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1280B1 - 2개의 체인을 이용하여 패널의 양쪽 상·하부가 동시에 이동하도록 하는 패널 승강 도어 - Google Patents

2개의 체인을 이용하여 패널의 양쪽 상·하부가 동시에 이동하도록 하는 패널 승강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1280B1
KR101671280B1 KR1020160090235A KR20160090235A KR101671280B1 KR 101671280 B1 KR101671280 B1 KR 101671280B1 KR 1020160090235 A KR1020160090235 A KR 1020160090235A KR 20160090235 A KR20160090235 A KR 20160090235A KR 101671280 B1 KR101671280 B1 KR 101671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mission
transmission gear
chain
door
gea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호
신동조
홍성문
Original Assignee
이경호
신동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호, 신동조 filed Critical 이경호
Priority to KR1020160090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12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1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1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9/17076Sealing or antirattl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널의 양측 단면 상하에 2개씩 총 4개의 체인걸이를 설치하고 상부의 체인걸이끼리 연결하는 상부체인과 하부의 체인걸이끼리 연결하는 하부체인을 이용하여 도어의 개폐시 이동하는 패널의 충돌을 방지하고,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된 2개의 체인걸이 사이에 롤러를 더 설치하여 롤러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의 영향으로 패널이 이동 중에 흔들리는 것을 최소한으로 하는 패널 승강 도어를 개시(introduce)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승강 도어는, 도어모듈 및 브라켓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2개의 체인을 이용하여 패널의 양쪽 상·하부가 동시에 이동하도록 하는 패널 승강 도어{Panel elevating door including panels of upper and lower part moving simultaneously by two chains}
본 발명은 복수의 패널을 이용하여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패널의 양측 단면 상부 및 하부에 하나씩 체인걸이를 형성시키고, 상기 체인걸이에 연결된 체인을 감거나 풀면서 복수의 패널을 상하방향 직렬로 정렬하여 폐쇄하거나 복수의 패널을 병렬로 정렬하여 개방하는 2개의 체인에 의해 패널의 양쪽 상·하부가 동시에 이동하는 2개의 체인에 의해 패널의 양쪽 상·하부가 동시에 이동하는 패널 승강 도어에 관한 것이다.
대형창고, 화물 적재 창고, 소방서차고 또는 항공기격납고와 같이 출입구가 비교적 큰 건물에서, 출입구의 개폐를 위하여 설치되는 산업용 도어(door)로는, 셔터(shutter), 행어도어(hanger door) 및 오버헤드 도어(overhead door)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산업용 도어는 통상 기다란 패널을 가로로 누이거나 세로로 세운 형태로 다수 개 연결하여 전체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종래의 패널에 대해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 20-0383871호에서 제안되었다. 상기 고안에 기재된 패널의 측면에는 하나의 패널체인이 사용되기 때문에, 임의의 하나의 패널이 다수 개 직렬로 결합 된 패널들로부터 이탈하여 이동할 때 흔들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인접하는 패널과의 충돌이 발생하거나, 한 줄의 패널체인이 끊어질 때 패널의 추락 등과 같은 사고의 위험성이 높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패널 승강 도어를 구성하는 패널의 양측 단면 상하에 2개씩 총 4개의 체인걸이를 설치하고 상부의 체인걸이끼리 연결하는 상부체인과 하부의 체인걸이끼리 연결하는 하부체인을 이용하여 도어의 개폐시 이동하는 패널의 충돌을 방지하고,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된 2개의 체인걸이 사이에 롤러를 더 설치하여 롤러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의 영향으로 패널이 이동 중에 흔들리는 것을 최소한으로 하는 2개의 체인에 의해 패널의 양쪽 상·하부가 동시에 이동하는 패널 승강 도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승강 도어는, 도어모듈 및 브라켓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모듈은 복수의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모듈은 상기 패널이 펼쳐졌을 때의 상부의 양쪽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패널을 연결하는 체인을 감거나 풀어 상기 도어를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패널은 일정한 면적 및 두께를 가지는 판재형태를 가지며, 일 끝단 