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539Y1 - 건축용 블록 - Google Patents

건축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539Y1
KR200273539Y1 KR2020020002292U KR20020002292U KR200273539Y1 KR 200273539 Y1 KR200273539 Y1 KR 200273539Y1 KR 2020020002292 U KR2020020002292 U KR 2020020002292U KR 20020002292 U KR20020002292 U KR 20020002292U KR 200273539 Y1 KR200273539 Y1 KR 2002735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uilding
blocks
rear por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22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옥
Original Assignee
최원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옥 filed Critical 최원옥
Priority to KR20200200022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5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5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539Y1/ko

Links

Landscapes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접 배치된 블록이 서로 맞물려 이에 의해 축조된 건축물의 구조적 강도가 현저히 향상될 뿐만 아니라, 우천시나 결로시 수분 유입이 방지되고,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별도의 마감작업을 하지 않더라도 단열성 및 난연성이 뛰어난 건축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제1특징에 따르면, 건물의 벽체를 축조하기 위한 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1)은 두께방향 중앙부를 횡단하는 가상의 구획선(D)을 중심으로 그 전방부(10)와 후방부(20)가 상하로 서로 단차지도록 형성되고, 이 전방부(10)와 후방부(20)의 내부에는 각각 소정의 공간부(14,24)가 형성되며, 이 공간부(14,24)에는 단열재(30,35)가 삽입되어 구성되며, 상기 블록(1)을 상하로 적층하게 되면, 블록(1)의 전방부(10)와 후방부(20)가 서로 맞물려 설치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블록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건축용 블록{Architectural block}
본 고안은 건축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접 배치된 블록이 서로 맞물려 이에 의해 축조된 건축물의 구조적 강도가 현저히 향상될 뿐만 아니라, 단열 및 방습효과가 뛰어나고, 별도의 외벽 마감작업을 하지 않더라도 미려한 건축물을 축조할 수 있도록 된 건축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건축용 블록은 대략 사각의 적벽돌 또는 시멘트벽돌로 제작되어 이를 적층하여 건물의 벽체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각각의 블록은 시멘트 몰탈 등으로 서로 부착하여 축조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블록에 의해 축조된 건축물은 적층된 각각의 블록 사이의 줄무늬 부위에 틈새가 발생되어, 이 틈새를 통해 우천시 등에 외부의 수분이 건물 내부로 쉽게 유입됨은 물론, 블록 자체의 단열성이 저하되어 이러한 블록만으로 축조된 건축물은 내부에 습기가 많이 차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블록은 서로 인접 배치된 각각의 블록이 시멘트몰탈의 부착력에 의해 서로 붙어있게 되므로, 벽체의 구조적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블록은 단열 및 방습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축조된 벽체 내측에 별도의 단열재를 대고, 이 단열재 내측에 불연성 석고보드를 설치하여 마감처리하는 등 별도의 후작업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건축물 축조작업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시공기간이 늘어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그 외에도, 이러한 블록에 의해 축조된 벽체는 화재시 상기 석고보드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어 그 내측에 위치된 단열재가 외부로 노출되면서 화재의 위험성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 외에도, 이러한 블록으로 축조된 건축물은 그 외벽면이 매우 단조로워 고급스러운 건축물을 축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외벽 장식용 마감재를 부착하는 공정이 요구되기도 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인접 배치된 블록이 서로 맞물려 이에 의해 축조된 건축물의 구조적 강도가 현저히 향상될 뿐만 아니라, 단열 및 방습효과가 뛰어나고, 별도의 외벽 마감작업을 하지 않더라도 미려한 건축물을 축조할 수 있도록 된 건축용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블록의 평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블록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블록의 적층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블록의 적층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블록의 적층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블록 10 : 전방부
11 : 돌출턱 17 : 분할홈
20 : 후방부 30,35 : 단열재
본 고안의 제1특징에 따르면, 건물의 벽체를 축조하기 위한 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1)은 두께방향 중앙부를 횡단하는 가상의 구획선(D)을 중심으로 그 전방부(10)와 후방부(20)가 상하로 서로 단차지도록 형성되고, 이 전방부(10)와 후방부(20)의 내부에는 각각 소정의 공간부(14,24)가 형성되며, 이 공간부(14,24)에는 단열재(30,35)가 삽입되어 구성되며, 상기 블록(1)을 상하로 적층하게 되면, 블록(1)의 전방부(10)와 후방부(20)가 서로 맞물려 설치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건축용 블록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제2특징에 따르면, 상기 블록(1)의 전방부(10)와 후방부(20)는 상기 가상의 구획선(D)을 중심으로 폭방향으로도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어 구성되며, 이 블록(1)을 폭방향으로 연접 배치하면 블록(1)의 전방부(10)와 후방부(20)가 서로 맞물려 설치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블록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제3특징에 따르면, 상기 블록(1)의 전방 벽면은 하부로 갈수록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져 형성되고, 이 경사부(13)의 하단은 블록(1)의 저면 