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830B1 - 띠지결속장치를 이용한 인쇄물다발 자동묶음장치 - Google Patents

띠지결속장치를 이용한 인쇄물다발 자동묶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2830B1
KR101672830B1 KR1020140078632A KR20140078632A KR101672830B1 KR 101672830 B1 KR101672830 B1 KR 101672830B1 KR 1020140078632 A KR1020140078632 A KR 1020140078632A KR 20140078632 A KR20140078632 A KR 20140078632A KR 101672830 B1 KR101672830 B1 KR 101672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bound
push bar
bonded
bu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8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1020A (ko
Inventor
김기덕
Original Assignee
네오프린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오프린텍(주) filed Critical 네오프린텍(주)
Priority to KR1020140078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830B1/ko
Publication of KR20160001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7/00Bundling particula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using string, wire, or narrow tape or band; Baling fibrous material, e.g. p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27/08Bundling paper sheets, envelopes, bags, newspapers, or other thin fla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개의 작업물(P1)이 적층되어 구성되는 피결속물(P)을 결속하기 위한 띠지결속장치를 이용한 인쇄물다발 자동묶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띠지결속장치를 이용한 인쇄물다발 자동묶음장치는 피결속물(P)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40)와, 상기 피결속물(P)의 하방에서 띠지를 공급하는 띠지피더(117)와, 상기 띠지의 양단을 각각 상기 피결속물(P)의 상단에 밀착시키는 제1푸시바(125) 및 제2푸시바(135)와, 상기 제1푸시바(125) 및 제2푸시바(135)에 의해 그 양단이 상기 피결속물(P)의 상단에서 겹쳐진 상기 띠지의 이음부분으로 하강하여 상기 이음부분에 접착부를 형성시키는 접착성형바(1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피결속물(P)을 묶는 띠지가 자동 결속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공급되어 결속되므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비하여 작업속도가 비약적으로 빨라지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띠지결속장치를 이용한 인쇄물다발 자동묶음장치{Paper band adhesion device}
본 발명은 띠지결속장치를 이용한 인쇄물다발 자동묶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물인 피결속물의 혼입을 방지하며 다발을 만들고 이를 둘러 묶는 띠지를 자동으로 결속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결속물이 다수개 적층되는 경우에 이를 묶기 위해 띠지가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띠지는 적층된 피결속물의 외측을 두른 상태로 그 양단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적층된 피결속물을 묶어주는 역할을 하는데, 일반적으로 상기 띠지는 종이모재로 만들어진다.
이와 같은 피결속물은 지폐나 전단지, 팜플렛 등 종이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피결속물이 적층된 후에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띠지를 둘러 고정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피결속물의 개수를 정확하게 세는 과정과, 설정된 개수의 피결속물이 적층된 후에 이를 띠지로 결속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공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작업시간이 늘어나고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띠지를 자동으로 공급하여 결속하는 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일반적으로 이러한 장치는 부품수가 많고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제조단가가 높고 고장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피결속물을 구성하는 낱장의 작업물 중 잘못된 작업물이 혼입되거나 불량이 발생한 경우, 수작업으로는 이를 일일이 걸러내기 어려우며, 따라서 작업불량의 확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KR10-0542582 B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낱장의 작업물이 혼입 없이 적층되어 피결속물이 되고, 피결속물이 띠지에 의해 자동으로 결속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수개의 작업물이 적층되어 구성되는 피결속물을 결속하기 위한 띠지결속장치를 이용한 인쇄물다발 자동묶음장치에 관한 것이고, 상기 띠지결속장치를 이용한 인쇄물다발 자동묶음장치는 낱장의 작업물을 이송하여 적층시키는 공급부와, 상기 낱장의 작업물을 스캔하여 확인하는 식별부와, 적층된 피결속물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와, 상기 작업물이 적층되어 구성되는 피결속물에 띠지를 결속하는 띠지결속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띠지결속장치는 상기 피결속물의 하방에서 띠지를 공급하는 띠지피더와, 상기 띠지의 양단을 각각 상기 피결속물의 상단에 밀착시키는 제1푸시바 및 제2푸시바와, 상기 제1푸시바 및 제2푸시바에 의해 그 양단이 상기 피결속물의 상단에서 겹쳐진 상기 띠지의 이음부분으로 하강하여 상기 이음부분에 접착부를 형성시키는 접착성형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띠지피더는 상기 띠지를 그 상부에 안착한 상태로 상기 피결속물의 하방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피결속물의 저면 방향으로 상승가능한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가 상승과 동시 또는 그 이후에 상기 공급부 보다 더 상승하여 상기 띠지의 양측을 상기 피결속물의 양측면에 각각 밀착시키는 밀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밀착부의 일단에는 롤러가 구비되어 상기 밀착부의 상승과정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띠지의 양측을 상기 피결속물의 양측면 방향으로 눌러주며,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에는 회전을 통해 상기 피결속물의 상단을 눌러 고정시키는 고정암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암은 상기 띠지가 상기 피결속물을 감싸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피결속물의 상단을 눌러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암은 상기 피결속물을 중심으로 양측에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푸시바 및 제2푸시바는 상기 피결속물의 상단을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시간차를 두고 하강하면서 상기 띠지의 양단을 각각 상기 피결속물 상단 방향으로 눌러준다.
