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2884A - 와이파이를 활용한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와이파이를 활용한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2884A
KR20230152884A KR1020220052084A KR20220052084A KR20230152884A KR 20230152884 A KR20230152884 A KR 20230152884A KR 1020220052084 A KR1020220052084 A KR 1020220052084A KR 20220052084 A KR20220052084 A KR 20220052084A KR 20230152884 A KR20230152884 A KR 20230152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store
server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2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8880B1 (ko
Inventor
공대인
이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티브이제주방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티브이제주방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티브이제주방송
Priority to KR1020220052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880B1/ko
Publication of KR20230152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2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3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mobile advert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파이를 활용한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은 와이파이 접속 시 미리 설정된 와이파이 스퀘어 내에 자동 접속되고, 데이터 로밍을 통해 서로 인접한 와이파이 스퀘어 내 이동 간에도 무중단 방식으로 와이파이를 사용함으로써, 실내외에서 끊김없이 무선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파이를 활용한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sharing data using WIFI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와이파이를 활용한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와이파이 접속 시 미리 설정된 와이파이 스퀘어 내에 자동 접속되고, 데이터 로밍을 통해 서로 인접한 와이파이 스퀘어 내 이동 간에도 무중단 방식으로 와이파이를 사용하는 와이파이를 활용한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와이파이(Wi-Fi)는 wireless fidelity(무선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줄임말이다.
이러한 와이파이는 전용선이나 전화선이 없이 근거리통신망을 가동시킬 수 있어 가정 및 사업장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많이 선택되었으며 노트북과 휴대전화, 개인용 휴대 정보 단말기(PDA), 전자 게임기 등 많은 장치에 무선 광대역 인터넷 접속을 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무선 인터넷 장치를 휴대하고 핫 스팟이라고 불리는 와이파이 접속 가능 지역에 가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지만, 해당 핫 스팟을 벗어날 경우 와이파이 접속 끊김이 발생하여 이용상에 불편함이 존재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09953호 [제목: 와이파이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파이 접속 시 미리 설정된 와이파이 스퀘어 내에 자동 접속되고, 데이터 로밍을 통해 서로 인접한 와이파이 스퀘어 내 이동 간에도 무중단 방식으로 와이파이를 사용하는 와이파이를 활용한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기종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통합 인증 서버 구축을 통해, 사용자 최초 인증 후, 추가적인 인증 절차 없이, 통합 인증 서버에 연동된 이기종간 액세스 포인트에서도 데이터 로밍을 통한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와이파이를 활용한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과 관련한 콘텐츠 및 매장 정보를 제공하는 와이파이를 활용한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를 활용한 데이터 공유 시스템은 앱 실행 결과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와이파이 메뉴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와이파이 메뉴에 대응하는 와이파이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되는 와이파이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와이파이 연결하기 메뉴가 선택될 때 기 선택된 와이파이 연결하기 메뉴에 대응하는 와이파이 연결하기 화면을 표시하는 단말; 및 상기 단말에 표시되는 와이파이 연결하기 화면에 표시되는 연결 가능한 하나 이상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어느 하나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가 선택될 때, 상기 단말과 상기 선택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간의 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와이파이 화면은, 와이파이에 연결하기 위한 와이파이 연결하기 메뉴, 와이파이 관련 서비스에 대한 구독 기능을 수행 중인 경우 구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구독 현황 메뉴, 와이파이 속도에 대한 비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 속도 메뉴, 와이파이 동시접속 기기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동시접속 기기 추가하기 메뉴 및, 구독 기능에 따라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는 와이파이 스퀘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 스퀘어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에서 무선 통신 연결 상태에서, 기존 와이파이 스퀘어에서 다른 와이파이 스퀘어로 이동할 때, 상기 서버와 연동하여, 데이터 로밍을 통해 끊김 없이 새로운 다른 와이파이 스퀘어에 포함된 다른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를 활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은 단말에 표시되는 앱 실행 결과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와이파이 메뉴가 선택될 때,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선택된 와이파이 메뉴에 대응하는 와이파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표시되는 와이파이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와이파이 연결하기 메뉴가 선택될 때,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선택된 와이파이 연결하기 메뉴에 대응하는 와이파이 연결하기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 표시되는 와이파이 연결하기 화면에 표시되는 연결 가능한 하나 이상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상기 단말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어느 하나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가 선택될 때, 상기 단말에 의해, 서버 및 상기 선택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와 연동하여, 상기 단말과 상기 선택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간의 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단말에 표시되는 와이파이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와이파이 속도 메뉴 내의 내 데이터 속도 갱신하기 항목이 선택될 때,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서버와 연동하여, 무선 통신 세대별로 상기 단말의 업로드 시간, 다운로드 시간, 지연 시간 및 지터(jitter)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단말의 업로드 시간, 다운로드 시간, 지연 시간 및 지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표시되는 와이파이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동시접속 기기 추가하기 메뉴가 선택될 때,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와 관련한 계정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단말 이외에 추가 디바이스를 와이파이 동시접속 기기로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 표시되는 와이파이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와이파이 스퀘어 메뉴가 선택될 때,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서버와 연동하여, 미리 설정된 복수의 와이파이 스퀘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와이파이 스퀘어에 대한 정보는, 실제 환경 필드 테스트를 통해 방사거리 및 통신 속도를 고려하여 배치한 와이파이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커버리지 영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단말이 위치한 와이파이 스퀘어 또는 상기 단말이 위치한 매장 내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통신 연결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단말에 대해서,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단말이 위치한 매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미리 등록된 단말의 식별 정보별 고객 정보 중에서 상기 수집된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서버에 미리 등록된 복수의 매장 정보 중에서 상기 수집된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단말이 위치한 매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대응하는 매장 단말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확인된 매장 단말로 상기 확인된 고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매장 단말에 의해,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고객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매장 단말에 의해, 상기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맞춤형 쿠폰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맞춤형 쿠폰을 상기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맞춤형 쿠폰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매장에 대응하는 상기 매장 단말, 상기 서버 및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맞춤형 쿠폰을 이용해서 상품 구매 또는 서비스 이용에 따른 결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상기 미리 설정된 와이파이 스퀘어 내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리 설정된 매장 주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매장 내부로 진입하는 경우 및, 매장 주변 또는 외부 또는 내부에 구비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QR 코드가 스캔되는 경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서버 및 상기 매장 단말과 연동하여, 귓속말 기능으로 상기 매장 단말의 관리자에게 비공개 리뷰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매장 단말에 의해, 상기 비공개 리뷰 정보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를 상기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응답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단말에서 무선 통신 연결 상태에서, 기존 와이파이 스퀘어에서 다른 와이파이 스퀘어로 이동할 때,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서버와 연동하여, 데이터 로밍을 통해 끊김 없이 새로운 다른 와이파이 스퀘어에 포함된 다른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와이파이 접속 시 미리 설정된 와이파이 스퀘어 내에 자동 접속되고, 데이터 로밍을 통해 서로 인접한 와이파이 스퀘어 내 이동 간에도 무중단 방식으로 와이파이를 사용함으로써, 실내외에서 끊김 없이 무선통신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기종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통합 인증 서버 구축을 통해, 사용자 최초 인증 후, 추가적인 인증 절차 없이, 통합 인증 서버에 연동된 이기종간 액세스 포인트에서도 데이터 로밍을 통한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위치한 어느 장소에서든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과 관련한 콘텐츠 및 매장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와이파이를 통한 데이터 로밍을 이용해서 무선통신의 끊김 없이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를 활용한 데이터 공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를 활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화면 예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를 활용한 데이터 공유 시스템(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파이를 활용한 데이터 공유 시스템(10)은 단말(100), 서버(200) 및 매장 단말(30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와이파이를 활용한 데이터 공유 시스템(1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와이파이를 활용한 데이터 공유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와이파이를 활용한 데이터 공유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단말(100) 및 상기 매장 단말(300)은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폴더블 단말기(Foldab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인공지능 스피커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서버(200)는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프록시 서버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에는 네트워크 부하 분산 메커니즘, 내지 해당 서버(200)가 인터넷 또는 다른 네트워크상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컴퓨터화된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http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전용 회선(private line), 인트라넷 또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단말(100), 상기 서버(200) 및 상기 매장 단말(300) 간의 연결은 데이터가 임의의 해커 또는 다른 제3자에 의한 공격을 받지 않도록 보안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복수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분산 데이터베이스 서버 아키텍처를 비롯한 임의의 유형의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서버(200)와 별도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단말(100), 상기 서버(200) 및 상기 매장 단말(300) 각각은 다른 단말들과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미도시), 다양한 정보 및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미도시), 다양한 정보 및 프로그램 실행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미도시), 상기 다양한 정보 및 프로그램 실행 결과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미도시), 각 단말의 다양한 구성 요소 및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 상기 매장 단말(300) 등과 통신한다. 이때, 상기 단말(100)은 특정 지역(예를 들어 제주도 등 포함)을 방문하는 사용자(또는 관광객/도민)가 소지한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와의 연동에 의해, 상기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전용 앱 및/또는 웹 사이트를 통해 라이프스타일 정보 확인 기능, 매장 정보 확인 기능, 장소 추천 기능, 와이파이 구독/설정 기능 등을 제공받기 위한 일반 사용자로 회원 가입하며, 개인 정보 등을 상기 서버(200)에 등록한다. 이때, 상기 개인 정보는 아이디, 이메일 주소, 패스워드(또는 비밀번호), 이름, 성별, 생년월일, 연락처, 주소지(또는 주소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해당 단말(100)의 사용자가 가입한 SNS 계정 정보 또는 타사이트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200)에 사용자로 회원 가입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SNS 계정은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카카오 스토리, 네이버 블로그 등과 관련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사이트 계정은 유튜브, 카카오, 네이버 등과 관련한 정보일 수 있다. 이때, 라이프스타일 정보 확인 기능, 매장 정보 확인 기능, 장소 추천 기능, 와이파이 구독/설정 기능 등을 제공받는 사용자(또는 관광객)와, 사용자의 매장 방문 등에 따른 다양한 통계 정보 확인 기능, 광고/홍보 기능 등을 제공하는 사업자(또는 매장 관리자)에 따라, 상기 전용 앱은 서로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회원 가입 절차 수행 시, 상기 단말(100)은 본인 인증 수단(예를 들어 이동 전화, 신용카드, 아이핀 등 포함)을 통한 인증 기능을 완료해야 상기 서버(200)에 대한 회원 가입 절차를 정상적으로 완료할 수 있다.
