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7378B1 - 도금용액 시료채취 장치 - Google Patents

도금용액 시료채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7378B1
KR101677378B1 KR1020150100873A KR20150100873A KR101677378B1 KR 101677378 B1 KR101677378 B1 KR 101677378B1 KR 1020150100873 A KR1020150100873 A KR 1020150100873A KR 20150100873 A KR20150100873 A KR 20150100873A KR 101677378 B1 KR101677378 B1 KR 101677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moving
plating solution
plating bath
samp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주
한상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100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73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2Dippers; Dredg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F16H19/043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vement in a continuous rotary movement or vice versa, e.g. by opposite racks engaging intermittently for a part of the stro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31Sampling from special pla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도금욕조 내의 도금용액의 성분분석을 위한 시료채취 장치에 있어서, 도금욕조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된 수평바; 수평바 상에 배치되어 수평바를 따라 이동하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며 수평바 상에서 수직이동하는 수직바를 포함하는 제1이동유닛; 수직바 하부에 연결되어 제1이동유닛과 함께 이동하고 상면이 개방되어 도금욕조 내의 도금용액을 채취하는 샘플채취기; 수직바의 관통홀로 인입되며 수직바 내부에서 독립적으로 수직이동하는 이동축을 포함하는 제2이동유닛; 및 이동축 하부에 연결되어 샘플채취기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도금용액 시료채취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도금용액 시료채취 장치 {APPARATUS FOR SAMPLING FROM PLATINGSOLUTION}
본 발명은 도금욕조 내의 도금용액의 성분분석을 위한 시료채취 장치에 있어서, 도금욕조 상에 마련된 수평축 및 수직축으로 인해 샘플채취기의 자유로운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으로 원하는 부분의 채취가 가능하고, 샘플채취기의 커버부가 연결되며 수직축 내부에 형성된 축으로 인해 샘플채취기의 상면을 개폐함으로써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도금용액 시료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CGL(용융아연 도금 라인)에서의 작업공정은 압연된 코일을 연속으로 공급하여 일정한 온도로 열처리 작업한 다음, 용융아연이 담긴 도금욕조를 통과시켜 코일을 도금하는 작업이다. 도금욕조에 담긴 용융아연과 같은 도금용액의 정확한 성분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도금욕조의 위치별로 작업자가 샘플을 채취하여 응고시킨 다음 도금용액의 성분을 분석하여 데이터화 한다.
코일을 도금함에 있어서 도금욕조에 담긴 도금용액의 성분에 따라 생산되는 제품에 영향을 미치므로 도금용액의 정확한 데이터산출이 요구되는데 기존 도금용액 시료채취 방법은 작업자가 지그를 이용하여 일정부분의 시료를 직접채취하는 등의 방식이 이용되었다.
이때 도금용액 상부에 부유하는 이물질 등이 지그 내로 유입되어 정확한 데이터 산출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으며 또한 작업자가 직접 수행하기에 안전사고 등이 뒤따르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채취된 시료 내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뿐더러 작업자의 안전까지 고려된 도금용액 시료채취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2-0037285 A
본 발명은 도금욕조 상에 마련된 수평축 및 수직축으로 인해 샘플채취기의 자유로운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으로 원하는 부분의 채취가 가능하고, 샘플채취기의 커버부가 연결되며 수직축 내부에 형성된 축으로 인해 샘플채취기의 상면을 개폐함으로써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도금용액 시료채취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금용액 시료채취 장치는 도금욕조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된 수평바; 수평바 상에 배치되어 수평바를 따라 수평이동하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며 수평바 상에서 수직이동하는 수직바를 포함하는 제1이동유닛; 수직바 하부에 연결되어 제1이동유닛과 함께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하고 상면이 개방되어 도금욕조 내의 도금용액을 채취하는 샘플채취기; 제1이동유닛과 함께 수직이동하되, 관통홀로 인입되며 수직바 내부에서 제1이동유닛과 별개로 수직이동하는 이동축을 포함하는 제2이동유닛; 이동축 하부에 연결되어 제2이동유닛의 수직이동에 따라 샘플채취기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수평바의 양단에는 하방으로 도금욕조의 높이 보다 길게 연장된 지지대와 연결될 수 있다.
