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3092B1 - 관 라이너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관 라이너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3092B1
KR101003092B1 KR1020100034931A KR20100034931A KR101003092B1 KR 101003092 B1 KR101003092 B1 KR 101003092B1 KR 1020100034931 A KR1020100034931 A KR 1020100034931A KR 20100034931 A KR20100034931 A KR 20100034931A KR 101003092 B1 KR101003092 B1 KR 101003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film
frame
sewing
sealing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철
엄일섭
조승환
Original Assignee
정영철
조승환
엄일섭
주식회사 이에프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철, 조승환, 엄일섭, 주식회사 이에프티 filed Critical 정영철
Priority to KR1020100034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30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5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mechanical means or mechanical connections, e.g. form-fits
    • B29C65/62Sti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7888Means for handling of moving sheets or we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수도관에 사용되는 관 라이너에 사용되는 수지필름의 양단이 맞대어져 재봉되는 부분이 상부에 형성되도록 하고, 수지필름에 부직포가 끼워져있는 상태에서 관 라이너를 제작하도록 함으로써 관 라이너의 제조공정을 줄여 비용 절감 및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 라이너 제조장치에서 재봉장치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전체 공정을 멈추지 않고 그대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관 라이너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 라이너 제조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수지필름을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 상기 이송되는 수지필름의 양단이 상부쪽으로 모아 맞대어진 맞댐부를 재봉하는 재봉장치; 상기 수지필름의 재봉된 부분에 실링재로 실링 처리하는 실링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관 라이너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UBE LINING MATERIAL}
본 발명은 상하수도관 등의 관로의 보수에 사용되는 관 라이너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 라이너에 사용되는 수지필름과 부직포의 제조공정을 간소화시켜 공정효율을 높일 수 있는 관 라이너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중에 매설된 상하수도관이 노후화된 경우, 노후한 관로를 보수하는 관로 보수공법이 여러 가지 제안된 바가 있으며, 관로를 지중에서 굴착하는 일이 없이 내주면에 라이너를 설치하는 관 라이닝공법이 알려지고 있다.
관 라이닝공법은 외주면이 기밀성이 높은 수지필름으로 피복된 관형상 부직포에 경화성수지를 함침시켜서 된 관 라이너를 유체압에 의해서 관로내에 반전시키면서 삽입한 다음, 그 관 라이너를 관로의 내주면에 누른 채로 관 라이너의 온도를 높이는 등의 방법으로, 이것에 함침된 경화수지를 경화시킴으로써 관로의 내주면에 라이닝을 실시하는 공법이다.
이러한 관 라이닝공법에 사용되는 관 라이너를 제조시에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일정크기로 재단된 수지필름(10)의 양단을 접은 후 서로 맞대어 재봉기(20)로 재봉하고 맞대어 재봉된 부분을 당겨 상측으로 향하도록 하여 튜브형상의 수지필름(10)이 형성되도록 한 후, 실링기(30)로 재봉된 부분을 밀봉하였다. 그리고, 별도로 튜브형상으로 재봉된 부직포(40)를 수지필름(10)의 내측으로 끼워넣은 후, 수지필름(10)과 부직포(40)를 열융착이나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관 라이너를 제조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관 라이너 제조하는 경우에, 재단된 수지필름(10)의 양단을 측면에서 서로 맞대어 재봉한 후 튜브형상의 수지필름(10)이 형성되도록 하고 맞대어진 부분을 실링기(30)로 상측에서 용이하게 실링하기 위하여, 측면에 맞대어진 부분을 상측으로 향하도록 당기는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맞대어진 부분을 상측으로 향하도록 당기기 위하여는 별도의 장치나 설비가 필요하고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 미터 이상의 큰 원주의 관 라이너를 제조하는 경우에, 튜브형상의 수지필름을 제조한 후에 직경이 큰 부직포를 끼워넣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관 라이너의 생산단가가 높아지고 생산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하수도관에 사용되는 관 라이너에 사용되는 수지필름의 양단이 맞대어져 재봉되는 부분이 상부에 형성되도록 하고, 수지필름에 부직포가 끼워져있는 상태에서 관 라이너를 제작하도록 함으로써 관 라이너의 제조공정을 줄여 비용 절감 및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 라이너 제조장치에서 재봉장치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전체 공정을 멈추지 않고 그대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관 라이너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 라이너 제조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수지필름을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 상기 이송되는 수지필름의 양단이 상부쪽으로 모아 맞대어진 맞댐부를 재봉하는 재봉장치; 상기 수지필름의 재봉된 부분에 실링재로 실링 처리하는 실링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지필름의 양단을 상부쪽으로 