또한, 회원 가입이 완료된 후,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상기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전용 앱(또는 애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특정 앱)을 해당 단말(100)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전용 앱은 네이티브 앱(Native App), 모바일 웹앱(Mobile WebApp), 반응형 웹앱(Mobile WebApp Design: RWD), 적응형 웹앱(Adaptive Web Design: AWD), 하이브리드 앱(Hybrid App) 등을 포함하며, 라이프스타일 정보 확인 기능, 매장 정보 확인 기능, 장소 추천 기능, 와이파이 구독/설정 기능 등을 수행하기 위한 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해당 단말(100)에 미리 설치된 전용 앱을 실행하고, 전용 앱 실행에 따른 앱 실행 결과 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앱 실행 결과 화면은 해당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정보, 매장 정보 등을 제공하기 위한 초기 메뉴/홈 메뉴(또는 항목/버튼), 해당 단말(100)에서 와이파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 메뉴, 해당 단말(100)에 제공된 다양한 정보들 중에서 해당 단말(100)의 사용자가 좋아요를 선택하거나 스크랩 기능을 설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좋아요/스크랩 메뉴, 검색어에 따른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정보나 매장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메뉴, 와이파이 사용을 위한 구독 기능이나 다양한 이벤트에 참여하거나 전용 앱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메뉴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100)은 해당 전용 앱을 제공하는 서버(200)에 회원 가입한 상태로, 회원 가입에 따른 아이디 및 비밀번호, 상기 아이디를 포함하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 등을 이용해서 상기 전용 앱 실행 시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여, 해당 전용 앱의 하나 이상의 기능(예를 들어 라이프스타일 정보 확인 기능, 매장 정보 확인 기능, 장소 추천 기능, 와이파이 구독/설정 기능 등 포함)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라이프스타일 정보 확인 기능, 매장 정보 확인 기능, 장소 추천 기능, 와이파이 구독/설정 기능 등을 제공받는 사용자(또는 관광객)와, 사용자의 매장 방문 등에 따른 다양한 통계 정보 확인 기능, 광고/홍보 기능 등을 제공하는 사업자(또는 매장 관리자)에 따라, 상기 전용 앱은 서로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앱 실행 결과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초기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해당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정보, 매장 정보 등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선택된 초기 메뉴에 대응하는 초기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초기 화면(또는 홈 화면)은 다양한 사람들의 제주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는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라이프스타일 항목, 사용자의 성별 및 연령대에 따른 다른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내 또래들의 라이프스타일 엿보기 항목,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장소를 추천하기 위한 당신이 좋아할 만한 장소 항목(또는 라이프스타일을 통해 소개되는 매장 상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매장 정보 항목), 나와 다른 취향의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을 확인하기 위한 타인의 발견 항목(또는 타인의 취향 엿보기 항목), 많은 사용자가 검색하는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정보 또는 장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기 급상승 항목, 오늘의 추천 장소를 제공하기 위한 오늘의 장소 항목, 특정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추천 오늘의 라이프스타일 항목, 사용자의 매장 방문 이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내 발자국 항목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전용 앱 실행 시(또는 해당 전용 앱에 대한 로그인 시), 상기 단말(100)은 디폴트로 설정된 상기 앱 실행 결과 화면 내의 초기 메뉴에 대응하는 초기 화면을 자동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초기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라이프스타일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다양한 사람들의 제주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는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선택된 라이프스타일 항목에 대응하는 라이프스타일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라이프스타일 화면은 임의의 사용자(또는 전문 큐레이터)가 경험한 장소에 대한 제목/장소명, 해당 장소와 관련한 사업 카테고리, 해당 장소와 관련한 이미지/동영상, 해당 콘텐츠에 대한 좋아요 항목, 해당 콘텐츠에 대한 스크랩 항목, 해당 사용자가 해당 장소와 관련해서 하고 싶은 말(또는 코멘트), 위치 정보, 연락처, 해당 라이프스타일 화면에서 소개하고 있는 콘텐츠와 비슷한(또는 유사한) 콘텐츠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초기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내 또래들의 라이프스타일 엿보기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해당 단말(100)의 사용자의 성별 및 연령대에 따른 다른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선택된 내 또래들의 라이프스타일 엿보기 항목에 대응하는 내 또래들의 라이프스타일 엿보기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내 또래들의 라이프스타일 엿보기 화면은 사용자의 성별 및 연령대에 해당하는 다른 사용자들이 경험한 장소에 대한 제목/장소명, 해당 장소와 관련한 사업 카테고리, 해당 장소와 관련한 이미지/동영상, 해당 콘텐츠에 대한 좋아요 항목, 해당 콘텐츠에 대한 스크랩 항목, 해당 다른 사용자가 해당 장소와 관련해서 하고 싶은 말(또는 코멘트), 위치 정보, 연락처, 해당 내 또래들의 라이프스타일 엿보기 화면에서 소개하고 있는 콘텐츠와 비슷한(또는 유사한) 콘텐츠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초기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당신이 좋아할 만한 장소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장소를 추천하기 위해서(또는 라이프스타일을 통해 소개되는 매장 상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선택된 당신이 좋아할 만한 장소 항목에 대응하는 당신이 좋아할 만한 장소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당신이 좋아할 만한 장소 화면은 해당 단말(100)의 사용자가 가입시 등록한 개인 정보(또는 고객 정보)에 따라 추천되는 장소에 대한 제목/장소명, 해당 장소와 관련한 사업 카테고리, 해당 장소와 관련한 이미지/동영상, 해당 콘텐츠에 대한 좋아요 항목, 해당 콘텐츠에 대한 스크랩 항목, 해당 장소의 담당자에게 유선 통화를 연결하기 위한 전화 항목(또는 통화 항목), 해당 단말(100)의 현재 위치에서 해당 장소까지의 길 안내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길찾기 항목, 다른 사용자에게 해당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공유 항목, 해당 장소의 담당자와의 1:1 귓속말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귓속말 항목, 해당 장소에 대한 운영 정보(예를 들어 위치 정보, 요일별 운영 시간 정보, 홈페이지 주소 등 포함)를 표시하기 위한 운영 정보 항목, 연령별 입장료를 안내하기 위한 입장료 항목, 대표 메뉴를 안내하기 위한 대표 메뉴 항목, 주요 편의 시설(예를 들어 단체석, 무선인터넷, 배달, 예약, 주차, 포장 등 포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편의 시설 항목, 해당 장소 주변에 위치하며 해당 장소와 함께 방문 가능한 추가 장소를 소개하기 위한 함께 가보면 좋을 장소 항목, 해당 장소가 속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정보(또는 해당 장소를 소개하는 다른 사용자가 작성한/등록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정보)를 소개하기 위한 이 장소가 속한 라이프스타일 항목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초기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타인의 발견 항목(또는 타인의 취향 엿보기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나와 다른 취향의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을 확인하기 위해서, 상기 선택된 타인의 발견 항목에 대응하는 타인의 발견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타인의 발견 화면(또는 타인의 취향 엿보기 화면)은 성별 항목, 연령대 항목, 나의 상태 항목(예를 들어 도민, 관광객, 제주살이 등 포함), 먹고 싶은대로 항목(예를 들어 다이어트, 베이커리, 분식, 세계음식, 양식, 일식, 주류, 중식, 카페, 한식 등 포함), 하고 싶은대로 항목(예를 들어 걷기, 관람, 데이터, 드라이브, 반려동물과 함께, 사진찍기 좋은, 액티비티, 여행, 체험, 취미활동, 캠핑, 힐링 등 포함), 가고 싶은대로 항목(예를 들어 도로, 박물관/전시, 산, 상점, 섬, 스테이, 식물원, 오름, 올레길, 전통시장, 해변, 휴양림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타인의 발견 화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입력 항목에 대해서 상기 단말(100)의 사용자 입력(또는 사용자 선택/터치/제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입력값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해당 서버(200)에 등록된 복수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정보 및/또는 매장 정보 중에서 상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입력값을 충족하는 다른 사용자가 경험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정보, 해당 하나 이상의 입력값을 충족하는 다른 사용자가 경험한 매장 정보 등을 확인(또는 검색)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확인된(또는 검색된) 해당 하나 이상의 입력값을 충족하는 다른 사용자가 경험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정보, 해당 하나 이상의 입력값을 충족하는 다른 사용자가 경험한 매장 정보 등을 표시(또는 출력)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초기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인기 급상승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많은 사용자가 검색하는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정보 또는 장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선택된 인기 급상승 항목에 대응하는 인기 급상승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인기 급상승 화면은 상기 서버(200)에 의해 선정된 미리 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상위 10개)에 해당하는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정보 및 장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서버(20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복수의 사용자가 확인한(또는 검색한) 하나 이상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정보 및 장소에 대한 정보 중에서 조회수, 좋아요수, 스크랩수 등을 반영(또는 적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정보 및 장소에 대한 정보를 정렬하고, 상기 정렬된 상기 하나 이상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정보 및 장소에 대한 정보 중에서 미리 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상위 10개)에 해당하는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정보 및 장소에 대한 정보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미리 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상위 10개)에 해당하는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정보 및 장소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인기 급상승 화면으로 상기 단말(100)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초기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오늘의 장소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에 의해 선정된 오늘의 추천 장소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선택된 오늘의 장소 항목에 대응하는 오늘의 장소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오늘의 장소 화면은 해당 서버(200)에 등록된 복수의 장소(또는 매장 정보) 중에서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또는 랜덤하게 선정되는) 장소에 대한 제목/장소명, 해당 장소와 관련한 사업 카테고리, 해당 장소와 관련한 이미지/동영상, 해당 콘텐츠에 대한 좋아요 항목, 해당 콘텐츠에 대한 스크랩 항목, 해당 장소의 담당자에게 유선 통화를 연결하기 위한 전화 항목(또는 통화 항목), 해당 단말(100)의 현재 위치에서 해당 장소까지의 길 안내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길찾기 항목, 다른 사용자에게 해당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공유 항목, 해당 장소의 담당자와의 1:1 귓속말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귓속말 항목, 해당 장소에 대한 운영 정보(예를 들어 위치 정보, 요일별 운영 시간 정보, 홈페이지 주소 등 포함)를 표시하기 위한 운영 정보 항목, 연령별 입장료를 안내하기 위한 입장료 항목, 대표 메뉴를 안내하기 위한 대표 메뉴 항목, 주요 편의 시설(예를 들어 단체석, 무선인터넷, 배달, 예약, 주차, 포장 등 포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편의 시설 항목, 해당 장소 주변에 위치하며 해당 장소와 함께 방문 가능한 추가 장소를 소개하기 위한 함께 가보면 좋을 장소 항목, 해당 장소가 속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정보(또는 해당 장소를 소개하는 다른 사용자가 작성한/등록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정보)를 소개하기 위한 이 장소가 속한 라이프스타일 항목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초기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추천 오늘의 라이프스타일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해당 서버(200)에 등록된 복수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정보 중에서 미리 설정된 다른 조건을 충족하는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서, 상기 선택된 추천 오늘의 라이프스타일 항목에 대응하는 추천 오늘의 라이프스타일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추천 오늘의 라이프스타일 화면은 해당 서버(200)에 등록된 복수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정보 중에서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또는 랜덤하게 선정되는)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정보에 대한 임의의 사용자(또는 전문 큐레이터)가 경험한 장소에 대한 제목/장소명, 해당 장소와 관련한 사업 카테고리, 해당 장소와 관련한 이미지/동영상, 해당 콘텐츠에 대한 좋아요 항목, 해당 콘텐츠에 대한 스크랩 항목, 해당 사용자가 해당 장소와 관련해서 하고 싶은 말(또는 코멘트), 위치 정보, 연락처, 해당 추천 오늘의 라이프스타일 화면에서 소개하고 있는 콘텐츠와 비슷한(또는 유사한) 콘텐츠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초기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내 발자국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해당 단말(100)의 사용자의 매장 방문 이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선택된 내 발자국 항목에 대응하는 내 발자국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내 발자국 화면은 내가 방문한 적이 있는 장소(또는 매장)에 대한 제목/장소명, 위치 정보, 연락처, 방문 날짜 및 시각 정보, 머문 시간, 방문해서 경험했던(또는 구매했던/이용했던) 내용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기 단말(100)은 해당 단말(100)의 사용자의 성별, 연령, 취향 등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제주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정보, 추천 매장 정보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앱 실행 결과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와이파이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사용자와 관련한 와이파이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거나 현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상기 선택된 와이파이 메뉴에 대응하는 와이파이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와이파이 화면은 와이파이(또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하기 위한 와이파이 연결하기 메뉴, 와이파이 관련 서비스에 대한 구독 기능을 수행 중인 경우 구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구독 현황 메뉴, 와이파이 속도에 대한 비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 속도 메뉴, 와이파이 동시접속 기기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동시접속 기기 추가하기 메뉴, 구독 기능에 따라 무료/유료로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는 와이파이 스퀘어(wifi square)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 스퀘어 메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와이파이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와이파이 연결하기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해당 단말(100) 주변에 위치하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을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상기 선택된 와이파이 연결하기 메뉴에 대응하는 와이파이 연결하기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와이파이 연결하기 화면은 상기 서버(200)에 의해 검색된(또는 확인된) 해당 단말(1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연결 가능한 하나 이상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와이파이 통신 방식 종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명, 신호 강도 세기, 보안 설정 유무/비밀번호 설정 유무, 연결 상태 등 포함)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와이파이 연결하기 화면에 표시되는 연결 가능한 하나 이상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해당 단말(100)의 사용자 선택(또는 사용자 입력/터치/제어)에 따라, 어느 하나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 및 상기 선택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와 연동하여, 상기 선택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단말(100) 간의 무선 통신 연결(또는 와이파이 연결/접속)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와이파이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구독 현황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해당 단말(100)에서 구독 중인 와이파이 관련 서비스에 대한 구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서, 상기 선택된 구독 현황 메뉴에 대응하는 구독 현황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구독 현황 화면은 구독 중인 서비스 종류(예를 들어 일일 이용권, 주별 이용권, 월별 이용권/정기권 등 포함), 매월 결제일 정보, 매월 결제 금액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단말(100)은 해당 서버(200)에 대한 회원 가입을 통해 매일 무료로 제공되는(예를 들어 매일 500MB 와이파이 데이터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단말(100)은 해당 서버(200)에 회원으로 무료 가입 시 매일 무료로 제공되는 와이파이 서비스(또는 와이파이 데이터 사용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유료 가입 시 미리 설정된 기간에 따른 무제한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와이파이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와이파이 속도 메뉴 내의 내 데이터 속도 갱신하기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무선 통신 세대별로 해당 단말(100)의 업로드 시간, 다운로드 시간, 지연 시간, 지터(jitter) 등을 측정하고, 측정된 해당 단말(100)의 업로드 시간, 다운로드 시간, 지연 시간, 지터 등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 통신 세대는 와이파이 5(Wi-Fi 5), 와이파이 6(Wi-Fi 6), 와이파이 6E(Wi-Fi 6E), 5G, LTE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단말(100)이 상기 서버(200)에서 구성한 미리 설정된 와이파이 스퀘어 영역 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해당 와이파이 스퀘어 영역 내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에 제공하는 와이파이에 대해서 해당 단말(100)의 업로드 시간, 다운로드 시간, 지연 시간, 지터(jitter) 등을 측정하고, 해당 단말(100)에서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무선 통신 세대(예를 들어 5G, LTE 등 포함)에 따른 해당 단말(100)의 업로드 시간, 다운로드 시간, 지연 시간, 지터(jitter) 등을 측정하고, 상기 와이파이 스퀘어 영역 내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해서 측정된 정보들과 해당 단말(100)에서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무선 통신 세대와 관련해서 측정된 정보들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와이파이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동시접속 기기 추가하기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해당 사용자와 관련한 계정 정보를 이용해서 해당 단말(100) 이외에 추가 디바이스(또는 장치)를 와이파이 동시접속 기기로 추가한다. 