수평바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레일이 마련되며, 제1이동유닛은 하면에 레일과 맞물려 움직이는 구동기어가 형성되어 레일 상에서 도금욕조를 가로지르도록 이동하는 이동블록; 및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직바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1이동유닛은 일 측은 이동블록에 고정되며 측면으로 연장된 타 측은 상하가 개방된 형상으로 수직바를 수직으로 지지하며 내부에는 함입부가 형성되고 함입부에 수직바의 나사산과 맞물려 움직이는 웜기어가 마련된 수직바홀더; 및 웜기어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직바는 나사산이 형성된 상부의 제1바와 샘플채취기가 연결된 하부의 제2바로 구성되고 이동축은 제1바 및 제2바를 관통하며, 제2모터에 의한 제1바의 회전시에 제2바가 회전되지 않도록 제1바와 제2바의 연결부위에서 제1바가 자유회전 할 수 있다.
수직바 하부의 측면에는 측부방향으로 연장된 컵홀더가 형성되고, 샘플채취기는 컵홀더를 매개로 수직바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2이동유닛은 수직바 내부를 관통하고 이동축의 단부와 연결된 와이어;
수직바 상부에 위치하고 와이어가 감겨 있는 와이어드럼; 및 와이어드럼을 회전시켜 와이어가 감기고 풀리는 감김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바의 측부에는 개공부가 형성되고, 이동축에는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연장된 돌기가 개공부를 관통하여 돌기 단부에 커버부가 연결되되, 개공부는 샘플채취기가 연결된 위치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 일 측에는 가열기가 형성되어 도금용액의 온도를 유지하고 샘플채취기 표면에 묻은 도금용액이 응고됨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도금용액 시료채취 장치에 따르면, 샘플채취기를 수평, 수직이동시키는 제1이동유닛과 샘플채취기의 커버부를 개별적으로 수직이동시키는 제2이동유닛을 따로 마련하여 도금용액 내부에서 샘플채취기의 개폐를 원활히 하게 하여 도금용액 표면 등에 존재하는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어 채취한 시료의 정밀한 채취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이동유닛의 수직이동 축에서 별개로 제2이동유닛의 수직이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커버부를 샘플채취기 상부까지 따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어 장비가 단순화되고 이에 따라 장치의 고장이 적어진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금용액 시료채취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이동유닛과 제2이동유닛의 단면도 및 작동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3은 수직바홀더 내부의 함입부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도금욕조(10) 내의 도금용액(20)의 성분분석을 위한 시료채취 장치는 도금욕조(10)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된 수평바(100), 수평바(100) 상에 배치되어 수평바(100)를 따라 수평이동하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며 수평바(100) 상에서 수직이동하는 수직바(210)를 포함하는 제1이동유닛(200), 수직바(210) 하부에 연결되어 제1이동유닛(200)과 함께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하고 상면이 개방되어 도금욕조(10) 내의 도금용액(20)을 채취하는 샘플채취기(300), 제1이동유닛(200)과 함께 수직이동하되, 관통홀로 인입되며 수직바(210) 내부에서 제1이동유닛(200)과 별개로 수직이동하는 이동축(410)을 포함하는 제2이동유닛(400) 및, 이동축(410) 하부에 연결되어 제2이동유닛(400)의 수직이동에 따라 샘플채취기(300)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커버부(500);를 포함한다.
도금욕조(10)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된 수평바(100)는 도금욕조(10) 상에 위치하여 수평바(100) 상에 형성된 객체가 도금욕조(10) 상부를 수평으로 가로지르게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구성요소로써 동시에 수평이동의 축 기능을 한다.
제1이동유닛(200)은 수평바(100) 위에 형성된 객체로서 수평바(100) 상에서 수평이동이 가능하며 수직이동하는 수직바(210)를 포함하여 수직바(210)를 이동 축으로 하는 수직이동이 가능하다. 이로써 제1이동유닛(200)은 수평바(100) 및 수직바(210)를 각각 수평축, 수직축으로 하여 도금욕조(10) 내의 원하는 부분으로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수직바(210) 내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샘플채취기(300)는 수직바(210)의 하부에 연결되어 제1이동유닛(200)의 이동에 따라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컵 형상의 상면이 개방된 샘플채취기(300)의 장착으로 도금욕조(10) 내의 도금용액(20)의 시료채취가 가능한데, 임의적, 선택적으로 도금욕조(10) 내의 도금용액(20)을 채취했던 기존기술들과는 달리 샘플채취기(300)와 연결된 제1이동유닛(200)의 자유로운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으로 인해 원하는 특정부위의 도금용액(20)을 채취하여, 보다 정확한 시료분석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이동유닛(200)과 함께 수직이동하되, 수직바(210) 내부의 관통홀로 인입되며 수직바(210) 내부에서 제1이동유닛(200)과 별개로 수직이동하는 이동축(410)을 포함하는 제2이동유닛(400)의 존재로 인해 이동축(410)을 수직층으로 하는 별도의 수직이동이 추가로 가능하게 설계되었다.