상기 접착성형바는 상기 피결속물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띠지의 양단 중 접착면이 구비된 어느 일단을 타단방향으로 눌러 접착부를 형성하거나, 상기 띠지의 양단이 겹치는 연결부분에 접착스티커를 붙여 접착부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에는 상기 피결속물을 구성하는 작업물이 공급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 의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작업물의 개수를 세기 위한 식별부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의 이동경로 중 상기 공급부 및 상기 띠지피더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상기 작업물이 적층되어 구성된 피결속물의 양측면을 동시에 눌러 피결속물을 정렬하는 정렬부가 구비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띠지결속장치를 이용한 인쇄물다발 자동묶음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피결속물을 구성하는 낱장의 작업물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작업물이 혼입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카운팅되어 정확한 개수의 작업물이 피결속물을 구성하게 되므로 작업성이 향상되고, 피결속물을 묶는 띠지가 자동 결속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공급되어 결속되므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비하여 작업속도가 비약적으로 빨라지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띠지가 피결속물의 저면, 측면 및 상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하는 부품이 순차적으로 작동하여 띠지를 결속하므로, 육면체 형상의 피결속물에 띠지가 정확하게 밀착되도록 결속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결속되는 피결속물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공급부 및 식별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다수개의 작업물이 적층되어 피결속물이 적층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정렬부에 의해 피결속물이 정렬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해 피결속물에 띠지가 둘러져 결속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띠지결속장치를 이용한 인쇄물다발 자동묶음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피결속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해 결속되는 피결속물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피결속물(P)은 다수개의 작업물(P1)이 적층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여기서 작업물(P1)은 얇은 종이모재로서 낱장의 인쇄물이나 출력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작업물(P1)은 팜플렛, 전단지, 제품설명서 또는 지폐 등일 수 있으며, 일정한 개수가 적층되어 하나의 피결속물(P)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피결속물(P)은 띠지(T)에 의해 묶이는데, 여기서 띠지(T)는 종이모재로 만들어지고, 상기 피결속물(P)의 외면을 두르며, 그 양단이 겹쳐져 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피결속물(P)을 결속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띠지(T)의 양단이 겹치는 이음부분이 스티커(T')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여기서 스티커(T')는 그 일면에 접착물질이 도포되는 일반적인 얇은 접착수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피결속물(P)이 띠지(T)에 의해 결속되도록 하는 자동 결속장치를 이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공급부(10) 및 식별부(20)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다수개의 작업물이 적층되어 피결속물이 적층된 모습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띠지결속장치를 이용한 인쇄물다발 자동묶음장치는 크게 상기 작업물(P1)을 공급하여 적층하는 부분과, 피작업물(P1)과 띠지(T)를 결합시키는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도 2에는 작업물(P1)을 공급하여 적층하는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띠지결속장치를 이용한 인쇄물다발 자동묶음장치에는 공급부(10)가 구비된다. 상기 공급부(10)는 연속적으로 회전되는 구동드럼(13)과 이에 연결된 벨트(15)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벨트(15)를 따라 작업물(P1)이 연속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된 작업물(P1)은 상기 구동드럼(13)의 일측에 구비된 적층부에 적층되어 피결속물(P)을 구성하게 된다. 도 3에는 작업물(P1)이 적층되어 피결속물(P)을 구성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공급부(10)의 일측에는 식별부(20)가 구비된다. 