모아 맞대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봉장치와 상기 실링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위에 상기 수지필름이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떨어져서 순차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장치는, 상기 수지필름이 상기 수지필름의 양단이 모아지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수지필름의 이송을 안내하는 복수개의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지필름의 크기에 따라 상기 수지필름이 통과하는 공간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지필름이 상기 가이드장치를 통과하여 그 양단이 상부쪽으로 모아진 상태로 상기 재봉장치로 안내되도록 하는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봉장치는, 상기 수지필름의 맞댐부를 재봉하는 재봉기와, 상기 재봉기가 상기 수지필름의 맞댐부를 순차적으로 재봉하도록 상기 수지필름을 소정 간격으로 이송하는 톱니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링장치는, 소정의 실링재를 상기 재봉장치에 의해 재봉된 부분에 도포하는 실링기와, 실링재가 도포된 부분을 가압하며 냉각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냉각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지필름의 내부 상면을 지지하며 이송시키는 이송벨트장치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승하강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지필름의 내부 하면을 지지하며 이송시키는 상부이송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이송되는 수지필름의 하단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하부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이송되는 수지필름의 하단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쪽으로 선택적으로 승하강하며 상기 상부이송장치와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지필름의 외부 하면을 지지하며 이송시키는 하부이송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프레임을 통과한 수지필름을 상기 수지필름의 이송 진행 방향으로 끌어 당기는 핀치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하부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하부프레임을 승강시킴에 따라 상기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홈부를 포함하여, 상기 프레임의 상단면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단면이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두 개의 수지필름에 대해 재봉 및 실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 라이너 제조방법은, 수지필름이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이송하는 단계; 이송되는 수지필름에 대해 상기 수지필름의 상부쪽으로 모아 맞대어진 맞댐부에 대해 재봉장치에 의해 재봉되는 단계; 상기 수지필름의 재봉된 부분이 실링장치에 의해 실링재로 실링 처리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부직포를 튜브 형상으로 재봉하고, 상기 튜브 형상으로 재봉된 부직포를 펼쳐진 상태의 수지필름의 상부에 위치시켜 상기 부직포가 상기 수지필름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이송단계, 상기 재봉되는 단계 및 상기 실링 처리되는 단계를 각각 거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튜브 형상의 부직포가 수지필름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수지필름의 양단을 상부쪽으로 모아 맞대도록 가이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봉장치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실링장치가 상기 수지필름에 대해 실링 처리를 하면서 상기 재봉장치 쪽으로 이동하도록 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봉장치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실링장치를 이송시키면서 상기 이송장치에 의한 상기 수지필름의 이송 속도를 감속시키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장치에 의한 상기 수지필름의 감소된 만큼의 속도로 상기 실링장치가 이송되도록 제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봉장치의 오류가 복구된 경우, 상기 실링장치를 원래 위치로 복귀하도록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이송장치에 의한 상기 수지필름의 이송속도를 복원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 라이너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은 관 라이너에 사용되는 수지필름과 부직포의 제조공정을 줄이고 단순화시켜 비용절감, 제조시간의 단축 및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관 라이너 제조장치에서 재봉장치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전체 공정을 멈추지 않고 그대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관 라이너가 제조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 라이너인 수지필름 상면에 부직포가 놓여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관 라이너인 수지필름이 재봉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재봉된 수지필름이 실링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 라이너 제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관 라이너 가이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장치에 의하여 관 라이너가 튜브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관 라이너의 