이는 이동축(410) 하부에 연결된 커버부(500)를 통하여 그 의미가 더해지는데 커버부(500)가 수직바(210) 하부에 연결된 샘플채취기(300)의 상부에 위치하여 이동축(410)을 축으로하여 수직이동이 됨으로써 커버부(500)의 상면을 열고 닫는 기능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샘플채취기(300)는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이 가능하여 도금욕조(10) 상에서 원하는 부분의 도금용액(20) 채취가 가능하고 제2이동유닛(400)의 존재로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을 같이하되, 이와는 별개로 수직이동을 행할 수 있다.
제2이동유닛(400)의 구성요소인 이동축(410) 하부에 커버부(500)가 구비되어 샘플채취기(300)의 폐쇄가 가능해지는데 만약 샘플채취기(300)의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도금욕조(10) 내의 도금용액(20) 내로 들어가는 경우 샘플채취기(300) 내부에 도금용액(20)은 물론 도금용액(20) 표면에 부유하는 이물질이 같이 유입될 수 있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 채취하여 분석하고자 했던 시료의 정밀한 분석이 힘들어지기 때문에 발명의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서 이와 같은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커버부(500)의 존재는 필수적인 것이다.
커버부(500)는 일단 샘플채취기(300)의 상면을 폐쇄한 상태로 제1이동유닛(200)과 함께 수직이동되어 도금용액(20) 내로 들어간다. 이후 제2이동유닛(400)의 작동으로 도금용액(20) 내에서 커버부(500)가 상승하여 샘플채취기(300)의 상면을 개방하고 개방된 상면을 통해 샘플채취기(300) 내부로 도금용액(20)이 유입된다. 이때 도금욕조(10) 내에서 도금용액(20)의 유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도금욕조(10) 표면에 부유하는 이물질이 같이 유입될 확률은 극히 줄어들게 된다. 이뿐만 아니라 제1이동유닛(200)의 수직이동 조절로써 도금욕조(10) 저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의 샘플채취기(300) 내부로의 유입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도금욕조(10) 내부에서 시료의 채취가 완료되었으면 다시 제2이동유닛(400)의 작동으로 도금욕조(10) 내에서 커버부(500)로 샘플채취기(300)의 상면을 폐쇄한 채 제1이동유닛(200)의 수직이동으로 도금욕조(10) 외부로 빠져나온다. 이러한 이유는 시료채취 후 샘플채취기(300)의 상면을 개방한 채 올라오는 과정에서 도금용액(20) 표면의 이물질이 샘플채취기(300)의 내부로 유입될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제1이동유닛(200)의 수직바(210) 내부의 관통홀에 제2이동유닛(400)의 이동축(410)이 인입됨으로써 제1 및 제2이동유닛(400)이 동일한 수직축을 가지면서 별도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설계됨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동일 축 상에서 샘플채취기(300)와 커버부(500)가 수직이동하므로 커버부(500)의 샘플채취기(300) 상면의 개폐가 더욱 견고하게 수행이 된다. 만약 다른 별개의 축에서 커버부(500)의 작동이 일어나는 경우 개폐가 확실히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커버부(500)의 존재가 유명무실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제1이동유닛(200)에 의해 커버부(500)도 동시에 이동 후 이동이 마쳐진 다음 샘플채취기(300) 상에서 수직이동이 가능함으로써 커버부(500)의 샘플채취기(300) 상부까지의 별도의 이동이 필요가 없게 되어 설비의 구조가 간단해지면서 그만큼 고장의 위험이 덜어진다는 장점도 갖게 된다.
