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8719B1 - 차량용 카드키 - Google Patents

차량용 카드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8719B1
KR101668719B1 KR1020160057732A KR20160057732A KR101668719B1 KR 101668719 B1 KR101668719 B1 KR 101668719B1 KR 1020160057732 A KR1020160057732 A KR 1020160057732A KR 20160057732 A KR20160057732 A KR 20160057732A KR 101668719 B1 KR101668719 B1 KR 101668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dule
circuit board
holder
battery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7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지용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7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87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5/00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 E05B35/007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the key being a card, e.g. perforated,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4Key or electric means; Emergency release
    • E05B2047/0086Emergency release, e.g. key or electromagnet
    • E05B2047/0087Electric spare devices, e.g. auxiliary batteries or capacitors for back up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차량용 카드키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카드키는: 제1 안착부와 제2 안착부가 형성되는 바디부; 바디부에 적층되는 회로기판; 제1 안착부에 배치되고,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홀더부; 제2 안착부에 배치되고,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격리되는 스페어 홀더부; 접속 홀더부에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고, 접속 홀더부에 인입시 접속 홀더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배터리 모듈; 및 스페어 홀더부에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배터리 모듈과 교체되어 접속 홀더부에 인입될 경우, 접속 홀더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카드키{CARD KE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카드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방전시 차량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카드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카드키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이모빌라이저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한다. 차량용 카드키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차량에 대한 인증을 실행하고, 일정 거리 내에 운전자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차량 도어 잠금을 해제하는 등 차량의 내부 장치를 구동 또는 단속한다. 운전자가 차량에서 일정 거리를 벗어난다고 판단되는 경우, 차량의 도난 방지 및 자동 잠금 해제 등을 위해 내부 장치를 구동 또는 단속한다. 또한, 차량용 카드키의 버튼을 조작하여 차량의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카드키는 배터리 방전시 차량의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차량용 카드키의 내부에 별도의 메탈키가 수용된다. 메탈키가 차량용 카드키의 내부에 삽입되고, 메탈키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므로, 차량용 카드키의 크기를 감소시키거나 차량용 카드키의 두께를 얇게 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차량용 카드키의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때에 차량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51980호(2011. 05. 18 공개, 발명의 명칭: 안테나 통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버튼시동 차량의 비상시동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방전시 차량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카드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드키는: 제1 안착부와 제2 안착부가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적층되는 회로기판; 상기 제1 안착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홀더부; 상기 제2 안착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격리되는 스페어 홀더부; 상기 접속 홀더부에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접속 홀더부에 인입시 상기 접속 홀더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배터리 모듈; 및 상기 스페어 홀더부에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배터리 모듈과 교체되어 상기 접속 홀더부에 인입시 상기 접속 홀더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로기판에는 상기 제1 안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와, 상기 제2 안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 홀더부는 상기 제1 개구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배터리 모듈의 일측을 지지하는 음극 컨텍트부; 상기 제1 개구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배터리 모듈의 타측을 지지하는 양극 컨텍트부; 및 상기 제1 배터리 모듈이 삽입되도록 상기 양극 컨텍트부와 이격되게 상기 회로기판에 고정되는 서포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페어 홀더부는 상기 제2 개구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기판에 고정되는 제1 홀더; 상기 제2 개구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배터리 모듈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1 홀더와 이격되고, 상기 회로기판에 고정되는 제2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터리 모듈은 제1 배터리; 상기 제1 배터리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지지체; 및 상기 제1 지지체가 고정되고, 상기 제1 배터리의 둘레부가 삽입되는 제1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착부의 양측에는 제1 구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안착부의 양측에는 제2 구속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커버의 양측에는 상기 제1 구속부와 상기 제2 구속부에 구속되도록 제1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제1 커버의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는 제1 걸림 후크일 수 있다.
상기 제2 배터리 모듈은 제2 배터리; 상기 제2 배터리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2 지지체; 및 상기 제2 지지체가 고정되고, 상기 제2 배터리의 둘레부가 삽입되는 제2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착부의 양측에는 제1 구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안착부의 양측에는 제2 구속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커버의 양측에는 상기 제1 구속부와 상기 제2 구속부에 구속되도록 제2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제2 커버의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는 제2 걸림 후크일 수 있다.
