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314B1 - 한옥 벽체 - Google Patents

한옥 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314B1
KR101607314B1 KR1020150047769A KR20150047769A KR101607314B1 KR 101607314 B1 KR101607314 B1 KR 101607314B1 KR 1020150047769 A KR1020150047769 A KR 1020150047769A KR 20150047769 A KR20150047769 A KR 20150047769A KR 101607314 B1 KR101607314 B1 KR 101607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all portion
hanok
trench
low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7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향미
김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한 에이텍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한 에이텍,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한 에이텍
Priority to KR1020150047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3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562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fillings between the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70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옥 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옥 시공시 장여와 황토벽체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한옥 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옥 벽체는 다수의 기둥들과, 상기 기둥들의 상부에 설치되는 장여와, 상기 장여의 상부에 설치되는 도리와, 상기 기둥들 사이에서 벽을 이루는 벽부를 포함하는 한옥 벽체에 있어서, 상기 장여는 상기 도리의 단면 중심에서 상기 벽부의 외측방향으로 편심되게 설치되며, 상기 벽부는 상기 장여의 하부에 형성되는 황토 소재의 외벽부와, 상기 외벽부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단부가 상기 외벽부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상기 도리의 하부에 접촉되는 내벽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한옥 벽체{wall of korean-style house}
본 발명은 한옥 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옥 시공시 장여와 황토벽체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한옥 벽체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는 현대적인 생활에 맞게 평면이 구성되어 바쁜 현대인들의 삶에 적합한 주택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이러한 인식에 따라 아파트들이 계속해서 증가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한옥에 대한 가치와 그 기능이 부각됨에 따라 한옥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다. 한옥은 궁궐, 사찰, 사당, 민가, 초가 등 기능과 구조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것이 있다.
종래의 한옥의 한 형태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주춧돌(1)의 상부에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다수의 기둥(2)이 세워지고, 기둥(2) 위에는 장여(5) 및 도리(4)가 세워지고, 도리(4)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대들보(6)가 세워진다. 대들보(6) 위에는 중도리(8) 및 중보(7)가 세워지고, 상기 중보(7)의 위에는 대공(9)이 세워진다. 그리고 도리(4) 및 중도리(8) 위에는 다수의 서까래들(10)이 걸쳐진다. 그리고 기둥(2)과 기둥(2) 사이에는 황토로 이루어진 황토 벽체(3)가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황토 벽체는 반죽 상태의 황토를 발라 시공한다. 황토반죽을 이용한 시공방법은 먼저 양측으로 세워진 기둥 사이에 중간보에 해당하는 중방을 수평으로 설치하여 벽의 외곽틀을 형성시킨다. 다음으로 황토와 짚 등을 물에 개어 만든 황토반죽을 외곽틀 내에 충전시켜 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한옥은 한국의 전통적인 외관을 가지며, 친환경적인 재료를 사용하여 지어지므로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방출되지 않는 장점을 가진다. 반면에 한옥은 벽이나 지붕 등의 단열성이 좋지 않아 에너지가 적게 드는 주택을 건축하려는 최근의 흐름과는 다소 거리를 가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289236호에는 목조주택 및 목조주택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목조조택은 주택의 기본골격을 이루는 장여, 도리 및 서까래 등에 단열재를 설치하여 목조주택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목조주택은 장여 또는 도리의 내부에 단열재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단열향상을 시도하고 있으나 벽체와 장여의 틈으로 유입되는 외기의 문제점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어 단열향상 효과가 미비하다.
장여는 통상적으로 기둥과 기둥 사이에 걸쳐지도록 설치되어 도리를 받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2)과 기둥(2) 사이에 형성되는 황토 벽체(3)의 좌우측은 기둥과 접하고, 상부는 장여(5)와 접한다. 황토 벽체는 현대의 콘크리트 벽체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가지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과정에서 수축되어 장여(5)와 황토 벽체(3) 사이에 틈새(15)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발생된 틈새에 의해 외부공기가 건물의 내부로 바로 유입됨으로써 단열성을 크게 저하시킨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289236호: 목조주택 및 목조주택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한옥 시공시 장여와 벽체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한옥 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옥 벽체는 다수의 기둥들과, 상기 기둥들의 상부에 설치되는 장여와, 상기 장여의 상부에 설치되는 도리와, 상기 기둥들 사이에서 벽을 이루는 벽부를 포함하는 한옥 벽체에 있어서, 상기 장여는 상기 도리의 단면 중심에서 상기 벽부의 외측방향으로 편심되게 설치되며, 상기 벽부는 상기 장여의 하부에 형성되는 황토 소재의 외벽부와, 상기 외벽부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단부가 상기 외벽부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상기 도리의 하부에 접촉되는 내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여의 상부에는 상기 도리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곡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리의 하부에는 상기 장여의 상단부 귀퉁이와 물리는 각진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리의 하부에는 상기 장여의 상단부 및 상기 내벽부의 상단부와 맞닿는 평평한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개부에는 상기 도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장여의 상부에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돌기부가 상기 장여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벽부와 상기 내벽부 사이에는 단열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한옥의 시공시 벽체를 외벽과 내벽의 이중구조로 형성하고 내벽을 도리와 맞닿게 형성함으로써 장여와 외벽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더라도 내벽에 의해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한옥 벽체를 나타내는 한옥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한옥벽체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한옥 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한옥 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한옥 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한옥 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에 따른 한옥 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한옥 벽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한옥 벽체는 다수의 기둥들(2)과, 기둥들(2)의 상부에 설치되는 장여(20)와, 장여(20)의 상부에 설치되는 도리(4)와, 기둥들(2) 사이에 형성되는 벽부(30)를 포함한다.
