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8756B1 -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통신 장치 및 정보 중계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통신 장치 및 정보 중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8756B1
KR101678756B1 KR1020147028862A KR20147028862A KR101678756B1 KR 101678756 B1 KR101678756 B1 KR 101678756B1 KR 1020147028862 A KR1020147028862 A KR 1020147028862A KR 20147028862 A KR20147028862 A KR 20147028862A KR 101678756 B1 KR101678756 B1 KR 101678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ontrol devic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8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3798A (ko
Inventor
히로까즈 요시다
마사노리 다까시마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3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63Performing the actions predefined by failover planning, e.g. switching to standby network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64Distributing or queueing
    • H04Q3/66Traffic distribu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4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using virtualisation of network functions or resources, e.g. SDN or NFV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42Centralised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645Splitting route computation layer and forwarding layer, e.g. routing according to path computational element [PCE] or based on OpenFlow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45Rerouting upon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66Fault preven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67Redundant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78Control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제어 장치 간의 제휴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제공한다. 이 통신 시스템은 제어 장치에 의해 설정된 제어 정보에 따라서 패킷을 처리하는 통신 장치; 상기 통신 장치에 상기 제어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제1 제어 장치; 및 상기 제1 제어 장치와 제휴해서 동작하는 제2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제어 장치는 상기 통신 장치를 거쳐서 상기 제2 제어 장치에 상기 제1 제어 장치와 제2 제어 장치 간의 제휴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송신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통신 장치 및 정보 중계 방법{COMMUNICATION SYSTEM, CONTROL APPARATU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RELAYING METHOD}
(관련 출원에 관한 기재)
본 발명은 2012년 3월 19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2-062222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출원의 전체 기재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병합된다.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통신 장치, 정보 중계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가 설치된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통신 장치, 정보 중계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오픈플로우(OpenFlow)라고 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및 2, 및 비특허 문헌 1 내지 3 참조). 오픈플로우는 통신을 엔드-투-엔드(end-to-end) 플로우로서 취급하고, 플로우 단위로 경로 제어, 장해 회복, 부하 분산, 및 최적화를 행하는 것이다. 중계 장치로서 기능하는 오픈플로우 스위치는 제어 장치인 오픈플로우 컨트롤러와 통신하기 위한 시큐어 채널을 포함하고, 오픈플로우 컨트롤러에 의해 적당하게 추가 또는 재기입되는 플로우 테이블에 따라서 동작한다. 플로우 테이블에서는, 플로우 마다, 패킷 헤더와 대조하는 매칭 룰(헤더 필드), 플로우 통계 정보(카운터), 및 매칭 룰(헤더 필드)에 적합한 패킷에 적용되는 처리 내용을 기술한 인스트럭션(Instructions)의 세트가 정의된다(비특허 문헌 2의 "4.1 Flow Table" 항 참조).
예를 들면, 패킷을 수신하면, 오픈플로우 스위치는 플로우 테이블에서 수신 패킷의 헤더 정보에 적합한 매칭 룰을 갖는 엔트리를 검색한다. 검색의 결과 수신 패킷에 적합한 엔트리가 발견된 경우, 오픈플로우 스위치는 플로우 통계 정보(카운터)를 갱신하고 수신 패킷에 대한 엔트리의 액션 필드에 기술된 처리 내용(지정 포트로부터의 패킷 송신, 플러딩(flooding), 폐기 등)을 실시한다. 한편, 상기 검색의 결과 수신 패킷에 적합한 엔트리가 발견되지 않은 경우, 오픈플로우 스위치는 시큐어 채널을 거쳐서 오픈플로우 컨트롤러에 수신 패킷을 전송하고, 수신 패킷의 송신원 및 수신처에 기초한 패킷의 경로의 결정을 오픈플로우 컨트롤러에 요구하고, 이 동작을 실현하는 플로우 엔트리를 수취한 후에 플로우 테이블을 갱신한다. 이상과 같이, 오픈플로우 스위치는 플로우 테이블에 저장된 엔트리를 처리 규칙으로서 이용하여 패킷을 전송한다.
