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1517B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1517B1
KR101671517B1 KR1020100029472A KR20100029472A KR101671517B1 KR 101671517 B1 KR101671517 B1 KR 101671517B1 KR 1020100029472 A KR1020100029472 A KR 1020100029472A KR 20100029472 A KR20100029472 A KR 20100029472A KR 101671517 B1 KR101671517 B1 KR 101671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protrusions
light emitting
glass
emit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9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9660A (ko
Inventor
오영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9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1517B1/ko
Publication of KR20110109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9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1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1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산부재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출부 각각에서 산란되는 빛의 양이 발광부재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 각각이 이격되는 거리에 따라 달라지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에 대응되는 버튼표시부의 밝기가 더욱 균일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er}
본 발명은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전기 및 연료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방식으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장치이다.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음식물이 위치되는 조리 공간과, 상기 음식물을 향하여 열을 방출하는 가열원을 포함한다. 상기 조리 공간은, 상기 조리기기의 외측에 그릴, 가열플레이트 등과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조리기기의 내부에 캐비티 등과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원은,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 연료의 연소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버너와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버튼표시부의 밝기가 더욱 균일해질 수 있는 조리기기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버튼표시부가 구비되는 글래스; 상기 글래스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버튼표시부를 표시하기 위하여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재; 상기 글래스의 이면에 구비되고,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부재; 및 상기 확산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산란시키는 복수개의 돌기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개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는,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상대적으로 멀게 위치되는 제 1 돌출부; 및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이 위치되는 제 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산부재의 단위 표면적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돌출부의 돌기가 차지하는 부피의 총합이, 상기 확산부재의 단위 표면적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돌출부의 돌기가 차지하는 부피의 총합보다 크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 의하면, 복수개의 돌출부 중, 발광부재로부터 상대적으로 멀게 위치되는 돌출부에서 산란되는 빛의 양이,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이 위치되는 돌출부에서 산란되는 빛의 양보다 많아진다. 따라서,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상대적으로 멀게 위치됨에 따라 약해지는 빛의 세기가, 상기 산란되는 빛의 양에 의하여 보상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관점에서,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에 각각 대응되는 버튼표시부의 밝기가 더욱 균일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 1 실시예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 1 실시예의 확산부재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 2 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 3 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 4 실시예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 1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 1 실시예의 확산부재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조리기기는, 버튼표시부(11)가 구비되는 글래스(12)와, 상기 버튼표시부(11)를 표시하기 위하여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재(14)와, 상기 발광부재(14)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부재(13)와, 상기 발광부재(14)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산란시키기 위하여 상기 확산부재(13)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출부(15)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글래스(12)는 상기 조리기기의 일면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발광부재(14)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상기 글래스(12)를 투과하여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상기 글래스(12)는 투명 또는 반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튼표시부(11)는 상기 글래스(12)의 외측면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표시부(11)는 상기 글래스(12)에 인쇄, 부착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버튼표시부(11)는, 발광부재(14)로부터 상대적으로 멀게 위치되는 제 1 버튼표시부(111)와, 상기 발광부재(14)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이 위치되는 제 2 버튼표시부(11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발광부재(14)는 상기 글래스(12)의 내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재(14)는 상기 버튼표시부(11)가 표시될 수 있도록 빛을 방출한다. 이때, 상기 발광부재(14)는 LED 등과 같이 빛을 방출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다.
