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8777B1 - 와이어 커팅용 지그 - Google Patents

와이어 커팅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8777B1
KR101678777B1 KR1020150051913A KR20150051913A KR101678777B1 KR 101678777 B1 KR101678777 B1 KR 101678777B1 KR 1020150051913 A KR1020150051913 A KR 1020150051913A KR 20150051913 A KR20150051913 A KR 20150051913A KR 101678777 B1 KR101678777 B1 KR 101678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bridge
guide groove
fixture
ji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1977A (ko
Inventor
김윤기
Original Assignee
김윤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기 filed Critical 김윤기
Priority to KR1020150051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777B1/ko
Publication of KR20160121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1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77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11/00Auxiliary apparatus or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11/003Mounting of workpieces, e.g. working-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02Wire-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커팅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팅용 지그는, 상면에 볼트 결합을 위한 복수의 볼트홈이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피가공물을 지지하고,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안내홈이 형성되는 브릿지와, 일측이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볼트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안내홈에 수용되어 상기 브릿지를 고정시키는 고정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베이스의 규격에 가변적으로 위치할 수 있는 와이어 커팅용 지그를 이용하여 피가공물을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어 커팅용 지그{WIRE CUTTING JIG}
본 발명은 와이어 커팅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의 크기에 가변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와이어 커팅용 지그의 구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와이어 커팅은 가는 방전가공용의 전용 와이어를 피가공물 상에 한 방향으로 보내면서, 피가공물과 와이어 사이의 방전으로 가공하는 것이다. 와이어 커팅은 정밀한 구멍을 각도를 달리하여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바언가공기와는 차이가 있다. 또한, 방전가공과 달리, 와이어가 한바퀴 돌아가면 그 안의 재료부분은 가공없이 떨어지게 되므로, 방전가공에 비해서 가공량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와이어 커팅은 오늘날 휴대폰 등에 사용되는 부품이 소형화, 정교화되면서 각종 금형가공에서 각광받는 가공법 중에 하나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17505호(2002년03월07일 공개)는 와이어를 이용한 커팅 머신용 지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작물을 장착시키는 고정 지그와, 공작물의 길이 방향으로 장착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송이 가능한 이송 지그와, 각각의 지그를 고정 클램프 나사로 나사 결합하여 고정하는 고정 클램프와, 와이어에 냉각수를 유도하는 냉각수 가이더와, 공작물을 절단하는 와이어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기술은 고정 클랩프 나사로 각각의 지그를 나사 결합하여 고정한다는 점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볼트홈이 달라지면 여러 종류의 지그를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베이스의 규격에 가변적으로 위치할 수 있는 와이어 커팅용 지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팅용 지그는, 상면에 볼트 결합을 위한 복수의 볼트홈이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피가공물을 지지하고,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안내홈이 형성되는 브릿지와, 일측이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볼트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안내홈에 수용되어 상기 브릿지를 고정시키는 고정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구는, 단면이 "
Figure 112015035886291-pat00001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구의 일측에는 상기 볼트홈에 대응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하향으로 가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홈은 가로(─) 또는 세로(│) 또는 십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은 가로(─) 또는 세로(│) 또는 십자(┼) 형상으로 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홈에는 제1 자성체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돌기는 제2 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베이스의 규격에 가변적으로 위치할 수 있는 와이어 커팅용 지그를 이용하여 피가공물을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팅용 지그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와이어 커팅용 지그의 브릿지에 대한 상세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와이어 커팅용 지그의 고정구에 대한 상세 구성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와이어 커팅용 지그 중 브릿지와 고정구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팅용 지그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팅용 지그(100)는 베이스(110), 브릿지(120) 및 고정구(130)를 포함한다.
