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9763B1 - 보행 보조 기구 - Google Patents
보행 보조 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9763B1 KR101669763B1 KR1020150096221A KR20150096221A KR101669763B1 KR 101669763 B1 KR101669763 B1 KR 101669763B1 KR 1020150096221 A KR1020150096221 A KR 1020150096221A KR 20150096221 A KR20150096221 A KR 20150096221A KR 101669763 B1 KR101669763 B1 KR 1016697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user
- thigh
- walking
- bel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5021 gait Effect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5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18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41 low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3 si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7—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secured to the patient, e.g. with bel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보행 보조 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기구는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벨트, 상기 사용자의 허벅지에 착용되는 허벅지 밴드, 상기 벨트에 결합되며 상기 사용자의 팔을 이용한 스윙 시 힘의 방향을 변경시키는 하나 이상의 고정 도르래 및 상기 허벅지 밴드와 연결되며 상기 고정 도드래를 통해 방향이 변경된 힘을 이용하여 상기 허벅지 밴드를 들어 올리는 움직 도르래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도르래는 서로 반대 측에 위치하는 팔과 허벅지를 와이어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행 보조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팔의 움직임을 이용한 보행 보조 기구에 관한 것이다.
행군이나 등산 등의 장기간 보행으로 인한 피로 및 불의의 사고로 인해 다리의 근력이 부족한 경우, 다리를 들 힘이 없어 보행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에, 보행을 보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바퀴가 달린 보조 보행기와 같은 보행 보조 기구 및 배낭의 어깨 끈과 사용자의 신발 끈을 연결하여 이동 시 로프 부재를 상부 쪽으로 들어 올려주거나 가볍게 내려주도록 함으로써 보행을 보조하는 스틱 형태의 등산용 보행 보조 기구들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보행 보조 기구들은 주로 하지에 집중된 보조 기구로서, 바퀴가 달린 보조 보행기는 부피가 크고 노면 상태에 따라 활용 여부가 다소 제한되며, 등산용 보행 보조 기구는 어깨 끈과 발이 연결되어 있는데, 이는 무게 중심으로부터 먼 곳에 고정점이 위치하여 근력이 부족한 경우 자칫 실족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팔의 근력을 이용하여 보행을 보조함으로써 다리 근육의 부담을 덜어주는 보행 보조 기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기구는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벨트, 상기 사용자의 허벅지에 착용되는 허벅지 밴드, 상기 벨트에 결합되며 상기 사용자의 팔을 이용한 스윙 시 힘의 방향을 변경시키는 하나 이상의 고정 도르래 및 상기 허벅지 밴드와 연결되며 상기 고정 도드래를 통해 방향이 변경된 힘을 이용하여 상기 허벅지 밴드를 들어 올리는 움직 도르래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도르래는 서로 반대 측에 위치하는 팔과 허벅지를 와이어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면과 상관 없이 인체에 직접 착용하여 사용하므로 활용 범위가 넓다.
또한, 인체의 무게 중심과 가까운 허리와 발이 아닌 허벅지를 들어올리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보행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보행 시 직접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팔의 근력을 이용하여 다리의 부담을 줄여주므로, 다리 근육의 부담을 근본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팔의 스윙을 이용할 경우, 다리에 작용하는 힘을 그대로 팔이 수용하게 되므로 팔에 큰 부담이 갈 수 있는데, 팔이 스윙하는 거리보다 다리가 들어올려지는 거리가 짧다는 점을 활용하여 움직 도르래를 통해 팔에 작용하는 부담까지 줄일 수 있다.
또한, 허리 벨트에서 서로 반대의 팔과 다리가 보조로서 작용하므로, 보행 시 자연스러운 팔과 다리의 엇갈린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특별히 다리를 높게 들어 올려야 하는 경우, 일 방향으로만 힘이 작용하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맞게 움직 도르래의 수를 조정하면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기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기구의 활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기구의 활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기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기구(100)는 고정점의 역할을 하는 벨트가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고, 허벅지를 들어 올리기 위한 허벅지 밴드가 사용자의 허벅지에 착용되며, 보행 시 팔의 스윙에 따라 와이어가 당겨지면, 스윙하는 팔의 반대 측의 허벅지 밴드가 움직 도르래를 통해 들어올려짐으로써 자연스러운 걸음 걸이를 유지하면서 보행을 보조할 수 있다.
