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6670B1 - 신발제조용 부재 접합장치 - Google Patents

신발제조용 부재 접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670B1
KR101826670B1 KR1020170112175A KR20170112175A KR101826670B1 KR 101826670 B1 KR101826670 B1 KR 101826670B1 KR 1020170112175 A KR1020170112175 A KR 1020170112175A KR 20170112175 A KR20170112175 A KR 20170112175A KR 101826670 B1 KR101826670 B1 KR 101826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members
strip
roller
members
press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2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섭
Original Assignee
이기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섭 filed Critical 이기섭
Priority to KR1020170112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98/00Machines for making laces; Applying fibre or celluloid to ends of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9/00Laces; Laces in general for garments made of textiles, leather, or plastics
    • A43C9/06Releasable ends of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25/00Devices for gluing shoe parts

Landscapes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스트립부재를 상호 효과적으로 접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신발제조용 부재 접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와 같이 구성된 신발제조용 부재 접합장치는 상면에 2개의 스트립부재(1)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테이블(10)과, 상기 테이블(10)에 구비되어 상기 스트립부재(1)가 폭방향이 상하측을 향하도록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로울러(30)와, 상기 지지로울러(30)의 후방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지지로울러(30)를 통과한 2개의 스트립부재(1)의 양측면을 1차 가압하여 2개의 스트립부재(1)가 상호 가접합되도록 하는 1차 가압로울러(50)와, 상기 1차 가압로울러(50)의 후측에 구비되며 상기 1차 가압로울러(50)를 통과하여 가접합된 2개의 스트립부재(1)의 상면을 가압하여 2개의 스트립부재(1)가 상호 일치되도록 조절하는 조절수단(60)과, 상기 조절수단(60)의 후방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조절수단(60)을 통과한 2개의 스트립부재(1)의 양측면을 2차 가압하여 2개의 스트립부재(1)가 상호 접합되도록 하는 2차 가압로울러(70)와, 상기 2차 가압로울러(70)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2차 가압로울러(70)를 통과한 스트립부재(1)를 후방으로 당기는 이송로울러(80)가 구비되어, 2개의 스트립부재(1)를 상호 접합하는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2개의 스트립부재(1)가 상호 정확히 일치되도록 접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신발제조용 부재 접합장치{shoes member binding apparatus}
본 발명은 2개의 스트립부재를 상호 효과적으로 접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신발제조용 부재 접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다양한 종류의 부재를 상호 결합하여 제작된다.
도 1은 이러한 신발의 제작에 사용되는 중에서, 전후면의 색상이 다른 이형스트립부재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이형스트립부재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색상이 서로 다른 2개의 가죽 또는 고무재질의 스트립부재(1)를 상호 부착하여 제작된다.
한편, 이러한 이형스트립부재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트립부재(1)의 인접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2개의 스트립부재(1)를 상호 밀착하여 접합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이와 같이 스트립부재(1)를 접합하는 장치가 개발되지 않았음으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스트립부재(1)를 상호 접합하여 이형스트립부재를 제작하고 있다.