특허 문헌 2는 네트워크(NW) 기기와 비대응 네트워크(NW) 기기가 혼재하는 환경에서 컨트롤러가 서로 통신하지 않고, 경로 정보(오픈플로우 스위치에 의해 설정된 플로우 테이블의 엔트리)의 리스트를 부가한 패킷을 이용하여 모든 네트워크(NW) 기기에 대하여 경로 정보를 설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특허 문헌 1의 단락 0029 이하에서는, 데이터 센터와 같은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오픈플로우를 적용하고, 네트워크 내의 모든 네트워크(NW) 기기의 관리를 복수의 컨트롤러가 분담하는 구성이 소개되어 있다(도 4도 참조).
국제 공개 WO 2008/095010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66704A호
Nick McKeown 외, "OpenFlow: Enabling Innovation in Campus Networks", [online], [2012년 2월 14일 검색], 인터넷 <URL: http://www.openflow.org/documents/openflow-wp-latest.pdf> "OpenFlow Switch Specification" Version 1.1.0 Implemented (Wire Protocol 0x02), [online], [2012년 2월 14일 검색], 인터넷 <URL:http://www.openflow.org/documents/openflow-spec-v1.1.0.pdf> "OpenFlow Switch Specification" Version 1.0.0 Implemented (Wire Protocol 0x01), [online], [2012년 2월 14일 검색], 인터넷 <URL:http://www.openflow.org/documents/openflow-spec-v1.1.0.pdf>
이하의 분석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다. 특허 문헌 2와 같이 복수의 오픈플로우 컨트롤러(이하 "OFC"라고 함)가 오픈플로우 스위치(이하 "OFS"라고 함)를 관리하는 경우, 특허 문헌 2의 단락 0035에 기재된 바와 같이, OFC들이 서로 동기되어야 한다. 특허 문헌 2는 플로우 테이블의 갱신 지시에 응답하여 행해지는 동기를 기재하고 있지만, 이것 외에, 복수의 OFC가 액티브와 스탠바이로서 동작하는 구성에서도 OFC들이 자신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동기되어야 한다.
그러나, OFC들 간의 네트워크에 장해가 발생하고 통신이 단절되는 경우, OFC들은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없고 동기될 수 없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 문헌 2는 특정한 NW 기기(OFS에 상당) 또는 컨트롤러 를 거쳐서 후단의 NW 기기에 경로 정보를 전송하는 것만 기재하고 있고, 컨트롤러 간에 네트워크 장해가 발생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논의하고 있지 않다. 또한, 특허 문헌 2에서 컨트롤러가 서로 통신하지 않고 교환되는 것은 경로 정보의 설정 지시의 일부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제어 장치 간의 제휴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통신 장치, 정보 중계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 양상에 따르면, 제어 장치에 의해 설정된 제어 정보에 따라서 패킷을 처리하는 통신 장치, 상기 통신 장치에 상기 제어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제1 제어 장치, 및 상기 제1 제어 장치와 제휴해서 동작하는 제2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장치는 상기 통신 장치를 거쳐서 상기 제2 제어 장치에 상기 제1 제어 장치와 제2 제어 장치 간의 제휴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제2 양상에 따르면, 제어 장치에 의해 설정된 제어 정보에 따라서 패킷을 처리하는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제1 제어 장치로서, 상기 통신 장치에 상기 제어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통신 장치를 거쳐서 자신과 제휴해서 동작하는 제2 제어 장치에 상기 제2 제어 장치와의 제휴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송신하는 정보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제1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제3 양상에 따르면, 제어 장치에 의해 설정된 제어 정보에 따라서 패킷을 처리하는 통신 장치, 및 상기 통신 장치에 상기 제어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제1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제2 제어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제2 제어 장치는 상기 통신 장치에 상기 제어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통신 장치를 거쳐서 상기 제1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제어 장치와의 제휴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장치와 제휴해서 동작한다.
제4 양상에 따르면, 상기 통신 장치에 상기 제어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상기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 장치 중 하나의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어 장치 간의 제휴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복수의 제어 장치 중 나머지 제어 장치에 상기 복수의 제어 장치 간의 제휴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제5 양상에 따르면, 제어 장치에 의해 설정된 제어 정보에 따라서 패킷을 처리하는 통신 장치, 상기 통신 장치에 상기 제어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제1 제어 장치, 및 상기 제1 제어 장치와 제휴해서 동작하는 제2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의 정보 중계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정보 중계 방법은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제1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제어 장치와 제2 제어 장치 간의 제휴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통신 장치가 상기 제2 제어 장치에 상기 제1 제어 장치와 제2 제어 장치 간의 제휴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제어 장치에 의해 설정된 제어 정보에 따라서 패킷을 처리하는 통신 장치인 특정한 기계와 결부된다.