상기 제1 안착부와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바디부에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접속 홀더부와 상기 스페어 홀더부는 상기 회로기판에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안착부는 상기 바디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바디부의 폭방향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접속 홀더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길이방향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페어 홀더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폭방향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로기판에 바디부의 제1 안착부와 제2 안착부에 대응되도록 접속 홀더부와 스페어 홀더부가 설치되므로, 제1 배터리 모듈과 제2 배터리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스페어 홀더부에는 충전된 제2 배터리 모듈이 예비적으로 보관되므로, 제1 배터리 모듈이 방전되었을 때에 제2 배터리 모듈을 인출한 후 접속 홀더부에 삽입하여 차량용 카드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지지체가 제1 커버에 고정되고, 제1 커버에 제1 배터리의 둘레부가 삽입되므로, 제1 배터리가 제1 커버와 제1 지지체에 탑재된 상태에서 접속 홀더부 또는 스페어 홀더부에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배터리에서 제1 커버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접속 홀더부와 스페어 홀더부에서 제1 배터리를 인출할 수 있으므로, 제1 배터리가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지지체가 제2 커버에 고정되고, 제2 커버에 제2 배터리의 둘레부가 삽입되므로, 제2 배터리가 제2 커버와 제2 지지체에 탑재된 상태에서 접속 홀더부 또는 스페어 홀더부에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배터리에서 제2 커버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접속 홀더부와 스페어 홀더부에서 제2 배터리를 인출할 수 있으므로, 제2 배터리가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드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드키에서 제1 배터리 모듈과 제2 배터리 모듈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드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드키에서 바디부와 회로기판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드키에서 제1 배터리 모듈이 제1 안착부에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드키에서 제1 배터리 모듈이 제1 안착부에 구속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드키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드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드키에서 바디부와 회로기판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드키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차량용 카드키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드키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드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드키에서 제1 배터리 모듈과 제2 배터리 모듈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드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드키에서 바디부와 회로기판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드키는 바디부(110), 회로기판(120), 접속 홀더부(130), 스페어 홀더부(140), 제1 배터리 모듈(150) 및 제2 배터리 모듈(160)을 포함한다.
바디부(11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판 형태로 형성된다. 바디부(110)에는 제1 안착부(111)와 제2 안착부(115)가 형성된다. 제1 안착부(111)와 제2 안착부(115)의 깊이는 바디부(110) 내에 제1 배터리 모듈(150)과 제2 배터리 모듈(160)을 삽입하기 위해 제1 배터리 모듈(150)과 제2 배터리 모듈(160)의 두께보다 깊게 형성된다.
제1 안착부(111)와 제2 안착부(115)는 바디부(110)에서 서로 반대편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1 안착부(111)와 제2 안착부(115)는 바디부(110)의 길이방향 양측에 형성되거나 바디부(110)의 폭방향 양측에 형성된다.
회로기판(120)은 바디부(110)에 적층된다. 이때, 회로기판(120)의 일측면은 바디부(110)에 인서트 사출되어 바디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회로기판(120)의 일측에는 데코 시트(127)가 부착된다. 바디부(110)의 제1 안착부(111)에는 인서트 사출 금형(미도시)의 지그핀(미도시)이 분리됨에 따라 통공(117)이 형성된다. 지그핀이 접속 홀더부(130)의 음극 컨텍트부(131)의 접점(131b)과 양극 컨텍트부(133)의 접점(133b)을 차폐시킴으로써, 음극 컨텍트부(131)의 접점(131b)과 양극 컨텍트부(133)의 접점(133b)이 수지물질에 덮이는 것을 방지한다.
회로기판(120)에는 제1 안착부(11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121)와, 제2 안착부(115)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125)가 형성된다. 회로기판(120)에서 제1 개구부(121)와 제2 개구부(125)가 제1 안착부(111)와 제2 안착부(115)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므로, 차량용 카드키에 제1 배터리 모듈(150)과 제2 배터리 모듈(160)이 설치될 공간이 형성된다.