행군이나 등산 등의 장기간 보행으로 인한 피로 및 불의의 사고로 인해 다리의 근력이 부족한 경우, 다리를 들 힘이 없어 보행이 어려운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보행에 직접적인 역할을 하지 않는 팔 근육은 상대적으로 양호한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기구는 이러한 팔의 근력을 이용해 다리 근육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기구(100)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기구(100)는 와이어(110), 벨트(120), 와이어 고정부(130), 손잡이(140), 허벅지 밴드(150), 고정 도르래(fixed pulley)(160) 및 움직 도르래(movable pulley)(17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를 설명하면, 와이어(110)는 일단이 손잡이(140)와 연결되고 고정 도르래(160)와 움직 도르래(170)를 경유하여 타단이 와이어 고정부(130)에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보행 시 손잡이(140)를 당기면, 손잡이(140)가 당겨지는 힘에 의해 와이어(110)가 당겨지게 되며, 이때 움직 도르래(170)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움직 도르래(170)와 연결된 허벅지 밴드(150)도 함께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참고로, 와이어(110)의 길이는 사용자의 팔 길이와 보행 시 팔을 스윙(swing)하는 정도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벨트(120)는 사용자가 허리에 착용하여 고정점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일 면에 고정 도르래(160)와 와이어 고정부(13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벨트(120)는 사용자의 허리 사이즈에 맞게 벨트(120)의 착용 정도(예를 들어, 조임, 보통, 헐렁함 등)를 조절할 수 있는 사이즈 조절 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와이어 고정부(130)는 벨트(120)의 일 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와이어(110)의 타단을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손잡이(140)는 와이어(110)의 일단과 결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파지(grip)한 상태로 와이어(110)를 당길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삼각형의 고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삼각형의 고리 형태뿐만 아니라 원형의 고리, 소정 길이의 막대, 고리 모양으로 묶은 끈 등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손잡이(140)를 파지한 상태로 보행 시 팔을 스윙하면, 손잡이(140)는 팔의 스윙 동작에 따라서 와이어(110)를 스윙 방향으로 당기게 된다.
한편, 허벅지 밴드(150)는 움직 도르래(170)와 연결 부재를 통해 연결되고, 사용자의 허벅지를 들어올리기 위해 사용자의 허벅지에 착용될 수 있다.
허벅지 밴드(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부분에 움직 도르래(170)의 연결 부재와 결합하는 결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부분인 만큼 사용 감촉이 우수하고, 신축성과 강도 유지가 뛰어난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허벅지 밴드(150)는 신축성을 가지는 O자 형 밴드, 양 측면이 벨크로(velcro), 끈, 단추 또는 버클 등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형태의 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허벅지 밴드(150)는 움직이는 팔과 반대 측의 허벅지에 착용될 수 있다. 즉, 왼쪽 팔이 스윙 시 오른쪽 다리가 올라가도록 하는 경우, 허벅지 밴드(150)는 오른쪽 허벅지에 착용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는 왼쪽 허벅지에 착용될 수 있다.
한편, 고정 도르래(160)는 벨트(120)의 일 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손잡이(140)와 연결된 와이어(110)가 사용자의 팔과 반대 측의 허벅지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고정 도르래(160)는 사용자의 팔을 이용한 스윙 시 힘의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고정 도르래(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고정 도르래(161, 162)가 벨트(1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손잡이(140)와 연결된 와이어(110)는 제 1 고정 도르래(161)의 하부를 경유하여 제 2 고정 도르래(162)의 상부에 감긴 후 움직 도르래(170)를 경유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움직 도르래(170)는 연결 부재를 통해 허벅지 밴드(150)와 연결될 수 있으며, 고정 도드래(160)를 경유하여 방향이 변경된 힘을 통해 사용자의 허벅지를 들어 올리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손잡이(140)를 당기는 거리에 따라서 움직 도르래(170)가 이동하는 거리가 결정될 수 있으며, 이때 움직 도르래(170)는 허벅지를 들어올리는 사용자의 힘을 줄여줄 수 있다.
