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6222B1 -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6222B1
KR101676222B1 KR1020160031365A KR20160031365A KR101676222B1 KR 101676222 B1 KR101676222 B1 KR 101676222B1 KR 1020160031365 A KR1020160031365 A KR 1020160031365A KR 20160031365 A KR20160031365 A KR 20160031365A KR 101676222 B1 KR101676222 B1 KR 101676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module
protrusion
contact portion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1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호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60031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62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28Roofing element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0Self-supporting slabs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floors ceilings, or roofs, e.g. able to be load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02Grooved or vaulted roof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은, 단열재로 성형된 수키와부 및 암키와부가 모듈화된 기와 모듈이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연결되어 건축물의 지붕을 커버하는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에 있어서, 상기 지붕과 접촉되는 제1 접촉부, 상기 제1 접촉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폭 방향으로 오목하게 굴곡지며, 일측이 상기 제1 접촉부로부터 돌출되어 하면이 외부로 노출된 제1 암돌출부를 구비하는 제1 암키와부 및 상기 제1 접촉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폭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지며, 일측이 상기 제1 접촉부로부터 돌출되어 하면이 외부로 노출된 제1 수돌출부 및 타측이 상기 제1 수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되는 제1 수함입부를 구비하는 제1 수키와부를 구비하는 제1 기와 모듈 및 상기 지붕과 접촉되며,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길이 방향 상측으로 연결되는 제2 접촉부, 상기 제2 접촉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폭 방향으로 오목하게 굴곡지며, 일측 하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2 접촉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암키와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2 암돌출부를 구비하는 제2 암키와부 및 상기 제2 접촉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폭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지며, 일측 하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2 접촉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수함입부에 안착되는 제2 수돌출부 및 타측이 상기 제2 수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되는 제2 수함입부를 구비하는 제2 수키와부를 구비하는 제2 기와 모듈 및 상기 지붕과 접촉되며,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길이 방향 하측으로 연결되는 제3 접촉부, 상기 제3 접촉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폭 방향으로 오목하게 굴곡지며, 일측이 상기 제3 접촉부로부터 돌출되어 하면이 외부로 노출된 제3 암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암돌출부가 안착되는 제3 암키와부 및 상기 제3 접촉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폭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지며, 일측이 상기 제3 접촉부로부터 돌출되어 하면이 외부로 노출된 제3 수돌출부 및 타측이 상기 제1 수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되어 상기 제1 수돌출부가 안착되는 제3 수함입부를 구비하는 제3 수키와부를 구비하는 제3 기와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키와부는, 상기 제2 수돌출부가 상기 제1 수함입부에 안착되는 경우, 상면이 상기 제2 수키와부의 상면과 동일 굴곡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암키와부는, 상기 제2 암돌출부가 안착되는 경우 상기 제2 암키와부와 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암돌출부는, 상기 제2 암돌출부가 안착되는 경우, 상면이 상기 제2 암돌출부의 상면과 동일한 굴곡면에 위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 및 그 시공방법{A Korean type tile module equipped Insulating material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수키와 및 암키와가 모듈화된 기와 모듈을 서로 연결하여 건축물의 지붕을 커버하는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와는 가옥의 지붕을 덮는 옥개용의 건축부재를 일컫는 것으로 과거에는 양질의 점토를 재료로 모골(模骨) 및 와범(瓦範) 등의 제작틀을 사용하여 일정한 모양으로 만든 다음, 가마에서 높은 온도로 구워서 제작한다. 원래 목조건물의 지붕에는 이엉이나 볏짚, 그리고 나무껍질 같은 식물성 부재를 사용하였는데, 내구력이 약하여 자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방수효과나 강도가 높은 반영구적인 점토소성품(粘土燒成品)인 기와가 출현하게 되었다.
이러한 기와는 지붕에 씌워 눈과 빗물의 침수를 차단하고 이를 흘러내리게 하여 지붕 재목의 부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건물의 경관과 치장을 위하여 사용된다.
기와 지붕은 기본적으로 용마루, 내림마루, 추녀마루, 그리고 처마로 구성되어 있다. 지붕은 먼저 수키와(圓瓦, 夫瓦)와 암키와(平瓦, 女瓦)로 이어 덮게 되는데, 대부분의 수키와와 암키와는 원통형의 목제 모골의 외측에 마포나 무명 등의 포목을 감고 양질의 진흙을 다진 점토판(粘土板)을 씌워 고판(叩板)으로 두들겨 얼마 동안의 건조기간을 거친 다음에 와도(瓦刀)로 2분하거나 3분 또는 4분하여 제작한다.
종래의 기와를 개량하여 제작상의 공정을 간단하게 하고, 작업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기술은 등록특허(제10-0715215호)에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암키와와 수키와의 기능을 갖는 일체형 기와를 이용하여 지붕을 커버하는 일체형 기와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일체형 기와는 각각의 일체형 기와를 가로 및 세로 연결하는 경우, 서로간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가 미약하여 건축물의 지붕에 시공되었을 때, 강풍 등에 의해 기와가 탈락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토기와의 경우 1장단 무게가 암키와 3.5kg, 숫키와 2.5kg 이상으로 구조적으로 부담이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개량 한식기와(금속기와, 플라스틱 기와)는 기와 자체의 무게는 줄었으나, 처마선 표현을 위해 베개목(나무상)과 개판이 같이 설치되어야 하므로 기와 자체의 단열 성능이 부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발포단열재를 주재료로 사용하여 단열 성능이 우수하며, 무게가 가벼워 건축물의 지붕에 설치되었을 때, 지붕이 침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암키와 및 수키와가 모듈화된 기와 모듈이 각각 연결되었을 때 서로간의 결합력이 향상된 기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은, 단열재로 성형된 수키와부 및 암키와부가 모듈화된 기와 모듈이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연결되어 건축물의 지붕을 커버하는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에 있어서, 상기 지붕과 접촉되는 제1 접촉부, 상기 제1 접촉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폭 방향으로 오목하게 굴곡지며, 일측이 상기 제1 접촉부로부터 돌출되어 하면이 외부로 노출된 제1 암돌출부를 구비하는 제1 암키와부 및 상기 제1 접촉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폭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지며, 일측이 상기 제1 접촉부로부터 돌출되어 하면이 외부로 노출된 제1 수돌출부 및 타측이 상기 제1 수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되는 제1 수함입부를 구비하는 제1 수키와부를 구비하는 제1 기와 모듈 및 상기 지붕과 접촉되며,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길이 방향 상측으로 연결되는 제2 접촉부, 상기 제2 접촉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폭 방향으로 오목하게 굴곡지며, 일측 하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2 접촉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암키와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2 암돌출부를 구비하는 제2 암키와부 및 상기 제2 접촉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폭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지며, 일측 하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2 접촉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수함입부에 안착되는 제2 수돌출부 및 타측이 상기 제2 수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되는 제2 수함입부를 구비하는 제2 수키와부를 구비하는 제2 기와 모듈 및 상기 지붕과 접촉되며,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길이 방향 하측으로 연결되는 제3 접촉부, 상기 제3 접촉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폭 방향으로 오목하게 굴곡지며, 일측이 상기 제3 접촉부로부터 돌출되어 하면이 외부로 노출된 제3 암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암돌출부가 