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0159B1 -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0159B1
KR101680159B1 KR1020150068893A KR20150068893A KR101680159B1 KR 101680159 B1 KR101680159 B1 KR 101680159B1 KR 1020150068893 A KR1020150068893 A KR 1020150068893A KR 20150068893 A KR20150068893 A KR 20150068893A KR 101680159 B1 KR101680159 B1 KR 101680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ustomer
customer terminal
data
zone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8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병원
Original Assignee
양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병원 filed Critical 양병원
Priority to KR1020150068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01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2Application layer protocols, e.g.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고객 단말로부터 수집된 고객 단말이 위치한 지점에서 사용가능한 와이파이 단말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SSID와 기 저장된 SSID를 비교하여, 수집된 SSID가 기 저장된 SSID인 경우, SSID의 엑세스를 위한 엑세스 데이터를 고객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고객 단말로 기 저장된 SSID와 매핑되어 저장된 가맹점 단말의 아이콘을 전송하여 고객 단말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고객 단말은, 아이콘과 함께 디스플레이된 SSID를 선택 및 엑세스 데이터를 이용하여 와이파이 단말로의 접속 및 인증을 수행하여 와이파이 단말로부터 유동 IP를 부여받고, 와이파이 단말을 경유하여 가맹점 단말로 접속되는 경우, 가맹점 단말로부터 와이파이 존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WIFI ZONE SERVICE}
본 발명은 와이파이 존을 이용하여 영업장 내외부의 고객에게 와이파이 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단말 및 스마트 패드의 보급이 증가하고 있으며, 영업장이나 점포 등 많은 장소에서 필요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으나, 와이파이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대부분이 인터넷상의 다른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한 목적인 경우가 많고, 영업장에서 와이파이 존을 이용하여 고객의 편의 제공을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이때, 와이파이 존을 이용하는 방법은 무선랜에 연결된 이동 단말이 AP(Access Point)가 제공하는 서비스인 URL 정보, 광고 정보 및 쿠폰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3-0081970호(2013.07.18 공개)에는, 무선랜을 이용하는 단말에서 AP에 접속하지 않고도 AP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단말과 AP 간의 통신 프로토콜의 데이터 구조를 정의하고, 정의된 데이터 구조를 이용하여 단말이 탐색한 AP가 제공하는 서비스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다만, AP에서 쿠폰이나 광고를 제공한다고 할지라도 사용자에게 필요없는 쿠폰이나 광고는 스팸 메세지로 전락할 수 있고, 쿠폰이나 광고를 제공한 AP 및 가맹점에 대한 반감만 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객이 영업장에 입장하여 종업원의 도움없이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인터넷의 복잡한 검색 과정을 거치지 않고 현장에서 빠르고 쉽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서버와 연계하고, 영업장의 외부에서도 영업장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객 단말로부터 수집된 고객 단말이 위치한 지점에서 사용가능한 와이파이 단말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SSID와 기 저장된 SSID를 비교하여, 수집된 SSID가 기 저장된 SSID인 경우, SSID의 엑세스를 위한 엑세스 데이터를 고객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고객 단말로 기 저장된 SSID와 매핑되어 저장된 가맹점 단말의 아이콘을 전송하여 고객 단말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고객 단말은, 아이콘과 함께 디스플레이된 SSID를 선택 및 엑세스 데이터를 이용하여 와이파이 단말로의 접속 및 인증을 수행하여 와이파이 단말로부터 유동 IP를 부여받고, 와이파이 단말을 경유하여 가맹점 단말로 접속되는 경우, 가맹점 단말로부터 와이파이 존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기 구축된 인프라인 와이파이 존을 이용하여 고객에게 필요한 시점에서 필요한 장소에서 간단한 방법으로 정보제공이 가능하여 고객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와이파이 존 서비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존 서비스는, 무선 공유기를 이용하여 사설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구성된 네트워크에서는 특정의 IP(예를 들면, 192.168.0.10을 고정 IP로 지정하고, 나머지는 유동 IP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여 운영한다)에 서버 컴퓨터를 연결하고, 와이파이 존 내에 위치한 고객 단말은 유동 IP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간단하게 같은 네트워크가 되도록 하고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데이터를 주고받음으로써 개별화된 서버 클라이언트 서비스를 실시할 수 있다. 