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119B1 - 파티션 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파티션 - Google Patents

파티션 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파티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119B1
KR101673119B1 KR1020160097125A KR20160097125A KR101673119B1 KR 101673119 B1 KR101673119 B1 KR 101673119B1 KR 1020160097125 A KR1020160097125 A KR 1020160097125A KR 20160097125 A KR20160097125 A KR 20160097125A KR 101673119 B1 KR101673119 B1 KR 101673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panel
base layer
partition panel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용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연
Priority to KR1020160097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1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4Cutting, tearing or severing, e.g. bursting; Cutt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3/00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layered produc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epairing; Apparatus therefor
    • B32B43/003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08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32B2310/0806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32B2310/0843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la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티션 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합성섬유 원단을 적층하여 파티션 패널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열풍 가열 및 급속 냉압 성형 과정을 거쳐 치밀한 조직을 형성하고 층간 결합력을 향상함으로써 파티션을 다양한 형태, 특히 라운드형으로 설치 시 부드러운 곡선의 도출이 용이하고 층 분리가 발생하지 않음과 아울러 파티션 단부를 이루는 절단면의 균열이 방지되는 등 외관 품질이 개선되어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도록 하는 파티션 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티션 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파티션 {METHOD FOR MANUFACTURING PARTITION PANEL AND ROUND TYPE PARTI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파티션 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합성섬유 원단을 적층하여 파티션 패널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열풍 가열 및 급속 냉압 성형 과정을 거쳐 치밀한 조직을 형성하고 층간 결합력을 향상함으로써 파티션을 다양한 형태, 특히 라운드형으로 설치 시 부드러운 곡선의 도출이 용이하고 층 분리가 발생하지 않음과 아울러 파티션 단부를 이루는 절단면의 균열이 방지되는 등 외관 품질이 개선되어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도록 하는 파티션 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티션은 사무실 등 실내 및 실외공간을 여러 개로 분할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부서별 또는 개인별 독립공간을 확보하여 일의 능률을 높이거나 사적 영역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종래의 파티션은 크기와 두께가 일정하게 규격화된 사각형의 금속이나 합성수지 또는 목재 틀로 된 패널의 양면을 직물로 감싸고, 패널의 상하좌우 가장자리에는 금속으로 제작되거나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된 수평/수직프레임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파티션은 패널과 수평/수직프레임을 이루는 소재로 인한 중량감 때문에 설치나 이동이 불편하고, 그 형태가 대부분 평면 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외관이 단조로우며, 단일 파티션을 사용 시 직선형 배치만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파티션의 경량화를 위하여 석고보드나 기포 콘크리트 판, 종이판 등으로 된 패널이 제조되었으나, 이러한 패널들은 차음성능이 떨어지므로 그 내부에 방음 또는 흡음부재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340039호와 같이 합섬섬유와 일반섬유 및 비닐류를 이용하여 이동이 용이하고 설치가 간편한 조립식 파티션이 제시되었으나, 이러한 파티션은 흡음성능이 양호하지 않은데다가 여전히 직선형 배치만 가능하였다.
아울러, 한국 실용신안공개 제2012-4665호와 같이 판재와 같은 비유연성 커버와 직물과 같은 유연성 커버를 선택적으로 구성하여 유선형 공간을 구획하도록 하는 파티션이 제시되었으나, 이러한 파티션은 흡음성능이 개선되지 않은데다가 직선형과 유선형 상호 간의 변경 배치를 위한 조립 및 해체 작업이 번거롭고 많은 부품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국내 특허출원 제2016-19748호에서 합성수지 원단을 이용하여 파티션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는데, 즉, 합성섬유 원단을 적층 후 일측 또는 양측 열가압에 의해 입체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경량감 및 흡음성능이 향상된 파티션 패널을 제공하였다.