상기 확산부재(13)는 상기 글래스(12)의 이면에 구비된다. 상기 확산부재(13)의 일단부에는 상기 발광부재(14)가 수용되기 위한 홈이 형성된다. 즉, 상기 발광부재(14)는 상기 확산부재(13)의 일측방에 위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재(14)는 상기 확산부재(13)를 향하여 빛을 방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확산부재(13)의 내측에는 상기 버튼표시부(11)에 대응되는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6)가 구비된다. 상기 입력부(16)는 터치 감지 방식으로 상기 신호의 입력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글래스(12), 확산부재(13) 및 입력부(16)는, 상기 조리기기의 외부로부터 내측으로 순차적으로 층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 감지 방식은, 인체 등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신호의 입력 여부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예를 들면 접촉된 경우에는 상기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미접촉된 경우에는 상기 신호의 입력이 없는 것으로 감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출부(15)는 상기 확산부재(13)의 일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15)는 각각, 상기 발광부재(14)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산란시키는 복수개의 돌기(17)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돌출부(15)는 상기 글래스(12)의 이면과 대향되는 상기 확산부재(13)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돌출부(15)는 상기 글래스(12)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상기 버튼표시부(11)와 중첩되는 상기 확산부재(13)의 일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15)는, 상기 발광부재(14)로부터 상대적으로 멀게 위치되는 제 1 돌출부(151)와, 상기 발광부재(14)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이 위치되는 제 2 돌출부(15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돌출부(151)는 상기 글래스(12)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 1 버튼표시부(111)와 중첩되는 상기 확산부재(13)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돌출부(152)는 상기 글래스(12)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 2 버튼표시부(112)와 중첩되는 상기 확산부재(13)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글래스(12)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 1 버튼표시부(111)와 중첩되는 상기 확산부재(13)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 1 돌출부(151)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돌기(17)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글래스(12)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 2 버튼표시부(112)와 중첩되는 상기 확산부재(13)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 2 돌출부(152)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돌기(17)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돌출부(151) 및 제 2 돌출부(152)에 포함되는 돌기(17)는 각각 원통 형상으로 상기 확산부재(13)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이때, 상기 제 1 돌출부(151)의 돌기(17)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글래스(12)와 나란한 방향으로 자른 단면적(S1)은, 상기 제 2 돌출부(152)의 돌기(17)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글래스(12)와 나란한 방향으로 자른 단면적(S2)보다 넓다. 즉, 상기 제 1 돌출부(151)에 포함되는 돌기(17)의 굵기(t1)는 상기 제 2 돌출부(152)에 포함되는 돌기(17)의 굵기(t2)보다 더 굵다.
다만, 이때 제 1 돌출부(151) 및 제 2 돌출부(152)에 포함되는 돌기(17) 각각을 상기 글래스(12)와 나란한 방향으로 자른 단면적이, 상기 각각의 돌기(17)가 상기 발광부재(14)로부터 이격되는 거리에 비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돌출부(151)를 상기 글래스(12)와 나란한 방향으로 자른 단면적이, 상기 제 2 돌출부(152)를 상기 글래스(12)와 나란한 방향으로 자른 단면적보다 넓다. 상기 제 1 돌출부(151) 및 제 2 돌출부(152)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돌기(17)가 돌출되는 길이는 모두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상기 확산부재(13)의 단위 표면적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돌출부(151)의 돌기(17)가 차지하는 부피의 총합은, 상기 확산부재(13)의 단위 표면적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돌출부(152)의 돌기(17)가 차지하는 부피의 총합보다 크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 1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조리기기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발광부재(14)는 빛을 방출하게 된다. 다만, 상기 발광부재(14)가 빛을 방출하게 되는 경우는, 상기 조리기기의 작동이 시작되는 경우, 상기 조리기기의 작동 제어를 위한 신호 입력이 필요한 경우 등과 같이 다양한 경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재(14)로부터 방출되는 빛은 상기 확산부재(13)를 따라 확산된다. 또한, 상기 확산부재(13)를 따라 확산되는 빛은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15)에 의하여 산란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확산부재(13)를 따라 확산되는 빛이,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15)에 포함되는 돌기(17)를 투과하는 과정에서 산란되게 된다. 이때, 상기 확산부재(13) 상에서 산란되는 빛의 양이 많은 부분일수록, 그 부분과 대응되는 상기 버튼표시부(11)의 일지점의 밝기가 더 밝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확산부재(13)의 단위 표면적에서 산란되는 빛의 양은, 상기 확산부재(13)의 단위 표면적에 형성되는 상기 돌기(17)가 차지하는 부피의 총합에 비례한다. 이는, 상기 확산부재(13)의 단위 표면적에 형성되는 돌기(17)가 차지하는 부피의 총합이 클수록, 상기 확산부재(13) 상에서 단위 표면적을 기준으로 상기 발광부재(14)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산란되는 부분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돌출부(151)의 돌기(17)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글래스(12)와 나란한 방향으로 자른 단면적이, 상기 제 2 돌출부(152)의 돌기(17)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글래스(12)와 나란한 방향으로 자른 단면적보다 넓다. 즉, 상기 제 1 돌출부(151)의 돌기(17)가 상기 제 2 돌출부(152)의 돌기(17)보다 굵기 때문에, 상기 확산부재(13)의 단위 표면적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돌출부(151)의 돌기(17)가 차지하는 부피의 총합이, 상기 확산부재(13)의 단위 표면적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돌출부(152)의 돌기(17)가 차지하는 부피의 총합보다 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돌출부(151)에 의하여 산란되는 빛의 양이, 상기 제 2 돌출부(152)에 의하여 산란되는 빛의 양보다 많아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버튼표시부(111) 및 제 1 돌출부(151)는 각각, 상기 제 2 버튼표시부(112) 및 제 2 돌출부(152)보다 상기 발광부재(14)로부터 멀게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부재(14)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제 1 돌출부(151)에 도달하는 빛의 세기는 상기 제 2 돌출부(152)에 도달하는 빛의 세기에 비하여 약해진다.