제1 안착부(111)와 제2 안착부(115)는 바디부(110)에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고, 접속 홀더부(130)와 스페어 홀더부(140)는 회로기판(120)에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제1 안착부(111)와 제2 안착부(115)는 바디부(110)의 길이방향 양측에 배치되고, 접속 홀더부(130)와 스페어 홀더부(140)는 회로기판(120)의 길이방향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안착부(111)와 제2 안착부(115)는 바디부(110)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되고, 접속 홀더부(130)와 스페어 홀더부(140)는 회로기판(120)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접속 홀더부(130)와 스페어 홀더부(140)가 회로기판(120)에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므로, 제1 배터리 모듈(150)과 제2 배터리 모듈(160)이 서로 대칭되게 배치됨에 따라 부품들이 차량용 카드키에 균형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카드키의 설계 자유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드키에서 제1 배터리 모듈이 제1 안착부에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드키에서 제1 배터리 모듈이 제1 안착부에 구속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드키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접속 홀더부(130)는 제1 안착부(111)에 배치되고, 회로기판(1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접속 홀더부(130)는 제1 배터리 모듈(150) 또는 제2 배터리 모듈(160)이 회로기판(1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하는 매개체이다.
접속 홀더부(130)는 음극 컨텍트부(131), 양극 컨텍트부(133) 및 서포트부(135)를 포함한다. 음극 컨텍트부(131), 양극 컨텍트부(133) 및 서포트부(135)는 스테인리스 재질 등 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음극 컨텍트부(131), 양극 컨텍트부(133) 및 서포트부(135)는 전체적으로 판형태로 형성된다.
음극 컨텍트부(131)는 제1 개구부(121)에 배치되고, 회로기판(1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1 배터리 모듈(150)의 일측을 지지한다. 음극 컨텍트부(131)의 양측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음극 접지부(131a)가 형성되고, 음극 접지부(131a)는 회로기판(120)의 회로배선(미도시)에 연결된다. 음극 컨텍트부(131)에 음극 접지부(131a)가 상측으로 돌출되므로, 음극 접지부(131a)가 회로기판(120)에 솔더링되었을 때에 음극 컨텍트부(131)가 회로기판(120)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양극 컨텍트부(133)는 제1 개구부(121)에 배치되고, 회로기판(1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1 배터리 모듈(150)의 타측을 지지한다. 양극 컨텍트부(133)의 양측에는 하측으로 돌출되는 양극 접지부(133a)가 형성되고, 양극 접지부(133a)는 회로기판(120)의 회로배선에 연결된다. 양극 접지부(133a)가 회로기판(120)에 솔더링되었을 때에 양극 컨텍트부(133)가 회로기판(120)의 상측면과 거의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양극 컨텍트부(133)가 회로기판(120)의 상측면과 거의 동일 평면을 이루고, 음극 컨텍트부(131)가 회로기판(120)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므로, 양극 컨텍트부(133)와 음극 컨텍트부(131) 사이에는 제1 배터리 모듈(150)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서포트부(135)는 제1 배터리 모듈(150)이 삽입되도록 양극 컨텍트부(133)와 이격되게 회로기판(120)에 고정된다. 서포트부(135)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서포트 리브(135a)가 형성되고, 서포트 리브(135a)는 회로기판(120)에 고정된다. 이때, 서포트 리브(135a)는 회로기판(120)의 회로배선과 전기적으로 격리된다. 서포트 리브(135a)가 회로기판(120)에 고정되었을 때에 서포트부(135)는 회로기판(120)의 하측면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이때, 서포트부(135)는 양극 컨텍트부(133)와 이격되게 배치되므로, 서포트부(135)와 양극 컨텍트부(133) 사이에는 제1 배터리 모듈(150)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스페어 홀더부(140)는 제2 안착부(115)에 배치되고, 회로기판(120)과 전기적으로 격리된다. 스페어 홀더부(140)가 회로기판(120)과 전기적으로 격리되므로, 제1 배터리 모듈(150) 또는 제2 배터리 모듈(160)이 스페어 홀더부(140)에 삽입되더라도 제1 배터리 모듈(150) 또는 제2 배터리 모듈(160)에 충전된 전기가 소모되지 않는다. 스페어 홀더부(140)에는 충전된 제2 배터리 모듈(160)이 예비적으로 보관되므로, 제1 배터리 모듈(150)이 방전되었을 때에 제2 배터리 모듈(160)을 인출한 후 접속 홀더부(130)에 삽입하여 회로기판(120)에 전기가 계속적으로 공급되게 할 수 있다.