그리고 도금용액(20) 내에서 별도의 수직이동으로 개폐가 가능해짐으로써 이물질의 유입을 철저히 방지할 수 있다는, 커버부(500) 본연의 기능을 완벽히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 도금용액(20)은 용융아연일 수 있는데 도금공정에서 강판을 도금욕 내의 용융아연으로 통과시킬 때 강판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미세한 철분이 도금욕조(10) 내의 알루미늄과 반응하여 강판의 표면과 용융아연 사이에 계면 억제층을 형성시킨다. 이러한 억제층의 두께에 따라 아연과 철의 합금화 정도가 결정된다.
반면, 알루미늄과 반응하지 못한 철분은 용융아연과 반응하여 화합물을 형성하는데 이렇게 형성된 화합물이 용융아연 표면에 부유하거나 도금욕조(10) 바닥에 가라앉게 된다. 이를 드로스(dross)라 하는데 이러한 드로스가 샘플채취기(300) 내부에 유입되는 경우 시료의 분석시 용융아연 내의 알루미늄 농도 등이 정확하게 측정되지 않는 형상이 벌어진다. 이에 커버부(500)를 두어 드로스와 같은 이물질이 시료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 도금용액 시료채취 장치에서 샘플채취기(300) 및 커버부(500)는 상하로 복수 개 마련되어 도금욕조(10) 내에서 동시에 여러 부분의 시료채취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금용액 시료채취 장치의 핵심이 되는 기술적 사상은 종래의 기술들과는 달리 샘플채취기(300)와 커버부(500)의 유기적 작동에 중요성을 두어 도금욕조(10) 내의 도금용액(20) 내에서 커버부(500)의 작동이 복잡하지 않되, 원활히 이루어짐을 달성하여 이물질이 샘플채취기(300) 내부로 유입됨을 방지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고 정확한 시료의 분석이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금용액 시료채취 장치에서 수평바(100)의 양단에는 하방으로 도금욕조(10)의 높이 보다 길게 연장된 지지대(110)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수평이동의 축이되는 수평바(100)가 도금욕조(10)의 상부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수평바(100)의 양단에 지지대(110)가 각각 설치되어 수평바(100)가 도금욕조(10)를 가로지르도록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 도금욕조(10)의 부피가 커서 시료채취기의 수평축이 추가될 필요가 있는 경우 양측 지지대(110)의 상면에 레일(120)을 마련하고 수평측 양단의 하면에는 지지대(110)의 레일(120)과 맞물려 움직일 수 있는 기어를 마련하여 이를 모터로 작동시켜 도금욕조(10) 상부에서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수평이동 할 수 있게끔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금용액 시료채취 장치에서 수평바(100)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레일(120)이 마련되며 제1이동유닛(200)은 하면에 레일(120)과 맞물려 움직이는 구동기어(221)가 형성되어 레일(120) 상에서 도금욕조(10)를 가로지르도록 이동하는 이동블록(220) 및 구동기어(221)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2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수평바(100) 위에서 수평이동하는 이동블록(220)를 마련하고 이동블록(220)의 하면에는 구동기어(221)가 형성되어 있어 수평바(100) 상면에 마련된 레일(120)을 이동하는 경우 더욱 안정적으로 수평바(100) 위를 수평이동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동블록(220)의 존재로써 수직바(210), 샘플채취기(300) 및 커버부(500) 등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동블록(220)의 하면에 구비된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제1모터(222)를 두어 수동이 아닌 전동으로 수평이동시킴으로써 정확하고 안전한 장치구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금용액 시료채취 장치에서 수직바(21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211)이 형성되고 제1이동유닛(200)은 일 측은 이동블록(220)에 고정되며 측면으로 연장된 타 측은 상하가 개방된 형상으로 수직바(210)를 수직으로 지지하며 내부에는 함입부가 형성되고 함입부에 수직바(210)의 나사산(211)과 맞물려 움직이는 웜기어(231)가 마련된 수직바홀더(230) 및 웜기어(231)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23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동블록(220)에는 수직바(210)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수직바홀더(230)가 형성되는데 수직바홀더(230)는 이동블록(220)에 고정된다. 수직바(210)에는 나사산(211)이 형성되며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수직바(210)와 수직바홀더(230)의 연결부위에는 수직바홀더(230) 측에 고정된 웜기어(231)가 수직바(210)의 나사산(211)과 맞물려 움직임으로써 수직바(210)를 수직으로 이동시키고 웜기어(231)는 수직바(210) 및 이에 연결되는 구성요소와 샘플채취기(300)에 담기는 도금용액(20)의 무게에 따른 중력 이상의 힘에 의해서 작동을 하게끔 설정하여 추가적인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한 수직바(2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웜기어(231)를 구동시키는 제2모터(232)를 마련함으로써 수동이 아닌 전동으로 수직이동시켜 정확하고 안전한 장치구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금용액(20) 시료채취 장치의 수직바(210)는 나사산(211)이 형성된 상부의 제1바(212)와 샘플채취기(300)가 연결된 하부의 제2바(213)로 구성되고 이동축(410)은 제1바(212) 및 제2바(213)를 관통하며, 제2모터(232)에 의한 제1바(212)의 회전시에 제2바(213)가 회전되지 않도록 제1바(212)와 제2바(213)의 연결부위에서 제1바(212)가 자유회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수직바(210)를 제1바(212) 및 제2바(213), 두 부분으로 구성하여 나사산(211)에 맞물리는 웜기어(231)의 작동으로 인한 수직바(210)의 회전에 샘플채취기(300) 및 커버부(500)가 달린 이동축(410)은 영향을 받지 않게 함으로써 제1이동유닛(200)의 수직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제2바(213)가 회전하지 않음에도 제1바(212)가 회전하는 것을 자유회전으로 정의한다.