그런데, 상기 적층된 합성섬유 원단을 열 프레스하는 과정에서 패널의 두께가 약간 줄어들고 변색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패널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단부의 절단면이 깔끔하지 않고 균열이 발생하거나 층이 분리되어 벌어질 가능성이 있는바, 이에 따라 패널의 구성 및 제조방법을 단순화하면서도 깔끔한 외관을 가지며 품질이 더욱 개선된 파티션 패널을 제조하기 위하여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에 도달하게 되었다.
한국 실용신안공개 제2012-4665호의 "복합 커버 지지부를 구비한 파티션" (2012.06.28)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340039호의 "광고형 조립식 파티션" (2004.01.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파티션 패널을 구성하는 조직이 치밀하고 층간 결합력 및 단면 밀도가 높아 외관 품질이 향상된 파티션 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파티션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티션을 직선형, 라운드형(U자형), S자형 등 다양한 형태로 용이하게 설치 및 해제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되고 공간을 효과적으로 분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패널의 제조방법은, ⒜ 부직포로 된 베이스층 단독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부직포로 된 베이스층(10)을 중심으로 그 외면에 부직포 또는 직물로 된 외층(20)을 상호 대향되게 적층하되, 상기 베이스층에 먼저 내열성 접착제를 분사 도포함에 의해 점착층(30)을 구성하여 패널 몸체를 얻는 원단 준비 단계; ⒝ 상기 패널 몸체에 사방으로부터 열풍을 가하여 베이스층을 열팽창시킴과 아울러 내열성 접착제를 베이스층 내부에 용융 침투시키는 예열 단계; 및 ⒞ 상기 예열된 패널 몸체를 냉압 프레스에 의해 순간 압착하여 입체 형상으로 성형하는 냉압 성형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 단계에서 얻어진 파티션 패널의 사방 가장자리 부위를 레이저 트리밍에 의해 커팅하는 절단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 단계에서 베이스층(10)은 패널이 라운드형인 경우에는 9~13㎜이고 직선형인 경우에는 20~25㎜ 두께의 부직포이며, 외층(20)은 0.4~1.6㎜ 두께의 부직포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원단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 단계에서 내열성 접착제는 용융점 120~125℃ 액상 폴리우레탄 접착제가 사용되며, 그 양은 60~70g/㎡이고, 도포 두께는 0.1~0.2㎜이다.
또한, 상기 ⒝ 단계에서 패널 몸체를 온도 180~200℃의 열풍으로 2~3분 가열한다.
또한, 상기 ⒞ 단계에서 패널 몸체를 온도 -20~-11℃, 바람직하게는 -13℃에서 47,000~52,000㎏/㎠, 바람직하게는 50,000㎏/㎠의 압력을 가하여 냉압 프레스 성형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은, 상기 방법에 의해 얻어지고, 상하 다단으로 결합되며 직선 또는 라운드의 단면 형상을 가진 파티션 패널; 상기 파티션 패널의 전면 및 후면에 밀착되게 접한 상태로 직립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포스트; 및 상기 상하 파티션 패널과 전후 한 쌍의 수직포스트를 상호 결합하도록 상기 상하 파티션 패널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하로 배치되는 파티션 패널 사이에 삽입 설치되되, 일단은 파티션 패널의 전면부에, 타단은 파티션 패널의 후면부에 노출되는 고정부재; 상기 전후 한 쌍의 수직포스트가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양단부에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공; 상기 수직포스트 상에 일정 높이마다 수평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체결공; 상기 제1체결공에 대응하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측면에 수평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체결공; 및 상기 제1체결공 및 제2체결공을 관통 체결하는 볼트;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은 상하로 배치되는 파티션 패널 사이를 상호 결합하도록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상하 소정 길이를 가지며, 상부에 배치되는 파티션 패널의 하부 및 하부에 배치되는 파티션 패널의 상부가 각각 삽입 결합되도록 상하부 내측에 서로 대칭되도록 체결홈이 형성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파티션 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파티션에 따르면, 흡음소재인 부직포를 열과 압력을 이용하여 파티션 패널을 제조하되, 종래의 열 프레스 작업을 개선하여 직접 가열하지 않고 열풍 가열 후 냉압 프레스에 의해 패널을 성형함으로써 변색이 일어나지 않고 외층을 이루는 천 또는 부직포의 결이 자연 그대로 유지될 수 있으며, 또한 가열에 앞서 내열성 접착제를 층 사이에 분사 도포하여 함침함으로써 패널을 구성하는 층간 결합력을 높이고 치밀한 조직과 높은 단면 밀도를 부여하여 라운드형 설치가 용이함과 아울러 패널을 정치수에 따라 절단 시에도 절단면의 파단을 방지하여 단부면이 깨끗하고 우수한 강도를 갖는 등 품질이 한층 향상된 파티션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것이다.
