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560B1 - 진공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2560B1
KR101672560B1 KR1020117000478A KR20117000478A KR101672560B1 KR 101672560 B1 KR101672560 B1 KR 101672560B1 KR 1020117000478 A KR1020117000478 A KR 1020117000478A KR 20117000478 A KR20117000478 A KR 20117000478A KR 101672560 B1 KR101672560 B1 KR 101672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ontrol device
connection
blowout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0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9250A (ko
Inventor
이폰네 크렐
볼프강 하놀트
토르슈텐 칸츠
디트마르 바그너
아르민 사이츠
Original Assignee
페스토 악티엔 게젤샤프트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스토 악티엔 게젤샤프트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페스토 악티엔 게젤샤프트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10089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9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4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F5/02 - F04F5/42
    • F04F5/46Arrangements of nozzles
    • F04F5/466Arrangements of nozzles with a plurality of nozzles arranged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4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F5/02 - F04F5/4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4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F5/02 - F04F5/42
    • F04F5/48Control
    • F04F5/52Control of evacuating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32Modular valves
    • F15B13/0839Stacked plate typ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46Electrical details
    • F15B13/0864Signalling means, e.g. L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46Electrical details
    • F15B13/0867Data bus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ipulator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진공제어장치는 진공 소비 장치에게 진공을 방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유닛 (13) 을 구비하며, 상기 상기 베이스 유닛 (13) 은 공급 및 작동 연결 수단을 위한 공급 및 작동 인터페이스 (20), 및 그것에 조립하기 위한 공급 및 작동 연결 수단 (15, 16, 28a, 28b), 배기 제거 유닛 (29, 31) 을 위한 배기 인터페이스 (30), 및 그것에 조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기 제거 유닛 (29, 31), 블로우 아웃 제어 장치 (32, 33) 를 위한 블로우 아웃 제어 인터페이스 (40), 및 그것에 조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블로우 아웃 제어 장치 (32, 33), 및 외부 전자 제어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50) 를 구비하고, 상기 공급 및 작동 연결 수단은 어셈블리로서 결합된 다수의 베이스 유닛 (13) 을 조립하기 위한 수집 연결 수단 (16), 및 개별적인 베이스 유닛 (13) 을 조립하기 위한 개별 연결 수단 (15) 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진공제어장치 {VACUUM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진공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진공제어장치는 진공 소비 장치에게 진공을 방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유닛은 공급 및 작동 연결 수단을 위한 공급 및 작동 인터페이스, 및 그것에 조립하기 위한 공급 및 작동 연결 수단, 배기 제거 유닛을 위한 배기 인터페이스, 및 그것에 조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기 제거 유닛, 블로우 아웃 제어 장치를 위한 블로우 아웃 제어 인터페이스, 및 그것에 조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블로우 아웃 제어 장치, 및 외부 전자 제어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이러한 유형의 진공제어장치는 예컨대 DE 10 2004 031 924 B4 로부터 공지되어 있으며, 이에 따르면 어셈블리가 되도록 결합된, 각각의 경우에 있어 이젝터를 포함하는 다수의 베이스 유닛은 수용 장치라고 불리우는 하나의 공통의 분배기 플레이트 상에 안착한다. 상기 분배기 플레이트는 외부 압축공기 발생기에 연결하기 위한 개별 압축공기 연결부를 구비하며, 이때 압축공기는 플레이트 내부 채널 시스템을 통해 각각의 베이스 유닛쪽으로 안내되고, 그 후 그곳에서는 통합되어 있는 이젝터를 이용해 진공발생이 수행된다. 각각의 베이스 유닛에는 석션 연결부 또는 진공 포트가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석션 연결부 또는 진공 포트는 마찬가지로 분배기 플레이트에 위치한다. 그곳에서, 진공 소비 장치쪽으로 안내하는 석션 라인들이 연결되거나, 또는 진공 소비 장치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그들의 각각의 이젝터들과 함께 별도의 진공발생기 유닛들을 형성하는 베이스 유닛들에는 각각의 경우에 있어 소음기들이 안착하며, 상기 소음기들을 통해, 이젝터에게 공급된 압축공기는 소음이 줄여져 주변에 도달한다. 이 이외에, 진공발생기 유닛들에는 제어 장치가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장치는 마찬가지로 분배기 플레이트 상에 안착하고, 그리고 개별 진공발생 유닛들 안의 진공발생, 및 진공 소비 장치에서 석션된 대상물의 투하를 위한 블로우 아웃 (blow-out) 과정을 제어한다. 마지막으로, 진공발생기 유닛들의 전기 접촉을 위한 전기-분배기 스트립이 또한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입부에 언급된 진공제어장치에 비해 향상된 기능 및 가변성 (variability) 을 가진, 도입부에 언급된 유형의 진공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독립항 제 1 항의 특징들을 가진 진공제어장치를 통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개선예들은 종속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제어장치는, 공급 및 작동 연결 수단이 어셈블리로서 결합된 다수의 베이스 유닛을 조립하기 위한 수집 연결 수단, 및 개별적인 베이스 유닛을 조립하기 위한 개별 연결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그 탁월함을 나타낸다.