제6 양상에 따르면, 제1 및 제2 제어 장치 및 통신 장치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기억 매체에 기록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 있는(meritorious) 효과들이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제어 장치 간의 제휴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통신 시스템의 각 장치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OFC와 OFS 간에 교환되는 동기 메시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5의 동기 메시지의 각 필드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하는 시퀀스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8의 연속 도면.
도 10은 도 9의 연속 도면.
도 11은 도 10의 연속 도면.
도 12는 도 11의 연속 도면.
도 13은 도 12의 연속 도면.
먼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개요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개요에 부기한 도면 참조 부호는 단지 이해를 돕기 위한 예로서 각 요소에 편의상 부기한 것이며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예시적인 실시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그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서로 제휴해서 동작하는 제1 및 제2 제어 장치(30A 및 30B), 및 제1 제어 장치(30A) 또는 제2 제어 장치(30B)에 의해 설정된 제어 정보에 따라서 패킷을 처리하는 통신 장치 (20)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제어 장치(30A)가 통신 장치(20)에 제1 제어 장치와 제2 제어 장치 간의 제휴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송신한다. 제1 제어 장치와 제2 제어 장치 간의 제휴 동작에 필요한 정보는 특허 문헌 2에서와 같은 관리하에 있는 통신 장치 또는 OFS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의 설정 상태일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제어 장치가 액티브로 동작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도 1에서의 "30A=ACT")일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 장치(20)는 제2 제어 장치(30B)에 제1 제어 장치와 제2 제어 장치 간의 제휴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전송한다. 제2 제어 장치(30B)는 수신한 제1 제어 장치와 제2 제어 장치 간의 제휴 동작에 필요한 정보에 의거하여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관리하에 있는 통신 장치 및 OFS의 제어 정보의 설정 상태를 수신한 경우, 제2 제어 장치(30B)는 자신 측의 통신 장치 및 OFS의 제어 정보의 설정 상태를 갱신하여 그에 동기한다. 또한, 예를 들면, 상태 정보(도 1에서의 "30A=ACT")를 수신한 경우, 제2 제어 장치(30B)는 자신 측에서 파악하고 있는 제1 제어 장치(30A)의 상태 정보를 갱신한다.
이상과 같이, 제1 및 제2 제어 장치(30A 및 30B)가 직접 데이터를 교환하지 않더라도, 양자의 제휴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이유는 제어될 통신 장치를 거쳐서 제휴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중계하기 때문이다. 또한, 제1 제어 장치(30A)가 통신 장치(20)에 정보의 송신을 지시하는 프로토콜로서는, 비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오픈플로우 프로토콜의 Packet-Out 메시지 또는 비특허 문헌 3에 기재된 벤더(Vendor) 정의 메시지를 사용함으로써 실현 가능하다.
[제1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
계속해서, 복수의 OFC 간의 상태 동기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제1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서로 제휴 동작하는 3대의 OFC(OFC_A, OFC_B, 및 OFC_C)(31A 내지 31C) 및 OFC(31A 내지 31C) 중 액티브 OFC에 의해 제어되는 OFS(21)를 도시한다.