제조장치에 따라 관 라이너가 제조되는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도 8의 I-I에 대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관 라이너 제조장치에 의하여 관 라이너가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두 개의 수지필름을 접합하여 하나의 수지필름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고정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재봉기가 동작되지 않는 경우 실링기를 제어하여 역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도 13의 재봉기가 재동작되는 경우 실링기를 제어하여 정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에 따른 관 라이너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 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관 라이너인 수지필름의 상면에 부직포가 놓여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관 라이너 제조장치에 따라 제조되는 관 라이너가 재봉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재봉된 수지필름이 실링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관 라이너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관 라이너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관 라이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형상으로 재봉된 부직포(40)를 상하수도관 관경에 맞게 일정크기로 재단하여 펼쳐진 상태의 수지필름(10)의 상면에 올려놓는다. 그리고, 펼쳐진 상태의 수지필름(10)의 양단을 후술할 가이드장치(110)에 의해 상측으로 모아 맞대어진 맞댐부(115)을 재봉기(120)로 재봉한 후, 재봉된 맞댐부(115)을 실링기(140)로 실링시켜 튜브형상의 관 라이너가 제조된다.
상기 부직포(40)는 튜브형상으로 상하수도 관경의 크기에 따라 별도로 재봉되어 제작되며, 부직포(40)는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비닐론 등의 섬유로 구성되고 필요에 따라 탄소나 케블라의 섬유를 혼합할 수 있다. 수지필름(10)도 상하수도 관경의 크기에 따라 재단되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염화비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관 라이너를 제조하는 제조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 라이너 제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관 라이너 가이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장치에 의하여 관 라이너가 튜브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관 라이너의 제조장치에 따라 관 라이너가 제조되는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I-I에 대한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관 라이너 제조장치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형상의 부직포(40)가 내측에 놓여지며, 일정크기로 재단되어 펼쳐진 상태의 수지필름(10)의 양단을 모아 맞대어진 맞댐부(115)가 상부에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수지필름(10)이 튜브형상이 형성되도록 하는 가이드장치(110)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장치(110)의 전방에 설치되어 가이드장치(110)를 통과한 튜브형상의 수지필름(10)을 지지하며 이송경로를 형성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수지필름(10)의 맞댐부(115)를 재봉하는 재봉장치와,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재봉된 수지필름(10)이 이송방향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벨트가 마련된 이송장치와,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수지필름(10)의 재봉된 상기 맞댐부(115)를 실링하는 실링기(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라이너 제조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장치(11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크기로 재단되어 펼쳐진 상태의 수지필름(10) 및 수지필름(10)의 상면에 놓여지는 튜브형상의 부직포(40) 양단에 각각 마련되는 두 개의 가이드프레임(116)과 상기 가이드프레임(116)의 내벽에 소정간격으로 마련된 다수개의 롤러(114)를 포함한다.
가이드프레임(116)은 상부는 좁고 하부로 갈수록 넓게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롤러(114)는 가이드프레임(116)의 내벽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수지필름(10)이 가이드프레임(116)을 통과하는 경우에 가이드프레임(116)의 상하부에 설치된 롤러(114)와 수지필름(10)의 외면이 접촉되어, 일정한 크기로 재단된 펼쳐진 상태의 수지필름(10)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16)을 통과하면서 수지필름(10)의 길이방향 양단이 상부로 모아져 하부는 넓고 상부는 좁아지는 모양의 튜브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프레임(116)은 수지필름(10) 및 부직포(40)의 크기에 따라 조절가능하도록 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롤러(112)는 가이드장치(110)를 통과한 튜브형상의 수지필름(10) 양단이 상측에서 완전히 맞대어지도록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프레임(116)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프레임(116)을 통과한 수지필름(10)의 양외측에 각각 소정간격으로 다수개가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마주보는 가이드롤러(112)간의 폭은 이송방향인 전방을 따라 점차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되어 가이드프레임(116)을 통과한 수지필름(10)의 양단이 가이드롤러(112)에 의해 가압되면서 맞대어지게 된다.