이때, 휴대폰 사용자는 앱을 설치하고 실행시키게 되면 휴대폰 사용자가 있는 장소에서 사용가능한 무선 네트워크를 검색하여 검색된 네트워크 이름을 본사 서버로 전송한다. 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져 온 네트워크의 이름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본 서비스가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 이름인지 아닌지를 확인하여 가맹점으로 등록된 경우라면 패스워드와 함께 무선 네트워크의 이름을 휴대폰으로 전달하여 준다. 휴대폰에서는 전달받은 리스트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접속 가능한 리스트를 만들어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아이콘을(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들어간 영업점의 와이파이 존이 될 수 있지만) 클릭하면 앱은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무선 공유기로부터 유동IP를 하나 받으면서 같은 네트워크의 하나의 단말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특정한 IP(서버 컴퓨터에 할당된 IP)를 이용하여 빠르고 간단하게 서버에 접속하게 될 수 있다. 이때, 무선 네트워크 이름은 SSID일 수 있고, 패스워드는 KEY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존 서비스에 따르면, 휴대폰에 설치된 앱을 실행시키게 되면, 휴대폰은 와이파이 네트워크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고, 영업장의 무선 공유기와 주변에 있는 무선 AP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목록을 수신하고, 사용가능한 무선 네트워크의 이름을 본사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본사 서버에서는 전송된 무선 네트워크의 이름이 가맹점인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가맹점인 경우 패스워드와 함께 네트워크의 이름을 휴대폰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폰에서는 전송받은 무선 네트워크 이름, 예를 들어 영업장의 상호를 아이콘이나 회사 마크로 함께 표시하고, 휴대폰 사용자가 아이콘이나 영업장의 상호를 클릭하면, 무선 네트워크의 이름과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영업장의 무선 공유기에 접속을 시도하고, 하나의 유동 IP를 부여받게 되며, 휴대폰은 영업자의 네트워크와 동일한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이때, 동일한 네트워크에서는, 특정 고정 IP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서버가 연결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92.168.0.10은 웹서버, 192.168.0.11은 커스트마이징된 전용서버, 192.168.0.12는 재난 정보제공 서버, 192.168.0.13은 고객의 위치정보를 RFID기반으로 한 서비스 제공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휴대폰은 특정 서버에 접속될 수 있으며, 서버의 연계 동작으로 주문, 결제, 위치 안내, 재난 정보 제공, 홍보를 포함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비교적 소규모의 영업장에서는 웹 서버와 HTML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음으로써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식당인 경우에는 웹 서버에서 메뉴판을 HTML로 보내주고 휴대폰에서는 메뉴판을 디스플레이하며, 고객이 메뉴를 주문하는 경우 테이블의 번호 또는 위치를 입력하거나 RFID 태그를 리딩함으로 간단하고 쉽게 주문을 할 수 있고, 주문된 내용은 카운터 및 주방에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 결제 서비스와도 연동될 수 있으므로, 고객의 편리성을 더할 수도 있다. 또한, 규모가 큰 사업장이라면 전용 서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설치 및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와이파이 단말로 접속된 고객 단말을 감지할 때, 고객 단말로부터 리딩된 RFID 태그를 수집하는데, 역이나 공항의 게이트 안내 및 유도가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은행의 경우 대기자 순번표를 뽑지 않아도 와이파이 존에 들어가는 것만으로도 휴대폰 대기자 순번표를 전달받는 것이 가능하며, 대형 마트나 백화점의 경우와 같이 넓은 매장의 경우, 고객이 사고자 하는 상품이 어디에 진열이 되어 있는지를 알려줄 수도 있다. 그리고, 매장에 진열된 매장 진열 상품과 관련된 정보를 빠르게 찾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폰 사용자가 위치한 지점에서 제공받을 수 있는 재난과 구조에 관한 정보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를 활용하고 싶은 경우에도, 재난 아이콘을 클릭함으로써 재난 구조 서버에 접속하여 재난과 구조에 관한 정보를 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로상에서 차량의 고장이 난 경우라면, 기 설치된 도로상의 와이파이 존이 도로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고, 휴대폰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현재 위치에서 받을 수 있는 재난 관련 정보와 구조 요청 등 다양한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구조 요청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조 