아래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돌출턱(11)을 형성하며, 이 경사부(13)에는 상하로 길게 연장된 파형의 골(16)과 산(15)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블록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제4특징에 따르면, 상기 블록(1)의 두께방향 소정위치에는 분할홈(17)이 블록(1)의 높이방향 또는 폭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블록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블록의 사시도와 사용상태를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건축용 블록은 그 전방부(10)와 후방부(20)가 상하로 단차져 형성됨과 더불어, 폭방향으로도 서로 어긋나도록 형성되어 벽체 축조시 이 전방부(10)와 후방부(20)가 서로 맞물려 벽체를 견고하게 축조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전방부(10)와 후방부(20)의 내부에는 각각 단열재(30,35)가 삽입되어 단열 및 방습효과를 높인 것이다. 그 외에도, 상기 블록(1)의 전방벽면에는 하부로 갈수록 전방으로 돌출된 경사부(13)를 형성하되, 이 경사부(13)에는 다수개의 산(15)과 골(16)을 갖는 파형면을 형성하여 별도의 마감장식재 설치공정이 불필요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블록(1)은 두께방향 중앙부를 횡단하는 가상의 구획선(D)을 중심으로 전방부(10)와 후방부(20)로 구획되어 이 전방부(10)와 후방부(20)가 상하로 단차지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폭방향으로도 서로 어긋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블록(1)을 이용하여 벽체를 축조하게 되면, 서로 인접 배치된 블록(1)의 전방부(10)와 후방부(20)가 서로 맞물려 견고한 벽체를 이룰 수 있게 됨과 더불어, 블록(1)이 서로 맞물려 설치됨에 따라 블록(1)과 블록(1) 사이의 틈새(G)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블록(1)의 전방부(10)와 후방부(20)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부(14,24)가 형성되어 이 공간부(14,24)에 단열재(30,35)가 삽입되어 블록(1)의 단열 및 방습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단열재(30,35)는 블록(1)의 두께방향으로 투시하였을 때 상하 및 좌우로도 서로 어긋나게 포개지도록 설치되어 서로 인접된 블록(1)의 전방단열재(30)와 전방단열재(30) 사이를 통과한외부의 온도가 후방단열재(25)에 의해 차단되도록 함이 단열 및 방습효과를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블록(1)은 그 전방벽면이 하부로 갈수록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져 형성되고, 이 경사부(13)의 하단은 블록(1)의 저면 아래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돌출턱(11)을 형성하며, 이 경사부(13)에는 상하로 길게 연장된 다수개의 골(16)과 산(15)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블록(1)을 적층하게 되면 상기 돌출턱(11)이 하부블록(1)의 상단 전방을 커버하므로써, 외부의 수분이 상하부 블록(1) 사이의 틈새(G)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그 외에도, 상기 돌출턱(11)의 저면에는 상부로 오목한 물끊기홈(12)이 블록(1)의 폭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어 우천시 등에 물이 블록(1)의 표면을 따라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상기 블록(1) 전방벽면에는 파형의 골(16)과 산(15)을 상하로 길게 연장 형성하여 별도의 장식용 마감재를 건축물의 외벽에 붙이지 않더라도, 건축물의 외관이 미려하게 마감된다.
또한, 상기 블록(1)의 두께방향 소정위치에는 분할홈(17)이 블록(1)의 높이방향 또는 폭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어 이 분할홈(17) 주변을 타격하게 되면, 블록(1)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분할홈(17)을 따라 분할된다. 이렇게 절단된 블록(1)은 도 4와 도 5에서와 같이, 건축물의 기둥(45)이나 다층건물의 각층 바닥(40)이 벽체 내측까지 연장 형성되도록 시공될 경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건축용 블록은 전후방부(10,20)로 나뉘어져 이전방부(10)와 후방부(20)가 높이방향은 물론 폭방향으로도 서로 엇갈리게 단차져 형성되어 벽체 축조시 서로 인접된 블록(1)의 전방부(10)와 후방부(20)가 서로 맞물려 구조적으로 견고한 벽체를 구성함은 물론, 각각의 블록(1)이 서로 맞물려 설치됨에 따라 블록(1)과 블록(1) 사이의 틈새(G)가 차단되어 전술한 수분유입의 차단효과 및 단열효과 등이 더욱 향상된다. 그 외에도, 각각의 블록(1)이 서로 들어맞도록 맞물려 설치되므로, 축조된 벽체의 내외벽면이 울퉁불퉁하지 않고 동일평면을 이루게 되어 별도의 후작업을 거치지 않더라도 깔끔하게 마감된다.
또한, 상기 건축용 블록은 전방부(10)와 후방부(20)에 블록(1)의 두께방향으로 투시하였을 때 서로 엇갈려 포개지도록 2중의 단열재(30,35)가 구비되어 이에 의해 축조된 건축물에 별도의 단열재 시공을 하지 않더라도 단열 및 방습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화재시에도 상기 단열재(30,35)가 종래의 석고보드와는 다른 견고한 벽체 내부에 매입되어 있으므로, 벽체 내부의 단열재(30,35)에 불이 붙을 염려가 없으며, 경우에 따라 누전 등으로 단열재(30,35)에 불이 붙더라도 이 단열재(30,35)가 블록(1)에 의해 둘러싸여져 원활한 산소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불이 확산되지 않고 바로 소화되어 난연성이 뛰어난 건축물이 축조된다. 더불어, 상기 건축용 블록은 종래와 같이 건축물 축조 후 별도로 단열재 및 석고보드 등을 설치하는 후공정이 불필요함에 따라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건축비가 줄어드는 등의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그 외에도, 상기 블록(1)은 상하로 적층하게 되면, 상기 돌출턱(11)이 하부블록(1)의 상단 전방을 커버하므로써, 외부의 수분이 상하부 블록(1) 사이의틈새(G)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방벽면에는 파형의 골(16)과 산(15)을 상하로 길게 연장 형성하여 별도의 장식용 마감재를 건축물의 외벽에 붙이지 않더라도, 건축물의 외관이 미려하게 마감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건축용 블록은 서로 인접된 블록(1)이 서로 맞물려 설치됨에 따라 구조적으로 견고한 벽체를 구성함은 물론, 블록(1)과 블록(1) 사이의 틈새(G)가 차단되어 단열 및 방습효과가 향상된다. 더욱이, 블록(1)의 전방부(10)와 후방부(20)에는 서로 엇갈려 포개지는 위치에 2중의 단열재(30,35)가 구비되어 별도의 단열재 시공을 하지 않더라도 단열 및 방습효과가 뛰어난 건축물을 축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은 화재시에도 벽체에 매입된 단열재(30,35)에 불이 붙을 염려가 없어 난연성이 뛰어난 건축물이 축조되고, 전방벽면에 파형의 골(16)과 산(15)이 형성되어 별도의 장식용 마감재 설치공정이 줄어드는 등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Claims (3)