면의 상단, 중단 및 하단에 제1상부체인걸이, 제1롤러 및 제1하부체인걸이가 형성되며, 반대 끝단 면의 상단, 중단 및 하단에는 제2상부체인걸이, 제2롤러 및 제2하부체인걸이가 형성되며, 상기 체인은, 복수의 패널의 제1상부체인걸이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제1상부체인, 복수의 패널의 제1하부체인걸이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제1하부체인, 복수의 패널의 제2상부체인걸이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제2상부체인 및 복수의 패널의 제2하부체인걸이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제2하부체인을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모듈은, 제1도어브라켓, 제2도어브라켓 및 메인 동력전달축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도어브라켓은 상기 패널이 펼쳐졌을 때의 상단 일 측에 설치되며,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상부체인 및 상기 제1하부체인을 감거나 풀며, 상기 제2도어브라켓은 상기 패널이 펼쳐졌을 때의 상단 반대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도어브라켓을 경유하여 인가되는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상부체인 및 상기 제2하부체인을 감거나 푼다. 상기 메인 동력전달축은 상기 제1도어브라켓에 전달되는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2도어브라켓에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체인에 의해 패널의 양쪽 상·하부가 동시에 이동하는 패널 승강 도어는 패널의 이동시 패널의 양측 단면 상하에 2개씩 총 4개의 체인걸이를 설치하고 상부의 체인걸이끼리 연결하는 상부체인과 하부의 체인걸이끼리 연결하는 하부체인을 이용하여 도어의 개폐시 이동하는 패널의 충돌을 방지하고,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된 2개의 체인걸이 사이에 롤러를 더 설치하여 롤러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의 영향으로 패널이 이동 중에 흔들리는 것을 최소한으로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체인에 의해 패널의 양쪽 상·하부가 동시에 이동하는 패널 승강 도어를 나타낸다.
도 2는 도어모듈을 구성하는 패널을 나타낸다.
도 3은 상부체인걸이에 상부체인의 장착 이전 및 장착 이후를 각각 나타낸다.
도 4는 도어모듈을 구성하는 패널의 상부 및 하부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브라켓모듈을 구성하는 도어브라켓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6은 도어브라켓에 설치된 3개의 동력전달기어부의 세부도이다.
도 7은 도어프레임의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체인에 의해 패널의 양쪽 상·하부가 동시에 이동하는 패널 승강 도어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체인에 의해 패널의 양쪽 상·하부가 동시에 이동하는 패널 승강 도어를 나타낸다.
도 1a는 2개의 체인에 의해 패널의 양쪽 상·하부가 동시에 이동하는 패널 승강 도어(이하 패널 승강 도어)의 사시도이고, 도 1b 및 도 1c는 측면에서 각도를 달리하여 찍은 패널 승강 도어의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승강 도어(100)는, 도어모듈(110), 브라켓모듈(120; 120-1, 120-2), 모터(130), 동력전달축(140) 및 도어프레임(150; 150-1, 150-2)을 포함한다.
도어모듈(110)은 복수의 패널(111~116)로 구성된다. 복수의 패널(111~116)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150; 150-1, 150-2)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직렬로 배열된 때가 폐쇄된 상태이고, 상부에 위치하는 브라켓모듈(120; 120-1, 120-2)에 병렬로 배열된 때(미도시)가 개방된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핵심 아이디어 중 하나는 패널의 구성에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브라켓모듈(120, 120-1, 120-2)은 도어모듈(110)을 구성하는 복수의 패널(111~116)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펼쳐졌을 때 상부의 양쪽 측면에 설치되며, 복수의 패널(111~116)을 연결하는 체인(미도시)을 감거나 풀어 도어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브라켓모듈(120)에 대해서도 후술한다.
모터(130)는 브라켓모듈(120; 120-1, 120-2)의 외곽에서 브라켓모듈(120, 120-1, 120-2)에 회전에너지를 전달한다.
동력전달축(140)은, 브라켓모듈(120)을 구성하는 제1도어브라켓(120-1) 및 제2도어브라켓(120-2)을 연결되어, 모터(130)의 회전에너지가 전달된 제1도어브라켓(120-1) 및 제2도어브라켓(120-2) 중 하나의 도어브라켓의 회전에너지를 다른 하나의 도어브라켓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어프레임(150; 150-1, 150-2)은 도어(110)의 양쪽 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복수의 패널의 측면 가장자리 일부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패널이동가이드홈(151)을 포함한다.
도 2는 도어모듈을 구성하는 패널을 나타낸다.
