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6451B1 - 지폐 계수겸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지폐 계수겸 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6451B1
KR100466451B1 KR1020040001134A KR20040001134A KR100466451B1 KR 100466451 B1 KR100466451 B1 KR 100466451B1 KR 1020040001134 A KR1020040001134 A KR 1020040001134A KR 20040001134 A KR20040001134 A KR 20040001134A KR 100466451 B1 KR100466451 B1 KR 100466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age
binding
unit
bills
cou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1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동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모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모링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모링크
Priority to KR1020040001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64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6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64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7/00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 G06M7/02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wherein objects ahead of the sensing element are separated to produce a distinct gap between successive objects
    • G06M7/06Counting of flat articles, e.g. of sheets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3/00Counters with additional facili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 계수겸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지폐의 계수와 결속작업을 동일기기에서 일률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본체의 상부 일측으로 지폐를 계수하는 계수부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계수된 지폐를 띠지로 결속하는 결속부가 구비되며, 상기 계수부와 결속부의 사이에는 계수된 지폐를 상기 결속부로 이송하는 이송부가 구비된 지폐 계수겸 결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본체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계수부에서 배출된 지폐가 정렬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상에 활주가능하게 설치되는 왕복대와, 상기 왕복대를 이동시켜 정렬된 지폐를 이송하는 구동부와, 상기 왕복대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위치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지폐 계수겸 결속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와는 달리 작업에 소모되는 인력과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며, 저렴한 가격으로 계수기와 결속기의 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지폐 계수겸 결속장치{Apparatus for binding and counting a bills}
본 발명은 지폐 계수겸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폐의 계수와 결속작업을 동일기기에서 일률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지폐 계수겸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폐 계수장치는 지폐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계수할 수 있으므로 다량의 지폐를 취급하는 은행이나 관공서에서 주로 사용되며, 사용자는 계수된 지폐를 손쉽게 보관 및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량으로 분류하여 띠지로 묶는 지폐 결속작업을 수행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지폐 결속작업을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수행하는 경우에는, 많은 인력과 시간의 낭비가 발생되어 경제적인 손실이 초래됨은 물론, 결속이 부실하게 이루어져 지폐를 보관 및 이동과정에서 지폐다발이 해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도 지폐 결속작업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지폐 결속장치가 출시되어 있으나, 상기와 같은 결속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상기 계수장치를 이용하여 지폐를 계수한 후 이를 결속장치로 이동시켜 결속작업을 수행해야 했으므로, 두 개의 기기를 각기 조작해야 함은 물론 계수 및 결속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작업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고가의 지폐 계수장치와 결속장치를 각각 구비해야 했으므로, 사용자의 경제적인 부담이 증가됨은 물론 설치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지폐의 계수와 결속작업이 동일기기에서 일률적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한 지폐 계수겸 결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본체의 상부 일측으로 지폐를 계수하는 계수부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계수된 지폐를 띠지로 결속하는 결속부가 구비되며, 상기 계수부와 결속부의 사이에는 계수된 지폐를 상기 결속부로 이송하는 이송부가 구비된 지폐 계수겸 결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본체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계수부에서 배출된 지폐가 정렬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상에 활주가능하게 설치되는 왕복대와, 상기 왕복대를 이동시켜 정렬된 지폐를 이송하는 구동부와, 상기 왕복대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위치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a는 외관 사시도.
도 1b는 내부 사시도.
도 1c는 도 1b의 정면도.
도 2는 이송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2a는 이송 전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 2b는 이송 후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 3은 결속부의 측면을 보인 개략도.