안착되는 제3 암키와부 및 상기 제3 접촉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폭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지며, 일측이 상기 제3 접촉부로부터 돌출되어 하면이 외부로 노출된 제3 수돌출부 및 타측이 상기 제1 수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되어 상기 제1 수돌출부가 안착되는 제3 수함입부를 구비하는 제3 수키와부를 구비하는 제3 기와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키와부는, 상기 제2 수돌출부가 상기 제1 수함입부에 안착되는 경우, 상면이 상기 제2 수키와부의 상면과 동일 굴곡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암키와부는, 상기 제2 암돌출부가 안착되는 경우 상기 제2 암키와부와 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암돌출부는, 상기 제2 암돌출부가 안착되는 경우, 상면이 상기 제2 암돌출부의 상면과, 상기 지붕을 기준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의 상기 제1 암키와부는, 상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2 암키와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암돌출부 및 상기 제2 암돌출부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암돌출부의 두께와 동일한 크기의 높이를 가진 단턱부를 구비하며, 상기 단턱부는, 상기 제2 암돌출부가 상기 제1 암키와부에 안착되어 형성된 상기 단차와 높이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은, 상기 제1 암돌출부는, 하면을 따라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1 암결합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3 암키와부는, 상기 제1 암결합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3 암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암키와부는, 상기 제3 암결합돌기가 상기 제1 암결합홈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인가되는 외력에 상기 제3 암키와부와 연동되며, 상기 제1 수돌출부는, 하면을 따라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1 수결합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3 수함입부는, 상기 제1 수결합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3 수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수키와부는, 상기 제3 수결합돌기가 상기 제1 수결합홈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3 수키와부와 연동되고, 상기 제2 암돌출부는, 하면을 따라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2 암결합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암키와부는, 상기 제2 암결합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1 암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암키와부는, 상기 제1 암결합돌기가 상기 제2 암결합홈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암키와부와 연동되며, 상기 제2 수돌출부는, 하면을 따라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2 수결합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수함입부는, 상기 제2 수결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 수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수키와부는, 상기 제1 수결합돌기가 상기 제2 수결합홈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수키와부와 연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은, 상기 지붕과 접촉되며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폭 방향 일측으로 연결되는 제4 접촉부, 상기 제4 접촉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폭 방향으로 오목하게 굴곡지며, 일측이 상기 제4 접촉부로부터 돌출되어 하면이 외부로 노출된 제4 암돌출부를 구비하는 제4 암키와부 및 상기 제4 접촉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폭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지며, 일측이 상기 제4 접촉부로부터 돌출되어 하면이 외부로 노출된 제4 수돌출부 및 타측이 상기 제4 수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되는 제4 수함입부를 구비하는 제4 수키와부를 구비하는 제4 기와 모듈 및 상기 지붕과 접촉되며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폭 방향 타측으로 연결되는 제5 접촉부, 상기 제5 접촉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폭 방향으로 오목하게 굴곡지며, 일측이 상기 제5 접촉부로부터 돌출되어 하면이 외부로 노출된 제5 암돌출부를 구비하는 제5 암키와부 및 상기 제5 접촉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폭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지며, 일측이 상기 제5 접촉부로부터 돌출되어 하면이 외부로 노출된 제5 수돌출부 및 타측이 상기 제5 수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되는 제5 수함입부를 구비하는 제5 수키와부를 구비하는 제5 기와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암키와부는, 하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 접촉부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제1 수키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1 암걸침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4 수키와부는, 상기 제1 암걸침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4 오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5 암키와부는, 하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5 접촉부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제5 수키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5 암걸침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수키와부는, 상기 제5 암걸침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1 오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은 접촉되고, 상기 제1 기와 모듈의 상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기와 모듈의 상면과 밀착되도록 안착되며, 상기 제1 기와 모듈에 안착된 경우, 상기 제1 기와 모듈의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단열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와 모듈은, 상기 제1 접촉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폭 방향으로 오목하게 굴곡지며, 일측이 상기 제1 접촉부로부터 돌출되어 하면이 외부로 노출된 제1-2 암돌출부를 구비하는 제1-2 암키와부 및 상기 제1 접촉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폭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지며, 일측이 상기 제1 접촉부로부터 돌출되어 하면이 외부로 노출된 제1-2 수돌출부 및 타측이 상기 제1-2 수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되는 제1-2 수함입부를 구비하는 제1-2 수키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수키와부는, 상기 제1 접촉부와 연결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수돌출부 및 상기 제1 수함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수돌출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고, 상기 제1 기와 모듈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 접촉부의 하면 까지 관통된 관통홀, 상기 관통홀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되 중공이 형성된 보호부 및 상기 보호부 및 상기 지붕에 동시에 삽입되는 앵커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수돌출부는, 하면이 함입되어 형성된 함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함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수돌출부는, 상기 삽입부가 상기 함입홈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 암키와부와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포단열재로 제작되어 단열 성능이 우수하며, 기 제작된모듈화된 기와를 이용하여 공사기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모듈화된 기와간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건축물의 지붕에 시공되었을 때 강풍 등에 의한 탈락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암키와 및 수키와가 일체로 형성되어 기와 모듈 내로 빗물(눈) 등이 침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외관이 수려하여 전통 한옥 기와와 같은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이 설치된 건축물의 지붕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의 제1 기와 모듈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의 제1 기와 모듈, 제2 기와 모듈 및 제3 기와 모듈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의 제1 기와 모듈 및 제2 기와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의 제1 기와 모듈 및 제3 기와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의 제1 기와 모듈, 제4 기와 모듈 및 제5 기와 모듈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의 제1 기와 모듈 및 제4 기와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의 제1 기와 모듈 및 제5 기와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의 제1 기와 