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5430B1 - 물 공급량 제어 기능을 갖춘 물걸레 - Google Patents

물 공급량 제어 기능을 갖춘 물걸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5430B1
KR101675430B1 KR1020150116542A KR20150116542A KR101675430B1 KR 101675430 B1 KR101675430 B1 KR 101675430B1 KR 1020150116542 A KR1020150116542 A KR 1020150116542A KR 20150116542 A KR20150116542 A KR 20150116542A KR 101675430 B1 KR101675430 B1 KR 101675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ter
flow path
housing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6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정
박승현
Original Assignee
박민정
박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정, 박승현 filed Critical 박민정
Priority to KR1020150116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54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6Other cleaning devices with liquid supply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물 공급량 제어 기능을 갖춘 물걸레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제1유로가 형성되며, 내부로 공급된 물을 상기 제1유로를 통해 일 단부 측으로 배출시키는 밀대 유닛; 상기 밀대 유닛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내부에 저장되어진 물을 상기 제1유로로 제공하는 물 공급 용기; 및 저면에는 걸레가 결합되며, 일측에는 상기 밀대 유닛의 일 단부측이 연결되며, 내부에는 상기 밀대 유닛의 일단부 측으로부터 배출되어지는 물이 유입되어 상기 저면에 결합되어진 걸레에 제공되어 지도록 제2유로가 형성되는 헤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밀대 유닛은, 상기 제1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밀대 하우징; 상기 물 공급 용기로부터 상기 제1유로 내로 제공되는 물을 상기 밀대 하우징의 일 단부 측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플런저(Plunger); 및 상기 플런저의 최초 가압 위치를 제어하는 변위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물 공급량 제어 기능을 갖춘 물걸레 {WATER DUSTER CLEANER WITH WATER SUPPLY CONTROL CAPABILITIES}
본 발명은 물걸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청소 기구 이용의 편의성을 개선하여 이용자가 느끼는 체력적 부담을 절감시키거나 청소 성능을 개선하여 이용자가 청소를 조금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여, 청소 기구의 이용 시 발생하는 많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성 청소 기구들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나 청소에 사용되어지는 다양한 청소 기구 중에서 물을 적셔 바닥을 닦는 용도로 사용되어지는 물걸레의 경우 많은 장소에서 수 없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를 이용하여 청소함에 있어서는 많은 불편함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물걸레를 이용한 청소 시 물걸레에 묻어 있는 물의 탈수 작업 효율 및 작업 결과를 개선하기 위해 마련된 기능성 물걸레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33701호의 "물 제거하는 기능을 갖는 마대걸레"(이하, '종래기술1'이라고 함)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1을 비롯한 기존의 기능성 물걸레의 경우, 청소가 전부 이루어지고 난 후 물걸레에 묻어 있는 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있을 뿐, 물걸레를 이용한 청소 과정에서 이용자가 지속적으로 걸레에 물을 적셔 이용해야하는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하는 부분이 결여되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내부에 물 공급 수단을 별도로 마련하여 청소가 이루어지는 동안 지속적인 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기능성 물걸레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67849호의 "물걸레 청소기"(이하, '종래기술2'이라고 함)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2을 비롯한 기존의 물 공급 수단을 별도로 갖추고 있는 기능성 물걸레의 경우, 걸레에 물을 공급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의사를 반영한 공급제어가 효과적으로 제공되지 못하였으며, 걸레를 적시고 바닥을 닦기 위해 공급되는 물의 양이 사용자에 의해 인위적으로 조작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물걸레의 