베이스(110)는 상면에 볼트 결합을 위한 복수의 베이스 볼트홈(110-1)이 형성된다. 베이스(110)는 상면에 후술하는 브릿지(120) 및 고정구(130)가 결합되어 브릿지(120)에 연결되는 피가공물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110)는 복수의 가로블럭 및 세로블럭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가로블럭 및 세로블럭은 "│"자형의 블럭으로 상면에 베이스 볼트홈(110-1)이 형성되고, 복수의 가로블럭 및 세로블럭을 조립하여 사각형의 베이스(110)를 형성된다. 이 경우, 베이스(110)는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피가공물을 와이어 커팅하기 위해 가운데 공간이 비어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브릿지(120)는 베이스(110)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피가공물을 지지한다. 브릿지(120)의 측면에는 베이스(110)와의 볼트결합을 위한 복수의 브릿지 볼트홈(120-1)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안내홈(120-2)이 형성된다. 브릿지(120)는 베이스(110)의 가로블록(111) 또는 세로블록(112) 사이에 가교 역할을 한다. 복수의 브릿지(120)가 서로 대향하면서 그 사이에 피가공물이 고정지지된다. 브릿지(120)의 안내홈(120-2)은 가로(─) 또는 세로(│) 또는 십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고정구(130)의 가압돌기가 수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고정구(130)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볼트홈과는 달리 길이방향으로 고정구(130)의 가압돌기 보다 긴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다.
고정구(130)는 일측이 베이스(110)의 상면에 볼트결합되고, 타측이 안내홈(120-2)에 수용되어 브릿지(120)를 고정시킨다. 예를 들어, 고정구(130)는 단면이 "
Figure 112015035886291-pat00002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고정구(130)는 단면이 직각으로 절곡된 계단형상으로 형성된다. 고정구(130)의 일측에는 볼트홈에 대응하는 관통공(131)이 형성된다. 관통공(131)은 볼트홈보다 긴 길이로 형성된다. 이는 고정구(130)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가로(─) 또는 세로(│) 또는 십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닌다. 고정구(130)의 타측에는 하향으로 가압돌기가 형성된다. 가압돌기는 안내홈(120-2)을 따라 이동하면서 브릿지(120)를 베이스(110)에 밀착되도록 가압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와이어 커팅용 지그의 브릿지에 대한 상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브릿지(120)의 상면, 측면에는 복수의 브릿지 볼트홈(120-1)이 형성된다. 브릿지 볼트홈(120-1)은 브릿지(120)를 베이스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브릿지(120)는 베이스의 상면에 브릿지(120) 볼트홈을 이용한 볼트 결합을 통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안내홈(120-2)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로(─) 또는 세로(│) 또는 십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구가 결합되어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안내홈(120-2)은 단면이 "U" 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고정구의 가압돌기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U홈(120-3)은 피가공물을 지지하기 위해 브릿지(120)의 측면에 형성되는 홈으로, 지지수단의 일측을 고정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와이어 커팅용 지그의 고정구에 대한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고정구(130)는 단면이 "
Figure 112015035886291-pat00003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고정구(130)의 일측에는 가로(─) 또는 세로(│) 또는 십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관통공(131)이 형성된다. 이는 볼트 결합을 가변적으로 하기 위함이다. 고정구(130)의 타측에는 내측 하향으로 가압돌기(132)가 형성된다. 가압돌기(132)는 브릿지의 안내홈에 수용되어 브릿지를 베이스에 밀착시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가압돌기(132)의 길이는 안내홈의 길이보다 짧으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다양한 위치에 고정이 가능하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와이어 커팅용 지그 중 브릿지와 고정구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브릿지(120)의 안내홈(120-2)에는 고정구(131)의 가압돌기(132)가 결합된다. 이 경우, 브릿지(120)의 안내홈(120-2)에는 제1 자성체(121)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구(131)의 가압돌기(132)에는 제2 자성체(13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자성체(121)와 제2 자성체(133)는 서로 다른 극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브릿지(120)의 안내홈(120-2)에 고정구(130)의 가압돌기(132)가 밀착하여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고정구(130)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이 베이스(110)에 결합되기 전에 고정구(130)의 타측에 형성된 가압돌기(132)가 안내홈(120-2)에서 이탈되지 않아 보다 정밀한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와이어 커팅용 지그
110 : 베이스
110-1 : 베이스 볼트홈
111 : 가로블록
112 : 세로블록
120 : 브릿지
120-1 : 브릿지 볼트홈
120-2 : 안내홈
120-3 : U홈
121 : 제1 자성체
130 : 고정구
131 : 관통공
132 : 가압돌기
133 : 제2 자성체