고정 도르래(160)를 경유한 와이어(110)는 움직 도르래(170)의 하부를 경유하여 와이어 고정부(130)에 고정됨으로써, 사용자가 보행 시 손잡이(140)를 당기면 와이어(110)가 당겨지게 되고, 이로 인해 움직 도르래(170)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움직 도르래(170)와 연결된 허벅지 밴드(150)도 함께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허벅지 밴드(150)가 사용자의 허벅지를 위로 들어올려줌으로써 보행을 보조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는 하나의 움직 도르래(170)가 사용되었지만, 복수의 움직 도르래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에 맞게 움직 도르래의 수를 조정하면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보행 시 한쪽 허벅지를 들어올리기 위한 구성만을 도시하였으나, 도 2에 도시된 벨트의 일 면이 아닌 다른 면에도 도 2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 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보행 시 양 팔을 교대로 스윙하면, 한쪽 팔과 반대 측에 있는 허벅지가 해당 스윙에 따라서 교대로 들어올려지게 되며, 자연스러운 보행과 그에 따른 보행 보조가 가능할 수 있다.
참고로, 보행 보조 기구(100)는 특별히 다리를 높게 들어 올려야 하는 경우, 어느 한쪽 방향으로만 힘이 작용하도록 하는 구성을 통해 당기거나 미는 등의 일 방향 운동을 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기구(100)의 활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120)를 사용자의 허리에, 허벅지 밴드(150)를 사용자의 허벅지에 착용한 후 손잡이(140)를 잡고 보행 시 양 팔을 스윙하면 와이어(110)가 당겨지면서 와이어(110)와 연결된 허벅지 밴드(150)를 들어 올리게 된다.
이때, 움직 도르래(170)를 이용하여 팔에 작용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팔의 근력을 이용해 다리 근육의 부담을 덜어줌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보행을 보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보행 보조 기구(100)의 구성에 결속 홀(binding hole)(180)과 걸림 부재(190)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와이어(11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 걸림 돌기(111)가 형성될 수 있다.
결속 홀(180)은 벨트의 일면에 형성(결합)될 수 있으며, 일면에 걸림 돌기(111)가 형성된 와이어(110)가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걸림 부재(190)는 결속 홀(180)에 결합될 수 있다.
걸림 부재(190)가 결속 홀(180)에 결합되면, 와이어(110)의 일면에 형성된 걸림 돌기(111)의 형태에 의해서 와이어(110)는 일 방향으로만 통과(이동)할 수 있다.
즉, 도 4에서, 와이어(110)가 좌측 방향으로는 이동이 가능하나, 우측 방향으로 이동 시 걸림 돌기(111)가 걸림 부재(190)에 걸리게 되므로 이동에 제한이 따르게 된다.
만일, 상기 결합이 해제되면, 일면에 걸림 돌기(111)가 형성된 와이어(110)는 결속 홀(180)을 양 방향(도 4에 도시된 도면 상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통과(이동)할 수 있다.
참고로, 걸림 부재(190)가 결속 홀(180)에 결합되거나 결합이 해제되는 방식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 홀(180)의 일 측면에 걸림 부재(190)가 삽입되거나 삽입된 걸림 부재(190)가 추출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걸림 부재(190)가 결속 홀(180)의 일 측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 또는 하 방향으로 고정됨으로써, 걸림 부재(190)가 결속 홀(180)에 결합되거나 결합이 해제될 수도 있다.
걸림 부재(190)가 결속 홀(180)에 결합되거나 결합이 해제되는 방식은 전술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특별히 다리를 높게 들어 올려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걸림 부재(190)를 결속 홀(180)에 결합시키고 일면에 걸림 돌기(111)가 형성된 와이어(110)를 원하는 만큼 당기면, 와이어(110)가 당겨진 상태에서 다시 되돌아 가지 않고 고정됨으로써 다리가 원하는 위치에 올라온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이후, 걸림 부재(190)와 결속 홀(180)의 결합을 해제시키면, 다시 팔을 이용한 스윙을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보행을 보조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보행 보조 기구
110 : 와이어
111 : 걸림 돌기
120 : 벨트
130 : 와이어 고정부
140 : 손잡이
150 : 허벅지 밴드
160 : 고정 도르래
170 : 움직 도르래
180 : 결속 홀
190 : 걸림 부재
110 : 와이어
111 : 걸림 돌기
120 : 벨트
130 : 와이어 고정부
140 : 손잡이
150 : 허벅지 밴드
160 : 고정 도르래
170 : 움직 도르래
180 : 결속 홀
190 : 걸림 부재
Claims (5)
- 보행 보조 기구에 있어서,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벨트;
상기 사용자의 허벅지에 착용되는 허벅지 밴드;
상기 벨트에 결합되며, 서로 반대 측에 위치하는 팔과 허벅지를 와이어로 연결하여 상기 사용자의 팔을 이용한 스윙 시 힘의 방향을 변경시키는 하나 이상의 고정 도르래;
상기 허벅지 밴드와 연결되며 상기 고정 도르래를 통해 방향이 변경된 힘을 이용하여 상기 허벅지 밴드를 들어 올리는 움직 도르래;
상기 벨트에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와이어 고정부; 및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를 당기기 위한 손잡이