즉, 필요시 다수의 베이스 유닛을 어셈블리가 되도록 결합시키고, 그리고 상기 수집 연결 수단에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대안적으로, 베이스 유닛들을 공간적으로 서로 분리하여 각각 하나의 개별 연결 수단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예컨대 다수의 진공 소비 장치에 있어서, 결합된 다수의 베이스 유닛으로 만들어진 큰 크기를 가진 어셈블리를 삽입하기에 필요 공간이 충분하지 않으면 의미가 있다. 결합된 다수의 베이스 유닛으로 만들어진 어셈블리 이외에, 추가적으로 공간적으로 그것으로부터 분리되어, 각각의 경우에 있어 개별 연결 수단에 조립된 다수의 개별적인 베이스 유닛을 이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필요 및 요구에 따라 상기 진공제어장치는 개별적으로 키트 (kit) 의 여러 가지 구성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수집 연결 수단 또는 개별 연결 수단의 이용에 확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특정하게 선택할 수 있는 가능성, 또는 어셈블리에 있어서 개별 연결 수단과 수집 연결 수단을 조합시킬 수 있는 가능성도 존재하는데, 왜냐하면 진공제어장치에는 수집 연결 수단 뿐만 아니라 개별 연결 수단도 속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상기 개별 연결 수단은 공급 및 작동 커넥션 (supply and working connection) 을 가진 연결블록으로서 및/또는 공급 라인과 작동 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2 개의 개별적인 라인 연결 요소로서 형성되어 있다. 목적에 부합하여, 진공제어장치에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블록과 적어도 2 개의 라인 연결 요소가 속한다. 그러면, 이 경우에도 특정하게 선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하며, 즉 이 개별 연결 수단의 이용시 베이스 유닛을 상기 연결블록을 통해 연결시키거나 또는 상기 두 라인 연결 요소를 사용하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즉, 가변성이 더욱 향상된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상기 수집 연결 수단은 연결 스트립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스트립은 공급 커넥션을 구비하고, 상기 공급 커넥션은 연결-분배기 채널 시스템 안으로 통하며, 상기 연결-분배기 채널 시스템은 각각의 베이스 유닛과 커플링되어 있고, 그리고 각각의 경우에 있어 베이스 유닛들 중 하나에 할당된 다수의 작동 커넥션을 구비한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유닛은 진공제어장치에 탑재된 (on board), 진공발생을 위한 이젝터 (ejector) 를 구비한다. 상기 이젝터는 예컨대 간단한 이젝터 카트리지의 구성요소로서 간단한 방식으로, 그리고 빨리 교체 가능하게 베이스 유닛의 하우징 안에 통합될 수 있다. 상기 이젝터는 압축공기에 의해 관류되는 석션 노즐을 이용해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며, 상기 석션 노즐은 벤투리 원리 (Venturi principle) 에 따라 저압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이젝터들의 장점은, 그것들이 일반적으로 저압이 필요시되는 곳에 안착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계속 진공화되어야만 하는 긴 저압채널들이 필요하지 않으며, 따라서 이젝터들을 사용하는 경우 저압이 즉시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유닛은 내부 진공발생 없이 작동이 수행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며, 이때 상기 공급 커넥션에는 예컨대 진공펌프 형태의 외부 진공발생기가 연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이젝터 및/또는 외부 진공발생을 제공하는 가능성을 통해, 진공제어장치의 가변성이 더욱 향상된다. 예컨대, 다수의 베이스 유닛이 어셈블리가 되도록 결합되어 있고, 수집 연결 수단에 조립되어 있는 실시형태도 가능하며, 이때 베이스 유닛은 각각 이젝터를 구비하고, 따라서 진공발생은 각각의 베이스 유닛 안에서 다른 베이스 유닛들과는 상관 없이 수행된다. 대안적으로, 마찬가지로 수집 연결 수단 및 어셈블리가 되도록 결합된 다수의 베이스 유닛을 사용하고, 하지만 이것들을 하나의 외부 진공발생기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때 각각의 베이스 유닛에는 진공을 키거나 또는 끄기 위한 제어밸브가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기 제거 유닛은 소음기로서 형성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배기 제거 유닛은 배기 라인을 위한 배기 커넥션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이른바 붙잡힌 배기가 제공되어 있을 수 있다. 어셈블리가 되도록 결합된 다수의 베이스 유닛에 있어서, 소음기를 가진 베이스 유닛들 중 적어도 하나, 및 붙잡힌 배기를 가진 베이스 유닛들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목적에 부합하여, 진공제어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소음기 및 적어도 하나의 배기 커넥션을 구비하며, 따라서 이 경우에도 특정하게 선택되거나 또는 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블로우 아웃 제어 장치는 블로우 아웃 밸브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블로우 아웃 밸브는 진공제어장치의 석션 작동 (suction operation) 에 할당된 제 1 스위칭 위치 (switching position) 와, 블로우 아웃 작동에 할당된 제 2 스위칭 위치 사이에서 스위칭 가능하고, 상기 제 2 스위칭 위치에서 압축공기가 할당된 작동 커넥션 쪽으로 통과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블로우 아웃 제어 장치는 할당된 블로우 아웃 챔버 밸브를 가진 블로우 아웃 챔버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블로우 아웃 챔버는 석션 작동시에는 유입 압축공기로 채워질 수 있고, 상기 압축공기는 블로우 아웃 작동시에는 상기 블로우 아웃 챔버 밸브를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전환함으로써 상기 작동 커넥션에서 블로우 아웃 임펄스로서 제공될 수 있다. 