도 1과 같이 기둥들(2)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장여(20)는 기둥과 기둥 사이를 연결하도록 기둥(2)의 상부에 설치된다. 장여(20)는 기둥(2)의 상부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서까래나 보를 지지하기 위한 도리(4)는 장여(20)의 상부에 설치된다.
한옥 건축물에서 장여(20)는 도리(4)의 인장력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도리(4)의 이음 부분을 떠받아 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장여(20)는 기둥(2)과 기둥 사이에 걸쳐지도록 설치되어 도리(4)를 받친다. 통상적으로 장여는 도리의 단면 중심과 일치되어 도리의 하부에 설치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통상적인 구조와 달리 장여(20)는 도리(4)의 단면 중심에서 일측 방향으로 편심되게 설치된다. 도시된 예에서 장여(20)는 도리(4)의 단면 중심에서 벽부(30)의 외측방향으로 편심되게 설치된다. 이는 도리(4)의 하부에 후술할 내벽부(35)의 설치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장여(20)의 상부에는 곡면부(25)가 형성된다. 곡면부(25)는 단면이 원형인 도리(4)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벽부(30)는 기둥(2)과 기둥(2)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벽부(30)는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외벽부(31)가 벽부(30)의 외측을 이루고, 내벽부(35)가 벽부(30)의 내측을 이룬다.
외벽부(31)는 황토를 소재로 한다. 가령, 외벽부(31)를 형성하기 위해서 기둥(2)과 기둥(2) 사이에 싸리나 대발로 엮은 지지체를 일렬로 세운 후 지지체의 앞뒤로 물에 개인 황토 반죽을 발라 외벽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술한 외벽부(31)는 장여(20)의 하부에 형성된다. 벽체의 시공시 외벽부(30)의 상단부는 장여(20)의 하부에 접촉한다.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건조과정에서 황토소재의 외벽부(30)는 수축되어 장여(20)와 외벽부(31) 사이에 틈새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생된 틈새로 외부공기가 건물의 내부로 유입되면 단열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외벽부(31)의 수축에 의해 틈새가 발생하더라도 내벽부(35)가 외기의 유입을 막는 역할을 한다.
내벽부(35)의 상단부는 도리(4)의 하부에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내벽부(35)는 외벽부(31)보다 더 높게 형성된다. 내벽부(35)는 외벽부(31)의 내측면과 밀착하여 형성되거나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내벽부(35)가 외벽부(31)와 이격되어 형성된 경우 내벽부(35)와 외벽부(31) 사이의 빈 공간에는 단열재가 설치될 수 있다.
내벽부(35)는 황토벽돌을 쌓아올려 형성하거나, 통상적인 내부마감재로 형성할 수 있다. 황토반죽으로 형성되는 외벽부(31)와 달리 내벽부(35)는 수축이 없으므로 내벽부(35)와 도리(4)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외벽부(31)와 장여(20)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더라도 도리(4)의 하부에 형성된 내벽부(35)가 외기의 실내 유입을 차단한다.
도 5에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한옥벽체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리(50)의 하부에 설치되는 장여(40)는 단면이 사각형이다. 이러한 형태의 장여(40)가 도리(50)와 물릴 수 있도록 도리(50)의 하부에는 절개부(45)가 형성된다. 절개부(45)는 장여(40)의 상단부 귀퉁이와 물릴 수 있도록 단면이 원형인 도리(50)의 하부를 ㄱ자 형태로 각지게 파서 형성한다.
도 5와 같이 각지게 형성된 절개부(45)에 장여(40)의 상단부 일측 귀퉁이가 물리는 형태로 도리(50)에 결합되므로 도리(50)에 대한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기둥(2)과 기둥(2) 사이에 벽부(30)가 형성되고, 벽부(30)는 장여(40)의 하부에 형성된 외벽부(31)와 도리(50)의 하부에 형성된 내벽부(35)로 이루어짐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리고 도 6에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한옥벽체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도리(60)의 하부에는 평평한 절개부(65)가 형성되어 있다. 단면이 원형인 도리의 하부를 평평하게 깍아서 절개부(65)를 형성할 수 있다. 평평한 절개부(65)에는 장여(41)의 상단부와 내벽부(35)의 상단부가 맞닿는다.