모듈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제1 기와 모듈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18은 도 16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을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이 설치된 건축물의 지붕을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1, 이하 단열 기와 모듈)는 수키와부 및 암키와부가 모듈화된 기와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기와 모듈을 길이 방향(Y) 및 폭 방향(X)으로 연결하여 건축물의 지붕(R)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길이 방향(Y)이란, 상기 지붕(R)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한 방향 또는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폭 방향(X)이란 상기 지붕(R)의 동일한 높이에서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제1 기와 모듈 내지 제5 기와 모듈이 기재되며, 각 기와 모듈의 구성은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또한, 그 구분을 위하여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이하 설명할 기와 모듈은 발포단열재(발포폴리스티렌, 압출발포폴리스티렌, 경질우레탄폼, 세라믹단열재 등)로 제작되어 상기 건축물의 단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의 제1 기와 모듈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의 제1 기와 모듈, 제2 기와 모듈 및 제3 기와 모듈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기와 모듈(1)은 제1 기와 모듈(10), 제2 기와 모듈(20) 및 제3 기와 모듈(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와 모듈(10)은 제1 접촉부(12), 제1 암키와부(14) 및 제1 수키와부(1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부(12)는 상기 지붕(R)과 접촉되며 편평한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고, 상기 제1 암키와부(14) 및 상기 제1 수키와부(16)를 서로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암키와부(14) 및 상기 제1 수키와부(16)가 상기 지붕(R)과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암키와부(14) 및 상기 제1 수키와부(16)는 상기 제1 접촉부(12)를 통해 상기 지붕(R)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부(12)는 모르타르 또는 접착제 등을 통해 상기 지붕(R)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접촉부(12)의 하면 또는 상기 지붕(R)의 상면에 모르타르 또는 접착제를 도포한 후, 양자를 접촉시키면, 상기 모르타르 또는 접착제가 경화되는 과정에서 생성된 화학적 작용에 의해 상기 제1 접촉부(12)가 상기 지붕(R)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접촉부(12)는 하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접착홈(121)을 구비하여, 상기 지붕(R)과의 접착력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접착홈(121)에 충진된 상기 모르타르 또는 접착제는 편평한 하면에 도포된 모르타르 또는 접착제 보다 많은 양이 도포되므로, 상기 제1 접촉부(12)가 상기 지붕(R)에 더욱 견고히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접착홈(121)에 충진되는 모르타르 또는 접착제의 양을 달리하여 상기 지붕(R)에 고정되는 상기 제1 접촉부(12)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암키와부(14)는, 상기 제1 접촉부(12)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폭 방향(X)으로 오목하게 굴곡지며, 일측이 상기 제1 접촉부(12)로부터 돌출되어 하면이 외부로 노출된 제1 암돌출부(14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폭 방향(X)으로 오목하게 굴곡진 상기 제1 암키와부(14)의 상면은 빗물들이 모여 이동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배수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암돌출부(141)는 길이 방향(Y) 하측으로 돌출되어 하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제1 암돌출부(141)의 하면은 이하 설명할 제3 암키와부(34)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키와부(16)는, 상기 제1 접촉부(12)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폭 방향(X)으로 볼록하게 굴곡지며, 일측이 상기 제1 접촉부(12)로부터 돌출되어 하면이 외부로 노출된 제1 수돌출부(163) 및 타측이 상기 제1 수돌출부(16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되는 제1 수함입부(16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돌출부(163)는, 상기 폭 방향(X)으로 볼록하게 굴곡지도록 형성되어 빗물이 접촉된 경우, 상기 빗물이 상기 볼록하게 굴곡진 굴곡면을 따라 이동되어 인접한 암키와부 즉, 상기 제1 암키와부(14)의 폭 방향(X)으로 오목하게 굴곡진 굴곡면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암키와부(14)의 오목하게 굴곡진 굴곡면과 상기 제1 수키와부(16)의 볼록하게 굴곡진 굴곡면은 매끄럽게 연결되어 일정한 파형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수돌출부(163)는 상기 길이 방향(Y) 하측으로 돌출되어 하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제1 수돌출부(163)의 하면은 이하 설명할 제3 수키와부(36)의 제3 수함입부(365)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함입부(165)는, 상기 제1 수돌출부(16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1 수돌출부(163)와 대응되는 형상이란 상기 제1 수돌출부(163)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수함입부(165)에 안착되는 제2 수돌출부(263)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함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수돌출부(263)가 상기 제1 수함입부(165)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제1 수키와부(16)의 상면과 상기 제2 수키와부(26)의 상면은 동일 굴곡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수키와부(16)의 상면에 형성된 굴곡면은 상기 제1 수함입부(165)에 의해 함몰되나 상기 제2 수돌출부(263)가 상기 함몰된 굴곡면을 채우게 되어 상기 제1 수키와부(16)의 상면과 상기 제2 수키와부(26)의 상면은 동일한 굴곡면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기와 모듈(20)은 상기 지붕(R)과 접촉되며, 상기 제1 접촉부(12)와 상기 길이 방향(Y) 상측으로 연결되는 제2 접촉부(22), 상기 제2 접촉부(22)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폭 방향(X)으로 오목하게 굴곡지며, 일측 하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2 접촉부(22)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암키와부(14)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2 암돌출부(241)를 구비하는 제2 암키와부(24) 및 상기 제2 접촉부(22)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폭 방향(X)으로 볼록하게 굴곡지며, 일측 하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2 접촉부(22)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수함입부(165)에 안착되는 제2 수돌출부(263) 및 타측이 상기 제2 수돌출부(26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되는 제2 수함입부(265)를 구비하는 제2 수키와부(2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와 모듈(20)은 상기 제1 기와 모듈(10)의 길이 방향(Y) 상측에 연결되는 기와 모듈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접촉부(22), 제2 암돌출부(241)를 구비하는 제2 암키와부(24) 및 제2 수돌출부(263) 및 제2 수함입부(265)를 구비하는 제2 수키와부(26)는, 상기 제1 접촉부(12), 제1 암키와부(14) 및 제1 수키와부(16)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상술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또한, 상기 제3 기와 모듈(30)은 상기 지붕(R)과 접촉되며, 상기 제1 접촉부(12)와 상기 길이 방향(Y) 하측으로 연결되는 제3 접촉부(32), 상기 제3 접촉부(32)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폭 방향(X)으로 오목하게 굴곡지며, 일측이 상기 제3 접촉부(32)로부터 돌출되어 하면이 외부로 노출된 제3 암돌출부(341)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암돌출부(141)가 안착되는 제3 암키와부(34) 및 상기 제3 접촉부(32)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폭 방향(X)으로 볼록하게 굴곡지며, 일측이 상기 제3 접촉부(32)로부터 돌출되어 하면이 외부로 노출된 제3 수돌출부(363) 및 타측이 상기 제1 수돌출부(16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되어 상기 제1 수돌출부(163)가 안착되는 제3 수함입부(365)를 구비하는 제3 수키와부(3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 기와 모듈(30)은 상기 제1 기와 모듈(10)의 길이 방향(Y) 하측에 연결되는 기와 모듈일 수 있으며, 상기 제3 접촉부(32), 제3 암돌출부(341)를 구비하는 제3 암키와부(34) 및 제3 수돌출부(363) 및 제3 수함입부(365)를 구비하는 제3 수키와부(36)는, 상기 제1 접촉부(12), 제1 암키와부(14) 및 제1 수키와부(16)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상술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의 제1 기와 모듈 및 제2 기와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 기와 모듈(20)은 상기 제1 기와 모듈(10)의 길이 방향(Y) 상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3 기와 모듈(30)은 상기 제1 기와 모듈(10)의 길이 방향(Y)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제1 기와 모듈(10)과 상기 제2 기와 모듈(20)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 암돌출부(241)는, 하면을 따라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2 암결합홈(2411)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암돌출부(241)의 하면은 폭 방향(X)으로 볼록한 굴곡면일 수 있다. 