기 주머니가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하는 것에 의하여, 피시료자의 하퇴부를 압박하여 종아리 부위의 근육을 주무르기 마사지를 수행한다.
발받침부(30)의 중앙 측벽(32c) 상부면의 다리 지지면(32a) 근처 내부에는 센터 스피커 유닛(71)이 내장 설치되어 있다. 센터 스피커 유닛(71)의 상단은 내장시에는 돌출되지 않도록 중앙 측벽(32c)의 상부 표면과 거의 동일한 높이를 유지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센터 스피커 유닛(71)은 음악 청취 모드에서 착좌한 피시료자의 얼굴 정면을 향하여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일정 높이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가이드 레일(71a), 이송 바(71b) 및 스피커(71c)로 구성된다. 스피커(71c)는 이송 바(71b)의 상단에 설치되어 이송 바(71b)가 가이드 레일(71a)을 따라 상하로 이송되는 것에 의해 중앙 측벽 내부로 삽입되거나 상방으로 돌출되거나 한다. 가이드 레일(71a) 및 이송 바(71b)는 이송 스크류방식, 래크와 피니언 방식, 리니어 모터방식, 공압 실린더 방식 또는 자바라 방식 등 왕복 동작 메카니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발바닥 받침대(34)는 다리 지지부(32)의 하단 즉, 시트부(20)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발바닥 받침대(34)는, 피시료자가 마사지 장치(1)에 착석하였을 때, 피시료자의 발바닥에 밀착하여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발바닥 받침대(34)의 내부에는 바이브레이터 및 공기 주머니가 설치되어 있고, 공기 주머니는 급배기 장치에 에어 호스를 매개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바이브레이터는 예를들면, DC 모터의 출력축에 편심 질량이 부착된 것과 같은 구성의 것이고, 구동되는 것에 의해서 미세 진동을 발생할 수가 있다. 공기 주머니가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하는 것에 의하여 피시료자의 발바닥 및 아킬레스 건 부위에 대해 압박자극을 줄 수가 있고, 또한 바이브레이터가 동작하는 것에 의해서 피시료자의 발바닥에 진동자극을 줄 수가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복수개의 공기 주머니가, 시트부(20)의 시트면 구석에도 배치되어 있다. 이들 공기 주머니도 또한, 에어 호스를 매개로 급배기 장치에 접속되어 있고, 급배기 장치로부터의 급배기에 의하여 팽창 또는 수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시트부(20)의 자리면 중앙의 깊숙한 곳에는 전술한 것과 동일한 구성의 바이브레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피시료자가 시트부(20)에 착석한 상태에서 공기 주머니의 팽창 또는 수축을 반복하는 것으로 피시료자의 둔부에 압박자극을 줄 수가 있고, 동일한 상태에서 바이브레이터를 구동하는 것으로 피시료자의 항문부에 진동자극을 줄 수가 있다.
또한, 시트부(20)의 상후단에는 등받이부(40)의 하단이 축결합되어 등받이부(40)가 회동하는 것에 의해, 전후로 리클라이닝(reclining)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등받이부(40)는 피시료자의 상반신을 지지하도록, 일반적인 체격의 성인이 마사지 장치(1)에 착석한 때에, 착석한 성인의 신체의 일부가 그의 외부로 비어져 나오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되어 있고, 앞면에서 보면 대략 장방형을 이루고 있다. 등받이부(40)의 좌우측 상단부에는 좌우 스피커 장치(75, 74)가 탑재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와 같이 우퍼(76)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등받이부(40)의 양측 하부에는 시트부(20)에 고정 지지된 팔걸이부(5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팔걸이부(50)는 등받이부(40)의 양 사이드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팔걸이부(50)의 상면에는 하완 마사지 유닛(52, 54)이 장착되어 있다. 우측 팔걸이부(50)의 전방 상단 모서리부에는 프론트 우측 스피커 유닛(72)이 설치되고, 좌측 팔걸이부(50)의 전방 상단 모서리부에는 프론트 좌측 스피커 유닛(73)이 설치된다. 프론트 우측 스피커 유닛(72) 및 프론트 좌측 스피커 유닛(73)들 각각은 가이드 레일(72a, 73a)을 통해 상하로 이송되는 이송 바(72b, 73b)의 상단에 스피커(72c, 73c)를 장착하여 스피커(72c, 73c)가 가이드 레일(72a, 73a)을 따라 상하로 이송되는 이송 바(72b, 73b)에 의해 팔걸이부(50) 케이스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또한 등받이부(40)의 양측 상부에는 상완 마사지부(60)가 설치되어 있고 상완 마사지부(60)는 좌우측 상완 마사지 유닛(62, 64)을 포함한다. 상완 마사지 유닛(62, 64)은 등받이부(40)의 양 사이드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내측에 공기 주머니가 설치되어 있고, 공기 주머니는 급배기 장치에 에어 호스를 매개로 접속되어 있다. 공기 주머니가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하는 것에 의하여 피시료자의 상완부에 대해 압박자극을 줄 수가 있다.