이때, 상기 동시접속 기기 추가하기 메뉴는 해당 단말(100)에서 미리 설정된 구독 기능을 수행 중인 상태에서 활성화(또는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와이파이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동시접속 기기 추가하기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선택된 동시접속 기기 추가하기 메뉴에 대응하는 동시접속 기기 추가하기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해당 단말(100)에 표시되는 동시접속 기기 추가하기 화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또는 장치) 중에서 해당 단말(100)의 사용자 선택에 따른 특정 디바이스를 상기 단말(100) 이외에 해당 단말(100)에서 구독 중인 와이파이 서비스 이용과 관련한 동시접속 기기로 등록한다. 이때, 상기 새로 등록된 특정 디바이스에서 무료로 와이파이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특정 디바이스는 해당 단말(100)과 관련한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와이파이 스퀘어 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와이파이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100)을 핫 스팟으로 하여 상기 와이파이 스퀘어 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새로 등록된 특정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반영(또는 적용)하여, 업데이트된 와이파이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와이파이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와이파이 스퀘어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미리 설정된 복수의 와이파이 스퀘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와이파이 스퀘어에 대한 정보는 실제 환경 필드 테스트를 통해 방사거리, 통신 속도 등을 고려하여 배치한(또는 구성한) 와이파이 스퀘어(또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 해당 위치(또는 해당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커버리지 영역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상기 단말(100)(또는 해당 단말(100)을 소지한 사용자)이 위치한 와이파이 스퀘어 또는 상기 단말(100)(또는 해당 단말(100)을 소지한 사용자)이 위치한 매장 내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통신 연결(또는 와이파이 연결/접속)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단말(100)을 소지한 사용자가 상기 미리 설정된 와이파이 스퀘어 내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을 소지한 사용자가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리 설정된 매장 주변(또는 해당 매장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경)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을 소지한 사용자가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매장 내부로 진입하는 경우, 매장 주변/외부/내부에 구비된 제어 정보(또는 랜딩 페이지)를 포함하는 QR 코드가 스캔되는 경우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단말(100)은 이기종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통합 인증 서버(또는 상기 서버(200)) 구축을 통해, 사용자 최초 인증 후, 추가적인 인증 절차 없이, 상기 서버(200)에 연동된 이기종간 액세스 포인트에서도 데이터 로밍을 통해 자동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단말(100)은 특정 위치에 구비된 QR 코드를 스캔함에 따라, 해당 QR 코드에 포함된 제어 정보(또는 랜딩 페이지)에 의해서, 해당 QR 코드를 관리하는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를 근거로 해당 단말(100)에서의 와이파이 설정 기능을 자동으로 작동시켜, 해당 단말(100) 주변에 위치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푸시 메시지 형태로 상기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또는 전송되는) 맞춤형 쿠폰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수신된 맞춤형 쿠폰을 표시(또는 출력)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매장에 대응하는 상기 매장 단말(300), 상기 서버(200) 및 결제 서버(미도시)와 연동하여, 상기 맞춤형 쿠폰을 이용해서 상품 구매 및/또는 서비스 이용에 따른 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매장 단말(300)은 해당 단말(100)의 사용자의 재방문을 유도하기 위해서,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상기 맞춤형 쿠폰을 이용한 결제 기능 수행 시, 유효 기간이 설정된 추가 쿠폰(또는 추가 맞춤형 쿠폰)을 상기 단말(100)에 푸시 메시지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결제 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또는 상기 결제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결제 기능 수행 결과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결제 기능 수행 결과는 상품 종류, 서비스 종류, 결제 금액 정보, 결제 날짜 및 시각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수신된 결제 기능 수행 결과를 표시(또는 출력)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 및 상기 매장 단말(300)과 연동하여, 귓속말 기능으로 해당 매장 단말(300)의 관리자에게 비공개 리뷰 정보를 전달(또는 전송/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비공개 리뷰 정보는 수신인을 지정하기 위한 고유 코드(예를 들어 해당 매장 단말(300)의 관리자와 관련한 고유 코드), 사용자가 관리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또는 코멘트/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해시태그, 해당 사용자의 결제 기능 수행 결과에 따른 해당 매장에 대한 방문 일자 등을 포함한다.
즉,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앱 실행 결과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설정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와이파이 사용을 위한 구독 기능이나 다양한 이벤트에 참여하거나 전용 앱 기능을 설정하기 위해서, 상기 선택된 설정 메뉴에 대응하는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설정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귓속말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해당 단말(100)에서 방문하여 상품 구매 및/또는 서비스 이용에 따라 결제 기능을 수행한 하나 이상의 매장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단말(100)은 해당 단말(100)에서 방문한 적인 있는 매장과 관련한 매장 정보만을 표시할 수 있고, 방문한 적이 없는 매장과 관련해서는 귓속말 기능을 수행할 수 없으며, 해당 결제 기능을 수행한 하나 이상의 매장과 관련한 관리자(또는 관리자명)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매장 정보 중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어느 하나의 매장 정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선택된 매장 정보와 관련한 관리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비공개 리뷰 정보를 작성하기 위한 비공개 리뷰 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해당 단말(100)에 표시되는 비공개 리뷰 정보 입력 화면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상기 비공개 리뷰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상기 수신된 비공개 리뷰 정보를 귓속말 기능을 해당 매장 단말(300)(또는 해당 매장 단말(300)의 관리자)에 전달(또는 전송/제공)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전달된 비공개 리뷰 정보 등에 응답하여 상기 매장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응답 정보는 관리자가 사용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또는 코멘트/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관리자가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포인트 정보, 쿠폰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수신된 응답 정보를 표시(또는 출력)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서 무선 통신 연결 상태에서, 기존 와이파이 스퀘어에서 다른 와이파이 스퀘어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데이터 로밍을 통해 끊김 없이 새로운 다른 와이파이 스퀘어에 포함된 다른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통신 연결(또는 와이파이 연결/접속)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앱 실행 결과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좋아요/스크랩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해당 단말(100)에 제공된 다양한 정보들 중에서 해당 단말(100)의 사용자가 좋아요를 선택하거나 스크랩 기능을 설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선택된 좋아요/스크랩 메뉴에 대응하는 좋아요/스크랩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좋아요/스크랩 화면은 좋아요 항목(또는 좋아요 탭)과 스크랩 항목(또는 스크랩 탭)으로 구분되며, 각 항목에는 사용자가 확인한 하나 이상의 콘텐츠(또는 제목/장소명) 중에서 해당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좋아요 버튼 또는 스크랩 버튼을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해당 콘텐츠의 제목/장소명, 해당 콘텐츠와 관련한 이미지/동영상, 해당 콘텐츠와 관련한 좋아요/스크랩 선택 상태 등 포함)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좋아요/스크랩 화면에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콘텐츠 중에서 특정 콘텐츠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선택된 특정 콘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를 표시(또는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는 임의의 사용자(또는 전문 큐레이터)가 경험한 장소에 대한 제목/장소명, 해당 장소와 관련한 사업 카테고리, 해당 장소와 관련한 이미지/동영상, 해당 콘텐츠에 대한 좋아요 항목, 해당 콘텐츠에 대한 스크랩 항목, 해당 사용자가 해당 장소와 관련해서 하고 싶은 말(또는 코멘트), 위치 정보, 연락처, 해당 장소(또는 해당 콘텐츠)와 비슷한(또는 유사한) 콘텐츠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앱 실행 결과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검색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사용자 입력에 따른 검색어에 대응하는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정보나 매장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서, 상기 선택된 검색 메뉴에 대응하는 검색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검색 화면은 검색어 입력을 통해 장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검색어 입력 항목, 최근 검색한 검색어 내용을 제공하기 위한 최근 검색어 항목, 주요 키워드/태그를 추천하기 위한 추천 태그 항목, 많은 사용자가 검색하는 장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기 급상승 항목, 최근 본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최근 본 라이프스타일 항목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검색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상기 검색어 입력 항목에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검색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상기 수신된 검색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장소에 대한 정보를 확인(또는 검색)하고, 상기 확인된(또는 검색된) 해당 검색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장소에 대한 정보를 표시(또는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장소(또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는 임의의 사용자(또는 전문 큐레이터)가 경험한 장소에 대한 제목/장소명, 해당 장소와 관련한 사업 카테고리, 해당 장소와 관련한 이미지/동영상, 해당 콘텐츠에 대한 좋아요 항목, 해당 콘텐츠에 대한 스크랩 항목, 해당 사용자가 해당 장소와 관련해서 하고 싶은 말(또는 코멘트), 위치 정보, 연락처, 해당 장소(또는 해당 콘텐츠)와 비슷한(또는 유사한) 콘텐츠 등을 포함한다.
즉,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검색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상기 검색어 입력 항목에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검색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수신된 검색어, 해당 단말(100)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100)의 식별 정보는 MDN(Mobile Directory Number), 모바일 IP, 모바일 MAC,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고유정보, 시리얼번호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서버(200)는 해당 서버(200)에 미리 등록된 복수의 장소에 대한 정보 중에서 상기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검색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장소에 대한 정보를 검색(또는 확인)하고, 상기 검색된 해당 검색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장소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1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전송된 검색어 등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검색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장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수신된 해당 검색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장소에 대한 정보를 표시(또는 출력)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앱 실행 결과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설정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와이파이 사용을 위한 구독 기능이나 다양한 이벤트에 참여하거나 전용 앱 기능을 설정하기 위해서, 상기 선택된 설정 메뉴에 대응하는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 화면은 구독 기능 수행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구독 현황 항목, 보유 중인 쿠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나의 쿠폰 항목, 내가 방문한 매장의 관리자와 주고받은 귓속말 내용을 제공하기 위한 귓속말 항목, 내가 추천한 추천 장소를 다른 사용자/친구가 방문한 경우 제공/누적되는 활동 지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추천 활동 항목, 다양한 이벤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이벤트 항목, 고객 센터를 통해 다양한 질문 및 답변을 제공받기 위한 고객 센터 항목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설정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구독 현황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구독 기능 수행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선택된 구독 현황 항목에 대응하는 구독 현황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구독 현황 화면은 구독 중인 서비스 종류(예를 들어 일일 이용권, 주별 이용권, 월별 이용권/정기권 등 포함), 매월 결제일 정보, 매월 결제 금액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구독 현황 화면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른 특정 서비스 종류가 선택된 후 결제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또는 미리 설정된 결제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 및 상기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선택된 특정 서비스 종류에 대한 구독 기능을 수행한다.
결제가 실패한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또는 상기 결제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결제가 실패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잔액 부족, 한도 초과 등 포함)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수신된 결제가 실패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잔액 부족, 한도 초과 등 포함)를 표시(또는 출력)한다.