즉, 상기 제2 암돌출부(241)의 상면이 폭 방향(X)으로 오목한 굴곡면을 형성하므로, 반대편의 하면은 폭 방향(X)으로 볼록한 굴곡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제2 암결합홈(2411)은, 상기 제2 암돌출부(241)의 하면에 폭 방향(X)을 따라 함입된 형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암돌출부(241)의 하면의 굴곡된 형상을 따라 굴곡진 홈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암결합홈(2411)은 복수개일 수 있으며, 각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이하 설명할 제1 암결합돌기(143)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 암결합돌기(143)와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는 효과를 주어 상기 제1 암결합돌기(143)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암키와부(14)는, 상기 제2 암결합홈(2411)과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상기 제1 암결합돌기(14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암결합돌기(143)는 상기 제2 암결합홈(241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2 암결합홈(241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암결합홈(2411)에 상기 제1 암결합돌기(143)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2 암돌출부(241)의 하면은 상기 제1 암키와부(14)의 상면과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암키와부(14)는, 상기 제2 암결합홈(2411)에 상기 제1 암결합돌기(143)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길이 방향(Y)으로 인가되는 외력에 상기 제2 암키와부(24)와 연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암결합돌기(143)가 상기 제2 암결합홈(2411)에 삽입된 경우, 상기 제2 암결합홈(2411)의 상기 길이 방향(Y)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므로 길이 방향(Y)으로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암키와부(14)와 상기 제2 암키와부(24)는 연동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암결합돌기가 지그재그 형태의 돌기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암결합홈 또한 상기 제1 암결합돌기의 지그재그 형태와 대응되는 홈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길이 방향(Y) 및 폭 방향(X)으로 인가된 외력에 연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암키와부(14)와 상기 제2 암키와부(24)가 연동된다는 것은 함께 움직인다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양자 중 어느 하나가 고정된 경우에는 나머지 하나 또한 고정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암결합홈(2411)과 상기 제1 암결합돌기(143) 사이에는 모르타르 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양자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암키와부(14)는, 상기 제2 암결합홈(2411)이 상기 제1 암결합돌기(143)를 수용하여 상기 제2 암돌출부(241)가 안착되는 경우, 상기 제2 암키와부(24)와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암돌출부(241)는 상기 제1 암키와부(14)의 상면과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암키와부(14)의 상면에 상기 제2 암돌출부(241)의 하면이 접촉되므로 당연한 것이나, 상기 단차는, 일정 각도 경사진 건축물의 지붕(R)에 안착된 상기 제1 기와 모듈(10) 및 제2 기와 모듈(20) 상으로 빗물(눈)이 떨어지는 경우, 상기 빗물을 가속화시켜 상기 제1 기와 모듈(10) 및 제2 기와 모듈(20) 상에서 체류하는 빗물의 체류시간을 줄임으로써, 상기 제1 기와 모듈(10) 및 제2 기와 모듈(20)이 빗물(눈) 등에 의해 받는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단차는, 상기 제1 기와 모듈(10) 및 제2 기와 모듈(20)의 표면이 지표면과 형성하는 각을 가파르게 하여 상기 제1 기와 모듈(10) 및 제2 기와 모듈(20) 상에 떨어진 빗물(눈) 등이 상기 지표면으로 빠르게 위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암키와부(14) 상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1 암돌출부(141) 및 상기 제2 암돌출부(241)가 상기 지붕(R)을 기준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 암키와부(24)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암돌출부(241)가 안착되는 상기 제1 암키와부(14)의 상면은 상기 제2 암돌출부(241)를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함입된 형상을 구비하는 것이 아니므로, 상기 제2 암돌출부(241)가 안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2 기와 모듈(20)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구간이 형성되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암돌출부(141)는, 상기 제2 암돌출부(241)가 안착되는 경우 상기 제2 암돌출부(241)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암돌출부(141)와 상기 제2 암돌출부(241)는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며, 그 형상이 동일하므로, 상기 제2 암돌출부(241)가 상기 제1 암키와부(14) 상면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제2 암돌출부(241) 및 상기 제1 암돌출부(141)는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암키와부(14) 상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2 암키와부(24)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 암돌출부(141)의 두께와 동일한 크기의 높이를 가진 단턱부(14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단턱부(147)는, 상기 제1 암키와부(14)의 상면에 형성된 일종의 단차로, 일정 각도 경사진 건축물의 지붕(R)에 안착된 상기 제1 기와 모듈(10) 상으로 빗물(눈)이 떨어지는 경우, 상기 빗물을 가속화시켜 상기 제1 기와 모듈(10) 상에서 체류하는 빗물의 체류시간을 줄임으로써, 상기 제1 기와 모듈(10)이 빗물(눈) 등에 의해 받는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단턱부(147)의 높이는 상기 제1 암돌출부(141) 또는 제2 암돌출부(241)의 두께와 동일하여, 상기 제1 암키와부(14) 상에 안착된 상기 제2 암돌출부(241)와 동일한 단차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기와 모듈(10)과 상기 제2 기와 모듈(20)이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암키와부(14)의 단턱부(147) 및 상기 제2 암돌출부(241)에 의해 형성된 단차는 동일한 형상을 띨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암결합홈(2411)에 상기 제1 암결합돌기(143)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2 암키와부(24) 및 제1 암키와부(14)는 길이 방향(Y)으로 인가된 외력에 의해 연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기와 모듈(10)과 상기 제2 기와 모듈(20)은 상기 제2 암결합홈(2411)에 상기 제1 암결합돌기(143)가 삽입되어 견고히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수돌출부(263)는, 하면을 따라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2 수결합홈(2631)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수돌출부(263)의 하면은 폭 방향(X)으로 오목한 굴곡면일 수 있다. 즉, 상기 제2 수돌출부(263)의 상면이 폭 방향(X)으로 볼록한 굴곡면을 형성하므로, 반대편의 하면은 폭 방향(X)으로 오목한 굴곡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제2 수결합홈(2631)은, 상기 제2 수돌출부(263)의 하면에 폭 방향(X)을 따라 함입된 홈 형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수돌출부(263)의 하면의 굴곡된 형상을 따라 굴곡진 홈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수결합홈(2631)는 복수개일 수 있으며, 각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이하 설명할 제1 수결합돌기(1651)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 수결합돌기(1651)와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도록 하여 상기 제1 수결합돌기(1651)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수함입부(165)는, 상기 제2 수결합홈(2631)과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수결합돌기(1651)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수결합돌기(1651)는 상기 제2 수결합홈(2631)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수결합홈(2631)에 상기 제1 수결합돌기(1651)가 삽입되면, 상기 제2 수돌출부(263)의 하면은 상기 제1 수함입부(165)의 상면과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수키와부(16)는, 상기 제2 수결합홈(2631)에 상기 제1 수결합돌기(1651)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길이 방향(Y)으로 인가되는 외력에 상기 제2 암키와부(24)와 연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수결합돌기(1651)는 상기 제2 수결합홈(2631)에 삽입된 경우, 상기 제2 수결합홈(2631)의 상기 길이 방향(Y)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므로 길이 방향(Y)으로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수키와부(16)와 상기 제2 수키와부(26)는 연동될 수 있다.
