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8626B1 - 원단 접착장치 - Google Patents

원단 접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8626B1
KR101678626B1 KR1020150100883A KR20150100883A KR101678626B1 KR 101678626 B1 KR101678626 B1 KR 101678626B1 KR 1020150100883 A KR1020150100883 A KR 1020150100883A KR 20150100883 A KR20150100883 A KR 20150100883A KR 101678626 B1 KR101678626 B1 KR 101678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aligned
auxiliary seating
auxiliary
alignment st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요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양
Priority to KR1020150100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6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5/00Seaming textil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원단을 자동으로 정렬 및 안착시켜 제작공정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본 발명은 중앙부에 가열접합부가 형성되며, 타측단부에 제1정렬단턱이 형성된 베이스부; 부착원단 및 피부착원단의 대향된 끝단 간의 겹침부에 가압 접촉되어 융착식 접착을 이루도록 폭방향 길이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직접 가열식 발열체가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가열접합부의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연속 가열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피부착원단의 일측 끝단이 상기 베이스부의 중앙부의 상면부에 걸쳐 정렬 및 안착되는 메인안착부;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에 구비되되, 상기 부착원단의 일측 끝단이 상기 제1정렬단턱의 상면부에 정렬 및 안착되는 보조안착부; 및 상기 부착원단의 끝단과 상기 피부착원단의 끝단이 정렬 및 중첩되는 겹침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보조안착부를 승강 및 전후 이동시키는 승강이동수단을 포함하는 원단 접착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원단 접착장치{apparatus for adhesion texture}
본 발명은 원단 접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단을 자동으로 정렬 및 안착시켜 제작공정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원단 접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옷이나 천막 혹은 차양막 등을 제조하기 위한 소재가 되는 천을 원단이라고 하는데, 상기 원단은 직조기를 이용하여 원사를 가로와 세로로 엮어 제조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원단은 필요에 따라 염색이나 박음질의 공정을 거쳐 목적에 맞는 각종의 완성품을 제작하여 사용하게 된다.
한편, 한 장의 원단은 폭과 길이가 짧게 한정되어 있으므로 넓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복수개의 원단을 접착결합하여 필요한 크기로 사용하게 된다. 대표적으로, 각종 음식점이나 카페의 베란다 내지 창문의 상부 외벽에 설치되어 햇빛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양막의 경우 설치장소에 구비된 창문의 크기와 목적에 따라 그 크기가 결정된다.
상기 차양막의 기능은 햇빛의 차단이므로, 창문의 크기보다 작으면 차양 기능이 창문의 일부에만 국한되게 되므로 차양막은 최소 창문의 크기보다 같거나 약간 커야만 한다. 이때, 상기 차양막에는 상기 창문의 외벽 상측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되어 햇빛을 차단하는 어닝과 상기 창문의 내측에 창문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하 이동으로 햇빛을 차단하는 블라인드 등이 포함된다.
최근에는, 탁 트인 시야의 확보를 위해 넓은 창문을 선호하는 트랜드에 따라 차양막의 길이 또한 길어지는 추세이며, 일반적으로 상기 차양막에 사용되는 원단은 권취롤에 권취된 폭이 일정하기 때문에 넓은 창문을 통한 햇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는 한 원단의 끝단과 다른 원단의 끝단을 결합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원단 결합 작업이 수작업의 재봉질로 이루어져 결합하는 데에 장시간이 소요되었으며, 재봉질의 숙련공이 아닌 경우 원단 재봉시 정확한 직선상의 재봉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좀 더 정확한 수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지그를 사용하는 방법이 일부 제시되으나, 상기 지그를 이용하여 상기 원단을 정렬시키는 방법 역시 결국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원단을 결합시에 여전히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한편, 두 원단 간의 접착을 위해 반자동화 장치가 한국 특허등록 제10-1031840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반자동화 장치는 원단을 각 안착부에 정렬하고 각 원단이 중첩되도록 안착시키는 단계까지는 수작업으로 수행한 후 원단의 겹쳐진 부분 사이에 접착테이프가 개재된다. 그리고, 상기 겹쳐진 부분의 상측에서 상부연속 가열부가 하강하여 상기 겹쳐진 부분의 원단을 가열 및 가압하여 접착한다.