블로우 아웃 챔버를 외부 진공발생기와 연결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 후 그 밖의 압축공기 공급 커넥션이 제공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압축공기 공급 커넥션을 통해 블로우 아웃 챔버는 석션 작동시 압축공기로 채워질 수 있다. 그 후, 블로우 아웃 작동시 다시 블로우 아웃 챔버 밸브의 개방에 의해 작동 커넥션에서의 블로우 아웃 임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블로우 아웃 챔버의 부피를 변경시키는 것, 즉 필요시 확대시키거나 또는 축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예컨대 블로우 아웃 챔버가 작동 실린더 안에, 그 안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과 함께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진공제어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블로우 아웃 밸브 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블로우 아웃 챔버를 구비하는 것이 목적에 부합하며, 따라서 목표화된 선택 또는 조합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진공제어장치의 가변성이 더욱 향상된다.
특히 바람직한 방식으로, 상기 블로우 아웃 챔버 밸브는 셔틀밸브 (shuttle valve) 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셔틀밸브는 상기 블로우 아웃 챔버를 닫는 제 1 스위칭 위치에서의 발생된 진공을 통해, 그리고 진공의 제거시에는 상기 블로우 아웃 챔버 안에 우세한 압력 (prevailing pressure) 을 통해 제 2 스위칭 위치로 스위칭된다.
블로우 아웃 챔버가 베이스 유닛과는 별도의 블로우 아웃 컨테이너 안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블로우 아웃 컨테이너는 블로우 아웃 인터페이스에서 베이스 유닛에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어셈블리로서 결합된 다수의 베이스 유닛이 존재하는 경우, 전체 베이스 유닛들에 할당된, 특히 이것들을 덮는 스트립 유형의 또는 플레이트 유형의 접촉유닛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유닛은 제 1 접촉면에 배치된 연결 접촉부들을 통해 직접 베이스 유닛들과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접촉유닛에는 제 2 접촉면에 통신 인터페이스가 형성되어 있다. 목적에 부합하여, 베이스 유닛들 안에는 각각 내부 컨트롤 일렉트로닉스 (control electronics) 가 위치하고, 또는 어셈블리의 경우에는 다수의 베이스 유닛을 전자공학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 일렉트로닉스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접촉유닛에 의해, 진공제어장치로 안내되어야만 하는 데이터 라인들의 개수가 감소되는데, 왜냐하면 이제 외부 전자 제어장치에 의해 개별 데이터 라인을 통신 인터페이스로 안내하고, 그리고 각각의 베이스 유닛을 별도의 데이터 라인을 통해 외부 전자 제어장치와 연결시키지 않아도 충분하기 때문이다.
목적에 부합하여, 상기 접촉유닛은 진공제어장치의 여러 가지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평가 장치,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값의 수동 입력을 구비한다.
특히 바람직한 방식으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링크 인터페이스 (link interface) 및/또는 버스 인터페이스 (bus interface) 로서 형성되어 있다.
특히 바람직한 방식으로, 링크 인터페이스로서는 IO-링크 인터페이스가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제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1 은 여러 가지 인터페이스와, 이 인터페이스들에 부착될 수 있는 부품들 중의 선택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제어장치의 개략적인, 형태학적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제어장치의 제 1 실시예의 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제어장치의 제 2 실시예의 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제어장치의 제 3 실시예의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제어장치의 제 4 실시예의 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제어장치의 제 5 실시예의 투시도이다.
전체적으로 참조부호 11 로 표시되어 있는 진공제어장치는 특히, 대상물들이 여러 가지 장소 사이에서 재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대상물들을 일시적으로 진공을 이용해 붙드는데 사용된다. 상기 진공제어장치는 예컨대 조립 기술에서 또는 포장 산업에서 이용된다. 도 1 에는 대상물의 일례로서 플레이트 모양의 생산품 (12) 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진공제어장치는 진공 소비 장치, 예컨대 석션 그리퍼 (suction gripper, 14) 에게 진공을 방출하기 위한 베이스 유닛 (13) 을 포함한다.
베이스 유닛 (13) 은 개별 연결 수단 (15) 과 수집 연결 수단 (16) 형태의 공급 및 작동 연결 수단을 위한 공급 및 작동 인터페이스 (15) 를 구비하며, 상기 수집 연결 수단은 마찬가지로 진공제어장치 (11) 에 속한다.
