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1905B1 - 버스용 좌석 등받이 일괄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버스용 좌석 등받이 일괄 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1905B1
KR101671905B1 KR1020150129232A KR20150129232A KR101671905B1 KR 101671905 B1 KR101671905 B1 KR 101671905B1 KR 1020150129232 A KR1020150129232 A KR 1020150129232A KR 20150129232 A KR20150129232 A KR 20150129232A KR 101671905 B1 KR101671905 B1 KR 101671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actuating
pulled
lever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현
노경현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29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19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1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1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Arrangement of seats relative to one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42Bus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용 좌석 등받이 일괄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버스에 설치된 다수의 좌석 등받이 각도를 한 곳에서 일괄적으로 정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승객의 하차 후 정리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등받이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좌석 각각에 대하여 등받이를 지지한 상태로 설치되고 작동레버의 동작에 의해 록버튼이 눌린 상태가 되면 신축 가능하게 되어 등받이의 각도 조절을 허용하는 다수의 가스 스프링과; 상기 가스 스프링의 작동레버와 연결되어 그와 반대방향으로 당겨지면 상기 작동레버를 동작시켜 록버튼이 눌리도록 유도하고 당겨진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귀하면 상기 작동레버의 동작을 해제하는 제1작동케이블과; 상기 가스 스프링 복수개를 담당하여 그 각각으로 연결되는 제1작동케이블을 당겨주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그와 반대방향으로 당겨지면 상기 컨트롤러를 동작시켜 상기 제1작동케이블이 당겨져 상기 작동레버를 동작하도록 유도하는 제2작동케이블과; 상기 컨트롤러와 각각 연결된 다수의 제2작동케이블이 합류하는 제3작동케이블과; 상기 제3작동케이블 및 상기 제3작동케이블을 당겨주는 감력케이블의 중간에 설치되어 당기는 거리는 늘어나지만 제3케이블을 당기는 힘보다 더 적은 힘으로 감력케이블을 당길 수 있도록 한 풀리어셈블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버스용 좌석 등받이 일괄 정렬장치{SEAT BACK COLLECTIVE ALIGNMENT APPARATUS FOR BUS}
본 발명은 버스용 좌석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스에 설치된 다수의 좌석 등받이 각도를 한 곳에서 일괄적으로 정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승객의 하차 후 정리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버스용 좌석 등받이 일괄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는 대중교통의 수단으로서 그 이용대상이 다양하고 운행거리도 시내버스와 같이 지정된 범위구간 내를 운행하거나, 지역과 지역을 운행하는 고속버스와 같이 장시간을 승차하게 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또한 이용대상에 있어서도 유동인구의 증가로 말미암아 지역 간 이동이 보편화 되면서 시외버스나 고속버스는 대중적인 교통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제 1도는 종래 버스의 좌석구조를 보인 평면도로서, 그 일반적인 구성은 내부의 전단에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이 있고,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일측으로는 운전석(12)이 있으며, 타측으로는 승객들이 승하차하기 위한 출입구(14)가 형성되어 있고, 출입구(14) 후측으로는 다수개의 좌석(16)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의 좌석(16)과 운전석(12) 및 출입구(14)를 분리하기 위한 운전석 분리대(18a)와 출입구 분리대(18b)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 중 버스 좌석(16)의 경우 고속버스를 기준으로 약 45개 정도가 있으며 가장 뒷좌석 5개를 제외한 나머지 40개의 좌석은 등받이의 각도를 승객이 임의로 조절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각 좌석의 등받이는 록 타입의 가스 스프링(GAS SPRING)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가 승객이 좌석의 팔걸이 등에 설치된 스위치 레버 혹은 스위치 버튼을 눌러주면 케이블을 통해 상기 가스 스프링의 록버튼이 눌러지면서 상기 가스 스프링이 잠금을 해제하고 신축 가능한 상태가 되어 버스 자석의 등받이 각도를 쉽게 