Claims (5)

  1. 상면에 볼트 결합을 위한 복수의 볼트홈이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피가공물을 지지하고,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자 형태의 안내홈이 형성되는 브릿지; 및
    단면이 "
    Figure 112016079624526-pat00009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볼트홈보다 긴 길이방향으로 '─'자 형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볼트결합되고, 타측에 하향으로 상기 안내홈의 길이보다 짧은 가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브릿지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고정구를 포함하되,
    상기 안내홈에 상기 가압돌기가 수용되는 경우 상기 관통공은 상기 안내홈과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위치하는 와이어 커팅용 지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에는 제1 자성체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돌기는 제2 자성체로 형성되는 와이어 커팅용 지그.
KR1020150051913A 2015-04-13 2015-04-13 와이어 커팅용 지그 Active KR101678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913A KR101678777B1 (ko) 2015-04-13 2015-04-13 와이어 커팅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913A KR101678777B1 (ko) 2015-04-13 2015-04-13 와이어 커팅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977A KR20160121977A (ko) 2016-10-21
KR101678777B1 true KR101678777B1 (ko) 2016-11-22

Family

ID=57257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913A Active KR101678777B1 (ko) 2015-04-13 2015-04-13 와이어 커팅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87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129U (ko) 2017-04-24 2018-11-01 이규순 전선 분리용 지그를 갖는 전선 커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17770B (zh) * 2018-11-09 2024-02-09 北京新风航天装备有限公司 一种梯形截面薄长零件高效加工方法及其工装
KR102138080B1 (ko) * 2020-02-13 2020-07-27 (유)다수 공용화 지그 플레이트
CN116117254B (zh) * 2023-04-03 2024-07-16 洛阳船舶材料研究所(中国船舶集团有限公司第七二五研究所) 一种霍普金森拉杆试样线切割夹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7425A (ja) * 2000-06-07 2001-12-18 Nippon Koshuha Steel Co Ltd 放電加工用ワークの取付具
KR101026360B1 (ko) 2010-11-04 2011-04-05 이호형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공작물 고정지그
JP2013154408A (ja) * 2012-01-26 2013-08-15 Seibu Electric & Mach Co Ltd レベル調整治具及びそのレベル調整治具を備える板材保持装置と板材の配置調整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5870A (ja) * 1993-05-26 1994-12-06 Araco Corp 組立部品の組付け治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7425A (ja) * 2000-06-07 2001-12-18 Nippon Koshuha Steel Co Ltd 放電加工用ワークの取付具
KR101026360B1 (ko) 2010-11-04 2011-04-05 이호형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공작물 고정지그
JP2013154408A (ja) * 2012-01-26 2013-08-15 Seibu Electric & Mach Co Ltd レベル調整治具及びそのレベル調整治具を備える板材保持装置と板材の配置調整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129U (ko) 2017-04-24 2018-11-01 이규순 전선 분리용 지그를 갖는 전선 커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977A (ko) 2016-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8777B1 (ko) 와이어 커팅용 지그
KR101026360B1 (ko)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공작물 고정지그
JP5691441B2 (ja) クランプ装置
CN104108034B (zh) 水平型工件固定装置
CN110653732A (zh) 一种定位夹具
CN108127706A (zh) 一种线切割机
DK1064110T3 (da) Bukkemaskine til fladt materiale
JP2008080413A (ja) ワーク取付具及びワークの加工方法
KR101965072B1 (ko) Cnc 선반장치
CN104176475A (zh) 定位机构
CN203830896U (zh) 上滑道点焊治具
KR20140113829A (ko) 측면 가공장치
CN105689484A (zh) 一种自动落料冲压机
CN102658388A (zh) 多耳片类钻模翻板定位机构
CN205325274U (zh) 夹具
CN103189157B (zh) 一种用于夹持线锯切割机夹具工装的装置
JP6526899B1 (ja) 鋸切断用冶具
KR100663420B1 (ko) 금형 제조 장치
CN105033705A (zh) 一种l形工件cnc加工夹具
CN211516790U (zh) 一种箱体零件用卧加保压夹具
CN207223969U (zh) 一种多物料夹持装置
CN104090337B (zh) 内部可调节多功能光纤夹具
CN202224965U (zh) 侧面压紧的夹具块
CN209207002U (zh) 夹紧机构
CN112894452A (zh) 一种汽车零部件加工自动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