청소 환경을 이용자가 매 상황마다 판단하여 이에 적합한 물 공급량을 제어하고, 물 공급이 필요한 순간에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걸레가 적셔질 수 있도록 마련된 물걸레를 본 발명을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물걸레를 이용하여 청소함에 있어서 걸레의 마름 정도를 판단하여 실시간으로 원하는 순간에 원하는 양만큼의 물을 걸레에 제공하여 적신 뒤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 공급량 제어 기능을 갖춘 물걸레는, 내부에 제1유로가 형성되며, 내부로 공급된 물을 상기 제1유로를 통해 일 단부 측으로 배출시키는 밀대 유닛; 상기 밀대 유닛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내부에 저장되어진 물을 상기 제1유로로 제공하는 물 공급 용기; 및 저면에는 걸레가 결합되며, 일측에는 상기 밀대 유닛의 일 단부측이 연결되며, 내부에는 상기 밀대 유닛의 일단부 측으로부터 배출되어지는 물이 유입되어 상기 저면에 결합되어진 걸레에 제공되어 지도록 제2유로가 형성되는 헤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밀대 유닛은, 상기 제1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밀대 하우징; 상기 물 공급 용기로부터 상기 제1유로 내로 제공되는 물을 상기 밀대 하우징의 일 단부 측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플런저(Plunger); 및 상기 플런저의 최초 가압 위치를 제어하는 변위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밀대 하우징 내 제1유로에 기밀(氣密)상태를 유지하며 승강 가능한 형태로 삽입되어진 피스톤부; 일 단부가 상기 피스톤부의 상기 밀대 하우징 타 단부 측 타면에 접하며 타 단부가 상기 밀대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어지며, 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제1유로 내에 삽입되어지는 로드부; 및 상기 제1유로 중 상기 피스톤부의 상기 밀대 하우징 일 단부 측 일면과 상기 밀대 하우징의 일 단부 사이 공간에 삽입되어지는 스프링부;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밀대 유닛은, 상기 밀대 하우징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물 공급 용기가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어지며, 내부에 상기 물 공급 용기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1유로 내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3유로가 형성되는 용기 안착 소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유로의 상기 제1유로 측과 연결되어지는 단부는 상기 피스톤부의 상기 밀대 하우징 일 단부 측 일면과 상기 밀대 하우징의 일 단부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로드부의 중단 부분에는 직경이 확장되어진 돌출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변위부재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밀대 하우징의 내주면과 나사 결합되어지고, 내부에 상기 로드부가 관통되어진 변위부; 및 상기 변위부의 상기 밀대 하우징 타 단부 측 단부에 결합되어져 회전을 통해 상기 변위부의 위치를 상기 밀대 하우징의 내주면과의 나사 결합 구조를 따라 승강 이동시키는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변위부의 상기 밀대 하우징 일 단부 측 단부는 상기 돌출부분의 걸림턱으로 기능하여 상기 로드부의 상승 이동을 제한하고, 하강 이동을 유발한다.
그리고 상기 헤드 유닛의 상면에는 상기 헤드 유닛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제2유로의 타 단부에 해당하여 상기 밀대 유닛의 일 단부 측으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멍이 형성되는 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헤드 유닛의 저면에는 상기 제2유로의 일 단부에 해당하는 다수의 살수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헤드 유닛의 저면 중 상기 다수의 살수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공간에 상기 걸레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밀대 유닛의 일 단부와 상기 헤드 유닛의 상면에 마련된 결합부는 연성 재질의 배관 구조를 가지는 연결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아울러, 상기 물 공급량 제어 기능을 갖춘 물걸레는, 상기 밀대 유닛의 일 단부, 상기 헤드 유닛의 상면에 마련된 결합부 및 상기 연결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밀대 유닛의 일 단부와는 고정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와는 흰지 결합되어지는 각도조절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용자가 청소 중 헤드 유닛 저면에 설치되어진 걸레를 적시기 위해 물의 공급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순간 로드부의 조작을 통해 간단하게 걸레를 실시간으로 적셔 지속적인 사용을 할 수 있다.