다만, 제1 수결합돌기가 지그재그 형태의 돌기로 형성되며, 제2 수결합홈 또한 상기 제1 수결합돌기의 지그재그 형태와 대응되는 홈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길이 방향(Y) 및 폭 방향(X)으로 인가된 외력에 연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수키와부(16)와 상기 제2 암키와부(26)가 연동된다는 것은 함께 움직인다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양자 중 어느 하나가 고정된 경우에 나머지 하나 또한 고정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수결합홈(2631)과 상기 제1 수결합돌기(1651) 사이에는 모르타르 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양자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결국, 상기 제1 기와 모듈(10) 및 제2 기와 모듈(20)은 1차적으로 상기 제2 암결합홈(2411)에 상기 제1 암결합돌기(143)가 삽입되어 길이 방향(Y)으로의 연결을 유지하며, 2차적으로 상기 제2 수결합홈(2631)에 상기 제1 수결합돌기(1651)가 삽입되어 길이 방향(Y)으로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의 제1 기와 모듈 및 제3 기와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제1 기와 모듈(10)과 상기 제3 기와 모듈(30)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암돌출부(141)는, 하면을 따라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1 암결합홈(141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암키와부(34)는, 상기 제1 암결합홈(141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3 암결합돌기(343)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암키와부(14)는, 상기 제1 암결합홈(1411)에 상기 제3 암결합돌기(343)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길이 방향(Y)으로 인가되는 외력에 상기 제3 암키와부(34)와 연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수돌출부(163)는, 하면을 따라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1 수결합홈(163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수함입부(365)는, 상기 제1 수결합홈(163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3 수결합돌기(3651)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수키와부(16)는, 상기 제1 수결합홈(1631)에 상기 제3 수결합돌기(3651)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길이 방향(Y)으로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3 수키와부(36)와 연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와 모듈(10)과 상기 제3 기와 모듈(30)의 연결 관계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상기 제1 기와 모듈(10)과 상기 제2 기와 모듈(20)의 연결 관계와 그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상기 제1 암돌출부(141)는 상기 제2 암돌출부(241)와, 상기 제3 암키와부(34)는 상기 제1 암키와부(14)와 각각 대응되며, 상기 제1 수돌출부(163)는, 상기 제2 수돌출부(263)와 상기 제3 수함입부(365)는 상기 제1 수함입부(165)와 대응되는 구성이므로 상술한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의 제1 기와 모듈, 제4 기와 모듈 및 제5 기와 모듈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기와 모듈(1)은 제4 기와 모듈(40) 및 제5 기와 모듈(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기와 모듈(40)은 상기 제1 기와 모듈(10)의 폭 방향(X) 일측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5 기와 모듈(50)은 상기 제1 기와 모듈(10)의 폭 방향(X)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4 기와 모듈(40)은, 상기 지붕(R)과 접촉되며 상기 제1 접촉부(12)와 상기 폭 방향(X) 일측으로 연결되는 제4 접촉부(42), 상기 제4 접촉부(42)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폭 방향(X)으로 오목하게 굴곡지며, 일측이 상기 제4 접촉부(42)로부터 돌출되어 하면이 외부로 노출된 제4 암돌출부(441)를 구비하는 제4 암키와부(44) 및 상기 제4 접촉부(42)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폭 방향(X)으로 볼록하게 굴곡지며, 일측이 상기 제4 접촉부(42)로부터 돌출되어 하면이 외부로 노출된 제4 수돌출부(463) 및 타측이 상기 제4 수돌출부(46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되는 제4 수함입부(465)를 구비하는 제4 수키와부(46)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기와 모듈(50)은, 상기 지붕(R)과 접촉되며 상기 제1 접촉부(12)와 상기 폭 방향(X) 타측으로 연결되는 제5 접촉부(52), 상기 제5 접촉부(52)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폭 방향(X)으로 오목하게 굴곡지며, 일측이 상기 제5 접촉부(52)로부터 돌출되어 하면이 외부로 노출된 제5 암돌출부(541)를 구비하는 제5 암키와부(54) 및 상기 제5 접촉부(52)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폭 방향(X)으로 볼록하게 굴곡지며, 일측이 상기 제5 접촉부(52)로부터 돌출되어 하면이 외부로 노출된 제5 수돌출부(563) 및 타측이 상기 제5 수돌출부(56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되는 제5 수함입부(565)를 구비하는 제5 수키와부(5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4 기와 모듈(40) 및 상기 제5 기와 모듈(50)의 각 구성요소는 상기 제1 기와 모듈(10)과 그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의 제1 기와 모듈 및 제4 기와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제1 기와 모듈(10)과 상기 제4 기와 모듈(40)의 연결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암키와부(14)는, 하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 접촉부(12)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제1 수키와부(1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1 암걸침부(145)를 더 구비할 수 있다(도 18참조).
상기 제1 암걸침부(145)는, 상기 제1 접촉부(12)의 폭 방향(X) 일측으로 돌출되어 이하 설명할 제4 오목부(423)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암걸침부(145)는 상기 제1 수키와부(1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4 오목부(423)와의 사이 틈으로 유입될 수 있는 비(눈) 등이 경사진 면을 따라 흘러내리도록 하여 상기 제4 오목부(423)로의 비(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4 수키와부(46)는, 상기 제1 암걸침부(145)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4 오목부(4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4 오목부(423)는, 상기 제4 수키와부(46)의 폭 방향(X) 일측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암걸침부(145)와 대응되는 형상 즉, 상기 제4 수키와부(46)의 일측으로부터 함입되되, 이웃한 제4 암키와부(44)를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4 오목부(423)가 상기 제4 암키와부(44)를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암걸침부(145)와의 틈 사이로 유입될 수 있는 비(눈) 등이 상기 제4 오목부(423)의 경사진 면을 따라 흘러내리도록 하여, 상기 제4 오목부(423) 내에 비(눈) 등이 체류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수키와부(16)는, 상기 제1 암걸침부(145)가 상기 제4 오목부(423)에 삽입되도록 위치 이동된 후에는 폭 방향(X)으로의 외력에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제1 암걸침부(145)와 상기 제4 오목부(423)과 결합되는 경로가 지붕(R)과 평행한 것이 아닌 일측으로 경사진 형태를 띠므로, 지붕(R)과 평행한 폭 방향(X)으로의 외력에 상기 제1 암걸침부(145)의 일부분이 상기 제4 오목부(423)에 걸리게 되어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암걸침부(145)와 상기 제4 오목부(423) 사이에는 모르타르 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양자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의 제1 기와 모듈 및 제5 기와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상기 제1 기와 모듈(10)과 상기 제5 기와 모듈(50)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5 암키와부(54)는, 하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상기 제5 접촉부(52)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제5 수키와부(5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5 암걸침부(54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5 암걸침부(545)는, 상기 제5 접촉부(52)의 폭 방향(X) 일측으로 돌출되어 이하 설명할 제1 오목부(123)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5 암걸침부(545)는 상기 제5 수키와부(5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오목부(123)와의 사이 틈으로 유입될 수 있는 비(눈) 등이 경사진 면을 따라 흘러내리도록 하여 상기 제1 오목부(123)로의 비(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키와부(16)는, 상기 제5 암걸침부(545)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1 오목부(1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와 모듈(10)과 상기 제5 기와 모듈(50)의 연결 관계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상기 제1 기와 모듈(10)과 상기 제4 기와 모듈(40)의 연결 관계와 그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상기 제5 암걸침부(545)는 상기 제1 암걸침부(145)와, 상기 제1 오목부(123)는 상기 제4 오목부(424)와 각각 대응되는 구성이므로 상술한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의 제1 기와 모듈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제1 기와 모듈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8은 도 16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기와 모듈(10)은, 상기 제1 접촉부(12)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폭 방향(X)으로 오목하게 굴곡지며, 일측이 상기 제1 접촉부(12)로부터 돌출되어 하면이 외부로 노출된 제1-2 암돌출부(131)를 구비하는 제1-2 암키와부(13) 및 상기 제1 접촉부(12)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폭 방향(X)으로 볼록하게 굴곡지며, 일측이 상기 제1 접촉부(12)로부터 돌출되어 하면이 외부로 노출된 제1-2 수돌출부(153) 및 타측이 상기 제1-2 수돌출부(15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되는 제1-2 수함입부(155)를 구비하는 제1-2 수키와부(1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2 