OFC_A(31A), OFC_B(31B), 및 OFC_C(31C) 중 어느 하나는 액티브(ACT) OFC로서 동작하고 OFS(21)를 제어한다. 또한, 다른 OFC는 스탠바이(SBY)로서 대기한다. 또한, OFC_A(31A), OFC_B(31B), 및 OFC_C(31C)는 레이어 2 스위치(L2SW)(11)를 통하여 관리용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다. OFC_A(31A), OFC_B(31B), 및 OFC_C(31C)는 관리용 네트워크를 거쳐서 다른 OFC와 동기 메시지 및 기타 제어 메시지를 교환한다. 또한, 관리용 네트워크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 OFC_A(31A), OFC_B(31B), 및 OFC_C(31C)는 OFS(21)를 통하여 다른 OFC와 동기 메시지 및 기타 제어 메시지를 교환한다. 도 3의 예에서는, OFC_A(31A)가 액티브 OFC(ACT)로서 동작하고 있고 OFC_B(31B) 및 OFC_C(31C)는 SBY로서 대기하고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각 장치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OFC_A(31A)는 자신을 포함하는 OFC의 동작 상태를 기억하는 상태정보 기억부(311A), 및 적어도 자신의 동작 상태를 포함하는 동기 메시지를 다른 OFC와 송수신하는 메시지 송수신부(312A)를 포함한다. OFC_B(31B) 및 OFC_C(31C)는 OFC_A(31A)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OFS(21)는 OFC(31A 내지 31C)로부터 동기 메시지를 수신할 때 다른 OFC에 동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처리부(211), 및 OFC(31A 내지 31C)에 의해 설정된 플로우 엔트리에 따라서 수신 패킷을 처리하는 패킷 처리부(212)를 포함한다. 또한, 메시지 처리부(211)는 액티브(ACT) OFC에 대한 플로우 엔트리의 설정 요구(Packet-In)나 OFC에 의해 송신된 플로우 엔트리의 설정 등의 OFS와 OFC 간의 일반적인 메시지 송수신도 행한다. 도 3 및 도 4는 1대의 OFS 만을 도시하지만, 복수의 OFS가 접속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또한, OFC(31A 내지 31C) 및 OFS(21)는 비특허 문헌 1 내지 3에 기재된 오픈플로우 컨트롤러 및 오픈플로우 스위치에 메시지 전송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OFC(31A 내지 31C) 및 OFS(21)의 각 부(처리 수단)는 이들 장치를 구성하는 컴퓨터로 하여금 그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상기한 각 처리를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도 5는 OFS(21)의 메시지 처리부(211)를 경유하여 OFC(31A 내지 31C) 간에 교환되는 동기 메시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메시지 본체에 Vendor 헤더 및 OpenFlow 헤더가 추가된다.
도 6은 도 5의 각 헤더 내의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OpenFlow 헤더의 Version 내지 Vendor 필드 및 Vendor 헤더는 비특허 문헌 3의 41페이지의 "5.5.4 Vendor" 항에서 설명된 Vendor 정의 메시지에 따라 구성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는, Vendor 헤더의 Type 1 필드에 메시지 체계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저장하고, 그의 Type 2 필드에 메시지 종별을 나타내는 메시지 식별자를 저장한다. 또한, 메시지 본체에는, 송신원 OFC의 IP 어드레스(IP address) 및 레이어 4 포트 번호에 이어서 동기 메시지 본문을 저장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동기 메시지를 이용함으로써 비특허 문헌 2 및 3의 오픈플로우의 기본 구성을 변경하지 않고 OFS를 거쳐서 메시지 전송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물론, 도 5 및 도 6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르게 구성된 메시지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5 및 도 6의 예에서는, 수신처 OFC는 지정되지 않고 OFS에 의해 접속된 OFC에 메시지가 전송되지만, 송신원 OFC가 동기 메시지의 수신처 OFC를 지정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동작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하는 시퀀스 도면이다. 도 3의 OFC_A(31A)와 L2SW(11) 사이에 장해가 발생하여 관리용 네트워크를 거쳐서 동기 메시지를 송신할 수 없게 되는 등의 소정의 조건이 성립하면, OFC_A(31A)는 OFS(21)에 동기 메시지를 송신한다(단계 S001).
동기 메시지를 수신하면, OFS(21)는 그의 헤더 정보를 체크한다(단계 S002). 보다 구체적으로는, OFS(21)는 수신한 메시지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특정한 헤더(특히 Vendor 헤더의 Tpye 1 및 2)가 부가된 동기 메시지인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메시지가 동기 메시지가 아니고, 일반적인 제어 메시지(예를 들면, Flow-mod, Packet-Out 등)인 경우(단계 S003의 아니오), OFS(21)는 그 제어 메시지에 따라서 처리를 행한다(단계 S004).
한편, 상기 검사 결과, 메시지가 동기 메시지인 것이 확인된 경우(단계 S003의 예), OFS(21)는 동기 메시지를 OFC_B(31B) 및 OFC_C(31C)에 전송한다(단계 S005). 단계 S005의 시점에서 OFC_B(31B) 및 OFC_C(31C)와의 접속이 확립되지 않은 경우에는, OFS(21)는 확립될 OFC_B(31B) 및 OFC_C(31C)와의 접속을 대기할 수 있다.
동기 메시지를 수신하면, OFC_B(31B) 및 OFC_C(31C)는 각각 그들 자신의 상태 정보 기억부(311B 및 311C)의 내용을 갱신한다(단계 S006).