아울러, 파티션을 라운드형, S자형, 직선형, ㄱ자형, ㄷ자형, 십자형 등 여러 가지 형태로 용이하게 설치 및 변경이 가능하여 다양한 공간 형태에 따라 최적의 형태로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고, 구획하고자 하는 실내 및 실외공간의 높이가 달라지더라도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어 주거 공간, 사무 공간, 상업 공간, 공용 공간 등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패널의 적층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선형 파티션 패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라운드형 파티션 패널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라운드형 파티션 패널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S자형 파티션 패널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 파티션 패널의 제조방법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패널의 제조방법은, 부직포로 된 베이스층 단독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부직포로 된 베이스층(10)을 중심으로 그 외면에 부직포 또는 직물로 된 외층(20)을 상호 대향되게 적층하되, 상기 베이스층에 먼저 내열성 접착제를 분사 도포함에 의해 점착층(30)을 구성하여 패널 몸체를 얻는 원단 준비 단계; 상기 패널 몸체에 사방으로부터 열풍을 가하여 베이스층(10)을 열팽창시킴과 아울러 점착층(30)을 베이스층 내부에 용융 침투시키는 예열 단계; 및 상기 예열된 패널 몸체를 냉압 프레스에 의해 순간 압착하여 입체 형상으로 성형하는 냉압 성형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원단 준비
본 발명은 합성섬유 원단을 이용하여 파티션 패널 몸체를 구성하되, 이러한 패널 몸체의 베이스층으로는 적정 두께의 부직포가 단독으로 사용된다.
또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 몸체는 중심부에 배치되는 베이스층(10)으로는 부직포가 사용됨과 아울러 그 외면에 각각 배치되는 외층(20)으로는 부직포 또는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직물이 선택적으로 사용되어 마감재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층으로 사용되는 부직포의 두께는 패널이 라운드형인 경우에는 9~13㎜, 직선형인 경우에는 20~25㎜인 것이 사용되고, 외층을 이루는 부직포 또는 폴리에스테르 원단의 두께는 0.4~1.6㎜인 것이 사용된다.
상기 베이스층과 외층을 이루는 합섬섬유 원단의 두께는 후공정들에 의해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파티션 패널(1)을 라운드형으로 절곡하여 설치하거나 직선형으로 설치하기에 적합하도록 설정된 것이다.
상기 베이스층(10)을 이루는 부직포는 섬유를 적당히 배열하고 니들을 이용하여 상하로 반복하여 펀칭함으로써 섬유가 엉키면서 소정의 두께와 밀도를 갖게 된 것으로서, 이러한 부직포의 소재로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등이 사용된다.
상기 외층(20)은 부직포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원단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이러한 외층은 외관의 미려함을 위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염색 처리될 수 있고, 특히 상기 외층으로 직물을 사용 시 그 표면에 자수 등에 의하여 무늬가 형성된 것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외층(20)은 쑥이나 녹차, 숯 등의 기능성 물질을 흡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층(10)과 양측 외층(20,20) 사이에는 이들이 상호 결합되도록 점착층(30)이 배치되며, 이러한 점착층은 내열성 접착제가 사용된다.