조절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하면 승객이 자신의 좌석 등받이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는 있었지만 버스기사의 입장에서는 영업이 끝난 후 승객 좌석의 등받이 각도를 정렬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다수의 좌석 위치로 돌아다니면서 해당 좌석들의 등받이를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다보니 버스기사가 피곤한 상태에서 노동력을 소모되고 시간도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2-0019457호(1992.11.16)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버스에 설치된 다수의 좌석 등받이 각도를 한 곳에서 일괄적으로 정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승객의 하차 후 정리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버스용 좌석 등받이 일괄 정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좌석 등받이 일괄 정렬장치는, 록타입 가스 스프링에 의해 등받이가 지지되는 좌석을 구비하는 수송체에 있어서, 등받이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좌석 각각에 대하여 등받이를 지지한 상태로 설치되고 작동레버의 동작에 의해 록버튼이 눌린 상태가 되면 신축 가능하게 되어 등받이의 각도 조절을 허용하는 다수의 가스 스프링과; 상기 가스 스프링의 작동레버와 연결되어 그와 반대방향으로 당겨지면 상기 작동레버를 동작시켜 록버튼이 눌리도록 유도하고 당겨진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귀하면 상기 작동레버의 동작을 해제하는 제1작동케이블과; 상기 가스 스프링 복수개를 담당하여 그 각각으로 연결되는 제1작동케이블을 당겨주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그와 반대방향으로 당겨지면 상기 컨트롤러를 동작시켜 상기 제1작동케이블이 당겨져 상기 작동레버를 동작하도록 유도하는 제2작동케이블과; 상기 컨트롤러와 각각 연결된 다수의 제2작동케이블이 합류하는 제3작동케이블과; 상기 제3작동케이블 및 상기 제3작동케이블을 당겨주는 감력케이블의 중간에 설치되어 당기는 거리는 늘어나지만 제3케이블을 당기는 힘보다 더 적은 힘으로 감력케이블을 당길 수 있도록 한 풀리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작동레버에는 상기 제1작동케이블이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작동레버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형태의 슬릿이 구비되고, 상기 제1작동케이블의 끝단에는 상기 작동레버의 슬릿 주변으로 걸쳐지도록 한 제1걸림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제1작동케이블이 당겨질 때 상기 작동레버를 끌어당겨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 스프링 각각에 대응하는 개별 승객용 작동버튼과 연결되어 당겨지는 보조케이블이 상기 제1작동케이블과 함께 상기 작동레버의 슬릿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보조케이블의 끝단에는 상기 작동레버의 슬릿 주변으로 걸쳐지도록 한 제2걸림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내부 수용공간을 갖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작동케이블이 감기는 구동롤러와, 일단부가 상기 구동롤러와 동심원상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작동케이블과 연결되어 상기 제2작동케이블에 의해 당겨지면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롤러를 회전시켜 상기 제1작동케이블이 당겨지도록 유도하는 회전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에 포함된 구동롤러는 상기 케이싱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 외륜에 접합되어 회전 가능하며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1작동케이블이 감길 수 있도록 복수의 홈이 형성된 합성수지 소재의 외측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에는 케이싱 내측면에 곡선 형태로 설치된 가이드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제2작동케이블이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주면을 접촉한 상태로 이동시 안내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풀리어셈블리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 진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3작동케이블과 연결되어 후퇴시에 상기 제3작동케이블을 당길 수 있도록 한 이동프레임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 상기 이동프레임의 후측으로 고정 설치된 고정프레임과; 상기 이동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에 각각 복수 설치되어 상기 감력케이블을 경유시키는 풀리를 포함하며, 상기 감력케이블이 상기 이동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이 분산 설치된 풀리를 경유한 상태에서 일단부가 상기 고정프레임에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캐비닛 외부에서 타단부가 당겨지면 상기 이동프레임을 상기 고정프레임이 있는 곳으로 