도 2a는 패널의 정면도이고, 도 2b는 패널 일부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각각의 패널(111~116)의 패널 바디(210)는 일정한 면적 및 두께를 가지는 판재형태를 가지며, 일 끝단 면의 상단, 중단 및 하단에 제1상부체인걸이(220-1), 제1롤러(230-1) 및 제1하부체인걸이(240-1)가 형성되며, 반대 끝단 면의 상단, 중단 및 하단에는 제2상부체인걸이(220-2), 제2롤러(230-2) 및 제2하부체인걸이(240-2)가 형성된다.
후술하겠지만, 제1상부체인(미도시)은 각 패널의 제1상부체인걸이(220-1)를 연속하여 연결하고, 제2상부체인(미도시)은 각 패널의 제2상부체인걸이(220-3)를 연속으로 연결하며, 제1하부체인(미도시)은 각 패널의 제1하부체인걸이(220-2)를 연속하여 연결하고, 제2하부체인(미도시)은 각 패널의 제2하부체인걸이(230-3)를 연속으로 연결한다. 즉, 4개의 체인 중 2개의 체인이 패널(111~116)의 양쪽에 체인걸이에 각각 상하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이 감기거나 풀림으로써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도 3은 상부체인걸이에 상부체인의 장착 이전 및 장착 이후를 각각 나타낸다.
도 3a는 상부체인걸이에 상부체인이 장착되기 이전과 상부체인이 상부체인걸이에 장착된 후의 상태변화를 나타내며, 도 3b는 상부체인걸이에 상부체인이 장착된 제품의 실제 사진이다.
도 3에는 상부체인걸이에 장착되는 상부체인에 대해서만 도시하였지만, 하부체인걸이에 걸이에 장착되는 하부체인도 도 3의 내용을 확장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도어모듈을 구성하는 패널의 상부 및 하부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부에 있는 패널의 하부면(상판의 하부)의 요철과 하부에 있는 패널의 상부면(하판의 상부)의 요철은 서로 맞물리게 되어 있어, 연속하는 2개의 패널의 상부와 하부가 결합하였을 때 강하게 고정되며, 외부에서 내부를 관찰할 수 없게 하거나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스며들지 못하게 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브라켓모듈을 구성하는 도어브라켓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5a는 도어브라켓의 정면도, 도 5b는 배면도, 도 5c는 좌측면도, 도 5d는 우측면도, 도 5e는 제1상부체인 및 제2상부체인의 연결상태를 나타낸다.
도 5a ~ 도 5d를 참조하면, 브라켓모듈(120)은 2개의 도어브라켓(120-1, 120-2)으로 구성되는데, 도 5에는 그 중 하나인 제2브라켓모듈(120-2)을 도시한 것이다. 도 5e는 제1브라켓모듈(120-1)의 외부에서 본 패널의 배열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 ~ 도 5d를 참조하면, 제2도어브라켓(120-2)은 제2도어브라켓바디(510-2), 제2롤러가이드레일(520-2), 제2상부체인체결수단(530-2), 제2하부체인체결수단(540-2), 제2상부동력전달기어부(550-2), 제2하부동력전달기어부(560-2) 및 제2메인동력전달기어부(570-2)로 구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부재번호의 마지막에 기재된 '-2'는 제2도어브라켓(120-2)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도면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하의 설명에서 부재번호의 마지막에 '-1'이라고 기재된다면 그것은 제1도어브라켓(120-1, 미도시)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라는 의미로 해석한다.
제2롤러가이드레일(520-2), 제2상부체인체결수단(530-2), 제2하부체인체결수단(540-2), 제2상부동력전달기어부(550-2), 제2하부동력전달기어부(560-2) 및 제2메인동력전달기어부(570-2)는 제2도어브라켓바디(510-2)에 일면에 설치되거나 관통하여 설치된다.
제2롤러가이드레일(520-2)은 제2도어브라켓바디(510-2)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패널(111)의 측면에 각각 설치된 제2롤러(230-2)가 구르면서 이동하는 통로가 된다. 제2롤러(230-2)가 제2롤러가이드레일(520-2)을 따라 구르는 동안 제1롤러(230-1)는 제1롤러가이드레일(520-1, 미도시)를 따라 구르게 될 것이다. 제1롤러(230-1) 및 제2롤러(230-2)가 롤러가이드레일(520-2)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해당 패널의 이동 중 흔들림 현상은 거의 없게 될 것이다.
제2롤러가이드레일(520-2)은 도어가 개방될 때 패널이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제2롤러(230-2)가 제2롤러가이드레일(520-2)에 안착하여 구르기 시작하여 일정한 길이를 진행하는 부분은 급경사를 이루도록 하고, 이후에는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부분은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복수의 패널이 병렬로 정렬되는 곳이다.