시도를 할 수 있게 되며,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와이파이 단말(100), 가맹점 단말(200),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 고객 단말(500), RFID 태그(6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3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와이파이 단말(100)과 가맹점 단말(200)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와이파이 단말(100)은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와 연결될 수 있고, 고객 단말(500)과도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가맹점 단말(200)은 와이파이 단말(100)과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를 경유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와이파이 단말(100), 가맹점 단말(200) 및 고객 단말(500)과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고객 단말(500)은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RFID 태그(6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30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300)의 일 예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W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1에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판매자 단말(100), 가맹점 단말(200),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 고객 단말(500) 및 RFID 태그(600)는 도 1에 도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와이파이 단말(100)은, 와이파이(Wireless Lan(WLAN)) 존(Zone)을 제공하는 단말로, 무선 접속 장치(AP: Acess Point)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와이파이 단말(100)은 전파나 적외선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일정 거리 내에서 무선 인터넷을 제공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망을 제공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와이파이 단말(100)은, IEEE 802.11 기반의 무선랜 연결과 장치간 연결(PAN/LAN/WAN 구성)을 지원하는 단말일 수 있다.
가맹점 단말(200)은,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고객 전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고객 전송 데이터는 시간 또는 장소에 동기화된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 전송 데이터는 고객이 가맹점에 문을 열고 들어온 경우나 와이파이 존에 처음 접속(Access)된 경우, 안녕하세요 xxx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라는 환영 문구를 푸시하고, 주문을 하거나 물건을 고르거나 음식을 주문하거나, 티켓을 구입하거나, 체크인을 하거나 하는 시점이나 지점인 경우, 주문을 위한 메뉴, 물건을 고르기 위한 팜플렛, 음식을 주문하기 위한 메뉴, 티켓을 구입하기 위한 안내, 체크인을 위한 데이터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시점이나 지점인 경우, 고객 단말(500)에서 결제를 가맹점 단말(200)로 직접하거나,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를 경유하여 진행하도록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가맹점 단말(200)은 카드의 결제를 진행하고, 정산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가맹점 단말(200)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가맹점 단말(200)은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POS(Point Of Sale),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맹점 단말(200)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가맹점 단말(2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와이파이 단말(100)로부터 고객 단말(500)이 접속한 이벤트를 수신하는 경우, 고객 단말(500)로 가맹점 단말(200)에서 제공한 고객 전송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와이파이 단말(100)로부터 고객 단말(500)이 접속한 시간, 접속이 경과한 시간 및 장소에 대한 데이터를 파악 및 수신하여, 장소 또는 시간에 매핑된 고객 전송 데이터를 장소 또는 시간에 동기화되도록 고객 단말(5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미도시)와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이상 감지 데이터의 범위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구조 단말(미도시)로 알람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고객 단말(500)로부터 연락처 정보를 수신하여 고객 단말(500)의 지인 단말(미도시) 또는 재난 정보 서버(미도시)로 알람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미도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도난 상황 데이터와 매칭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구조 