후퇴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풀리어셈블리에서 상기 이동프레임의 측단부에는 측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슬라이드 휠과, 상기 슬라이드 휠이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력케이블의 타단부에는 수동으로 당길 수 있도록 하는 수동 손잡이,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당길 수 있도록 하는 전기모터 중 하나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좌석 등받이 일괄 정렬장치는 버스에 설치된 다수의 좌석 등받이 각도를 한 곳에서 일괄적으로 정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승객의 하차 후 정리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풀리구조를 적용한 풀리어셈블리에 의해 케이블을 당기도록 함으로써 적은 힘만으로도 전체 좌석의 등받이를 일괄적으로 정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록타입 가스 스프링이 설치되어 승객들이 개별적으로 등받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버스 등의 수송체에 보수 형식의 추가 설비만을 통해 간단히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버스의 좌석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좌석 등받이 일괄 정렬장치가 버스에 적용된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좌석 등받이 일괄 정렬장치의 주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좌석 등받이 일괄 정렬장치에서 가스 스프링과 컨트롤러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구성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좌석 등받이 일괄 정렬장치에서 가스 스프링의 작동레버에 대한 제1작동케이블과 보조케이블의 작용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좌석 등받이 일괄 정렬장치에서 컨트롤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좌석 등받이 일괄 정렬장치에서 컨트롤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좌석 등받이 일괄 정렬장치에서 풀리어셈블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내부 구성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함침방법 및 함침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좌석 등받이 일괄 정렬장치가 버스에 적용된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좌석 등받이 일괄 정렬장치는 버스 등과 같이 록 타입의 가스 스프링(110)(LOCK TYPE GAS SPRING)에 의해 등받이가 지지되는 좌석을 구비한 수송체에 설치되어 다수의 좌석 등받이 각도를 한 곳에서 일괄적으로 정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객의 하차 후 정리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각 좌석에 할당된 가스 스프링(110) 다수와, 인접한 좌석에 할당된 가스 스프링(110)을 동시에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120) 다수와, 상기 다수의 컨트롤러(120)를 한 곳에서 집약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풀리어셈블리(140)와, 이들을 상호 연계시켜주는 제1작동케이블(130a) 내지 제3작동케이블(130c), 감력케이블(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 각 주요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좌석 등받이 일괄 정렬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좌석 등받이 일괄 정렬장치의 주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좌석 등받이 일괄 정렬장치에서 가스 스프링과 컨트롤러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구성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좌석 등받이 일괄 정렬장치에서 가스 스프링의 작동레버에 대한 제1작동케이블과 보조케이블의 작용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좌석 등받이 일괄 정렬장치에서 컨트롤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좌석 등받이 일괄 정렬장치에서 컨트롤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좌석 등받이 일괄 정렬장치에서 풀리어셈블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내부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좌석 등받이 일괄 정렬장치는 각 좌석에 할당된 다수의 가스 스프링(110)과, 상기 가스 스프링(110) 복수개를 동시에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120) 다수개와, 다수의 컨트롤러(120)를 한 곳에서 보다 적은 힘을 사용하여 집약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풀리어셈블리(140)와, 상기 풀리어셈블리(140)를 동작시키기 위한 손잡이(150a), 전기모터(150b)과, 이들을 연계시키면서 동력을 전달하는 제1작동케이블(130a) 내지 제3작동케이블(130c), 감력케이블(150)을 포함한다.