상기 식별부(20)는 상기 작업물(P1)의 개수를 세기 위한 일종의 센서로서, 상기 벨트(15)를 따라 이동되는 작업물(P1)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이를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개수의 작업물(P1)이 이동되면 상기 공급부(10)의 작동을 멈추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식별부(20)는 상기 작업물(P1)에 인쇄된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이를 카운팅하게 되는데, 여기서 식별코드는 바코드 또는 QR코드와 같이 상기 작업물(P1)에 인쇄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부(20)는 상기 작업물(P1)에 인쇄된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종류가 다른 작업물(P1)이 혼입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식별부(20)는 이를 제어부에 전달하여 혼입된 작업물(P1)이 즉시 걸러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혼입된 작업물(P1)은 별도의 장치(미도시)나 수작업으로 걸러낼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정렬부에 의해 피결속물(P)이 정렬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띠지결속장치를 이용한 인쇄물다발 자동묶음장치에는 컨베이어(40)가 구비되는데, 상기 컨베이어(40)는 상기 적층부와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컨베이어(40)는 적층된 피결속물(P)을 아래에서 설명될 띠지피더(117)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컨베이어(40)의 일측에는 정렬부(50,55)가 구비된다. 상기 정렬부(50,55)는 상기 컨베이어(40)의 이동경로 중에 위치하여, 상기 작업물(P1)이 적층되어 구성된 피결속물(P)의 양측면을 동시에 눌러 피결속물(P)을 정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정렬부(50,55)는 한 쌍의 정렬가이드(50) 및 상기 정렬가이드(50)를 이동시키는 정렬작동원(55)을 포함한다. 참고로 도 5는 상기 정렬가이드(50)가 피결속물(P) 방향으로 이동하여 그 양측면을 눌러 정렬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에서 보듯이, 상기 컨베이어(40)의 이동경로 중에는 띠지피더(117)가 설치된다. 상기 띠지피더(117)는 상기 피결속물(P)의 하방에서 띠지(T)를 공급하는 것으로, 낱장의 띠지(T)를 각각의 피결속물(P)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 띠지피더(117)에는 상기 띠지(T)를 그 상부에 안착한 상태로 상기 피결속물(P)의 하방으로 이동가능하고, 이와 더불어 상기 피결속물(P)의 저면 방향으로 상승가능한 띠지공급부(117a)가 구비된다. 즉, 상기 띠지공급부(117a)는 띠지(T)를 그 상면에 구비한 상태로 컨베이어(40)의 하방으로 이동하여 피결속물(P)의 저면 하방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상승하여 띠지(T)가 상기 피결속물(P)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띠지피더(117)에는 밀착부(117b)가 구비된다. 상기 밀착부(117b)는 상기 띠지공급부(117a)의 상승과 동시 또는 그 이후에 상기 띠지공급부(117a) 보다 더 상승하여 상기 띠지(T)의 양측을 각각 상기 피결속물(P)의 양측면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밀착부(117b)는 상기 띠지공급부(117a)와 함께 컨베이어(40)의 하방, 즉 상기 피결속물(P)의 저면 하부로 선택적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컨베이어(40)의 하방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밀착부(117b)는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에 롤러(117b')가 구비되어, 상기 밀착부(117b)의 상승과정에서 회전되면서 띠지(T) 및 상기 피결속물(P)의 측면 상단을 자연스럽게 눌러주어 띠지(T)가 피결속물(P)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띠지피더(117)와 인접한 컨베이어(40)의 양측에는 고정암(110)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암(110)은 회전을 통해 상기 피결속물(P)의 상단을 눌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피결속물(P)을 중심으로 양측에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상기 고정암(110)은 상기 띠지(T)가 상기 피결속물(P)을 감싸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피결속물(P)의 상단을 눌러 고정시키고, 상기 피결속물(P)의 상단과 접하는 그 일단에는 완충부재(115)가 구비되어 피결속물(P)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띠지피더(117)와 인접한 위치에는 제1푸시바(125) 및 제2푸시바(135)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푸시바(125) 및 제2푸시바(135)는 상기 띠지(T)의 양단을 각각 상기 피결속물(P)의 상단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푸시바(125) 및 제2푸시바(135)는 각각 푸시구동원(120,130)에 의해 직선방향으로 왕복운동가능하도록 구성되고, 그 과정에서 상기 제1푸시바(125) 및 제2푸시바(135)의 돌출된 일단이 피결속물(P)의 상단, 보다 정확하게는 띠지(T)의 양측을 피결속물(P) 상단 방향으로 눌러주게 된다.