또한, 결제 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또는 상기 결제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결제 기능 수행 결과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결제 기능 수행 결과는 상품 종류, 서비스 종류, 결제 금액 정보, 결제 날짜 및 시각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결제가 정상적으로 수행된 후, 상기 서버(200)(또는 상기 결제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결제 기능 수행 결과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결제 기능 수행 결과는 구독 상품(또는 구독 서비스) 종류,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의 이름, 주소, 연락처, 이메일 주소 등 포함), 서비스 제공자 정보(예를 들어 사업자등록번호, 주소, 담당자, 연락처, 이메일 주소 등 포함), 총 결제 금액, 결제 날짜 및 시각 정보, 정기권인 경우 매주/매월 결제일자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수신된 결제 기능 수행 결과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설정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나의 쿠폰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선택된 나의 쿠폰 항목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에게 발급된 하나 이상의 쿠폰에 대한 정보(또는 보유 쿠폰 리스트)를 표시(또는 출력)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설정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귓속말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내가(또는 사용자가) 방문한 매장의 관리자와 주고받은 귓속말 내용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선택된 귓속말 항목에 대응하는 귓속말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귓속말 화면은 해당 단말(100)에서 방문하여 상품 구매 및/또는 서비스 이용에 따라 결제 기능을 수행한 하나 이상의 매장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매장 정보 중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특정 매장 정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선택된 매장 정보와 관련한 관리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비공개 리뷰 정보를 작성하기 위한 비공개 리뷰 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비공개 리뷰 정보 입력 화면은 사용자 입력(또는 사용자 선택/터치/제어)에 따른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해시태그 등을 입력받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입력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해당 단말(100)에 표시되는 비공개 리뷰 정보 입력 화면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른 하나 이상의 입력 항목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입력값을 포함하는 비공개 리뷰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상기 수신된 비공개 리뷰 정보를 귓속말 기능을 해당 매장 단말(300)(또는 해당 매장 단말(300)의 관리자)에 전달(또는 전송/제공)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전달된 비공개 리뷰 정보 등에 응답하여 상기 매장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응답 정보는 관리자가 사용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또는 코멘트/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관리자가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포인트 정보, 쿠폰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수신된 응답 정보를 표시(또는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말(100)과 상기 매장 단말(300) 간에 다이렉트 메시지 형태(또는 메시지 형태)로 상기 비공개 리뷰 정보와 상기 응답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단말(100)과 상기 매장 단말(300)은 상기 서버(200)의 중개에 의해, 채팅방 형태로 대화하기 기능을 통해 사이 비공개 리뷰 정보와 상기 응답 정보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설정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추천 활동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내가 추천한 추천 장소를 다른 사용자/친구가 방문한 경우 제공/누적되는 활동 지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선택된 추천 활동 항목에 대응하는 추천 활동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추천 활동 화면은 사용자가 추천한 추천 장소(또는 콘텐츠)를 다른 사용자가 방문한 경우에 제공되는 활동 지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활동 지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10회)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해당 서버(200)로부터 미리 설정된 와이파이 1일 이용권 쿠폰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설정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이벤트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다양한 이벤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선택된 이벤트 항목에 대응하는 이벤트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이벤트 화면은 와이파이 무료 이용권에 대한 뽑기 기능, 친구 추천 기능, 추천받은 코드 입력 기능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설정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고객 센터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고객 센터를 통해 다양한 질문 및 답변을 제공받기 위해서, 상기 선택된 고객 센터 항목에 대응하는 고객 센터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고객 센터 화면은 자주하는 질문에 대한 답변 내용을 제공하는 FAQ 항목, 고객 센터 관리자/운영자에게 직접 1:1로 문의하기 위한 1:1 문의 항목, 내가 문의 했던 내용에 대한 히스토리를 확인하기 위한 나의 문의 내역 항목, 해당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앱과 관련한 약관 및 방침에 대한 내용을 확인하기 위한 약관 및 방침 항목, 해당 앱의 버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앱 버전 항목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말(100)에서 전용 앱 형태로 라이프스타일 정보 확인 기능, 매장 정보 확인 기능, 장소 추천 기능, 와이파이 구독/설정 기능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전용 앱 이외에도 상기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 등을 통해 상기 라이프스타일 정보 확인 기능, 상기 매장 정보 확인 기능, 상기 장소 추천 기능, 상기 와이파이 구독/설정 기능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 상기 매장 단말(300) 등과 통신한다. 여기서, 상기 서버(200)는 국내 및/또는 해외에서 운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 상기 매장 단말(300) 등의 사용자에 대한 회원 가입 절차 등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 상기 매장 단말(300) 등의 사용자와 관련한 개인 정보를 등록한다. 이때, 상기 서버(200)는 해당 개인 정보 등을 DB 서버(미도시)에 등록(또는 관리)하며, 해당 단말(100)의 사용자, 해당 매장 단말(300)의 관리자 등으로부터 사전에 전자 문서 형태의 개인 정보 이용 동의서를 제공받은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 상기 매장 단말(300) 등의 사용자에 대한 회원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라이프스타일 정보 확인 기능, 매장 정보 확인 기능, 장소 추천 기능, 와이파이 구독/설정 기능, 사용자의 매장 방문 등에 따른 다양한 통계 정보 확인 기능, 광고/홍보 기능 등을 제공하는 전용 앱 및/또는 웹 사이트를 상기 단말(100), 상기 매장 단말(300) 등에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전용 앱은 라이프스타일 정보 확인 기능, 매장 정보 확인 기능, 장소 추천 기능, 와이파이 구독/설정 기능 등을 제공받는 사용자(또는 관광객)와, 사용자의 매장 방문 등에 따른 다양한 통계 정보 확인 기능, 광고/홍보 기능 등을 제공하는 사업자(또는 매장 관리자)에 따라 서로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공지사항, 이벤트 등을 위한 게시판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해당 서버(200)에서 관리하는 복수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서, 실제 환경 필드 테스트를 통해 방사거리, 통신 속도 등을 고려하여 해당 복수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를 구성(또는 배치/형성/설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서버(200)는 해당 복수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한 와이파이 스퀘어에 대한 정보를 저장(또는 관리)한다. 여기서, 상기 와이파이 스퀘어에 대한 정보는 와이파이 스퀘어(또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 해당 위치(또는 해당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커버리지 영역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해당 단말(100)에서 실행 중인 앱 실행 결과 화면 내의 특정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특정 메뉴에 대응하는 특정 화면을 상기 단말(100)에 전송(또는 제공)한다.
즉,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와이파이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와이파이 연결하기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과 연동하여, 해당 단말(100) 주변에 위치하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을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선택된 와이파이 연결하기 메뉴에 대응하는 와이파이 연결하기 화면을 상기 단말(100)에 전송(또는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와이파이 연결하기 화면에 표시되는 연결 가능한 하나 이상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해당 단말(100)의 사용자 선택(또는 사용자 입력/터치/제어)에 따라, 어느 하나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 및 상기 선택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와 연동하여, 상기 선택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단말(100) 간의 무선 통신 연결(또는 와이파이 연결/접속)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와이파이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와이파이 속도 메뉴 내의 내 데이터 속도 갱신하기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과 연동하여, 무선 통신 세대별로 해당 단말(100)의 업로드 시간, 다운로드 시간, 지연 시간, 지터(jitter) 등을 측정하고, 측정된 해당 단말(100)의 업로드 시간, 다운로드 시간, 지연 시간, 지터 등을 상기 단말(100)에 전송(또는 제공)한다. 이때, 상기 단말(100)이 상기 서버(200)에서 구성한 미리 설정된 와이파이 스퀘어 영역 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과 연동하여, 해당 와이파이 스퀘어 영역 내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에 제공하는 와이파이에 대해서 해당 단말(100)의 업로드 시간, 다운로드 시간, 지연 시간, 지터(jitter) 등을 측정하고, 해당 단말(100)에서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무선 통신 세대(예를 들어 5G, LTE 등 포함)에 따른 해당 단말(100)의 업로드 시간, 다운로드 시간, 지연 시간, 지터(jitter) 등을 측정하고, 상기 와이파이 스퀘어 영역 내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해서 측정된 정보들과 해당 단말(100)에서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무선 통신 세대와 관련해서 측정된 정보들을 상기 단말에 전송(또는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와이파이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동시접속 기기 추가하기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과 연동하여, 해당 단말(100)에 표시되는 동시접속 기기 추가하기 화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또는 장치) 중에서 해당 단말(100)의 사용자 선택에 따른 특정 디바이스를 상기 단말(100) 이외에 해당 단말(100)에서 구독 중인 와이파이 서비스 이용과 관련한 동시접속 기기로 등록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와이파이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와이파이 스퀘어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과 연동하여, 미리 설정된 복수의 와이파이 스퀘어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100)에 전송(또는 제공)한다.
또한,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과 연동하여, 상기 단말(100)(또는 해당 단말(100)을 소지한 사용자)이 위치한 와이파이 스퀘어 또는 상기 단말(100)(또는 해당 단말(100)을 소지한 사용자)이 위치한 매장 내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통신 연결(또는 와이파이 연결/접속)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단말(100)을 소지한 사용자가 상기 미리 설정된 와이파이 스퀘어 내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을 소지한 사용자가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리 설정된 매장 주변(또는 해당 매장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경)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을 소지한 사용자가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매장 내부로 진입하는 경우, 매장 주변/외부/내부에 구비된 제어 정보(또는 랜딩 페이지)를 포함하는 QR 코드가 스캔되는 경우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단말(100)은 이기종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통합 인증 서버(또는 상기 서버(200)) 구축을 통해, 사용자 최초 인증 후, 추가적인 인증 절차 없이, 상기 서버(200)에 연동된 이기종간 액세스 포인트에서도 데이터 로밍을 통해 자동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100)의 사용자는 이기종간 커버리지 공용화를 통해 사용상의 편의가 증대되고, 효율적인 와이파이 커버지리 확대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와이파이 스퀘어 내에 위치한 단말(100)(또는 상기 와이파이 스퀘어 내에 위치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하는/접속하는 단말(100)/상기 매장 내에 위치한 단말(100))에 대해서, 해당 단말(100)의 위치 정보, 해당 단말(100)의 식별 정보, 해당 단말(100)이 위치한 매장 정보, 해당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 등을 수집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100)의 식별 정보는 MDN, 모바일 IP, 모바일 MAC, Sim(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고유정보, 시리얼번호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해당 서버(200)에 미리 등록된 단말의 식별 정보별 고객 정보(또는 개인 정보) 중에서 상기 수집된 해당 단말(10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고객 정보는 성별, 연령대, 먹고 싶은 정보(예를 들어 다이어트, 베이커리, 분식, 세계음식, 양식, 일식, 주류, 중식, 카페, 한식 등 포함), 하고 싶은 정보(예를 들어 걷기, 관람, 데이터, 드라이브, 반려동물과 함께, 사진찍기 좋은, 액티비티, 여행, 체험, 취미활동, 캠핑, 힐링 등 포함), 가고 싶은 정보(예를 들어 도로, 박물관/전시, 산, 상점, 섬, 스테이, 식물원, 오름, 올레길, 전통시장, 해변, 휴양림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해당 서버(200)에 미리 등록된 복수의 매장 정보 중에서 상기 수집된 해당 단말(100)의 위치 정보, 해당 단말(100)이 위치한 매장 정보, 해당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 등에 대응하는 매장 단말(300)을 확인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확인된 매장 단말(300)로 상기 확인된 고객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매장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맞춤형 쿠폰, 상기 고객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수신된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단말(100)에 상기 수신된 맞춤형 쿠폰을 푸시 메시지 형태로 제공(또는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매장 단말(300)에서 상기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고객 정보를 근거로 해당 단말(100)과 관련한 맞춤형 쿠폰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맞춤형 쿠폰을 상기 서버(200)를 통해 상기 단말(100)에 제공하는 것을 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서버(200)는 해당 매장 단말(300)에서 미리 설정한(또는 등록한) 쿠폰 생성 조건에 따라 상기 확인된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맞춤형 쿠폰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맞춤형 쿠폰을 상기 단말(1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쿠폰 생성 조건은 고객 정보별로 혜택 정보, 유효 기간 정보, 사용 가능 매장 정보 등이 설정된 상태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 상기 매장에 대응하는 상기 매장 단말(300) 및 상기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맞춤형 쿠폰을 이용해서 상품 구매 및/또는 서비스 이용에 따른 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결제 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결제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결제 기능 수행 결과를 상기 단말(100)에 전송(또는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 및 상기 매장 단말(300)과 연동하여, 귓속말 기능으로 해당 매장 단말(300)의 관리자에게 비공개 리뷰 정보를 전달(또는 전송/제공)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서 와이파이 서비스를 이용 중인 상태에서(또는 상기 단말(100)에서 일일권 또는 정기권을 이용해서 해당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와이파이 서비스를 이용 중인 상태에서) 해당 서버(200)에서 관리 중인 복수의 와이파이 스퀘어 간의 데이터 로밍(또는 핸드오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서버(200)는 해당 단말(100)의 기존 와이파이 스퀘어에서 다른 와이파이 스퀘어로 이동에 따라, 데이터 로밍을 통해 끊김 없이 새로운 다른 와이파이 스퀘어에 포함된 다른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통신 연결(또는 와이파이 연결/접속)을 수행한다.