그런데, 원단의 겹쳐진 부분 사이로 상기 접착테이프를 개재할 시에 넓은 원단의 폭에 따라 작업자의 접착테이프 운반이 힘들고, 상기 접착테이프가 부착된 한 원단의 상면에 다른 원단이 안착될 시에 원단의 위치가 바르게 정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안착된 원단이 균일하게 펴지지 못하여 주름지거나 원단의 단부가 어긋나게 되는 등의 접착 상태로 원단 결합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원단 간의 결합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접착되는 원단 혹은 안착되는 원단에 상기 접착테이프가 정확한 위치에 접착되지 못하여 원단의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완성된 결합 원단이 불량 발생의 확률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원단을 자동으로 정렬 및 안착시켜 제작공정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원단 접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중앙부에 가열접합부가 형성되며, 타측단부에 제1정렬단턱이 형성된 베이스부; 부착원단 및 피부착원단의 대향된 끝단 간의 겹침부에 가압 접촉되어 융착식 접착을 이루도록 폭방향 길이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직접 가열식 발열체가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가열접합부의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연속 가열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피부착원단의 일측 끝단이 상기 베이스부의 중앙부의 상면부에 걸쳐 정렬 및 안착되는 메인안착부;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에 구비되되, 상기 부착원단의 일측 끝단이 상기 제1정렬단턱의 상면부에 정렬 및 안착되는 보조안착부; 및 상기 부착원단의 끝단과 상기 피부착원단의 끝단이 정렬 및 중첩되는 겹침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보조안착부를 승강 및 전후 이동시키는 승강이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보조안착부의 상승 및 전진 이동시 상기 보조안착부의 일단으로부터 노출된 상기 부착원단의 끝단이 상기 피부착원단에 중첩되어 상기 겹침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보조안착부의 끝단 및 상기 제1정렬단턱 사이의 폭은 상기 상부연속 가열부의 하단폭 이상으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접착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그리고, 상기 승강이동수단은 상기 보조안착부 일측의 하부에 연결되어 승강력을 제공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보조안착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전후 이동력을 제공하는 전후진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접합부의 타측 테두리부에는 제2정렬단턱이 구비되며, 상기 가열접합부의 하부에는 상기 상부연속 가열부와 대향 배치되어 상기 상부연속 가열부에 의해 가열 및 가압되는 상기 겹침부를 가열 및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하부연속 가열부가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의 원단 접착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부착원단 및 상기 피부착원단이 상기 베이스부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1정렬단턱 및 상기 제2정렬단턱에 정렬되기만 하면 상기 두 원단이 상기 승강이동수단의 승강 및 전후진 이동에 의해 상기 가열접합부의 상면부에서 자동으로 중첩되므로 작업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둘째, 끝단이 노출되어 상기 제1정렬단턱에 정렬된 상기 부착원단이 상기 보조안착부에 안착되고 상기 승강이동수단이 상승, 전진 및 하강함에 따라 상기 부착원단의 끝단이 가열접합부의 상면부에 정렬된 상기 피부착원단의 끝단에 균일한 폭으로 자동 중첩되므로 정확하고 신속한 제조가 가능하여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상기 부착원단 및 상기 피부착원단 사이의 상기 겹침부의 폭이 상기 보조안착부의 일단 및 상기 제1정렬단턱 사이의 폭에 대응되도록 설정됨에 따라 원단이 어긋나는 등의 불량품 발생이 저하되므로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단 접착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단의 배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안착부의 상승을 나타낸 원단 접착장치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안착부의 전진을 나타낸 원단 접착장치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착원단 및 피부착원단이 접착된 원단 접착장치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단 접착장치를 이용한 원단 접착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단 접착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단 접착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원단 접착장치(100)는 베이스부(10), 상부연속 가열부(20), 메인안착부(30), 보조안착부(40) 및 승강이동수단(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10)는 중앙부에 가열접합부가 형성되며, 타측단부에 