상기 내열성 접착제는 바람직하게는 내열온도 120~125℃인 액상 폴리우레탄 접착제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점도가 높고 접착 후에도 탄성이 남아 있으므로 내충격성이 좋은 편이며, 또한 경화된 후에도 수축이 잘 일어나지 않으므로 부착성이 좋고 균열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상기 베이스층(10)의 양측 외면 및 외층의 내면에 각각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포되며, 그 양은 60~70g/㎡이고, 도포 두께는 0.1~0.2㎜이다.
이에 따라 상기 내열성 접착제가 베이스층(10) 내부로 침투해 들어가면서 그 외면에 적층되는 외층(20)과의 가결합이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라운드형인 경우에는 10~15㎜(편차 ±0.5㎜), 직선형인 경우에는 21~27(편차 ±0.5㎜) 두께의 패널 몸체가 얻어진다.
이러한 내열성 접착제는 상기 폴리우레탄 접착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 에폭시 접착제나 폴리이미드 접착제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2] 열풍 가열(예열)
상기 [1] 단계에서 가결합된 패널 몸체는 발열부가 좌우상하 4면에 설치된 오븐과 같은 열처리장치로 이송 후 온도 180~200℃에서 2~3분 동안 열풍이 가해진다.
즉, 열풍이 열처리장치 내부를 순환 시 베이스층(10)을 이루는 부직포 원단 조직의 내부를 열이 통과하면서 열 팽창력에 의해 부직포 조직의 부피가 30% 정도 부풀어 오르며, 이와 동시에 부직포 조직 내부에 함침된 내열성 접착제 성분이 용융되면서 베이스층(10) 내부에 더욱 침투하게 된다.
[3] 냉압 가공
상기 [2] 단계에서 가열된 패널 몸체를 냉압 프레스를 이용하여 가압 성형하되, 온도 -20~-11℃, 바람직하게는 온도 -13℃에서 1~2분 동안 47,000~52,000㎏/㎠, 바람직하게는 50,000㎏/㎠ 정도의 압력을 가하여 급속 냉압 프레스 성형을 한다.
이에 따라 베이스층(10)을 이루는 부직포 원단이 급속 냉각되는 과정에서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라운드형인 경우에는 13~20㎜(편차 ±1.5㎜), 직선형인 경우에는 27~35㎜의 두께(편차 ±1.5㎜)의 파티션 패널이 얻어지며, 이와 동시에 베이스층인 부직포 조직 내부에 함침된 접착제 성분이 경화되면서 더욱 견고한 층간 접착력 및 균일한 제품 형상을 갖도록 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상기 패널 상에는 일정 간격마다 압착홈부(41) 및 압착돌부(42)가 교대로 형성되며, 이때, 압착홈부의 두께는 직선형인 경우에는 4~5㎜이고, 라운드형인 경우에는 2~3㎜이며, 이러한 두께의 압착홈부를 가진 패널은 직선형으로 배치 시 안정된 상태로 직립 가능함과 아울러 라운드형으로 배치 시에는 절곡된 상태를 잘 유지하게 된다.
[4] 절단
상기 [3] 단계에서 얻어진 패널의 사방 가장자리 부위는 레이저 트리밍 머신(Laser Trimming M/C)을 이용하여 정치수 절단을 행하며, 이에 따라 패널의 가장자리 부위를 따라 전체적으로 압착플랜지부(43)가 형성된 파티션 패널이 얻어진다.