상기 매장 단말(300)은 상기 단말(100), 상기 서버(200) 등과 통신한다. 이때, 상기 매장 단말(300)은 상품 및/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자(또는 매장 관리자/사업자)가 소지한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장 단말(300)은 상기 서버(200)와의 연동에 의해, 상기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전용 앱 및/또는 웹 사이트를 통해 사용자의 매장 방문 등에 따른 다양한 통계 정보 확인 기능, 광고/홍보 기능 등을 제공하기 위한 관리자(또는 평가자)로 회원 가입하며, 개인 정보 등을 상기 서버(200)에 등록한다. 이때, 상기 개인 정보는 아이디, 이메일 주소, 패스워드(또는 비밀번호), 이름, 성별, 생년월일, 연락처, 주소지(또는 주소정보), 사업자등록번호, 사업지주소(또는 매장 주소)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매장 단말(300)은 해당 매장 단말(300)의 사용자가 가입한 SNS 계정 정보 또는 모바일 메신저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200)에 사용자로 회원 가입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SNS 계정은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스토리, 네이버, 페이코 등과 관련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메신저 계정은 카카오톡, 라인, 바이버, 위챗, 와츠앱, 텔레그램, 스냅챗 등과 관련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회원 가입 절차 수행 시, 상기 매장 단말(300)은 본인 인증 수단(예를 들어 이동 전화, 신용카드, 아이핀 등 포함)을 통한 인증 기능을 완료해야 상기 서버(200)에 대한 회원 가입 절차를 정상적으로 완료할 수 있다.
또한, 회원 가입이 완료된 후, 상기 매장 단말(300)은 상기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상기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전용 앱(또는 애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특정 앱)을 해당 매장 단말(300)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전용 앱은 네이티브 앱, 모바일 웹앱, 반응형 웹앱, 적응형 웹앱, 하이브리드 앱 등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매장 방문 등에 따른 다양한 통계 정보 확인 기능, 광고/홍보 기능 등을 수행하기 위한 앱일 수 있다. 여기서, 라이프스타일 정보 확인 기능, 매장 정보 확인 기능, 장소 추천 기능, 와이파이 구독/설정 기능 등을 제공받는 사용자(또는 관광객)와, 사용자의 매장 방문 등에 따른 다양한 통계 정보 확인 기능, 광고/홍보 기능 등을 제공하는 사업자(또는 매장 관리자)에 따라, 상기 전용 앱은 서로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장 단말(300)은 해당 매장 단말(300)과 관련한 매장 정보를 등록하고, 해당 매장에 대한 다양한 통계 정보를 제공받기 위해서, 해당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고, 해당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웹사이트 초기 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웹사이트 초기 화면은 전체 메뉴에 대한 통합 정보를 시각화하여 대시보드 형태로 제공하기 위한 메인 메뉴(또는 항목/버튼), 매장에서 관리 중인(또는 매장 내/외부에 구비된/설치된/배치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또는 wifi access point)에 접속된 방문자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방문자 정보 메뉴, 해당 매장에서 관리 중인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한 적이 있는 방문자 리스트를 제공하기 위한 방문자 리스트 메뉴, 단말(100)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해당 매장 단말(300)과 관련한 매장에 대한 매장 정보(또는 매장 상세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에 대한 조회수, 조회수의 지정된 기간 대비 증감수, 좋아요수, 좋아요수의 지정된 기간 대비 증감수, 해당 매장과 관련한 메인 이미지/동영상, 설정된 취향(또는 해시태그)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우리가게 정보 메뉴, 고객에게 혜택을 제공하고 소식 업데이트를 통한 매장 홍보를 진행하고 쿠폰을 제공하고 설문 조사를 수행하기 위한 설문조사/쿠폰/알림 메뉴, 해당 매장에서 제공하는 와이파이 접속 시 화면을 통해 신메뉴 소개 기능, 이벤트 홍보 기능 등을 수행하기 위한 캡티브 포털(captive portal, 종속 포털) 설정 메뉴, 단말(100)의 사용자와의 긴밀한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사장님과 귓속말 메뉴(또는 귓속말 메뉴), 사장님이 고객에게 전달하고 싶은 이야기(또는 소식)를 제공하기 위한 사장님 이야기 메뉴, 해당 매장에 방문(또는 해당 매장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 취향 등의 고객 정보(또는 개인 정보)를 활용한 앱 푸시 마케팅을 수행하기 위해서 해당 마케팅 내용을 설정/등록, 수정하기 위한 이달의 마케팅 메뉴, 매장 인근 유동 인구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유동 인구 분석 메뉴, 유사 업종 방문 고객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동종업계 분석 메뉴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매장 단말(300)은 해당 웹 사이트를 제공하는 상기 서버(200)에 회원 가입한 상태로, 회원 가입에 따른 아이디 및 비밀번호, 상기 아이디를 포함하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 등을 이용해서 상기 웹 사이트 접속 시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여, 해당 웹 사이트의 하나 이상의 기능(예를 들어 사용자의 매장 방문 등에 따른 다양한 통계 정보 확인 기능, 광고/홍보 기능 등 포함)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라이프스타일 정보 확인 기능, 매장 정보 확인 기능, 장소 추천 기능, 와이파이 구독/설정 기능 등을 제공받는 사용자(또는 관광객)와, 사용자의 매장 방문 등에 따른 다양한 통계 정보 확인 기능, 광고/홍보 기능 등을 제공하는 사업자(또는 매장 관리자)에 따라, 상기 전용 앱은 서로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문자 데이터(또는 통계 정보/방문자 정보)는 방문자 수(예를 들어 총 방문자 수, 일별 방문자수, 주별 방문자수, 월별 방문자수, 지정된 기간 대비 증감수 등 포함), 신규 방문자 수(예를 들어 총 신규 방문자 수, 지정된 기간 대비 증감수 등 포함), 재방문자 수(예를 들어 총 재방문자 수, 지정된 기간 대비 증감수 등 포함), 주 방문자 연령/성별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매장 단말(300)에 표시되는 웹사이트 초기 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메뉴 중에서 특정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매장 단말(300)은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상기 선택된 특정 메뉴에 대응하는 특정 화면을 표시(또는 출력)한다.
즉, 상기 매장 단말(300)은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홍보(예를 들어 쿠폰 발송) 기능 수행 후, 모객을 진행하고, 고객이 매장 방문시 해당 고객이 소지한 단말(100)이 해당 매장에 구성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에 자동으로 접속되어, 해당 홍보 기능 수행에 따른 고객의 방문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매장 단말(300)은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서비스 가입 매장에 단말(100)의 사용자가 방문하면, 자동으로 수집된 고객의 연령, 성별, 취향 등에 따른 통계 정보를 확인하여, 고객 취향 데이터에 입각한 매장 평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매장 단말(300)은 해당 통계 자료를 근거로 해당 매장에 최적화된 타깃 마케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장 단말(300)은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단말(100)의 사용자가 서비스 가입 매장에 방문하면, 자동으로 매장 내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도록 구성하며, 해당 단말(100)의 사용자가 방문한 매장 리스트를 제공받는다.
또한, 상기 매장 단말(300)은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며, 서비스 가입 매장들 간의 기간별 방문자 수, 방문자 성별, 연령, 취향 등의 통계 정보를 서로 공유하여, 동종업계 분석 기능(또는 비교 서비스 기능)을 제공받는다.
이에 따라, 상기 매장 단말(300)은 해당 통계 자료를 근거로 해당 매장의 운영 방향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장 단말(300)은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매장 내 설치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와이파이 기능이 활성화된 단말(100)을 검출하고, 검출된 단말(100)의 수를 근거로 해당 매장의 혼잡도 수준을 제공(또는 표시)받는다.
또한, 상기 매장 단말(300)은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매장 외부에 설치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와이파이 기능이 활성화된 단말(100)을 검출하고, 검출된 단말(100)의 수를 근거로 해당 와이파이 스퀘어 내의 유동 인구 수, 유동 인구의 연령, 성별, 취향 등의 통계 자료를 제공받는다.
또한, 상기 매장 단말(300)은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고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고객 정보를 표시(또는 출력)한다.
또한, 상기 매장 단말(300)은 상기 수신된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맞춤형 쿠폰을 생성한다. 이때, 상기 맞춤형 쿠폰은 양도가 불가하며, 혜택 정보, 유효 기간 정보, 사용 가능 매장 정보 등 이외에, 해당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단말(100)에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해당 단말(100)과 관련한 고유 코드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맞춤형 쿠폰은 전자 쿠폰 형태로 제공됨에 따라, 해당 맞춤형 쿠폰을 제공받은 단말(100)에서 빠른 시간 내에 해당 매장을 방문하여 쿠폰을 사용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 맞춤형 쿠폰 발행 후 해당 맞춤형 쿠폰의 사용 시점에 따라 할인율이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맞춤형 쿠폰이 발행된 후, 1시간 이내 사용되면 25%의 할인율을 적용하고, 발행 후 1시간 ~ 2시간 이내에 사용되면 20%의 할인율을 적용하고, 발행 후 2시간 ~ 3시간 이내에 사용되면 15%의 할인율을 적용하고, 3시간 ~ 12시간 이내에 사용되면 10%의 할인율을 적용하고, 12시간 ~ 24시간 이내에 사용되면 5%의 할인율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장 단말(300)은 상기 생성된 맞춤형 쿠폰, 상기 고객 정보 등을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매장 단말(300)은 상기 단말(100), 상기 서버(200) 및 상기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맞춤형 쿠폰을 이용해서 상품 구매 및/또는 서비스 이용에 따른 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매장 단말(300)은 해당 단말(100)의 사용자의 재방문을 유도하기 위해서,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상기 맞춤형 쿠폰을 이용한 결제 기능 수행 시, 유효 기간이 설정된 추가 쿠폰(또는 추가 맞춤형 쿠폰)을 상기 단말(100)에 푸시 메시지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결제 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 상기 매장 단말(300)은 상기 서버(200)(또는 상기 결제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결제 기능 수행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결제 기능 수행 결과를 표시(또는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결제 기능 수행 결과는 상품 종류, 서비스 종류, 결제 금액 정보, 결제 날짜 및 시각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매장 단말(300)은 상기 단말(100) 및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귓속말 기능으로 해당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비공개 리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비공개 리뷰 정보를 표시(또는 출력)한다.
또한, 상기 매장 단말(300)은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알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알람 정보를 표시(또는 출력)한다.
