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8517B1 - 리프팅 장치 - Google Patents

리프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8517B1
KR101678517B1 KR1020140156074A KR20140156074A KR101678517B1 KR 101678517 B1 KR101678517 B1 KR 101678517B1 KR 1020140156074 A KR1020140156074 A KR 1020140156074A KR 20140156074 A KR20140156074 A KR 20140156074A KR 101678517 B1 KR101678517 B1 KR 101678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rail
rail member
pipe
clamp
hold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6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6440A (ko
Inventor
주지훈
홍성범
함경덕
신창민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6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517B1/ko
Publication of KR20160056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24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3/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and intended primarily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loose materials; Gr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일정 길이를 가지는 수평레일부재, 상기 수평레일부재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일단을 바닥면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지지하는 수직지지부재, 상기 수평레일부재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타단을 주변 지지체에 고정하여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상하방향으로 지지하는 제1클램프 및 상기 수평레일부재 일측에 위치되며, 리프팅 대상물이 매달려지는 러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리프팅 장치 {lifting device}
본 발명은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 등의 중량물을 이송 및 설치함에 있어서, 기 설치된 구성품에 의하여 이동형 크레인의 설치가 어려운 경우 간이 설치하여 안전하게 중량물을 이송 및 설치할 수 있는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밸브 등의 중량물을 이송 및 설치함에 있어서 대부분의 작업은 이동식 크레인을 이용하여 이송 및 설치작업이 진행된다.
그러나, 기 설치된 구조물 사이에 밸브 등의 중량물 설치되는 경우 등 작업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는 여러 명의 작업자 수작업으로 중량물을 운송 및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중량물을 수작업에 의하여 운송 및 설치하게 되는 경우, 작업자의 안전사고 및 작업 효율 저하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관련 특허 선행문헌으로는 한국 공개특허 제10-2014-0105111호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밸브 등의 중량물을 이송 및 설치함에 있어서 작업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일정 길이를 가지는 수평레일부재, 상기 수평레일부재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일단을 바닥면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지지하는 수직지지부재, 상기 수평레일부재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타단을 주변 지지체에 고정하여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상하방향으로 지지하는 제1클램프 및 상기 수평레일부재 일측에 위치되며, 리프팅 대상물이 매달려지는 러그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레일부재는 일정 단면 및 길이를 가지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러그부는 상기 수평레일부재 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수평레일부재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막대 형상이 길이 방향으로 일정 부분 상호 중첩된 텔레스코픽 형태를 이루며, 수평 방향의 전체 길이를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지지부재는 상기 수평레일부재의 일단을 감싸는 홀딩부, 상기 홀딩부의 하측에 연결되어 하부로 연장되는 수직막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막대부의 하측과 바닥면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수직막대부의 인출길이를 조절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평레일부재의 높이 및 수평을 조절하는 하부서포터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부서포터는 상기 수직막대부의 하측이 상하 방향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홀딩부와 상기 홀딩부를 중심으로 양측 대각선 하방으로 연장되어 바닥면에 지지되는 한 쌍의 사선지지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막대부의 하측에는 복수개의 길이조절홀이 마련되고, 상기 홀딩부 측면에는 핀홀이 마련되며, 상기 핀홀과 상기 길이조절홀에 조절핀을 끼워 상기 수직막대부의 인출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주변지지체는 기 설치된 상하방향의 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클램프는 상기 파이프의 일측 단면을 감싸며 상기 파이프의 표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파이프의 단면을 감싸는 홀딩 브라켓과, 상기 홀딩 브라켓의 양단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홀딩 브라켓 양단부를 상호 고정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홀딩 브라켓은 ㄱ자 형태의 한 쌍의 브라켓 절편이 내부에 상기 파이프가 끼워질 수 있는 사각공간을 마련할 수 있도록 대향 배치되어 각각의 단부가 상호 교차되며, 일측 단부는 상호 