이상과 같이, 본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르면, OFC(31A 내지 31C) 간을 연결하는 네트워크에서 장해가 발생하여도 OFS(21)를 경유하여 OFC(31A 내지 31C) 간의 상태 정보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이유는 OFC(31A 내지 31C)가 OFS(21)에 동기 메시지를 송신하고, 이 메시지를 수신한 OFS(21)는 OFC(31A) - 이로부터 동기 메시지가 수신됨 - 이외의 나머지 OFC인 OFC(31B 및 31C)에 동기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한 구성이기 때문이다.
[제2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
계속해서, OFC 간에 대화적으로 메시지를 교환해서 액티브 OFC를 전환하도록 한 제2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는 제1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서 실시 가능하므로, 이하, 동작의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OFC_A(31A), OFC_B(31B), 및 OFC_C(31C)의 순으로 OFC의 전환 순위(우선 순위)가 정해지는 것으로 한다.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3과 동일한 구성에서 액티브 계(active system)(ACT)로서 동작하고 있는 OFC_A(31A)와 L2SW(11) 사이에 장해가 발생한 상태를 도시한다(단계 S201). 이 장해 발생을 검출하면, OFC_A(31A)는 OFS(21)에 전환 요구 메시지를 송신한다(단계 S202). 이 전환 요구 메시지는 액티브 계(ACT)로서 동작하고 있는 OFC_A(31A)가 대기하고 있는 다른 OFC에 액티브 계(ACT)로서 동작하라는 요구이다. 또한, 전환 요구 메시지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동기 메시지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메시지 본문과, 필요하다면, Vendor 헤더의 Type 1 및 Type 2 필드를 변경한다).
전환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OFS(21)는 제1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의 동기 메시지의 확인과 동일한 확인 처리를 행한다. 확인 결과, 메시지가 전환 요구 메시지인 것이 확인되면, OFS(21)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원이 아닌 OFC, 즉, OFC_B(31B) 및 OFC_C(31C)에 전환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S203).
전환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OFC_B(31B)는 전환 순위(우선 순위)가 차위인 것을 인식하고 OFC_A(31A)에 자신이 액티브 계(ACT)로서 동작 가능한 것을 전하는 응답 메시지(31B: ACT_OK)를 작성한다. 관리용 네트워크는 불통이므로, OFC_B(31B)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환 요구 메시지의 송신원인 OFS(21)에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단계 S204).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OFS(21)는 제1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의 동기 메시지의 확인과 동일한 확인 처리를 행한다. 확인 결과, 메시지가 응답 메시지인 것이 확인되면, OFS(21)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원이 아닌 OFC, 즉, OFC_A(31A) 및 OFC_C(31C)에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S205).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OFC_A(31A)는 자신을 대신해서 OFC_B(31B)가 액티브 계(ACT)로서 동작 가능한 것을 확인한 다음에,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OFS(21)에 수신 확인 메시지(acknowledgment message, ACK)를 송신한다(단계 S206). 또한, OFC_A(31A)는 액티브(ACT)로부터 스탠바이(SBY)로 동작 모드를 전환한다(단계 S207).
수신 확인 메시지(ACK)를 수신하면, OFS(21)는 제1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의 동기 메시지의 확인과 동일한 확인 처리를 행한다. 확인 결과, 메시지가 수신 확인 메시지(ACK)인 것이 확인되면, OFS(21)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원이 아닌 OFC, 즉, OFC_B(31B) 및 OFC_C(31C)에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S208). 수신 확인 메시지(ACK)를 수신하면, OFC_B(31B)는 스탠바이(SBY)로부터 액티브(ACT)로 동작 모드를 전환한다(단계 S209). 그 후에 OFC_B(31B)가 액티브 (ACT) OFC으로서 동작하고 OFS(21)를 제어한다. 또한, OFC(31A 내지 31C)는 제1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와 같이 동기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동기 메시지의 송신에 뿐만 아니라, OFC 간의 대화적인 메시지 교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OFC에 의해 교환되는 정보도 전환 요구 메시지에 한정되지 않고 OFC 간의 제휴 동작에 필요한 정보의 송수신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들을 이상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변형, 치환, 및 조정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구성은 비특허 문헌 1 내지 3의 오픈플로우를 베이스로 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유사한 구조를 갖는 어떤 집중 제어형의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는 통신 장치의 예로서 비특허 문헌 2 및 3의 OFS를 이용한 예로서 설명했지만, OFC에 의해 설정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는 패킷 처리 기능과 상기한 OFC 간의 메시지 전송 기능을 행할 수 있다면, 임의의 비OFS 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탑재된 어플리케이션과 패킷을 교환하는 스위치 기능을 내장한 휴대 전화 단말기, 스마트 폰, 태블릿 단말기, 퍼스널 컴퓨터, 게임 기기, 모바일 라우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요약한다.