스페어 홀더부(140)는 제1 홀더(141) 및 제2 홀더(143)를 포함한다. 제1 홀더(141)와 제2 홀더(143)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홀더(141)와 제2 홀더(143)는 회로기판(120)의 회로배선과 격리되므로, 제2 배터리 모듈(160)이 스페어 홀더부(140)를 통해 회로기판(120)에 전기를 공급할 수 없다.
제1 홀더(141)는 제2 개구부(125)에 배치되고, 회로기판(120)에 고정된다. 제1 홀더(141)의 양측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1 고정부(141a)가 형성되고, 제1 고정부(141a)는 회로기판(120)에 고정되므로, 제1 홀더(141)가 회로기판(120)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제2 홀더(143)는 제2 개구부(125)에 배치되고, 제2 배터리 모듈(160)이 삽입되도록 제1 홀더(141)와 이격되고, 회로기판(120)에 고정된다. 제2 홀더(143)의 양측에는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2 고정부(143a)가 형성되고, 제2 고정부(143a)는 회로기판(120)에 고정되므로, 제2 홀더(143)가 회로기판(120)의 상측면과 거의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제1 홀더(141)가 회로기판(120)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제2 홀더(143)가 회로기판(120)의 상측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므로, 제1 홀더(141)와 제2 홀더(143) 사이에는 제2 배터리 모듈(160)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제1 배터리 모듈(150)은 접속 홀더부(130)에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고, 접속 홀더부(130)에 인입시 접속 홀더부(1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1 배터리 모듈(150)은 접속 홀더부(130)를 통해 회로기판(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배터리 모듈(150)은 제1 배터리(151)와, 제1 배터리(151)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지지체(153)와, 제1 지지체(153)가 고정되고, 제1 배터리(151)의 둘레부가 삽입되는 제1 커버(155)를 포함한다. 제1 커버(155)의 외측은 바디부(110)의 둘레부의 일부를 이룬다. 제1 지지체(153)가 제1 커버(155)에 고정되고, 제1 커버(155)에 제1 배터리(151)의 둘레부가 삽입되므로, 제1 배터리(151)가 제1 커버(155)와 제1 지지체(153)에 탑재된 상태에서 접속 홀더부(130) 또는 스페어 홀더부(140)에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배터리(151)에서 제1 커버(155)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접속 홀더부(130)와 스페어 홀더부(140)에서 제1 배터리(151)를 인출할 수 있으므로, 제1 배터리(151)가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이때, 제1 안착부(111)의 양측에는 제1 구속부(112)가 형성되고, 제2 안착부(115)의 양측에는 제2 구속부(116)가 형성되며, 제1 커버(155)는 양측에는 제1 구속부(112)와 제2 구속부(116)에 구속되도록 제1 걸림부(156)가 형성된다. 제1 커버(155)는 양측에 제1 구속부(112)와 제2 구속부(116)에 구속되도록 제1 걸림부(156)가 형성되므로, 제1 배터리 모듈(150)이 접속 홀더부(130) 또는 스페어 홀더부(140)에 삽입되었을 때에 제1 걸림부(156)가 제1 구속부(112) 또는 제2 구속부(116)에 걸려 구속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배터리 모듈(150)이 접속 홀더부(130) 또는 스페어 홀더부(140)에 삽입되더라도 제1 구속부(112) 또는 제2 구속부(116)에 걸려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구속부(112)는 제1 안착부(111)의 양측에서 중심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구속돌기이고, 제2 구속부(116)는 제2 안착부(115)의 양측에서 중심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구속돌기일 수 있다. 이때, 제1 걸림부(156)는 제1 커버(155)의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는 제1 걸림 후크이다. 제1 걸림 후크는 제1 커버(155)의 둘레부에서 제1 커버(155)의 삽입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된다. 또한, 제1 걸림 후크는 제1 커버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1 스프링과, 제1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제1 걸림편을 포함한 수 있다. 이러한 제1 걸림 후크는 제1 안착부의 내부에 구속되는 한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제2 배터리 모듈(160)은 스페어 홀더부(140)에 인출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배터리 모듈(160)은 제1 배터리 모듈(150)과 교체되어 접속 홀더부(130)에 인입될 경우, 접속 홀더부(1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2 배터리 모듈(160)이 제1 배터리 모듈(150)과 교체됨에 따라 접속 홀더부(1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므로, 제1 배터리 모듈(150)의 방전시 제2 배터리 모듈(160)이 접속 홀더부(130)를 통해 회로기판(120)에 전기를 공급한다.