수집 연결 수단 (16) 은 적어도 하나의 연결 스트립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연결 스트립은 상부 조립면 (17) 을 구비하고, 상기 조립면은 베이스 유닛 (13) 에서의 공급 및 작동 인터페이스 (20) 와 호환이 된다. 이 경우, 다수의 베이스 유닛 (13) 은 어셈블리가 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스트립의 상부 조립면 (17) 상에 조립될 수 있다. 이 이외에, 상기 연결 스트립은 공급 커넥션 (19) 을 구비하며, 상기 공급 커넥션은 연결-분배기 채널 시스템 (21) 안으로 통하고, 상기 연결-분배기 채널 시스템은 각각의 베이스 유닛 (13) 과 커플링되어 있으며, 그리고 각각의 경우에 있어 베이스 유닛 (13) 들 중 하나에 할당되어 있는 다수의 작동 커넥션 (22) 을 구비한다. 상기 연결 스트립은 다시 한번 도 2 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진공제어장치는 수집 연결 수단 (16) 이외에 개별 연결 수단 (15) 을 구비하며, 상기 개별 연결 수단은 2 가지 변형으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개별 연결 수단은 연결블록으로서 설계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블록은 상기 연결 스트립과 유사하게, 개별적인 베이스 유닛 (13) 을 조립하기 위한 상부 조립면 (26) 을 구비한다. 이 이외에, 연결블록 (25) 에는 공급 커넥션 (19) 및 작동 커넥션 (22) 이 위치한다. 개별 연결 수단의 다른 구현형태는 공급 라인과 작동 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2 개의 개별적인 라인 연결 요소들의 형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라인 연결 요소들은 예컨대 피팅 (fittings) 또는 플러그인 스크루 피팅 (plug-in screw fitting) 일 수 있으며, 상기 플러그인 스크루 피팅은 상기 베이스 유닛의 하우징 (27) 안의 부합하는 보어 (bore) 들에 도킹될 수 있거나 (docked) 또는 나사결합될 수 있다. 연결블록 (25) 형태의, 그리고 두 라인 연결 요소 (28a, 28b) 형태의 개별 연결 요소들은 도 3 및 도 4 에 도시되어 있다. 즉, 목적에 부합하여, 진공제어장치 (11) 에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스트립, 적어도 하나의 연결블록, 및 적어도 2 개의 라인 연결 요소들이 속하며, 따라서 공급 및 작동 인터페이스 (20) 에서는 필요에 따라 특정하게 상기 언급된 연결 수단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거나, 또는 다수의 베이스 유닛으로 만들어진 어셈블리에 있어서 연결 수단들의 여러 가지가 잇달아 조합될 수도 있다.
이 이외에, 진공제어장치 (11) 는 이젝터 (23) 를 구비하며, 상기 이젝터는 이젝터 카트리지의 구성요소이다. 상기 이젝터 카트리지는 특히 도 4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할당된 베이스 유닛 (13) 의 하우징 (27) 안에 이 경우 예컨대 수평으로 정렬된 이젝터 수용부 (24) 를 통해 상기 베이스 유닛 안에 교환 가능하게 통합될 수 있다. 이젝터 (23) 는 벤투리 원리에 따라 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석션 노즐 (도시되어 있지 않음) 을 구비하며, 그의 유입부는 공기 공급 채널 및 공급 커넥션 (19) 을 통해 외부 압축공기원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공급 커넥션은 이 경우 압축공기 공급 커넥션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탑재된 이젝터를 이용한 진공발생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예컨대 진공펌프 형태의 외부 진공발생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필요에 따라, 외부 진공발생기쪽으로 안내하는 석션 라인은 상기 연결블록의 및/또는 상기 연결 스트립의 공급 커넥션 (19) 에 및/또는 라인 연결 요소 (28a) 들 중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이 이외에, 진공제어장치 (11) 는 소음기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배기 제거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소음기는 배기 인터페이스 (30) 에 부착될 수 있다. 특히 도 2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소음기 (29) 는 바람직하게는 이젝터 카트리지의 출구에 안착하며, 각각의 베이스 유닛 (13) 의 하우징 (27) 밖으로 돌출한다. 목적에 부합하여, 진공제어장치 (11) 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음기에 대해 추가적으로 배기 커넥션 (31)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배기 제거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배기 커넥션에는 배기 라인이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배기는 이른바 붙잡힌 배기로서 배출될 수 있다.