또한, 상기 매장 단말(300)은 해당 매장 단말(300)의 관리자 입력에 따른 응답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응답 정보를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매장 단말(300)은 상기 단말(100)에서 전달한 비공개 리뷰 정보에 대한 감사 표시로, 상기 응답 정보 이외에, 미리 설정된 포인트, 추가 할인 쿠폰 등을 상기 단말(1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매장 단말(300)로 직접적으로 비공개 리뷰 정보를 전달하고, 그에 대한 응답 정보를 제공받음에 따라, 상기 매장 단말(300)은 고객 반응을 확인하고, 사용자가 매장 관리자 간의 유대를 높이고, 단골 고객을 형성 및 관리하고, 고객 인사이트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장 단말(300)에 표시되는 웹사이트 초기 화면 중에서 미리 설정된 메인 메뉴(또는 대시보드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매장 단말(300)은 상기 선택된 메인 메뉴에 대응하는 메인 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매장 단말(300)에서 상기 웹 사이트 접속 시(또는 해당 웹 사이트에 대한 로그인 시), 상기 매장 단말(300)은 디폴트로 설정된 상기 앱 실행 결과 화면 내의 상기 메인 메뉴에 대응하는 상기 메인 화면을 자동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화면(또는 대시보드 화면)은 매장에서 관리 중인(또는 매장 내/외부에 구비된/설치된/배치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된 방문자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방문자 정보 메뉴, 해당 매장에서 제공하는 와이파이 접속 시 화면을 통해 신메뉴 소개 기능, 이벤트 홍보 기능 등을 수행하기 위한 캡티브 포털 설정 메뉴, 단말(100)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해당 매장 단말(300)과 관련한 매장에 대한 매장 정보(또는 매장 상세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에 대한 조회수, 조회수의 지정된 기간 대비 증감수, 좋아요수, 좋아요수의 지정된 기간 대비 증감수, 해당 매장과 관련한 메인 이미지/동영상, 설정된 취향(또는 해시태그)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우리가게 정보 메뉴, 사장님이 고객에게 전달하고 싶은 이야기(또는 소식)를 제공하기 위한 사장님 이야기 메뉴, 고객에게 혜택을 제공하고 소식 업데이트를 통한 매장 홍보를 진행하고 쿠폰을 제공하고 설문 조사를 수행하기 위한 설문조사/쿠폰/알림 메뉴, 해당 매장에 방문(또는 해당 매장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 취향 등의 고객 정보(또는 개인 정보)를 활용한 앱 푸시 마케팅을 수행하기 위해서 해당 마케팅 내용을 설정/등록, 수정하기 위한 이달의 마케팅 메뉴 등에 대응하는 내용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매장 단말(300)에 표시되는 웹사이트 초기 화면 중에서 미리 설정된 방문자 정보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매장 단말(300)은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상기 선택된 방문자 정보 메뉴에 대응하는 방문자 정보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방문자 정보 화면은 방문자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방문자 데이터(또는 통계 정보/방문자 정보)는 방문자 수(예를 들어 총 방문자 수, 일별 방문자수, 주별 방문자수, 월별 방문자수, 지정된 기간 대비 증감수 등 포함), 신규 방문자 수(예를 들어 총 신규 방문자 수, 지정된 기간 대비 증감수 등 포함), 재방문자 수(예를 들어 총 재방문자 수, 지정된 기간 대비 증감수 등 포함), 주 방문자 연령/성별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매장 단말(300)에 표시되는 웹사이트 초기 화면 중에서 미리 설정된 방문자 리스트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매장 단말(300)은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상기 선택된 방문자 리스트 메뉴에 대응하는 방문자 리스트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방문자 리스트 화면은 방문자 리스트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방문자 리스트는 해당 매장에서 관리 중인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한 적이 있는 단말(100)의 수(예를 들어 총 접속자 수, 일별 접속자수, 주별 접속자수, 월별 접속자수, 지정된 기간 대비 증감수 등 포함), 신규 접속자 수(예를 들어 총 신규 접속자 수, 지정된 기간 대비 증감수 등 포함), 재접속자 수(예를 들어 총 재접속자 수, 지정된 기간 대비 증감수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매장 단말(300)에 표시되는 웹사이트 초기 화면 중에서 미리 설정된 우리가게 정보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매장 단말(300)은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상기 선택된 우리가게 정보 메뉴에 대응하는 우리가게 정보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우리가게 정보 화면은 우리 가게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우리 가게 정보는 해당 매장 단말(300)과 관련한 매장에 대한 매장 정보(또는 매장 상세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에 대한 조회수, 조회수의 지정된 기간 대비 증감수, 매장 정보에 대해 좋아요를 선택한 좋아요수, 좋아요수의 지정된 기간 대비 증감수, 해당 매장과 관련한 메인 이미지/동영상, 매장 정보와 관련해서 설정된 취향 정보(또는 해시태그)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매장 단말(300)에 표시되는 웹사이트 초기 화면 중에서 미리 설정된 설문조사/쿠폰/알림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매장 단말(300)은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상기 선택된 설문조사/쿠폰/알림 메뉴에 대응하는 설문조사/쿠폰/알림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설문조사/쿠폰/알림 화면은 설문조사와 관련한 정보, 쿠폰과 관련한 정보, 알림과 관련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설문조사와 관련한 정보는 설문조사명, 조사기간, 조사대상, 참여자수, 참여자 성별, 참여자 연령대, 참여자 지역 정보, 설문조사 결과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쿠폰 정보는 쿠폰명, 쿠폰 제공 기간, 쿠폰 유효 기간, 쿠폰 발매수, 쿠폰 사용률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알림 정보는 제목명, 알림 기간, 조회수, 알림 내용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매장 단말(300)에 표시되는 웹사이트 초기 화면 중에서 미리 설정된 캡티브 포털 설정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매장 단말(300)은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상기 선택된 캡티브 포털 설정 메뉴에 대응하는 캡티브 포털 설정 정보를 해당 서버(200)에 등록(또는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캡티브 포털 설정 정보는 신메뉴를 소개를 위한 정보(예를 들어 신메뉴명, 가격 정보, 이미지, 동영상, 재료 정보 등 포함), 새로운 이벤트를 홍보/소개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어 이벤트명, 이벤트 기간, 혜택, 이벤트 내용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매장 단말(300)에 표시되는 웹사이트 초기 화면 중에서 미리 설정된 사장님 이야기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매장 단말(300)은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상기 선택된 사장님 이야기 메뉴에 대응하는 사장님 이야기 정보를 해당 서버(200)에 등록(또는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사장님 이야기 정보는 사장님이 사용자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또는 내용), 관련 이미지/동영상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매장 단말(300)에 표시되는 웹사이트 초기 화면 중에서 미리 설정된 이달의 마케팅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매장 단말(300)은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상기 선택된 이달의 마케팅 메뉴에 대응하는 마케팅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마케팅 화면은 이달의 마케팅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이달의 마케팅 정보(또는 마케팅 정보)는 마케팅 이름(또는 마케팅명), 발송일, 방법, 대상 수, 도달률, 마케팅 내용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매장 단말(300)에 표시되는 웹사이트 초기 화면 중에서 미리 설정된 유동 인구 분석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매장 단말(300)은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상기 선택된 유동 인구 분석 메뉴에 대응하여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매장 단말(300)과 관련한 매장 주변의(또는 해당 매장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경 내의) 매장 인근 유동 인구 분석 정보를 표시(또는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유동 인구 분석 정보(또는 유동 인구 데이터/매장 인근 유동 인구 분석 데이터)는 시간대별 해당 매장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수, 시간대별 해당 매장 주변을 지나가는 사용자의 성별, 시간대별 해당 매장 주변을 지나가는 사용자의 연령, 시간대별 해당 매장 주변을 지나가는 사용자의 취향, 시간대별 해당 매장 주변을 지나가는 사용자에게 제공된 맞춤형 쿠폰의 개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매장 단말(300)에 표시되는 웹사이트 초기 화면 중에서 미리 설정된 동종업계 분석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매장 단말(300)은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상기 선택된 동종업계 분석 메뉴에 대응하여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매장 단말(300)의 매장과 관련한 동일 상권 내의 동종업계(또는 유사업계) 방문 고객 분석 데이터, 해당 매장 단말(300)의 매장과 관련한 동종업계(또는 유사업계)에 대한 동종업계 방문 고객 분석 데이터 등을 표시(또는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해당 매장과 관련한 동일 상권 내의 동종업계 방문 고객 분석 정보(또는 동일 상권 내 동종업계 분석 정보/동일 상권 내 동종업계 분석 데이터)는 해당 매장과 관련한 동일 상권에 위치하는 동종업계와 관련해서, 요일별/일자별/분기별/년도별 해당 매장 단말(300)의 매장과 관련한 동일 상권 내의 동종 업종 방문 고객 분석 데이터(예를 들어 해당 매장과 관련한 동일 상권 내의 동종 업종/매장에 대한 시간대별 방문 사용자 수, 방문한 사용자의 성별, 방문한 사용자의 연령, 방문한 사용자의 취향, 방문한 사용자의 재방문률 등을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해당 매장과 관련한 동종업계 방문 고객 분석 정보(또는 동종업계 분석 정보/동종업계 분석 데이터)는 해당 매장과 관련한 동종업계와 관련해서, 지역별/요일별/일자별/분기별/년도별 해당 매장 단말(300)과 관련한 동종 업종에 대한 동종 업종 방문 고객 분석 데이터(예를 들어 해당 매장과 관련한 동종 업종/매장에 대한 시간대별 방문 사용자 수, 방문한 사용자의 성별, 방문한 사용자의 연령, 방문한 사용자의 취향, 방문한 사용자의 재방문률 등을 포함)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매장 단말(300)에서 웹 사이트 형태로 사용자의 매장 방문 등에 따른 다양한 통계 정보 확인 기능, 광고/홍보 기능 등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웹 사이트 이외에도 상기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전용 앱을 해당 매장 단말(300)에 설치하고, 설치된 전용 앱 등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매장 방문 등에 따른 다양한 통계 정보 확인 기능, 상기 광고/홍보 기능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와이파이 접속 시 미리 설정된 와이파이 스퀘어 내에 자동 접속되고, 데이터 로밍을 통해 서로 인접한 와이파이 스퀘어 내 이동 간에도 무중단 방식으로 와이파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이기종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통합 인증 서버 구축을 통해, 사용자 최초 인증 후, 추가적인 인증 절차 없이, 통합 인증 서버에 연동된 이기종간 액세스 포인트에서도 데이터 로밍을 통한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다양한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과 관련한 콘텐츠 및 매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를 활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을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파이를 활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단말(100)은 해당 단말(100)에 미리 설치된 전용 앱을 실행하고, 전용 앱 실행에 따른 앱 실행 결과 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앱 실행 결과 화면은 해당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정보, 매장 정보 등을 제공하기 위한 초기 메뉴/홈 메뉴(또는 항목/버튼), 해당 단말(100)에서 와이파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 메뉴, 해당 단말(100)에 제공된 다양한 정보들 중에서 해당 단말(100)의 사용자가 좋아요를 선택하거나 스크랩 기능을 설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좋아요/스크랩 메뉴, 검색어에 따른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정보나 매장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메뉴, 와이파이 사용을 위한 구독 기능이나 다양한 이벤트에 참여하거나 전용 앱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메뉴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100)은 해당 전용 앱을 제공하는 서버(200)에 회원 가입한 상태로, 회원 가입에 따른 아이디 및 비밀번호, 상기 아이디를 포함하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 등을 이용해서 상기 전용 앱 실행 시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여, 해당 전용 앱의 하나 이상의 기능(예를 들어 라이프스타일 정보 확인 기능, 매장 정보 확인 기능, 장소 추천 기능, 와이파이 구독/설정 기능 등 포함)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라이프스타일 정보 확인 기능, 매장 정보 확인 기능, 장소 추천 기능, 와이파이 구독/설정 기능 등을 제공받는 사용자(또는 관광객)와, 사용자의 매장 방문 등에 따른 다양한 통계 정보 확인 기능, 광고/홍보 기능 등을 제공하는 사업자(또는 매장 관리자)에 따라, 상기 전용 앱은 서로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앱 실행 결과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초기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해당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정보, 매장 정보 등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선택된 초기 메뉴에 대응하는 초기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초기 화면(또는 홈 화면)은 다양한 사람들의 제주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는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라이프스타일 항목, 사용자의 성별 및 연령대에 따른 다른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내 또래들의 라이프스타일 엿보기 항목,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장소를 추천하기 위한 당신이 좋아할 만한 장소 항목(또는 라이프스타일을 통해 소개되는 매장 상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매장 정보 항목), 나와 다른 취향의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을 확인하기 위한 타인의 발견 항목(또는 타인의 취향 엿보기 항목), 많은 사용자가 검색하는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정보 또는 장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기 급상승 항목, 오늘의 추천 장소를 제공하기 위한 오늘의 장소 항목, 특정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추천 오늘의 라이프스타일 항목, 사용자의 매장 방문 이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내 발자국 항목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전용 앱 실행 시(또는 해당 전용 앱에 대한 로그인 시), 상기 단말(100)은 디폴트로 설정된 상기 앱 실행 결과 화면 내의 초기 메뉴에 대응하는 초기 화면을 자동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 1 단말(100)은 해당 제 1 단말에 미리 설치된 웨이크 업(WAKE UF) 앱을 실행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폴트로 설정된 웨이크 업 앱 실행 결과 화면 내의 초기 메뉴에 대응하는 초기 화면(400)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제 1 단말은 해당 제 1 단말의 제 1 사용자 계정 정보(예를 들어 제 1 아이디 및 제 1 비밀번호)를 이용해서 해당 제 1 전용 앱 실행 후 로그인 절차를 수행한 상태일 수 있다(S210).