둘째, 걸레를 적시기 위해 공급되는 물의 양을 사용자가 원하는 수준으로 조절 가능함에 따라 물이 과도하게 공급되거나 물이 너무 적게 공급되어 청소 효율성을 저해시키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물 공급량 제어 기능을 갖춘 물걸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물 공급량 제어 기능을 갖춘 물걸레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 및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물 공급량 제어 기능을 갖춘 물걸레의 물 공급 동작 형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물 공급량 제어 기능을 갖춘 물걸레의 물 공급량 제어 형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1. 물 공급량 제어 기능을 갖춘 물걸레의 구성요소에 관한 설명
도1 내지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물 공급량 제어 기능을 갖춘 물걸레(1000)는 밀대 유닛(100); 물 공급 용기(200); 및 헤드 유닛(300);을 포함한다.
밀대 유닛(100)은 내부에 제1유로(110P)가 형성되며, 내부 제1유로(110P)로 공급된 물을 제1유로(110P)를 통해 일 단부 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이를 위해 밀대 하우징(110), 플린저(120), 변위부재(130) 및 용기 안착 소켓(140)을 포함한다.
여기서, 밀대 하우징(110)은 내부에 제1유로가 형성되는 봉 형태의 밀대 외형을 구성하는 요소로써, 내부로 공급되는 물을 일 단부 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각종 구성들이 내부에 수용되어진다.
또한, 플런저(120, Plunger)는 물이 저장되어져 있는 물 공급 용기(200)로부터 밀대 하우징(110)의 내부 제1유로(110P)에 제공되는 물을 가압하여 밀대 하우징(110) 일 단부 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플런저(120)와 밀대 하우징(110) 일 단부 사이의 제1유로(110P) 공간은 물이 채워지는 공간으로 플런저(Plunger)의 작동에 따라 이와 같은 공간의 부피는 줄어들고 이에 따라 내부에 채워진 물은 가압되어 밀대 하우징(110) 일 단부 측으로 배출된다.
이를 위해 플런저(120)는 제1유로(110P)에 승강 가능하도록 삽입되어지는 피스톤부(121)와 피스톤부(122)에 접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피스톤부(121)를 밀대 하우징(110) 일 단부 측으로 가압하여 밀어낼 수 있는 로드부(122) 및 로드부(122)에 가해지는 압력이 해제되었을 경우 피스톤부(121)의 위상을 가압 전으로 회복시키기 위한 스프링부(123)로 마련된다.
우선, 피스톤부(121)는 밀대 하우징(110) 일 단부 측 일면에 패킹부재가 설치되어 삽입되어진 제1유로(110P) 내에서 승강 가능하게 움직이되 내부 기밀(氣密)상태를 유지하여 밀대 하우징(110) 타 단부 측으로의 누수 방지 및 물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로드부(122)는 일 단부가 피스톤부(121) 밀대 하우징(110) 타 단부 측 타면에 접하며, 타 단부는 밀대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되어져 사용자가 편의하게 로드부(122)의 위상을 밀대 하우징(110) 일 단부 측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아울러, 로드부(122)의 타 단부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동작 상의 편의를 위해 별도의 손잡이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피링부(123)는 제1유로(110P)를 형성하는 내부 공간 중 피스톤부(121)의 밀대 하우징(110) 일 단부 측 일면 또는 패킹부재의 밀대 하우징(110) 일 단부 측 일면과 밀대 하우징(110) 일 단부 사이 공간에 삽입되어져 로드부(122)의 가압에 의한 피스톤부(121)의 밀대 하우징(110) 일 단부 측 이동에 대한 반발력을 제공하여 로드부(122)의 가압이 해제될 시 피스톤부(121)의 위상을 복원시킨다.