이 이외에, 진공제어장치 (11) 는 블로우 아웃 밸브 (32)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블로우 아웃 제어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블로우 아웃 밸브는 배기 제어 인터페이스 (40) 에 부착될 수 있다. 목적에 부합하여, 블로우 아웃 밸브 (31) 는 2/2 웨이 기능을 구비하며, 진공제어장치 (11) 의 석션 작동시 공기 통과부를 차단하고, 상기 공기 통과부에는, 이젝터 (23) 들의 이용시 외부 압축공기원으로부터 공급 커넥션을 통해 공급된 압축공기가 베이스 유닛 (13) 의 하우징 (27) 의 내부에서의 상응하는 채널 분기부 (channel branch) 를 통해 존재한다. 블로우 아웃 밸브 (32) 를 개방 위치로 전환함으로써 블로우 아웃 작동이 도입되며, 이로 인해 작동 커넥션 (22) 에서의 유입 압축공기는 블로우 아웃 임펄스로서 제공되고, 이는 할당된 진공 소비 장치에서 석션된 대상물의 투하 (throwing off) 를 초래한다. 외부 진공발생기의 경우 압축공기는 그 밖의 압축공기 연결부를 통해, 즉, 공급 커넥션 (19) 을 통하지 않고 (왜냐하면 외부 진공발생기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제공된다. 그 후, 상기 압축공기는 유닛 (13) 의 하우징 (27) 안에 형성된 채널들을 통해 블로우 아웃 밸브 (32) 에 도달한다. 이 이외에, 블로우 아웃 임펄스의 높이를 설정하기 위한 스로틀 (42) 이 제공되어 있다.
블로우 아웃 밸브 (32) 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블로우 아웃 챔버 (33)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블로우 아웃 제어 장치가 제공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블로우 아웃 챔버는 할당된 블로우 아웃 챔버 밸브를 갖추고 있을 수 있다. 상기 블로우 아웃 챔버는 석션 작동시에는 유입 압축공기에 의해 채워질 수 있으며, 상기 압축공기는 블로우 아웃 작동시에는 블로우 아웃 챔버 밸브를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전환함으로써 상기 작동 커넥션에서 블로우 아웃 임펄스로서 제공된다. 외부 진공발생과 블로우 아웃 챔버 (33) 의 조합에 있어서, 블로우 아웃 챔버 (33) 는 석션 작동시 상기 언급된 그 밖의 압축공기 연결부를 통해 채워지며, 따라서 이 경우에도 블로우 아웃 작동시 작동 커넥션에서의 블로우 아웃 임펄스가 제공된다.
상기 블로우 아웃 챔버 밸브는 목적에 부합하여 셔틀밸브 (34) 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셔틀밸브는 블로우 아웃 챔버 (33) 를 닫는 제 1 스위칭 위치에서의 발생된 진공을 통해, 그리고 진공의 제거시에는 블로우 아웃 챔버 (33) 안에 우세한 압력을 통해 제 2 스위칭 위치로 스위칭되고, 그 후 상기 제 2 스위칭 위치에서는 블로우 아웃 챔버 안에 저장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이 이외에, 진공제어장치 (11) 는 제어밸브 (35) 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밸브는 이젝터 (23) 들을 이용하는 경우 공급 커넥션과 이젝터의 석션 노즐의 유입부 사이의 공기 공급 채널의 연장부 안에 삽입되어 있다. 제어밸브 (35) 는 목적에 부합하여 2/2 웨이 기능을 가진다. 이로 인해, 상기 제어밸브는 공기 공급 채널을 통한 공기 통로부를 선택적으로 차단시키거나 또는 개방시킬 수 있는데, 왜냐하면 이를 통해 이젝터 (23) 의 유입부의 공기 공급을 선택적으로 끄거나 또는 키기 위해서이다. 이 이외에, 이젝터 (23) 는 석션 사이드 (suction side) 또는 석션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석션 개구부는 석션 채널을 통해 작동 커넥션 (22) 에 연결되어 있고, 그 후, 연결되어 있는 진공 소비 장치, 예컨대 석션 그리퍼 (14) 를 위한 진공이 제공된다. 이 석션 채널의 연장부 안으로, 체크밸브가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그 후, 상기 체크밸브는 진공제어장치 (11) 가 공기 절약 기능을 갖추고 있으면 사용된다. 체크밸브는, 상기 체크밸브가 진공 소비 장치, 즉 예컨대 석션 그리퍼로부터 이젝터 (23) 쪽으로의 공기 흐름을 허락하도록, 하지만 반대 방향에서는 저지하도록 방향지워져 있다.
이 이외에, 진공제어장치 (11) 는 압력 검출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압력 검출 장치는 석션 채널 안에 우세한 압력, 및 그 결과 또한 그 안에 우세한 저압의 검출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압력 검출 장치는 특히 압력센서 (36) 이며, 상기 압력센서는 공기압을 전기 압력신호들로 전환하고, 그리고 이것들을 도시되어 있지 않은, 컨트롤 일렉트로닉스라고 불리우는 내부 전자제어장치를 통해 또는 대안적으로 외부 제어장치를 통해 제어밸브 (35) 에게 공급한다.
즉, 컨트롤 일렉트로닉스는 제어밸브 (35) 를 위한, 그리고 목적에 부합하여 또한 블로우 아웃 밸브 (32) 를 위한 가동 신호들을 제공한다.