따라서, 제2 배터리 모듈(160)이 바디부(110)에 예비적으로 구비되므로, 제1 배터리 모듈(150)이 방전되더라도 제2 배터리 모듈(160)로 교체하면 차량용 카드키가 원격에서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배터리 모듈(160)이 바디부(110)에 예비적으로 구비되므로, 바디부(110)에 메탈키를 삽입하지 않아도 된다. 바디부(110)에 메탈키가 삽입될 공간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차량용 카드키의 크기나 두께는 메탈키의 크기나 길이에 따라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차량용 카드키의 크기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배터리 모듈(160)은 제2 배터리(161)와, 제2 배터리(161)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2 지지체(163)와, 제2 지지체(163)가 고정되고, 제2 배터리(161)의 둘레부가 삽입되는 제2 커버(165)를 포함한다. 제2 커버(165)의 외측은 바디부(110)의 둘레부의 일부를 이룬다. 제2 지지체(163)가 제2 커버(165)에 고정되고, 제2 커버(165)에 제2 배터리(161)의 둘레부가 삽입되므로, 제2 배터리(161)가 제2 커버(165)와 제2 지지체(163)에 탑재된 상태에서 접속 홀더부(130) 또는 스페어 홀더부(140)에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배터리(161)에서 제2 커버(165)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접속 홀더부(130)와 스페어 홀더부(140)에서 제2 배터리(161)를 인출할 수 있으므로, 제2 배터리(161)가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이때, 제1 안착부(111)의 양측에는 제1 구속부(112)가 형성되고, 제2 안착부(115)의 양측에는 제2 구속부(116)가 형성되며, 제2 커버(165)는 양측에는 제1 구속부(112)와 제2 구속부(116)에 구속되도록 제2 걸림부(166)가 형성된다. 제2 커버(165)는 양측에 제1 구속부(112)와 제2 구속부(116)에 구속되도록 제2 걸림부(166)가 형성되므로, 제2 배터리 모듈(160)이 접속 홀더부(130) 또는 스페어 홀더부(140)에 삽입되었을 때에 제2 걸림부(166)가 제1 구속부(112) 또는 제2 구속부(116)에 걸려 구속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배터리 모듈(160)이 접속 홀더부(130) 또는 스페어 홀더부(140)에 삽입되더라도 제1 구속부(112) 또는 제2 구속부(116)에 걸려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구속부(112)는 제1 안착부(111)의 양측에서 중심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구속돌기이고, 제2 구속부(116)는 제2 안착부(115)의 양측에서 중심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구속돌기일 수 있다. 이때, 제2 걸림부(166)는 제2 배터리 모듈(160)의 삽입시 제1 구속부(112)나 제2 구속부(116)에 가압되어 제2 커버(165)의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는 제2 걸림 후크이다. 제2 걸림 후크는 제2 커버(165)의 둘레부에서 제2 커버(165)의 삽입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된다. 또한, 제2 걸림 후크는 제2 커버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2 스프링과, 제2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제2 걸림편을 포함한 수 있다. 이러한 제2 걸림 후크는 제2 안착부의 내부에 구속되는 한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드키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 비해 제1 배터리 모듈(150)과 제2 배터리 모듈(160)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는 점을 제외하고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아래에서는 제1 실시에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드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드키에서 바디부와 회로기판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안착부(111)는 바디부(110)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되고, 제2 안착부(115)는 바디부(110)의 폭방향 일측에 형성되며, 접속 홀더부(130)는 회로기판(120)의 길이방향 일측에 배치되고, 스페어 홀더부(140)는 회로기판(120)의 폭방향 일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접속 홀더부(130)의 입구부와 스페어 홀더부(140)의 입구부가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므로, 제1 배터리 모듈(150)과 제2 배터리 모듈(160)이 접속 홀더부(130)와 스페어 홀더부(140)에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삽입된다.
