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4904Y1 - 건축용 벽돌 - Google Patents

건축용 벽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4904Y1
KR200254904Y1 KR2020010024926U KR20010024926U KR200254904Y1 KR 200254904 Y1 KR200254904 Y1 KR 200254904Y1 KR 2020010024926 U KR2020010024926 U KR 2020010024926U KR 20010024926 U KR20010024926 U KR 20010024926U KR 200254904 Y1 KR200254904 Y1 KR 2002549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ck
brick body
building
present
out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49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우석
Original Assignee
임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우석 filed Critical 임우석
Priority to KR20200100249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49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49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4904Y1/ko

Links

Landscapes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수 효과를 가지고, 그 시공시 틈새의 줄눈 메움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아 조적 공법이 매우 용이한 건축용 벽돌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건축용 벽돌은 점토 재질로 이루어지고,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벽돌체; 및 벽돌체의 외부 공간과 인접하는 단부 부분에 일체로 형성되고, 벽돌체의 외부 공간과 인접하는 단부 부분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벽돌체가 다수 조적되었을 때, 상기 벽돌체의 줄눈 부분이 외부 공간으로부터 은폐되도록 형성되는 방수 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용 벽돌{Brick for construction}
본 고안은 건축용 벽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수 효과를 가지고, 그 시공시 틈새의 줄눈 메움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아 조적 공법이 매우 용이한 건축용 벽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적 공사는 벽돌을 적층하여 건축물을 완성하는 공법으로, 이러한 조적 공법은 인류역사에 있어 가장 오래되고 보편화된 건축 기술로써, 인간의 거주문화에 많은 영향을 끼친 공법이다.
이러한 건축물이나 각종 구조물의 조적 공법에 소요되는 벽돌은 그 외형이 직육면체의 형상이고, 그 각 표면은 평탄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벽돌을 이용한 건축물이나 각종 구조물의 조적 시공은 다수의 벽돌을 서로 맞대어 적층하게 된다. 다수의 벽돌의 측면을 서로 맞대어 일렬로 배열한 후에 다수의 벽돌들 사이에 모르타르 등과 같은 교착제를 이용하여 일체로 부착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한 층이 시공되면, 다수의 벽돌의 상면에 모르타르를 균일하게 도포하여 줄눈을 형성하게 되며, 이때, 줄눈의 높이는 대략 10mm정도이다. 줄눈이 형성된 후에, 그 위에 또 한층의 벽돌층을 쌓게 된다. 이러한 공정의 반복으로 원하는 소정의 높이로 조적 공사를 실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벽돌은 외부 공간과 인접하는 줄눈 부분의 접합면이 벽돌체의 평탄한 형상으로 인해, 눈, 빗물 등과 같은 수분이 쉽게 침투하여 구조물의 수명을 짧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벽돌은 그 평탄한 접합면에 도포되는 교착제가 접합면을 벗어나 이탈되어 그 접합면 사이에 틈이 형성되거나, 그 접합면 사이로부터 삐져 나온 교착제가 줄눈 주위에서 굳어져, 조적 후에 최종적으로 매질로 다듬어야 하는 줄눈 메움 작업 때문에, 그 조적 시공이 매우 번거러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눈, 빗물 등과 같은 수분의 침투가 방지되는 높은 방수성을 구비한 건축용 벽돌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또한, 본 고안은 줄눈 메움 작업등이 필요하지 않고, 그 조적작업이 용이한 건축용 벽돌을 제공하는 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벽돌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벽돌이 조적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건축용 벽돌이 조적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건축용 벽돌이 조적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벽돌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벽돌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벽돌체 1a : 교착제 유입공
1b : 방수 단부 3 : 교착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벽돌체; 및 벽돌체의 외부 공간과 인접하는 단부 부분에 일체로 형성되고, 벽돌체의 외부 공간과 인접하는 단부 부분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벽돌체가 다수 조적되었을 때, 상기 벽돌체의 줄눈 부분이 외부 공간으로부터 은폐되도록 형성되는 방수 단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방수 단부는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방수 단부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교착제가 포설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교착제 유입공이 벽돌체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벽돌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건축용 벽돌은 벽돌체(1)의 중앙부위에 형성된 다수의 교착제 유입공(1a)과, 벽돌체(1)의 외부 공간과 인접하는 소정 단부에 형성된 방수 단부(1b)를 포함한다.
벽돌체(1)는 점토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기본 형상은 조적 작업이 용이하도록 종래의 벽돌체와 유사한 직육면체로 이루어진다.
교착제 유입공(1a)은 본 실시예 및 도면 상에서는 사각형의 관통공 형상이지만, 그 크기, 형상, 재료, 수량 및 위치 등이 도면 및 설명에 개시된 형태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방수 단부(1b)는 그 형상이 소정 각도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외부공간과 인접하는 단부부분에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방수 단부(1b)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돌체(1)의 단부에 계단 형상의 방수 단부(1c)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방수 단부(1b)는 건축물의 담벽과 같이, 벽돌의 전, 후면이 모두 외부공간과 접하는 곳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전, 후 양단부에 모두 방수 단부(1b)가 형성될 수도 있다.
먼저, 본 고안의 건축용 벽돌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조적 공법과 유사하게 지그재그식으로 다수의 벽돌들을 적층함으로써, 조적 공사를 실시한다. 이러한 조적 작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돌을 한층씩 적층하면서 교착제 유입공(1a)사이로 모르타르와 같은 교착제(3)를 포설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벽돌은 그 접합면 사이에 교착제가 도포되지 않으므로, 벽돌의 적층이 완료된 후에, 종래의 조적 공법과 같이 별도의 최종 줄눈 메움 작업이 생략되며, 본 고안의벽돌에 의해 시공된 구조물은 그 조적 강도 및 접착 강도가 현저히 개선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 또는 각종 구조물의 모서리 부분은 수직으로 인접하는 단부면이 외부공간과 인접하므로, 방수 단부(1b)가 외부공간과 인접하는 각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건축용 벽돌은 도 4의 방수 단부(1a) 또는 도 6의 계단 형상의 방수 단부(1c)와 같은 각형 단부의 구조로 인해 그 조적 작업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조적된 벽돌 조립체의 내부를 외부 공간으로부터 밀폐시키므로, 눈, 빗물 등의 수분 침투가 방지되어 건물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눈, 빗물 등의 수분 침투가 방지되는 높은 방수성을 제공하여 건축물 또는 각종 구조물의 수명을 연장시키므로, 그 경제적 효과가 매우 뛰어나다.
또한, 본 고안은 줄눈 메움 작업 등과 부수적인 공정이 필요하지 않고, 그 조적 시공이 용이하고, 매우 견고한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건축물 또는 각종 구조물의 조적 시공에 소요되는 건축용 벽돌로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벽돌체; 및
    상기 벽돌체의 외부 공간과 인접하는 단부 부분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벽돌체가 다수 조적되었을 때, 상기 벽돌체의 줄눈 부분이 외부 공간으로부터 은폐되도록 형성되는 방수 단부를 포함하는 건축용 벽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단부는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건축용 벽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단부는 상기 벽돌체로부터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는 건축용 벽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돌체는 교착제가 포설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교착제 유입공이 그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건축용 벽돌.
KR2020010024926U 2001-08-17 2001-08-17 건축용 벽돌 KR2002549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926U KR200254904Y1 (ko) 2001-08-17 2001-08-17 건축용 벽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926U KR200254904Y1 (ko) 2001-08-17 2001-08-17 건축용 벽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4904Y1 true KR200254904Y1 (ko) 2001-11-26