그러나, 상기 제 1 돌출부(151)에서 산란되는 빛의 양이, 상기 제 2 돌출부(152)에서 산란되는 빛의 양보다 많기 때문에, 상기 제 1 버튼표시부(111) 및 제 2 버튼표시부(112)의 밝기는 균일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돌출부(151)에 포함되는 돌기(17)의 단면적 및 제 2 돌출부(152)에 포함되는 돌기(17)의 단면적의 비는, 상기 발광부재(14)로부터 상기 제 1 돌출부(151) 및 제 2 돌출부(152) 각각이 이격되는 거리의 비와 비례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조리기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튼표시부(11) 및 글래스(12)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상기 신호가 감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상기 제 1 버튼표시부(111)에 해당하는 상기 글래스(12)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입력부(16)에 의하여 상기 제 1 버튼표시부(111)에 대항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되고, 상기 입력부(16)에 의하여 상기 제 1 버튼표시부(111)에 대응하는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단일 광원 즉, 하나의 발광부재(14)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버튼표시부(11)를 표시하더라도, 상기 복수개의 버튼표시부(11)가 모두 균일한 밝기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하나의 발광부재(14)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버튼표시부(11)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발광부재(14)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버튼표시부(11) 각각이 이격되는 거리가 다르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광부재(14)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버튼표시부(11) 각각이 이격되는 거리에 따라, 상기 버튼표시부(11) 각각으로 방출되는 빛의 산란되는 양이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는 관점에서 상기 복수개의 버튼표시부(11)의 밝기는, 상기 복수개의 버튼표시부(11)가 상기 발광부재(14)로부터 이격되는 거리에 관계없이 균일해질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복수개의 돌출부 각각에 포함되는 돌기의 돌출되는 길이가 다르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 2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돌출부(25) 각각에 포함되는 돌기(27)의 돌출되는 길이가 다르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25)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버튼표시부(21)의 밝기가 균일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25)는, 발광부재(24)로부터 멀리 위치되는 제 1 돌출부(251)와, 상기 발광부재(24)로부터 가까이 위치되는 제 2 돌출부(25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돌출부(251) 및 제 2 돌출부(252)는 각각, 확산부재(23)의 표면로부터 돌출되는 복수개의 돌기(27)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돌출부(251)의 돌기(27)가 돌출되는 길이(L1)는, 상기 제 2 돌출부(252)의 돌기(27)가 돌출되는 길이(L2)보다 길다. 따라서, 상기 제 1 돌출부(251) 및 제 2 돌출부(252)에 표함되는 돌기(27)의 굵기가 모두 동일함을 가정하면, 상기 확산부재(23)의 단위 표면적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돌출부(251)의 돌기(27)가 차지하는 부피의 총합은, 상기 확산부재(23)의 단위 표면적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돌출부(252)의 돌기(27)가 차지하는 부피의 총합보다 크다.
그러므로, 상기 제 1 돌출부(251)에서 산란되는 빛의 양이 상기 제 2 돌출부(252)에서 산란되는 빛의 양보다 많아지기 때문에, 상기 제 1 돌출부(251)에 대응되는 제 1 버튼표시부(211)는 상기 제 2 돌출부(252)에 대응되는 상기 제 2 버튼표시부(212)에 비하여 상기 발광부재(24)로부터 멀리 이격되어 있지만, 상기 제 1 버튼표시부(211) 및 제 2 버튼표시부(212)의 밝기는 균일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복수개의 돌출부 각각에 포함되는 돌기 중 서로 인접하는 돌기 사이의 간격이 다르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 3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돌출부(35) 각각에 포함되는 돌기(37) 중 서로 인접하는 돌기(37) 사이의 간격이 다르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35)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버튼표시부(31)의 밝기가 균일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35)는, 발광부재(34)로부터 멀리 위치되는 제 1 돌출부(351)와, 상기 발광부재(34)로부터 가까이 위치되는 제 2 돌출부(35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돌출부(351) 및 제 2 돌출부(352)는 각각, 확산부재(33)의 표면로부터 돌출되는 복수개의 돌기(37)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돌출부(351)에 포함되는 돌기(37) 중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돌기(37) 사이 간격(D1)은, 상기 제 2 돌출부(352)에 포함되는 돌기(37) 중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돌기(37) 사이 간격(D2)보다 좁다. 다만, 제 1 돌출부(351) 및 제 2 돌출부(352)에 포함되는 돌기(37) 중 서로 인접하는 돌기(37) 사이의 간격은, 상기 인접하는 돌기(37)가 상기 발광부재(34)로부터 이격되는 거리에 비례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 1 돌출부(351)의 돌기(37)가, 상기 제 2 돌출부(352)의 돌기(37)보다 더욱 촘촘하게 배치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확산부재(33)의 단위 표면적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돌출부(351)에 포함되는 돌기(37)의 개수가, 상기 제 2 돌출부(352)에 포함되는 돌기(37)의 개수보다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돌출부(351) 및 제 2 돌출부(352)에 포함되는 돌기(37)의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함을 가정하면, 상기 확산부재(33)의 단위 표면적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돌출부(351)의 돌기(37)가 차지하는 부피의 총합은, 상기 확산부재(33)의 단위 표면적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돌출부(352)의 돌기(37)가 차지하는 부피의 총합보다 크다.