이 이외에, 진공제어장치 (11) 는 외부 제어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그리고 목적에 부합하여 할당된 베이스 유닛 (13) 의 전압 공급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50) 를 구비한다. 내부 컨트롤 일렉트로닉스가 제공되어 있는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 (50) 는 그의 전압공급을 위해서도 사용된다.
이때, 통신 인터페이스 (50) 는 적어도 하나의, 특히 4 극 또는 5 극 플러그 및 소켓 커넥터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플러그 및 소켓 커넥터는 예컨대 5 극 M12-플러그 및 소켓 커넥터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것은 플러그와 삽입 수용부로 구성된다. 연결 케이블은 이 경우 4 극 또는 5 극 케이블로서 형성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는 링크 또는 버스 인터페이스로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특히, 링크 인터페이스는 IO-링크 인터페이스의 형태로 제공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외부 전자 제어장치와 통신 인터페이스 사이에 형성된 연결 케이블은 버스 라인으로서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버스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2 개의 버스 라인은 동시에 전압 공급 라인들로서 쓰일 수 있고, 그 후 제어 신호들 및 경우에 따라서는 답변 및 진단 신호들은 변조되어 있다.
어셈블리로서 결합된 다수의 베이스 유닛 (13) 이 존재하는 경우, 전체 베이스 유닛 (13) 들에 할당된, 특히 이것들을 덮는 스트립 유형의 또는 플레이트 유형의 접촉유닛 (37) 이 제공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접촉유닛은 제 1 접촉면 (38) 에 배치된 연결 접촉부들을 통해 직접 베이스 유닛들과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접촉유닛에는 제 2 접촉면 (39) 에 통신 인터페이스 (50) 가 형성되어 있다. 목적에 부합하여 접촉유닛 (37) 이 사용되며, 상기 접촉유닛은 도 2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어셈블리가 되도록 결합된 베이스 유닛 (13) 들의 윗면을 모자 유형으로 덮는다. 그 후, 통신 인터페이스는 예컨대 이 접촉유닛 (37) 의 측면에 제공되어 있을 수 있고, 반면 윗면에는 여러 가지 작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및 평가 유닛 (41) 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이외에, 표시 및 평가 유닛 (41) 은 예컨대 수동 설정을 위해, 예컨대 내부 컨트롤 일렉트로닉스의 프로그래밍을 위해 디스플레이, 및 예컨대 키보드로서 형성된 입력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유형의 입력 및 프로그래밍은 물론 외부 전자 제어장치로부터 수행될 수도 있다. 이 이외에, 표시 장치는 여러 가지 색으로 발광하는 LED (43) 또는 그 밖의 발광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 수단을 이용해 특정한 작동상태가 표시된다. 내부 컨트롤 일렉트로닉스는 접촉유닛 (37) 안에 수용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제어장치 (11) 의 여러 가지 실시예를 나타내며, 상기 실시예들에서 특정한 조합은 상응하는 인터페이스들에서의 부품들에 각각 특정하게 부착되어 있다.
즉, 예컨대 도 2 는 연결 스트립의 이용을 나타내며, 상기 연결 스트립 상에는 어셈블리가 되도록 결합된 다수의 베이스 유닛 (13) 이 조립되어 있다. 베이스 유닛들은 각각 이젝터 (23) 를 구비하며, 상기 이젝터는 외부 압축공기원, 및 연결 스트립 안에 배치된 압축공기 공급 커넥션 (19) 을 통해 압축공기를 공급받는다. 각각의 베이스 유닛 (13) 에는 별도의 작동 커넥션 (22) 이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 커넥션에서는 하류에 배치된 진공 소비 장치, 예컨대 석션 그리퍼 (14) 를 위한 저압이 제공된다. 각각의 베이스 유닛 (13) 들의 배기 인터페이스 (30) 에는 소음기 (29) 가 안착한다. 이 이외에, 블로우 아웃 제어 인터페이스 (40) 에는 블로우 아웃 밸브 (32) 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블로우 아웃 밸브는 블로우 아웃 과정을 제어한다. 통신 인터페이스 (50) 는 모자 유형의 접촉유닛 (37) 에 형성되어 있다. 이 이외에, 이 접촉유닛 (37) 의 윗면에는 여러 가지 색으로 발광하는 다수의 LED (43) 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LED 들은 제어 및 블로우 아웃 밸브의 작동 상태 및/또는 스위칭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3 은 진공제어장치 (11) 의 그 밖의 실시예를 나타내며, 상기 실시예에서 개별적인 베이스 유닛 (13) 은 연결블록 (25) 에 조립되어 있다. 여기에서도 또다시 이젝터 (23) 가 이용되며, 따라서 압축공기는 연결블록 (25) 의 공급 커넥션을 통해 이젝터 (23) 에 도달한다. 그 후, 작동 커넥션 (22) 에서는, 진공 소비 장치, 예컨대 석션 그리퍼 (14) 를 위한 저압이 픽오프 (pick off) 될 수 있다. 배기 인터페이스 (30) 에는 또다시 소음기 (29) 가 배치되어 있다. 블로우 아웃 제어 인터페이스 (40) 에는 블로우 아웃 밸브 (32) 가 제공되어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 (50) 에는 전압 공급 라인과 데이터 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 및 소켓 커넥터가 위치한다.