힌지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체결부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브라켓 절편의 상기 일측 단부는 연결핀에 의해 상호 힌지 결합되며, 상기 일측 단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 수개의 연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핀의 체결위치에 따라 상기 사각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딩 브라켓은 복 수개의 절편과 상기 절편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체인 형태를 이루며 양 단부에 상기 체결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수평레일부재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주변 지지체의 상기 제1클램프가 연결되는 부분의 상방 또는 하방 일측 사선방향으로 연결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의 상기 주변 지지체에 연결되는 일측은 제2클램프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2클램프는 상기 파이프의 일측 단면을 감싸며 상기 파이프의 표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파이프의 단면을 감싸는 홀딩 브라켓과, 상기 홀딩 브라켓의 양단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홀딩 브라켓 양단부를 상호 고정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협소한 공간에서도 효율적으로 중량체 대상물의 운송 및 설치를 수행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 설치된 파이프 등을 이용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리프팅 장치를 마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클램프는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파이프에 장착될 수 있으며, 수평레일부재는 길이조절이 가능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직지지부재는 높이를 조절하여 효과적으로 수평레일부재의 높이 및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보강부재를 마련하여 파이프에의 고정을 견고하게 하며, 과도한 하중에서도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나아가 수평레일부재의 휨을 구조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에 해당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에 해당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를 나타내는 단면도에 해당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에 있어서, 크램프를 파이프에 장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에 해당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의 수평레일부재와 파이프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에 해당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의 수평레일부재와 파이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발췌도에 해당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링 장치의 텔레스코픽 형태로 이루어진 수평레일부재를 나타내는 개념도에 해당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의 클램프를 나타내는 사시도에 해당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수평레일부재(10)와 상기 수평레일부재(10)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일단을 바닥면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지지하는 수직지지부재(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레일부재(10)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타단을 주변 지지체에 고정하여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상하방향으로 지지하는 제1클램프(30) 및 상기 수평레일부재(10) 일측에 위치되며, 리프팅 대상물이 매달려지는 러그부(11)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레일부재(10)는 일정 단면 및 길이를 가지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며, 상기 러그부(11)는 상기 수평레일부재(10) 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러그부(11)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러그부(11)에 매달려 있는 대상물이 설치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직지지부재(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레일부재(10)의 일단을 감싸는 홀딩부(21), 상기 홀딩부(21)의 하측에 연결되어 하부로 연장되는 수직막대부(2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지지부재(20)는 상기 수직막대부(24)의 하측과 바닥면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수직막대부(24)의 인출길이를 조절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평레일부재(10)의 높이 및 수평을 조절하는 하부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서포터는 상기 수직막대부(24)의 하측이 상하 방향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를 중심으로 양측 대각선 하방으로 연장되어 바닥면에 지지되는 한 쌍의 사선지지부(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막대부(24)의 하측에는 복수개의 길이조절홀이 마련되고, 상기 삽입부 측면에는 핀홀이 마련되며, 상기 핀홀과 상기 길이조절홀에 조절핀을 끼워 상기 수직막대부(24)의 인출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에 끼워진 수직막대부(24)의 인출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수평레일부재(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주변지지체라 함은 클램프를 고정할 수 있는 주변 구조물을 통칭하는 명칭이며, 그 예시로서 기설치된 기둥, 파이프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를 나타내는 단면도에 해당한다.