수직바(210)의 수직이동에 따른 수직바(210)의 회전에 샘플채취기(300) 및 커버부(500)가 영향을 받게 되는 경우 샘플채취기(300)에 채취한 시료의 보전이 어려울 수 있을뿐더러 이 과정에서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는바 목표로 하는 시료의 정확한 분석이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에 샘플채취기(300) 및 커버부(500)는 수직바(210)의 회전에 영향을 받지 말아야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나사산(211)이 형성된 제1바(212)의 하단부에는 제1바(212) 상부의 단면적보다 큰 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연결부가 형성이 되고 제2바(213)의 상단부는 제1바(212)의 연결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연결부의 상면에 제2바(213)의 하중이 지탱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구조로 제1바(212)가 제2바(213)를 지지함과 동시에 제1바(212)만 자유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게다가, 제1바(212) 및 제2바(213)를 관통하는 홀이 존재하고 관통홀에 이동축(410)이 인입되는 경우 이동축(410)도 제1바(212)의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제2바(213) 및 이동축(410)은 그대로 인채 제1바(212)의 자유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금용액 시료채취 장치에서 수직바(210) 하부의 측면에는 측부방향으로 연장된 컵홀더(214)가 형성되고, 샘플채취기(300)는 컵홀더(214)를 매개로 수직바(21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수직바(210) 하부의 측면에는 컵 형상의 샘플채취기(300)를 지지하며 샘플채취기(300)와 분리가 가능한 컵홀더(214)가 형성된다. 샘플채취기(300)를 통해 채취한 시료는 분석을 위해 별도로 이동이 되도록 설계될 필요가 존재하는데 이러한 이유로 분리가 가능하며 부착시 샘플채취기(300)가 안정적으로 시료를 채취할 수 있도록 형성된 컵홀더(214)가 필요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금용액 시료채취 장치에서 제2이동유닛(400)은 수직바(210) 내부를 관통하고 이동축(410)의 단부와 연결된 와이어(420) 수직바(210) 상부에 위치하고 와이어(420)가 감겨 있는 와이어드럼(430) 및 와이어드럼(430)을 회전시켜 와이어(420)가 감기고 풀리는 감김모터(4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수직바(210)의 관통홀을 와이어(420)가 관통하고 와이어(420)의 일 단이 이동축(410)과 연결되고 타 단이 와이어드럼(430)과 연결되어 와이어드럼(430)에 감겨 있는 경우 와이어드럼(430)의 와이어(420)를 풀고 감음으로써 수직바(210) 내부에서 이동축(410)의 별도의 수직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동축(410)의 하부에는 샘플채취기(300) 상면을 개폐하는 커버부(500)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동축(410)이 와이어드럼(430)의 회전함에 따라 커버부(500)가 샘플채취기(300)의 상면을 열었다가 닫았다가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와이어드럼(430)을 회전시키는 감김모터(440)를 마련함으로써 이동축(410)을 수동이 아닌 전동으로 수직이동시켜 정확하고 안전한 장치구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금용액 시료채취 장치에서 수직바(210)의 측부에는 개공부(215)가 형성되고, 이동축(410)에는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연장된 돌기(411)가 개공부(215)를 관통하여 돌기(411) 단부에 커버부(500)가 연결되되, 개공부(215)는 샘플채취기(300)가 연결된 위치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동축(410)과 연결된 커버부(500)가 수직바(210) 외부로 나와 샘플채취기(300)의 상면을 개폐할 수 있기 위해서 수직바(210) 측부에 개공부(215)가 형성이 되어 개공부(215)를 통해 이동축(410) 단부에 형성된 돌기(411)가 수직바(210) 외부로 연장되어 나와 커버부(500)와 연결된다.