도 4 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제어장치 (11) 의 제 3 실시예는, 연결블록 (25) 대신 2 개의 개별적인 라인 연결 요소 (28a, 28b) 가 플러그 커넥터 형태로 사용된다는 점에서 제 2 실시예와 구별된다.
도 5 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제어장치 (11) 의 제 4 실시예에서는 접촉유닛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유닛은 LCD 디스플레이 형태의 표시 및 평가 유닛 (41) 과 키 (key) 형태의 입력수단을 구비한다. 이를 통해, 값의 수동 입력, 이른바 'Teach-in' 이 가능하다.
도 6 에 도시되어 있는 제 5 실시예는, 표시 및 평가 유닛 (41) 이 LED 들 만을 구비한다는 점에서 상기 기술된 제 4 실시예와 구별된다.
도 1 에서 알 수 있듯이, 진공제어장치는 여러 가지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들은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인터페이스 부품들을 갖출 수 있고, 따라서 개별적인 필요에 맞춰진 아주 여러 가지의 진공제어장치 (11) 가 실현될 수 있다.

Claims (16)

  1. 진공제어장치로서, 상기 진공제어장치는 진공 소비 장치에게 진공을 방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유닛 (13) 을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유닛 (13) 은 공급 및 작동 연결 수단을 위한 공급 및 작동 인터페이스 (20), 및 상기 공급 및 작동 인터페이스에 조립하기 위한 공급 및 작동 연결 수단 (15, 16, 28a, 28b), 배기 제거 유닛 (29, 31) 을 위한 배기 인터페이스 (30), 및 상기 배기 인터페이스에 조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기 제거 유닛 (29, 31), 블로우 아웃 제어 장치 (32, 33) 를 위한 블로우 아웃 제어 인터페이스 (40), 및 상기 블로우 아웃 제어 인터페이스에 조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블로우 아웃 제어 장치 (32, 33), 및 외부 제어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50) 를 구비한 진공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 및 작동 연결 수단은 어셈블리로서 결합된 다수의 베이스 유닛 (13) 을 조립하기 위한 수집 연결 수단 (16), 및 개별적인 베이스 유닛 (13) 을 조립하기 위한 개별 연결 수단 (15)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연결 수단 (15) 은 공급 및 작동 커넥션 (19, 22) 을 가진 연결블록 및 공급 라인과 작동 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2 개의 개별적인 라인 연결 요소 (28a, 28b) 중 하나 이상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제어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연결 수단 (16) 은 연결 스트립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스트립은 공급 커넥션 (19) 을 구비하고, 상기 공급 커넥션은 연결-분배기 채널 시스템 (21) 안으로 통하며, 상기 연결-분배기 채널 시스템은 각각의 베이스 유닛 (13) 과 커플링되어 있고, 그리고 각각의 경우에 있어 베이스 유닛 (13) 들 중 하나에 할당된 다수의 작동 커넥션 (22)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제어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유닛 (13) 은 진공제어장치에 탑재된, 진공발생을 위한 이젝터 (23)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제어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유닛 (13) 은 내부 진공발생 없이 작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공급 커넥션 (19) 에는 외부 진공발생기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제어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배기 제거 유닛은 소음기 (29) 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제어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배기 제거 유닛은 배기 라인을 위한 배기 커넥션 (31) 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제어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블로우 아웃 제어 장치는 블로우 아웃 밸브 (32) 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블로우 아웃 밸브는 진공제어장치 (11) 의 석션 작동에 할당된 제 1 스위칭 위치와, 블로우 아웃 작동에 할당된 제 2 스위칭 위치 사이에서 스위칭 가능하고, 상기 제 2 스위칭 위치에서 압축공기가 할당된 작동 커넥션 (22) 쪽으로 통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제어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블로우 아웃 제어 장치는 할당된 블로우 아웃 챔버 밸브를 가진 블로우 아웃 챔버 (33) 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블로우 아웃 챔버 (33) 는 석션 작동시에는 유입 압축공기에 의해 채워질 수 있고, 상기 압축공기는 블로우 아웃 작동시에는 상기 블로우 아웃 챔버 밸브를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전환함으로써 작동 커넥션 (22) 에서 블로우 아웃 임펄스로서 제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제어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우 아웃 챔버 밸브는 셔틀밸브 (34) 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셔틀밸브는 블로우 아웃 챔버 (33) 를 닫는 제 1 스위칭 위치에서의 발생된 진공을 통해 제 1 스위칭 위치로부터 제 2 스위칭 위치로 스위칭되고, 그리고 상기 제 1 스위칭 위치에서 진공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는 블로우 아웃 챔버 (33) 내의 압력을 통해 제 1 스위칭 위치로부터 제 2 스위칭 위치로 스위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제어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다수의 베이스 유닛 (13) 이 어셈블리로서 결합되면, 전체 베이스 유닛 (13) 들에 할당된 스트립 유형의 또는 플레이트 유형의 접촉유닛 (37) 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유닛은 제 1 접촉면에 배치된 연결 접촉부들을 통해 직접 베이스 유닛 (13) 들과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접촉유닛에는 제 2 접촉면 (39) 에 통신 인터페이스 (50) 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제어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유닛 (37) 은 여러 가지 작동 상태, 스위칭 상태, 또는 작동 상태와 스위칭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및 평가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제어장치.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링크 또는 버스 인터페이스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제어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링크 인터페이스로서는 IO-링크 인터페이스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제어장치.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유닛은, 작동 커넥션에서 픽오프될 수 있는 진공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밸브 (35)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제어장치.