암키와부(13) 및 상기 제1-2 수키와부(15)와 상기 제1-2 암키와부(13) 및 상기 제1-2 수키와부(15)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는 상술한 상기 제1 암키와부(14) 및 상기 제1 수키와부(16)와 상기 제1 암키와부(14) 및 상기 제1 수키와부(16)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와 그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상기 제1 암키와부(14), 제1 수키와부(16), 제1-2 암키와부(13) 및 상기 제1-2 수키와부(15)가 교대로 배치되도록 도시되었으나,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암키와부 및 수키와부를 더 포함하거나 추가된 암키와부 및 수키와부를 제거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제1 수키와부(16)는, 상기 제1 접촉부(12)와 연결되는 베이스부(161), 상기 베이스부(161)의 상측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수돌출부(163) 및 상기 제1 수함입부(165)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수돌출부(163)는, 상기 베이스부(161)로부터 착탈 가능할 수 있으며, 하면이 함입되어 형성된 함입홈(165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61)는, 상기 함입홈(1653)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함입홈(1653)에 삽입되는 삽입부(16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돌출부(163)는, 상기 삽입부(1651)가 상기 함입홈(1653)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 암키와부(14)와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수돌출부(163)는, 상기 베이스부(16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면을 모두 커버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161)를 커버한 상태에서 하면이 이웃한 제1 암키와부(14)에 접촉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수돌출부(163)가 이웃한 제1 암키와부(14)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161)는 상기 제1 수돌출부(163)에 의해 은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기와 모듈(10)은, 관통홀(17), 보호부(18) 및 앵커부(19)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17)은 상기 베이스부(161)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 접촉부(12)의 하면까지 관통된 일종의 홀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접촉부(12)의 하면과 대략 수직하게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부(18)는, 상기 관통홀(17)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공이 형성되어 이하 설명할 앵커부(19)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앵커부(19)는 상기 보호부(18) 및 상기 지붕(R)에 동시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기와 모듈(10)이 상기 지붕(R)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통홀(17)은 제1 기와 모듈(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앵커부(19)는 상기 관통홀(17)에 삽입된 채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지붕(R)에 박히게 되어 상기 제1 기와 모듈(10)이 상기 지붕(R)에 정착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보호부(18)는, 상기 앵커부(19)를 상기 관통홀(17)에 삽입하거나 또는 드릴 등을 이용하여 상기 관통홀(17)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제1 기와 모듈(1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보호부(18)는, 상기 앵커부(19)가 상기 관통홀(17)에 삽입되기 전에 먼저 상기 관통홀(17)에 삽입되어 상기 앵커부(19)가 상기 베이스부(161)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앵커부(19)가 상기 베이스부(161)를 가압하는 외력을 중간에서 완충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호부(18)는 상기 관통홀(17)과 대응되는 형상의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관통홀(17)의 지름과 동일한 크기의 지름을 가진 링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관통홀(17)은, 상기 제1 수돌출부(163)가 상기 베이스부(161)로부터 이탈되는 경우에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수돌출부(163)가 상기 베이스부(161) 상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제1 수돌출부(163)에 의해 은닉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제1 수돌출부(163)를 상기 베이스부(161)로부터 이탈시킨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17)에 상기 앵커부(19)를 삽입할 수 있으며, 삽입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1 수돌출부(163)를 상기 베이스부(161) 상에 안착시켜 상기 관통홀(17) 및 상기 관통홀(17)에 삽입된 앵커부(19)를 커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앵커부(19)는 상기 관통홀(17)에 삽입된 경우, 상면이 상기 베이스부(161)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앵커부(19)는 상기 제1 수돌출부(163)가 상기 베이스부(161)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제1 수돌출부(163)의 함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수돌출부(163)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돌출부(163)가 상기 베이스부(161)의 상면을 커버함으로써, 상기 관통홀(17) 또는 상기 앵커부(19)에 빗물(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수돌출부(163)는 상기 베이스부(161)의 상면을 커버하는 대략 캡 형상이므로, 빗물(눈) 등이 상기 관통홀(17)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단열 기와 모듈(1)은, 상기 제1 기와 모듈(10)의 상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기와 모듈(10)의 상면과 밀착되도록 안착되며, 상기 제1 기와 모듈(10)에 안착된 경우, 상기 제1 기와 모듈(10)의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단열커버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단열커버부는, 제1 기와 모듈(10)뿐만 아니라, 상기 제2 기와 모듈(20) 내지 제5 기와 모듈(50)을 커버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제1 기와 모듈(10) 및 제2 기와 모듈(20)을 동시에 덮도록 또는 2 이상의 복수의 기와 모듈을 동시에 덮도록 그 크기를 달리할 수 있다.
상기 단열커버부에 관하여는 이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단열 기와 모듈이 상기 건축물의 지붕(R)에 시공되는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상기 지붕(R) 상에 방수시멘트몰탈을 시공하고, 본 발명의 단열 기와 모듈을 상기 지붕(R) 상에 배치시킨 후, 상기 관통홀(17)을 통해 상기 앵커부(19)를 삽입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앵커부(19)의 상기 지붕(R)으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앵커부(19)를 삽입하긴 전, 상기 관통홀(17)을 통해 상기 지붕(R) 상에 앵커홀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앵커부(19)를 상기 관통홀(17) 및 상기 앵커홀에 삽입하여 상기 기와 모듈이 상기 지붕(R) 상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수돌출부(163)를 상기 베이스부(161)를 커버하도록 안착시킬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제1 수돌출부(163)와 상기 베이스부(161) 사이에 모르타르 또는 접착제 등을 도포하여 양자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다음, 상기 지붕(R)의 크기에 맞도록 상기 기와 모듈을 상술한 방법으로 배치시킨다.
또 다른 시공방법에 의해 단열 기와 모듈이 상기 건축물의 지붕(R)에 시공되는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상기 지붕(R) 상에 방수시멘트몰탈을 시공하고, 본 발명의 단열 기와 모듈을 상기 지붕(R) 상에 배치하도록 준비시킨다.
이 때, 상기 단열 기와 모듈의 관통홀(17)에는 앵커부(18)가 삽입된 채 기제작되어 준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단열 기와 모듈의 제작 단계에서 상기 앵커부(18)는 상기 관통홀(17)에 삽입된 상태가 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지붕(R)상에 와이어패널을 설치하고, 상기 와이어패널 상에 단열 기와 모듈의 앵커부(18)가 삽입될 수 있는 앵커홀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 기와 모듈의 앵커부(18)를 상기 와이어패널의 앵커홀에 삽입하여 상기 단열 기와 모듈이 상기 와이어패널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와 모듈을 제조하는 방법은, 건축물의 지붕을 커버하는 기와를 구성하는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을 제조하는 방법일 수 있다.
상기 기와 모듈을 제조하는 방법은 암키와부 및 수키와부가 일체로 형성된 금형을 준비하는 제1 단계, 상기 금형에 발포 단열재를 충진하는 제2 단계, 상기 충진된 발포 단열재를 발포 성형하여 성형된 암키와부 및 성형된 수키와부를 획득하는 제3 단계, 상기 성형된 수키와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을 형성하는 제4 단계, 상기 관통홀에 보호부를 부착하는 제5 단계, 상기 성형된 암키와부 및 상기 성형된 수키와부의 외면에 메쉬를 부착하는 제6 단계, 상기 메쉬가 부착된 상기 성형된 암키와부 및 상기 성형된 수키와부 상에 혼합코팅액을 도포하는 제7 단계 및 상기 혼합코팅액이 도포된 상기 성형된 암키와부 및 상기 성형된 수키와부를 건조시켜 기와 모듈을 획득하는 제8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성형된 암키와부 및 상기 성형된 수키와부의 외면에 메쉬를 부착하여 상기 제7 단계의 혼합코팅액이 상기 성형된 암키와부 및 상기 성형된 수키와부에 부착되는 강도를 높일 수 있으며, 상기 성형된 암키와부 및 상기 성형된 수키와부의 외면을 커버하여 강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는 곧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성형된 암키와부 및 상기 성형된 수키와부의 크랙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7 단계의 상기 혼합코팅액은, 시멘트, 아크릴계 수지, 숯가루, 물, 산화방지제 및 이산화티탄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멘트 25%~35%, 아크릴계수지 25%~35%, 숯가루 15%~25%, 물 1-%~25%, 기타(산화방지제 및 이산화티탄) 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멘트는, 경도 및 난연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25% 미만이면 경도 및 내구성이 약해지며, 35%를 초과하여도 상대적인 물의 함량비율이 줄어들어 수화가 진행되지 않음으로 경도가 약해질 수 있으므로, 25%~35%가 적당하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수지는, 방수 및 접착력을 향상시키며, 25% 미만이면 방수 및 접착력 향상의 효과가 미미하며, 35%를 초과하여도 더 이상의 효과는 기대하기 힘들기 때문에 25%~35%가 적당하다.