그러므로, 상기 제 1 돌출부(351)에서 산란되는 빛의 양이 상기 제 2 돌출부(352)에서 산란되는 빛의 양보다 많아지기 때문에, 상기 제 1 돌출부(351)에 대응되는 제 1 버튼표시부(311)는 상기 제 2 돌출부(352)에 대응되는 상기 제 2 버튼표시부(312)에 비하여 상기 발광부재(34)로부터 멀리 이격되어 있지만, 상기 제 1 버튼표시부(311) 및 제 2 버튼표시부(312)의 밝기는 균일해질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복수개의 돌출부에 포함되는 돌기 각각이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각각의 돌기가 발광부재로부터 이격되는 거리에 비례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 4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돌출부(45)에 포함되는 돌기(47) 각각이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각각의 돌기(47)가 발광부재(44)로부터 이격되는 거리에 비례한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45)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버튼표시부(41)의 밝기가 균일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45)는, 발광부재(44)로부터 멀리 위치되는 제 1 돌출부(451)와, 상기 발광부재(44)로부터 가까이 위치되는 제 2 돌출부(45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돌출부(451) 및 제 2 돌출부(452)는 각각, 확산부재(43)의 표면로부터 돌출되는 복수개의 돌기(47)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돌출부(451) 및 제 2 돌출부(452)에 포함되는 돌기(47) 각각이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각각의 돌기(47)가 상기 발광부재(44)로부터 이격되는 거리에 비례한다. 즉, 상기 돌기(47)가 상기 발광부재(44)로부터 멀리 위치될수록 상기 돌기(47)가 돌출되는 길이는 점차적으로 길어지고, 상기 돌기(47)가 상기 발광부재(44)로부터 가까이 위치될수록 상기 돌기(47)가 돌출되는 길이는 점차적으로 짧아진다.
따라서, 상기 제 1 돌출부(451) 및 제 2 돌출부(452)에 포함되는 돌기(47)의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함을 가정하면, 상기 확산부재(43)의 단위 표면적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돌출부(451)의 돌기(47)가 차지하는 부피의 총합은, 상기 확산부재(43)의 단위 표면적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돌출부(452)의 돌기(47)가 차지하는 부피의 총합보다 크다.