상기 가스 스프링(110)은 록 타입의 가스 스프링(110)(LOCK TYPE GAS SPRING)으로 구비되며 등받이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좌석 각각에 대하여 등받이를 지지하면서 잠금이 해제되면 등받이가 젖혀진 상태에서 초기 상태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같은 가스 스프링(110)은 작동레버(111)의 동작에 의해 록버튼(110a)이 눌린 상태가 되면 잠금이 해제되어 신축 가능하게 되며 등받이의 각도 조절을 허용하게 된다. 상기 가스 스프링(110)은 이미 고속버스와 같이 등받이를 조절하는 수송체에 널리 적용되고 있으므로 주요 구성은 그대로 차용하면 되지만 작동레버(111)의 경우 개별 승객용 작동버튼(113)에 의해 당겨지는 보조케이블(112) 뿐만 아니라 제1작동케이블(130a)에 의해서도 당겨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작동레버(111)는 도 4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형태의 슬릿(111a)을 구비하며 그 슬릿(111a)을 관통하는 형태로 제1작동케이블(130a)과 보조케이블(112)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작동케이블(130a)과 보조케이블(112)의 끝단에는 각각 작동레버(111)의 슬릿(111a) 주변에 걸쳐지도록 한 제1걸림부재(111b) 및 제2걸림부재(111c)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레버(111)에는 상기 제1걸림부재(111b) 및 제2걸림부재(111c)를 지지하여 낙하하는 것을 막는 제1걸림돌기(111d) 및 제2걸림돌기(111e)가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이처럼 작동레버(111)에 대하여 제1작동케이블(130a) 및 보조케이블(112)이 걸쳐진 형태로 연결된 구성에 의하면 도 5a에 도시된 것처럼 전체 좌석의 일괄 정렬을 위해 제1작동케이블(130a)이 당겨지는 경우와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개별 승객용 작동버튼(113)이 눌려지면서 버튼레버(114)가 작동하여 보조케이블(112)이 당겨지는 경우 모두에 작동레버(111)를 동작시켜 가스 스프링(110)의 록버튼(110a)을 누를 수 있게 된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가스 스프링(110)에 단 하나의 작동레버(111)가 구비된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승객이 작동버튼(113)을 눌러 해당 좌석 하나의 등받이만을 각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가스 스프링(110)을 동작시킬 수 있고, 버스기사가 손잡이(150a)를 당기거나 전기모터(150b)를 구동하여 전체 좌석의 등받이를 일괄적으로 정렬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가스 스프링(110)을 동작시킬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여기서 주목할 수 있는 점은 위와 같이 간단하게 구성되면서도 도 5b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승객이 작동버튼(113)을 누르는 방식으로 보조케이블(112)을 당겨 해당 좌석 하나의 등받이만을 각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 불필요하게 제1작동케이블(130a)이 당겨지지 않으므로 다른 승객의 좌석 등받이까지 움직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여기서 상기 제1작동케이블(130a)은 위 설명된 바와 같이 제1걸림부재(111b)에 의해 가스 스프링(110)의 작동레버(111)와 연결되어 그와 반대방향으로 당겨지면 상기 작동레버(111)를 동작시켜 록버튼(110a)이 눌리도록 유도하고 당겨진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귀하면 상기 작동레버(111)의 동작을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컨트롤러(120)는 인접 지역의 가스 스프링(110) 복수개를 담당하여 그 각각으로 연결되는 제1작동케이블(130a)을 당겨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컨트롤러(12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싱(121) 내부에 제1작동케이블(130a)이 감기는 구동롤러(123)와, 일단부가 상기 구동롤러(123)와 동심원상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작동케이블(130b)과 연결되어 상기 제2작동케이블(130b)에 의해 당겨지면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롤러(123)를 회전시켜 상기 제1작동케이블(130a)이 당겨지도록 유도하는 회전바(12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구동롤러(123)는 상기 케이싱(121)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 외륜에 접합되어 회전 가능하며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1작동케이블(130a)이 감길 수 있도록 복수의 홈(123a,123b)이 형성된 합성수지(PVC) 소재의 외측링으로 이루어진다. 