상기 푸시구동원(120,130)은 공압, 유압 또는 전기모터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푸시바(125) 및 제2푸시바(135)의 일단은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탄성이 있는 물질로 구성되어 띠지(T) 및 피결속물(P)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푸시바(125) 및 제2푸시바(135)는 상기 피결속물(P)의 상단을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띠지(T)를 보다 정확하게 피결속물(P) 상단으로 눌러줄 수 있으며, 상기 제1푸시바(125) 및 제2푸시바(135)는 서로 시간차를 두고 하강하면서 상기 띠지(T)의 양단을 각각 상기 피결속물(P) 상단 방향으로 눌러줌으로써 상기 띠지(T)의 양단 중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일단이 항상 일정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대적으로 늦게 돌출되는 제2푸시바(135)에 의해 눌리는 띠지(T)의 우측(도 10기준) 부분이 띠지(T)의 좌측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도 11에서 보듯이, 상기 띠지피더(117)가 설치된 위치에 해당하는 컨베이어(40)의 상부에는 접착성형바(165)가 구비된다. 상기 접척성형바는 상기 컨베이어(40)의 상부에 위치되고, 컨베이어(40) 방향으로 입출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접착성형바(165)는 상기 제1푸시바(125) 및 제2푸시바(135)에 의해 그 양단이 상기 피결속물(P)의 상단에서 겹쳐진 상기 띠지(T)의 이음부분으로 하강하여 상기 이음부분에 접착부를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접착성형바(165)는 상기 피결속물(P)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띠지(T)의 양단 중 접착면이 구비된 어느 일단을 타단방향으로 눌러 접착부를 형성하거나, 상기 띠지(T)의 양단이 겹치는 연결부분에 접착스티커(T')를 붙여 접착부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착성형바(165)의 일단에 접착스티커(T')가 구비된 상태로 상기 접착성형바(165)가 하강하여 상기 띠지(T)의 이음부분에 상기 접착스티커(T')를 부착하게 된다. 미설명부호 160은 접착성형바(165)를 작동시키는 구동원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띠지 자동 공급장치에 의해 띠지(T)가 피결속물에 결속되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피결속물(P)이 적층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도 2에서 보듯이 회전되는 벨트(15)에 접하여 낱장의 작업물(P1)이 이동하다가 적층부에 낙하하게 되고, 연속적으로 작업물(P1)이 쌓여 하나의 피결속물(P)을 이루게 된다.
이 과정에서 식별부(20)는 일정 개수의 작업물(P1)이 이동하면 벨트(15)의 회전을 잠시 멈춤으로써 일정한 개수의 작업물(P1)이 적층되도록 하고, 상기 피결속물(P)이 컨베이어(40)를 따라 이동된 후에 다시 벨트(15)가 작동하여 다음 피결속물(P)을 적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식별부(20)는 혼입된 작업물(P1)을 인식하여 이를 제어부에 전달함으로써 혼입된 작업물(P1)을 즉시 걸러낼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피결속물(P)은 상기 컨베이어(40)를 따라 이동하는 중간에, 정렬부(50,55)에 의해 정렬이 이루어진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정렬부(50,55)의 정렬가이드(50)가 상기 피결속물(P)의 양측면을 눌러 피결속물(P)을 구성하는 작업물(P1)을 반듯하게 정리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피결속물(P)이 컨베이어(40)를 따라 이동되고, 상기 피결속물(P)은 띠지피더(117)가 설치된 위치에 정지된다.
피결속물(P)이 정지되면 고정암(110)이 상기 띠지(T)가 상기 피결속물(P)을 감싸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피결속물(P)의 상단을 눌러 고정시키게 된다. 즉 띠지(T)의 결속작업에 앞서 상기 고정암(110)이 상기 피결속물(P)이 움직이지 않도록 사전에 가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어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띠지피더(117)는 띠지피더(117)를 구성하는 띠지공급부(117a)의 상면에 띠지(T)가 안착된 상태로 상기 컨베이어(40)의 하방에 위치하게 되고, 그 상태에서 띠지공급부(117a)가 상승하여 상기 피결속물(P)의 저면에 띠지(T)를 밀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상기 띠지피더(117)의 밀착부(117b)가 더 높게 상승하면서 띠지(T)의 양측을 각각 상기 피결속물(P)의 양측면에 밀착시킨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푸시바(125) 및 제2푸시바(135)가 각각 순차적으로 상기 피결속물(P)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띠지(T)의 양측을 각각 피결속물(P) 상방으로 누르게 된다. 도 9는 제1푸시바(125)에 의해 띠지(T)의 일단이 눌려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제2푸시바(135)에 의해 띠지(T)의 타단이 눌려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렇게 되면, 띠지(T)의 양단은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쳐지게 되고, 그 부분이 이음부분이 된다.