제1정렬단턱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원단 접착장치(100)를 지지하기 위한 하부 지지프레임(60)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60)의 상측 중앙부에는 베이스부(1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가열접합부(11)의 상면부에는 피부착원단(Q)의 끝단이 정렬되며, 상기 제1정렬단턱(12)에는 상기 보조안착부(40)의 일단으로부터 노출된 형태의 부착원단(P)의 끝단이 정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부착원단(Q)은 상기 가열접합부(11)에 선행 안착되는 원단이며, 상기 부착원단(P)은 상기 피부착원단(Q)의 끝단에 접착되도록 공급 되어지는 원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연속 가열부(20)는 상기 가열접합부의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상부연속 가열부(20)는 부착원단 및 피부착원단의 대향된 끝단부 사이의 겹침부에 가압 접촉되어 융착식 접착을 이루도록 폭방향 길이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직접 가열식 발열체가 내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부착원단(P) 및 상기 피부착원단(Q)은 승강이동수단(50)을 통한 보조안착부(40)의 승강 및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가열접합부(11)에서 중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겹침부(21)는 상기 부착원단(P) 및 상기 피부착원단(Q)의 끝단이 중첩되어 상호 접촉된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메인안착부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피부착원단(Q)의 일측 끝단이 상기 베이스부(10)의 중앙부의 상면부에 걸쳐 정렬 및 안착된다. 상세히, 상기 가열접합부(11)의 타측 테두리부에는 제2정렬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피부착원단(Q)의 끝단이 상기 제2정렬단턱(13)에 일치되도록 정렬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안착부(40)는 상기 베이스부(10)의 타측에 구비되되, 상기 부착원단(P)의 일측 끝단이 상기 제1정렬단턱(12)의 상면부에 정렬 및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안착부(40)의 상면에 안착된 상기 부착원단(P)의 끝단은 상기 피부착원단(Q)의 끝단에 안착되어 상기 두 원단 사이에 상기 겹침부(2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안착부(40)의 하측에는 상기 승강이동수단(50)이 구비되어 상기 부착원단(P)의 끝단과 상기 피부착원단(Q)의 끝단이 정렬 및 중첩되는 겹침부(21)가 형성되도록 상기 보조안착부(40)를 승강 및 전후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겹침부(21)가 가열 및 가압되어 열융착됨에 따라 두 원단(P,Q)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 원단의 배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안착부의 상승을 나타낸 원단 접착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부착원단(P)이 상기 제1정렬단턱에 정렬되고 상기 피부착원단이 상기 제2정렬단턱에 정렬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부착원단(P)은 상기 보조안착부(40)에 정렬 및 안착되되, 상기 보조안착부(40)의 일단으로부터 노출된 상기 부착원단(P)의 끝단은 상기 제1정렬단턱(12)에 정렬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정렬단턱(12)에 상기 부착원단(P)의 끝단이 구속됨에 따라 상기 보조안착부(40)의 일단으로부터 노출된 상기 부착원단(P)의 폭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착원단(Q)은 상기 메인안착부(30)에 정렬 및 안착되되, 끝단이 제2정렬단턱(13)에 정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정렬단턱(13)은 상기 가열접합부(11)의 타측 테두리부에 형성된 단턱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부착원단(P) 및 상기 피부착원단(Q)의 상면부에는 원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42)가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42)는 각 원단의 상면부에 복수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각 고정부재(42) 내에는 영구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각 안착부(30,40)는 자성체로 구비되어, 상기 각 원단이 접착되는 면에 착오 없이 정확하게 접착되도록 각 원단(P,Q)을 가압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각 안착부(30,40)에 원단이 정렬되어 안착되면, 자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42)가 상기 각 안착부(30,40)에 접착되고, 상기 고정부재(42) 및 상기 각 안착부(30,40) 사이의 원단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안착부(40)의 일단 및 상기 제1정렬단턱(12) 간의 폭은 상기 상부연속 가열부(20)의 하단폭에 대응되거나 그 이상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설정된 폭만큼 상기 부착원단(P)의 끝단이 상기 보조안착부(40)의 일단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노출된 상기 부착원단(P)의 