이와 같이 제조된 파티션 패널(1)은 사방 절단면 즉, 압착플랜지부의 단부면(43a)이 균열되거나 벌어지는 현상 없이 깨끗한 외관을 갖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압착플랜지부(43)는 패널 몸체를 미리 정치수로 절단 후 상기 [2] 단계의 열풍 가열 및 [3] 단계의 냉압 가공에 의해 패널 몸체의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보다 깨끗한 상태의 압착플랜지부를 가진 패널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냉압 가공 후 절단 과정을 행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압착플랜지부(43)는 상기 압착홈부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며, 예열 및 냉압 가공 단계에서 조직의 치밀화에 의해 강도 및 내구성이 향상됨에 따라 그 자체로도 프레임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패널(1)은, 부직포를 이용하여 패널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적층 단계에서 베이스층(10)인 부직포 양면에 도포된 내열성 접착제(30)가 부직포의 조직 내부에 침투되었다가 급속 냉압 단계에서 경화되면서 베이스층의 내부 조직을 더욱 치밀하게 함과 아울러 베이스층과 외층(20)의 접착력을 강화함으로써 마지막 절단 단계에서 레이저 트리밍 작업 시 압착플랜지부의 절단면(43a)이 매끄럽게 이루어짐과 아울러 베이스층과 외층의 박리나 단면 균열을 방지하고 뒤틀림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파티션 패널은 적절한 두께의 합성섬유 원단으로 구성된데다가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 압착홈부(41)에 의해 유연성이 부여됨에 따라 이러한 파티션 패널을 라운드 형태의 스크린 파티션으로 적용 시 부드러운 곡선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또한, 파티션 패널의 예열 단계에서 베이스층(10)인 부직포의 팽창된 상태가 냉압 가공 단계에서도 그 두께를 유지함에 따라 볼륨감과 흡음성능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B. 파티션
이어서, 상기와 같은 파티션 패널(1)을 포함한 파티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P)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하 다단으로 결합되며 직선 또는 라운드의 단면 형상을 가진 파티션 패널(1); 파티션 패널의 전면 및 후면 소정 위치에 밀착되게 접한 상태로 직립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포스트(100); 상하 파티션 패널과 전후 한 쌍의 수직포스트를 상호 결합하도록 상기 상하 파티션 패널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파티션 패널(1)은 실내 및 실외공간에서 차단을 필요로 하는 공간의 높이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여러 단 결합하여 설치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포스트(100)는 지면에서 소정 높이로 이루어지며 파티션 패널을 사이에 두고 전후 대향하는 위치 즉, 하나는 파티션 패널의 전면부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파티션 패널의 후면부에 배치되며, 이러한 전후 한 쌍의 수직포스트(100,100)의 내면은 파티션 패널의 압착홈부(41)에 밀착되게 접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수직포스트(100)는 파티션(P)의 전체 길이(폭)에 따라 가로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이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수직포스트의 하단부에는 지면에 접하는 받침부재(200)가 장착되되, 수직포스트와 직각방향으로 장착되어 수직포스트를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고정수단(300)은 상하 파티션 패널과 전후 한 쌍의 수직포스트를 상호 결합하기 위하여 상하 파티션 패널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고정수단은 고정부재(301)와, 관통공(302)과, 제1,2체결공(303,304) 및 볼트(305)를 포함한다.
고정부재(301)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소정 두께를 가지며 그 형상이 대략 타원형이나 직사각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301)는 상하로 배치되는 파티션 패널(1A,1B)(1B,1C) 사이에 수평으로 삽입 설치되며, 이때 그 일측 단부는 파티션 패널의 전면부에, 타측 단부는 파티션 패널의 후면부에 노출된 상태로 삽입된다.
관통공(302)은 고정부재(301)의 양단부 즉, 파티션 패널 전후방에 각각 노출된 양측 단부에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어 전후 한 쌍의 수직포스트(100,100)가 삽입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제1체결공(303)은 수직포스트(100) 상에 일정 높이마다 수평으로 관통 형성되고, 제2체결공(304)은 상기 제1체결공에 대응하도록 고정부재(301)의 측면에 수평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공 및 제2체결공을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하도록 볼트(305)가 구비된다.
이때, 수직포스트(100) 상에 상하로 형성되는 제1체결공(303)과 제1체결공(303)의 간격은 파티션 패널(1)의 상하 높이와 일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패널(1)은 도3에서와 같이 일반적인 수직포스트(100' : 이하 제1수직포스트라 함)에 적용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파티션 패널의 좌우 양측 단부에 형성된 압착플랜지부가 패널 양단에 설치되는 제2수직포스트(100',100')에 각각 삽입 결합되며, 이러한 경우 상기 고정수단은 장착하지 않아도 된다.
아울러,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파티션(P)은 상하로 배치되는 파티션 패널과 패널 사이를 상호 결합하도록 커넥터(400)가 더 포함된다.