이 상태에서 접착성형바(165)가 상기 띠지(T)의 이음부분으로 하강하여 상기 이음부분에 접착부를 형성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접착스티커(T')를 상기 이음부분에 부착하여 띠지(T)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피결속물(P)은 띠지(T)에 의해 결속이 완료되고, 상기 띠지피더(117)는 하강하여 다음 띠지(T)를 공급하기 위해 원위치(컨베이어(40)의 양측 중 어느 일측)로 복귀하게 되고, 다시 컨베이어(40)가 작동하여 띠지(T)에 의해 결속된 피결속물(P)은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작업이 연속적/반복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다수개의 피결속물(P)이 띠지(T)에 의해 각각 결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공급부 20: 식별부
40: 컨베이어 110: 고정암
117: 띠지피더 117a: 띠지공급부
117b: 밀착부 117b': 롤러
125: 제1푸시암 135: 제2푸시암
160: 접착성형바

Claims (9)

  1. 다수개의 작업물이 적층되어 구성되는 피결속물을 결속하기 위한 띠지결속장치를 이용한 인쇄물다발 자동묶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띠지결속장치를 이용한 인쇄물다발 자동묶음장치는
    낱장의 작업물을 이송하여 적층시키는 공급부와,
    상기 낱장의 작업물을 스캔하여 확인하는 식별부와,
    적층된 피결속물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와,
    상기 작업물이 적층되어 구성되는 피결속물에 띠지를 결속하는 띠지결속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띠지결속장치는
    상기 피결속물의 하방에서 띠지를 공급하는 띠지피더와,
    상기 띠지의 양단을 각각 상기 피결속물의 상단에 밀착시키는 제1푸시바 및 제2푸시바와,
    상기 제1푸시바 및 제2푸시바에 의해 그 양단이 상기 피결속물의 상단에서 겹쳐진 상기 띠지의 이음부분으로 하강하여 상기 이음부분에 접착부를 형성시키는 접착성형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푸시바 및 제2푸시바는 상기 피결속물의 상단을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시간차를 두고 하강하면서 상기 띠지의 양단을 각각 상기 피결속물 상단 방향으로 눌러주고:
    상기 제1푸시바 및 제2푸시바는 일단이 탄성물질로 구성되어, 상기 띠지 및 피결속물 손상을 방지하며:
    상기 띠지피더는,
    상기 띠지를 그 상부에 안착한 상태로 상기 피결속물의 하방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피결속물의 저면 방향으로 상승가능한 띠지공급부와,
    상기 띠지공급부가 상승과 동시 또는 그 이후에 상기 띠지공급부 보다 더 상승하여 상기 띠지의 양측을 상기 피결속물의 양측면에 각각 밀착시키는 밀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에는 회전을 통해 상기 피결속물의 상단을 눌러 고정시키는 고정암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암은,
    상기 띠지가 상기 피결속물을 감싸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피결속물의 상단을 눌러 고정시키고, 상기 피결속물을 중심으로 양측에 쌍을 이루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띠지결속장치를 이용한 인쇄물다발 자동묶음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의 일단에는 롤러가 구비되어 상기 밀착부의 상승과정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띠지의 양측을 상기 피결속물의 양측면 방향으로 눌러줌을 특징으로 하는 띠지결속장치를 이용한 인쇄물다발 자동묶음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성형바는 상기 피결속물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띠지의 양단 중 접착면이 구비된 어느 일단을 타단방향으로 눌러 접착부를 형성하거나, 상기 띠지의 양단이 겹치는 연결부분에 접착스티커를 붙여 접착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띠지결속장치를 이용한 인쇄물다발 자동묶음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되고 낱장의 작업물을 연속적으로 이송시켜 컨베이어 일측에 적층시키고, 상기 식별부는 상기 공급부에 의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작업물에 형성된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작업물의 개수를 카운팅함과 동시에 혼입된 작업물을 인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띠지결속장치를 이용한 인쇄물다발 자동묶음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의 이동경로 중 상기 공급부 및 상기 띠지피더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상기 작업물이 적층되어 구성된 피결속물의 양측면을 동시에 눌러 피결속물을 정렬하는 정렬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띠지결속장치를 이용한 인쇄물다발 자동묶음장치.