따라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릴 뿐 아니라,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2개의 스트립부재(1)가 상호 정확히 일치되도록 접합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전술한 바와 같은 이형스트립부재를 제작할 때 뿐 아니라, 2개의 스트립부재(1)를 상호 접합하여 제작된 모든 종류의 스트립부재(1)를 제작할 때 동일하게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0363283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2개의 스트립부재를 상호 효과적으로 접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신발제조용 부재 접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2개의 스트립부재(1)를 상호 접합하는 것으로, 상면에 2개의 스트립부재(1)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테이블(10)과, 상기 테이블(10)에 구비되어 상기 스트립부재(1)가 폭방향이 상하측을 향하도록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로울러(30)와, 상기 지지로울러(30)의 후방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지지로울러(30)를 통과한 2개의 스트립부재(1)의 양측면을 1차 가압하여 2개의 스트립부재(1)가 상호 가접합되도록 하는 1차 가압로울러(50)와, 상기 1차 가압로울러(50)의 후측에 구비되며 상기 1차 가압로울러(50)를 통과하여 가접합된 2개의 스트립부재(1)의 상면을 가압하여 2개의 스트립부재(1)가 상호 일치되도록 조절하는 조절수단(60)과, 상기 조절수단(60)의 후방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조절수단(60)을 통과한 2개의 스트립부재(1)의 양측면을 2차 가압하여 2개의 스트립부재(1)가 상호 접합되도록 하는 2차 가압로울러(70)와, 상기 2차 가압로울러(70)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2차 가압로울러(70)를 통과한 스트립부재(1)를 후방으로 당기는 이송로울러(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제조용 부재 접합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테이블(10)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측에 상기 스트립부재(1)가 전후방향으로 통과하도록 구성된 가열수단(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제조용 부재 접합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로울러(30)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로울러(30)에 의해 폭방향이 상하측을 향하도록 지지된 스트립부재(1)의 상면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판(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제조용 부재 접합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조절수단(60)은 상기 1차 가압로울러(50)를 통과한 2개의 스트립부재(1)가 통과하는 가압홈(61a)이 형성된 가압블록(61)과, 상기 가압블록(61)에 연결되어 가압블록(61)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62)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홈(61a)은 상기 가압블록(61)의 하측면에 상측으로 오목하면서 전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압홈(61a)의 높이는 가압홈(61a)을 통과하는 2개의 스트립부재(1)의 상하방향 폭과 동일하거나, 2개의 스트립부재(1)의 상하방향 폭에 비해 낮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제조용 부재 접합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승강수단(62)은 상기 가압블록(61)이 상승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일정간격으로 상기 가압블록(61)을 하강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제조용 부재 접합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와 같이 구성된 신발제조용 부재 접합장치는 상면에 2개의 스트립부재(1)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테이블(10)과, 상기 테이블(10)에 구비되어 상기 스트립부재(1)가 폭방향이 상하측을 향하도록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로울러(30)와, 상기 지지로울러(30)의 후방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지지로울러(30)를 통과한 2개의 스트립부재(1)의 양측면을 1차 가압하여 2개의 스트립부재(1)가 상호 가접합되도록 하는 1차 가압로울러(50)와, 상기 1차 가압로울러(50)의 후측에 구비되며 상기 1차 가압로울러(50)를 통과하여 가접합된 2개의 스트립부재(1)의 상면을 가압하여 2개의 스트립부재(1)가 상호 일치되도록 조절하는 조절수단(60)과, 상기 조절수단(60)의 후방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조절수단(60)을 통과한 2개의 스트립부재(1)의 양측면을 2차 가압하여 2개의 스트립부재(1)가 상호 접합되도록 하는 2차 가압로울러(70)와, 상기 2차 가압로울러(70)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2차 가압로울러(70)를 통과한 스트립부재(1)를 후방으로 당기는 이송로울러(80)가 구비되어, 2개의 스트립부재(1)를 상호 접합하는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2개의 스트립부재(1)가 상호 정확히 일치되도록 접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이형스트립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제조용 부재 접합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제조용 부재 접합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제조용 부재 접합장치의 조절수단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제조용 부재 접합장치의 조절수단의 작용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제조용 부재 접합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제조용 부재 접합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상면에 2개의 스트립부재(1)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테이블(10)과, 상기 테이블(10)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측에 상기 스트립부재(1)가 전후방향으로 통과하도록 구성된 가열수단(20)과, 상기 테이블(10)에 구비되어 상기 스트립부재(1)가 폭방향이 상하측을 향하도록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로울러(30)와, 상기 지지로울러(30)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로울러(30)에 의해 폭방향이 상하측을 향하도록 지지된 스트립부재(1)의 상면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판(40)과, 상기 지지판(40)의 후방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지지로울러(30)를 통과한 2개의 스트립부재(1)의 양측면을 1차 가압하여 2개의 스트립부재(1)가 상호 가접합되도록 하는 1차 가압로울러(50)와, 상기 1차 가압로울러(50)의 후측에 구비되며 상기 1차 가압로울러(50)를 통과하여 가접합된 2개의 스트립부재(1)의 상면을 가압하여 2개의 스트립부재(1)가 상호 일치되도록 조절하는 조절수단(60)과, 상기 조절수단(60)의 후방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조절수단(60)을 통과한 2개의 스트립부재(1)의 양측면을 2차 가압하여 2개의 스트립부재(1)가 상호 접합되도록 하는 2차 가압로울러(70)와, 상기 2차 가압로울러(70)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2차 가압로울러(70)를 통과한 스트립부재(1)를 후방으로 당기는 이송로울러(80)로 구성된다.