이동축(410)이 수직으로 이동함에 따라 커버부(500)도 수직이동 하게 되는데 개공부(215)가 형성된 위치가 샘플채취기(300)가 수직바(210)에 연결된 위치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어 개공부(215) 내에서 움직이는 돌기(411)가 밑으로 내려가면 커버부(500)가 샘플채취기(300)의 상면을 폐쇄하고 돌기(411)가 위로 올라가면 샘플채취기(300)의 상면이 개방된 구조가 된다.
수직바(210)에 형성된 개공부(215) 및 이동축(410)에 형성된 돌기(411)로 인해 샘플채취기(300)의 상부에서 커버부(500)의 이동이 자유로워 원활한 개폐가 일어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금용액 시료채취 장치의 지지대(110) 일 측에는 가열기(130)가 형성되어 도금용액(20)의 온도를 유지하고 샘플채취기(300) 표면에 묻은 도금용액(20)이 응고됨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지지대(110) 일 측에 가열기(130)가 마련됨으로써 도금용액(20)이 용융된 상태로 존재하도록 도금용액(20)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샘플채취기(300)의 표면에 묻은 도금용액(20)이 응고되어 커버부(500)와의 분리가 일어나지 않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표면의 도금용액(20)을 제거하기가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P : 도금판 10 : 도금욕조
20 : 도금용액 100 : 수평바
200 : 제1이동유닛 210 : 수직바
220 : 이동블록 300 : 샘플채취기
400 : 제2이동유닛 410 : 이동축
420 : 와이어 500 : 커버부

Claims (9)

  1. 도금욕조 내의 도금용액의 성분분석을 위한 시료채취 장치에 있어서,
    도금욕조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며,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레일이 마련된 수평바;
    하면에 레일과 맞물려 움직이는 구동기어가 형성되어 레일 상에서 도금욕조를 가로지르도록 이동하는 이동블록;
    일 측은 이동블록에 고정되고, 측면으로 연장된 타 측은 상하가 개방되며, 내부에는 웜기어가 마련된 바홀더;
    바홀더의 개방된 타 측에 삽입되어 웜기어와 맞물려 움직이도록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플렌지 형태의 연결부가 형성된 제1바;
    연결부를 감싸도록 제1바와 연결되어 제1바 상에서 자유회전 가능한 제2바;
    제2바에 연결되어 제1바 및 제2바와 함께 이동하며, 상면이 개방되어 도금욕조 내의 도금용액을 채취하는 샘플채취기;
    제1바와 제2바 내부를 동시에 관통하는 관통홀로 인입되고, 관통홀 내부에서 독립적으로 수직이동하는 이동축; 및
    이동축 하부에 연결되어 샘플채취기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도금용액 시료채취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수평바의 양단에는 하방으로 도금욕조의 높이 보다 길게 연장된 지지대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액 시료채취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액 시료채취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웜기어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액 시료채취 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바의 측면에는 측방으로 연장된 컵홀더가 형성되고, 샘플채취기는 컵홀더를 매개로 제2바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액 시료채취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관통홀을 관통하고 이동축의 단부와 연결된 와이어;
    제1바 상부에 위치하고 와이어가 감겨 있는 와이어드럼; 및
    와이어드럼을 회전시켜 와이어가 감기고 풀리는 감김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액 시료채취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바의 측부에는 개공부가 형성되고,
    이동축에는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연장된 돌기가 개공부를 관통하여 돌기 단부에 커버부가 연결되되,
    개공부는 샘플채취기가 연결된 위치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액 시료채취 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지지대 일 측에는 가열기가 형성되어 도금용액의 온도를 유지하고 샘플채취기 표면에 묻은 도금용액이 응고됨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액 시료채취 장치.