도 4는 도 3의 작동상태를 보인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레일
12 : 이송롤러 20 : 계수부
21 : 호퍼 22 : 투입롤러
23 : 카운터 30 : 이송부
31 : 받침대 32 : 왕복대
320 : 가이드 33 : 구동부
330 : 모터 331 : 풀리
332 ; 밸트 34 : 위치제어부
340 : 감지대 341 : 제1 센서부
342 : 제2 센서부 35 : 가이드암
36 : 스프링 40 : 결속부
41 : 하우징 410 : 띠지홈
42 : 띠지공급부 420 : 로울러
421 : 모터 43 : 띠지고정부
430 : 빌베이스 431 ; 밀대
432 : 관통공 44 : 히팅부
45 : 커팅부 46 : 구동수단
50 : 띠지
상술한 본 발명의 양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a는 외관 사시도, 도 1b는 내부 사시도, 도 1c는 도 1b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상부 일측에는 지폐를 계수하는 계수부(20)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계수된 지폐를 띠지(50)로 결속하는 결속부(40)가 구비되며, 상기 계수부와 결속부의 사이에는 계수된 지폐를 상기 결속부로 이송하는 이송부(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계수부(20)는 통상의 지폐 계수기와 동일한 구성으로, 지폐가 거치되는 호퍼(21)와, 상기 호퍼에 거치된 지폐를 한 장씩 기기의 내측으로 인입시키는 투입롤러(22)와, 투입되는 지폐를 계수하는 카운터(2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송부(30)는 본체(10)의 전방에 구비되어 계수부(20)에서 배출된 지폐가 정렬되는 받침대(31)와, 상기 받침대상에 활주가능하게 설치되는 왕복대(32)와, 상기 왕복대를 이동시켜 정렬된 지폐를 결속부(40)측으로 이송하는 구동부(33)와, 상기 왕복대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위치제어부(34)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33)는 받침대(31)의 하측에 설치되는 모터(330)와, 상기 모터로구동되는 한 쌍의 풀리(331)와, 상기 풀리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왕복대의 하측이 고정되는 밸트(33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위치제어부(34)는 왕복대(32)의 하부에 일체로 구비된 감지대(340)와, 상기 왕복대의 이동범위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감지대의 감지시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출력하여 모터를 제어하는 제1,2 센서부(341)(342)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지폐의 계수가 시작되면 본체(10)에 내장된 제어부(미도시)는 카운터(23)로 계수되는 지폐의 매수를 디스플레이하며, 계수가 완료되면 모터(330)를 구동하여 왕복대(32)를 이송함으로써, 받침대(31)의 상부에 정렬된 지폐를 결속부(40)측으로 이송하게 된다.
또한, 왕복대(32)가 지폐의 이송을 완료하는 시점 즉 제2 센서부(342)에 도달하여 감지대(340)가 감지되면, 상기 제2 센서부는 제어부로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어부로 하여금 모터(330)를 역회전시켜 상기 왕복대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한편, 왕복대(32)가 원위치로 도달하면 제1 센서부(341)가 감지대(340)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어부로 하여금 모터(330)를 정지시켜 다음 이송까지 정지시킨다.
상기 결속부(40)는 띠지(50)를 이용하여 지폐를 자동으로 결속하기 위한 것으로 상용화된 지폐 결속기를 적용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따른 결속부는 후술하는 도 3,4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지폐의 계수와 결속작업이 동일기기에서 일률적으로 처리할 수있으므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받침대(31)와 평행하게 한 쌍의 레일(11)이 설치되고, 왕복대(32)에는 상기 레일과 결합되는 가이드(320)가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왕복대의 이동과정에서 진동 및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계수부(20)에서 배출되는 지폐를 받침대(31)측으로 밀어내어 정렬하는 이송롤러(12)가 카운터(23)의 양측 전방으로 구비되고, 상기 이송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카운터(23)에서 배출되는 지폐는 이송롤러(12)와 접촉되어 상기 이송롤러의 회전력과 마찰력에 의해 빠르게 배출됨으로써, 받침대(31)에 보다 정확하고 조밀하게 정렬된다.
도 2는 이송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2a는 이송 전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고, 도 2b는 이송 후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운터(23)에서 계수되어 배출되는 지폐는 받침대(31)의 상부에 정렬되고, 지폐의 계수가 완료되면 왕복대(32)가 상기 받침대상에서 이동하여 정렬된 지폐를 결속부측으로 이송하게 된다.
이때, 왕복대(32)의 상부에는 가이드암(35)이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왕복대의 전진시 받침대(31)상에 정렬된 지폐의 측부를 가이드함으로써, 지폐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정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이드암(35)은 왕복대(32)상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되고, 상기 가이드암의 후방을 탄력지지하는 스프링(36)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왕복대(32)가 지폐의 이송을 완료하는 위치 즉 지폐가 삽입되는 하우징(41)의 입구에 도달시 가이드암(35)에 의한 간섭이 배재됨으로써, 상기 왕복대의 전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입구에 밀착됨으로써, 지폐를 하우징의 내측으로 확실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결속부의 측면을 보인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의 작동상태를 보인 개략도로써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결속부(40)는 계수부(20)의 측부에 구비되며, 내측으로 지폐가 삽입되는 하우징(41)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띠지를 공급하는 띠지공급부(42)와, 상기 하우징(41)의 측부로 삽입되어 지폐의 삽입시 상기 띠지의 끝부분을 고정하는 띠지고정부(43)와, 상기 띠지의 접촉부분을 가열하여 융착시키는 히팅부(44)와, 상기 띠지의 융착 후 융착부분의 일측을 절단하는 커팅부(45)와, 상기 구성요소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41)은 지폐가 삽입될 수 있도록 받침대(31)와 연결되며, 내측 중간부분에는 띠지(50)가 삽입되는 띠지홈(410)이 형성되고, 상기 띠지홈으로 띠지를 공급하는 띠지공급부(42)는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띠지의 양측에 구비되는 로울러(420)와 이를 구동하는 모터(421)로 구성된다.