또한, 숯가루는 전통 기와의 탄화피막과 유사한 색채를 부여하여 상기 기와 모듈의 외관을 수려하게 하며, 15% 미만이면 색채효과가 미약하며, 25%를 초과하면 전통 토기와 대비 색상이 너무 진하게 되어 버려 다른 조성물의 상대비율이 줄어들게 되므로 15%~25%가 적당하다.
또한, 물은, 10% 미만이면 시멘트의 수화가 진행되지 않으므로 교반이 어려워지고 경도가 낮아질 수 있으며, 25%를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시멘트의 함량비율이 줄어들어 경도 및 내구성이 약해질 수 있으며, 혼합코팅액의 점성이 약해져 기와 모듈 표면의 코팅 두께를 조절하기 힘드므로 10%~25%가 적당하다.
또한, 산화방지제는 자연 산화에 의한 변색 및 기와 모듈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이산화티탄은 기와 모듈 표면에 부착되는 유기물이나 오염물질들을 활성산호로 분해하여 자연적으로 소멸하게 하는 셀프클리닝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제7 단계 및 제8 단계는 1~2회에 진행함으로써, 상기 혼합코팅액에 의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기와가 상기 건축물의 지붕(R)에 시공되는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상기 지붕(R) 상에 방수시멘트몰탈(S1)을 시공하고, 본 발명의 기와 모듈(S2)을 상기 지붕(R) 상에 배치시킬 수 있다.
다음 상기 기와 모듈(S2)의 상측에 메쉬(S3)를 덮도록 한뒤, 상기 혼합코팅액(S4)을 도포하여 건조시킬 수 있다.
다음, 상기 지붕(R)의 크기에 맞도록 상기 기와 모듈을 상술한 방법으로 배치시킨다.
한편,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제6 단계의 메쉬 및 제7 단계의 혼합코팅액 대신 기 제작한 플라스틱 사출 성형 커버(S5)를 제5 단계까지 제작된 단열 기와 모듈에 장착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S5)는 상기 제6 단계 및 제7 단계의 공정을 대체하여 제5 단계까지 제작된 단열 기와 모듈의 표면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5 단계까지 제작된 단열 기와 모듈을 덮음으로써, 상기 단열 기와 모듈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내용 중, 인접하게 배치되는 기와 모듈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홈/돌기 결합은, 그 형성된 위치가 서로 바뀌어 돌기/홈 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지붕의 상측에 위치하는 본 발명의 단열 기와 모듈은,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한 부재에 돌기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한 부재에 홈이 형성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제1 기와 모듈(10)과 제2 기와 모듈(20)이 상호 결합하는 관계에서, 제2암키와부(24)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1 암키와부(14)는 상기 제2 암키와부(24)와의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제1 암결합돌기(143)를 형성하며, 상대적으로 상기 제1 암결합돌기(143)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제2 암키와부(24)의 제2 암돌출부(241)는 상기 제1 암결합돌기(143)를 수용하는 홈 형태의 제2 암결합홈(2411)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하측에 위치한 부재에 돌기가 형성되면, 비(눈) 등이 흘러내리는 물끊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지붕의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만약, 하측에 위치한 부재에 홈이 형성되면, 비(눈) 등이 침투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결합된 부재와의 결합력을 떨어뜨릴 수 있으며, 동시에 체류한 물의 상태변화에 따라 부재가 손상될 우려가 있고, 나아가 상기 체류한 물에 의해 기와 모듈의 하중이 늘어 이를 지지하는 지붕의 피로도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한 부재에 돌기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한 부재에 홈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
10: 제1 기와 모듈
12: 제1 접촉부
123: 제1 오목부
14: 제1 암키와부
141: 제1 암돌출부
143: 제1 암결합돌기
145: 제1 암걸침부
147: 단턱부
16: 제1 수키와부
161: 베이스부
163: 제1 수돌출부
165: 제1 수함입부
17: 관통홀
18: 보호부
19: 앵커부
20: 제2 기와 모듈
22: 제2 접촉부
24: 제2 암키와부
26: 제2 수키와부
30: 제3 기와 모듈
32: 제3 접촉부
34: 제3 암키와부
36: 제3 수키와부
40: 제4 기와모듈
42: 제4 접촉부
44: 제4 암키와부
46: 제4 수키와부
50: 제5 기와 모듈
52: 제5 접촉부
54: 제5 암키와부
56: 제5 수키와부

Claims (5)

  1. 단열재로 성형된 수키와부 및 암키와부가 모듈화된 기와 모듈이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연결되어 건축물의 지붕을 커버하는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에 있어서,
    상기 지붕과 접촉되는 제1 접촉부, 상기 제1 접촉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폭 방향으로 오목하게 굴곡지며, 일측이 상기 제1 접촉부로부터 돌출되어 하면이 외부로 노출된 제1 암돌출부를 구비하는 제1 암키와부 및 상기 제1 접촉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폭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지며, 일측이 상기 제1 접촉부로부터 돌출되어 하면이 외부로 노출된 제1 수돌출부 및 타측이 상기 제1 수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되는 제1 수함입부를 구비하는 제1 수키와부를 구비하는 제1 기와 모듈; 및
    상기 지붕과 접촉되며,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길이 방향 상측으로 연결되는 제2 접촉부, 상기 제2 접촉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폭 방향으로 오목하게 굴곡지며, 일측 하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2 접촉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암키와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2 암돌출부를 구비하는 제2 암키와부 및 상기 제2 접촉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폭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지며, 일측 하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2 접촉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수함입부에 안착되는 제2 수돌출부 및 타측이 상기 제2 수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되는 제2 수함입부를 구비하는 제2 수키와부를 구비하는 제2 기와 모듈; 및
    상기 지붕과 접촉되며,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길이 방향 하측으로 연결되는 제3 접촉부, 상기 제3 접촉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폭 방향으로 오목하게 굴곡지며, 일측이 상기 제3 접촉부로부터 돌출되어 하면이 외부로 노출된 제3 암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암돌출부가 안착되는 제3 암키와부 및 상기 제3 접촉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폭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지며, 일측이 상기 제3 접촉부로부터 돌출되어 하면이 외부로 노출된 제3 수돌출부 및 타측이 상기 제1 수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되어 상기 제1 수돌출부가 안착되는 제3 수함입부를 구비하는 제3 수키와부를 구비하는 제3 기와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키와부는,
    상기 제2 수돌출부가 상기 제1 수함입부에 안착되는 경우, 상면이 상기 제2 수키와부의 상면과 동일 굴곡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암키와부는,
    상기 제2 암돌출부가 안착되는 경우 상기 제2 암키와부와 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암돌출부는,
    상기 제2 암돌출부가 안착되는 경우, 상면이 상기 제2 암돌출부의 상면과 상기 지붕을 기준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기와 모듈의 상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기와 모듈의 상면과 밀착되도록 안착되며, 상기 제1 기와 모듈에 안착된 경우, 상기 제1 기와 모듈의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단열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와 모듈은,
    상기 제1 접촉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폭 방향으로 오목하게 굴곡지며, 일측이 상기 제1 접촉부로부터 돌출되어 하면이 외부로 노출된 제1-2 암돌출부를 구비하는 제1-2 암키와부 및 상기 제1 접촉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폭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지며, 일측이 상기 제1 접촉부로부터 돌출되어 하면이 외부로 노출된 제1-2 수돌출부 및 타측이 상기 제1-2 수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되는 제1-2 수함입부를 구비하는 제1-2 수키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수키와부는,
    상기 제1 접촉부와 연결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수돌출부 및 상기 제1 수함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수돌출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고,
    상기 제1 기와 모듈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 접촉부의 하면 까지 관통된 관통홀, 상기 관통홀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되 중공이 형성된 보호부 및 상기 보호부 및 상기 지붕에 동시에 삽입되는 앵커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수돌출부는,
    하면이 함입되어 형성된 함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함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수돌출부는,