그러므로, 상기 제 1 돌출부(451)에서 산란되는 빛의 양이 상기 제 2 돌출부(452)에서 산란되는 빛의 양보다 많아지기 때문에, 상기 제 1 돌출부(451)에 대응되는 제 1 버튼표시부(411)는 상기 제 2 돌출부(452)에 대응되는 상기 제 2 버튼표시부(412)에 비하여 상기 발광부재(44)로부터 멀리 이격되어 있지만, 상기 제 1 버튼표시부(411) 및 제 2 버튼표시부(412)의 밝기는 균일해질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제 1 돌출부(451) 및 제 2 돌출부(452) 각각에 포함되는 돌기(47)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발광부재(44)로부터 이격되는 거리와, 다른 하나가 상기 발광부재(44)로부터 이격되는 거리가 차이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돌출부(451) 및 제 2 돌출부(452) 각각에 포함되는 돌기(47) 각각이 돌출되는 길이가 상기 각각의 돌기(47)가 상기 발광부재(44)로부터 이격되는 거리와 비례하므로, 상기 제 1 돌출부(451) 및 제 2 돌출부(452) 각각에서도 상기 발광부재(44)로부터 이격되는 거리에 따라 산란되는 빛의 양이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버튼표시부(411) 및 제 2 버튼표시부(412)의 전 부분에 걸쳐, 밝기가 더욱 균일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 : 버튼표시부, 12 : 글래스
13 : 확산부재 14 : 발광부재
15 : 돌출부 16 : 입력부
17 : 돌기

Claims (13)

  1. 버튼표시부가 구비되는 글래스;
    상기 글래스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버튼표시부를 표시하기 위하여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재;
    상기 글래스의 이면에 구비되고, 일단부에 상기 발광부재가 수용되는 홈을 형성하여,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부재;
    상기 확산부재의 내측에 적층되고, 상기 버튼표시부에 대응되는 신호를 입력 받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확산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산란시키는 복수개의 돌기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개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는,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상대적으로 멀게 위치되는 제 1 돌출부; 및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이 위치되는 제 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산부재의 단위 표면적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돌출부의 돌기가 차지하는 부피의 총합이, 상기 확산부재의 단위 표면적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돌출부의 돌기가 차지하는 부피의 총합보다 큰 조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글래스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상기 버튼표시부와 중첩되는 상기 확산부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조리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를 상기 글래스와 나란한 방향으로 자른 단면적이, 상기 제 2 돌출부를 상기 글래스와 나란한 방향으로 자른 단면적보다 넓은 조리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의 돌기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글래스와 나란한 방향으로 자른 단면적이, 상기 제 2 돌출부의 돌기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글래스와 나란한 방향으로 자른 단면적보다 넓은 조리기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에 포함되는 돌기 각각을 상기 글래스와 나란한 방향으로 자른 단면적은, 상기 각각의 돌기가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이격되는 거리에 비례하는 조리기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의 돌기 중 서로 인접하는 2개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2 돌출부의 돌기 중 서로 인접하는 2개 사이의 간격보다 좁은 조리기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에 포함되는 돌기 중 서로 인접하는 돌기 사이의 간격은, 상기 인접하는 돌기가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이격되는 거리에 비례하여 좁아지는 조리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의 돌기가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제 2 돌출부의 돌기가 돌출되는 길이보다 긴 조리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에 포함되는 돌기 각각이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각각의 돌기가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이격되는 거리에 비례하는 조리기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확산부재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조리기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원통 형상인 조리기기.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터치 감지 방식으로 신호 입력 여부를 감지하는 조리기기.
KR1020100029472A 2010-03-31 2010-03-31 조리기기 KR101671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472A KR101671517B1 (ko) 2010-03-31 2010-03-31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472A KR101671517B1 (ko) 2010-03-31 2010-03-31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660A KR20110109660A (ko) 2011-10-06
KR101671517B1 true KR101671517B1 (ko) 2016-11-01

Family

ID=45391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9472A KR101671517B1 (ko) 2010-03-31 2010-03-31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151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6939A (ja) 2001-03-26 2002-10-03 Kenwood Corp 導光板、導光板を具備する表示部材及びオーディオ装置
KR100459230B1 (ko) 2002-11-14 2004-12-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3240B1 (ko) * 1999-02-08 2001-09-26 박기점 전반사층과 패턴에 의한 엘씨디 백라이트용 도광판
KR100988972B1 (ko) * 2008-01-03 2010-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6939A (ja) 2001-03-26 2002-10-03 Kenwood Corp 導光板、導光板を具備する表示部材及びオーディオ装置
KR100459230B1 (ko) 2002-11-14 2004-12-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660A (ko)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25918B1 (en) Table top
JP4896695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9059493A (ja) 誘導加熱調理器
JP4444199B2 (ja) 加熱調理器
JP4389878B2 (ja) 加熱調理器
JP2008277097A (ja) 加熱調理器
KR101671517B1 (ko) 조리기기
JP5109914B2 (ja) 加熱調理器
EP2947960B1 (en) Induction cooking device
JP5326356B2 (ja) 加熱調理器
JP2011154230A (ja) 表示装置
JP2000310427A (ja) 加熱調理器
US20200314970A1 (en) Hob device
KR102506518B1 (ko) 테이블
JP2004171855A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14044823A (ja) 誘導加熱装置
JP3786080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7123075A (ja) 加熱調理器
KR101086108B1 (ko)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JP3786079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964550B2 (ja) 電気加熱調理器
JPH0533947A (ja) 電気加熱調理器
JP3786076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5445642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11204362A (ja) 誘導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