상기 가열수단(20)은 상면에 하측으로 오목한 오목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21)의 내부에는 히터(22)가 구비되며, 상측에는 상기 오목부(21)의 상측을 가리는 철망(23)이 구비되어, 상기 이송로울러(80)에 의해 후방으로 당겨지는 스트립부재(1)가 상기 철망(23)의 상면을 통과하면서 가열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트립부재(1)는 폭방향이 양측을 향한 상태, 즉, 넓게 누운 상태로 상기 가열수단(20)의 상면을 통과한다.
상기 지지로울러(3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에 의해 상기 테이블(10)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상기 테이블(10)의 전방 상면 양측에 각각 2개씩 구비되며, 상호 근접된 2개의 지지로울러(30)는 상기 스트립부재(1)의 두께보다 조금 넓은 간격으로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가열수단(20)을 통과한 스트립부재(1)를 상기 지지로울러(30)의 사이로 통과하도록 하면, 지지로울러(30)에 의해 상기 스트립부재(1)의 폭방향이 상하방향을 향하도록 방향전환된다.
즉, 상기 지지로울러(30)를 통과한 스트립부재(1)는 폭방향이 상하방향을 향하도록 세워진 상태로 후방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지지로울러(30)의 후방에는 한 쌍의 보조지지로울러(31)와 지지핀(32)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로울러(30)를 통과한 스트립부재(1)가 상기 보조지지로울러(31)의 둘레면을 경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40)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금속재질의 패널형상으로 구성되며 지지바(41)에 의해 하측면이 상기 테이블(1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로울러(30)를 통과한 스트립부재(1)는 상기 지지판(40)의 하측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상면이 상기 지지판(4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정해진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지 않도록 높이조절된다.
상기 1차 가압로울러(50)는 상하방향의 회전축을 갖도록 상기 테이블(10)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1차 가압로울러(50)의 간격은 상기 스트립부재(1)의 두께를 합친 폭에 비해 조금 좁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로울러(30)와 보조지지로울러(31)의 둘레면을 경유한 2개의 스트립부재(1)는 인접면이 상호 밀착된 상태로 상기 1차 가압로울러(50)의 사이를 통과하여, 1차 가압로울러(50)에 의해 상호 밀착되도록 가압된다.
상기 조절수단(6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1차 가압로울러(50)를 통과한 2개의 스트립부재(1)가 통과하는 가압홈(61a)이 형성된 가압블록(61)과, 상기 가압블록(61)에 연결되어 가압블록(61)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62)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압블록(61)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사각블록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가압홈(61a)은 상기 가압블록(61)의 하측면에 상측으로 오목하면서 전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승강수단(62)은 지지대(62a)와, 상기 지지대(62a)에 구비되며 가압블록(61)에 연결된 승강기구(62b)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62a)는 상기 테이블(10)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부(62c)와, 상기 고정부(62c)에서 상기 가압블록(61)의 상측으로 연장된 지지부(62d)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기구(62b)는 상기 지지대(62a)의 일측에 구비된 작업자가 수동으로 핸들(62e)을 하측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가압블록(61)을 하강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압홈(61a)의 높이는 가압홈(61a)을 통과하는 2개의 스트립부재(1)의 상하방향 폭과 동일하거나, 2개의 스트립부재(1)의 상하방향 폭에 비해 낮게 구성되어, 상기 가압블록(61)을 하강시키면 상기 스트립부재(1)가 가압홈(61a)과 테이블(10)의 상면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가압되어, 2개의 스트립부재(1)가 정확히 일치되도록 조절한다.
즉, 상기 2개의 스트립부재(1)는 상기 지지판(40)을 통과한 후, 정확한 높이조절이 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1차 가압로울러(50)로 공급되어 상호 가접합됨으로,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스트립부재(1)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접합될 수 있다.
이때,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블록(61)을 하강시키면, 서로 다른 높이로 접합된 2개의 스트립부재(1)가 하측으로 가압되어, 스트립부재(1)의 상하면이 상기 가압홈(61a)과 테이블(10)의 상면에 의해 가압되어, 2개의 스트립부재(1)가 상호 일치되도록 높이조절된다.