끝단이 상기 가열접합부(11)에 안착된 상기 피부착원단(Q)의 끝단에 중첩됨으로써 상기 가열접합부(11)의 폭과 정확하게 일치하는 폭을 가진 상기 겹침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겹침부(21) 전체가 상기 가열접합부(11) 사이에 배치되므로 미접착 부분 없이 균일하고 정확한 열융착이 가능하여 제품의 접합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원단(P) 및 상기 피부착원단(Q)이 상기 베이스부(10)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1정렬단턱(12) 및 상기 제2정렬단턱(13)에 정렬되기만 하면 상기 두 원단이 상기 승강이동수단(50)의 승강 및 전후진 이동에 따라 상기 가열접합부(11)의 상면에서 자동으로 중첩될 수 있어 작업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안착부(40)의 하부에는 상기 승강이동수단(5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이동수단(50)은 상기 보조안착부(40)의 승강력을 제공하는 승강 실린더(51)와 상기 보조안착부(40)의 전후 이동력을 제공하는 전후진 실린더(52)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안착부(40)의 하부에는 실린더 프레임(53)이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 프레임(53)과 상기 보조안착부(40)의 타단은 힌지(41)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 프레임(53)의 일측과 상기 보조안착부(40) 간에는 상기 승강 실린더(51)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 실린더(51)가 신축됨에 따라 상기 보조안착부(40)가 상하 회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력을 제공하는 승강 실린더(51)와, 전후 이동력을 제공하는 전후진 실린더(52) 각각의 신축을 조절함으로써 보조안착부(40)의 위치가 2가지 변수에 의해 더욱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보조안착부(40) 및 상기 실린더 프레임(53)이 힌지(41) 등의 연결 장치 없이 분리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싱기 승강 실린더(51)는 상기 실린더 프레임(53)의 양측에 쌍으로 배치되어 상기 보조안착부(40)가 수직으로 승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린더 프레임(53) 및 상기 보조안착부(40)의 연결형태와 상기 승강 실린더(51)가 구비되는 형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승강이동수단(50)은 하나의 실린더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보조안착부(40)의 타측단에 힌지 연결된 전후진 실린더와, 상기 전후진 실린더의 신축에 따라 상기 보조안착부(40)가 상하 이동되도록 상기 보조안착부(40)의 일측부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면에는 가이드홈이 돌설되고 상기 보조안착부(40)의 일칙부 양측면에는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돌기부가 돌설되어, 상기 보조안착부(40)의 전후진시 상기 보조안착부(40)의 일측단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안내되어 상하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안착부의 전진을 나타낸 원단 접착장치의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착원단 및 피부착원단이 접착된 원단 접착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후진 실린더(52)는 몸체부와 이동축으로 구성되되, 상기 몸체부는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60)의 타측 상면부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축은 양단부가 상기 실린더 프레임(53)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부착원단(P) 및 상기 피부착원단(Q)이 정렬되어 상기 보조안착부(40)가 상기 메인안착부(30)와 수평을 이룰 시에, 상기 이동축은 상기 몸체부에 관통형성 되어 후측이 축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이다. 또한, 상기 전후진 실린더(52)는 상기 실린더 프레임(53)에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 프레임(53)을 하측에서 지지하고, 상기 보조안착부(40)를 전후진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안착부(40)가 상기 승강 실린더(51)의 인장에 의해 상승되고, 상기 전후진 실린더(52)의 작용에 의해 상기 부착원단(P)의 끝단이 상기 피부착원단(Q)에 접촉되기 위해 전진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후진 실린더(52)의 상기 이동축은 상기 겹침부(21)가 형성되도록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전측으로 돌출된 형태임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전후진 실린더(52)는, 상기 보조안착부(40)에 안착되되 상기 보조안착부(40)의 일단으로부터 노출된 상기 부착원단(P)의 하면부가 상기 메인안착부(30)에 안착된 상기 피부착원단(Q)의 상면부에 중첩될 수 있도록 하는 전후 이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승강 실린더(51) 및 상기 전후진 실린더(52)의 조합으로 상기 보조안착부(40)가 상하 이동 및 전후진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접합부(11)의 타측 테두리부에는 상기 피부착원단(Q)의 끝단을 구속하기 위해 상기 