단말로 구조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와이파이 단말(100)로부터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가 기 설정된 RSSI인 고객 단말(500)을 감지하는 경우, 해당 고객 단말(500)로 광고 또는 홍보를 위한 쿠폰이나 이벤트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고객 단말(500)은, 와이파이 단말(100)에 접속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고객 단말(500)은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의 접근 및 데이터 수집을 허용한 경우, 고객 단말(500)에서 입력된 텍스트, 저장된 텍스트 등을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고객 단말(500)은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시간 또는 장소에 동기화된 고객 전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고객 단말(500)은 고객 전송 데이터가 결제 데이터에 대응한 데이터인 경우, 이를 통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단말일 수 있고, 메뉴 또는 주문 데이터에 대응한 데이터인 경우, 메뉴를 고르거나 주문을 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고객 단말(500)에서 결제를 하는 경우에는 가맹점 단말(200)과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를 경유하여 가맹점 단말(200)과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고객 단말(500)은, 가맹점에 메쉬 형태로 설치되어 장소 또는 위치를 식별하도록 하는 RFID 태그(600)를 읽을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RFID 태그(600)는 고객 단말(500)에서 사용자의 별도 입력이 없을지라도 자동적으로 태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RFID 태그(600)는 NFC 태그로 대체될 수도 있다. 여기서, 고객 단말(500)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고객 단말(500)은,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POS(Point Of Sale),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객 단말(500)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고객 단말(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RFID 태그(600)는 가맹점 내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FID 태그(600)는, 별도의 전원의 공급을 요구하지 않는 수동형 태그(Passive Tag)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구현예 또는 실시예의 변경에 따라 능동형 태그(Active Tag)로 구현될 수도 있고, NFC 태그로 변경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와이파이 존 서비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수신부(410), 수집부(420), 추출부(430), 전송부(440), 서비스 제공부(450), 재난 구조부(460), 커스터마이징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 또는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와이파이 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가맹점 단말(200) 및 고객 단말(500)로 전송하면, 가맹점 단말(200) 및 고객 단말(500)은 해당 서비스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가맹점 단말(200) 및 고객 단말(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앱(app)은 모바일 콘텐츠를 자유롭게 사고 파는 가상의 장터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단말(100), 가맹점 단말(200),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 고객 단말(500), RFID 태그(600)는 네트워크(300)에 의해 통신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300) 연결을 생성하는 것은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가 네트워크(300)로 연결되어 있는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통신 접점에 통신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통신 객체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고객 단말(500)로부터 수집된 고객 단말(500)이 위치한 지점에서 사용가능한 와이파이 단말(100)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수집된 SSID와 기 저장된 SSID를 비교하여, 수집된 SSID가 기 저장된 SSID인 경우, SSID의 엑세스를 위한 엑세스 데이터를 고객 단말(5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고객 단말(500)로 기 저장된 SSID와 매핑되어 저장된 가맹점 단말(200)의 아이콘을 전송하여 고객 단말(500)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고객 단말(500)은, 아이콘과 함께 디스플레이된 SSID를 선택 및 엑세스 데이터를 이용하여 와이파이 단말(100)로의 접속 및 인증을 수행하여 와이파이 단말(100)로부터 유동 IP를 부여받고, 와이파이 단말(100)을 경유하여 가맹점 단말(200)로 접속되는 경우, 가맹점 단말(200)로부터 와이파이 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가맹점 단말(200)로부터 기 설정된 고정 IP를 설정받을 수도 있다.