한편, 상기 가압블록(61)이 하강된 상태를 유지할 경우, 상기 스트립부재(1)가 테이블(10)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가압하여, 스트립부재(1)에 저항력이 발생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이송로울러(80)를 이용하여 스트립부재(1)를 후방으로 당길 때, 스트립부재(1)가 늘어날 수 있음으로, 평상시에는 상기 가압블록(61)을 상승시키고, 2개의 스트립부재(1)가 일치하지 않도록 가접합된 경우, 또는 주기적으로 짧은 시간동안만 상기 가압블록(61)을 하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차 가압로울러(70)는 상하방향의 회전축을 갖도록 상기 테이블(10)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2차 가압로울러(70)의 간격은 상기 스트립부재(1)의 두께를 합친 폭에 비해 조금 좁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조절수단(60)을 통과하여 상호 일치되도록 높이조절된 2개의 스트립부재(1)는 상기 2차 가압로울러(70)를 통과하면서 2차 가압되어, 상호 완전히 접합된다.
상기 이송로울러(80)는 상기 테이블(10)의 상면에 구비된 지지브라켓(11)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2개로 구성되어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이송로울러(80)의 상하방향 간격 상기 2차 가압로울러(70)를 통과하면서 상호 접합된 2개의 스트립부재(1)의 두께에 비해 조금 좁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2차 가압로울러(70)를 통과하여 상호 접합된 2개의 스트립부재(1)는 폭방향이 양측을 향한 상태, 즉, 넓게 누운 상태로 상기 이송로울러(80)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상하측에 구비된 이송로울러(80)는 일단에 구비된 기어(82)에 의해 상호 연동되도록 구성되며, 상측의 이송로울러(80)에는 구동모터(81)가 연결되어, 구동모터(81)로 상측의 이송로울러(80)를 구동시키면, 상하측에 구비된 이송로울러(80)가 회전되어, 이송로울러(80)의 사이로 공급된 스트립부재(1)를 후방으로 당긴다.
따라서, 일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2개의 스트립부재(1)를 상기 가열수단(20)과, 지지로울러(30)와, 지지판(40)과, 1차 가압로울러(50)와, 조절수단(60)과, 2차 가압로울러(70) 및 이송로울러(8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배치한 후, 상기 가열수단(20)과 이송로울러(80)를 구동시키면, 상기 가열수단(20)에 의해 가열된 스트립부재(1)가 상기 1차 가압로울러(50)를 통과하면서 상호 가접합되고, 상기 조절수단(60)을 통과하면서 상호 일치되도록 조절된 후, 상기 2차 가압로울러(70)를 통과하여 완전히 접합된 후, 이송로울러(80)의 후측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신발제조용 부재 접합장치는 상면에 2개의 스트립부재(1)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테이블(10)과, 상기 테이블(10)에 구비되어 상기 스트립부재(1)가 폭방향이 상하측을 향하도록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로울러(30)와, 상기 지지로울러(30)의 후방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지지로울러(30)를 통과한 2개의 스트립부재(1)의 양측면을 1차 가압하여 2개의 스트립부재(1)가 상호 가접합되도록 하는 1차 가압로울러(50)와, 상기 1차 가압로울러(50)의 후측에 구비되며 상기 1차 가압로울러(50)를 통과하여 가접합된 2개의 스트립부재(1)의 상면을 가압하여 2개의 스트립부재(1)가 상호 일치되도록 조절하는 조절수단(60)과, 상기 조절수단(60)의 후방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조절수단(60)을 통과한 2개의 스트립부재(1)의 양측면을 2차 가압하여 2개의 스트립부재(1)가 상호 접합되도록 하는 2차 가압로울러(70)와, 상기 2차 가압로울러(70)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2차 가압로울러(70)를 통과한 스트립부재(1)를 후방으로 당기는 이송로울러(80)가 구비되어, 2개의 스트립부재(1)를 상호 접합하는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2개의 스트립부재(1)가 상호 정확히 일치되도록 접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테이블(10)의 전방에는 상측에 상기 스트립부재(1)가 전후방향으로 통과하도록 구성된 가열수단(20)이 구비됨으로, 접착제가 도포된 스트립부재(1)가 상기 가열수단(20)을 통과하면서 가열됨으로, 접착제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로울러(30)의 후방에는 상기 지지로울러(30)에 의해 폭방향이 상하측을 향하도록 지지된 스트립부재(1)의 상면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판(40)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로울러(30)를 통과하여 상기 1차 가압로울러(50)로 공급되는 스트립부재(1)의 높이를 조절하여, 2개의 스트립부재(1)가 일치되게 접합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수단(60)은 상기 1차 가압로울러(50)를 통과한 2개의 스트립부재(1)가 통과하는 가압홈(61a)이 형성된 가압블록(61)과, 상기 가압블록(61)에 연결되어 