커넥터(400)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하 소정 길이를 가지며, 상하부 내측에 각각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체결홈(401a,401b)이 형성되어 H자의 측단면 형상을 갖는다.
즉, 상기 커넥터(400)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홈(401a)에는 상부에 배치되는 파티션 패널(1A 또는 1B)의 하부가 삽입 결합됨과 아울러 커넥터의 하부에 형성된 체결홈(401b)에는 하부에 배치되는 파티션 패널(1B 또는 1C)의 상부가 삽입 결합되며, 이러한 커넥터를 매개로 하여 상하부에 배치된 파티션 패널 간에 서로 벌어지는 일 없이 긴밀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커넥터(400)는 상기 수직포스트(100)와 마찬가지로 그 내면이 패널 상에 형성된 압착홈부(41)에 접하도록 삽입되며, 패널들의 가로방향 길이에 따라 다수 장착된다.
C. 파티션 조립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파티션을 조립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직선형 및 라운드형 파티션의 조립을 예시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상하 길이가 짧은 다수의 패널(1A,1B,1C)이 사용된다.
[1] 직선형
우선, 전후 한 쌍의 수직포스트(100,100)를 가로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하고, 상기 전후 한 쌍의 수직포스트 사이에 직선형 제1패널(1C)을 상부에서부터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하면서 삽입한다. 이때, 패널 측을 향하는 수직포스트(100)의 내면은 패널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형성된 압착홈부(41)에 밀접하게 접하도록 삽입한다.
이어서, 고정수단(300)에 의해 파티션 패널과 수직포스트를 결합하는데, 고정부재(301)의 전후 관통공(302,302)과 전후 한 쌍의 수직포스트(100,100)의 위치를 서로 맞춘 후 고정부재(301)를 하향 이동시켜 수직포스트에 삽입하고 볼트(305)를 이용하여 제1,2체결공(303,304)을 하나로 관통하여 체결한다. 이에 따라 제1패널(1C)은 상하로 유동되지 않고 그 위치가 구속된다.
다음으로, 제2패널(1B)을 상기 제1패널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전후 한 쌍의 수직포스트(100,100) 사이에 하향 슬라이딩하여 결합하고,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고정부재(301)를 수직포스트 상에 체결 후 다시 제3패널(1A)을 전후 한 쌍의 수직포스트 사이에 결합하여 파티션 조립을 완성한다(도2 참조).
여기에서, 도2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하로 배치되는 패널과 패널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커넥터(400)를 이용하여 보다 긴밀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라운드형 파티션 조립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2] 라운드형
좌우 한 쌍의 제2수직포스트(100',100')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하고, 양측 제2수직포스트 사이에 라운드형으로 구부러진 제1패널(1C)을 상부에서부터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하면서 삽입한다. 이때, 제1패널의 좌우 양단에 형성된 압착플랜지부는 제2수직포스트 상에 수직으로 길게 형성된 요홈에 끼워진 상태에 있게 된다.
이어서, 제2패널(1B)을 상기 제1패널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좌우 한 쌍의 제2수직포스트(100',100') 사이에 하향 슬라이딩하여 결합하고, 이와 마찬가지로 제3패널(1A)을 제2패널의 상부에 결합하며, 이때, 상하로 배치되는 패널(1A,1B)(1B,1C)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커넥터(400)를 이용하여 긴밀하게 결합한다.
즉, 커넥터의 상부 체결홈(401a)에 상부에 배치된 패널(1A 또는 1B)의 하단부를 삽입함과 아울러 하부 체결홈(401b)에 하부에 배치된 패널(1B 또는 1C)의 상단부를 삽입하여 상하 양측 패널을 하나로 결합하여 파티션 조립을 완성한다(도3 참조).