KR1020150100873A 2015-07-16 2015-07-16 도금용액 시료채취 장치 KR101677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873A KR101677378B1 (ko) 2015-07-16 2015-07-16 도금용액 시료채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873A KR101677378B1 (ko) 2015-07-16 2015-07-16 도금용액 시료채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7378B1 true KR101677378B1 (ko) 2016-11-18

Family

ID=57537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873A KR101677378B1 (ko) 2015-07-16 2015-07-16 도금용액 시료채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73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0242A (ko) 2018-08-16 2020-02-26 티피에스 주식회사 소결광 시료 자동 채취장치
WO2022172151A1 (en) * 2021-02-09 2022-08-18 Agilent Technologies, Inc. Horizontally adjustable sample taker for dissolution apparatu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5823A (ja) * 1998-08-20 2000-03-03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非鉄金属製錬シャフト用縦型水冷サンプリング装置
KR100682792B1 (ko) * 2005-09-26 2007-02-15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생산 라인의 도금액 자동 채취 장치
KR20120022080A (ko) * 2010-07-29 2012-03-12 현대제철 주식회사 용강 자동 샘플링 장치
KR20120037285A (ko) 2010-10-11 2012-04-19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욕 내 알루미늄 농도 측정용 시료 추출 장치
KR20140017723A (ko) * 2012-07-31 2014-02-12 현대제철 주식회사 용강 샘플링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5823A (ja) * 1998-08-20 2000-03-03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非鉄金属製錬シャフト用縦型水冷サンプリング装置
KR100682792B1 (ko) * 2005-09-26 2007-02-15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생산 라인의 도금액 자동 채취 장치
KR20120022080A (ko) * 2010-07-29 2012-03-12 현대제철 주식회사 용강 자동 샘플링 장치
KR20120037285A (ko) 2010-10-11 2012-04-19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욕 내 알루미늄 농도 측정용 시료 추출 장치
KR20140017723A (ko) * 2012-07-31 2014-02-12 현대제철 주식회사 용강 샘플링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0242A (ko) 2018-08-16 2020-02-26 티피에스 주식회사 소결광 시료 자동 채취장치
WO2022172151A1 (en) * 2021-02-09 2022-08-18 Agilent Technologies, Inc. Horizontally adjustable sample taker for dissolution apparatus
GB2603534B (en) * 2021-02-09 2023-08-16 Agilent Technologies Inc Horizontally adjustable sample taker for dissolution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7378B1 (ko) 도금용액 시료채취 장치
CN109842061A (zh) 一种废旧电缆自动剥皮回收装置
KR101482319B1 (ko) 도금욕조의 탕면 이물질 제거장치
KR101300445B1 (ko) 토양의 중금속분석을 위한 자동 일체형 전처리장치
CN112746308B (zh) 一种挂镀镀锌生产设备及工艺
CN211374167U (zh) 连续式不同深度钢水取样器
JP5690205B2 (ja) 短いスライド可能なモールドを備えるエレクトロスラグ再溶解装置のスラグのレベルを連続的に検出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100591277B1 (ko) 제철소에 구비되는 아연도금욕조의 침전이물질 제거장치
KR200331042Y1 (ko) 용강시료 채취장치
CN207623160U (zh) 一种层门测试架
CN208775776U (zh) 一种采样装置
CN203045036U (zh) 型材切割锯床
CN113830682B (zh) 一种起吊电极板用起重机及电极板起吊方法
KR101235945B1 (ko) 슬래그의 두께 측정 장치
KR101388070B1 (ko) 용강 샘플링 장치
CN209035641U (zh) 一种高性能攻牙机
KR20110071733A (ko) 출강구 폐쇄기 투입장치
KR101179681B1 (ko) 도금욕 내 알루미늄 농도 측정용 시료 추출 장치
CN111822692A (zh) 一种铝熔炼加工撇渣方法
CN216695859U (zh) 一种石膏粉刷工程粘结拉伸强度测试用粘结拉伸试验机
CN217677729U (zh) 搅拌式保证高均匀镀锌的热镀锌槽
CN220583835U (zh) 一种天然水采集装置
CN218823352U (zh) 一种便于调节的采样设备
RU166581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исследования модифицирующей способности лигатур
CN220772678U (zh) 一种深度分段式水质检测取样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