등받이부(40)의 내부에는, 등 마사지 유닛이 설치되어 있다. 등 마사지 유닛은 피시료자의 신체에 기계적인 자극을 주는 4개의 롤러 모양의 시료자( 施療子)를 가지고 있다.
좌우의 시료자가 접근 또는 이반하도록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대략 타원을 그리도록 이동하면서 '주무르기' 동작이 수행된다. 또한, 시료자의 주무르기 동작에는, 좌우의 시료자가 접근할 때에 전방으로 이동하고, 좌우의 시료자가 이반할 때에 후방으로 이동하는 동작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주무르기 동작에서는 시료자가 3차원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된다.
일정 주기로 시료자가 왕복이동하면서 두드림 동작을 수행하거나 변칙적인 주기로 왕복이동하면 지압동작이 된다. 주무르기 동작 및 두드리기 동작, 또는 주무르기 동작 및 지압 동작이 복합되어 행해지게 된다. 물론, 각 동작을 독립적으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등 마사지 유닛은 승강대에 장착되어 있고, 이 승강대의 양측단부가 가이드 레일에 구름 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피시료자가 등받이부(40)에 상반신을 기댄 상태에서 등 마사지 유닛을 승강시키는 것으로, 피시료자의 등허리를 상하로 시료자가 구름 운동하는 롤링(rolling) 동작을 행할 수가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5.1채널 스피커를 이용한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70)은 센터 스피커 유닛(71), 프론트 우측 스피커 유닛(72), 프론트 좌측 스피커 유닛(73), 레어 우측 스피커 유닛(74), 레어 좌측 스피커 유닛(75), 우퍼 유닛(76)로부터 피시료자의 청취 원점(P0)까지 직선거리(d1, d2, d3, d4, d5, d6)가 서로 동일하지 않고 차이가 있다. 또한 프론트 좌우 스피커 유닛들(73, 72)은 센터 스피커 유닛(71)을 중심으로 대략 60도 정도의 사이 각(θ1)을 유지하며, 레어 좌우 스피커 유닛들(74,73)은 센터 스피커 유닛(71)을 중심으로 대략 220도 정도의 사이 각(θ2)을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청취원점(P0)과 각 스피커 유닛들 사이의 거리 차이로 인하여 입체 음향을 즐길 수 없게 된다. 또한 피시료자의 체형에 따라 청취 원점(P0)의 이동으로 거리 편차 및 사이 각 편차가 발생되게 된다. 그러므로 피시료자의 체형 차이에 따라 5.1채널 입체 사운드 효과가 서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적용된 의자형 마사지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마사지 장치(1)는 제어부(2), 조작부(3), 마사지 유닛 구동부(4), 외부 인터페이스부(5), 저장부(6), 착좌 검출부(7), 체형 측정부(8) 및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70)을 포함한다.
제어부(2)는 통상적으로 마사지 장치(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는 마사지 유닛 구동부(4)의 급배기 장치(4a) 및 모터(4b)를 구동하여 피시료자의 등 마사지 유닛, 발 및 다리 마사지 유닛, 팔 마사지 유닛 등을 구동하여 활력 마시지 코스, 스트레칭 마사지 코스 및 수면 마사지 코스 등의 마사지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조작부(3)는 피시료자에 의해 마사지 장치(1)의 조작 명령이 입력되면 이르 전기적 명령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유선 리모콘 장치, 무선 리모콘 장치, 터치패드, 키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사지 유닛 구동부(4)는 다수의 공기 주머니들과 마사지 메카니즘 등을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 급배기 장치(4a) 및 모터(4b)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5)는 음악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마사지 장치(1)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5)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마사지 장치(1)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USB와 같은 유선 데이터 입출력 포트, 블루투스, 와이파이, 무선 랜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G3 또는 LTE와 같은 무선 휴대폰 통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저장부(6)는 마사지 프로그램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6)는 스피커 유닛들에 대한 시트부(20) 높이로부터 중심 높이, 위치 좌표값들이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6)는 인터페이스부(5)를 통해 입력된 음악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저장부(6)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외부 인터페이스부(5)를 통해 접속된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6)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착좌 검출부(7)는 시트부(20)에 피시료자의 착좌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압력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착좌 검출부(7)는 검출된 착좌 검출신호를 제어부(2)에 전달한다.