그리고 변위부재(130)는 플런저(120)의 최초 가압 위치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로드부(122)의 위상을 제어하여 로드부(122)의 가압 가능 궤적을 변위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로드부(122)의 중단 부분에는 직경이 제1유로(110P) 내에서 승강 가능한 수준을 확장되어 돌출형 연장 형성 부분을 이루는 돌출부분(122T)이 형성되고, 이와 같은 돌출부분(122T)에 의해 변위부재(130)와 로드부(122)는 연동되어진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변위부재(130)는 밀대 하우징(110)의 내주면 중 나사산 구조가 형성되어진 부분에 나사 결합되기 위한 대응되는 나사산 구조가 외주면 상에 형성되어지고 내부에 로드부(122)가 승강 가능하도록 관통되어진 변위부(131)와 변위부(131)의 타 단부(밀대 하우징(110) 타 단부 측 단부)에 결합되며 외부로 노출되어져, 사용자의 회전에 의해 변위부(131)의 나사 풀림을 유발하는 조절부(13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조절부(132)는 회전을 통해 변위부(131)가 밀대 하우징(110)의 내주면과 형성하고 있는 나사 결합 구조를 따라 승강 이동되어질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변위부(131)의 일 단부(밀대 하우징(110) 일 단부 측 단부)는 로드부의 돌출부분(122T)에 대한 걸림턱으로 기능하게 되는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위부(131)가 사용자의 조절부(132) 조작에 의해 나사산을 따라 하강 이동될 경우 로드부(122)의 하강을 유발하여 플린저(120)의 최초 가압위치를 낮추게 되고 배출되어지는 물의 양을 적게 조절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변위부(131)가 사용자의 조절부(132) 조작에 의해 나사산을 따라 상승 이동될 경우 로드부(122)의 상승을 유발하되 상승 위치를 제한하여 플린저(120)의 최초 가압위치를 높이게 되고 배출되어지는 물의 양을 많게 조절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그리고 밀대 유닛(100)은 물 공급 용기가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밀대 하우징(110) 일측에 일체로 결합되는 용기 안착 소켓(14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용기 안착 소켓(140)은 물 공급 용기(200)가 착탈 가능하게 안착 결합되어지며, 내부에 제3유로(140P)가 형성되어 물 공급 용기(200)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제1유로(110P)로 이동되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용기 안착 소켓(140) 내부에 형성된 제3유로(140P)의 제1유로(110P)측과 연결되는 단부는 피스톤부(121)의 밀대 하우징(110) 일 단부 측 일면 또는 패킹부재의 밀대 하우징(110) 일 단부 측 일면과 밀대 하우징(110) 일 단부 사이 공간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며, 이러한 제1유로(110P)측과 연결되는 제3유로(140P)의 단부에는 체크밸브(미도시) 설치되어 물의 배출 과정 및 물의 배출 대기 과정 상에서 제3유로(140P) 내부로의 역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헤드 유닛(300)은 밀대 유닛(100)의 일 단부 측과 연결되어 제1유로(110P)로부터 배출되어지는 물이 유입되어지며, 이를 위해 내부에는 제2유료(300P)가 형성되어져 있다.
여기서, 헤드 유닛(300)의 저면에는 제2유료(300P)의 일 단부에 해당하는 다수의 살수 구멍(300P'')이 형성되어져 있고, 헤드 유닛(300)의 저면 중 다수의 살수 구멍(300P'')이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공간에는 걸레(320)가 결합되어져 있다.
따라서 제2유료(300P)로 유입된 물은 다수의 살수 구멍(300P'')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주변에 설치되어진 걸레(320)에 흡수되어진다.
또한, 헤드 유닛(300)의 상면에는 상측(밀대 유닛(100)의 일 단부가 연결되어지는 측면)으로 돌출되어 연장 형성 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밀대 유닛(100)의 일 단부 측으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멍(300P')으로 기능하는 결합부(310)가 마련된다.
따라서, 제2유료(300P)의 일 단부는 헤드 유닛(300)의 저면의 다수의 살수 구멍(300P'')에 해당하고, 타 단부는 헤드 유닛(300)의 상면의 유입구멍(300P')에 해당한다.