제2상부체인체결수단(530-2)은 도어를 구성하는 모든 패널이 직렬로 정렬되어 도어를 폐쇄하였을 때 지면에 맞닿는 패널의 제1상부체인걸이(530-2)에 일 단자가 연결된 제2상부체인(280-2)의 반대 일 단자가 체결되는 곳이다.
제2하부체인체결수단(540-2)은 도어를 구성하는 모든 패널이 직렬로 정렬되어 도어를 폐쇄하였을 때 지면에 맞닿는 패널의 제2하부체인걸이(540-2)에 일단자가 연결된 제2하부체인(290-2)의 반대 일 단자가 체결되는 곳이다.
제2상부동력전달기어부(550-2)는 제2도어브라켓바디(510-2)을 관통하는 축을 중심으로 전면에는 하나의 기어가 설치되고 배면에는 2개의 기어가 직렬로 설치되어 있다. 제2하부동력전달기어부(560-2)는 제2도어브라켓바디(510-2)을 관통하는 축을 중심으로 전면과 배면에 각각 하나의 기어가 설치되어 있다. 제2메인동력전달기어부(570-2)는 제2도어브라켓바디(510-2)을 관통하는 축을 중심으로 전면에는 하나의 기어가 설치되고 배면에는 2개의 기어가 직렬로 설치되어 있다. 제2상부동력전달기어부(550-2), 제2하부동력전달기어부(560-2) 및 제2메인동력전달기어부(570-2)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5e를 참조하면, 제1상부체인(580-1)이 각 패널의 제1상부체인걸이(220-1)를 연결하여 최종적으로는 제1상부체인체결수단(530-1)에 결합하고, 제2상부체인(590-1)이 각 패널의 제1하부체인걸이(230-1)를 연결하여 최종적으로는 제1하부체인체결수단(540-1)에 결합한다.
도 6은 도어브라켓에 설치된 3개의 동력전달기어부의 세부도이다.
도 6a는 제2도어브라켓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6b는 제2도어브라켓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6c 및 도 6d는 제2도어브라켓의 배면에 설치된 3개의 동력전달기어부와 모터의 동력전달 관계를 설명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2상부동력전달기어부(550-2), 제2하부동력전달기어부(560-2) 및 제2메인동력전달기어부(570-2)는 제2도어브라켓바디(510-2)의 전면에는 각각 하나씩의 기어가 설치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제2도어브라켓바디(510-2)의 배면에는 제2상부동력전달기어부(550-2) 및 제2메인동력전달기어부(570-2)는 2개의 기어가 설치되고 제2하부동력전달기어부(560-2)는 하나의 기어만 설치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c ~ 도 6d를 참조하면, 모터(130)와 제2메인동력전달기어부(570-2)를 구성하는 2개의 기어 중 하나의 기어는 제1동력전달체인(611)으로 연결되고, 제2메인동력전달기어부(570-2)를 구성하는 2개의 기어 중 나머지 하나의 기어와 제2상부동력전달기어부(550-2)를 구성하는 2개의 기어 중 하나의 기어는 제2동력전달체인(612)으로 연결하며, 제2상부동력전달기어부(550-2)를 구성하는 2개의 기어 중 나머지 하나의 기어와 제2하부동력전달기어부(560-2를 구성하는 기어는 제3동력전달체인(613)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은, 모터(130)의 회전력을 제2메인동력전달기어부(570-2)에 전달하고, 제2메인동력전달기어부(570-2)의 회전력은 제2상부동력전달기어부(550-2)에 전달되며, 제2상부동력전달기어부(550-2)의 회전력은 제2하부동력전달기어부(560-2)에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모터(130)의 회전력이 제2메인동력전달기어부(570-2), 제2상부동력전달기어부(550-2) 및 제2하부동력전달기어부(560-2)의 순서로 전달된다는 것이다.
제2메인동력전달기어부(570-2)를 구성하는 기어 중 제2도어브라켓바디(510-2)의 전면에 설치된 기어는 동력전달축(140)에 의해 제1도어브라켓(510-1)에 모터(13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도 7은 도어프레임의 사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어프레임(150)의 내부는 패널이동가이드홈(151)이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승강 도어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도 8의 사진은 제2도어브라켓(120-2)의 전면을 바라본 상태에서 찍은 것이다.