수신부(410)는, 가맹점 단말(200)로부터 와이파이 존 내에 위치한 고객 단말(500)로 전송할 고객 전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존 내에 위치한 고객 단말(500)인지의 여부를 구분하기 위하여, 수신부(410)는 와이파이 단말(100)에 접속한 고객 단말(500)의 RSSI를 기준으로 와이파이 존 내외인지의 여부를 구분할 수도 있고, 와이파이 단말(100)에 접속된 단말인지의 여부를 기준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수집부(420)는, 와이파이 존을 형성하는 와이파이 단말(100)로부터 와이파이 단말(100)로 접속된 고객 단말(500)의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면, 고객 단말(500)의 히스토리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고객 단말(500)의 히스토리 데이터는, 커스터마이징부(470)에서, 고객 단말(500)에 기 저장된 텍스트 검색 정보, 사용자 개인 정보, 사용자 구매 금액 및 패턴 정보를 수집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고객이 어느 품목에 어느 정도에 돈을 소비하는 사용자인지, 어떠한 패턴의 의류를 좋아하는지, 어떠한 종류의 음식을 좋아하는지, 주로 이용하는 항공이나 대중교통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고객에게 맞춤형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추출부(430)는, 수집된 히스토리 데이터와 고객 전송 데이터 간의 유사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유사도에 기반한 고객 전송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 전송 데이터에 포함된 가맹점의 메뉴나 의류 등과, 사용자의 히스토리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의미 단어 집합 중 매칭되는 항목이 있거나, 그 유사도가 기 설정된 유사도를 초과하는 경우, 이는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자가 좋아할만한 품목이나 아이템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추출부(430)는, 히스토리 데이터와 고객 전송 데이터 간의 데이터베이스 중 의미 단어 집합 간의 유사도를 파악하고, 파악된 유사도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리스트를 고객 단말(500)로 전송하기 위하여 추출할 수 있다.
전송부(440)는, 추출된 고객 전송 데이터를 고객 단말(5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와이파이 단말(100)은, 와이파이 단말(100)로 접속된 고객 단말(500)을 감지할 때, 고객 단말(500)로부터 리딩된 RFID 태그(600)를 수집하고, 수집된 RFID 태그(600)는 가맹점에 메쉬 타입(Mesh Type)으로 노드를 형성한 적어도 하나의 RFID 태그(600) 중 어느 하나이고, RFID 태그(600)는 가맹점의 지점과 일대일 매칭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고객이 어느 위치에 위치한지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이 외부에 위치한 경우 GPS를 이용하면 되지만, 건물 내에 집입한 경우에는 고객의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서비스 제공부(450)는, 와이파이 존을 형성하는 와이파이 단말(100)로부터 와이파이 단말(100)로 접속된 고객 단말(500)의 감지 데이터를 수신한 후, 고객 단말(500)의 히스토리 데이터를 수집하기 이전에, 고객 단말(500)이 위치한 지점에 대응하는 기 저장된 고객 전송 데이터를 고객 단말(5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지점에 대응하는 기 저장된 고객 전송 데이터는, 고객의 가맹점 진입, 구매 결정, 위치 안내, 길 안내, 방향 안내, 정보 안내 또는 결제에 대응하는 시간 또는 장소에 동기화된 데이터일 수 있다.
재난 구조부(46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 데이터가, 기 설정된 감지 데이터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또는 고객 단말(500)의 요청이 있을 경우, 와이파이 단말(100)과 연결된 고객 단말(500)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고객 단말(500)에 기반하여, 고객 단말(500)의 지인 연락처로 알람 데이터를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구조 서버로 가맹점 단말(200)의 위치 정보 및 감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연동될 수 있다.