    상기 삽입부가 상기 함입홈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 암키와부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키와부는,
    상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2 암키와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암돌출부 및 상기 제2 암돌출부가 상기 지붕을 기준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암돌출부의 두께와 동일한 크기의 높이를 가진 단턱부를 구비하며,
    상기 단턱부는,
    상기 제2 암돌출부가 상기 제1 암키와부에 안착되어 형성된 상기 단차와 높이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돌출부는,
    하면을 따라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1 암결합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3 암키와부는,
    상기 제1 암결합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3 암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암키와부는,
    상기 제3 암결합돌기가 상기 제1 암결합홈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인가되는 외력에 상기 제3 암키와부와 연동되며,
    상기 제1 수돌출부는,
    하면을 따라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1 수결합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3 수함입부는,
    상기 제1 수결합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3 수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수키와부는,
    상기 제3 수결합돌기가 상기 제1 수결합홈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3 수키와부와 연동되고,
    상기 제2 암돌출부는,
    하면을 따라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2 암결합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암키와부는,
    상기 제2 암결합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1 암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암키와부는,
    상기 제1 암결합돌기가 상기 제2 암결합홈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암키와부와 연동되며,
    상기 제2 수돌출부는,
    하면을 따라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2 수결합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수함입부는,
    상기 제2 수결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 수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수키와부는,
    상기 제1 수결합돌기가 상기 제2 수결합홈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수키와부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과 접촉되며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폭 방향 일측으로 연결되는 제4 접촉부, 상기 제4 접촉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폭 방향으로 오목하게 굴곡지며, 일측이 상기 제4 접촉부로부터 돌출되어 하면이 외부로 노출된 제4 암돌출부를 구비하는 제4 암키와부 및 상기 제4 접촉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폭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지며, 일측이 상기 제4 접촉부로부터 돌출되어 하면이 외부로 노출된 제4 수돌출부 및 타측이 상기 제4 수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되는 제4 수함입부를 구비하는 제4 수키와부를 구비하는 제4 기와 모듈; 및
    상기 지붕과 접촉되며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폭 방향 타측으로 연결되는 제5 접촉부, 상기 제5 접촉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폭 방향으로 오목하게 굴곡지며, 일측이 상기 제5 접촉부로부터 돌출되어 하면이 외부로 노출된 제5 암돌출부를 구비하는 제5 암키와부 및 상기 제5 접촉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면이 상기 폭 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지며, 일측이 상기 제5 접촉부로부터 돌출되어 하면이 외부로 노출된 제5 수돌출부 및 타측이 상기 제5 수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되는 제5 수함입부를 구비하는 제5 수키와부를 구비하는 제5 기와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암키와부는,
    하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 접촉부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제1 수키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1 암걸침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4 수키와부는,
    상기 제1 암걸침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4 오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5 암키와부는,
    하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5 접촉부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제5 수키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5 암걸침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수키와부는,
    상기 제5 암걸침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1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
  5. 삭제
KR1020160031365A 2016-03-16 2016-03-16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 및 그 시공방법 KR101676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365A KR101676222B1 (ko) 2016-03-16 2016-03-16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365A KR101676222B1 (ko) 2016-03-16 2016-03-16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6222B1 true KR101676222B1 (ko) 2016-11-29

Family

ID=57706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1365A KR101676222B1 (ko) 2016-03-16 2016-03-16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62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5722A (ko) * 2018-01-11 2019-07-19 진경애 한옥의 기와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110616856A (zh) * 2018-06-19 2019-12-27 广东汉能薄膜太阳能有限公司 建筑结构及瓦片
KR102373227B1 (ko) * 2021-08-18 2022-03-11 대한민국 메쉬 형태의 기와 고정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기와 지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047Y1 (ko) * 2001-01-09 2001-11-16 김낙성 경량 단열 기와
KR200394674Y1 (ko) * 2005-06-03 2005-09-05 고려기와(주) 점토기와
KR101185498B1 (ko) * 2011-08-24 2012-09-24 박수구 한옥형 판기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047Y1 (ko) * 2001-01-09 2001-11-16 김낙성 경량 단열 기와
KR200394674Y1 (ko) * 2005-06-03 2005-09-05 고려기와(주) 점토기와
KR101185498B1 (ko) * 2011-08-24 2012-09-24 박수구 한옥형 판기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5722A (ko) * 2018-01-11 2019-07-19 진경애 한옥의 기와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063860B1 (ko) * 2018-01-11 2020-01-08 진경애 한옥의 기와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110616856A (zh) * 2018-06-19 2019-12-27 广东汉能薄膜太阳能有限公司 建筑结构及瓦片
KR102373227B1 (ko) * 2021-08-18 2022-03-11 대한민국 메쉬 형태의 기와 고정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기와 지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222B1 (ko) 단열재 일체형 한식 단열 기와 모듈 및 그 시공방법
AU2007300149B2 (en) Interlocking floor system
JP2000510210A (ja) 屋根稜線用の樹脂製角度付きこけら板
EP0044371A1 (fr) Dalles emboîtables pour revêtements étanches continus
US20070107358A1 (en) Concrete tile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e
CN201113316Y (zh) 地面走线槽
CN103866862B (zh) 无地基悬架式多功能可卸装组合木屋
KR101289245B1 (ko) 암키와, 수키와 및 기와
KR930000935Y1 (ko) 경사면 보호용 합성수지제 블럭
CN215054626U (zh) 一种稳定性高、抗风性强的小青瓦组装结构
KR100701330B1 (ko) 플라스틱 기와
CN210798090U (zh) 一种仿真草瓦
EP0634533A1 (en) Insulating panel for inhabited buildings
JP4064560B2 (ja) 床材の端仕舞構造及び端仕舞部材
JP3447194B2 (ja) 床化粧材
TWI258230B (en) A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the manufacture method thereof
KR200338682Y1 (ko) 황토벽돌 및 황토 충전용 블럭
GB2039562A (en) Tile units and tiling systems
JP3855114B2 (ja) 焼成ボード
KR100537957B1 (ko) 건축단지내 친환경적인 옹벽구조물
KR101696404B1 (ko) 기와 조립체
JPH0649953A (ja) タイルブロック製屋根
KR200254904Y1 (ko) 건축용 벽돌
KR20070034390A (ko) 포장매트
JP2508984Y2 (ja) 長熨斗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