또한, 제1 안착부(111)와 제2 안착부(115)가 바디부(110)의 길이방향 일측에 같이 형성되고, 접속 홀더부(130)와 스페어 홀더부(140)가 회로기판(120)의 길이방향 일측에 같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안착부(111)와 제2 안착부(115)가 바디부(110)의 다양한 곳에 형성되고, 접속 홀더부(130)와 스페어 홀더부(140)가 제1 안착부(111)와 제2 안착부(115)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배터리 모듈(150)과 제2 배터리 모듈(160)의 설치 위치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바디부(110)에는 제1 안착부(111)와 제2 안착부(115)가 형성되고, 회로기판(120)에는 제1 안착부(111)와 제2 안착부(115)에 대응되도록 접속 홀더부(130)와 스페어 홀더부(140)가 설치되므로, 제1 배터리 모듈(150)과 제2 배터리 모듈(160)이 동시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스페어 홀더부(140)에는 충전된 제2 배터리 모듈(160)이 예비적으로 보관되므로, 제1 배터리 모듈(150)이 방전되었을 때에 제2 배터리 모듈(160)을 인출한 후 접속 홀더부(130)에 삽입하여 차량용 카드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체(153)가 제1 커버(155)에 고정되고, 제1 커버(155)에 제1 배터리(151)의 둘레부가 삽입되므로, 제1 배터리(151)가 제1 커버(155)와 제1 지지체(153)에 탑재된 상태에서 접속 홀더부(130) 또는 스페어 홀더부(140)에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배터리(151)에서 제1 커버(155)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접속 홀더부(130)와 스페어 홀더부(140)에서 제1 배터리(151)를 인출할 수 있으므로, 제1 배터리(151)가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체(163)가 제2 커버(165)에 고정되고, 제2 커버(165)에 제2 배터리(161)의 둘레부가 삽입되므로, 제2 배터리(161)가 제2 커버(165)와 제2 지지체(163)에 탑재된 상태에서 접속 홀더부(130) 또는 스페어 홀더부(140)에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배터리(161)에서 제2 커버(165)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접속 홀더부(130)와 스페어 홀더부(140)에서 제2 배터리(161)를 인출할 수 있으므로, 제2 배터리(161)가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바디부 111: 제1 안착부
112: 제1 구속부 115: 제2 안착부
116: 제2 구속부 120: 회로기판
121: 제1 개구부 125: 제2 개구부
130: 접속 홀더부 131: 음극 컨텍트부
133: 양극 컨텍트부 135: 서포트부
140: 스페어 홀더부 141: 제1 홀더
143: 제2 홀더 150: 제1 배터리 모듈
151: 제1 배터리 153: 제1 지지체
155: 제1 커버 156: 제1 걸림부
160: 제2 배터리 모듈 161: 제2 배터리
163: 제2 지지체 165: 제2 커버
166: 제2 걸림부

Claims (12)

  1. 제1 안착부와 제2 안착부가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적층되는 회로기판;
    상기 제1 안착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홀더부;
    상기 제2 안착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격리되는 스페어 홀더부;
    상기 접속 홀더부에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접속 홀더부에 인입시 상기 접속 홀더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배터리 모듈; 및
    상기 스페어 홀더부에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배터리 모듈과 교체되어 상기 접속 홀더부에 인입시 상기 접속 홀더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에는 상기 제1 안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와, 상기 제2 안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페어 홀더부는,
    상기 제2 개구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기판에 고정되는 제1 홀더; 및
    상기 제2 개구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배터리 모듈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1 홀더와 이격되고, 상기 회로기판에 고정되는 제2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드키.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홀더부는,
    상기 제1 개구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배터리 모듈의 일측을 지지하는 음극 컨텍트부;
    상기 제1 개구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배터리 모듈의 타측을 지지하는 양극 컨텍트부; 및
    상기 제1 배터리 모듈이 삽입되도록 상기 양극 컨텍트부와 이격되게 상기 회로기판에 고정되는 서포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드키.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 모듈은,
    제1 배터리;
    상기 제1 배터리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지지체; 및
    상기 제1 지지체가 고정되고, 상기 제1 배터리의 둘레부가 삽입되는 제1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드키.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부의 양측에는 제1 구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안착부의 양측에는 제2 구속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커버의 양측에는 상기 제1 구속부와 상기 제2 구속부에 구속되도록 제1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드키.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제1 커버의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는 제1 걸림 후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드키.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터리 모듈은,