도면에는 상기 컨트롤러(120)가 2개의 승객 좌석 및 가스 스프링(110)을 담당하는 것을 염두에 두어 구동롤러(123)의 외측링에 2개의 홈(123a,123b)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는데, 상기 컨트롤러(120)가 담당하는 승객 좌석 및 가스 스프링(110) 개수에 따라 그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20)에는 케이싱(121) 내측면에 길다란 곡선 형태의 가이드부재(125)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바(122)에 연결된 제2작동케이블(130b)이 상기 가이드부재(125)의 외주면을 접촉한 상태로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제2작동케이블(130b)은 상기 컨트롤러(120)와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러(120)의 회전바(122)를 당기는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상기 구동롤러(123)가 회전하면서 제1작동케이블(130a)이 당겨져서 작동레버(111)가 동작하게 된다. 또한, 제3작동케이블(130c)은 상기 컨트롤러(120)와 각각 연결된 다수의 제2작동케이블(130b)을 합류시켜 상기 풀리어셈블리(14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풀리어셈블리(140)는 상기 제3작동케이블(130c) 및 상기 제3작동케이블(130c)을 당겨주는 감력케이블(150)의 중간에 설치되어 당기는 거리 증가분에 반비례하여 제3케이블을 당기는 힘보다 더 적은 힘으로 감력케이블(150)을 당길 수 있도록 해준다. 이를 위해 상기 풀리어셈블리(140)는 내부 수용공간을 갖는 캐비닛(141)과, 상기 캐비닛(141) 내부에서 진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3작동케이블(130c)과 연결되어 후퇴시에 상기 제3작동케이블(130c)을 당길 수 있도록 한 이동프레임(142b)과, 상기 캐비닛(141) 내부에서 상기 이동프레임(142b)의 후측으로 고정 설치된 고정프레임(142a)과, 상기 이동프레임(142b) 및 상기 고정프레임(142a)에 각각 복수 설치되어 상기 감력케이블(150)을 경유시키는 풀리(P1,P2,P3,P6,P7,P8)와, 상기 이동프레임(142b)의 측단부에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복수의 슬라이드 휠(143)과, 상기 슬라이드 휠(143)이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감력케이블(150)이 상기 이동프레임(142b)과 상기 고정프레임(142a)에 분산 설치된 풀리(P1,P2,P3,P6,P7,P8)를 경유한 상태에서 일단부가 상기 고정프레임(142a)에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캐비닛(141) 외부에서 타단부가 당겨지면 상기 이동프레임(142b)을 상기 고정프레임(142a)이 있는 곳으로 후퇴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이동프레임(142b)은 이동프레임(142b)의 전방에 설치된 인장스프링(146)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전진하려는 경향을 지속적으로 유지한다. 상기 풀리(P1,P2,P3,P6,P7,P8)들은 다양한 배치로 설치될 수 있지만 제3작동케이블(130c)을 당기는 힘을 중간에서 줄여주어 더 적은 힘으로도 감력케이블(150)을 당길 수 있도록 한 취지를 살려 제3작동케이블(130c)과 감력케이블(150) 간의 힘과 작동거리 관계를 충분히 고려한 다음 상기 풀리(P1,P2,P3,P6,P7,P8)들의 배치에 반영되어야 한다. 도 8에는 그 중 한 가지 형태가 도시되었을 뿐이다. 참고로 도면부호 P4, P5는 보조풀리로서 상기 감력케이블(150)의 입출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손잡이(150a), 전기모터(150b)는 모두 상기 감력케이블(150)을 당기기 위한 것이다. 이 중 손잡이는 (150a)는 버스기사가 수작업으로 감력케이블(150)을 당겨 전체 좌석 등받이 각도를 정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전기모터(150b)는 버스기사가 미도시된 버튼을 누르는 방식으로 기계적 힘을 이용하여 감력케이블(150)을 당김으로써 전체 좌석 등받이 각도를 정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들은 필요에 따라 어느 하나만 설치되거나 모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공압실린더나 유압실린더 등의 다양한 기기들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9에는 감력케이블(150)이 당겨졌을 때 이동 프레임(142b)이 고정프레임(142a)을 향해 이동하면서 제3작동케이블(130c)를 당기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참고로, 도 9에는 이동프레임(142b)의 이동을 도식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실제로는 풀리구조에 의해 상당히 짧은 거리만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이같은 풀리어셈블리(140)는 장변 30cm, 단변 10cm, 두께 1 내지 1.5cm 정도의 크기로 충분히 구현 가능하여 버스 내부 운전석 인근 벽면 어느 한 곳에 간단히 설치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좌석 등받이 일괄 정렬장치는 한 곳에서 적은 힘만을 사용하여 전체 좌석의 등받이 각도를 초기 상태로 일괄 정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가스 스프링 111 : 작동레버
111a : 슬릿 112 : 보조케이블
113 : 작동버튼 114 : 버튼레버
120 : 컨트롤러 121 : 케이싱
122 : 회전바 123 : 구동롤러
130a, 130b , 130c : 작동케이블 140 : 풀리어셈블리
141 : 캐비닛 142a : 고정프레임
142b : 이동프레임 143 : 슬라이드 휠
144 : 가이드레일 150 : 감력케이블
150a : 손잡이 150b : 전기모터

Claims (10)

  1. 록타입 가스 스프링에 의해 등받이가 지지되는 좌석을 구비하는 수송체에 있어서,
    등받이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좌석 각각에 대하여 등받이를 지지한 상태로 설치되고 작동레버의 동작에 의해 록버튼이 눌린 상태가 되면 신축 가능하게 되어 등받이의 각도 조절을 허용하는 다수의 가스 스프링과;