이와 같이 다수의 직선형 또는 라운드형 패널을 결합하여 파티션을 조립할 수 있으며, 조립된 파티션을 설치 공간의 구조나 배치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설치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직선형은 패널의 소정 위치에 결합되는 수직포스트(100)를 사용하고, 라운드형은 패널의 양단에 결합되는 제2수직포스트(100')를 사용하였으나, 직선형에 제2수직포스트, 라운드형에 수직포스트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형 패널을 두 개 나란히 설치하여 파티션을 S자형으로 배치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제2수직포스트를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1,1A,11B,1C : 파티션 패널 10 : 베이스층
20 : 외층 30 : 점착층
41 : 압착홈부 42 : 압착돌부
43 : 압착플랜지부 43a : 단부면(절단면)
100 : 수직포스트 300 : 고정수단
301 : 고정부재 302 : 관통공
303 : 제1체결공 304 : 제2체결공
305 : 볼트 400 : 커넥터
401a,401b : 체결홈 P : 파티션

Claims (12)

  1. ⒜ 부직포로 된 베이스층(10)을 중심으로 그 외면에 부직포 또는 직물로 된 외층(20)을 상호 대향되게 적층하되, 상기 베이스층에 먼저 내열성 접착제를 분사 도포함에 의해 점착층(30)을 구성하여 패널 몸체를 얻는 원단 준비 단계;
    ⒝ 상기 패널 몸체에 사방으로부터 온도 180~200℃의 열풍을 가하여 2~3분 가열함에 따라 베이스층(10)을 열팽창시킴과 아울러 점착층(30)을 베이스층 내부에 용융 침투시키는 예열 단계;
    ⒞ 상기 예열된 패널 몸체를 온도 -20~-11℃로 냉압 프레스에 의해 순간 압착하여 입체 형상으로 성형하는 냉압 성형 단계; 및
    ⒟ 상기 ⒞ 단계에서 얻어진 파티션 패널의 사방 가장자리 부위를 레이저 트리밍에 의해 커팅하는 절단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패널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 단계에서 베이스층(10)은 패널이 라운드형인 경우에는 9~13㎜이고 직선형인 경우에는 20~25㎜ 두께의 부직포이며, 외층(20)은 0.4~1.6㎜ 두께의 부직포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원단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패널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 단계에서 내열성 접착제는 용융점이 120~125℃인 액상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패널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 단계에서 내열성 접착제의 도포 두께는 0.1~0.2㎜이고, 도포량은 60~70g/㎡임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패널의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 단계에서 패널 몸체를 47,000~52,000㎏/㎠의 압력을 가하여 냉압 프레스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패널의 제조방법.
  9. 제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5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으로부터 제조되고, 상하 다단으로 결합되며 직선 또는 라운드의 단면 형상을 가진 파티션 패널(1);
    상기 파티션 패널의 전후면의 소정 위치에 밀착되게 접한 상태로 직립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포스트(100); 및
    상기 상하 파티션 패널과 전후면 한 쌍의 수직포스트를 상호 결합하도록 상기 상하 파티션 패널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수단(30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300)은 상하로 배치되는 파티션 패널 사이에 삽입 설치되되, 일단은 파티션 패널의 전면부에, 타단은 파티션 패널의 후면부에 노출되는 고정부재(301);
    상기 전후면 한 쌍의 수직포스트가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양단부에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공(302);
    상기 수직포스트 상에 일정 높이마다 수평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체결공(303);
    상기 제1체결공에 대응하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측면에 수평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체결공(304); 및
    상기 제1체결공 및 제2체결공을 관통 체결하는 볼트(305);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로 배치되는 파티션 패널 사이를 상호 결합하도록 커넥터(400)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400)는 상하 소정 길이를 가지며, 상부에 배치되는 파티션 패널의 하부 및 하부에 배치되는 파티션 패널의 상부가 각각 삽입 결합되도록 상하부 내측에 서로 대칭되도록 체결홈(401,401b)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KR1020160097125A 2016-07-29 2016-07-29 파티션 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파티션 KR101673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125A KR101673119B1 (ko) 2016-07-29 2016-07-29 파티션 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파티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125A KR101673119B1 (ko) 2016-07-29 2016-07-29 파티션 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파티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3119B1 true KR101673119B1 (ko) 2016-11-04