그리고, 와이파이 존은 와이파이 단말(100)과 연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공유기로 형성되는 무선 네트워크 및 유선 네트워크일 수 있고, 무선 네트워크 및 유선 네트워크는 사설 IP 주소를 이용하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 IP를 지정하면, 적어도 하나의 고정 IP는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웹 서버이거나 서버 프로그램이 설치된 서버, 또는 전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서버일 수 있으며, 고객 단말(500)은,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가 웹 서버인 경우, HTML에 기반하여 고객 정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가 서버 프로그램인 경우 브라우저를 통하여 고객 정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고객 단말(500)이 위치한 지점에서 사용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의 이름 즉, SSID(Service Set Identifier) 수집하여 목록을 본사 서버(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본사 서버에서는 고객 단말로부터 전송되어 온 SSID를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여 상기 와이파이 존을 이용한 고객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약정된 SSID인지 아닌지 확인하고,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이전에 약정된 SSID라면 고객 단말이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KEY를 함께 고객 단말(5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고객 단말(500)에서는 본사 서버로부터 전송되어져 온 SSID와 KEY를 저장하고 고객 단말에 해당 영업장의 SSID를 아이콘과 함께 고객 단말(500)에 표시할 수 있으며, 고객 단말(500)에서 고객이 원하는 영업장의 SSID를 선택하면 해당 무선 네트워크의 SSID와 KEY를 이용하여 접속하고 유동 IP를 부여받을 수 있고, 고객 단말(500)은 해당 네트워크의 사전에 지정된 특정 IP를 이용하여 서버 컴퓨터에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고객의 필요에 따라 해당 영업장의 서버로부터 고객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서 실행되는 와이파이 존 서비스의 일 실시예를 도 3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a) RFID 태그(600)는 메쉬 형태로 노드를 형성하며 가맹점에 설치될 수 있고, 각각의 RFID 태그(600)는 가맹점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의 위치를 위한 식별번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와이파이 단말(100)은 고객 단말(500)이 와이파이 단말(100)에 접속한 경우, 고객 단말(500)로부터 RFID 태그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단말(100)은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RFID 값을 포함한 고객 단말(500)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고객 단말(500)로 가맹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시간 또는 장소에 동기화된 고객 전송 데이터를 수신 및 출력할 수 있다. 이때, (b) 고객 단말(500)이 가맹점에 진입한 경우, 고객 전송 데이터를 수신한 고객 단말(500)은, 고객에게 본 가맹점에 온 것을 환영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호텔에 온 경우, 고객 단말(500)의 예약 상황을 파악하여 고객 단말(500)의 체크인을 직원의 도움없이도 할 수 있고, 등록된 카드가 있고 디파짓을 지급해야 하는 경우에는, 등록된 카드로 디파짓을 위한 승인을 할 수 있다. 또한, 승인 정보는 가맹점 단말(200)로 전송될 수 있으며, 방 번호 및 위치를 안내하는 데이터가 고객 단말(500)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c) 고객 단말(500)은 방의 위치를 알려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d) 고객이 식당에 위치한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와이파이 단말(100)이 고객의 위치를 파악하여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전송한 경우,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고객 단말(500)의 데이터를 파악하고, 메뉴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고객 단말(500)에서 주문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수신한 주문 이벤트를 가맹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e)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건물에 재난이 발생한 경우에도 구조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와이파이 단말(100)에 접속된 고객 단말(500)의 정보를 파악하고,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하였으므로, 화재를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조 단말로 구조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는 연기 또는 온도 감지 센서로 감지할 수 있고, 건물 붕괴는 지진 감지 센서 또는 진동 센서 등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f)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열차를 타거나 항공기를 타야하는 승객에게 게이트(Gate)를 안내할 수도 있다. 즉, 열차를 타기 위한 대합실이나 항공기를 타야하는 공항에서 게이트의 수가 많고 고객이 해당 장소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에는, 게이트를 찾아 시간을 소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객이 열차나 항공을 놓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항공은 승객을 모두 호출하는 경우도 있지만, 열차나 다른 항공에서는 승객 호출 없이 승객이 모두 탑승하지 않았을지라도 바로 출발을 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 및 시간과 비용을 낭비하지 않도록 고객 단말(500)로 게이트 및 좌석의 위치를 안내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호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가맹점 단말(200)로부터 고객 전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가맹점 단말(200)과 매핑되도록 저장 및 데이터베이스화한다(S4100).
그리고 나서,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고객 단말(500)로부터 와이파이 단말(100)로의 접속을 감지하면(S4200, S4300), 고객 단말(500)로 하여금 RFID 태그(600)를 리딩하도록 RFID 리더기를 활성화시키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객 단말(500)에서 RFID 태그(600)를 리딩하는 경우(S4400),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고객 단말(500)로부터 리딩한 RFID 태그 데이터를 수신받을 수 있도록 하고(S4500), 히스토리 데이터도 수집하여(S4600), 시간 및 장소에 기반하여 고객 전송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한다(S4700).