기둥(2)과 기둥(2) 사이에 벽부(30)가 형성되고, 벽부(30)는 장여(41)의 하부에 형성된 외벽부(31)와 도리(60)의 하부에 형성된 내벽부(35)로 이루어짐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절개부(65)에는 도리(6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삽입홈(67)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67)은 절개부(65)에서 도리의 내부방향으로 일정 깊이로 인입된 홈으로 형성된다. 삽입홈(67)의 단면 형상은 도시된 ㄷ형 외에도 반호형, 삼각형, 더브테일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장여(70)의 상부에는 삽입홈(67)에 삽입되는 돌기부(75)가 장여(7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기둥(2)과 기둥(2) 사이에 벽부(30)가 형성되고, 벽부(30)는 장여(70)의 하부에 형성된 외벽부(31)와 도리(60)의 하부에 형성된 내벽부(35)로 이루어짐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부(31)와 내벽부(35) 사이에는 단열층(37)이 형성될 수 있다. 단열층(37)은 통상적인 단열재를 외벽부와 내벽부 사이에 넣어 형성한다.
기둥(2)과 기둥(2) 사이에 벽부(30)가 형성되고, 벽부(30)는 장여(4)의 하부에 형성된 외벽부(31)와 도리(60)의 하부에 형성된 내벽부(35)로 이루어짐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2: 기둥 4: 도리
20: 장여 30: 벽부
31: 외벽 35: 내벽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다수의 기둥들과, 상기 기둥들의 상부에 설치되는 장여와, 상기 장여의 상부에 설치되는 도리와, 상기 기둥들 사이에서 벽을 이루는 벽부를 포함하는 한옥 벽체에 있어서,
    상기 장여는 상기 도리의 단면 중심에서 상기 벽부의 외측방향으로 편심되게 설치되며,
    상기 벽부는 상기 장여의 하부에 형성되는 황토 소재의 외벽부와, 상기 외벽부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단부가 상기 외벽부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상기 도리의 하부에 접촉되는 내벽부를 구비하고,
    단면이 원형인 상기 도리의 하부를 평평하게 깍아서 상기 장여의 상단부 및 상기 내벽부의 상단부와 맞닿는 평평한 절개부가 상기 도리의 하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벽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에는 상기 도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장여의 상부에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돌기부가 상기 장여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벽체.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와 상기 내벽부 사이에는 단열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 벽체.
KR1020150047769A 2015-04-03 2015-04-03 한옥 벽체 KR101607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769A KR101607314B1 (ko) 2015-04-03 2015-04-03 한옥 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769A KR101607314B1 (ko) 2015-04-03 2015-04-03 한옥 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7314B1 true KR101607314B1 (ko) 2016-03-29

Family

ID=55662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7769A KR101607314B1 (ko) 2015-04-03 2015-04-03 한옥 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3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946A (ko) 2017-12-19 2019-06-27 심우승 한옥의 황토벽
KR20190073947A (ko) 2017-12-19 2019-06-27 심우승 한옥의 황토벽 시공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0184A (ja) * 1999-09-21 2001-04-03 Daiken Trade & Ind Co Ltd 木造建築物における壁構造とその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0184A (ja) * 1999-09-21 2001-04-03 Daiken Trade & Ind Co Ltd 木造建築物における壁構造とその施工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946A (ko) 2017-12-19 2019-06-27 심우승 한옥의 황토벽
KR20190073947A (ko) 2017-12-19 2019-06-27 심우승 한옥의 황토벽 시공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3546B1 (ko) 목재벽돌조립체
US2329585A (en) Double shell dry speed wall
KR101056186B1 (ko) 한옥용 벽체
US20090217610A1 (en) High insulation building system
KR101607314B1 (ko) 한옥 벽체
US20060010827A1 (en) Formwork element
US1597167A (en) Building construction
US1488726A (en) Concrete wall construction
US9309664B2 (en) Masonry unit systems and methods
KR101020395B1 (ko) 건축용 조립식 보온 벽돌 세트의 형성방법
KR200400095Y1 (ko) 건축용 조립식 벽돌 세트
US10961701B2 (en) Interlocking construction block
KR101839681B1 (ko) 건축용 조적식 블록세트
KR200365409Y1 (ko) 가스관 배관용 슬리브
JP3930016B2 (ja) 建築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7264990B2 (ja) 建築壁
KR102036435B1 (ko) 발포 세라믹 단열재용 고정앙카 및 그 고정앙카를 이용한 발포 세라믹 단열재 시공구조
KR200292420Y1 (ko) 건축용 블록
KR200292419Y1 (ko) 건축용 블록
CN104452981A (zh) 卫生间防渗水施工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458382B1 (ko) 건축용 블록
KR200273539Y1 (ko) 건축용 블록
KR20050093984A (ko) 황토 벽돌
KR100240827B1 (ko) 조립식 블록 및 그 시공방법
JPH0728262Y2 (ja) 建築物の床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