결국, 수지필름(10)이 가이드프레임(116)을 통과하면서 수지필름(10)의 양단은 상측으로 모아지며 튜브형상이 형성되며, 수지필름(10)이 가이드롤러(112)를 통과하면서 수지필름(10)의 양단이 서로 맞대어지는 맞댐부(115)가 형성된다.
한편, 프레임은 가이드장치(110)의 전방에 설치되어 가이드장치(110)를 통과한 튜브형상의 수지필름(10)을 지지하며 수지필름(10)이 이송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은 튜브형상의 수지필름의 상면과 접촉되어 수지필름(10)을 지지하는 상부프레임(130)을 포함하며, 상부프레임(1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수지필름의 하면과 접촉되도록 수지필름(10)을 지지하는 하부프레임(1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프레임(130)은 지지기둥(131)과 연결되어 있어 상기 지지기둥(131)에 의해 상기 상부프레임(130)은 고정되며, 하부프레임(180)의 하부에는 하부프레임(18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40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지지프레임(400)과 하부프레임(180)사이에 하부프레임(18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지승강기(420)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재봉장치는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롤러(112)의 전방에 위치하여 양단이 맞대어진 수지필름(10)의 맞댐부(115)를 봉합하도록 맞댐부(115)의 상측에 마련되는 재봉기(120)와 맞댐부(115)의 하면에 마련되어 수지필름(10)이 이송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톱니이송부(12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재봉기(120)는 수지필름(10)의 맞댐부(115)를 재봉하여 봉합하며, 톱니이송부(125)는 봉합된 수지필름(10)을 이송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킨다.
재봉장치에 의하여 봉합된 수지필름(10)은 상부프레임(130) 및 하부프레임(180)에 구비된 이송장치에 의하여 이송되며, 이송장치는 모터 등의 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하여 구동력을 전달받아 이송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송장치는 상부이송장치와 하부이송장치를 포함하며, 도 5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이송장치는 재봉된 수지필름(10)의 내부 상면과 접촉되어 수지필름의 상면을 이송시키는 상부이송벨트(220), 상부이송벨트(220)와 연결된 상부이송롤러(240), 수지필름의 하면과 접촉되어 수지필름의 하면을 가압하며 지지하는 상부이송지지장치(280), 상부이송지지장치(280)와 연결되어 상부이송지지장치(28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기(2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이송지지장치(280)는 수지필름(10)의 하면과 접촉되어 수지필름을 가압하는 제1가압롤러(284)와 제1가압롤러(284)와 연결된 제1가압벨트(286)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하부이송장치는 재봉된 수지필름(10)의 하면과 접촉되어 수지필름(10)의 하면을 이송시키는 하부이송벨트(320), 하부이송벨트(320)와 연결된 하부이송롤러(340), 상부이송지지장치(280)과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부이송장치가 하강시에 상부가압롤러(284)와 함께 수지필름(10)의 하면을 가압하며 지지하는 하부이송지지장치(3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이송지지장치(380)는 수지필름(10)의 하면과 접촉되어 수지필름(10)을 가압하는 제2가압롤러(384)와 제2가압롤러(384)와 연결된 제2가압벨트(38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승강기(260)와 연결된 상부이송지지장치(280)가 하부로 이동하면 제1가압롤러(284)와 제2가압롤러(384)사이에 상하로 포개진 수지필름(10)의 하면과 부직포(40)가 가압되고, 상부이송롤러(240)와 하부이송롤러(340)에 의하여 이송방향으로로 수지필름(10)이 이동된다.