그리고,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히스토리 데이터에 기반하여 고객 전송 데이터를 전송하고(S4800), 고객 단말(500)로부터 주문 및 결제를 수신한 경우, 가맹점 단말(200)로 주문 및 결제 정보를 전송하며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한다(S4900). 이때, 가맹점 단말(200)은 주문 및 결제 정보에 따른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재난이 발생한 경우(S4930), 고객 단말(500)로부터 연락처를 포함한 개인 정보를 수집한 후(S4950), 지인 단말로 알람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 발생된 위치를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조 단말로 재난 데이터를 전송한다(S4970).
여기서, 상술한 단계들(S4100~S497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97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4의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3을 통해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는, 가맹점 단말로부터 와이파이 존 내에 위치한 고객 단말로 전송할 고객 전송 데이터를 수신한다(S5100).
그리고 나서,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와이파이 존을 형성하는 와이파이 단말로부터 와이파이 단말로 접속된 고객 단말의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면, 고객 단말의 히스토리 데이터를 수집한다(S5200).
또한,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수집된 히스토리 데이터와 고객 전송 데이터 간의 유사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유사도에 기반한 고객 전송 데이터를 추출하며(S5300), 및 추출된 고객 전송 데이터를 고객 단말로 전송한다(S5400).
이와 같은 도 5의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4를 통해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와이파이 존(WIFI-ZONE)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고객 단말로부터 상기 고객 단말이 위치한 지점에서 사용가능한 와이파이 단말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SSID와 기 저장된 SSID를 비교하여, 상기 수집된 SSID가 기 저장된 SSID인 경우, 상기 SSID의 엑세스를 위한 엑세스 데이터를 상기 고객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고객 단말로 상기 기 저장된 SSID와 매핑되어 저장된 가맹점 단말의 아이콘을 전송하여 상기 고객 단말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 단말은, 상기 아이콘과 함께 디스플레이된 상기 SSID를 선택 및 상기 엑세스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와이파이 단말로의 접속 및 인증을 수행하여 상기 와이파이 단말로부터 유동 IP를 부여받고, 상기 와이파이 단말을 경유하여 상기 가맹점 단말로 접속되는 경우, 상기 가맹점 단말로부터 상기 와이파이 존 서비스를 제공받고,
    상기 와이파이 단말은, 상기 와이파이 단말로 접속된 고객 단말을 감지할 때,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리딩된 RFID 태그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RFID 태그는 가맹점에 메쉬 타입(Mesh Type)으로 노드를 형성한 적어도 하나의 RFID 태그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RFID 태그는 상기 가맹점의 지점과 일대일 매칭되고,
    상기 와이파이 존은 상기 와이파이 단말과 연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공유기로 형성되는 무선 네트워크 및 유선 네트워크이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 및 유선 네트워크는 사설 IP 주소를 이용하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 IP를 지정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IP는 상기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저장되고,
    상기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웹 서버이거나 서버 프로그램이 설치된 서버, 또는 전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서버이며,
    상기 고객 단말은, 상기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가 웹 서버인 경우, HTML에 기반하여 고객 정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가 서버 프로그램인 경우 브라우저를 통하여 상기 고객 정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인,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로 상기 기 저장된 SSID와 매핑되어 저장된 가맹점 단말의 아이콘을 전송하여 상기 고객 단말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가맹점 단말로부터 와이파이 존 내에 위치한 고객 단말로 전송할 고객 전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와이파이 존을 형성하는 와이파이 단말로부터 상기 와이파이 단말로 접속된 고객 단말의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고객 단말의 히스토리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히스토리 데이터와 상기 고객 전송 데이터 간의 유사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유사도에 기반한 고객 전송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고객 전송 데이터를 상기 고객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파이 존을 형성하는 와이파이 단말로부터 상기 와이파이 단말로 접속된 고객 단말의 감지 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고객 단말의 히스토리 데이터를 수집하기 이전에,
    상기 고객 단말이 위치한 지점에 대응하는 기 저장된 고객 전송 데이터를 상기 고객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점에 대응하는 기 저장된 고객 전송 데이터는, 고객의 가맹점 진입, 구매 결정, 위치 안내, 길 안내, 방향 안내, 정보 안내 또는 결제에 대응하는 시간 또는 장소에 동기화된 데이터인 것인,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연동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 데이터가, 기 설정된 감지 데이터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와이파이 단말과 연결된 고객 단말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고객 단말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고객 단말의 지인 연락처로 알람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구조 서버로 상기 고객 단말의 위치 정보 및 감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의 히스토리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 단말에 기 저장된 텍스트 검색 정보, 사용자 개인 정보, 사용자 구매 금액 및 패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를 수행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인,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방법.