가압블록(61)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62)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홈(61a)은 상기 가압블록(61)의 하측면에 상측으로 오목하면서 전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압홈(61a)의 높이는 가압홈(61a)을 통과하는 2개의 스트립부재(1)의 상하방향 폭과 동일하거나, 2개의 스트립부재(1)의 상하방향폭에 비해 낮도록 구성되어, 상기 1차 가압로울러(50)를 통과하여 가접합된 2개의 스트립부재(1)가 상호 일치되도록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승강수단(62)은 상기 지지대(62a)의 일측에 구비된 핸들(62e)을 작업자가 수동으로 하측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가압블록(61)을 하강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승강수단(62)은 상기 가압블록(61)이 상승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일정간격으로 상기 가압블록(61)을 하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승강기구(62b)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수단(62f)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상기 가압블록(61)을 승강시키는 솔레노이드장치를 이용하며, 상기 제어수단(62f)은 미리 입력된 타임테이블(10)에 따라, 일정주기로 상기 승강기구(62b)를 제어하여 상기 가압블록(61)을 승강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신발제조용 부재 접합장치는 작업자가 핸들(62e)을 조작하여야 하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자동으로 가압블록(61)이 승강됨으로, 작업이 더욱 용이한 장점이 있다.
10. 테이블 20. 가열수단
30. 지지로울러 40. 지지판
50. 제1 가압로울러 60. 조절수단
70. 2차 가압로울러 80. 이송로울러

Claims (5)

  1. 2개의 스트립부재(1)를 상호 접합하는 것으로,
    상면에 2개의 스트립부재(1)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테이블(10)과,
    상기 테이블(10)에 구비되어 상기 스트립부재(1)가 폭방향이 상하측을 향하도록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로울러(30)와,
    상기 지지로울러(30)의 후방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지지로울러(30)를 통과한 2개의 스트립부재(1)의 양측면을 1차 가압하여 2개의 스트립부재(1)가 상호 가접합되도록 하는 1차 가압로울러(50)와,
    상기 1차 가압로울러(50)의 후측에 구비되며 상기 1차 가압로울러(50)를 통과하여 가접합된 2개의 스트립부재(1)의 상면을 가압하여 2개의 스트립부재(1)가 상호 일치되도록 조절하는 조절수단(60)과,
    상기 조절수단(60)의 후방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조절수단(60)을 통과한 2개의 스트립부재(1)의 양측면을 2차 가압하여 2개의 스트립부재(1)가 상호 접합되도록 하는 2차 가압로울러(70)와,
    상기 2차 가압로울러(70)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2차 가압로울러(70)를 통과한 스트립부재(1)를 후방으로 당기는 이송로울러(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제조용 부재 접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0)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측에 상기 스트립부재(1)가 전후방향으로 통과하도록 구성된 가열수단(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제조용 부재 접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로울러(30)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로울러(30)에 의해 폭방향이 상하측을 향하도록 지지된 스트립부재(1)의 상면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판(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제조용 부재 접합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60)은
    상기 1차 가압로울러(50)를 통과한 2개의 스트립부재(1)가 통과하는 가압홈(61a)이 형성된 가압블록(61)과,
    상기 가압블록(61)에 연결되어 가압블록(61)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62)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홈(61a)은 상기 가압블록(61)의 하측면에 상측으로 오목하면서 전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압홈(61a)의 높이는 가압홈(61a)을 통과하는 2개의 스트립부재(1)의 상하방향 폭과 동일하거나, 2개의 스트립부재(1)의 상하방향폭에 비해 낮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제조용 부재 접합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62)은 상기 가압블록(61)이 상승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일정간격으로 상기 가압블록(61)을 하강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제조용 부재 접합장치.