[제1 형태]
(상기 제1 양상에 따른 통신 시스템 참조)
[제2 형태]
제1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제어 장치와 제2 제어 장치 간의 제휴 동작에 필요한 정보는 상기 제1 제어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인 통신 시스템.
[제3 형태]
제1 또는 제2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제2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제어 장치의 스탠바이 계(standby system)로서 동작하는 제어 장치이며, 상기 제2 제어 장치는, 상기 통신 장치를 거쳐서 상기 제1 제어 장치로부터 스탠바이 계로의 전환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액티브 계(active system)로서 동작을 개시하는 통신 시스템.
[제4 형태]
제1 내지 제3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제어 장치와 상기 제2 제어 장치와는 관리용 네트워크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고, 상기 관리용 네트워크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한 통신을 개시하는 통신 시스템.
[제5 형태]
제1 내지 제4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제어 장치의 스탠바이 계로서 동작하는 복수의 제어 장치가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제어 장치 중에서 미리 정해진 우선 순위가 높은 제어 장치가, 상기 통신 장치를 거쳐서 상기 제1 제어 장치로부터 스탠바이 계로의 전환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액티브 계로서 동작을 개시하는 통신 시스템.
[제6 형태]
(상기 제2 양상에 따른 제1 제어 장치 참조)
[제7 형태]
(상기 제3 양상에 따른 제2 제어 장치 참조)
[제8 형태]
(상기 제4 양상에 따른 통신 장치 참조)
[제9 형태]
(상기 제5 양상에 따른 정보 중계 방법 참조)
[제10 내지 제12 형태]
(상기 제6 양상에 따른 각 장치의 프로그램 참조)
제6 내지 제12 형태는 제1 형태와 같이 제2 내지 제5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또한, 위에 열거된 특허 문헌 및 비특허 문헌의 각 개시는 여기에 참고로 병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양상이 전체 개시에서 분명해지고, 또한 여기에 개시되고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청구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개시된 및/또는 청구된 요소, 물건 및/또는 항목의 어떤 조합도 위에 언급된 변형에 해당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11: 레이어 2 스위치(L2SW)
20: 통신 장치
21: OFS
30A: 제1 제어 장치
30B: 제2 제어 장치
31A 내지 31C: OFC_A, OFC_B, OFC_C
211: 메시지 처리부
212: 패킷 처리부
311A 내지 311C: 상태 정보 기억부
312A 내지 312C: 메시지 송수신부

Claims (10)

  1. 통신 시스템으로서,
    제어 장치에 의해 설정된 제어 정보에 따라서 패킷을 전송하는 통신 장치;
    상기 통신 장치에 상기 제어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제1 제어 장치;
    상기 제1 제어 장치와 제휴해서 동작하는 제2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장치는 상기 통신 장치를 거쳐서 상기 제2 제어 장치에 상기 제1 제어 장치와 제2 제어 장치 간의 제휴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1 제어 장치와 제2 제어 장치 간의 제휴 동작에 필요한 정보는, 상기 제1 및 제2 제어 장치 간에 정보의 동기를 행하기 위한 정보이고,
    상기 제1 및 제2 제어 장치 각각과 상기 통신 장치가 논리적 제어 채널에 의해 접속됨으로써, 상기 통신 장치는 상이한 제어 장치에 대해 상기 제어 채널을 제공하고,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제1 제어 장치와 제2 제어 장치 간의 제휴 동작에 필요한 정보보다도 사이즈가 작은 메시지로서 상기 통신 장치에 송신되는,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장치와 제2 제어 장치 간의 제휴 동작에 필요한 정보는 상기 제1 제어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인 통신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제어 장치의 스탠바이 계(standby system)로서 동작하는 제어 장치이며, 상기 제2 제어 장치는, 상기 통신 장치를 거쳐서 상기 제1 제어 장치로부터 스탠바이 계로의 전환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액티브 계(active system)로서 동작을 개시하는 통신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장치 및 상기 제2 제어 장치와는 관리용 네트워크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고, 상기 관리용 네트워크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한 통신을 개시하는 통신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장치의 스탠바이 계로서 동작하는 복수의 제어 장치가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제어 장치 중에서 미리 정해진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제어 장치가, 상기 통신 장치를 거쳐서 상기 제1 제어 장치로부터 스탠바이 계로의 전환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액티브 계로서 동작을 개시하는 통신 시스템.