    상기 가스 스프링의 작동레버와 연결되어 당겨지면 상기 록버튼이 눌리도록 상기 작동레버를 변위시켜주는 제1작동케이블과;
    상기 가스 스프링 복수개를 담당하여 그 각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작동케이블을 당길 수 있도록 한 다수의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를 통해 상기 제1작동케이블을 당길 수 있도록 연결된 제2작동케이블과;
    상기 컨트롤러와 각각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제2작동케이블을 합류시켜 다수의 제2작동케이블을 동시에 당길 수 있도록 한 제3작동케이블과;
    상기 제3작동케이블과 연결되어 상기 제3작동케이블을 당길 수 있도록 한 감력케이블과;
    상기 제2작동케이블과 상기 감력케이블을 중간에서 연결하되 상기 감력케이블을 경유시키면서 상기 제3작동케이블에 비해 상기 감력케이블이 당겨지는 거리는 늘어나지만 더 적은 힘으로 상기 감력케이블이 당겨질 수 있도록 한 풀리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등받이 일괄 정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에는 상기 제1작동케이블이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작동레버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형태의 슬릿이 구비되고, 상기 제1작동케이블의 끝단에는 상기 작동레버의 슬릿 주변으로 걸쳐지도록 한 제1걸림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제1작동케이블이 당겨질 때 상기 작동레버를 끌어당겨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등받이 일괄 정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스프링 각각에 대응하는 개별 승객용 작동버튼과 연결되어 당겨지는 보조케이블이 상기 제1작동케이블과 함께 상기 작동레버의 슬릿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보조케이블의 끝단에는 상기 작동레버의 슬릿 주변으로 걸쳐지도록 한 제2걸림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등받이 일괄 정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내부 수용공간을 갖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작동케이블이 감기는 구동롤러와, 일단부가 상기 구동롤러와 동심원상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작동케이블과 연결되어 상기 제2작동케이블에 의해 당겨지면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롤러를 회전시켜 상기 제1작동케이블이 당겨지도록 유도하는 회전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등받이 일괄 정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에 포함된 구동롤러는 상기 케이싱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 외륜에 접합되어 회전 가능하며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1작동케이블이 감길 수 있도록 복수의 홈이 형성된 합성수지 소재의 외측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등받이 일괄 정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에는 케이싱 내측면에 곡선 형태로 설치된 가이드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제2작동케이블이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주면을 접촉한 상태로 이동시 안내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등받이 일괄 정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어셈블리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 진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3작동케이블과 연결되어 후퇴시에 상기 제3작동케이블을 당길 수 있도록 한 이동프레임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 상기 이동프레임의 후측으로 고정 설치된 고정프레임과;
    상기 이동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에 각각 복수 설치되어 상기 감력케이블을 경유시키는 풀리를 포함하며,
    상기 감력케이블이 상기 이동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이 분산 설치된 풀리를 경유한 상태에서 일단부가 상기 고정프레임에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캐비닛 외부에서 타단부가 당겨지면 상기 이동프레임을 상기 고정프레임이 있는 곳으로 후퇴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등받이 일괄 정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어셈블리에서 상기 이동프레임의 측단부에는 측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슬라이드 휠과, 상기 슬라이드 휠이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등받이 일괄 정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력케이블의 타단부에는 수동으로 당길 수 있도록 하는 수동 손잡이와,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당길 수 있도록 하는 