제2정렬단턱(13)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정렬단턱(13)을 기준으로 상기 피부착원단(Q)의 끝단이 정렬됨에 따라 상기 가열접합부(11)의 상면부에서 상기 부착원단(P) 및 상기 피부착원단(Q)이 일정한 폭의 상기 겹침부(21)를 형성하며 중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승 및 전진 이동된 상기 보조안착부(40)가 상기 승강 실린더(51)의 수축에 따라 하강되며, 상기 보조안착부(40)로부터 노출된 부착원단(P)의 끝단이 상기 피부착원단(Q)에 중첩됨으로써 상기 겹침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끝단이 노출되어 상기 제1정렬단턱(12)에 정렬된 상기 부착원단(P)이 상기 보조안착부(40)에 안착되어 상기 승강이동수단(50)이 상승되고 전진 및 하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부착원단(P)의 끝단이 가열접합부(11)의 상면부에 정렬된 상기 피부착원단(Q)의 끝단에 균일한 폭으로 자동 중첩되므로 정확하고 신속한 제조가 가능하여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겹침부(21)가 형성되면, 상기 상부연속 가열부(20)가 하향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연속 가열부(20)의 내부에는 직접 가열식 발열체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열식 발열체는 전기를 가해 열을 발생시키도록 니크롬 열판 등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연속 가열부(20)의 하단폭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상기 겹침부(21)가 상기 상부연속 가열부(20)에 의해 가압 밀착되며, 상기 직접 가열식 발열체에 의해 열이 가해짐으로써 상기 부착원단(P) 및 상기 피부착원단(Q)이 열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접합부(11)의 하부에는 하부연속 가열부(14)가 상기 상부연속 가열부(20)와 대향 배치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연속 가열부(14)는 상기 상부연속 가열부(20)에 의해 가열 및 가압 밀착되는 상기 겹침부(21)를 가열하며 지지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상부연속 가열부(20)가 상기 부착원단(P) 및 상기 피부착원단(Q)이 상기 가열접합부(11)에 안착되어 형성된 겹침부(21)를 가열 및 가압 밀착하면, 상기 하부연속 가열부(14)가 상기 상부연속 가열부(20)로 일시적인 열을 가하여 접착이 시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착원단(P) 및 상기 피부착원단(Q)의 끝단은 열에 의해 직접 용융됨에 따라 상호 접착될 수 있으며, 상기 두 원단(P,Q)간에 접착테이프(24)가 용융되어 상기 두 원단(P,Q)이 융착식 접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상부연속 가열부(20)에는 완충영역을 이루도록 하는 신축부재가 내재될 수 있다. 즉, 상기 부착원단(P) 및 상기 피부착원단(Q) 간의 겹침부(21)를 가압 밀착시, 상기 상부연속 가열부(20) 및 상기 하부연속 가열부(14)의 충격을 완화 시키도록 실리콘 등의 내열성 신축부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61)의 상기 지지판에 의해 관통형성된 상기 상부연속 가열부(20)의 일측에는 정렬 및 안착되어 있는 상기 부착원단(P)의 일단을 팽팽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원단 고정부(2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단 고정부(22)는 상하 이동되도록 구비되어 하강시 상기 보조안착부(40)에 정렬 및 안착된 상기 부착원단(P)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원단 고정부(22)는 상기 상부연속 가열부(20) 및 상기 하부연속 가열부(14)의 가압 및 가열시 원단의 유동을 제어하여 원단의 어긋남을 방지하며 정확한 위치에서 원단을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상부연속 가열부(20)의 타측에는 승강 블레이드(23)가 원단의 일단을 접어주는 작용을 하기 위해 구비되고 선택적으로 상하 이동되어 상기 베이스부(10)의 일측에 형성된 홈에 구속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 블레이드(23)는 상기 가열접합부(11)의 일측에 형성된 포켓홈부에 대해 상하로 대향 배치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61) 및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60) 간에는 상기 두 프레임의 테두리부를 따라 별도의 프레임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고,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61)의 테두리부가 바닥면에 별도로 연결되어 지지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접착장치에 대한 작동 및 작용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단 접착장치를 이용한 원단 접착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접착장치를 이용한 원단 접착방법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수행된다.
먼저, 상기 피부착원단(Q)은 상기 메인안착부(30)에 안착되되, 끝단이 상기 가열접합부(11)의 타측 테두리부의 상면부에 형성된 상기 제2정렬단턱(13)에 균일하게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착원단(P)은 상기 보조안착부(40)에 안착되되, 끝단이 상기 보조안착부(40)의 일단으로부터 노출된 형태로 상기 베이스부(10)의 타측 상면부에 형성된 제1정렬단턱(12)에 정렬될 수 있다(s10).