아울러, 밀대 유닛(100)의 일 단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밀대 하우징(110)의 일 단부와 헤드 유닛(300)의 결합부(310)는 중공의 원통형상(배관 구조)을 띠며 실리콘과 같은 연성 재질로 마련되는 연결부재(40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지며, 이는 밀대 유닛(100)의 헤드 유닛(300)에 대한 각도 및 위상의 가변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물의 이동 경로가 차단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물 공급량 제어 기능을 갖춘 물걸레(1000)는 각도조절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도조절부재(500)는 밀대 하우징(110)의 일 단부와 헤드 유닛(300)의 결합부(310) 및 이 둘을 연결하는 연결부재(400)를 수용하여 외측을 감싸고, 밀대 하우징(110)의 일 단부와는 고정 결합되고, 헤드 유닛(300)의 결합부(310)와는 흰지 구조(500H)를 가지고 결합되어 밀대 유닛(100)이 헤드 유닛(300)에 대한 기울임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2. 물 공급량 제어 기능을 갖춘 물걸레의 작동형태에 관한 설명
우선, 도3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물 공급량 제어 기능을 갖춘 물걸레(1000)의 물 공급 형태에 대해 설명하면, 플런저(120)의 조작에 의해 피스톤부(121)의 밀대 하우징(110) 일 단부 측 일면 또는 패킹부재의 밀대 하우징(110) 일 단부 측 일면과 밀대 하우징(110) 일 단부 사이 공간의 변화가 발생하고 이러한 공간에서 대기 중이던 물은 개방되어진 밀대 하우징(110) 일 단부 측으로 배출되어 헤드 유닛 내 제2유로(300P)로 이동되어지고, 결과적으로 걸레(320)가 적셔지게 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120) 내 로드부(122)의 타 단부가 사용자에 의해 일 단부 측으로 가압되어지면, 로드부(122)는 피스톤부(121)를 일 단부 측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는 피스톤부(121)의 일면 또는 패킹부재의 일면과 밀대 하우징(110) 일 단부 사이 공간의 축소를 유발하여 내부에 대기 중이던 물이 밀대 하우징(110) 일 단부를 통해 배출되어 연결부재(400)를 거친 뒤 최종적으로 헤드 유닛(300) 내 제2유로(300P)로 이동되어 걸레(320)를 적시게 된다.
이 후, 사용자가 플런저(120) 내 로드부(122)의 타 단부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고 나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부(123)는 피스톤부(121)를 타 단부 측으로 복원 이동시키게 되고, 이는 피스톤부(121)의 일면 또는 패킹부재의 일면과 밀대 하우징(110) 일 단부 사이 공간의 확장을 유발하여 물 공급 용기(200) 내 저장되어져 있던 물이 제3유로(140P)를 통해 제1유로(110P)로 이동되도록 함에 따라 피스톤부(121)의 일면 또는 패킹부재의 일면과 밀대 하우징(110) 일 단부 사이 공간에 물이 채워지게 된다.
그리고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물 공급량 제어 기능을 갖춘 물걸레(1000)의 물 공급량 제어 형태에 대해 설명하면, 사용자는 변위부재(130) 내 조절부(132)를 회전시켜 이에 결합되어진 변위부(131)가 나사 결합 구조를 따라 승강 이동하도록 하여 플런저(120)의 최초 가압 위치를 변위시킨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132)가 회전함에 따라 변위부(131)가 나사산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면 변위부(131)의 일 단부에 걸려진 로드부의 돌출부분(122T)이 이에 연동되어져 아래로 같이 이동하게 되고, 이는 결과적으로 플런저(120) 내 로드부(122)의 타 단부에 대한 가압 전 플런저(120)의 위치 및 가압 가능 궤적을 낮추고 피스톤부(121)의 일면 또는 패킹부재의 일면과 밀대 하우징(110) 일 단부 사이 공간을 축소하여 플런저(120) 내 로드부(122)의 타 단부에 대한 가압 시 배출되는 물의 공급량을 낮추게 된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5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 물걸레
100 : 밀대 유닛
110 : 밀대 하우징
110P : 제1유로
120 : 플런저
121 : 피스톤부
122 : 로드부
123 : 스프링부
130 : 변위부재
131 : 변위부
132 : 조작부
140 : 용기 안착 소켓
140P : 제3유로
200 : 물 공급 용기
300 : 헤드 유닛
310 : 결합부
320 : 걸레
300P : 제2유로
400 : 연결부재
500 : 각도조절부재

Claims (7)

  1. 내부에 제1유로가 형성되며, 내부로 공급된 물을 상기 제1유로를 통해 일 단부 측으로 배출시키는 밀대 유닛;
    상기 밀대 유닛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내부에 저장되어진 물을 상기 제1유로로 제공하는 물 공급 용기; 및