체형 측정부(8)는 통상의 등 마사지 유닛의 상부 롤러와 하부 롤러의 회전각도에 의해 어깨 위치를 검출하는 체형 검출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체형 측정부(8)에서 검출된 어깨 위치에서 허리까지의 거리가 피시료자의 착좌한 상태에서 어깨까지의 높이로 측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청취 원점(P0) 산출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어깨위치 검출기에 의해 어깨 위치로부터 허리까지 시료자가 승강되는 거리(S)와 등받이부(40)의 기울기(θ) 파라미터 값에 의해 어깨 높이(h1)를 산출할 수 있다. 산출된 어깨 높이(h1)에 어깨로부터 귀까지의 평균 거리(S2)를 더하면 근사적으로 청취 원점(P0)의 높이(h2)를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청취 원점(P0)의 높이 및 좌표가 결정되면, 센터 스피커 유닛(71)의 중심 (P1)까지의 거리(d1)가 근사적으로 산출될 수 있다. 프론트 좌우측 스피커 유닛들(72, 73)의 거리(d3, d2)도 d1과 유사한 방식으로 근사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레어 좌우측 스피커 유닛들(75, 74) 및 우퍼 유닛(76)의 거리(d5, d4, d6)도 근사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피시료자의 체형에 따른 거리 및 각도 변화에 관계 없이 항상 피 시료자에게 최적의 입체음향조건에서 음악을 즐길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70)은 센터 스피커 유닛(71), 프론트 우측 스피커 유닛(72), 프론트 좌측 스피커 유닛(73), 레어 우측 스피커 유닛(74), 레어 좌측 스피커 유닛(75), 우퍼 유닛(76), 오디오 구동부(77), 오디오 출력부(78)를 포함한다.
오디오 구동부(77)는 제어부(2)의 제어에 따라 센터 스피커 유닛(71), 프론트 우측 스피커 유닛(72) 및 프론트 좌측 스피커 유닛(73)들을 초기 위치(삽입된 상태)에서 청취 위치(돌출된 상태)로 이송하거나 반대로 이송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구동부(77)의 제어 프로그램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어부(2)는 착좌검출부(7)를 통해 피시료자의 착좌 여부를 체크한다(S100). S100단계에서 제어부(2)는 착좌검출신호가 인가되면, 센터 스피커 유닛(71) 및 프론트 좌우측 스피커 유닛들(73,72)을 청취 위치로 돌출시키기 위하여 오디오 구동부(77)에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오디오 구동부(77)는 돌출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센터 스피커 유닛(71) 및 프론트 좌우측 스피커 유닛들(73,72)을 상승시켜서 돌출시킨다(S102). 이어서 제어부(2)는 착좌검출부(7)를 통해 피시료자의 이탈 여부를 체크한다(S104). S104단계에서 제어부(2)는 이탈검출신호가 인가되면, 센터 스피커 유닛(71) 및 프론트 좌우측 스피커 유닛들(73,72)을 청취 위치에서 초기위치로 원위치 시키기 위하여 오디오 구동부(77)에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오디오 구동부(77)는 삽입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센터 스피커 유닛(71) 및 프론트 좌우측 스피커 유닛들(73,72)을 하강시켜서 원위치 시킨다(S106).
오디오 출력부(78)는 제어부(2)로부터 공급된 5.1채널 오디오 신호를 입체음향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증폭 또는 지연시켜서 거리 차에 의한 최적 입체 음향이 출력될 수 있게 한다. 오디오 출력부(78)는 각 채널별로 볼륨크기를 제어하여 출력 레벨을 조정하거나 거리 차에 따른 지연량을 제어하여 출력 시점을 조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출력부(78)의 제어 프로그램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어부(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체형측정부(8)를 통해 착좌한 피시료자의 체형을 측정한다(S110). S110단계에서 체형이 측정되면 체형측정정보로부터 피시료자의 청취 원점(P0)을 산출한다(S112). 제어부(2)는 산출된 청취원점(P0)으로부터 각 스피커 유닛들 까지의 거리(d1, d2, d3, d4, d5, d6)를 각각 산출한다(S114). 제어부(2)는 S114단계에서 산출된 거리 정보에 따라 각 스피커 유닛들의 입체음향 파라미터, 예컨대 볼륨크기 제어값 또는 출력지연시간 제어값을 산출한다(S116). 제어부(2)는 산출된 입체음향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오디오 처리부(78)에 인가한다(S118). 오디오 출력부(78)는 인가된 제어신호에 따라 각 채널의 오디오 신호의 볼륨 크기 또는 신호 지연량을 제어하여 각 스피커에 제어된 전류신호를 인가하여 오디오를 출력한다. 따라서 피시료자의 체형 크기에 적응된 최적의 입체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 예들이 제어부(2)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저장부(6)에 저장되고, 제어부(2)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적용된 의자형 마사지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제2실시예에 적합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실시예의 마사지 장치(200)는 제1실시예의 마사지 장치(1)와 비교하여 디스플레이 유닛(280)을 더 구비하고 디스플레이 유닛(280)에 센터 스피커 유닛(271)이 배치된 점이 다르다. 따라서 나머지 동일한 부분은 부호 하위 두 자리를 동일하게 부가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1)의 조작부(3) 대신에 터치패드를 포함한 디스플레이부(203)로 구성하고, 오디오 구동부(277)는 디스플레이부(203)에 부가된 센터 스피커 유닛(271)은 고정방식으로 대치되고 한 쌍의 프론트 스피커 유닛(2720, 273)만 승강 구동시킨다는 점이 다르다.