상기 상부이송장치와 상기 하부이송장치는 수지필름(10)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승강 또는 하강되어 가공되는 수지필름(10)의 크기에 따라 이송 지지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수지필름(10)의 크기가 큰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이송장치의 승강기(260)가 아래로 내려와서 이송 지지력을 제공하게 되고, 만약 수지필름(10)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상부이송장치의 승강기(260)가 위로 올라가서 상부프레임(130) 내부로 삽입되면서 하부프레임(180)의 하부이송장치의 승강기가 위로 올라가서 수지필름(10)의 외부 하면을 지지하면서 이송 지지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관 라이너의 직경이 매우 큰 경우, 현재 생산되고 있는 수지필름이 상기한 바와 같은 매우 큰 직경의 관 라이너를 제조하기에 크기가 작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지필름(10a)과 제2 수지필름(10b)을 서로 재봉하고 실링함으로써 하나의 큰 수지필름을 만들 수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은 매우 큰 직경의 관 라이너 제작이 가능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 라이너 제조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수지필름(10a, 10b)을 서로 접합시키도록 하는 공정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지필름(10a)과 제2 수지필름(10b)이 평평하게 놓이도록 하기 위해 상부프레임(130)이 하부프레임(180)의 홈부(181)에 삽입되도록 하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즉 상부프레임(130)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하부프레임(180)이 지지승강기(420, 도 5 참조)에 의해 승강하여 상기 상부프레임(130)이 홈부(181)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부프레임(130)의 상단면과 하부프레임(180)의 상단면이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하부프레임(180)이 승강하면서 하부이송지지장치(380)는 제자리에 위치하므로(상기 하부이송지지장치(380)는 홈부(181)를 관통할 수 있는 구조이다) 하부프레임(180)이 승강하여 상부프레임(130)이 홈부(181)에 삽입되도록 하는 경우 하부이송지지장치(380)는 하부프레임(180) 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130)의 상단면과 하부프레임(180)의 상단면이 평평한 상태가 되고 그 위를 두 개의 수지필름(10a, 10b)이 이송되도록 하면서 재봉기(120)에 의한 재봉과 실링기(미도시)에 의한 실링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두 개의 수지필름이 서로 접합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필름(10)은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이동되면서 상부이송벨트(220)의 상부에 구비된 실링기(140)에서 배출되는 실링재가 재봉된 맞댐부(115)를 완전히 밀봉하여 접합시킨다.
상기 실링기(140)를 통과한 수지필름(10)은 냉각롤러(160)에 의하여 실링된 맞댐부(115)를 냉각 및 가압시켜 실링재가 경화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체 공정이 마무리되어 상부프레임(130)을 빠져나오는 수지필름(10)은 핀치롤러(미도시)에 의해 상기 수지필름(10)의 이송 진행 방향으로 끌어당겨짐으로써 전체적인 이송 공정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전체 공정이 마무리되어 관 라이너가 생성되면, 상기 프레임을 빠져나오는 관 라이너의 끝부분을 밀봉하고 진공기를 이용하여 내부의 공기를 빼낸다.
이와 같이 관 라이너의 끝부분이 밀봉되어 그 내부가 실질적인 진공상태가 되면 관 라이너는 납작한 상태가 되어 적재 또는 적층이 매우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관 라이너 제조장치는 재봉기(120), 이송장치, 실링기(140) 등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제어하여 구동속도, 구동방향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 라이너 제조장치의 구성인 재봉기(120)의 고장등의 경우로 재봉기(120)가 동작이 되지 경우에, 튜브형상의 수지필름(10)의 맞댐부(115)가 재봉되지 않은 상태로 이송되면서 실링기(140)에 의해 실링될 수 있다.