KR1020170112175A 2017-09-01 2017-09-01 신발제조용 부재 접합장치 KR101826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175A KR101826670B1 (ko) 2017-09-01 2017-09-01 신발제조용 부재 접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175A KR101826670B1 (ko) 2017-09-01 2017-09-01 신발제조용 부재 접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6670B1 true KR101826670B1 (ko) 2018-02-07

Family

ID=61203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2175A KR101826670B1 (ko) 2017-09-01 2017-09-01 신발제조용 부재 접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670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0584A (en) * 1972-04-22 1975-03-11 Agfa Gevaert Ag Automatic double-side adhesive device for bands or webs
KR100423111B1 (ko) * 2001-09-28 2004-03-16 윤종호 합지장치
KR100451968B1 (ko) * 2001-12-15 2004-10-08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스트립 자동부착장치
KR20060094627A (ko) * 2005-02-25 2006-08-30 보라전기공업 주식회사 원단 끝선 가변검출기의 연동장치
KR100852257B1 (ko) * 2008-04-28 2008-08-26 이윤백 다중 원단 접합을 위한 정렬장치 및 그 방법
EP2881255A1 (en) * 2007-02-14 2015-06-10 3A Composites GmbH High bulk laminated board using embossed plies and the method of manufacture
KR101529459B1 (ko) * 2015-03-24 2015-06-17 주식회사 유엠에스 가열 압착을 이용한 스펀지와 가죽 원단의 저온 라미네이팅 접합 방법
KR101678626B1 (ko) * 2015-07-16 2016-11-22 주식회사 대양 원단 접착장치
KR101678629B1 (ko) * 2015-07-16 2016-12-06 안귀현 원단 접착장치 및 그를 사용하여 제조된 블라인드용 원단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0584A (en) * 1972-04-22 1975-03-11 Agfa Gevaert Ag Automatic double-side adhesive device for bands or webs
KR100423111B1 (ko) * 2001-09-28 2004-03-16 윤종호 합지장치
KR100451968B1 (ko) * 2001-12-15 2004-10-08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스트립 자동부착장치
KR20060094627A (ko) * 2005-02-25 2006-08-30 보라전기공업 주식회사 원단 끝선 가변검출기의 연동장치
EP2881255A1 (en) * 2007-02-14 2015-06-10 3A Composites GmbH High bulk laminated board using embossed plies and the method of manufacture
KR100852257B1 (ko) * 2008-04-28 2008-08-26 이윤백 다중 원단 접합을 위한 정렬장치 및 그 방법
KR101529459B1 (ko) * 2015-03-24 2015-06-17 주식회사 유엠에스 가열 압착을 이용한 스펀지와 가죽 원단의 저온 라미네이팅 접합 방법
KR101678626B1 (ko) * 2015-07-16 2016-11-22 주식회사 대양 원단 접착장치
KR101678629B1 (ko) * 2015-07-16 2016-12-06 안귀현 원단 접착장치 및 그를 사용하여 제조된 블라인드용 원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490819A (en) Making laminated lumber
CN108422506B (zh) 一种全自动多拼板纵向拼接装置
KR101826670B1 (ko) 신발제조용 부재 접합장치
KR101956401B1 (ko) 가변형 구동롤러 조립체를 구비한 프로파일 래핑장치
KR101109058B1 (ko) 전기 매트 제조장치
WO2013027279A1 (ja) 表紙貼付機および該表紙貼付機を備えた製本装置
KR20190074582A (ko) 무늬목 배접 장치
DE69906050T2 (de) Klebstoffauftragvorrichtung
CN208197049U (zh) 一种全自动多拼板纵向拼接装置
CN106723670A (zh) 一种压条机的自动切带机构
US3527132A (en) Cutting press having improved means for clamping dies on the beam
KR101483283B1 (ko) 균일 하중 이송수단을 구비한 목재 접합장치
KR101517487B1 (ko) 무늬목 정렬 유닛을 구비한 목재 접합장치
CN211137485U (zh) 无胶带全自动木皮指接机
CN204325706U (zh) 自动对边缝纫机
KR20130057067A (ko) 가구용 패널의 적층 가압장치
US2919732A (en) Device for constructing laminated boards
US3616065A (en) String and glue applicator for veneer
KR20200142898A (ko) 원단용 자동 아일렛 정렬 결합장치
EP3106525A1 (en) Improved linear turning-in/folding machine
CN219422336U (zh) 一种制鞋用压中板机
US2099302A (en) Press for soling shoes
CN206273163U (zh) 鞋垫压合机
JP7167742B2 (ja) コードプライの接合装置及びその接合方法
CN202185957U (zh) 一种手控钉角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