KR1020140078632A 2014-06-26 2014-06-26 띠지결속장치를 이용한 인쇄물다발 자동묶음장치 KR101672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632A KR101672830B1 (ko) 2014-06-26 2014-06-26 띠지결속장치를 이용한 인쇄물다발 자동묶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632A KR101672830B1 (ko) 2014-06-26 2014-06-26 띠지결속장치를 이용한 인쇄물다발 자동묶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020A KR20160001020A (ko) 2016-01-06
KR101672830B1 true KR101672830B1 (ko) 2016-11-04

Family

ID=55164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8632A KR101672830B1 (ko) 2014-06-26 2014-06-26 띠지결속장치를 이용한 인쇄물다발 자동묶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8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544B1 (ko) * 2019-05-09 2019-10-04 최상식 묶음 라벨링 머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5744B2 (ja) 1993-08-05 2000-12-11 日本空圧システム株式会社 紙葉類大束結束機
KR100466451B1 (ko) 2004-01-08 2005-01-13 주식회사 도모링크 지폐 계수겸 결속장치
KR100954678B1 (ko) * 2009-09-18 2010-04-27 정희우 해태 자동결속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9417A (ja) * 1992-12-10 1994-06-28 Furutetsuku:Kk 平海苔束の結束方法およ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5744B2 (ja) 1993-08-05 2000-12-11 日本空圧システム株式会社 紙葉類大束結束機
KR100466451B1 (ko) 2004-01-08 2005-01-13 주식회사 도모링크 지폐 계수겸 결속장치
KR100954678B1 (ko) * 2009-09-18 2010-04-27 정희우 해태 자동결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020A (ko) 201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28822B2 (ja) 紙製綴じ具、および、その製造システムと製造装置
JP3162537U (ja) 製本機械
WO2013125285A1 (ja) シート折り畳み装置および製函機
JP2012054300A (ja) 変圧器鉄心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KR102033737B1 (ko) 스테치와 풀접착시 폭 조정이 가능한 체인식 박스제작 기계장치
JP2021045964A (ja) 任意の寸法の積層板への木製薄板の幅接着のための自動機械およびそれに関連する方法
KR101672830B1 (ko) 띠지결속장치를 이용한 인쇄물다발 자동묶음장치
KR20100043648A (ko) 박스 제조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 이용한 싸바리 상자의자동 제조장치
JPS62249843A (ja) 積み重ねたプレ−ト状物品を機械加工ステ−シヨン、特に切断ステ−シヨンに供給する装置
KR100801110B1 (ko) 작업의 연속성이 확보된 박스 제조장치
KR101639050B1 (ko) 성질과 평량이 다른 지류의 스파이크 타입 고속 합지장치
US3625803A (en) Multilayer pad laminator
KR101927361B1 (ko) 라벨 피더
JP2005153493A (ja) 積層材の製造装置及び板状体の接着方法
KR102313204B1 (ko) 제함기의 포장박스 밴딩장치
JP7053884B2 (ja) スタンピングフォイルを駆動する装置、スタンピングステーション及びスタンピング機、及びスタンピングフォイルの駆動を制御する方法
KR101480099B1 (ko) 연성회로기판의 핫프레스용 쿠션시트 합지장치
JP5330139B2 (ja) タイヤ材料のジョイント装置およびタイヤ材料の作製方法
WO2014034543A1 (ja) 胴巻き包装装置
CN220392870U (zh) 轮胎用rfid电子标签层合机构
KR100954678B1 (ko) 해태 자동결속장치
CN205416484U (zh) 一种新型自动校正纸箱生产线
KR20090094883A (ko) 포장용 상자 제조장치
KR102476817B1 (ko) 폴딩 글루어 가압장치용 블랭크 공급 정렬 장치
KR19980063555A (ko) 베니어 단판을 세로방향으로 접합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