상기 띠지고정부(43)는 하우징(41)의 측부에 구비되며 삼각형의 단면을 갖는 빌베이스(430)와, 상기 빌베이스의 후방측에 구비되는 밀대(431)로 구성되며, 상기 밀대에는 띠지(50)가 유입되는 관통공(43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한 결속대기모드에서는 띠지(50)가 밀대(431)의 관통공(432)을 통해 하우징(41)의 띠지홈(410)으로 공급되며, 그 끝부분은 빌베이스(430)의 후면과 밀대(431)의 사이에 위치된다.
이때, 하우징(41)의 내측으로 지폐가 삽입되면,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된 센서(미도시)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빌베이스(430)와 밀대(431), 히팅부(44)와 커팅부(45)를 구동하는 구동수단(46)을 작동시키게 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대(431)가 전진하여 띠지(50)의 끝부분을 빌베이스(430)의 후면에 고정하고, 상기 빌베이스는 밀대와 함께 전진하여 지폐의 중앙을 가압하여 구부리게 된다.
그 다음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지공급부(42)의 작동으로 로울러(420)가 역회전하여 띠지(50)를 잡아당겨 지폐를 팽팽하게 조이게 되며, 히팅부(44)가 전진하여 띠지의 접촉부분을 융착시키면, 커팅부(45)의 회전형 커터가 회전되어 융착부의 상측을 절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은 제어부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며, 절단이 완료된 후에는 빌베이스(431)를 비롯한 구성요소들이 원상태로 복귀되어 결속된 지폐다발을 인출할 수 있게 되며, 띠지공급부(42)에서 띠지(50)를 재공급하여 상술한 결속대기모드로 전환된다.
이때, 상기 구동수단(46)은 캠이나 실린더를 이용한 장치를 비롯하여 산업에서 널리 이용되는 각종 엑츄에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며, 이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폐의 계수와 결속작업을 동일기기에서 일률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종래와는 달리 작업에 소모되는 인력과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며, 저렴한 가격으로 계수기와 결속기의 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효과를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본체(10)의 상부 일측으로 지폐를 계수하는 계수부(20)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계수된 지폐를 띠지로 결속하는 결속부(40)가 구비되며, 상기 계수부와 결속부의 사이에는 계수된 지폐를 상기 결속부로 이송하는 이송부(30)가 구비된 지폐 계수겸 결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본체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계수부에서 배출된 지폐가 정렬되는 받침대(31)와, 상기 받침대상에 활주가능하게 설치되는 왕복대(32)와, 상기 왕복대를 이동시켜 정렬된 지폐를 이송하는 구동부(33)와, 상기 왕복대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위치제어부(34)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받침대의 하측에 설치되는 모터(330)와, 상기 모터로 구동되는 한 쌍의 풀리(331)와, 상기 풀리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왕복대의 하측이 고정되는 밸트(332)로 구성되고;
    상기 위치제어부는, 상기 왕복대의 하부에 일체로 구비된 감지대(340)와, 상기 왕복대의 이동범위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감지대의 감지시 제어부로 신호를 출력하여 모터를 제어하는 제1,2 센서부(341)(342)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계수부에서 배출되는 지폐를 상기 받침대측으로 밀어내어 정렬하는 이송롤러(12)가 한 개 이상 구비되고, 상기 이송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계수겸 결속장치.