도어가 폐쇄되어 있던 도 8a의 상태로부터 도 8f로 진행하면서 도어가 개방된다.
도 8a는 도어모듈(110)을 구성하는 모든 패널이 도어프레임(150)의 패널이동가이드홈(151) 내부에 직렬로 배열하여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다. 제2상부체인 및 제2하부체인은 제2상부체인걸이 및 제2하부체인걸이에 각각 체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8b ~ 도 8c를 참조하면, 도어프레임(150)의 패널이동가이드홈(151) 내부에 직렬로 배열하고 있던 최상부의 패널이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제2상부체인 및 제2하부체인이 동시에 사용된다.
도 8d를 참조하면 패널에 설치된 제2롤러가 제2도어브라켓의 제2롤러가이드레일에 안착되는 상황을 알 수 있다. 패널에 설치된 제2롤러가 제2도어브라켓의 제2롤러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제1도어브라켓의 내부에 정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10 : 도어모듈
111~116 : 패널
210 : 패널 바디
220-1 : 제1상체인걸이 220-2 : 제2상부체인걸이
230-1 : 제1롤러 230-2 : 제2롤러
240-1 : 제1하부체인걸이 240-2 : 제2하부체인걸이
120 : 브라켓모듈
120-1 : 제1도어브라켓
510-1 : 제1도어브라켓바디 520-1 : 제1롤러가이드레일
530-1 : 제1상부체인체결수단 540-1 : 제1하부체인체결수단
550-1 : 제1상부동력전달기어부
560-1 : 제1하부동력전달기어부
570-1 : 제1메인동력전달기어부
120-2 : 제2도어브라켓
510-2 : 제2도어브라켓바디 520-2 : 제2롤러가이드레일
530-2 : 제2상부체인체결수단 540-2 : 제2하부체인체결수단
550-2 : 제2상부동력전달기어부
560-2 : 제2하부동력전달기어부
570-2 : 제2메인동력전달기어부
130 : 모터
140 : 동력전달축
150 : 도어프레임
150-1 : 제1도어프레임 150-2 : 제2도어프레임
151 : 패널이동가이드홈
580-1 : 제1상부체인 580-2 : 제2상부체인
590-1 : 제1하부체인 590-2 : 제2하부체인
611 : 제1동력전달체인 612 : 제2동력전달체인
613 : 제3동력전달체인

Claims (7)

  1. 복수의 패널을 포함하는 도어모듈; 및
    상기 복수의 패널이 펼쳐졌을 때 상부의 양쪽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패널을 연결하는 체인을 감거나 풀어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브라켓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패널은 일정한 면적 및 두께를 가지는 판재형태를 가지며, 일 끝단 면의 상단, 중단 및 하단에 제1상부체인걸이, 제1롤러 및 제1하부체인걸이가 형성되며, 반대 끝단 면의 상단, 중단 및 하단에는 제2상부체인걸이, 제2롤러 및 제2하부체인걸이가 형성되며,
    상기 체인은, 복수의 패널의 제1상부체인걸이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제1상부체인, 복수의 패널의 제1하부체인걸이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제1하부체인, 복수의 패널의 제2상부체인걸이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제2상부체인 및 복수의 패널의 제2하부체인걸이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제2하부체인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모듈은,
    상기 복수의 패널이 펼쳐졌을 때 상단 일 측에 설치되며,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상부체인 및 상기 제1하부체인을 감거나 푸는 제1도어브라켓;
    상기 패널이 펼쳐졌을 때의 상단 반대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도어브라켓을 경유하여 인가되는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상부체인 및 상기 제2하부체인을 감거나 푸는 제2도어브라켓; 및
    상기 제1도어브라켓에 전달되는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2도어브라켓에 전달하는 메인 동력전달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승강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브라켓은,
    제1도어브라켓 바디;
    상기 제1도어브라켓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며, 복수의 제1롤러가 이동하는 제1롤러가이드레일;
    상기 제1도어브라켓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모듈을 구성하는 모든 패널이 직렬로 정렬되었을 때 지면에 맞닿는 패널의 제1상부체인걸이에 일 단자가 연결된 상기 제1상부체인의 반대 일 단자가 체결되는 제1상부 체인체결수단;
    상기 제1도어브라켓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모듈을 구성하는 모든 패널이 직렬로 정렬되었을 때 지면에 맞닿는 패널의 제1하부체인걸이에 일 단자가 연결된 상기 제1하부체인의 반대 일 단자가 체결되는 제1하부 체인체결수단;
    상기 제1도어브라켓 바디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1상부체인을 상기 제1상부 체인체결수단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감거나 푸는 제1상부 동력전달기어부;
    상기 제1도어브라켓 바디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1하부체인을 상기 제1하부 체인체결수단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감거나 푸는 제1하부 동력전달기어부; 및