상기 제1클램프(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의 일측 단면을 감싸며 상기 파이프의 표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파이프의 단면을 감싸는 홀딩 브라켓과, 상기 홀딩 브라켓의 양단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홀딩 브라켓 양단부를 상호 고정하는 체결부(31', 32')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31', 32')에는 장력체결나사가 마련되어 파이프에 직경에 따라 유동적으로 상기 홀딩 브라켓을 파이프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홀딩 브라켓은 ㄱ자 형태의 한 쌍의 브라켓 절편(31, 32)으로 이루어진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 내부에 상기 파이프가 끼워질 수 있는 사각공간을 마련할 수 있도록 대향 배치되어 각각의 단부가 상호 교차되며, 일측 단부는 상호 힌지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체결부(31', 32')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브라켓 절편(31, 32)의 상기 일측 단부는 연결핀(34)에 의해 상호 힌지 결합되며, 상기 일측 단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 수개의 연결홀(34')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핀(34)의 체결위치에 따라 상기 사각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클램프(30)의 체결 방법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브라켓 절편(31, 32) 중 하나의 브라켓 절편(31, 32)은 ㄱ자로 절곡된 모서리에 몸체부(35)가 마련된다. 상기 몸체부(35)는 추후 수평레일부재(10)가 결합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한편, 한 쌍의 브라켓 절편(31, 32) 중 제1절편(31)은 가운데 부분이 길이방향으로 빈 형태를 이루며 나머지 제2절편(32)은 빈 부분에 대응되는 두께로 이루어져 상기 제1절편(31)의 빈 부분에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다만, 제2절편(32)의 일측 단부는 제1절편(31)과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이격공간(37)에 끼워져 빠지지 않도록 형성되며, 상술한 체결부(32')를 형성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절편(31)과 제2절편(32)이 각각 분리된 상태에서 제2절편(32)의 일측 단부를 먼저 제1절편(31)의 이격공간(37)에 끼워넣고, 반대편 타측 단부를 벌려 파이프를 사이에 끼우게 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 수개의 연결홀(34') 중 파이프의 직경에 맞는 적절한 연결홀(34')에 연결핀(34)을 삽입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31', 32')에 장력조절나사(33)를 체결하여 클램프를 파이프에 고정하게 된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35)와 수평레일부재(10)를 체결하고, 제2클램프(50)를 제1클램프(30)와 동일한 방법으로 파이프에 고정하고, 제2클램프(50)에 보강부재(40)의 일단을 연결하고, 보강부재(40)의 타단을 수평레일부재(10)에 연결한다.
한편, 도 7 및 도 8에서는 제2클램프(50)가 제1클램프(30)의 상부에 위치되지만, 제2클램프(50)가 제1클램프(30)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 또한 고려할 수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수직지지부재(20)를 구비하지 않고, 수평레일부재(10), 제1클램프(30), 제2클램프(50) 및 보강부재(40) 만을 구비하여 리프팅 장치를 구성하는 것 또한 고려 가능하다. 비교적 대상물의 중량이 가벼운 경우에는 작업 효율의 측면에서 수직지지부재(20)를 생략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클램프(30)는 주변 지지체에 설치되며, 상기 수평레일부재(10)의 단부를 상기 주변 지지체에 고정하여, 상기 수평레일부재(10)의 단부를 상하방향으로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1클램프(3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제2클램프(50)가 설치되며, 상기 수평레일부재(10)의 일측과 상기 제2클램프(50)를 보장부재(40)를 이용하여 고정되어, 상기 수평레일부재(10)의 일측을 상방 또는 하방의 사선방향으로 지지하게 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레일부재(1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막대 형상이 길이 방향으로 일정 부분 상호 중첩된 텔레스코픽 형태를 이루며, 수평 방향의 전체 길이를 조절 가능한 것을 고려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홀딩 브라켓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 수개의 절편(62)과 상기 절편(6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핀(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체인 형태를 이루며 양 단부에 상기 체결부(64, 65)가 마련된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64, 65)에 장력조절나사(66)가 체결되어 파이프에 고정된다. 여기서 절편(62)은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두께를 가지는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절편의 내측에는 고무패드가 형성되어 파이프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할 것이다. 아울러,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물론, 본 발명에 기존의 공지기술을 단순 주합하거나 본 발명을 단순 변형한 실시 또한, 당연히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0 : 수평레일부재
11 : 러그부
20 : 수직지지부재
21 : 홀딩부
22 : 사선지지부
23 : 받침부
24 : 수직막대부
25 : 삽입부
26 : 하부서포터
30 : 제1클램프
31, 32 : 한 쌍의 브라켓 절편
31 : 제1절편
32 : 제2절편
31', 32' : 체결부
33 : 장력조절나사
34 : 연결핀
34' : 연결홀
35 : 몸체부
36 : 고정핀