이러한, 재봉기(120)를 수리하는 경우에 재봉되지 않은 상태의 수지필름이 이송장치를 통하여 이송되는 속도를 늦추기 위하여, 제어부(미도시)는 이송장치의 구동속도를 제어하여 이송장치의 구동속도를 감속시키고, 실링기(14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의 구동방향을 제어하여 이송장치의 감속된 속도만큼 수지필름(10)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균일한 두께의 실링재를 수지필름(10)의 맞댐부(115)에 실링할 수 있다.
그리고, 재봉기(120)가 다시 작동되는 경우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미도시)가 실링기(140)의 구동방향을 수지필름(10)의 이송방향과 동일한 정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송장치의 구동속도의 원래의 이동속도로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관 라이너의 제조장치에 의해 관 라이너가 제조되는 방법을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 라이너는 먼저 재봉된 튜브형상의 부직포(40)를 일정크기로 재단되어 펼쳐진 상태의 수지필름(10)의 상면에 놓는 단계, 내측에 부직포(40)가 놓여진 수지필름(10)의 양단이 가이드장치(110)에 의하여 상측으로 모아져 맞대어지도록 하는 단계, 맞대어진 수지필름(10)을 재봉기(120)로 재봉하는 단계, 재봉된 수지필름(10)을 이송장치에 의하여 이송하는 단계, 이송되는 재봉된 수지필름(10)을 실링기(140)로 실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재봉된 원형의 부직포(40)가 일정한 크기로 재단되어 펼쳐진 수지필름(10)의 내측에 마련된다. 그리고, 일정크기로 재단되어 펼쳐진 상태의 띠모양의 수지필름(10)이 가이드프레임(116)을 통과하면 수지필름(10)의 양단이 상측으로 모아져 튜브형상의 수지필름(10)의 형성된다.
가이드프레임(116)을 통과한 수지필름(10)은 수지필름의 양쪽에 대향되게 설치된 다수개의 가이드롤러(112)를 통과하면서 상측으로 모아진 수지필름(10)의 양단이 점차적으로 서로 맞대어져 맞댐부(115)가 형성된다.
그리고, 양단이 맞대어진 맞댐부(115)가 형성된 튜브형상의 수지필름(10)은 재봉기(120)와 톱니이송부(125)에 의해 맞댐부(115)가 재봉되어 봉합되며, 톱니이송부(125)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송된다.
재봉된 수지필름(10)은 상부프레임(130)과 하부프레임(180)에 각각 설치된 상부이송지지장치(280) 및 하부이송지지장치(380)에 의하여 수지필름(10)의 하면이 가압되며, 상부이송벨트(220) 및 하부이송벨트(320)에 의해 수지필름(10)이 전방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재봉된 수지필름(10)은 실링기(140)에서 배출되는 실링재에 의하여 재봉된 수지필름(10)의 맞댐부(115)을 실링하여 완전히 접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봉기(120)가 동작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부가 정지된 실링기(140)의 구동부(M)를 제어하여 실링기를 수지필름(10)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동작시키고, 이송장치의 이송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수지필름 40: 부직포
110: 가이드장치 112: 가이드롤러
114: 롤러 115: 맞댐부
116: 가이드프레임 120: 재봉기
130: 상부프레임 140: 실링기
160: 냉각롤러 180: 하부프레임
220: 상부이송벨트 240: 상부이송롤러
260: 승강기 280: 상부이송지지장치
320: 하부이송벨트 340: 하부이송롤러
380: 하부이송지지장치 400: 지지프레임

Claims (20)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수지필름을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
    상기 이송되는 수지필름의 양단이 상부쪽으로 모아 맞대어진 맞댐부를 재봉하는 재봉장치;
    상기 수지필름의 재봉된 부분에 실링재로 실링 처리하는 실링장치; 및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지필름의 양단을 상부쪽으로 모아 맞대도록 가이드하며, 상기 수지필름이 상기 수지필름의 양단이 모아지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수지필름의 이송을 안내하는 복수개의 롤러를 포함하는 가이드장치;
    를 포함하는 관 라이너 제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장치와 상기 실링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위에 상기 수지필름이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떨어져서 순차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라이너 제조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필름의 크기에 따라 상기 수지필름이 통과하는 공간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라이너 제조장치.