제2실시예(200)는 상술한 구성적 차이점을 제외하고 작용효과는 상술한 제1실시예(1)와 동일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5.1채널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4채널 또는 7.1채널 사운드 시스템으로 확장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센터 스피커 유닛은 시트부 상방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유닛에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마사지 장치는 의자형 마사지 장치의 다채널화로 제품 고급화 및 고품질화가 가능하고 입체음향 분위기에서 보다 편안하게 마사지를 즐길 수 있게 한다.

Claims (8)

  1. 시트부, 발걸이부, 등받이부, 팔걸이부를 포함한 의자형 마사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 전단에 배치되고 피시료자의 착좌 또는 이탈 동작에 응답하여 삽입되는 초기위치와 돌출되는 청취위치 사이에서 무빙되는 센터 스피커;
    상기 시트부 좌우측 팔걸이부 전단에 각각 배치되고 피시료자의 착좌 또는 이탈 동작에 응답하여 삽입되는 초기위치와 돌출되는 청취위치 사이에서 무빙되는 한 쌍의 프론트 스피커들;
    상기 등받이 상단 좌우측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레어 스피커들; 및
    상기 다수의 스피커들에 각각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인가하는 다채널 오디오 출력부을 구비하고,
    상기 오디오 출력부는 상기 시트부에 피시료자의 착좌상태에서 피시료자의 체형을 검출하고, 검출된 체형정보에 의해 피시료자의 청취원점을 산출하고, 산출된 청취원점과 각 스피커들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각 스피커들에 인가되는 오디오신호의 볼륨 크기 또는 시간 지연량을 조정하여 입체음향을 발생하고, 상기 청취원점을 산출하는 구성이, 어깨위치 검출기에 의해 어깨 위치로부터 허리까지 시료자가 승강되는 거리(S)와 등받이부의 기울기(θ) 파라미터 값에 의해 어깨 높이(h1)를 산출 및 산출된 어깨 높이(h1)에 어깨로부터 귀까지의 평균 거리(S2)를 더하여 청취 원점(P0)의 높이(h2)를 산출하는 것을 포함하고, 청취 원점(P0)의 높이 및 좌표가 결정되면 스피커 유닛의 중심까지의 거리(d1)를 산출하는 의자형 마사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스피커는
    상기 시트부 전단 상방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유닛에 설치된 의자형 마사지 장치.
  5. 삭제
  6. 삭제
  7. 시트부, 발걸이부, 등받이부, 팔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부 전단에 배치된 센터 스피커와, 시트부 좌우측 팔걸이부 전단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프론트 스피커들과, 상기 등받이 상단 좌우측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레어 스피커들과, 상기 다수의 스피커들에 각각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인가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구비한 의자형 마사지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에 피시료자의 착좌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착좌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한 쌍의 프론트 스피커들을 초기위치에서 청취 위치로 이송시키고, 상기 시트부로부터 피시료자의 이탈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한 쌍의 프론트 스피커들을 상기 청취위치에서 상기 초기 위치로 이송시키고,
    상기 시트부에 피시료자의 착좌상태에서 피시료자의 체형을 검출하고, 검출된 체형정보에 의해 피시료자의 청취원점을 산출하고, 산출된 청취원점과 각 스피커들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각 스피커들에 인가되는 오디오신호의 볼륨 크기 또는 시간 지연량을 조정하여 입체음향을 발생하고,
    상기 청취원점을 산출하는 구성이, 어깨위치 검출기에 의해 어깨 위치로부터 허리까지 시료자가 승강되는 거리(S)와 등받이부의 기울기(θ) 파라미터 값에 의해 어깨 높이(h1)를 산출 및 산출된 어깨 높이(h1)에 어깨로부터 귀까지의 평균 거리(S2)를 더하여 청취 원점(P0)의 높이(h2)를 산출하는 것을 포함하고, 청취 원점(P0)의 높이 및 좌표가 결정되면 스피커 유닛의 중심까지의 거리(d1)를 산출하는 의자형 마사지 장치의 제어방법.