    상기 제1도어브라켓 바디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제1동력전달체인을 이용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1상부 동력전달기어부 및 상기 제1하부 동력전달기어부 중 한 곳에 전달하고, 상기 메인 동력전달축의 일단이 연결되는 제1메인 동력전달기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상부 동력전달기어부 및 상기 제1하부 동력전달기어부 중 한 곳에 전달된 상기 모터의 회전력은, 상기 제1상부 동력전달기어부 및 상기 제1하부 동력전달기어부를 연결하는 제2동력전달체인에 의해 다른 한 곳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승강 도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 동력전달기어부는, 상기 제1도어브라켓을 관통하는 제1상부축의 일 측에 연결되는 제1상부 동력전달기어 및 상기 제1상부축의 반대 측에 연결되는 제2상부 동력전달기어로 구성되며,
    상기 제1하부 동력전달기어부는, 상기 제1도어브라켓을 관통하는 제1하부축의 일 측에 연결되는 제1하부 동력전달기어 및 상기 제1하부축의 반대 측에 연결되는 제2하부 동력전달기어로 구성되고,
    상기 제2상부 동력전달기어 및 상기 제2하부 동력전달기어는 상기 제2동력전달체인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메인 동력전달기어부는, 상기 제1도어브라켓을 관통하는 제1동력전달축의 일 측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동력전달축의 일 단이 연결되는 제1-1메인 동력전달기어 및 상기 제1도어브라켓을 관통하는 상기 제1동력전달축의 반대 측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제1동력전달체인에 의해 상기 제1상부 동력전달기어 또는 상기 제1하부 동력전달기어에 연결되는 제1-2메인동력전달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승강 도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브라켓은,
    제2도어브라켓 바디;
    상기 제2도어브라켓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며, 복수의 제2롤러가 이동하는 제2롤러가이드레일;
    상기 제2도어브라켓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를 구성하는 모든 패널이 직렬로 정렬되어 도어를 폐쇄하였을 때 지면에 맞닿는 패널의 제2상부체인걸이에 일 단자가 연결된 상기 제2상부체인의 반대 일 단자가 체결되는 제2상부 체인체결수단;
    상기 제2도어브라켓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를 구성하는 모든 패널이 직렬로 정렬되어 도어를 폐쇄하였을 때 지면에 맞닿는 패널의 제2하부체인걸이에 일 단자가 연결된 상기 제2하부체인의 반대 일 단자가 체결되는 제2하부 체인체결수단;
    상기 제2도어브라켓 바디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2상부체인을 상기 제2상부 체인체결수단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감거나 푸는 제2상부 동력전달기어부;
    상기 제2도어브라켓 바디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2하부체인을 상기 제2하부 체인체결수단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감거나 푸는 제2하부 동력전달기어부; 및
    상기 제2도어브라켓 바디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메인 동력전달축의 다른 일단이 연결되고, 제3동력전달체인을 이용하여 상기 메인 동력전달축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2상부 동력전달기어부 및 상기 제2하부 동력전달기어부 중 한 곳에 전달하는 제2메인 동력전달기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상부 동력전달기어부 및 상기 제2하부 동력전달기어부 중 한 곳에 전달된 상기 모터의 회전력은, 상기 제2상부 동력전달기어부 및 상기 제2하부 동력전달기어부를 연결하는 제4동력전달체인에 의해 다른 한 곳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승강 도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상부 동력전달기어부는, 상기 제2도어브라켓을 관통하는 제2상부축의 일 측에 연결되는 제3상부 동력전달기어 및 상기 제2상부축의 반대 측에 연결되는 제4상부 동력전달기어로 구성되며,
    상기 제2하부 동력전달기어부는, 상기 제2도어브라켓을 관통하는 제2하부축의 일 측에 연결되는 제3하부 동력전달기어 및 상기 제2하부축의 반대 측에 연결되는 제4하부 동력전달기어로 구성되고,
    상기 제3상부 동력전달기어 및 상기 제3하부 동력전달기어는 상기 제4동력전달체인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메인 동력전달기어부는, 상기 제2도어브라켓을 관통하는 제2동력전달축의 일 측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 동력전달축의 일 단이 연결되는 제3메인 동력전달기어 및 상기 제2도어브라켓을 관통하는 상기 제2동력전달축의 반대 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4동력전달체인에 의해 상기 제2상부 동력전달기어 또는 상기 제2하부 동력전달기어에 연결되는 제4메인 동력전달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승강 도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모듈의 양 측면에는,
    상기 복수의 패널의 측면의 일부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패널이동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도어프레임;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승강 도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널은,
    상기 복수의 패널이 펼쳐졌을 때는 상기 2개의 도어프레임의 패널이동가이드 홈을 따라 직렬로 정렬되고,
    상기 복수의 패널이 접혀졌을 때는 상기 제1도어브라켓 및 상기 제2도어브라켓의 내부에 병렬로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승강 도어.