Family

ID=57530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125A KR101673119B1 (ko) 2016-07-29 2016-07-29 파티션 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파티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1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00067A (zh) * 2018-07-26 2018-12-28 温州大学 一种冷镦力测量方法
CN113811035A (zh) * 2020-06-15 2021-12-17 财团法人纺织产业综合研究所 电热织物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8940A (ja) * 1990-08-28 1992-04-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パーティションウォール
JPH06320559A (ja) * 1993-05-17 1994-11-22 Kasai Kogyo Co Ltd 自動車用内装部品の製造方法
JP2000501465A (ja) * 1995-11-28 2000-02-08 システムズ サプライ プロプライエタリー リミテッド タイル式パネルシステム
KR100340039B1 (ko) 1999-12-23 2002-06-12 오길록 멀티프로토콜 레이블 스위칭 망의 에지 라우터에서의분리/재결합 패킷 메모리 제어장치
KR20040038397A (ko) * 2002-10-31 2004-05-08 주식회사 리텍 환경친화형 신소재 섬유를 이용한 칸막이의 제조방법
KR20120004665A (ko) 2010-07-07 2012-01-13 현대산업트라이던트(주) 섬유합판 슬레이트 및 그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8940A (ja) * 1990-08-28 1992-04-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パーティションウォール
JPH06320559A (ja) * 1993-05-17 1994-11-22 Kasai Kogyo Co Ltd 自動車用内装部品の製造方法
JP2000501465A (ja) * 1995-11-28 2000-02-08 システムズ サプライ プロプライエタリー リミテッド タイル式パネルシステム
KR100340039B1 (ko) 1999-12-23 2002-06-12 오길록 멀티프로토콜 레이블 스위칭 망의 에지 라우터에서의분리/재결합 패킷 메모리 제어장치
KR20040038397A (ko) * 2002-10-31 2004-05-08 주식회사 리텍 환경친화형 신소재 섬유를 이용한 칸막이의 제조방법
KR20120004665A (ko) 2010-07-07 2012-01-13 현대산업트라이던트(주) 섬유합판 슬레이트 및 그 제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00067A (zh) * 2018-07-26 2018-12-28 温州大学 一种冷镦力测量方法
CN113811035A (zh) * 2020-06-15 2021-12-17 财团法人纺织产业综合研究所 电热织物
CN113811035B (zh) * 2020-06-15 2024-01-23 财团法人纺织产业综合研究所 电热织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6397A (en) Demountable panel structure
US8069629B2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insulated siding
EP0144340B1 (en) Acoustical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EP2839094B1 (en) Prefabricated element for floors or floor baseboards
US4641726A (en) Composite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US4661392A (en) Sound dampening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on
JP2007523773A (ja) 熱成形性吸音製品
KR101673119B1 (ko) 파티션 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파티션
US20140054528A1 (en) Quasi-wall composite panel fencing system
JP2001079969A (ja) 熱成形可能な積層シート
US2009021803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urved Components for Furniture, Particularly Doors for Furniture
EP3165348B1 (en) Method for the manufacturing of a sound-absorbing product
KR20010058698A (ko) 흡음 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그 흡음 단열재
US4699836A (en) Frame for composite panel structure and method for using same
KR102228902B1 (ko)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를 이용한 흡음판 및 그 흡음판 제조방법
DK1072729T3 (da) Konstruktionsdel som forbindelseselement mellem to bygningsdele
KR101924479B1 (ko) 경량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486932B1 (ko) 흡음 기능을 가진 라운드형 파티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H11129208A (ja) 木質系複合構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3266834B2 (ja) 建築用パネル及び建築用パネルの製造方法
KR100717125B1 (ko) 모자이크 무늬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2632605B1 (ko) 흡음보드의 제조방법
US1964473A (en) Wall construction
JPH06264605A (ja) 発熱床板およびその床構造
CN111622643B (zh) 一种防火防盗门及其安装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