  8. 삭제
KR1020140138848A 2014-10-15 2014-10-15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가진 의자형 마사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80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848A KR101680194B1 (ko) 2014-10-15 2014-10-15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가진 의자형 마사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848A KR101680194B1 (ko) 2014-10-15 2014-10-15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가진 의자형 마사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631A KR20160044631A (ko) 2016-04-26
KR101680194B1 true KR101680194B1 (ko) 2016-11-29

Family

ID=55919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8848A KR101680194B1 (ko) 2014-10-15 2014-10-15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가진 의자형 마사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01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748A (ko) * 2018-04-13 2019-10-23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회전하며 돌출하는 소리 출력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마사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969B1 (ko) * 2017-08-30 2020-09-16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사용자 맞춤 음향을 제공하는 마사지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1085958A2 (ko) 2019-10-30 2021-05-06 박재범 케이블 보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의자
KR102468528B1 (ko) 2019-10-30 2022-11-18 박재범 케이블 보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의자
KR102153707B1 (ko) 2019-10-30 2020-09-08 박재범 다채널스피커가 장착된 이동식 의자
KR20210108134A (ko) 2020-02-25 2021-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마장치
KR102506143B1 (ko) * 2020-10-05 2023-03-06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명상 마사지를 제공하는 마사지 장치
KR20230027904A (ko) * 2021-08-20 2023-02-28 주식회사 세라젬 스피커 조립체가 구비된 마사지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0630A (ja) * 1999-10-29 2001-05-08 Brother Ind Ltd マッサージチェア
JP2003135210A (ja) * 2001-10-31 2003-05-13 Toshiba Tec Corp 椅 子
KR101161453B1 (ko) * 2005-05-13 2012-07-02 소니 주식회사 음향 재생 방법 및 음향 재생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0630A (ja) * 1999-10-29 2001-05-08 Brother Ind Ltd マッサージチェア
JP2003135210A (ja) * 2001-10-31 2003-05-13 Toshiba Tec Corp 椅 子
KR101161453B1 (ko) * 2005-05-13 2012-07-02 소니 주식회사 음향 재생 방법 및 음향 재생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748A (ko) * 2018-04-13 2019-10-23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회전하며 돌출하는 소리 출력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마사지 장치
KR102052820B1 (ko) 2018-04-13 2019-12-05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회전하며 돌출하는 소리 출력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마사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631A (ko) 201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0194B1 (ko)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가진 의자형 마사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1357099B (zh) 按摩装置
CN109124160B (zh) 软硬度可调的音乐按摩床垫
KR20160049622A (ko) 사고 방지기능을 가진 의자형 마사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7113251A (ja) マッサージ機
KR101680170B1 (ko) 의자형 마사지 장치의 안전매트 및 의자형 마사지 장치의 제어방법
CN106852720B (zh) 按摩椅的睡眠模式运行方法和能够执行该方法的按摩椅
KR101621866B1 (ko) 대퇴부 근육 테라피 기능을 가진 의자형 마사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TW201729779A (zh) 氣囊及按摩機
JP5474286B2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KR20180023370A (ko) 안마의자의 사용자 맞춤형 초기위치 설정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안마의자
KR101647075B1 (ko) 복부 테라피 기능을 가진 의자형 마사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17962A (ko) 고객 선호에 따라서 개인화된 맞춤형 마사지를 제공하는 마사지 장치의 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JP2002136562A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KR20220113316A (ko) 팔 마사지부를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US20210252553A1 (en) Vibration presentation apparatus and vibration presentation method
JP5306173B2 (ja) マッサージ機
CN205459679U (zh) 一种健康保健的振动按摩床
KR102406734B1 (ko) 착석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어튜브시트를 구비한 마사지 장치
KR102646455B1 (ko) 에어튜브시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착좌감을 향상시킨 마사지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383286B1 (ko) 에어튜브시트를 구비한 마사지 장치와 그 동작 방법
WO2023149018A1 (ja) マッサージ装置、及び、マッサージユニット
KR102524755B1 (ko) 허리를 견인하기 위한 마사지 장치
KR102660086B1 (ko) 허리를 견인하기 위한 마사지 장치
TWM544322U (zh) 按摩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