    제2 배터리;
    상기 제2 배터리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2 지지체; 및
    상기 제2 지지체가 고정되고, 상기 제2 배터리의 둘레부가 삽입되는 제2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드키.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부의 양측에는 제1 구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안착부의 양측에는 제2 구속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커버의 양측에는 상기 제1 구속부와 상기 제2 구속부에 구속되도록 제2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드키.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제2 커버의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는 제2 걸림 후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드키.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부와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바디부에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접속 홀더부와 상기 스페어 홀더부는 상기 회로기판에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드키.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부는 상기 바디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바디부의 폭방향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접속 홀더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길이방향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페어 홀더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폭방향 일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드키.
KR1020160057732A 2016-05-11 2016-05-11 차량용 카드키 KR101668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732A KR101668719B1 (ko) 2016-05-11 2016-05-11 차량용 카드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732A KR101668719B1 (ko) 2016-05-11 2016-05-11 차량용 카드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8719B1 true KR101668719B1 (ko) 2016-10-24

Family

ID=57256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7732A KR101668719B1 (ko) 2016-05-11 2016-05-11 차량용 카드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87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965Y1 (ko) * 2016-11-08 2018-03-16 한국오므론전장 주식회사 차량용 카드 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5470A (ja) * 1995-11-09 1997-05-20 Kokusai Electric Co Ltd 無線選択呼出受信機
KR200214705Y1 (ko) * 2000-09-04 2001-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비상용 수은전지 삽입장치
KR101339311B1 (ko) * 2012-06-05 2013-12-09 주식회사 대동 차량의 무선통신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5470A (ja) * 1995-11-09 1997-05-20 Kokusai Electric Co Ltd 無線選択呼出受信機
KR200214705Y1 (ko) * 2000-09-04 2001-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비상용 수은전지 삽입장치
KR101339311B1 (ko) * 2012-06-05 2013-12-09 주식회사 대동 차량의 무선통신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965Y1 (ko) * 2016-11-08 2018-03-16 한국오므론전장 주식회사 차량용 카드 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35963B1 (en) Portable telephone set for use with IC card
US9145109B2 (en) Motorcycle
JP4057437B2 (ja) 携帯機
CN109565942B (zh) 载置系统
CN114834398B (zh) 车辆
CN103149830A (zh) 具有车辆智能钥匙功能的手表
WO2013111488A1 (ja) 電池ホルダ
KR101668719B1 (ko) 차량용 카드키
KR102057002B1 (ko) 차량용 스마트키
KR101621673B1 (ko) 카드 키
KR101339312B1 (ko) 차량용 무선통신장치
KR101350951B1 (ko) 차량의 포브 키
CN108454534B (zh) 车辆用电气仪器
CN102587725B (zh) 携带器
EP1863106B1 (en) Sprayer with detachable rechargeable battery
KR101678808B1 (ko) 차량의 도난방지구
CN217347715U (zh) 外饰件总成和车辆
KR101299393B1 (ko) 음각형 케이스로 구성된 단위 전지셀 및 이를 이용한 전지모듈
CN217423077U (zh) 行李灯及车辆
CN217790418U (zh) 电池装配结构及割草机
KR200485965Y1 (ko) 차량용 카드 키
CN211598052U (zh) 用于覆盖车锁的主控盒的壳体、车锁以及车辆
CN220336676U (zh) 双电池智能门锁
KR101858626B1 (ko) 차량용 카드 키
CN220209371U (zh) 一种插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