37 : 이격공간
40 : 보강부재
50 : 제2클램프
61 : 몸체부
62 : 절편
63 : 연결핀
64, 65 : 체결부
66 : 장력조절나사

Claims (16)

  1. 일정 길이를 가지는 수평레일부재(10);
    상기 수평레일부재(10)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수평레일부재(10)의 일단을 감싸는 홀딩부(21) 및 상기 홀딩부(21)의 하측에 연결되어 하부로 연장되는 수직막대부(24)를 포함하고, 상기 일단을 바닥면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지지하는 수직지지부재(20);
    상기 수직막대부(24)의 하측과 바닥면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수직막대부(24)의 인출길이를 조절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평레일부재(10)의 높이 및 수평을 조절하는 하부서포터;
    상기 수평레일부재(10)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타단을 기 설치된 상하방향의 파이프인 주변 지지체에 고정하여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상하방향으로 지지하는 제1클램프(30); 및
    상기 수평레일부재(10) 일측에 위치되며, 리프팅 대상물이 매달려지는 러그부(11);를 포함하되,
    상기 제1클램프(30)는,
    상기 파이프의 일측 단면을 감싸며 상기 파이프의 표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파이프의 단면을 감싸는 홀딩 브라켓과, 상기 홀딩 브라켓의 양단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홀딩 브라켓 양단부를 상호 고정하는 체결부(31', 32‘, 64, 65)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서포터는,
    상기 수직막대부(24)의 하측이 상하 방향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삽입부(25)와 상기 삽입부(25)를 중심으로 양측 대각선 하방으로 연장되어 바닥면에 지지되는 한 쌍의 사선지지부(22)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막대부(24)의 하측에는 복수개의 길이조절홀이 마련되고, 상기 삽입부(25) 측면에는 핀홀이 마련되며, 상기 핀홀과 상기 길이조절홀에 조절핀을 끼워 상기 수직막대부(24)의 인출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레일부재(10)는 일정 단면 및 길이를 가지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러그부(11)는 상기 수평레일부재(10) 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레일부재(1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막대 형상이 길이 방향으로 일정 부분 상호 중첩된 텔레스코픽 형태를 이루며, 수평 방향의 전체 길이를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브라켓은,
    ㄱ자 형태의 한 쌍의 브라켓 절편(31, 32)이 내부에 상기 파이프가 끼워질 수 있는 사각공간을 마련할 수 있도록 대향 배치되어 각각의 단부가 상호 교차되며,
    일측 단부는 상호 힌지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체결부(31', 32')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브라켓 절편(31, 32)의 상기 일측 단부는 연결핀(34)에 의해 상호 힌지 결합되며,
    상기 일측 단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 수개의 연결홀(34')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핀(34)의 체결위치에 따라 상기 사각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브라켓은,
    복 수개의 절편(62)과 상기 절편(6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핀(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체인 형태를 이루며 양 단부에 상기 체결부(64, 65)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12. 일정 길이를 가지는 수평레일부재(10);
    주변 지지체에 설치되며, 상기 수평레일부재(10)의 단부를 상기 주변 지지체에 고정하여, 상기 수평레일부재(10)의 단부를 상하방향으로 지지하는 제1클램프(30);
    상기 주변 지지체에 설치되되, 상기 제1클램프(3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주변지지체는 기 설치된 상하방향의 파이프이며, 상기 파이프의 일측 단면을 감싸며 상기 파이프의 표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파이프의 단면을 감싸는 홀딩 브라켓과, 상기 홀딩 브라켓의 양단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홀딩 브라켓 양단부를 상호 고정하는 체결부(31', 32‘, 64, 65)를 포함하는 제2클램프(50);
    상기 수평레일부재(10)의 일측과 상기 제2클램프(50)에 고정되어, 상기 수평레일부재(10)의 일측을 사선방향으로 지지하는 보강부재(40);
    상기 수평레일부재(10) 일측에 위치되며, 리프팅 대상물이 매달려지는 러그부(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브라켓은,
    ㄱ자 형태의 한 쌍의 브라켓 절편(31, 32)이 내부에 상기 파이프가 끼워질 수 있는 사각공간을 마련할 수 있도록 대향 배치되어 각각의 단부가 상호 교차되며,
    일측 단부는 힌지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체결부(31', 32')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브라켓 절편(31, 32)의 상기 일측 단부는 연결핀(34)에 의해 상호 힌지 결합되며,
    상기 일측 단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 수개의 연결홀(34')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홀(34')에 체결되는 상기 연결핀(34)의 체결위치에 따라 상기 사각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브라켓은,
    복 수개의 절편(62)과 상기 절편(6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핀(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체인 형태를 이루며 양 단부에 상기 체결부(64, 65)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장치.