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고정부에 고정된 일단으로부터 상기 움직 도르래 및 고정 도르래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타단이 결합된 상기 손잡이로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가 보행 시 상기 손잡이를 당기면, 상기 손잡이가 당겨지는 힘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가 당겨지게 되어, 상기 움직 도르래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움직 도르래와 연결된 상기 허벅지 밴드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기구.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도르래 또는 움직 도르래는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에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결속 홀(binding hole); 및
상기 결속 홀에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가 일 방향으로만 통과하도록 하거나 상기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와이어가 양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하는 걸림 부재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는 일면에 걸림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결속 홀에 결합된 걸림 부재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일 방향으로만 통과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6221A KR101669763B1 (ko) | 2015-07-07 | 2015-07-07 | 보행 보조 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6221A KR101669763B1 (ko) | 2015-07-07 | 2015-07-07 | 보행 보조 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69763B1 true KR101669763B1 (ko) | 2016-11-09 |
Family
ID=57528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6221A KR101669763B1 (ko) | 2015-07-07 | 2015-07-07 | 보행 보조 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69763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621297A (zh) * | 2017-10-05 | 2019-04-16 | 丰田自动车株式会社 | 步行训练系统和控制步行训练系统的方法 |
KR102495560B1 (ko) * | 2022-08-19 | 2023-02-06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고관절 발목 연동형 보행 보조 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96751A (ko) * | 2000-04-14 | 2001-11-08 | 이계안 | 다중 결속구를 갖는 케이블 밴드 |
JP2011229704A (ja) * | 2010-04-28 | 2011-11-17 | Hokkaido Univ | 腰部筋力補助具 |
-
2015
- 2015-07-07 KR KR1020150096221A patent/KR10166976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96751A (ko) * | 2000-04-14 | 2001-11-08 | 이계안 | 다중 결속구를 갖는 케이블 밴드 |
JP2011229704A (ja) * | 2010-04-28 | 2011-11-17 | Hokkaido Univ | 腰部筋力補助具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621297A (zh) * | 2017-10-05 | 2019-04-16 | 丰田自动车株式会社 | 步行训练系统和控制步行训练系统的方法 |
KR102495560B1 (ko) * | 2022-08-19 | 2023-02-06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고관절 발목 연동형 보행 보조 장치 |
WO2024039200A1 (ko) * | 2022-08-19 | 2024-02-22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고관절 발목 연동형 보행 보조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40566B2 (en) | Hip assist walker | |
US10583063B2 (en) | Manual walk-assist and accessories combo | |
US20120100968A1 (en) | Abdominal exercise device | |
US20180055710A1 (en) | Flexible Ankle-Based Inversion Device | |
KR101669763B1 (ko) | 보행 보조 기구 | |
CN208626144U (zh) | 一种医用护理训练用拐杖 | |
KR200451767Y1 (ko) | 휴대 가능한 하체운동기구 | |
JP4981188B1 (ja) | 脚力補助装置 | |
JP2011514821A (ja) | 運動靴の下体筋肉強化補助器具 | |
CN203370082U (zh) | 自由行走机构 | |
CN201692106U (zh) | 足下垂助行带 | |
TWI466699B (zh) | 肌群訓練裝置 | |
KR101086273B1 (ko) | 등산용 보행보조구 | |
JP3171272U (ja) | 歩行補助具 | |
JP3157654U (ja) | トレーニング用足具及びトレーニング器具 | |
CN200973806Y (zh) | 下肢康复助行器 | |
JP3143276U (ja) | フィットネス歩行ポール | |
JP2019042409A (ja) | 歩行補助具 | |
CN205031509U (zh) | 迈步牵引器 | |
KR101807940B1 (ko) | 보행 및 신발착탈 보조용 지팡이 | |
TWI720836B (zh) | 無動力源之步行及登高輔助裝置 | |
CN217091334U (zh) | 一种协助患者恢复行走的训练保护装置 | |
CN203915939U (zh) | 便携式脚踝康复训练器 | |
KR200306016Y1 (ko) | 보행기 | |
KR101021260B1 (ko) | 등산용 보행보조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