  6. 제어 장치에 의해 설정된 제어 정보에 따라서 패킷을 전송하는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제1 제어 장치로서,
    상기 통신 장치에 상기 제어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통신 장치를 거쳐서 자신과 제휴해서 동작하는 제2 제어 장치에 상기 제2 제어 장치와의 제휴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송신하는 정보 송신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 장치와의 제휴 동작에 필요한 정보는, 상기 제1 및 제2 제어 장치 간에 정보의 동기를 행하기 위한 정보이고,
    상기 제1 및 제2 제어 장치 각각과 상기 통신 장치가 논리적 제어 채널에 의해 접속됨으로써, 상기 통신 장치는 상이한 제어 장치에 대해 상기 제어 채널을 제공하고,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제2 제어 장치와의 제휴 동작에 필요한 정보보다도 사이즈가 작은 메시지로서 상기 통신 장치에 송신되는, 제1 제어 장치.
  7. 제어 장치에 의해 설정된 제어 정보에 따라서 패킷을 전송하는 통신 장치, 및 상기 통신 장치에 상기 제어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제1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제2 제어 장치로서,
    상기 통신 장치에 상기 제어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통신 장치를 거쳐서 상기 제1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제어 장치와의 제휴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장치와 제휴해서 동작하고,
    상기 제1 제어 장치와의 제휴 동작에 필요한 정보는, 상기 제1 및 제2 제어 장치 간에 정보의 동기를 행하기 위한 정보이고,
    상기 제1 및 제2 제어 장치 각각과 상기 통신 장치가 논리적 제어 채널에 의해 접속됨으로써, 상기 통신 장치는 상이한 제어 장치에 대해 상기 제어 채널을 제공하고,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제1 제어 장치와의 제휴 동작에 필요한 정보보다도 사이즈가 작은 메시지로서 상기 통신 장치에 송신되는, 제2 제어 장치.
  8. 통신 장치로서,
    상기 통신 장치에 제어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 장치 중 하나의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어 장치 간의 제휴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복수의 제어 장치 중 나머지 제어 장치에 상기 복수의 제어 장치 간의 제휴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송신하는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어 장치 간의 제휴 동작에 필요한 정보는, 상기 복수의 제어 장치 간에 정보의 동기를 행하기 위한 정보이고,
    상기 복수의 제어 장치 각각과 상기 통신 장치가 논리적 제어 채널에 의해 접속됨으로써, 상기 통신 장치는 상이한 제어 장치에 대해 상기 제어 채널을 제공하고,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복수의 제어 장치 간의 제휴 동작에 필요한 정보보다도 사이즈가 작은 메시지로서 상기 통신 장치에 송신되는, 통신 장치.
  9. 제어 장치에 의해 설정된 제어 정보에 따라서 패킷을 전송하는 통신 장치, 상기 통신 장치에 상기 제어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제1 제어 장치, 및 상기 제1 제어 장치와 제휴해서 동작하는 제2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의 정보 중계 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제1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제어 장치와 제2 제어 장치 간의 제휴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제2 제어 장치에 상기 제1 제어 장치와 제2 제어 장치 간의 제휴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장치와 제2 제어 장치 간의 제휴 동작에 필요한 정보는, 상기 제1 및 제2 제어 장치 간에 정보의 동기를 행하기 위한 정보이고,
    상기 제1 및 제2 제어 장치 각각과 상기 통신 장치가 논리적 제어 채널에 의해 접속됨으로써, 상기 통신 장치는 상이한 제어 장치에 대해 상기 제어 채널을 제공하고,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제1 제어 장치와 제2 제어 장치 간의 제휴 동작에 필요한 정보보다도 사이즈가 작은 메시지로서 상기 통신 장치에 송신되는, 정보 중계 방법.