이후,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앱 실행 결과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와이파이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사용자와 관련한 와이파이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거나 현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상기 선택된 와이파이 메뉴에 대응하는 와이파이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와이파이 화면은 와이파이(또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하기 위한 와이파이 연결하기 메뉴, 와이파이 관련 서비스에 대한 구독 기능을 수행 중인 경우 구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구독 현황 메뉴, 와이파이 속도에 대한 비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 속도 메뉴, 와이파이 동시접속 기기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동시접속 기기 추가하기 메뉴, 구독 기능에 따라 무료/유료로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는 와이파이 스퀘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 스퀘어 메뉴 등을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제 1 단말에 표시되는 초기 화면(400) 중에서 상기 와이파이 메뉴(410)가 선택될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선택된 와이파이 메뉴(410)에 대응하는 와이파이 화면(500)을 표시한다(S220).
이후,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와이파이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와이파이 연결하기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해당 단말(100) 주변에 위치하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을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상기 선택된 와이파이 연결하기 메뉴에 대응하는 와이파이 연결하기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와이파이 연결하기 화면은 상기 서버(200)에 의해 검색된(또는 확인된) 해당 단말(1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연결 가능한 하나 이상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와이파이 통신 방식 종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명, 신호 강도 세기, 보안 설정 유무/비밀번호 설정 유무, 연결 상태 등 포함)를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제 1 단말에 표시되는 와이파이 화면(500) 중에서 상기 와이파이 연결하기 메뉴(510)가 선택될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선택된 와이파이 연결하기 메뉴(510)에 대응하는 와이파이 연결하기 화면(600)을 표시한다(S230).
이후,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와이파이 연결하기 화면에 표시되는 연결 가능한 하나 이상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해당 단말(100)의 사용자 선택(또는 사용자 입력/터치/제어)에 따라, 어느 하나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 및 상기 선택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와 연동하여, 상기 선택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단말(100) 간의 무선 통신 연결(또는 와이파이 연결/접속)을 수행한다.
일 예로, 상기 제 1 단말에 표시되는 와이파이 연결하기 화면(600)에 포함된 복수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해당 제 1 단말의 제 1 사용자 선택에 따라 제 1 와이파이 AP(610)가 선택될 때,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서버(200) 및 상기 선택된 제 1 와이파이 AP(610)와 연동하여, 해당 제 1 와이파이 AP와 와이파이 연결한다(S240).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와이파이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와이파이 속도 메뉴 내의 내 데이터 속도 갱신하기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무선 통신 세대별로 해당 단말(100)의 업로드 시간, 다운로드 시간, 지연 시간, 지터(jitter) 등을 측정하고, 측정된 해당 단말(100)의 업로드 시간, 다운로드 시간, 지연 시간, 지터 등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 통신 세대는 와이파이 5(Wi-Fi 5), 와이파이 6(Wi-Fi 6), 와이파이 6E(Wi-Fi 6E), 5G, LTE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단말(100)이 상기 서버(200)에서 구성한 미리 설정된 와이파이 스퀘어 영역 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해당 와이파이 스퀘어 영역 내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에 제공하는 와이파이에 대해서 해당 단말(100)의 업로드 시간, 다운로드 시간, 지연 시간, 지터(jitter) 등을 측정하고, 해당 단말(100)에서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무선 통신 세대(예를 들어 5G, LTE 등 포함)에 따른 해당 단말(100)의 업로드 시간, 다운로드 시간, 지연 시간, 지터(jitter) 등을 측정하고, 상기 와이파이 스퀘어 영역 내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해서 측정된 정보들과 해당 단말(100)에서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무선 통신 세대와 관련해서 측정된 정보들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단말에 표시되는 와이파이 화면(500) 중에서 상기 내 데이터 속도 갱신하기 항목(520)이 선택될 때, 상기 제 1 단말은 미리 설정된 LTE 통신 방식을 통해 제 1 다운로드 속도를 측정하고, 해당 제 1 단말이 위치한 제 1 와이파이 스퀘어 영역 내의 제 1 와이파이 AP에서 제공하는 와이파이에 대해 제 2 다운로드 속도를 측정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측정된 제 1 다운로드 속도 및 제 2 다운로드 속도를 반영한 와이파이 화면(700)을 표시한다(S250).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와이파이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동시접속 기기 추가하기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해당 사용자와 관련한 계정 정보를 이용해서 해당 단말(100) 이외에 추가 디바이스(또는 장치)를 와이파이 동시접속 기기로 추가한다. 이때, 상기 동시접속 기기 추가하기 메뉴는 해당 단말(100)에서 미리 설정된 구독 기능을 수행 중인 상태에서 활성화(또는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와이파이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동시접속 기기 추가하기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선택된 동시접속 기기 추가하기 메뉴에 대응하는 동시접속 기기 추가하기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해당 단말(100)에 표시되는 동시접속 기기 추가하기 화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또는 장치) 중에서 해당 단말(100)의 사용자 선택에 따른 특정 디바이스를 상기 단말(100) 이외에 해당 단말(100)에서 구독 중인 와이파이 서비스 이용과 관련한 동시접속 기기로 등록한다. 이때, 상기 새로 등록된 특정 디바이스에서 무료로 와이파이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특정 디바이스는 해당 단말(100)과 관련한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와이파이 스퀘어 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와이파이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100)을 핫 스팟으로 하여 상기 와이파이 스퀘어 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새로 등록된 특정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반영(또는 적용)하여, 업데이트된 와이파이 화면을 표시한다.
일 예로, 상기 제 1 단말에 표시되는 와이파이 화면(500)에서 상기 동시접속 기기 추가하기 메뉴(530)가 선택될 때,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새로운 제 1 디바이스(예를 들어 제 1 태블릿)를 와이파이 동시접속 기기로 추가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반영한 와이파이 화면(800)을 표시한다(S260).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와이파이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와이파이 스퀘어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미리 설정된 복수의 와이파이 스퀘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와이파이 스퀘어에 대한 정보는 실제 환경 필드 테스트를 통해 방사거리, 통신 속도 등을 고려하여 배치한(또는 구성한) 와이파이 스퀘어(또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 해당 위치(또는 해당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커버리지 영역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제 1 단말에 표시되는 와이파이 화면(500)에서 상기 와이파이 스퀘어 메뉴(540)가 선택될 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단말은 제주도에서 미리 설정된 복수의 와이파이 스퀘어에 대한 정보(900)를 표시한다(S270).
또한,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상기 단말(100)(또는 해당 단말(100)을 소지한 사용자)이 위치한 와이파이 스퀘어 또는 상기 단말(100)(또는 해당 단말(100)을 소지한 사용자)이 위치한 매장 내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통신 연결(또는 와이파이 연결/접속)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단말(100)을 소지한 사용자가 상기 미리 설정된 와이파이 스퀘어 내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을 소지한 사용자가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리 설정된 매장 주변(또는 해당 매장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경)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을 소지한 사용자가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매장 내부로 진입하는 경우, 매장 주변/외부/내부에 구비된 제어 정보(또는 랜딩 페이지)를 포함하는 QR 코드가 스캔되는 경우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단말(100)은 이기종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통합 인증 서버(또는 상기 서버(200)) 구축을 통해, 사용자 최초 인증 후, 추가적인 인증 절차 없이, 상기 서버(200)에 연동된 이기종간 액세스 포인트에서도 데이터 로밍을 통해 자동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단말을 소지한 제 1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제 2 와이파이 스퀘어 영역 내에 진입할 때,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해당 제 1 단말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 2 와이파이 스퀘어 영역 내에 위치한 제 2 와이파이 AP와 와이파이 연결을 자동으로 수행한다(S280).
이후, 상기 서버(200)는 상기 와이파이 스퀘어 내에 위치한 단말(100)(또는 상기 와이파이 스퀘어 내에 위치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하는/접속하는 단말(100)/상기 매장 내에 위치한 단말(100))에 대해서, 해당 단말(100)의 위치 정보, 해당 단말(100)의 식별 정보, 해당 단말(100)이 위치한 매장 정보, 해당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 등을 수집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100)의 식별 정보는 MDN, 모바일 IP, 모바일 MAC, Sim(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고유정보, 시리얼번호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해당 서버(200)에 미리 등록된 단말의 식별 정보별 고객 정보(또는 개인 정보) 중에서 상기 수집된 해당 단말(10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고객 정보는 성별, 연령대, 먹고 싶은 정보(예를 들어 다이어트, 베이커리, 분식, 세계음식, 양식, 일식, 주류, 중식, 카페, 한식 등 포함), 하고 싶은 정보(예를 들어 걷기, 관람, 데이터, 드라이브, 반려동물과 함께, 사진찍기 좋은, 액티비티, 여행, 체험, 취미활동, 캠핑, 힐링 등 포함), 가고 싶은 정보(예를 들어 도로, 박물관/전시, 산, 상점, 섬, 스테이, 식물원, 오름, 올레길, 전통시장, 해변, 휴양림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해당 서버(200)에 미리 등록된 복수의 매장 정보 중에서 상기 수집된 해당 단말(100)의 위치 정보, 해당 단말(100)이 위치한 매장 정보, 해당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 등에 대응하는 매장 단말(300)을 확인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확인된 매장 단말(300)로 상기 확인된 고객 정보를 전송한다.
일 예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 2 와이파이 AP에 연결하는 제 1 단말과 관련해서, 해당 제 1 단말의 위치 정보, 상기 제 1 단말의 식별 정보, 상기 제 1 단말이 위치한 제 3 매장 정보 등을 수집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해당 서버(200)에 미리 등록된 단말의 식별 정보별 고객 정보 중에서 상기 수집된 제 1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 1 고객 정보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해당 서버(200)에 미리 등록된 복수의 매장 정보 중에서 상기 수집된 제 1 단말의 위치 정보, 상기 제 3 매장 정보 등에 대응하는 제 3 매장 단말(300)을 확인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확인된 제 3 매장 단말로 상기 확인된 제 1 고객 정보를 전송한다(S290).
이후, 상기 매장 단말(300)은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고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고객 정보를 표시(또는 출력)한다.
또한, 상기 매장 단말(300)은 상기 수신된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맞춤형 쿠폰을 생성한다. 이때, 상기 맞춤형 쿠폰은 양도가 불가하며, 혜택 정보, 유효 기간 정보, 사용 가능 매장 정보 등 이외에, 해당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단말(100)에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해당 단말(100)과 관련한 고유 코드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맞춤형 쿠폰은 전자 쿠폰 형태로 제공됨에 따라, 해당 맞춤형 쿠폰을 제공받은 단말(100)에서 빠른 시간 내에 해당 매장을 방문하여 쿠폰을 사용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 맞춤형 쿠폰 발행 후 해당 맞춤형 쿠폰의 사용 시점에 따라 할인율이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장 단말(300)은 상기 생성된 맞춤형 쿠폰, 상기 고객 정보 등을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
일 예로, 상기 제 3 매장 단말은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제 1 고객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3 매장 단말은 상기 수신된 제 1 고객 정보를 근거로 해당 제 1 단말의 제 1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제 1 맞춤형 쿠폰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 1 맞춤형 쿠폰, 상기 제 1 고객 정보 등을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S300).
이후, 상기 서버(200)는 상기 매장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맞춤형 쿠폰, 상기 고객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수신된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단말(100)에 상기 수신된 맞춤형 쿠폰을 푸시 메시지 형태로 제공(또는 전송)한다.
일 예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 3 매장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 1 맞춤형 쿠폰, 상기 제 1 고객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 1 맞춤형 쿠폰을 푸시 메시지 형태로 상기 수신된 제 1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단말에 제공한다(S310).
이후, 상기 단말(100)은 푸시 메시지 형태로 상기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또는 전송되는) 맞춤형 쿠폰 등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맞춤형 쿠폰을 표시(또는 출력)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매장에 대응하는 상기 매장 단말(300), 상기 서버(200) 및 결제 서버(미도시)와 연동하여, 상기 맞춤형 쿠폰을 이용해서 상품 구매 및/또는 서비스 이용에 따른 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매장 단말(300)은 해당 단말(100)의 사용자의 재방문을 유도하기 위해서,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상기 맞춤형 쿠폰을 이용한 결제 기능 수행 시, 유효 기간이 설정된 추가 쿠폰(또는 추가 맞춤형 쿠폰)을 상기 단말(100)에 푸시 메시지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결제 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또는 상기 결제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결제 기능 수행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결제 기능 수행 결과를 표시(또는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결제 기능 수행 결과는 상품 종류, 서비스 종류, 결제 금액 정보, 결제 날짜 및 시각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푸시 메시지 형태의 제 1 맞춤형 쿠폰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1 맞춤형 쿠폰을 상기 앱 실행 결과 화면 내의 설정 메뉴에 대응하는 설정 화면 상의 나의 쿠폰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 1 단말을 소지한 제 1 사용자가 상기 제 1 맞춤형 쿠폰과 관련한 제 3 매장에 방문하여 해당 제 3 매장에서 판매하는 제 1 상품에 대해서 결제 기능을 수행할 때,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제 3 매장 단말, 상기 서버(200) 및 상기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제 1 맞춤형 쿠폰을 적용하여 상기 제 1 상품에 대해 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제 1 상품에 대한 결제 기능 수행 후, 상기 제 3 매장 단말로부터 추가 제공되는 제 2 쿠폰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2 쿠폰을 상기 나의 쿠폰 화면에 등록(또는 저장)한다(S320).