  7.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고객 단말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청구항 1, 2 및 4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KR1020150068893A 2015-05-18 2015-05-18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80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893A KR101680159B1 (ko) 2015-05-18 2015-05-18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893A KR101680159B1 (ko) 2015-05-18 2015-05-18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0159B1 true KR101680159B1 (ko) 2016-11-28

Family

ID=57706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8893A KR101680159B1 (ko) 2015-05-18 2015-05-18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01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66545A (zh) * 2021-09-30 2021-12-07 北京房江湖科技有限公司 无线网络的身份识别方法和装置
KR20230152884A (ko) * 2022-04-27 2023-11-06 주식회사 케이씨티브이제주방송 와이파이를 활용한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349B1 (ko) * 2013-03-29 2014-03-10 이상영 스마트폰의 무선에이피(ap) 연결 기능을 이용한 업소의 맞춤형 정보 제공 방법 및 정보 공유 방법
KR101362944B1 (ko) 2013-05-21 2014-03-17 (주)엠켄들 와이파이 설정을 이용한 근접 인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근접 인식 단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349B1 (ko) * 2013-03-29 2014-03-10 이상영 스마트폰의 무선에이피(ap) 연결 기능을 이용한 업소의 맞춤형 정보 제공 방법 및 정보 공유 방법
KR101362944B1 (ko) 2013-05-21 2014-03-17 (주)엠켄들 와이파이 설정을 이용한 근접 인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근접 인식 단말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66545A (zh) * 2021-09-30 2021-12-07 北京房江湖科技有限公司 无线网络的身份识别方法和装置
CN113766545B (zh) * 2021-09-30 2024-04-09 贝壳找房(北京)科技有限公司 无线网络的身份识别方法和装置
KR20230152884A (ko) * 2022-04-27 2023-11-06 주식회사 케이씨티브이제주방송 와이파이를 활용한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28880B1 (ko) 2022-04-27 2024-01-25 주식회사 케이씨티브이제주방송 와이파이를 활용한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88264B1 (en) Marketing system and marketing method
KR101501032B1 (ko) 비콘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US8648697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formation service using network
JP6337332B1 (ja) 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情報配信方法
US9544734B2 (en) Integrated network based e-commerce and analysis systems and methods
US9008657B2 (en) Centralized context awareness through network association
US20170193491A1 (en) Mobile transaction device enabling dynamic electronic checkins
JP5802716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照合方法
CN104509137A (zh) 用于在预定位置进行通信的方法及系统
JP6580499B2 (ja) 広告提供システム、広告提供方法、および広告提供プログラム
KR101177862B1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배달 주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82966A (ko) 매장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스마트 매장
KR101736689B1 (ko) 검색 연동형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408284B1 (ko) 모바일 쿠폰 서비스 제공 방법
TW201528183A (zh) 用於資料處理的裝置、系統及方法
KR101680159B1 (ko)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방법
US10002380B2 (en) Beacon service method and device
CN104380326A (zh) 在一交易会话下的多台电子设备管理
KR102224803B1 (ko)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50213532A1 (en) Method, a device, a computer program for implementing electronic service requests
KR101380109B1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건물 내부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431754B1 (ko) 광고 정보 중개 방법 및 그 장치
JP5919358B1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2184382B1 (ko) 콘텐츠 열람 기반 인터넷 접속망 제공시스템
JP2017182366A (ja) 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