KR1020140156074A 2014-11-11 2014-11-11 리프팅 장치 KR101678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074A KR101678517B1 (ko) 2014-11-11 2014-11-11 리프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074A KR101678517B1 (ko) 2014-11-11 2014-11-11 리프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440A KR20160056440A (ko) 2016-05-20
KR101678517B1 true KR101678517B1 (ko) 2016-11-23

Family

ID=56103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6074A KR101678517B1 (ko) 2014-11-11 2014-11-11 리프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85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007A (ko) * 2018-07-03 2020-01-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대빗 보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8382A (ja) * 2001-10-23 2003-05-08 Takenaka Komuten Co Ltd 小型クレーンの固定用クランプ
KR200456006Y1 (ko) * 2011-05-06 2011-10-07 맹수영 거더보강받침부재가 구비된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6082U (ko) * 1981-06-03 1982-12-11
JPH0496485U (ko) * 1991-01-31 1992-08-20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8382A (ja) * 2001-10-23 2003-05-08 Takenaka Komuten Co Ltd 小型クレーンの固定用クランプ
KR200456006Y1 (ko) * 2011-05-06 2011-10-07 맹수영 거더보강받침부재가 구비된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007A (ko) * 2018-07-03 2020-01-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대빗 보강장치
KR102097606B1 (ko) 2018-07-03 2020-04-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대빗 보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440A (ko) 2016-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6863B1 (ko) 갱폼 안전 인양장치용 착탈식 커버
KR200476243Y1 (ko) 타워크레인용 앵커프레임
KR101617441B1 (ko) 거푸집 고정장치
JP2015068037A (ja) アングル鉄塔用の支線取付金具
KR101678517B1 (ko) 리프팅 장치
WO2017161931A1 (zh) 一种无线通讯设备集成安装的结构
CN104790567A (zh) 一种柔性连接系统、外墙板及外墙板安装节点
KR101713634B1 (ko) 내진설계 무대장치
KR101631156B1 (ko) 지중배전용 케이블 지지장치
KR101359247B1 (ko) 파이프 지지장치
JP2017178508A (ja) エレベータ仮設支持装置
JP2012188873A (ja) 養生用シートのクランプ装置
JP3208108U (ja) 仮設シート張設用の支持金具
JP2016508929A (ja) 連結手段
KR100392835B1 (ko) 건축용 낙하추락 겸용 안전 구조체
KR101585230B1 (ko) 케이지 하부의 앙카 고정장치
SE520160C2 (sv) Fördämningsanordning
JP5673134B2 (ja) 昇降装置、揺れ防止治具及び吊り治具
CN111646355A (zh) 一种节段梁用可校正的吊具
JP5751943B2 (ja) 防煙垂壁取り付け装置
JP2011153494A (ja) 天井パネルの施工方法およびパネル固定装置
CN203892712U (zh) 一种多用管道支撑架
CN220506480U (zh) 一种煤矿地质测量专用安全防护架
KR102590335B1 (ko) 배관서포트구조체
CN103953792A (zh) 一种多用管道支撑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