  10. 삭제
KR1020147028862A 2012-03-19 2013-03-18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통신 장치 및 정보 중계 방법 KR1016787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62222 2012-03-19
JP2012062222 2012-03-19
PCT/JP2013/057609 WO2013141193A1 (ja) 2012-03-19 2013-03-18 通信システム、制御装置、通信装置、情報中継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798A KR20140143798A (ko) 2014-12-17
KR101678756B1 true KR101678756B1 (ko) 2016-11-23

Family

ID=49222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8862A KR101678756B1 (ko) 2012-03-19 2013-03-18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통신 장치 및 정보 중계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596129B2 (ko)
EP (1) EP2830266A4 (ko)
JP (1) JP5983733B2 (ko)
KR (1) KR101678756B1 (ko)
CN (1) CN104221337B (ko)
CA (1) CA2867801A1 (ko)
RU (1) RU2577194C1 (ko)
WO (1) WO20131411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36661B1 (en) * 2014-05-09 2019-09-18 Huawei Technologies Co., Ltd. Path switching method and device
WO2016108711A1 (ru) * 2014-12-29 2016-07-07 Некоммерческое Партнерство "Центр Прикладных Исследований Компьютерных Сетей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ема и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осуществления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с openflow контроллером
US20190059066A1 (en) * 2016-02-23 2019-02-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ime 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Connected by a Wireless Network
KR102146729B1 (ko) * 2018-12-17 2020-08-24 가락전자 주식회사 방송 출력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91746A1 (en) * 2006-10-11 2008-04-17 Keisuke Hatasaki Disaster recovery method for computer system
US20100020680A1 (en) * 2008-07-28 2010-01-28 Salam Samer M Multi-chassis ethernet link aggregatio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8524A (ja) 1996-09-20 1998-04-1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分散型ネットワーク
JP2005242598A (ja) 2004-02-26 2005-09-08 Sony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819076B1 (ko) 2006-08-22 2008-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플랫폼 프로세서 상호간 정보 공유시스템 및 그 방법
UA83118C2 (uk) 2006-09-08 2008-06-10 Международный Научно-Учебный Центр Информационных Технологий И Систем Спосіб і пристрій для комп'ютерних мереж керування швидкісними циклами прикладних процесів
JP4688765B2 (ja) * 2006-09-20 2011-05-25 富士通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の冗長方法及び中位スイッチ装置
US20080189769A1 (en) 2007-02-01 2008-08-07 Martin Casado Secure network switching infrastructure
JP4747118B2 (ja) * 2007-03-05 2011-08-17 富士通株式会社 ルータ、通信保証方法および通信保証プログラム
RU2534736C2 (ru) 2009-01-26 2014-12-10 Сони Корпорейшн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вязью,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и программа
JP5413737B2 (ja) 2010-02-15 2014-02-12 日本電気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経路情報更新方法
JP5482366B2 (ja) 2010-03-29 2014-05-07 ソニー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および管理サー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91746A1 (en) * 2006-10-11 2008-04-17 Keisuke Hatasaki Disaster recovery method for computer system
US20100020680A1 (en) * 2008-07-28 2010-01-28 Salam Samer M Multi-chassis ethernet link aggregat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ault Management in Functionally Distributed Transport Networking for Large Scale Networks‘ proceedings of 2009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Networking and Collaborative Systems, pp. 378-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96129B2 (en) 2017-03-14
US20150009798A1 (en) 2015-01-08
RU2577194C1 (ru) 2016-03-10
EP2830266A1 (en) 2015-01-28
CA2867801A1 (en) 2013-09-26
CN104221337B (zh) 2017-06-30
CN104221337A (zh) 2014-12-17
WO2013141193A1 (ja) 2013-09-26
JPWO2013141193A1 (ja) 2015-08-03
EP2830266A4 (en) 2015-12-02
KR20140143798A (ko) 2014-12-17
JP5983733B2 (ja) 2016-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4012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controller, and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forwarding path of packet flow
CN101860491B (zh) 聚合类链路双向转发检测方法及其设备
US20130195110A1 (en)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device, method for setting processing rules, and program
JP5987971B2 (ja) 通信システム、スイッチ、制御装置、制御用チャネルの構築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900652B2 (ja) スイッチ装置、vlan設定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78756B1 (ko)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통신 장치 및 정보 중계 방법
KR101658299B1 (ko) 제어 장치, 통신 시스템, 노드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JP6440191B2 (ja) スイッチ装置、vlan設定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5178415A1 (ja) 通信装置、制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送信制御方法
JP6127569B2 (ja) スイッチ、制御装置、通信システム、制御チャネルの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5046539A1 (ja) 中継装置、制御装置、通信システム、監視パケットの処理方法及びトポロジ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