Family

ID=73107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4926U KR200254904Y1 (ko) 2001-08-17 2001-08-17 건축용 벽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49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49831A (zh) * 2018-02-23 2018-06-12 王国辉 模块化建筑砖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49831A (zh) * 2018-02-23 2018-06-12 王国辉 模块化建筑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23559U (ja) 化粧コーナー材
EP1395720B1 (en) Panel, kit and method for forming a stone masonry wall
KR920002872B1 (ko) 유리블럭패널과그구성방법및이에사용되는연결구
US5964067A (en) Prefabricated building element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for building with them
KR101056186B1 (ko) 한옥용 벽체
KR20200126568A (ko) 방수구조
KR200254904Y1 (ko) 건축용 벽돌
CN210827824U (zh) 一种预制墙体的连接结构
KR102099728B1 (ko) 방수 타일
CN105064532A (zh) 一种具有保温效果的预制外墙结构及其制作方法
KR101607314B1 (ko) 한옥 벽체
KR200443596Y1 (ko) 조적식 황토벽돌의 구조
KR200394986Y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지수판의 연결구조
JP2007009655A (ja) 断熱瓦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屋根構造
CN219527995U (zh) 装配式墙体与地面砖基防水施工连接节点处防水结构
CN210737980U (zh) 一种用于仿古建筑墙面构建的外墙陶瓷板
KR200257173Y1 (ko) 기와
JPS6115142Y2 (ko)
CN208280344U (zh) 一种新型围护墙体结构
CN211447634U (zh) 一种用于设置室内下水管通道的槽体砖
KR101042626B1 (ko) 건축용 지붕 단열재
RU2133193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элемента строитель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и облицовочная керамическая плитка, используемая в способе
JPS6350338Y2 (ko)
JP3119768U (ja) 花壇組立物
KR20210015614A (ko) 방수 타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