  1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진공발생기는 진공펌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제어장치.
KR1020117000478A 2008-11-21 2008-11-21 진공제어장치 KR1016725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08/009904 WO2010057507A1 (de) 2008-11-21 2008-11-21 Vakuumsteuerein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250A KR20110089250A (ko) 2011-08-05
KR101672560B1 true KR101672560B1 (ko) 2016-11-03

Family

ID=40886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0478A KR101672560B1 (ko) 2008-11-21 2008-11-21 진공제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300721B1 (ko)
KR (1) KR101672560B1 (ko)
CN (1) CN102089528B (ko)
WO (1) WO201005750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4304A1 (en) * 2020-05-05 2021-11-11 Brillopak Limited Vacuum suction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18173B4 (de) * 2011-11-10 2015-10-08 Festo Ag & Co. K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Vakuumgreifeinrichtung, Vakuumsteuereinrichtung und Manipulator
CN103379740B (zh) * 2012-04-13 2014-11-05 深圳市腾世机电有限公司 一种贴片机的真空切换装置
DE102015206717B3 (de) * 2015-04-15 2016-08-18 Festo Ag & Co. Kg Vakuumerzeugervorrichtung
DE102016110904A1 (de) * 2016-06-14 2017-12-14 Bürkert Werke GmbH Ventilbaugruppe
DE102022110636A1 (de) 2022-05-02 2023-11-02 Festo Se & Co. Kg Vakuumerzeugervorrichtu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14705A1 (en) 2000-07-07 2002-08-22 Jurgen Schnatterer Vacuum produc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3039Y2 (ko) * 1987-05-30 1991-11-19
WO1993005296A1 (en) * 1991-09-10 1993-03-18 Smc Kabushiki Kaisha Fluid pressure apparatus
DE69219614T3 (de) * 1991-09-10 2001-05-03 Smc Kk Flüssigkeitsdruckvorrichtung
DE19904042A1 (de) * 1999-02-02 2000-09-21 Schmalz J Gmbh Ejektor
DE102004031924B4 (de) * 2004-06-23 2006-05-04 J. Schmalz Gmbh Vorrichtung zum Erzeugen eines Unterdruck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14705A1 (en) 2000-07-07 2002-08-22 Jurgen Schnatterer Vacuum produc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4304A1 (en) * 2020-05-05 2021-11-11 Brillopak Limited Vacuum suc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89528B (zh) 2015-01-14
CN102089528A (zh) 2011-06-08
EP2300721B1 (de) 2017-04-12
EP2300721A1 (de) 2011-03-30
WO2010057507A1 (de) 2010-05-27
KR20110089250A (ko) 2011-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2560B1 (ko) 진공제어장치
EP1733853A1 (en) Vacuum suction unit
US8082943B2 (en) Valve apparatus
KR100492084B1 (ko) 위치검출기구를 구비한 매니폴드밸브
US6955526B2 (en) Vacuum generator with flow switching means for varying suction capacity through a plurality of nozzles
TW591183B (en) Manifold valve with sensors
US8651140B2 (en) Valve arrangement for different flow rate categories
CN101460746B (zh) 阀装置
US6179006B1 (en) Plate-type mounting base
JP6159824B2 (ja) 面状吸引グリッパ
US5996629A (en) Pilot solenoid valve
US5107899A (en) Pneumatic control system
KR100302412B1 (ko) 파일럿식절환밸브
KR101630577B1 (ko) 진공 이젝터 펌프용 진공 및 진공파괴 일체형 밸브
US5996609A (en) Pilot-operated directional control valve
EP0800002B1 (en) Solenoid pilot valve
CN109983238A (zh) 增压装置
JP4124546B2 (ja) フィルタ装置
JPH0716080Y2 (ja) エゼクタ装置
JP2005106069A (ja) 多段エゼクタ装置
JPH0441280Y2 (ko)
JPH0311440Y2 (ko)
JPH0441278Y2 (ko)
US20020096059A1 (en) Oil pressure device
KR100655797B1 (ko) 진공 이젝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