  6.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수지필름을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
    상기 이송되는 수지필름의 양단이 상부쪽으로 모아 맞대어진 맞댐부를 재봉하는 재봉장치;
    상기 수지필름의 재봉된 부분에 실링재로 실링 처리하는 실링장치;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지필름의 양단을 상부쪽으로 모아 맞대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장치; 및
    상기 수지필름이 상기 가이드장치를 통과하여 그 양단이 상부쪽으로 모아진 상태로 상기 재봉장치로 안내되도록 하는 가이드롤러;
    를 포함하는 관 라이너 제조장치.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장치는,
    상기 수지필름의 맞댐부를 재봉하는 재봉기와,
    상기 재봉기가 상기 수지필름의 맞댐부를 순차적으로 재봉하도록 상기 수지필름을 소정 간격으로 이송하는 톱니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라이너 제조장치.
  8.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장치는,
    소정의 실링재를 상기 재봉장치에 의해 재봉된 부분에 도포하는 실링기와,
    실링재가 도포된 부분을 가압하며 냉각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냉각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라이너 제조장치.
  9.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수지필름을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
    상기 이송되는 수지필름의 양단이 상부쪽으로 모아 맞대어진 맞댐부를 재봉하는 재봉장치; 및
    상기 수지필름의 재봉된 부분에 실링재로 실링 처리하는 실링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지필름의 내부 상면을 지지하며 이송시키는 상부이송벨트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승하강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지필름의 내부 하면을 지지하며 이송시키는 상부이송지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라이너 제조장치.
  10.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수지필름을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
    상기 이송되는 수지필름의 양단이 상부쪽으로 모아 맞대어진 맞댐부를 재봉하는 재봉장치;
    상기 수지필름의 재봉된 부분에 실링재로 실링 처리하는 실링장치; 및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이송되는 수지필름의 하단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하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지필름의 외부 하면을 지지하며 이송시키는 하부이송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라이너 제조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이송되는 수지필름의 하단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쪽으로 선택적으로 승하강하며 상기 상부이송지지장치와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지필름의 외부 하면을 지지하며 이송시키는 하부이송지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라이너 제조장치.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프레임을 통과한 수지필름을 상기 수지필름의 이송 진행 방향으로 끌어 당기는 핀치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라이너 제조장치.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하부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하부프레임을 승강시킴에 따라 상기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홈부를 포함하여,
    상기 프레임의 상단면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단면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두 개의 수지필름에 대해 재봉 및 실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라이너 제조장치.
  14. 수지필름이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이송하는 단계;
    이송되는 수지필름에 대해 상기 수지필름의 상부쪽으로 모아 맞대어진 맞댐부에 대해 재봉장치에 의해 재봉되는 단계; 및
    상기 수지필름의 재봉된 부분이 실링장치에 의해 실링재로 실링 처리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부직포를 튜브 형상으로 재봉하고, 상기 튜브 형상으로 재봉된 부직포를 펼쳐진 상태의 수지필름의 상부에 위치시켜 상기 부직포가 상기 수지필름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이송단계, 상기 재봉되는 단계 및 상기 실링 처리되는 단계를 각각 거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라이너 제조방법.
  15. 삭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튜브 형상의 부직포가 수지필름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수지필름의 양단을 상부쪽으로 모아 맞대도록 가이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라이너 제조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장치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실링장치가 상기 수지필름에 대해 실링 처리를 하면서 상기 재봉장치 쪽으로 이동하도록 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라이너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장치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실링장치를 이송시키면서 상기 이송하는 단계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수지필름의 이송 속도를 감속시키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라이너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에 의한 상기 수지필름의 감소된 만큼의 속도로 상기 실링장치가 이송되도록 제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라이너 제조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장치의 오류가 복구된 경우,
    상기 실링장치를 원래 위치로 복귀하도록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이송장치에 의한 상기 수지필름의 이송속도를 복원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라이너 제조방법.