    저면에는 걸레가 결합되며, 일측에는 상기 밀대 유닛의 일 단부측이 연결되며, 내부에는 상기 밀대 유닛의 일단부 측으로부터 배출되어지는 물이 유입되어 상기 저면에 결합되어진 걸레에 제공되어 지도록 제2유로가 형성되는 헤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밀대 유닛은,
    상기 제1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밀대 하우징;
    상기 물 공급 용기로부터 상기 제1유로 내로 제공되는 물을 상기 밀대 하우징의 일 단부 측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플런저(Plunger); 및
    상기 플런저의 최초 가압 위치를 제어하는 변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밀대 하우징 내 제1유로에 기밀(氣密)상태를 유지하며 승강 가능한 형태로 삽입되어진 피스톤부;
    일 단부가 상기 피스톤부의 상기 밀대 하우징 타 단부 측 타면에 접하며 타 단부가 상기 밀대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어지며, 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제1유로 내에 삽입되어지는 로드부; 및
    상기 제1유로 중 상기 피스톤부의 상기 밀대 하우징 일 단부 측 일면과 상기 밀대 하우징의 일 단부 사이 공간에 삽입되어지는 스프링부;을 포함하며,
    상기 로드부의 중단 부분에는 직경이 확장되어진 돌출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변위부재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밀대 하우징의 내주면과 나사 결합되어지고, 내부에 상기 로드부가 관통되어진 변위부; 및
    상기 변위부의 상기 밀대 하우징 타 단부 측 단부에 결합되어져 회전을 통해 상기 변위부의 위치를 상기 밀대 하우징의 내주면과의 나사 결합 구조를 따라 승강 이동시키는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변위부의 상기 밀대 하우징 일 단부 측 단부는 상기 돌출부분의 걸림턱으로 기능하여 상기 로드부의 상승 이동을 제한하고, 하강 이동을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공급량 제어 기능을 갖춘 물걸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 유닛은,
    상기 밀대 하우징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물 공급 용기가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어지며, 내부에 상기 물 공급 용기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1유로 내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3유로가 형성되는 용기 안착 소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유로의 상기 제1유로 측과 연결되어지는 단부는 상기 피스톤부의 상기 밀대 하우징 일 단부 측 일면과 상기 밀대 하우징의 일 단부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공급량 제어 기능을 갖춘 물걸레.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닛의 상면에는 상기 헤드 유닛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제2유로의 타 단부에 해당하여 상기 밀대 유닛의 일 단부 측으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멍이 형성되는 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헤드 유닛의 저면에는 상기 제2유로의 일 단부에 해당하는 다수의 살수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헤드 유닛의 저면 중 상기 다수의 살수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공간에 상기 걸레가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공급량 제어 기능을 갖춘 물걸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 유닛의 일 단부와 상기 헤드 유닛의 상면에 마련된 결합부는 연성 재질의 배관 구조를 가지는 연결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공급량 제어 기능을 갖춘 물걸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량 제어 기능을 갖춘 물걸레는,
    상기 밀대 유닛의 일 단부, 상기 헤드 유닛의 상면에 마련된 결합부 및 상기 연결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밀대 유닛의 일 단부와는 고정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와는 흰지 결합되어지는 각도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공급량 제어 기능을 갖춘 물걸레.