이후,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 및 상기 매장 단말(300)과 연동하여, 귓속말 기능으로 해당 매장 단말(300)의 관리자에게 비공개 리뷰 정보를 전달(또는 전송/제공)한다.
즉,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앱 실행 결과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설정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와이파이 사용을 위한 구독 기능이나 다양한 이벤트에 참여하거나 전용 앱 기능을 설정하기 위해서, 상기 선택된 설정 메뉴에 대응하는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설정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귓속말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해당 단말(100)에서 방문하여 상품 구매 및/또는 서비스 이용에 따라 결제 기능을 수행한 하나 이상의 매장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단말(100)은 해당 결제 기능을 수행한 하나 이상의 매장과 관련한 관리자(또는 관리자명)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100)에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매장 정보 중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어느 하나의 매장 정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선택된 매장 정보와 관련한 관리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비공개 리뷰 정보를 작성하기 위한 비공개 리뷰 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해당 단말(100)에 표시되는 비공개 리뷰 정보 입력 화면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상기 비공개 리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비공개 리뷰 정보를 귓속말 기능을 해당 매장 단말(300)(또는 해당 매장 단말(300)의 관리자)에 전달(또는 전송/제공)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전달된 비공개 리뷰 정보 등에 응답하여 상기 매장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응답 정보를 표시(또는 출력)한다. 이때, 상기 매장 단말(300)은 상기 단말(100)에서 전달한 비공개 리뷰 정보에 대한 감사 표시로, 상기 응답 정보 이외에, 미리 설정된 포인트, 추가 할인 쿠폰 등을 상기 단말(1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매장 단말(300)로 직접적으로 비공개 리뷰 정보를 전달하고, 그에 대한 응답 정보를 제공받음에 따라, 상기 매장 단말(300)은 고객 반응을 확인하고, 사용자가 매장 관리자 간의 유대를 높이고, 단골 고객을 형성 및 관리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서버(200) 및 상기 제 3 매장 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제 1 단말에서 구매한 제 1 상품과 관련한 제 1 비공개 리뷰 정보를 상기 제 3 매장 단말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전송된 제 1 비공개 리뷰 정보 등에 응답하여 상기 제 3 매장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 1 응답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1 응답 정보를 표시한다(S330).
또한, 상기 단말(100)에서 무선 통신 연결 상태에서, 기존 와이파이 스퀘어에서 다른 와이파이 스퀘어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데이터 로밍을 통해 끊김 없이 새로운 다른 와이파이 스퀘어에 포함된 다른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통신 연결(또는 와이파이 연결/접속)을 수행한다.
일 예로, 상기 제 1 단말에서 상기 제 2 와이파이 스퀘어 영역에서 해당 제 2 와이파이 스퀘어 영역에 인접한 제 3 와이파이 스퀘어 영역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상기 제 3 와이파이 스퀘어 영역 내에 위치한 제 3 와이파이 AP와 데이터 로밍에 의해 와이파이 연결을 유지한다(S340).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와이파이 접속 시 미리 설정된 와이파이 스퀘어 내에 자동 접속되고, 데이터 로밍을 통해 서로 인접한 와이파이 스퀘어 내 이동 간에도 무중단 방식으로 와이파이를 사용하여, 실내외에서 끊김없이 무선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기종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통합 인증 서버 구축을 통해, 사용자 최초 인증 후, 추가적인 인증 절차 없이, 통합 인증 서버에 연동된 이기종간 액세스 포인트에서도 데이터 로밍을 통한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어느 장소에서든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다양한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과 관련한 콘텐츠 및 매장 정보를 제공하여, 와이파이를 통한 데이터 로밍을 이용해서 무선통신의 끊김 없이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데이터 공유 시스템 100: 단말
200: 서버 300: 매장 단말

Claims (10)

  1. 앱 실행 결과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와이파이 메뉴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와이파이 메뉴에 대응하는 와이파이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되는 와이파이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와이파이 연결하기 메뉴가 선택될 때 기 선택된 와이파이 연결하기 메뉴에 대응하는 와이파이 연결하기 화면을 표시하는 단말; 및
    상기 단말에 표시되는 와이파이 연결하기 화면에 표시되는 연결 가능한 하나 이상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어느 하나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가 선택될 때, 상기 단말과 상기 선택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간의 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와이파이를 활용한 데이터 공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파이 화면은,
    와이파이에 연결하기 위한 와이파이 연결하기 메뉴, 와이파이 관련 서비스에 대한 구독 기능을 수행 중인 경우 구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구독 현황 메뉴, 와이파이 속도에 대한 비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 속도 메뉴, 와이파이 동시접속 기기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동시접속 기기 추가하기 메뉴 및, 구독 기능에 따라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는 와이파이 스퀘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 스퀘어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를 활용한 데이터 공유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에서 무선 통신 연결 상태에서, 기존 와이파이 스퀘어에서 다른 와이파이 스퀘어로 이동할 때, 상기 서버와 연동하여, 데이터 로밍을 통해 끊김 없이 새로운 다른 와이파이 스퀘어에 포함된 다른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를 활용한 데이터 공유 시스템.
  4. 단말에 표시되는 앱 실행 결과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와이파이 메뉴가 선택될 때,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선택된 와이파이 메뉴에 대응하는 와이파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표시되는 와이파이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와이파이 연결하기 메뉴가 선택될 때,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선택된 와이파이 연결하기 메뉴에 대응하는 와이파이 연결하기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 표시되는 와이파이 연결하기 화면에 표시되는 연결 가능한 하나 이상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상기 단말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어느 하나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가 선택될 때, 상기 단말에 의해, 서버 및 상기 선택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와 연동하여, 상기 단말과 상기 선택된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간의 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와이파이를 활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표시되는 와이파이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와이파이 속도 메뉴 내의 내 데이터 속도 갱신하기 항목이 선택될 때,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서버와 연동하여, 무선 통신 세대별로 상기 단말의 업로드 시간, 다운로드 시간, 지연 시간 및 지터(jitter)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단말의 업로드 시간, 다운로드 시간, 지연 시간 및 지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표시되는 와이파이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동시접속 기기 추가하기 메뉴가 선택될 때,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와 관련한 계정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단말 이외에 추가 디바이스를 와이파이 동시접속 기기로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 표시되는 와이파이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와이파이 스퀘어 메뉴가 선택될 때,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서버와 연동하여, 미리 설정된 복수의 와이파이 스퀘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를 활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파이 스퀘어에 대한 정보는,
    실제 환경 필드 테스트를 통해 방사거리 및 통신 속도를 고려하여 배치한 와이파이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커버리지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를 활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단말이 위치한 와이파이 스퀘어 또는 상기 단말이 위치한 매장 내의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통신 연결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단말에 대해서,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단말이 위치한 매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미리 등록된 단말의 식별 정보별 고객 정보 중에서 상기 수집된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서버에 미리 등록된 복수의 매장 정보 중에서 상기 수집된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단말이 위치한 매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대응하는 매장 단말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확인된 매장 단말로 상기 확인된 고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매장 단말에 의해,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고객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매장 단말에 의해, 상기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맞춤형 쿠폰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맞춤형 쿠폰을 상기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맞춤형 쿠폰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매장에 대응하는 상기 매장 단말, 상기 서버 및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맞춤형 쿠폰을 이용해서 상품 구매 또는 서비스 이용에 따른 결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를 활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상기 미리 설정된 와이파이 스퀘어 내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리 설정된 매장 주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매장 내부로 진입하는 경우 및, 매장 주변 또는 외부 또는 내부에 구비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QR 코드가 스캔되는 경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를 활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서버 및 상기 매장 단말과 연동하여, 귓속말 기능으로 상기 매장 단말의 관리자에게 비공개 리뷰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매장 단말에 의해, 상기 비공개 리뷰 정보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를 상기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응답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를 활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서 무선 통신 연결 상태에서, 기존 와이파이 스퀘어에서 다른 와이파이 스퀘어로 이동할 때,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서버와 연동하여, 데이터 로밍을 통해 끊김 없이 새로운 다른 와이파이 스퀘어에 포함된 다른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를 활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
KR1020220052084A 2022-04-27 2022-04-27 와이파이를 활용한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28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084A KR102628880B1 (ko) 2022-04-27 2022-04-27 와이파이를 활용한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084A KR102628880B1 (ko) 2022-04-27 2022-04-27 와이파이를 활용한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2884A true KR20230152884A (ko) 2023-11-06
KR102628880B1 KR102628880B1 (ko) 2024-01-25

Family

ID=88748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084A KR102628880B1 (ko) 2022-04-27 2022-04-27 와이파이를 활용한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888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1299A (ko) * 2009-06-30 2011-01-06 주식회사 셀리지온 와이파이 에이피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30064523A (ko) * 2011-12-08 2013-06-1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이파이 성능 측정 방법 및 이동단말
KR20130082202A (ko) * 2012-01-11 2013-07-19 주식회사 케이티 AC와 AP의 연동 기반의 WiFi 로밍에서의 효과적인 트래픽 제어 및 단말 세션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680159B1 (ko) * 2015-05-18 2016-11-28 양병원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009953A (ko) 2016-07-20 2018-01-30 신철호 와이파이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73790B1 (ko) * 2018-05-31 2019-04-30 이원삼 무선통신 기반 클러스터 데이터를 이용한 매장의 와이파이 검색 및 메뉴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1299A (ko) * 2009-06-30 2011-01-06 주식회사 셀리지온 와이파이 에이피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30064523A (ko) * 2011-12-08 2013-06-1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이파이 성능 측정 방법 및 이동단말
KR20130082202A (ko) * 2012-01-11 2013-07-19 주식회사 케이티 AC와 AP의 연동 기반의 WiFi 로밍에서의 효과적인 트래픽 제어 및 단말 세션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680159B1 (ko) * 2015-05-18 2016-11-28 양병원 와이파이 존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009953A (ko) 2016-07-20 2018-01-30 신철호 와이파이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73790B1 (ko) * 2018-05-31 2019-04-30 이원삼 무선통신 기반 클러스터 데이터를 이용한 매장의 와이파이 검색 및 메뉴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8880B1 (ko) 2024-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5827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stant messaging service
US9948583B2 (en) Channel based communication and transaction system
US20180197184A1 (en) Managing Internet Advertising and Promotional Content
US20080113674A1 (en) Vicinity-based community for wireless users
US201300134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on of digital offers
US2014001266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online promotions through a social network-based platform
US20080182563A1 (en) Method and system for social networking over mobile devices using profiles
US20110153553A1 (en) Coordinated Location Aware Brokering of Social Networks
CN103477610A (zh) 通过匹配类似用户来推荐移动内容
US20140279034A1 (en) Products,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nd interacting with a mobile community
KR20120102919A (ko) 위치 기반 광고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50261828A1 (en) Method to propagate a message in a real time interest based social group
US8554613B2 (en) Providing coupons based on user selected preference options
CN108463819B (zh) 使用智能终端的基于数字串的实时信息分发系统以及信息分发方法
KR101289930B1 (ko) 차별적 팔로우잉 구조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KR102628880B1 (ko) 와이파이를 활용한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152391A (ko) 와이파이를 활용한 고객 정보 수집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567253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on, data-mining and display of information regarding and relating to attendees of live events for management decisions
KR101751976B1 (ko) 글로벌 플랫폼 기반의 체험대상 상품에 대한 광고 방법
KR102030093B1 (ko) 리워드 차등 부여를 위한 광고 제공 방법
KR20140132329A (ko) 가상채널을 통해 제안을 구성 및 제시하기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2048087B1 (ko) 개인과 객체의 관계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047211A (ko) 사용자별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서버
KR102574717B1 (ko) 메시지 대기소를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20087270A (ko) 관심정보 카페 제공 시스템,관심정보 카페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및 관심정보 카페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