전기모터 중 어느 하나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등받이 일괄 정렬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좌석 등받이 일괄 정렬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KR1020150129232A 2015-09-11 2015-09-11 버스용 좌석 등받이 일괄 정렬장치 KR101671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232A KR101671905B1 (ko) 2015-09-11 2015-09-11 버스용 좌석 등받이 일괄 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232A KR101671905B1 (ko) 2015-09-11 2015-09-11 버스용 좌석 등받이 일괄 정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1905B1 true KR101671905B1 (ko) 2016-11-16

Family

ID=57540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232A KR101671905B1 (ko) 2015-09-11 2015-09-11 버스용 좌석 등받이 일괄 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190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9457A (ko) 1991-04-03 1992-11-19 뽈 위르쓰 쏘씨에떼아노님 고로의 탭홀에 보어링 로드를 삽입하는 방법, 보어링 머신 및 2-방향식 클램프
JPH078340Y2 (ja) * 1987-07-10 1995-03-01 モノレール工業株式会社 乗用軌条車の安全座席機構
JPH08205948A (ja) * 1995-02-06 1996-08-13 Koito Ind Ltd 車両用座席の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20050042336A (ko) * 2003-11-01 2005-05-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복귀 방법 및 그 시스템
JP4555734B2 (ja) * 2005-05-27 2010-10-06 日本発條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340Y2 (ja) * 1987-07-10 1995-03-01 モノレール工業株式会社 乗用軌条車の安全座席機構
KR920019457A (ko) 1991-04-03 1992-11-19 뽈 위르쓰 쏘씨에떼아노님 고로의 탭홀에 보어링 로드를 삽입하는 방법, 보어링 머신 및 2-방향식 클램프
JPH08205948A (ja) * 1995-02-06 1996-08-13 Koito Ind Ltd 車両用座席の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20050042336A (ko) * 2003-11-01 2005-05-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복귀 방법 및 그 시스템
JP4555734B2 (ja) * 2005-05-27 2010-10-06 日本発條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12502B1 (en) A motor vehicle seating system
JP4392611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EP1905646B1 (de) Automatisch öffende Laderaumabdeckung
US7641257B2 (en) Seating arrangement
KR101240988B1 (ko) 차량용 파노라마루프 장치
WO2019096774A2 (de) Easy-entry-fahrzeugsitz
WO2017108552A1 (de) Kraftfahrzeug mit schalttafelmodul
US9085367B2 (en) Apparatus for moving an object on a rail
EP3501933B1 (en) Cable transport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people or goods and clamp for a vehicle of a cable transportation system
US9642755B2 (en) Mounting device for object to be mounted
US20150001874A1 (en) Protection device for a storage space of a motor vehicle and drive device therefor
EP3023329B1 (en) Displacement system of a seat, in particular an airplane seat
JPH11334699A (ja) ファ―ストクラス用の1人掛けシ―トに変更可能なエコノミ―クラス用の2人掛けシ―ト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07057073B4 (de) Abdecksystem für ein Fahrzeug
US20200011107A1 (en) System for covering a luggage compartment of a motor vehicle
DE102020116387A1 (de) Fahrzeugsteuerungsvorrichtung
EP2818412A1 (en) Installation method for airplane lavatory unit, and airplane
CN101284500A (zh) 动力驱动的易于进入的座椅
KR101987030B1 (ko)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
KR101671905B1 (ko) 버스용 좌석 등받이 일괄 정렬장치
CN112829552B (zh) 用于机动车辆的侧窗的遮光装置
CN117141324A (zh) 座椅装置以及车辆
EP2138337A1 (en) Vehicular roof structure
KR101802389B1 (ko) 와이어 이용 차량용 전동 시트트랙 장치
KR101576378B1 (ko) 차량용 시트레일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