또한, 상기 두 원단이 정렬되면, 상기 보조안착부(40)의 하부에 연결된 상기 승강이동수단(50)이 구동되어 상기 승강 실린더(51)가 인장됨으로써 상기 보조안착부(40)가 상승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 실린더(51)의 타단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안착부(40)의 하면부에 연결된 상기 실린더 프레임(53)의 하부에 연결되어 구비된 상기 전후진 실린더(52)가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후진 실린더(52)는 전진 이동될 수 있으며,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후측으로 돌출된 이동축이 전진 이동됨에 따라 전측이 돌출된 형태로 변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후진 실린더(52)가 전후진 되는 간격은 상기 보조안착부(40)의 일단으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제1정렬단턱(12)에 정렬된 상기 부착원단(P)의 끝단 및 상기 가열접합부(11)의 일측 테두리부 간의 간격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이동수단(50)이 상승 및 전진 이동되면, 상기 보조안착부(40)에 안착된 상기 부착원단(P)의 끝단이 상기 가열접합부(11)의 일측 테두리부에 정렬 및 안착되도록 상기 승강 실린더(51)가 수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부착원단(P)의 끝단은, 상기 메인안착부(30)에 안착되되 끝단이 상기 베이스부(10)의 중앙부에 걸쳐진 상기 피부착원단(Q)의 상면부에 중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부착원단(P) 및 상기 피부착원단(Q) 간의 상기 겹침부(21)가 형성될 수 있다(s20). 여기서, 상기 원단 고정부(22)가 하향 이동되어 상기 부착원단(P)의 상면부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겹침부(21)가 형성되면, 상기 겹침부(21)의 상부에 대향 배치되어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상기 상부연속 가열부(20)가 하향 이동되어 상기 겹침부(21)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된 상부연속 가열부(20)가 상기 겹침부(21)를 가열 및 가압함으로써 상기 부착원단(P) 및 상기 피부착원단(Q)이 상호 열융착식으로 접착될 수 있다(s30).
이때, 열융착은 상기 겹침부(21)가 열처리 되어 상호 접착될 수도 있고, 상기 겹침부(21)가 형성되는 폭범위 내의 상기 피부착원단(Q)의 끝단에 별도의 접착테이프(24)가 도포되어 상기 부착원단(P)이 접착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연속 가열부(20)가 상기 겹침부(21)를 가열 및 가압함에 따라 상기 겹침부(21)에 개재된 상기 접착테이프(24)에 의해 융착식으로 접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연속 가열부(20)가 상기 겹침부(21)를 가열 및 가압할 시에 상기 상부연속 가열부(20)와 대향 배치되되 상기 겹침부(21)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내재된 상기 하부연속 가열부(14)에 의해 상호 가열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연속 가열부(14)는 상기 상부연속 가열부(20)에 의해 가압된 상기 겹침부(21)를 하측에서 지지해 줄 수도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두 원단이 어긋남 없이 균일하게 접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종래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원단 접착작업을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접착장치(100)를 이용하여 원단을 자동으로 신속하게 가압 접착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화상 혹은 부상에 대한 안전문제가 개선될 수 있으며, 제작 공정 시간 또한 현저히 단축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원단 접착장치 10: 베이스부
11: 가열접합부 12: 제1정렬단턱
13: 제2정렬단턱 14: 하부연속 가열부
20: 상부연속 가열부 21: 겹침부
30: 메인안착부 40: 보조안착부
41: 힌지 장치 42: 고정부재
50: 승강이동수단 51: 승강 실린더
52: 전후진 실린더 60: 하부 지지프레임
61: 상부 지지프레임 P: 부착원단
Q: 피부착원단

Claims (5)

  1. 중앙부에 가열접합부가 형성되며, 타측단부에 제1정렬단턱이 형성된 베이스부;
    부착원단 및 피부착원단의 대향된 끝단 간의 겹침부에 가압 접촉되어 융착식 접착을 이루도록 폭방향 길이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직접 가열식 발열체가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가열접합부의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연속 가열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피부착원단의 일측 끝단이 상기 베이스부의 중앙부의 상면부에 걸쳐 정렬 및 안착되는 메인안착부;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에 구비되되, 상기 부착원단의 일측 끝단이 상기 제1정렬단턱의 상면부에 정렬 및 안착되는 보조안착부; 및
    상기 부착원단의 끝단과 상기 피부착원단의 끝단이 정렬 및 중첩되는 겹침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보조안착부를 승강 및 전후 이동시키는 승강이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보조안착부의 상승 및 전진 이동시 상기 보조안착부의 일단으로부터 노출된 상기 부착원단의 끝단이 상기 피부착원단에 중첩되어 상기 겹침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보조안착부의 끝단 및 상기 제1정렬단턱 사이의 폭은 상기 상부연속 가열부의 하단폭 이상으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접착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이동수단은 상기 보조안착부 일측의 하부에 연결되어 승강력을 제공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보조안착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전후 이동력을 제공하는 전후진 실린더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접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접합부의 타측 테두리부에는 제2정렬단턱이 구비되며,
    상기 가열접합부의 하부에는 상기 상부연속 가열부와 대향 배치되어 상기 상부연속 가열부에 의해 가열 및 가압되는 상기 겹침부를 가열 및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하부연속 가열부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접착장치.