KR1020160090235A 2016-07-15 2016-07-15 2개의 체인을 이용하여 패널의 양쪽 상·하부가 동시에 이동하도록 하는 패널 승강 도어 KR101671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235A KR101671280B1 (ko) 2016-07-15 2016-07-15 2개의 체인을 이용하여 패널의 양쪽 상·하부가 동시에 이동하도록 하는 패널 승강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235A KR101671280B1 (ko) 2016-07-15 2016-07-15 2개의 체인을 이용하여 패널의 양쪽 상·하부가 동시에 이동하도록 하는 패널 승강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1280B1 true KR101671280B1 (ko) 2016-11-01

Family

ID=57484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235A KR101671280B1 (ko) 2016-07-15 2016-07-15 2개의 체인을 이용하여 패널의 양쪽 상·하부가 동시에 이동하도록 하는 패널 승강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128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4454A (ja) * 2001-12-21 2003-07-03 Bunka Shutter Co Ltd 開閉体と該開閉体用収納部
KR200395107Y1 (ko) * 2005-06-14 2005-09-07 공간산업(주) 폴드업 셔터
KR200472136Y1 (ko) * 2013-04-02 2014-04-07 (주) 피비엔텍디에프디 이송체인의 끼임 방지기능이 구비된 디펜스 도어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4454A (ja) * 2001-12-21 2003-07-03 Bunka Shutter Co Ltd 開閉体と該開閉体用収納部
KR200395107Y1 (ko) * 2005-06-14 2005-09-07 공간산업(주) 폴드업 셔터
KR200472136Y1 (ko) * 2013-04-02 2014-04-07 (주) 피비엔텍디에프디 이송체인의 끼임 방지기능이 구비된 디펜스 도어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7908B2 (en) Sectional folding up garage door
JP6931414B2 (ja) 遮蔽装置
KR100761035B1 (ko) 디펜스 도어용 도어패널 가이드장치
KR100919613B1 (ko) 직립적층식 수납형 오버헤드 도어
US20220307260A1 (en) System for Reversibly Dividing a Space
US5983971A (en) Reinforced burglar- and storm-resistant cover for windows and doors
US20040221968A1 (en) Vertically movable security partition
KR101671280B1 (ko) 2개의 체인을 이용하여 패널의 양쪽 상·하부가 동시에 이동하도록 하는 패널 승강 도어
WO2012027453A2 (en) Self-storing vertical lift door system
KR20120086767A (ko) 승강절첩형 출입문 개폐장치
JP6571397B2 (ja) シャッター装置
CN202787721U (zh) 一种折叠式活动屋顶
KR100846168B1 (ko) 윈도우용 차광 조절 겸용 방범 전동 셔텨 개폐장치
WO2020087695A1 (zh) 翻转装置及包含其的无槽卷帘门
JPH0725429Y2 (ja) シヤツター装置
CN201159040Y (zh) 隔音窗帘
CN108590484B (zh) 一种天地防撬卷帘门窗
CN214498834U (zh) 一种组合防火卷帘门
CN214035470U (zh) 一种卷帘门的帘片连接结构
CN217976022U (zh) 一种组合防火卷帘门
KR20100004019A (ko) 윈도우용 차광 조절 방범 전동 셔터 개폐 장치
US20240183206A1 (en) Stabilization roller bracket for long roller stems of a movable barrier
JPH0248630Y2 (ko)
CA3218939A1 (en) Stabilization roller bracket for long roller stems of a movable barrier
WO2007091268A2 (en) Security roller bli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