KR1020100034931A 2010-04-15 2010-04-15 관 라이너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003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931A KR101003092B1 (ko) 2010-04-15 2010-04-15 관 라이너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931A KR101003092B1 (ko) 2010-04-15 2010-04-15 관 라이너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3092B1 true KR101003092B1 (ko) 2011-01-03

Family

ID=43615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931A KR101003092B1 (ko) 2010-04-15 2010-04-15 관 라이너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30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904Y1 (ko) * 2013-12-04 2015-11-30 정영철 관 라이너 제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5069A (ja) * 1991-12-06 1995-05-16 Yokoshima:Kk 管ライニング材の製造方法
JPH0939095A (ja) * 1995-07-31 1997-02-10 Shonan Gosei Jushi Seisakusho:Kk 管ライニング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179832A (ja) * 1999-12-27 2001-07-03 Kansui Kogyo Kk 管用ライニング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126640A (ko) * 2003-11-07 2006-12-08 이나 애쿼지션 코포레이션. 일체의 내부 불침투성 층을 구비하는 현장 경화형 라이너및 연속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5069A (ja) * 1991-12-06 1995-05-16 Yokoshima:Kk 管ライニング材の製造方法
JPH0939095A (ja) * 1995-07-31 1997-02-10 Shonan Gosei Jushi Seisakusho:Kk 管ライニング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179832A (ja) * 1999-12-27 2001-07-03 Kansui Kogyo Kk 管用ライニング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126640A (ko) * 2003-11-07 2006-12-08 이나 애쿼지션 코포레이션. 일체의 내부 불침투성 층을 구비하는 현장 경화형 라이너및 연속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904Y1 (ko) * 2013-12-04 2015-11-30 정영철 관 라이너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00937B2 (ja) カーカスプライ材の作製装置
CN113459354A (zh) 一种紫外光固化管道修复内衬软管及其缠绕式生产工艺
JP2019104182A (ja) 袋筒体の底開き装置
KR200489379Y1 (ko) 합지기의 종이 원단 공급로울러 지지장치
KR101003092B1 (ko) 관 라이너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17217895A (ja) 繊維シート積層装置及び繊維シートの積層方法
JP3789908B2 (ja) シート様プラスチック材料のオーバーラップ溶接方法及び溶接装置
JPH0780963A (ja) タイヤ用シート状未加硫ゴム部材の接合方法
CN116494582A (zh) 一种玻璃纤维树脂软管干管生产系统及制备方法
KR20110012615A (ko) 관라이닝 백의 제조방법
JP6122479B1 (ja) ウエブの継ぎ合わせ方法及びウエブの継ぎ合わせ装置
JP2008093899A (ja) ゴムシート接合方法および接合装置
CN103469495A (zh) 一种车缝担干的平车装置和方法
JP6151748B2 (ja) ウエブの継ぎ合わせ方法
JP4499803B2 (ja) ベルト材の貼り付け成型方法及び装置
JP2001340921A (ja) バルジ加工用の金属ベローズ成形方法、及び、金属ベローズ成形装置
KR101840383B1 (ko) 합지필름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지필름의 제조방법
JP5330139B2 (ja) タイヤ材料のジョイント装置およびタイヤ材料の作製方法
KR101040514B1 (ko) 대구경 관로보수용 튜브재 반전장치
KR101110664B1 (ko) 관라이닝 백의 센터링 장치
KR101077397B1 (ko) 튜브 바디 성형장치
KR102575332B1 (ko) 비굴착 튜브 제조용 상·하 동시 융착 및 이중 접합 장치
JP2018149806A (ja) シート巻き付け装置
CN203498612U (zh) 一种车缝担干的平车装置
CN219706143U (zh) 一种多层软管生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