  1. 건물의 벽체를 축조하기 위한 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1)은 두께방향 중앙부를 횡단하는 가상의 구획선(D)을 중심으로 그 전방부(10)와 후방부(20)가 상하로 서로 단차지도록 형성되고, 이 전방부(10)와 후방부(20)의 내부에는 각각 소정의 공간부(14,24)가 형성되며, 이 공간부(14,24)에는 단열재(30,35)가 삽입되어 구성되며, 상기 블록(1)을 상하로 적층하게 되면, 블록(1)의 전방부(10)와 후방부(20)가 서로 맞물려 설치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1)의 전방부(10)와 후방부(20)는 상기 가상의 구획선(D)을 중심으로 폭방향으로도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어 구성되며, 이 블록(1)을 폭방향으로 연접 배치하면 블록(1)의 전방부(10)와 후방부(20)가 서로 맞물려 설치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블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1)의 전방 벽면은 하부로 갈수록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져 형성되고, 이 경사부(13)의 하단은 블록(1)의 저면 아래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돌출턱(11)을 형성하며, 이 경사부(13)에는 상하로 길게 연장된 파형의 골(16)과 산(15)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블록.
KR2020020002292U 2002-01-24 2002-01-24 건축용 블록 KR2002735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292U KR200273539Y1 (ko) 2002-01-24 2002-01-24 건축용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292U KR200273539Y1 (ko) 2002-01-24 2002-01-24 건축용 블록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202A Division KR100458382B1 (ko) 2002-05-21 2002-05-21 건축용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3539Y1 true KR200273539Y1 (ko) 2002-04-25

Family

ID=73072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292U KR200273539Y1 (ko) 2002-01-24 2002-01-24 건축용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5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709B1 (ko) 2005-06-08 2007-04-27 구경회 건축용 벽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709B1 (ko) 2005-06-08 2007-04-27 구경회 건축용 벽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860713A1 (ru) Элемент кровельного покрыти
KR101353546B1 (ko) 목재벽돌조립체
US20130298497A1 (en) Tile Kit and Method
KR20110071099A (ko) 벽을 위한 합성 패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EP3610091B1 (en) Interlocking construction block
KR101056186B1 (ko) 한옥용 벽체
JP7066896B2 (ja) 集合住宅
KR200273539Y1 (ko) 건축용 블록
KR100458382B1 (ko) 건축용 블록
KR100804088B1 (ko) 경량 단열블록
US2680267A (en) Corner element
KR200292419Y1 (ko) 건축용 블록
WO2014033333A1 (es) Sistema de construcción de forjados. tabiques. paneles de recrecido y cerramientos para viviendas y similares
KR200286068Y1 (ko) 건축용 블록
KR20030063812A (ko) 건축용 블록
KR200292420Y1 (ko) 건축용 블록
KR101607314B1 (ko) 한옥 벽체
JP5232071B2 (ja) 軒先構造
JP7264990B2 (ja) 建築壁
EP2703574B1 (en) Insulating element
KR101448197B1 (ko) 건축자재용 장식 단열블록
CN107965109A (zh) 保温防火装饰一体化外模板系统
ES2399769B1 (es) Sistema de construccion de tabiques para viviendas y similares
JP2003232114A (ja) 壁パネル及び壁パネルの重ね合わせ構造
CN212224494U (zh) 一种隔热墙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20

Year of fee payment: 3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