KR1020150116542A 2015-08-19 2015-08-19 물 공급량 제어 기능을 갖춘 물걸레 KR101675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542A KR101675430B1 (ko) 2015-08-19 2015-08-19 물 공급량 제어 기능을 갖춘 물걸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542A KR101675430B1 (ko) 2015-08-19 2015-08-19 물 공급량 제어 기능을 갖춘 물걸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5430B1 true KR101675430B1 (ko) 2016-11-16

Family

ID=57540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6542A KR101675430B1 (ko) 2015-08-19 2015-08-19 물 공급량 제어 기능을 갖춘 물걸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54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2791A (zh) * 2018-10-31 2019-01-18 李爽 多功能拖把及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0029A (ja) * 1989-09-22 1991-05-10 Fuji Heavy Ind Ltd プレス型の加工方法
JPH03114002A (ja) * 1989-09-28 1991-05-15 Mitsubishi Rayon Co Ltd レンズシートの製造方法
KR19990023987U (ko) * 1997-12-10 1999-07-05 오상수 쇽 업소버 피스톤 로드의 스토퍼 결합구조
JP3110029B2 (ja) 1989-02-23 2000-11-20 ザ ブリテイッシュ ピトローリアム コンパニー ピー.エル.シー カルボン酸類の製造方法
JP3114002B2 (ja) * 1995-01-13 2000-12-04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キャブオーバ型自動車の外気導入構造
KR20040083332A (ko) * 2003-03-21 2004-10-01 추 칭유안 세제액 공급 장치를 구비한 밀대형 청소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0029B2 (ja) 1989-02-23 2000-11-20 ザ ブリテイッシュ ピトローリアム コンパニー ピー.エル.シー カルボン酸類の製造方法
JPH03110029A (ja) * 1989-09-22 1991-05-10 Fuji Heavy Ind Ltd プレス型の加工方法
JPH03114002A (ja) * 1989-09-28 1991-05-15 Mitsubishi Rayon Co Ltd レンズシートの製造方法
JP3114002B2 (ja) * 1995-01-13 2000-12-04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キャブオーバ型自動車の外気導入構造
KR19990023987U (ko) * 1997-12-10 1999-07-05 오상수 쇽 업소버 피스톤 로드의 스토퍼 결합구조
KR20040083332A (ko) * 2003-03-21 2004-10-01 추 칭유안 세제액 공급 장치를 구비한 밀대형 청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2791A (zh) * 2018-10-31 2019-01-18 李爽 多功能拖把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81811C2 (ru) Пенообраз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US8590811B2 (en) Adaptation device for production of foam
AU2013338069B2 (en) Foam pumps with lost motion and adjustable output foam pumps
US20170296024A1 (en) Dripping mop
KR20080111457A (ko) 2중 플러시 작동
KR101675430B1 (ko) 물 공급량 제어 기능을 갖춘 물걸레
JP2017523332A (ja) トイレ装置
EP3017745A2 (en) Steam mop and control system thereof
US11096551B2 (en) Foam dispensing cleaning tool
KR200286178Y1 (ko) 절수식 대변기 세척밸브
KR100981779B1 (ko) 이종액체 혼합기 및 이종액체 혼합장치
US5699562A (en) Detergent controlling means for use in a toilet
KR101746268B1 (ko) 타일 줄눈 시공장치
EP1466223B1 (en) Improved liquid level controller
CN111646027A (zh) 一种填缝枪
JP2007029773A (ja) 噴霧装置
JP6661331B2 (ja) 膨縮装置および該膨縮装置を備えた昇降装置
JP2016098632A (ja) 便器装置
KR20190107364A (ko) 자동 액체분사 기능을 구비하는 밀대 청소기
JP6904568B2 (ja) 流体吐出具
JP2007029771A (ja) 噴霧装置
JP2009061411A (ja) 油圧を利用した往復運動装置及びそれを利用したペイント噴射装置
KR200264314Y1 (ko) 드럼통내 액체 배출용 펌프
KR101488523B1 (ko) 양변기의 배수처리장치
CA2357563C (en) Siphoning pump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