  7. 본체(10)의 상부 일측으로 지폐를 계수하는 계수부(20)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계수된 지폐를 띠지로 결속하는 결속부(40)가 구비되며, 상기 계수부와 결속부의 사이에는 계수된 지폐를 상기 결속부로 이송하는 이송부(30)가 구비된 지폐 계수겸 결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본체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계수부에서 배출된 지폐가 정렬되는 받침대(31)와, 상기 받침대상에 활주가능하게 설치되는 왕복대(32)와, 상기 왕복대를 이동시켜 정렬된 지폐를 이송하는 구동부(33)와, 상기 왕복대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위치제어부(34)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받침대의 하측에 설치되는 모터(330)와, 상기 모터로 구동되는 한 쌍의 풀리(331)와, 상기 풀리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왕복대의 하측이 고정되는 밸트(332)로 구성되고;
    상기 위치제어부는, 상기 왕복대의 하부에 일체로 구비된 감지대(340)와, 상기 왕복대의 이동범위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감지대의 감지시 제어부로 신호를 출력하여 모터를 제어하는 제1,2 센서부(341)(342)로 구성되며;
    상기 왕복대의 상부에는 가이드암(35)이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왕복대의 전진시 상기 받침대상에 정렬된 지폐의 측부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계수겸 결속장치.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암(35)은 상기 왕복대(32)상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되고, 상기 가이드암의 후방을 탄력지지하는 스프링(36)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계수겸 결속장치.
KR1020040001134A 2004-01-08 2004-01-08 지폐 계수겸 결속장치 KR100466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134A KR100466451B1 (ko) 2004-01-08 2004-01-08 지폐 계수겸 결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134A KR100466451B1 (ko) 2004-01-08 2004-01-08 지폐 계수겸 결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6451B1 true KR100466451B1 (ko) 2005-01-13

Family

ID=37224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134A KR100466451B1 (ko) 2004-01-08 2004-01-08 지폐 계수겸 결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64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84880A2 (en) * 2007-12-28 2009-07-09 Xtm World Co., Ltd. Multi-pocket paper money calculating apparatus having an paper money discriminating function and an auto binding function and an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22098B1 (ko) 2011-11-11 2013-10-28 신동현 지폐 계수 결속기
KR101400772B1 (ko) 2012-12-03 2014-05-29 신동현 지폐 계수결속기의 적층가이드
KR20160001020A (ko) * 2014-06-26 2016-01-06 네오프린텍(주) 띠지결속장치를 이용한 인쇄물다발 자동묶음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84880A2 (en) * 2007-12-28 2009-07-09 Xtm World Co., Ltd. Multi-pocket paper money calculating apparatus having an paper money discriminating function and an auto binding function and an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WO2009084880A3 (en) * 2007-12-28 2009-09-24 Xtm World Co., Ltd. Multi-pocket paper money calculating apparatus having an paper money discriminating function and an auto binding function and an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22098B1 (ko) 2011-11-11 2013-10-28 신동현 지폐 계수 결속기
KR101400772B1 (ko) 2012-12-03 2014-05-29 신동현 지폐 계수결속기의 적층가이드
KR20160001020A (ko) * 2014-06-26 2016-01-06 네오프린텍(주) 띠지결속장치를 이용한 인쇄물다발 자동묶음장치
KR101672830B1 (ko) 2014-06-26 2016-11-04 네오프린텍(주) 띠지결속장치를 이용한 인쇄물다발 자동묶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349999B (en) A knitting machine and yarn changer
CN101628515A (zh) 无线装订装置
KR100466451B1 (ko) 지폐 계수겸 결속장치
DE3864873D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pulenwechsel.
KR100304415B1 (ko) 띠장식된지폐다발의지폐를계수(計數)하기위한계수스테이션
CN110304298B (zh) 一种自动捆钞设备
US6871389B2 (en) Workpiece feeder for a cutting metal-working machine or the like
EP1502890A3 (de) Aufspulmaschine
KR100443430B1 (ko) 지폐결속장치
EP0928742B1 (en) Automatic band charging device for strapping machine
CN107470529A (zh) 一种钢筋自动加工机械
US3286434A (en) Apparatus for grouping and banding a specific number of envelopes at a time in packets, particularly in conjunction with high-speed envelope machines
CN110282500A (zh) 全自动绕线机
CN214217462U (zh) 一种作业本码垛设备用新型上料机构
CN211494753U (zh) 一种收卷物料在线捆扎机
IT1146218B (it) Dispositivo atto a regolare il passaggio per le monete in una macchina per trattare monete
JPS6347013A (ja) 切断機用定寸バイス装置
CN207982719U (zh) 自动化端子插卡并检测的插针系统
JP5887631B2 (ja) 製本装置
CN220564844U (zh) 一种针织大圆机
JPS6337431B2 (ko)
CN211664355U (zh) 一种便于压紧布料的激光裁布机
CN208326558U (zh) 一种传输定位装置
JP2583319Y2 (ja) バンド掛け梱包機
CN211814893U (zh) 折带机送料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