  5. 삭제
KR1020150100883A 2015-07-16 2015-07-16 원단 접착장치 KR101678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883A KR101678626B1 (ko) 2015-07-16 2015-07-16 원단 접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883A KR101678626B1 (ko) 2015-07-16 2015-07-16 원단 접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8626B1 true KR101678626B1 (ko) 2016-11-22

Family

ID=57540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883A KR101678626B1 (ko) 2015-07-16 2015-07-16 원단 접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862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6670B1 (ko) * 2017-09-01 2018-02-07 이기섭 신발제조용 부재 접합장치
KR101978724B1 (ko) * 2018-08-10 2019-05-15 유충한 타포린 원단 접합 장치
KR101999370B1 (ko) 2018-03-15 2019-07-11 (주)인비츠 블라인드 원단의 압착장치
KR20230000628U (ko) * 2021-09-15 2023-03-22 김병열 직물시트용 패턴형성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0203A (ja) * 2000-10-16 2002-04-23 Taihei Mach Works Ltd スカーフジョイントの接着方法と接着装置
KR100852257B1 (ko) * 2008-04-28 2008-08-26 이윤백 다중 원단 접합을 위한 정렬장치 및 그 방법
KR101031840B1 (ko) * 2010-12-10 2011-05-02 주식회사 대양 원단 접착장치 및 그의 접착방법
KR101420136B1 (ko) * 2013-04-26 2014-07-17 주식회사 대양 접착테이프 부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0203A (ja) * 2000-10-16 2002-04-23 Taihei Mach Works Ltd スカーフジョイントの接着方法と接着装置
KR100852257B1 (ko) * 2008-04-28 2008-08-26 이윤백 다중 원단 접합을 위한 정렬장치 및 그 방법
KR101031840B1 (ko) * 2010-12-10 2011-05-02 주식회사 대양 원단 접착장치 및 그의 접착방법
KR101420136B1 (ko) * 2013-04-26 2014-07-17 주식회사 대양 접착테이프 부착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6670B1 (ko) * 2017-09-01 2018-02-07 이기섭 신발제조용 부재 접합장치
KR101999370B1 (ko) 2018-03-15 2019-07-11 (주)인비츠 블라인드 원단의 압착장치
KR101978724B1 (ko) * 2018-08-10 2019-05-15 유충한 타포린 원단 접합 장치
KR20230000628U (ko) * 2021-09-15 2023-03-22 김병열 직물시트용 패턴형성장치
KR200497059Y1 (ko) 2021-09-15 2023-07-12 김병열 직물시트용 패턴형성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8626B1 (ko) 원단 접착장치
US9102095B2 (en) Carbon fiber-containing resin sheet carrying apparatus
US20110083787A1 (en) Method of impulse welding non-waterproof, digitally printable fabrics
KR101420136B1 (ko) 접착테이프 부착장치
KR20170111059A (ko) 창호프레임 제조용 열 융착장치
KR101678629B1 (ko) 원단 접착장치 및 그를 사용하여 제조된 블라인드용 원단장치
KR101031840B1 (ko) 원단 접착장치 및 그의 접착방법
KR20180096137A (ko) 내장재의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
KR101805016B1 (ko) 자동차용 내장재의 융착설비 및 그 방법
JP3789908B2 (ja) シート様プラスチック材料のオーバーラップ溶接方法及び溶接装置
CN206357773U (zh) 一种用于皮革粘合的自动热压装置
CN205951303U (zh) 一种塑窗焊接设备以及利用该设备组合成的四角焊机
CN1922002A (zh) 校正装置以及使用该装置的方法和机器
KR100517117B1 (ko) 초음파 연결방식을 이용한 pvc 코팅 직물의 생산공정및이에 사용되는 초음파 직물연결장치
KR102353082B1 (ko) 창틀 제조용 접합장치
US11938685B2 (en) Welding machine for synthetic resins
TW201804044A (zh) 高頻縫紉機
CN107587275B (zh) 一种缝纫装置
KR102007180B1 (ko) 천막지 융착장치
US20180250886A1 (en) Seam production machine for joining planar flexible components
JP3962619B2 (ja) 車両用シート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EP1624766B1 (en) Hemming machine
JP6587333B1 (ja) 接合装置
JP2020062838A (ja) 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1003092B1 (ko) 관 라이너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